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124A -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124A
KR20080057124A KR1020070042601A KR20070042601A KR20080057124A KR 20080057124 A KR20080057124 A KR 20080057124A KR 1020070042601 A KR1020070042601 A KR 1020070042601A KR 20070042601 A KR20070042601 A KR 20070042601A KR 20080057124 A KR20080057124 A KR 200800571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ball mark
ball
switch
ma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열
Original Assignee
박동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열 filed Critical 박동열
Publication of KR200800571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12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1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with portable ligh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8Leisure, hobby or sport articles, e.g. toys, games or first-aid kits; Hand tools; Toolbox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볼 마크를 이용하여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한다. 볼 마크는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램프와,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며, 램프를 이용하여 광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한다. 볼 마크는 램프 및 전원에 연결되어 전원으로부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밖에 램프는 주기적으로 점멸될 수도 있다. 볼 마크는 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그리고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스위치는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력에 의해 발광회로를 개폐한다. 램프는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스위치는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 고정된다. 볼 마크는 휴대장치에 탈착가능하며, 휴대장치에 부착된 상태에서 손쉽게 휴대할 수 있다. 휴대장치는 스위치와 대향되도록 배치된 자성체를 더 포함한다. 볼 마크가 휴대장치에 부착되면 스위치는 발광회로를 폐쇄하여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하며, 볼 마크가 휴대장치로부터 분리되면 스위치는 발광회로를 개방하여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램프,전원, 리드 스위치

Description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 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ball mark and ball mark unit including the same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golf ball, method for indicating the position of a golf ball}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마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을 따라 구성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몸체 내부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볼 마크의 정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의 램프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커버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볼 마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c는 도 7의 휴대장치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 마크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휴대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Ⅰ-Ⅰ'을 따라 구성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휴대장치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3은 도 9의 볼 마크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인쇄회로기판에 제공된 발광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 볼 마크 유닛 100, 1100 : 볼 마크
120, 1120 : 몸체 122, 1132 : 램프
124, 1138 : 배터리 126, 1136 : 스위치
1130 : 발광장치 1134 : 인쇄회로기판
140, 1140 : 커버 160, 1160 : 금속판
200, 1200 : 휴대장치 220, 1220 : 본체
240, 1240 : 자성체 1250 : 보호커버
260, 1260 : 고정구
본 발명은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 마크 유닛,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식별이 용이한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 마크 유 닛,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경기에서, 골퍼가 샷이나 퍼팅을 한 후 다른 골퍼의 골프공의 진로에 방해가 되지 않게 치우거나, 골프공에 묻은 오물 등을 닦아내기 위하여 골프공을 집어 들게 되는 경우,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에 볼 마크를 놓아서 표시하게 된다.
볼 마크는 골프공의 직경과 대체로 비슷한 원판 형상으로, 골프공이 안착된 그린 상에 놓여진다. 그러나, 종래의 볼 마크는 식별이 용이하지 않으므로 골퍼가 볼 마크를 찾는 데 어려움이 있으며, 볼 마크의 대략적인 위치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분실의 위험이 있다.
특히, 야간경기와 같이 충분한 조명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볼 마크를 찾기란 매우 어려우며, 볼 마크를 찾는 데 많은 시간과 노력을 허비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별이 용이한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 마크 유닛,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야간경기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볼 마크 및이를 구비하는 볼 마크 유닛,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의하면,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는 몸체, 상기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램프, 그리고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램프 및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광통로를 제공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통로의 길이방향에 대한 횡단면적은 상부로 갈수록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광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광을 굴절시키는 광굴절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몸체의 중앙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몸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는 원판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상부를 폐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는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와,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력에 의해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그리 고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을 포함한다.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몸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광통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정렬홀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정렬홀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나란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은 태양전지(solar battery)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유닛은 몸체 및 상기 몸체 내의 공간에 실장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램프, 그리고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볼 마크, 상기 몸체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고정구가 제공되는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볼 마크 유닛은 상기 램프 및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 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볼 마크 유닛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상기 휴대장치의 타측에 제공되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과 탈착가능한 자성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몸체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결합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놓여진 상기 몸체의 측면 및 상부면의 가장자리 중 일부를 감싸고 일측에 상기 몸체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는 중심각이 둔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유닛은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력에 의해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을 포함하는 볼 마크, 상기 볼 마크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고정구가 제공되는 휴대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금속판과 대향되며 자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과 탈착가능한 자성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상기 자성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의 상부에 놓여진 상기 볼 마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제공되며,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고정구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볼 마크를 이용하여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볼 마크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도록 상기 볼 마크 상에 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볼 마크 상에 설치한 후,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램프가 광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상기 그린 상에 안착된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램프는 주기적으로 점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램프를 구비하는 볼 마크를 이용하여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은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되, 상기 스위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에 인가되는 상기 자력은 상기 볼 마크와 탈착가능한 휴대장치에 설치된 자성체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볼 마크가 상기 휴대장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발광회로를 개방하며, 상기 볼 마크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회로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볼 마크 유닛(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Ⅰ-Ⅰ'을 따라 구성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몸체(120) 내부의 배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볼 마크 유닛(10)은 볼 마크(100)와 휴대장치(20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마크(100)는 원판 형상을 하며, 골프공이 안착된 그린 상에 놓여져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한다. 볼 마크(100)는 휴대장치(200)에 탈착 가능하며, 사용자는 볼 마크(100)를 휴대장치(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휴대장치(200)를 모자, 의류, 벨트, 장갑, 신발 등에 고정하여 볼 마크(100)를 쉽게 휴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볼 마크(100) 및 휴대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마크(100)는 몸체(120), 커버(140), 그리고 금속판(160)을 포함한다.
몸체(120)는 원통 형상의 용기이며, 상부가 개방되어 있다. 몸체(1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램프(122), 배터리(124), 그리고 스위치(126)가 수용된다.
몸체(120)의 중앙에는 몸체(12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몸체(120)와 동심원을 가지는 링 형상의 격벽인 램프 가이드(123)가 제공된다. 램프 가이드(123)의 안쪽에는 램프(122)가 삽입된다. 램프(122)는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광을 발산하며, 소형전구 및 소형 LED(light emitting device)를 포함하 다양한 발광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램프(122)의 일측에는 램프(122)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24)가 제공되며, 배터리(124)는 배터리(124)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크기의 원형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배터리 가이드(125) 내에 설치된다. 배터리(124)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 소형 완구 및 시계 등에 사용되는 수은 전지를 포함하며, 이밖에도 다양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24)의 반대측에는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할 수 있는 스위치(126)가 제공되며, 스위치(126)는 스위치(126)의 크기와 대체로 일치하는 크기의 'ㄷ'자 형상의 수납공간을 제공하는 스위치 가이드(127) 내에 설치된다. 스위치(126)는 전류의 공급여부를 제어하는 레버(126a)를 포함하며, 레버(126a)는 몸체(120)의 측벽에 형성된 관통홀(126a)을 통하여 몸체(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체(120)가 폐쇄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몸체(120)의 외부에서 스위치(1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커버(140)는 몸체(120)의 개방된 상부에 결합되어 몸체(12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폐쇄한다. 커버(140)는 몸체(120)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이다. 앞서 설명한 램프 가이드(123), 배터리 가이드(125), 그리고 스위치 가이드(127)의 높이는 몸체(120)의 측벽보다 낮으며, 램프 가이드(123), 배터리 가이드(125), 그리고 스위치 가이드(127)의 상부면에 놓여진 커버(140)의 측면은 몸체(120)의 측벽과 접촉한다. 커버(140)는 램프 가이드(123), 배터리 가이드(125), 그리고 스위치 가이드(127)의 상부면에 접착되어 몸체(12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몸체(120)의 측벽은 커버(140)가 좌우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140)는 고무 재질로 제조된다. 커버(140)의 중앙에는 투명창(142)이 제공되며, 램프(122)로부터 발산된 광은 투명창(142)을 통하여 커버(140)의 상부로 발산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120)의 하부에는 금속 재질의 금속판(160)이 고정결합된다. 금속 판(160)은 자력에 의하여 후술하는 휴대장치(200)의 자성체(240)와 탈착가능하므로, 휴대장치(200)를 이용하여 볼 마크(100)를 휴대할 수 있다.
휴대장치(200)는 본체(220), 자성체(240), 그리고 고정구(260)를 포함한다. 본체(220)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의 용기이며, 몸체(120)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자성체(240)는 자력을 가지며, 본체(220)의 내부에 실장된다. 자성체(240)는 자력에 의하여 볼 마크(100)의 금속판(160)과 부착되며, 부착된 금속판(160)은 자력보다 큰 힘에 의하여 자성체(24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고정구(260)는 본체(220)의 바닥면에 일단이 결합되며, 고정구(260) 상에 돌기(262)가 제공된다. 고정구(260)는 외력에 의하여 본체(220)와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탄성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고정구(260)의 돌기(262)와 본체(220)의 바닥면 사이에 삽입시킴으로써 휴대장치(200)를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장치(200)를 골프경기시 사용하는 모자, 벨트, 의류, 신발 또는 장갑과 같은 대상물에 고정시킨 후 볼 마크(100)를 휴대장치(200)에 부착하면 볼 마크(100)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볼 마크(100)의 정면도이다.
앞서 본 바와 같이, 스위치(126)의 레버(126a)는 관통홀(121)을 통하여 몸 체(120)의 외부로 노출된다. 따라서, 스위치(126)가 몸체(1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몸체(120)의 외부에서 스위치(126)를 작동시킬 수 있다.
스위치(126)는 레버(126a)의 위치에 따라 배터리(124)로부터 램프(122)에 전류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중단한다. 레버(126a)가 온(ON) 위치에 있을 때 전류는 공급되며, 레버(126a)가 오프(OFF) 위치에 있을 때 전류공급은 중단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레버(126a)의 위치에 따라 전류의 공급여부가 결정되는 레버식 스위치(126)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다. 스위치(126)의 종류와 기능은 이미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이므로, 레버식 스위치(126)를 다른 형태의 스위치로 변형하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볼 마크(100)의 부피와 무게를 고려할 때 경량, 소형의 스위치(126)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램프(122)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램프(122)와 배터리(124), 그리고 스위치(126)는 직렬로 연결되어 있으나, 이와 같은 연결방식은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배터리(124)는 편의상 기호로 표현되었다.
레버(126a)가 오프(OFF) 위치에 있으면, 회로는 개회로(an open circuit)가 되며 폐회로(a closed circuit)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램프(122)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으며, 램프(122)는 광을 발산하지 않는다.
그러나, 레버(126a)가 온(ON) 위치에 있으면, 회로는 개회로가 되지 않으며 폐회로가 된다. 따라서, 램프(122)에 전류가 공급되며, 램프(122)는 광을 발산한다.
사용자는 램프(122)가 광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볼 마크(100)를 골프공이 안착된 그린 상에 올려 놓으며, 볼 마크(100)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한다. 볼 마크(100)는 종래와 달리 광을 발산하므로, 사용자는 야간에도 볼 마크(100)의 위치를 쉽게 식별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마크(100)는 제어기(1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28)는 레버(126a)가 온(ON) 위치에 있을 때, 램프(122)에 공급되는 전류를 제어하여 램프(122)가 주기적으로 점멸하도록 한다. 점멸하는 램프(122)는 광을 단속적으로 발산하며, 연속적으로 광을 발산하는 램프(122)에 비하여 쉽게 눈에 띈다. 이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비상등과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2의 커버(140)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40)는 투명 재질의 물질로 이루어진 투명창(142)을 가진다. 따라서, 램프(122)가 발산한 광은 투명창(142)을 통하여 커버(140)의 상부로 발산되며, 투명창(142)은 광통로의 역할을 한다. 한편, 본 실시예와 달리, 커버(140)의 중앙은 빈 공간일 수 있으며, 램프(122)가 발산한 광이 빈 공간을 통하여 커버(140)의 상부로 발산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140)의 중앙에는 투명창(142) 대신 광굴절부재(142a)가 제공될 수 있다. 램프(122)가 발산한 광은 광굴절부재(142a)를 통하여 굴절되며, 굴절된 광은 커버(140)에 수직한 축을 기준으로 광각(wide angle)으로 확산된다. 확산된 광은 사용자의 시야에 쉽게 들어올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볼 마크(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투명창(142b)은 광의 진행방향에 대한 횡단면적이 점차로 증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6a에 도시한 투명창(142)은 광의 진행방향에 따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가지므로, 투명창(142)을 통과한 광은 대체로 나란하게 발산된다. 그러나, 도 6c의 투명창(142b)은 단면적이 증가하므로, 단면적의 증가에 따라 광은 확산되면서 커버(140)의 상부로 발산된다. 이는 확성기와 같은 원리라고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휴대장치(200)는 앞서 설명한 금속판(160) 및 자성체(240)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으며, 별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휴대장치(200)는 볼 마크(100)를 구조적으로 고정할 수 있는 홀더(280)를 더 포함한다. 이점에서, 홀더(280)는 눈에 보이지 않는 자력을 이용하여 볼 마크(100) 를 고정하는 자성체(240)와 구별된다.
홀더(280)는 본체(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 측부 홀더(282)와, 측부 홀더(282)로부터 중심을 향하여 연장된 상부 홀더(284)를 포함한다. 측부 홀더(282)와 상부홀더(284)는 서로 대체로 수직한 'ㄱ'자 형상을 가지나, 측부 홀더(282)와 상부 홀더(284)의 연결 부분은 라운딩처리된다.
홀더(280)는 원형인 본체(220)의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며, 홀더(280)의 중심각(홀더(280)의 곡률중심(the center of curvature)인 O점을 기준으로 측정한 각(θ))은 둔각(90˚보다는 크고 180˚보다는 작은 각)이다. 홀더(280)의 일측에는 본체(220)의 상부에 결합되는 몸체(120)가 본체(220)의 상부를 향하여 출입할 수 있는 통로(286)가 형성된다.
도 8a 내지 도 8c는 도 7의 휴대장치(200)의 작동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볼 마크(100)는 홀더(280)의 일측에 형성된 통로(286)를 통하여 본체(220)의 상부에 결합된다. 통로(286)를 통하여 볼 마크(100)를 본체(220)의 상부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볼 마크(100)는 본체(220)의 상부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본체(220)의 상부에 안착되며, 안착된 볼 마크(100)의 측면은 측부 홀더(282)에 의하여 지지되며, 볼 마크(100)의 상부면 가장자리는 상부 홀더(284)에 의하여 지지된다. 따라서, 홀더(280)에 의하여 본체(220)와 결합된 볼 마크(100)는 휴대시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특히, 홀더(280)의 중심각은 둔각이므로, 통로(286)와 인접하는 홀더(280)의 양 끝단은 볼 마크(100)가 외력에 의하여 본체(220)로부터 쉽게 분 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볼 마크(100)를 본체(220)로부터 분리할 때에는 결합할 때와 반대 방향으로 볼 마크(100)에 힘(F1)을 가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더(280)의 양 끝단은 볼 마크(100)가 본체(22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해지는 힘(F1)과 반대방향으로 일종의 힘(항력)(F2)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볼 마크(100)에 가해지는 힘(F1)이 항력(F2)에 비하여 클 때, 볼 마크(100)는 통로(286)를 통하여 본체(220)로부터 분리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볼 마크 유닛(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볼 마크 유닛(10')은 볼 마크(1100)와 휴대장치(120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 마크(1100)는 원판 형상을 하며, 골프공이 안착된 그린 상에 놓여져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한다. 볼 마크(1100)는 휴대장치(1200)에 탈착 가능하며, 사용자는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에 부착한 상태에서 휴대장치(1200)를 모자, 의류, 벨트, 장갑, 신발 등에 고정하여 볼 마크(1100)를 쉽게 휴대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볼 마크(1100) 및 휴대장치(1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0은 도 9의 휴대장치(1200)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Ⅰ-Ⅰ'을 따라 구성한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0의 휴대장치(1200)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휴대장치(1200)는 본체(1220), 자성체(1240), 그리고 고정구(1260)를 포함한다. 본체(1220)는 후술하는 몸체(1120)의 직경과 대체로 동일한 직경을 가진다. 본체(1220)의 상부에는 자성체(1240)가 실장되며, 본체(1220)의 배면에는 고정구(1260)가 연결된다. 자성체(1240)는 자력을 가진다. 자성체(1240)는 자력에 의하여 후술하는 볼 마크(1100)의 금속판(1160)과 부착되며, 부착된 금속판(1160)은 자력보다 큰 힘에 의하여 자성체(124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자성체(1240)의 상부에는 보호커버(1250)가 제공된다. 보호커버(1250)는 투명한 재질이며, 자성체(1240) 내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한다. 이외에도, 보호커버(1250)에 사진 또는 그림을 인쇄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체(1220)의 상부면에는 스토퍼(1280)가 제공된다. 스토퍼(1280)는 본체(122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볼 마크(100)를 휴대장치(200)에 결합시킬 때, 사용자는 볼 마크(1100)를 본체(1220)의 상부면(즉, 보호커버(1250)의 상부면)을 따라 슬라이딩시키며, 슬라이딩에 따라 볼 마크(1100)는 휴대장치(1200) 상의 원하는 위치에 결합된다. 이때, 볼 마크(1100)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원하는 위치를 넘어 벗어날 수 있으므로, 스토퍼(1280)는 볼 마크(1100)가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도록 볼 마크(110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밖에도, 휴대장치(1200)에 결합된 볼 마크(1100)가 휴대장치(1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스토퍼(1280)는 본체(1220)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원에 해당하는 부분에 제공되며, 볼 마크(1100)는 나머지 반원에 해당하는 부분을 통하여 휴대장치(1200)의 상부면에 슬라이딩 결합될 수 있다.
고정구(1260)는 본체(1220)의 일측에 일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220)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배치되며, 타단은 구속되지 않는다. 본체(1220)의 바닥면에는 돌기(1224)가 제공되며, 마찬가지로 본체(1220)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고정구(1260)의 일면에는 복수의 돌기들(1262)이 제공된다. 고정구(1260)는 외력에 의하여 본체(1220)와 결합된 일단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며, 탄성에 의하여 본래의 위치로 돌아올 수 있다. 이와 같은 원리를 이용하여, 대상물을 고정구(1260)의 돌기들(1262)과 본체(1220)의 바닥면(또는 돌기(1224)) 사이에 삽입시킴으로써 휴대장치(1200)를 대상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휴대장치(1200)를 골프경기시 사용하는 모자, 벨트, 의류, 신발 또는 장갑과 같은 대상물에 고정시킨 후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에 부착하면 볼 마크(1100)를 간편하게 휴대할 수 있다.
한편, 고정구(1260)는 탄성을 이용하여 휴대장치(1200)를 대상물에 고정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고정구(1260)가 탄성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구(1260)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구(1260) 상에는 본체(1220)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개구(1264)가 형성될 수 있다. 개구(1264)는 금속 재질인 고정구(1260)의 무게를 줄이기 위해 형성된다.
한편, 휴대장치(1200)의 제작시, 제작상의 편의를 위해 고정구(1260)를 본체(1220)와 일체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체(1220)도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은 도 9의 볼 마크(1100)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며, 도 14는 도 13의 인쇄회로기판(1134)에 제공된 발광회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 마크(1100)는 몸체(1120), 커버(1140), 발광장치(1130), 그리고 금속판(1160)을 포함한다.
몸체(1120)는 원통 형상의 용기이며, 하부가 개방되어 있다. 몸체(1120)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발광장치(1130)가 수용된다. 발광장치(1130)는 램프(132), 인쇄회로기판(1134), 리드 스위치(1136), 그리고 배터리(1138)를 포함한다.
인쇄회로기판(1134)에는 발광회로가 제공되며, 발광회로는 램프(1132)가 점멸될 수 있도록 램프(113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한다. 발광회로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1134)의 상부에는 램프(1132)가 연결된다. 램프(1132)는 인가된 전류를 이용하여 광을 발산하며, 소형전구 및 소형 LED(light emitting device)를 포함하는 다양한 발광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34)의 하부에는 램프(1132)에 연결되어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138)가 제공되며, 배터리(1138)는 탄성을 가진 단자(1139)에 의해 고정된다. 배터리(1138)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 소형 완구 및 시계 등에 사용되는 수은 전지를 포함하며, 이밖에도 다양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138)는 태양전지(solar battery)를 사용할 수 있다. 태양전지는 태양광을 반도체의 성질을 이용하여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것을 말하며, 태양전지를 이용하면 반영구적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태양전지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배터리(1138)의 일측에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1136)가 제공된다. 리드 스위치(1136)는 접점 부분이 비활성 가스를 충전한 유리관 속에 봉입되어 있으며, 외부로부터 자기력이 인가되면 접점이 접촉한다. 리드 스위치(1136)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인쇄회로기판(1134) 상에는 복수의 정렬홀들(1135)이 형성되며, 몸체(1120)의 내부에는 정렬홀들(1135)에 각각 대응되도록 복수의 정렬부재(1124)가 설치된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1134)은 몸체(1120) 내부의 정확한 위치에 정렬될 수 있으며, 정렬부재들(1124) 및 정렬홀들(1135)을 이용하여 인쇄회로기판(1134)이 몸체(1120)의 내부에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몸체(1120) 중 램프(1132)에 대응되는 부분에는 광통로(1122)가 형성된다. 따라서, 램프(1132)로부터 발산된 광은 광통로(1122)를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몸체(1120)의 상부에는 고무 재질의 커버(1140)가 제공된다. 커버(1140)는 광통로(1122)를 통하여 몸체(1120)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커버(1140)에 사진 또는 그림을 인쇄하여 시각적인 효과를 낼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134)이 몸체(1120)의 내부에 수납되면, 금속판(1160)을 이용하여 몸체(1120)의 내부(또는 하부)를 폐쇄한다. 금속판(160)은 자력에 의하여 휴대장치(200)의 자성체(240) 상부에 탈착가능하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발광회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발광회로 내에는 배터리(1138)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흐르며, 발광회로 내 에는 램프(1132), 리드 스위치(1136), 그리고 복수의 저항들(R1, R2) 및 트랜지스터(T1, T2)가 제공된다. 복수의 저항들(R1, R2) 및 트랜지스터들(T1, T2)은 램프(1132)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드 스위치(1136)는 볼 마크(1100)의 하부에 제공된 자성체(1240)로부터 자력이 인가되면 접점이 접촉되며, 자력이 제거되면 접점이 분리된다. 먼저, 자력이 인가되어 접점이 접촉되면, 트랜지스터(T1, T2)에 역(reverse)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트랜지스터(T1, T2)는 턴-오프(turn-off)되므로, 트랜지스터(T1, T2)를 통해 전류가 흐르지 않으며, 램프(1132)의 양단에는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다. 따라서, 램프(1132)는 광을 발산하지 않는다. 자력이 인가되는 경우는 볼 마크(1100)가 휴대장치(1200)에 결합된 상태를 말한다. 이때, 자성체(1240)는 볼 마크(1100)의 하부에 제공되므로, 리드 스위치(1136)에 자력이 충분히 인가되기 위해서는 리드 스위치(1136)를 자성체(1240)와 대향되는 인쇄회로기판(1134)의 하부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자력이 제거되어 접점이 분리되면, 트랜지스터(T1, T2)에 순(forward)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며 트랜지스터(T1, T2)는 턴-온(turn-on)되므로, 트랜지스터(T1, T2)를 통해 전류가 흐르며, 램프(1132)의 양단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따라서, 램프(1132)는 광을 발산한다. 자력이 인가되지 않는 경우는 볼 마크(1100)가 휴대장치(1200)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말한다.
즉, 상술한 바에 의하면,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에 결합하면 리드 스위치(1136)의 접점이 접촉되므로, 램프(1132)에 전류가 인가되어 램프(1132)가 광을 발산한다. 반대로,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로부터 분리하면 리드 스위치(136)의 접점이 분리되므로, 램프(1132)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아 램프(1132)가 광을 발산하지 않는다. 따라서, 볼 마크(1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로부터 분리하는 동작만으로 램프(1132)를 통해 광을 발산할 수 있으며, 볼 마크(1100)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볼 마크(1100)를 휴대장치(1200)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램프(1132)의 작동을 중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의하면, 골퍼는 볼 마크(10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야간경기시에도 볼 마크(100)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볼 마크(100)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휴대장치(200)를 이용하여 볼 마크(100)를 쉽게 휴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볼 마크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으며, 야간경기시에도 볼 마크를 어려움 없이 찾을 수 있다. 따라서, 볼 마크를 찾는 데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또한, 휴대장치를 이용하여 볼 마크를 쉽게 휴대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스위치를 동작하지 않고도 볼 마크를 휴대장치로부터 분리하거나 볼 마크를 휴대장치에 결합하는 동작만으로 램프의 점멸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34)

  1.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에 있어서,
    몸체;
    상기 몸체에 제공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램프; 및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램프 및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광통로를 제공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의 진행방향에 대한 상기 광통로의 횡단면적은 상부로 갈수록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광통로에 삽입되어 상기 광을 굴절시키는 광굴절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부가 개방된 원통 형상이고, 상기 몸체의 측벽에는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가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램프는 상기 몸체 내의 중앙에 고정설치되고, 상기 전원은 상기 몸체 내의 일측에 제공되며,
    상기 커버는 원판 형상으로 상기 몸체의 상부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7.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유닛에 있어서,
    몸체와, 상기 몸체 내의 공간에 실장되며 상기 몸체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는 램프, 그리고 상기 램프와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볼 마크; 및
    상기 몸체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고정구가 제공되는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 유닛은 상기 램프 및 상기 전원에 연결되어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공급되는 전류를 단속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 유닛은,
    상기 몸체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금속판; 및
    상기 휴대장치의 타측에 제공되며, 자성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과 탈착가능한 자성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10.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몸체와 상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결합시 상기 몸체의 하부에 위치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본체의 상부에 놓여진 상기 몸체의 측면 및 상부면의 가장자리 중 일부를 감싸고, 일측에 상기 몸체가 출입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되는 홀더를 구비하되,
    상기 홀더는 중심각이 둔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11. 볼 마크를 이용하여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의 상부를 향하여 광을 발산하도록 상기 볼 마크 상에 램프를 설치하고,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을 상기 볼 마크 상에 설치한 후,
    상기 전원으로부터 상기 램프에 전류를 공급하여 상기 램프가 광을 발산하는 상태에서 상기 그린 상에 안착된 상기 골프공의 위치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주기적으로 점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13.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에 있어서,
    램프;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력에 의해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및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수납되는 몸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몸체는 상기 램프로부터 발산된 광을 안내하는 광통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적어도 하나의 정렬홀을 가지며,
    상기 몸체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기 정렬홀에 삽입되는 정렬부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수납된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나란한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태양전지(solar batter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22.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유닛에 있어서,
    램프와, 상기 램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를 구비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인가된 자력에 의해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스위치, 그리고 상기 발광회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원을 포함하는 볼 마크; 및
    상기 볼 마크와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는 고정구가 제공되는 휴대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볼 마크는 상기 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금속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금속판과 대향되며, 자력에 의하여 상기 금속판과 탈착가능한 자성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상부면에 고정되며,
    상기 스위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부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 및
    상기 자성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보호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6.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의 상부에 놓여진 상기 볼 마크의 이동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7.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나란하게 제공되며,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고정구를 향하여 돌출된 제2 돌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29.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장치는 상기 자성체를 수납하는 공간이 제공되는 본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본체의 바닥면과 대향되는 개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30.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 마크 유닛.
  31. 램프를 구비하는 볼 마크를 이용하여 그린 상에 안착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램프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하는 발광회로에 스위치를 연결하고 상기 스위치를 이용하여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되,
    상기 스위치는 자력에 의하여 상기 발광회로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에 인가되는 상기 자력은 상기 볼 마크와 탈착가능한 휴대장치에 설치된 자성체에 의하여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볼 마크가 상기 휴대장치에 결합되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도록 상기 발광회로를 개방하며,
    상기 볼 마크가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분리되었을 때 상기 램프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상기 발광회로를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리드 스위치(lead switch)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1020070042601A 2006-12-19 2007-05-02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2008005712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205 2006-12-19
KR20060130205 2006-12-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124A true KR20080057124A (ko) 2008-06-24

Family

ID=39803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601A KR20080057124A (ko) 2006-12-19 2007-05-02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712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59B1 (ko) * 2007-08-24 2009-01-21 임성규 골프용 볼마크
WO2009028835A1 (en) * 2007-08-24 2009-03-05 Seong-Kyu Lim Ball marker for golf
KR200449142Y1 (ko) * 2009-05-14 2010-06-21 (주)솔라이트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KR200460478Y1 (ko) * 2009-09-23 2012-05-25 아이에스피(주) 향상된 시인성을 갖는 전자 볼마크
KR200460477Y1 (ko) * 2009-09-23 2012-05-29 아이에스피(주) 전자 볼마크
KR101924544B1 (ko) * 2017-11-30 2019-02-22 주식회사 이지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볼마커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9759B1 (ko) * 2007-08-24 2009-01-21 임성규 골프용 볼마크
WO2009028835A1 (en) * 2007-08-24 2009-03-05 Seong-Kyu Lim Ball marker for golf
US7922605B2 (en) 2007-08-24 2011-04-12 Seong-Kyu Lim Ball marker for golf
KR200449142Y1 (ko) * 2009-05-14 2010-06-21 (주)솔라이트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KR200460478Y1 (ko) * 2009-09-23 2012-05-25 아이에스피(주) 향상된 시인성을 갖는 전자 볼마크
KR200460477Y1 (ko) * 2009-09-23 2012-05-29 아이에스피(주) 전자 볼마크
KR101924544B1 (ko) * 2017-11-30 2019-02-22 주식회사 이지텍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골프볼마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26967B2 (en) Headlight devices and methods
US7347758B2 (en) Illuminated flying disc
KR100879759B1 (ko) 골프용 볼마크
KR20080057124A (ko)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US11805836B2 (en) Headlamp having a detachable flashlight
US5303133A (en) Miniature electrical lighting device
ES2720510T3 (es) Aparato de luz de bombero y métodos
US20080198585A1 (en) Purse illumination assembly
WO2006020687A1 (en) Led utility light
JP2011036052A (ja) 充電器
US20190154242A1 (en) Sliding light switch with integrated light source
US11802681B2 (en) Lighting system with detachable flashlight head
JP2004247298A (ja) 旋回可能な光学系を備える懐中電燈
KR20120025115A (ko) 골프용 볼 마커 및 마커 홀더
JP2005310496A (ja) 照明装置
US20060256574A1 (en) Personal illumination and safety device
KR101381688B1 (ko) 비치볼용 발광장치
KR20130003498U (ko) 엘이디 작업등
US7604366B1 (en) Portable reading lamp
CN218972450U (zh) 一种组合式夜灯
KR200449142Y1 (ko)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KR101419899B1 (ko) 줄자타입 랜턴
US11131448B1 (en) Movement activated illumination device
CN116892692A (zh) 双电源光源
KR20210101868A (ko) 전자식 호루라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