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0477Y1 - 전자 볼마크 - Google Patents

전자 볼마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0477Y1
KR200460477Y1 KR2020090012534U KR20090012534U KR200460477Y1 KR 200460477 Y1 KR200460477 Y1 KR 200460477Y1 KR 2020090012534 U KR2020090012534 U KR 2020090012534U KR 20090012534 U KR20090012534 U KR 20090012534U KR 200460477 Y1 KR200460477 Y1 KR 2004604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emitting diode
main body
green
view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25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3209U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아이에스피(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에스피(주) filed Critical 아이에스피(주)
Priority to KR20200900125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0477Y1/ko
Publication of KR20110003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3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04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047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30Markers
    • A63B57/353Golf ball position mark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7/00Golfing accessories
    • A63B57/20Holders, e.g. of tees or of balls
    • A63B57/207Golf ball position marker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63B2209/08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10/00Space saving
    • A63B2210/50Size reducing arrangements for stowing or trans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3Relative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80Special sensors, transducers or devices therefor
    • A63B2220/801Contact switch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15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identification means that can be read by electronic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전자 볼마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린에 위치되어 볼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본체에 고휘도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발광구조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통해 안정된 시인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그린의 경사를 계측하는 수평계를 설치하여 그린의 경사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조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및 점멸상태가 제어되며, 제어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상태가 제어되는 한편,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볼마크에 관한 것이다.
전자 볼마크, 고정클립, 본체, 발광 다이오드, 제어부

Description

전자 볼마크{Electronic ball mark}
본 고안은 전자 볼마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린에 위치되어 볼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본체에 고휘도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발광구조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통해 안정된 시인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그린의 경사를 계측하는 수평계부를 설치하여 그린의 경사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조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및 점멸상태가 제어되며, 제어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상태가 제어되는 한편,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볼마크에 관한 것이다.
퍼팅그린은, 골프 시합도중 볼을 손으로 직접 집어 올리거나 만질 수 있으며 닦을 수도 있는 유일한 지역이다.
퍼팅그린 위에서의 퍼팅은 매우 민감하고 고도의 정교성과 집중력이 요구되므로 플레이어는 볼마크를 골프공 바로 뒤쪽에 위치시키고, 그 골프공을 집어서 골프공에 묻은 흙이나 다른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닦을 수 있고, 또 다른 골퍼의 퍼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볼마크를 하고 골프공을 치워 주기도 한다.
이후, 본인 차례가 되면 골퍼는 다시 볼마크 위치에 골프공을 재 위치시켜, 경기를 속행하게 된다.
그런데, 퍼팅그린 위에서 볼과 홀컵 사이가 편평한 지면으로 유지되면 퍼팅하는 어려움이 많이 줄어들겠지만 홀컵에 이르는 그린은 다양한 형태의 골곡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볼과 홀컵간의 그린라이(green lie)를 정확하게 읽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는, 정확하게 그린라인을 읽어야만 퍼팅시 볼의 진행방향과 힘조절 정도를 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정확한 그린라인을 읽기 위해서 플레이어들은 통상 볼의 위치를 볼마크로 마킹하고 볼마크에 반대되는 홀컵 뒷쪽에서 볼마크의 위치를 확인하는 행동을 자주 하는데, 이때 볼마크가 홀컵에 가까운 지역(예컨대 1?3미터 정도)에 있으면 그 볼마크를 쉽게 찾을 수 있으나 볼마크가 홀컵에서 10미터 이상 떨어져 있으면 그 볼마크를 찾는데에 별도의 신경을 써야한다.
또한, 햇살이 너무 강해서 볼마크 위치가 파악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고 날씨가 흐리거나 새벽이나 해질녁 또는 야간조명 아래서도 볼마크를 찾는데 애로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당 분야에서는 조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과 점멸이 되고 자석 검출 제어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과 점멸되는 안정된 시인성을 갖는 볼마크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린 위의 자외선, 온도, 골프자의 스트레스 체크가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와 더불어, 종래에는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할 수 있는 전용의 수단이 마련되지 아니하여, 통상 골퍼들은 별도의 수평계를 휴대하고 다니다가 이를 통해 그린의 경사를 측정하고 있는 관계로,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이 발생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목적은, 그린에 위치되어 볼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본체에 고휘도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구조를 마련하여 상기 발광구조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통해 안정된 시인성을 갖도록 구성한 것으로, 특히 그린의 경사를 계측하는 수평계를 설치하여 그린의 경사도의 측정이 가능하고, 조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및 점멸상태가 제어되며, 제어부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상태가 제어되는 한편,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를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한 전자 볼마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고안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자 볼마크는,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에 탈부착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에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설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설된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에 요구되는 전류가 축전된 배터리;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된 회로의 단선 또는 연결 여부를 제어부가 각각 배설된 형태로 구성되어, 골퍼는 투시창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통해 그린에 놓여진 본체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클립에는 자력을 생성하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어부에는 자력의 제공 여부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스위치가 설치되어, 골퍼는 고정클립의 자석에 본체를 붙여 고정하면 제어부는 비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단선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고, 고정클립의 자석에 붙은 본체를 탈리하면 제어부는 비접촉식 스위치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연결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함으로써, 고정클립과 본체의 탈부착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과 점멸이 제어되도록 구성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케이스 내에 강자성 단자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단자가 각각 배설된 형태로 이루어져, 비접촉식 스위치에 자력이 제공되면 강자성 단자는 굽힙하여 연결단자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회로를 단선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고, 비접촉식 스위치에 자력이 제공되지 아니하면 강자성 단자는 전개하여 연결단자에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회로를 연결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의 상부에,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계부가 적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평계부는 투시창을 바닥면으로 하는 투명조와; 상기 투명조에 기포를 생성하여 주입되는 액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조의 상부면에는, 그린의 경사에 따라 변위되는 기포의 좌표를 표시하는 경사 측정 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계부는 투시창을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조도가 상승되고, 이 상태에서 골퍼는 그린의 경사의 측정에 요구되는 기포와 경사 측정눈금을 육안으로 안정되게 식별하여 그린의 경사를 인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에는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제어부는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개수와 점등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투시창의 상부에는 내벽에 V커팅부가 형성된 확산링이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을 통해 발산되는 빛은 확산링의 V커팅부를 투과하면서 넓게 확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투시창의 상부에는 공지의 온도 체크시트와, 자외선 체크시트와, 스트레스 체크 시트가 부가하여 접합되어,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의 측정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에 고휘도의 빛을 발산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수용시켜, 발광 다이오드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의해 그린에 놓여진 본체의 안정된 위치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한 전자 다용도 볼마크를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볼마크를 구현함에 있어, 제어부에 비접촉식 스위치를 마련하여 스위치의 수조작 등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을 위한 별도의 행위 없이도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과 소등이 간편하게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또 스위치가 본체에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여 안정된 방수상태의 확보를 통해 장치의 내구성의 확보를 도모하고 있다.
특히, 본 고안에서는 수평계부를 본체의 상부에 적층되게 형성하여, 상기 발광 다이오드에서 발산된 빛에 의해 수평계부에 형성된 기포와 경사 측정눈금의 육 안 식별이 용이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상기 수평계부의 외측에 내벽에 V커팅 가공된 확산링을 부가하여 빛이 확산링을 통해 환형으로 발산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미려한 외관과 보다 향상된 식별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휴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단면 구성, 및 고정클립과 본체의 탈부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A'부분을 각각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1)는, 골프 운동에 있어 그린의 일지점에 위치된 골프공의 위치를 대신하여 표식하는 기구로, 일반적으로 골퍼가 모자(C) 등지에 고정하여 휴대하고 다니다가 골프공이 위치된 그린의 일지점에 위치시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식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볼마크(1)는, 도 1과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 이 일반적으로 착용자의 모자(C)나 의류에 고정되는 고정클립(10)과, 이 고정클립(10)에 탈부착되는 본체(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고정클립(10)에 자력을 생성하는 자석(11)을 설치하고 본체(20)는 자석에 달라 붙는 강자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이들 고정클립(10)과 본체(20) 사이에 형성되는 자력에 의해 이들이 탈부착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0)에 강자성체인, 철 분말이나 철편(20a)을 설치하여, 자력에 달라 붙는 강자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고정클립(10)에는 네오티늄 자석(11)을 설치하고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전자 볼마크(1)를 구현함에 있어, 그린의 일지점에 안착되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본체(10)가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하여, 향상된 시인성을 갖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본체(10)의 상부에 투명 또는 반투명의 투시창(21)을 형성하고 이 본체(2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22a)가 배설된 기판(22)과; 상기 기판(22)에 배설된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에 요구되는 전류를 축전한 배터리(26);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22a)와 배터리(26) 사이에 형성된 회로의 단선 또는 연결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23)를 각각 배설하고 있다.
도면을 보면 상기 기판(22)의 가장자리에는 4개의 발광 다이오드(22a)가 등각으로 설치되어, 조도 센서에 의해 4개의 발광 다이오드 (22a)가 표식함과 동시에 투시창(21)을 통해 빛을 발산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발광 다이오드(22a)들로부터 발산되는 빛에 의해 골퍼는 그린에 놓여진 본체(20)를 육안으로 쉽게 식 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본체(20)에 형성된 제어부(23)에 자력의 제공 여부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스위치(24)를 설치하고, 제어부(23)는 이를 통해 발광 다이오드(22a)의 전류 공급량과 공급 여부를 제어하여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개수나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즉, 골퍼가 고정클립(10)의 자석(11)에 본체(20)를 붙여 고정하면 제어부(23)는 비접촉식 스위치(24)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발광 다이오드(22a)와 배터리(26)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단선시켜 발광 다이오드(22a)를 점멸한다.
이와 반대로 고정클립(10)의 자석(11)에 붙은 본체(20)를 탈리하면 제어부(23)는 비접촉식 스위치(24)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22a)와 배터리(26)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연결시켜 발광 다이오드(22a)를 점등함으로써, 고정클립(10)과 본체(20)의 탈부착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일 예로, 상기 발광 다이오드(22a)와 배터리(26) 사이에 형성되어 자력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제어부(23)로 하여금 회로의 연결 또는 단선을 제어하도록 하는 비접촉식 스위치(24)를, 케이스(24a) 내에 강자성 단자(24b)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단자(24c)가 각각 배설된 형태로 구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강자성 단자(24b)는 평상시에는 일자형으로 전개되려는 탄성을 가지며, 자기력이 제공되면 단부는 탄력적으로 굽힘하여 연결단자(24c)의 단부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비접촉식 스위치(24)는, 도 3a와 도 4a와 같이 고정클립(10)에 본체(20)가 고정되어 자력이 제공되면 강자성 단자(24b)는 탄력적으로 굽힙하여 연결단자(24c)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23)는 회로를 단선하여 전류 공급을 차단함으로써 발광 다이오드(22a)를 점멸하고, 도 3b와 도 4b와 같이 고정클립(10)에서 본체(20)가 탈리되어 비접촉식 스위치(24)에 자력이 제공되지 아니하면 강자성 단자(24b)는 일자로 탄성 복원하여 연결단자(24c)에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23)는 회로를 연결하여 발광 다이오드(22a)를 점등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볼마크(1)는,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상태의 제어를 위한 별도의 수 조작 없이 휴대를 위해 본체(20)를 고정클립(10)에 고정하면 발광 다이오드(22a)는 점멸되고, 사용자가 그린에 위치된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기 위해 본체(20)를 고정클립(10)에서 이탈시키게 되면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볼마크(1)는, 점등된 발광 다이오드(22a)에서 발산된 빛에 의해 안정된 시인성을 가지고, 또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을 위한 별도의 행위가 요구되지 아니하므로 조작의 용이성이 겸비할 뿐더러, 본체(20)에 비접촉식 스위치(24)가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므로, 본체는 안정된 방수상태를 확보하여 우천시에도 안정된 내구성을 겸비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어부(23)에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25)를 마련하여, 자석 검출 제어용 (23)은 조도 센서(25)를 통해 주위 조도를 비교 측정하고, 이 측정된 주위 조도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22a)에 공급되는 전류 량을 조절하여 발광 다이오드(22a)의 조도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조도 센서(25)에 의해 감지된 주위 조도에 따라 제어부(23)이 발광 다이오드(22a)의 조도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과 점멸이 구현되기도 하며, 항시 발광 다이오드(22a)에 최대 전류량을 공급하지 아니하고 주위 조도에 따라 능동적으로 전류 공급량이 제어되므로, 배터리(26)에 저장된 전류 소모량이 감소될 수 있고, 또 불필요하게 발광 다이오드(22a)가 밝은 빛을 발산함에 따른 눈부심의 발생이 해소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발광 다이오드(22a)에서 발산된 빛이 투과되는 투시창(21)의 상부에, 그린의 경사를 측정하는 수평계(30)를 적층되게 설치하여, 골퍼가 그린의 본 장치를 통해 경사를 안정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계(30)는 투시창(21)을 바닥면으로 하는 투명조(31)와; 상기 투명조(31)에 기포(32a)를 생성하여 주입되는 액체(32)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조(31)의 상부면에는 그린의 경사에 따라 변위되는 기포의 좌표를 표식하는 경사 측정눈금(33)이 형성된다. 상기 투명조(31)에 투입되는 액체(32)는 통상 수은이 채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평계(30)를 투시창(21)의 상부에 형성하면, 상기 수평계(30)는 발광 다이오드(22a)의 점등에 의해 생성되어 투시창(21)을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골퍼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린의 경사 측정에 요구되는 기포(32a)와 경사 측정눈금(33)을 안정되게 육안 식별할 수 있어서, 야간에 별도 휴대하고 있던 수평계에 랜턴 등을 통해 빛을 비추는 행위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시창(21)의 상부에 온도 체크 시트(51)와, 자외선 체크 시트(52)와, 스트레스 체크 시트(53)가 부가하여 접합하여,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이들 온도 체크 시트와, 자외선 체크 시트와, 스트레스 체크 시트는 공지의 물품이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시트(51, 52, 53)를 투시창(21)의 상부에 접합하여, 골퍼가 온도와 자외선과 스트레스의 체크가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투시창(21)의 상부에는 내벽에 V커팅부(41)가 형성된 확산링(40)을 설치하여,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투시창(21)을 통해 발산되는 빛이 V커팅부(41)를 투과하면서 넓게 확산되도록 구성하고 있으며, 상기 V커팅부(41)를 통한 빛의 확산에 의해 결과적으로 향상된 외관성과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외형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휴대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며,
도 3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단면 구성, 및 고정클립과 본체의 탈부착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서 A부분과 A'부분을 각각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며,
도 5는 상기 도 3에서 B부분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것이고,
도 6은 본 고안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전자 볼마크의 평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전자 볼마크
10. 고정클립 20. 본체
20a. 강자성체
21. 투시창 22. 기판
22a. 발광 다이오드 23. 제어부
24. 비접촉식 스위치 24a. 케이스
24b. 강자성 단자 24c. 연결단자
25. 조도센서 26. 배터리
30. 수평계 31. 투명조
32. 액체 32a. 기포
33. 경사 측정눈금
40. 확산링 41. V커팅부
51. 온도 체크 시트 52. 자외선 체크 시트
53. 스트레스 체크 시트

Claims (7)

  1. 고정클립과, 상기 고정클립에 탈부착되는 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부에 투시창이 형성된 본체 내부에, 하나 이상의 발광 다이오드가 배설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배설된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에 요구되는 전류가 축전된 배터리; 및 상기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된 회로의 단선 또는 연결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각각 배설된 형태로 구성되어, 골퍼는 투시창을 통해 발산되는 빛을 통해 그린에 놓여진 본체의 위치를 정확히 식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투시창의 상부에는 온도 체크 시트와, 자외선 체크 시트와, 스트레스 체크 시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부가하여 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클립에는 자력을 생성하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본체에 형성된 제어부에는 자력의 제공 여부를 측정하는 비접촉식 스위치가 설치되어, 골퍼는 고정클립의 자석에 본체를 붙여 고정하면 제어부는 비접촉식 스위치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단선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고, 고정클립의 자석에 붙은 본체를 탈리하면 제어부는 비접촉식 스위치에 의해 발광 다이오드와 배터리 사이에 형성되는 회로를 연결시켜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함으로써, 고정클립과 본체의 탈부착을 통해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및 점멸이 제어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비접촉식 스위치는, 케이스 내에 강자성 단자와 이와 인접하게 배치된 연결단자가 각각 배설된 형태로 이루어져, 비접촉식 스위치에 자력이 제공되면 강자성 단자는 굽힙하여 연결단자에 밀착되고 이를 통해 자석 검출제어부는 회로를 단선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점멸하고, 비접촉식 스위치에 자력이 제공되지 아니하면 강자성 단자는 전개하여 연결단자에서 이격되고 이를 통해 제어부는 회로를 연결하여 발광 다이오드를 점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상부에, 그린의 경사도를 측정하는 수평계부가 적층하여 설치되며, 상기 수평계부는 투시창을 바닥면으로 하는 투명조와; 상기 투명조에 기포를 생성하여 주입되는 액체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투명조의 상부면에는, 그린의 경사에 따라 변위되는 기포의 좌표를 표시하는 경사 측정눈금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계부는 투시창을 통해 발산되는 빛에 의해 조도가 상승되고, 이 상태에서 골퍼는 그린의 경사의 측정에 요구되는 기포와 경사 측정눈금을 육안으로 안정되게 식별하여 그린의 경사를 인지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에는 주위 조도를 측정하는 조도센서가 마련되어, 상기 조도센서를 통해 측정된 조도값에 따라 제어부는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개수와 점등 밝기를 조절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의 상부에는 내벽에 V커팅부가 형성된 확산링이 설치되어, 상기 투시창을 투과한 빛이 확산링의 V커팅부를 투과하면서 넓게 확산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볼마크.
KR2020090012534U 2009-09-23 2009-09-23 전자 볼마크 KR2004604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34U KR200460477Y1 (ko) 2009-09-23 2009-09-23 전자 볼마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2534U KR200460477Y1 (ko) 2009-09-23 2009-09-23 전자 볼마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209U KR20110003209U (ko) 2011-03-30
KR200460477Y1 true KR200460477Y1 (ko) 2012-05-29

Family

ID=44208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2534U KR200460477Y1 (ko) 2009-09-23 2009-09-23 전자 볼마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047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9456A1 (en) * 2015-10-01 2017-04-06 Trojan Daniel G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KR101904158B1 (ko) 2017-08-22 2018-10-04 정경우 배터리 탈부착형 저전력 led 볼마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124A (ko) * 2006-12-19 2008-06-24 박동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20080005443U (ko) * 2007-05-14 2008-11-19 장재필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KR100879759B1 (ko) 2007-08-24 2009-01-21 임성규 골프용 볼마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7124A (ko) * 2006-12-19 2008-06-24 박동열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볼 마크 및 이를 구비하는 볼마크 유닛, 골프공의 위치를 표시하는 방법
KR20080005443U (ko) * 2007-05-14 2008-11-19 장재필 수평계가 부착된 골프용 볼마크
KR100879759B1 (ko) 2007-08-24 2009-01-21 임성규 골프용 볼마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59456A1 (en) * 2015-10-01 2017-04-06 Trojan Daniel G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US20170120119A1 (en) * 2015-10-01 2017-05-04 Daniel G. Trojan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KR101904158B1 (ko) 2017-08-22 2018-10-04 정경우 배터리 탈부착형 저전력 led 볼마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3209U (ko) 2011-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1201583B2 (en) Ball marker for golf
TWI435058B (zh) Distance measuring device
FR2897951A1 (fr) Detecteur d'objet
KR200460477Y1 (ko) 전자 볼마크
KR101280236B1 (ko) 발광장치와 발광장치수납홈을 구비한 비치볼
CA2971871C (en) Method of illuminating ornament
CN100567917C (zh) 体温计
KR101748839B1 (ko) 스마트 골프 깃발
KR200460478Y1 (ko) 향상된 시인성을 갖는 전자 볼마크
US11097173B1 (en) Light source illuminating the rim, net and backboard of a basketball system
KR20120094717A (ko) 젖병거치대
KR10113444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되는 골프 폴대 및 홀컵
KR200449142Y1 (ko) Led가 장착된 골프용 볼 마커
US20170120119A1 (en) Golfing accessory having improved visibility and functionality
KR102514688B1 (ko) 파크골프클럽의 타점 표시장치
CN220821015U (zh) 一种智能导览标识牌
JP3175740U (ja) 照明付き水平器
KR200434920Y1 (ko) 시침을 이용한 시간 조명시계
KR20090008023U (ko) 볼마커 형태의 기울기 표시장치
KR20120001900U (ko) 발광다이오드를 활용한 거리표시목
KR200413606Y1 (ko) 다양한 형태로 수온을 표시하는 세면대
KR0132729Y1 (ko) 물 보충 표시기능을 갖는 화분
KR200445921Y1 (ko) 시계
CN206258106U (zh) 一种便携式立尺测量装置
JP3063293U (ja) 照明つき水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