KR20080058636A -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636A
KR20080058636A KR1020060132556A KR20060132556A KR20080058636A KR 20080058636 A KR20080058636 A KR 20080058636A KR 1020060132556 A KR1020060132556 A KR 1020060132556A KR 20060132556 A KR20060132556 A KR 20060132556A KR 20080058636 A KR20080058636 A KR 20080058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weeter
speaker
output
sound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25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응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25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8636A/ko
Publication of KR20080058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6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5Arrangements for fixing loudspeaker transducers, e.g. in a box, furni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23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for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5Transducer mountings or cabinet supports enabling variable orientation of transducer of cabine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Obtaining Desirable Characteristics In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력수단인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직립형의 톨보이(Tallboy)형 스피커 최상단부에 장착 고정된 트위터를 롤러형 또는 반구형 회전기구에 안착 고정시키고 외부 회전틀에 회전손잡이를 부착시켜 트위터의 음파발생 지향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스피커의 설치높이나 설치길이, 그리고 청중과의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고음부 발생을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스피커, 트위터, 각도, 지향

Description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An Angle control device of output unit}
도1은 전형적인 Tallboy형 스피커를 나타낸 그림
도2는 무대위에 설치된 스피커의 고음부 발생영역과 청중의 귀 위치와의 높이차이를 나타낸 그림
도3은 가로등에 설치된 스피커의 고음부 발생영역과 행인의 귀 위치와의 높이차이를 나타낸 그림
도4는 일반적인 톨보이형 스피커 본체표면에 결합스크류로 고정결합되는 트위터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것
도5는 본 발명 스피커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6은 본 발명 스피커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의 회동반구와 고정홀더간 결합구조 도시도
도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써 반구형 고정구조가 아닌 1축 중심 회전형으로 장착된 스피커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트위터 2: 우퍼
3: 스피커 본체(표면) 4: 결합고정용 스크류
5: 청중의 귀 위치 6: 행인의 귀 위치
8: 회전가능 손잡이
9: 트위터쪽 반구 10: 반구형 고정홀더
11 : 스피커용 연결전선 12: 1축 중심 회전형 홀더
본 발명은 출력장치일종인,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스피커 최상단부에 장착 고정된 트위터의 발생음파 지향각도를 원하는 방향으로 조절하여 출력장치의 설치높이나 설치길이, 그리고 청중과의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고음부 발생을 유도하고자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ALLBOY형 스피커의 경우, 최상단부에 트위터 유닛이 고정되고 그 아래에 서브우퍼 또는 우퍼가 일렬로 배치되는 형태로써, 이러한 세로로 길쭉한 스피커 형태는 가로등이나 실내강당의 벽 높은 곳에 부착된 스피커에서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톨보이 스피커는 스피커의 아래부분인 우퍼(저음영역을 담당)에서 저음을 넓게 확산 발생시키고 윗부분의 트위터에서 고음영역을 좁고 날카롭게 발생시킨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톨보이 스피커는 상단부의 트위터 유닛이 고정됨에 따라 청감시 고음역 청취의 중요성과 민감성에도 불구하고 고음재생의 방향성이 구속되어 있었으며 청취자와 음원의 거리 및 위치에 따라 최적의 음파지향각도가 구현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스피커에서 트위터는 고정되어 있다는 일반 고정관념을 벗어나 스피 커의 전체 높이 및 배치높이 그리고 청중과의 거리에 따라 최적의 고음부 발생을 구현할 수 있도록 트위터의 지향각도를 조절하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도1은 전형적인 톨보이 스피커를 도시한 그림으로써 스피커 최상단에 스크류 등으로 고정되어 있는 부분이 트위터이며 도1과 같은 톨보이 스피커는 무대위에 설치될 경우도 있는데 이때 무대의 높이가 높고 관객석의 위치가 낮은 등 여러가지 경우에 따라 스피커의 음파발생 위치가 청중의 위치보다 높게 설치될 수 있다.
도2에서는 상기와 같은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써, 예를 들어 무대객석의 앞부분에 위치한 청중의 입장에서는, 바닥에 설치된 의자에 앉아있는 청중의 귀 높이(5)와 무대연단 위에 설치된 톨보이스피커의 트위터 높이는 큰 차이를 보이게 된다. 이때 트위터보다는 높이가 약간 낮지만 비교적 높은 위치에 위치한 우퍼에서 발생되는 저음영역은 저음음파의 확장성이 좋기 때문에 우퍼와 청중의 높이차는 청취에 별다른 영향이 없으나, 트위터가 발생하는 고음부 영역은 직진성이 뛰어나고 확장폭이 협소하므로 도2에서와 같이 높이차가 많이 발생될 경우 청취자가 고음부를 듣는데 애로점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는 도3과 같은 가로등 설치 (톨보이형)스피커에서도 발생되는데 가로등의 높은 위치에서 발생되는 트위터의 고음영역부는 서 있는 행인의 귀 위치(6)와 상당히 떨어져 있어 청취를 방해하는 요소가 된다.
상기와 같은 고정된 음파지향방향을 가진 트위터의 장착구조는 도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주로 결합스크류(7)등으로 스피커의 본체표면(3)에 간단히 고정 결합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다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인 스피커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 것으로써 스피커의 표면에 회동 가능한 반구형(hemisphere)의 고정구(9)로써 장착이 되어 있는 모습이다. 이때 회동각도는 트위터 앞부분에 달린 손잡이(8)로 조절할 수 있다.
도6은 도5의 회동형 트위터 고정반구 구조의 단면을 도시한 것으로서 트위터가 장착된 반구(9)는 홀더(10)가 부여하는 일정 회동각도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자전 운동할 수 있다. 이 때에도 트위터 앞에 부착된 손잡이(8)는 충분한 길이로 돌출되어 있어 트위터의 각도조절을 쉽게 할 뿐 만 아니라 사용자로 하여금 현재의 트위터가 발생하는 음파의 발생 각도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도록 하는데 도움을 준다.
도7은 도6의 회동반구형 홀더(10)를 1축 중심 단순 회전형 홀더(12)로 대체한 것으로서 이 경우 톨보이 스피커의 좌우방향으로의 트위터 회전은 제한되나, 대신 스피커의 회전 중심축을 좌우로 벗어나지 않고 트위터 상하방향의 회전을 쉽게 조절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객석 좌우방향의 고음부 확산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객석 상하방향으로의 고음부 확산이 중요한 경우, 발생음파의 좌우중심을 흩뜨리지 않고 청중과 스피커위치의 높이차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만을 보다 쉽게 직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구조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상기 제시된 실시예에 국한된다고는 할 수 없으며, 필요한 경우 1개의 음파발생부로만 이루어진 스피커에도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회전기구 등, 통상의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함으로써 실질적으로 동등한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또 다른 실시예가 용이하게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 트위터의 각도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파장이 짧으며 직진성을 띠는 고음부를 발생하는 트위터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스피커의 위치와 높이에 상관없이 청중의 위치에 맞추어 저음과 고음을 함께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청감상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트위터 앞부분에 충분히 돌출되어 있는 회전 손잡이가 현재의 트위터가 발생중인 음파의 지향각도를 사용자에게 매우 효과적으로 표시하여 줌으로써 사용자의 심리적 만족감을 배가시킬 수 있다.

Claims (4)

  1. 복수개의 음 영역이 출력되는 출력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음영역중 미리 정한 음 영역을 출력하는 출력장치는 설치각도가 조정 가능한 회동수단상에 구성되며;
    상기 회동 수단은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고정수단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출력부의 미리 정한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부 각도 조절 장치.
  2. 저음영역과 고음영역을 나누어 발생하는 스피커에 있어서,
    고음영역을 발생하는 트위터는 설치각도가 조절 가능한 회동기구상에 안착되고;
    상기 회동기구는 그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고정홀더 상에 배치되며;
    상기 고정홀더는 상기 스피커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부 각도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구는 몸체 외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몸체 중앙에 안착된 트위터의 중심을 지나 트위터 전면부를 감싸는 형태로 소정길이 돌출된 회전손잡이를 가지되, 상기 회전손잡이는 트위터의 음파발생방향과 동일한 돌출방향 및 충분한 돌출높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부 각도조절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동기구와 고정홀더는 자전형태로 회전 가능한 반구형(Hemisphere) 구조 또는 1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롤(Roll)형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부 각도조절장치.
KR1020060132556A 2006-12-22 2006-12-22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KR2008005863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56A KR20080058636A (ko) 2006-12-22 2006-12-22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2556A KR20080058636A (ko) 2006-12-22 2006-12-22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636A true KR20080058636A (ko) 2008-06-26

Family

ID=398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2556A KR20080058636A (ko) 2006-12-22 2006-12-22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863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9140A (zh) * 2023-07-28 2023-09-05 音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改装的车载扬声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709140A (zh) * 2023-07-28 2023-09-05 音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改装的车载扬声器
CN116709140B (zh) * 2023-07-28 2023-11-21 音品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改装的车载扬声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706400T3 (es) Aparato altavoz con abertura de salida de sonido circunferencial, en forma de embudo
AU2010313782B2 (en) Omnidirectional speaker
JP2945983B2 (ja) スピーカ装置
JP4472223B2 (ja) ライン電気音響変換
US20100246864A1 (en) Headphone improvements
JP2008124903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11252500B2 (en) Asymmetrical high-frequency waveguide, 3-axis rigging, and spherical enclosure for surround speakers
CN103733643B (zh) 具有优化声音辐射的耳机
JP2004072140A (ja) 全指向性バックロードホーン型スピーカー
US20040042627A1 (en) Elliptical flushmount speaker
US7302061B2 (en) Dual-tweeter loudspeaker
US20060251271A1 (en) Ceiling Mounted Loudspeaker System
KR20080058636A (ko) 출력부의 각도조절장치
JP2002513265A (ja) 音響エネルギの再分配のための装置
KR101473582B1 (ko) 지향각 조절이 가능한 사다리꼴 단면 구조형 스피커
JPH0819084A (ja) スピーカシステム
US3526718A (en) Portable speaker assembly for large areas
KR101218027B1 (ko) 서클라인 다채널 스피커 장치
JP2002291086A (ja) スピーカー装置
CN212367516U (zh) 一种超声波音箱
JP2005311986A (ja) スピーカ装置
KR200287565Y1 (ko) 중음 및 고음 위치조절 스피커
JP2001339786A (ja) スピーカ装置
JP2011087146A (ja) スピーカを備えた表示装置
KR101370234B1 (ko) 확성기용 지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