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0234B1 - 확성기용 지향장치 - Google Patents

확성기용 지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0234B1
KR101370234B1 KR1020130022030A KR20130022030A KR101370234B1 KR 101370234 B1 KR101370234 B1 KR 101370234B1 KR 1020130022030 A KR1020130022030 A KR 1020130022030A KR 20130022030 A KR20130022030 A KR 20130022030A KR 101370234 B1 KR101370234 B1 KR 101370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dspeaker
directing member
directing
present
s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철희
이상항
Original Assignee
이상항
김철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항, 김철희 filed Critical 이상항
Priority to KR10201300220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02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0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0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34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using a single transducer with sound reflecting, diffracting, directing or guid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확성기와 함께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함과 아울러 설치된 확성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 없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몸체의 내부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지향부재(104)와; 상기 지향부재(104)의 후방에 조립되되, 상기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에 대응되게 몸체의 내부 중앙에 수용홈(106)을 갖는 용기(108)를 포함하되, 상기 확성기(116)의 플랜지(114)가 지향부재(104)에 조립될 때, 상기 확성기(116)의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한다.

Description

확성기용 지향장치{Apparatus for optimizing directive}
본 발명은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확성기와 함께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함과 아울러 설치된 확성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 없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확성기(loudspeaker, 擴聲器)("스피커"라고도 함)는 전기적 진동을 음의 진동으로 변환하는 장치로, 콘형과 혼형이 있다.
상기 콘형은 종이로 만든 원뿔형을 한 콘지를 진동시켜 소리를 직접 공중에 방사하는 것으로, 효율과 주파수 특성을 좋게 하기 위해 보통은 배플(baffle)판에 부착하든가 캐비닛에 넣어서 사용한다.
그리고, 혼형은 작은 진동판 전면에 나팔 모양의 혼을 부착하여 소리를 효율적으로 공중에 방사하는 것으로, 어느 것이나 동작 원리에 따라 마그네틱형(전자형), 다이내믹형(가동 코일형), 콘덴서형, 압전형 등 각종의 것이 있으나 다이내믹형이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세라믹을 사용한 것도 있다.
그러나, 상기한 확성기가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설치된 경우, 상기 확성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이 발생되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7년 04월 17일자 출원번호 제10-2007-0037394호(발명의 명칭 :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가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특허청구의 범위는 " 벽면(200)에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프레임(20)과; 스피커(1)가 결합된 상태에서 힌지운동되도록 상기 스피커(1)를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되는 메인 힌지 블록(30) 및; 상기 프레임(20)에 설치되어 상기 스피커(1)를 지지하며, 상기 스피커(1)를 상기 메인 힌지 블록(30)을 중심으로 각운동시키므로써, 상기 스피커(1)의 상하 지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상하 지향각 조절수단(50)을 포함하되; 상기 상하 지향각 조절수단(50)은 상기 프레임(20)에 회전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피니언(54) 및; 상기 스피커(1)의 상부에 결합되는 제 2 힌지 블록(60)의 타단에 결합되어 상기 제 2 힌지 블록(60)과 힌지운동되고, 상기 피니언(54)에 맞물려서 상기 스피커(1)를 지지하도록 하면서 상기 피니언(54)의 회전과 함께 전후 이동되는 래크(52)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 스피커 지향각 조절장치는 구조가 복잡하여 설치시, 설치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설치 비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확성기와 함께 설치가 용이하여 설치비용이 저렴함과 아울러 설치된 확성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 없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 확성기용 지향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몸체의 내부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지향부재(104)와;
상기 지향부재(104)의 후방에 조립되되, 상기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에 대응되게 몸체의 내부 중앙에 수용홈(106)을 갖는 용기(108)를 포함하되,
상기 확성기(116)의 플랜지(114)가 지향부재(104)에 조립될 때, 상기 확성기(116)의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는 구조가 간단하여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확성기와 함께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본 발명은 설치비용이 저렴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확성기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 없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해 주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도,
도 3은 도 1의 지향부재를 확대한 도면,
도 4a는 도 1의 지향부재의 평면도,
도 4b는 도 1의 지향부재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확성기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확성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지향부재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4a는 도 1의 지향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1의 지향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100)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몸체의 내부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지향부재(104)와;
상기 지향부재(104)의 후방에 조립되되, 상기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에 대응되게 몸체의 내부 중앙에 수용홈(106)을 갖는 용기(108)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향부재(10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지향부재(103)는, 말굽형 제1블록(110)과 말굽형 제2블록(112)으로 나눌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말굽형 제1블록(110)은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말굽형 제2블록(112)은 말굽형 제1블록(1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확성기가 설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확성기가 설치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에 확성기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몸체의 내부 중앙에 수용홈(106)을 갖는 용기(108)를 위치시킨 후, 상기 용기(108)의 상면에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몸체의 내부 중앙에 관통공(102)을 갖는 지향부재(104)를 위치시킨다. 이때, 상기 용기(108)의 수용홈(106)과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이 연통 된다.
그리고, 플랜지(114)를 갖는 확성기(116)를 위치시킨다. 여기서, 상기 플랜지(114)는 확성기(116)의 전방부의 측면을 따라 연장 형성된 것을 말한다.
그리고, 확성기(116)의 후방부를 상기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 상기 용기(108)의 수용홈(106)으로 밀어 넣은 후, 상기 확성기(116)가 용기(108)에 고정되도록 나사(도시는 생략함)로 고정한다. 이때, 상기 확성기(116)의 플랜지(114)가 지향부재(104)에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확성기(116)의 플랜지(114)가 지향부재(104)에 밀착되면, 확성기(116)의 상부는 지향부재(104)의 상부가 지향부재(104)의 하부보다 두께가 두껍기 때문에 확성기(116)의 하부보다 전방으로 튀어나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확성기용 지향장치(100)에 확성기(116)가 설치되면, 도 7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당, 체육관, 교회, 성당, 경기장, 실내 공연장 등의 벽면에 설치한다.
따라서, 확성기(116)는, 확성기(116)로부터 소리가 출력될 때, 소리가 울림현상 없이 청취자에게 명료하게 전달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확성기용 지향장치
102 : 관통공
104 : 지향부재
106 : 수용홈
108 : 용기
110 : 말굽형 제1블록
112 : 말굽형 제2블록
114 : 플랜지
116 : 확성기

Claims (4)

  1. 확성기(116)의 플랜지(114) 후방에 조립되고, 상기 확성기(116)의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하는 지향부재(104)를 구성하되,
    상기 지향부재(104)는 일측 방향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하고, 몸체의 내부 중앙에 관통공(102)을 형성하며,
    상기 지향부재(104)의 후방에 조립하되, 상기 지향부재(104)의 관통공(102)에 대응되게 몸체의 내부 중앙에 수용홈(106)을 갖는 용기(108)를 포함하고,
    상기 확성기(116)의 플랜지(114)가 지향부재(104)에 조립될 때, 상기 확성기(116)의 일측면이 경사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용 지향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지향부재(104)는,
    말굽형 제1블록(110)과 말굽형 제2블록(112)을 포함하되,
    상기 말굽형 제1블록(110)은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고, 상기 말굽형 제2블록(112)은 말굽형 제1블록(110)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대향되게 일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성기용 지향장치.


KR1020130022030A 2013-02-28 2013-02-28 확성기용 지향장치 KR101370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30A KR101370234B1 (ko) 2013-02-28 2013-02-28 확성기용 지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30A KR101370234B1 (ko) 2013-02-28 2013-02-28 확성기용 지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0234B1 true KR101370234B1 (ko) 2014-03-06

Family

ID=50647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30A KR101370234B1 (ko) 2013-02-28 2013-02-28 확성기용 지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02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363U (ja) * 2007-10-18 2007-12-27 日本オルガン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JP2010095161A (ja) * 2008-10-17 2010-04-30 Onkyo Corp 車両用スピーカー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8363U (ja) * 2007-10-18 2007-12-27 日本オルガン株式会社 スピーカー装置
JP2010095161A (ja) * 2008-10-17 2010-04-30 Onkyo Corp 車両用スピーカーシステ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9599B1 (ko) 스피커 장치
KR100896738B1 (ko) 동심 동일 평면상의 다중 대역 전기 음향 변환기
US20170055067A1 (en) Thin high performance constant directivity waveguide and speaker
US9510068B2 (en) Automatic equalization of loudspeaker array
US20080123877A1 (en) Dual-tweeter loudspeaker
JPH03504310A (ja) ラウドスピーカー
US9226061B2 (en) Speaker assembly
EP3449639B1 (en) Loudspeaker
US20140334659A1 (en) Loudspeaker for eliminating a frequency response dip
JP4102935B2 (ja) スピーカボックス
CA2497097A1 (en) Elliptical flushmount speaker
KR20080068289A (ko) 듀얼 스피커
US20150131818A1 (en) Loudspeaker
KR101370234B1 (ko) 확성기용 지향장치
JP3932928B2 (ja) 拡声装置
WO2024000685A1 (zh) 同轴扬声器
JP2009213102A (ja) 音響機器
US6721431B1 (en) Prismatic loudspeaker/microphone array
KR101357211B1 (ko) 혼 스피커 드라이버
JPS61500644A (ja) 音響再生システム
JP2002291086A (ja) スピーカー装置
US20080212823A1 (en) Loudspeaker and Assembly of Loudspeakers
CN202135292U (zh) 一种结构改良的低音音箱
CN204145688U (zh) 壁挂喇叭
CN219305011U (zh) 一种声束指向性可调的音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