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9899B1 - 줄자타입 랜턴 - Google Patents

줄자타입 랜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9899B1
KR101419899B1 KR1020120148466A KR20120148466A KR101419899B1 KR 101419899 B1 KR101419899 B1 KR 101419899B1 KR 1020120148466 A KR1020120148466 A KR 1020120148466A KR 20120148466 A KR20120148466 A KR 20120148466A KR 101419899 B1 KR101419899 B1 KR 101419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power
pressing
state
mounting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8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79015A (ko
Inventor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호 filed Critical 이동호
Priority to KR1020120148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9899B1/ko
Publication of KR201400790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790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9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9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1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 F21L1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pable of hand-held use, e.g. inspection lamps
    • F21L14/026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out a self-contained power source, e.g. for mains connection capable of hand-held use, e.g. inspection lamps having a linear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8Details of refle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2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 F21S4/24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flexible or deformable, e.g. into a curved shape of ribbon or tape form, e.g. LED ta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넓은 범위나 좁은 범위에 적합한 조명빛을 제공할 수 있는 줄자타입 랜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일측으로 출입홀(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12)이 형성된 바디(10)와,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 상태로 출입홀(11)을 통해 바디(1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배출되어서 배출된 길이만큼 조명빛을 제공하는 조명부재(20)와, 조명부재(20)가 조명되도록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30)와, 바디(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전원연결부(30)를 가압하여서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명부재(2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40) 및 스토퍼(40)가 전원연결부(3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조명부재(20)를 바디(10)의 장착공간(12)으로 회수시키는 회수수단(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줄자타입 랜턴{Tape Measure Type Lantern}
본 발명은 넓은 범위나 좁은 범위에 적합한 조명빛을 제공할 수 있는 줄자타입 랜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랜턴 또는 손전등은 밤을 밝혀주는 것으로 야간에 반드시 필요한 원초적인 생활 도구이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에선 정전과 같이 빛이 없는 상황을 대비해 촛불이나 랜턴 또는 손전등을 기본적으로 1개 이상 비치해 두고 있다.
그리고 근래에는 가족중심의 오토캠핑 문화가 확산 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캠핑 중 자연히 찾아오는 어두운 밤을 밝혀주는 랜턴 또는 전등을 필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랜턴은 넓은 공간에 많은 범위를 밝히기 위해선 그만큼 부피가 커져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부피가 커지는 만큼 휴대에 불편한 문제점도 있으며, 적은 범위만 밝혀야 하는 경우에도 불필요한 전력 소모를 야기 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야간에 넓은 범위와 좁은 범위에 밝기가 다른 조명빛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큰 크기의 랜턴과 작은 크기의 랜턴을 각각 구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구입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실용신안등록출원 20-1999-0015343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넓은 범위나 좁은 범위에 적합한 조명빛을 제공할 수 있는 줄자타입 랜턴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줄자타입 랜턴은, 일측으로 출입홀(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12)이 형성된 바디(10)와,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 상태로 출입홀(11)을 통해 바디(1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배출되어서 배출된 길이만큼 조명빛을 제공하는 조명부재(20)와, 조명부재(20)가 조명되도록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30)와, 바디(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전원연결부(30)를 가압하여서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명부재(2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40) 및 스토퍼(40)가 전원연결부(3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조명부재(20)를 바디(10)의 장착공간(12)으로 회수시키는 회수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바디(10)는 일부분이나 전체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조명부재(20)는 장방형이면서 플랙시블한 띠(21)와, 띠(21)의 전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다수의 엘이디(22) 및 엘이디(22)들의 사이에 도통상태로 연결되면서 띠(21)에 일측면이 노출상태로 고정되는 플랙시블한 심선(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조명부재(20)는 띠(21)의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엘이디(22)들의 양측에 도통상태로 연결되면서 띠(21)의 단부에서 심선(23)과 반대되는 방향이면서 'U'형태로 배선되는 추가 심선(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띠(21)는 표면에 엘이디(22)에서 발산되는 조명빛을 반사하도록 반사도료가 도포되거나 반사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띠(21)는 단부에 바디(10)의 출입홀(1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팁(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심선(23)은 엘이디(22)들이 연결된 상태로'U'형태로 띠(2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전원연결부(30)는 외압에 의해 조명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1)와, 가압부재(31)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어 조명부재(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접속단자(32)와, 접속단자(32)들에 각기 연결되는 전원케이블(33) 및 전원케이블(33)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회수수단(50)은 일단이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고정된 상태로 조명부재(20)의 단부에 연결되는 감겨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줄자타입 랜턴은, 넓은 범위나 좁은 범위에 적합한 조명빛을 제공할 수 있어서, 여러 종류의 랜턴을 각기 구비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명부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만큼의 밝기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명부위를 바디 내에 수용시켜서 간편하게 소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엘이디가 점등되기 전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엘이디가 점등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엘이디가 1열로 배열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엘이디가 2열로 배열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엘이디를 점등시키는 가압스위치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줄자타입 랜턴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줄자타입 랜턴은, 바디(10)와, 조명부재(20)와, 전원연결부(30)와, 스토퍼(40) 및 회수수단(50)을 포함한다.
바디(10)는 일측으로 출입홀(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12)이 형성된다. 또한, 바디(10)는 일측면에 후술되는 이동부재(41)가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장방형으로 관통된 가이드홀(13)이 형성되고, 가이드홀(13)의 일측에서 장착공간(12)으로 돌출되어서 이동부재(41)의 일측에서 이격되게 위치되는 복수의 브라켓(14)이 형성되고, 브라켓(14)들에는 후술되는 돌기(42)가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돌기홈(15)이 각기 형성된다.
조명부재(20)는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 상태로 출입홀(11)을 통해 바디(1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배출되어서 배출된 길이만큼 조명빛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명부재(20)는 장방형이면서 플랙시블한 띠(21)와, 띠(21)의 전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다수의 엘이디(22) 및 엘이디(22)들의 사이에 도통상태로 연결되면서 띠(21)에 일측면이 노출상태로 고정되는 플랙시블한 심선(23)을 포함한다.
여기서, 띠(21)는 플랙시블하면서 편평한 합성수지로 된 밴드로 구성되면서, 단부에 바디(10)의 출입홀(1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팁(2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띠(21)는 표면에 엘이디(22)에서 발산되는 조명빛을 반사하도록 반사도료가 도포되거나 반사필름이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심선(23)은 띠(21)의 표면에 부착되어서 고정되는 플랙시블한 회로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회로패턴은 등간격으로 이격되면서 전체적으로 'U'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엘이디(22)들의 +단자와 -단자가 서로 이격된 심선(23)들의 단부에 납땜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신선(23)들과 엘이디(22)들은 하나의 라인형태로 연결된다.
이와 달리, 띠(21)는 플랙시블하면서 편평한 전선 즉 Flexible Flat Cable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일단에는 걸림팁(25)이 형성되고, 타단에는 후술되는 스파이럴스프링의 일단에 연결된다. 그리고, 전선의 일측면의 피복을 제거하여 다수의 심선(23)들이 외부에 노출되게 한 상태에서 전선의 걸림팁(25)쪽에 위치된 2개의 심선(23)들의 단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즉, 심선(23)들은 2개, 4개, 6개 등의 짝수로 단부가 연결된다. 이어서, 심선(23)들의 표면에 엘이디(22)의 +단자와 -단자를 도통상태로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일단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심선(23)들의 타단은 연결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띠(21)에는 심선(23)과 엘이디(22)가 1열로 나란히 배열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엘이디(22)들이 1열로 되면서 심선(23)은 'U'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엘이디(22)들이 2열로 되면서 심선(23)은 'U'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전원연결부(30)는 조명부재(20)가 조명되도록 전원을 연결한다. 이러한, 전원연결부(30)는 외압에 의해 조명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1)와, 가압부재(31)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어 조명부재(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접속단자(32)와, 접속단자(32)들에 각기 연결되는 전원케이블(33) 및 전원케이블(33)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4)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가압부재(31)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편(31a)과, 돌출편(31a)에 각기 관통된 상태로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기립되는 가이드샤프트(31b)와, 가이드샤프트(31b)에 끼워진 상태로 돌출편(31a)에 탄력지지되는 탄성체(3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31)는 외압이 가해지는 경우 탄성체(31c)를 가압하면서 가이드샤프트(31b)를 따라 수직으로 하강하게 되고, 가압이 해제되는 경우 탄성체(31c)의 탄력에 의해 가이드샤프트(31b)를 따라 수직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압부재(31)가 후술되는 스토퍼(40)에 의해 가압되는 경우 접속단자(32)들이 엘이디(22)의 양측에 연결된 심선(23)들에 각기 도통상태로 접촉되므로 전원부(34)에서 공급되는 정격전원이 심선(23)을 통해 엘이디(22)에 인가되어 엘이디(22)가 점등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서와 같이 가압부재(31)의 접속단자(32)들이 심선(23)에 접촉되어 도면에서 왼쪽(배출되는 띠의 단부 측)의 엘이디(22)들은 폐곡선형태로 도통상태가 되어서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 모두 점등된다. 그리고, 도면에서 오른쪽의 엘이디(22)들은 심선의 양단이 개방되어서 개곡선형태로 되어 전원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으므로 점등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바디(10)에서 띠(21)를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시킨 상태로 가압부재(31)로 가압시켜서 엘이디(22)들을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으므로, 넓은 범위나 좁은 범위에 용이하게 조명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9에서와 같이 전원부(34)는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되어 입력되는 전원이 충전되는 배터리로 구성되거나, 외부전원이 연결되는 전원잭 또는 USB접속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원잭 또는 USB접속구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전원을 배터리로 충전시키도록 구성되거나 엘이디(22)에 직접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40)는 바디(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전원연결부(30)를 가압하여서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명부재(2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킨다. 이러한, 스토퍼(40)는 가이드홀(13)에 삽입된 상태로 슬라이딩되어서 전원연결부(30)의 가압부재(31)를 가압하기 위한 이동부재(41)가 하부로 돌출되고, 이동부재(41)의 외측면에는 브라켓(14)의 돌기홈(15)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돌기(42)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스토퍼(40)를 가압하여서 이동시키는 경우 이동부재(41)의 돌기(42)가 브라켓(14)의 돌기홈(15)에 고정되어, 전원연결부(30)의 가압부재(31)를 가압한 상태가 유지된다.
회수수단(50)은 스토퍼(40)가 전원연결부(3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조명부재(20)를 바디(10)의 장착공간(12)으로 회수시킨다. 이러한, 회수수단(50)은 감겨지는 탄성부재로써 스파이럴스프링이나 고무줄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스파이럴스프링은 일단이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고정된 상태로 조명부재(20)의 단부에 연결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스토퍼(40)의 가압을 해제하는 경우 스파이럴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조명부재(20)가 바디(10)의 장착공간(12)으로 회수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토퍼(40)를 해제시킨 상태에서 바디(10)에서 조명부재(20)를 소정길이 만큼 잡아당겨서 돌출시킨다. 이때, 회수수단(50)은 압축된다. 이어서, 스토퍼(40)를 가압하면 이동부재(41)가 전원연결부(30)의 가압부재(31)를 가압하므로 가압부재(31)가 조명부재(20)의 띠(21)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스토퍼(40)의 돌기(42)가 돌기홈(15)에 고정되므로 가압부재(31)가 띠(21)를 가압하는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된다. 이때, 가압부재(31)의 접속단자(32)들이 조명부재(20)의 심선(23)들에 각기 도통상태로 접촉되므로 전원부(34)에서 공급되는 정격전원이 심선(23)을 통해 엘이디(22)에 인가되어 엘이디(22)가 점등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디(10)는 일부분이나 전체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부재(20)는 띠(21)의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엘이디(22)들의 양측에 도통상태로 연결되면서 띠(21)의 단부에서 심선(23)과 반대되는 방향이면서 'U'형태로 배선되는 추가 심선(24)을 더 포함한다.
따라서, 띠(21)가 바디(10)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도 스토퍼(40)의 작동에 의해 가압부재(31)가 띠(21)를 가압하여 접속단자(32)들이 추가 심선(24)의 양측에 접속되는 경우 띠(21)의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약1~6개의 엘이디(22)들이 점등되게 된다. 이때, 점등된 엘이디(22)들에서 발산되는 조명빛은 투명체로 구성된 바디(10)의 외측으로 발산되므로, 띠(21)를 바디(10)의 외측으로 배출시키지 않은 상태에서도 조명으로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스토퍼(40)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서 가압부재(31)의 가압을 해제하면 점등된 엘이디(22)들이 소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정길이 만큼 돌출된 상태로 조명빛을 제공하므로 넓은 범위나 좁음 범위에 적합하게 조명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가정이나 야외에서 편리하게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디 11 : 출입홀
20 : 조명부재 21 : 띠
22 : 엘이디 23 : 심선
30 : 전원연결부 31 : 가압부재
32 : 접속단자 33 : 전원케이블
34 : 전원부 40 : 스토퍼
50 : 회수수단

Claims (9)

  1. 일측으로 출입홀(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장착공간(12)이 형성된 바디(10)와,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장착된 상태로 출입홀(11)을 통해 바디(10)의 외부로 소정길이로 배출되어서 배출된 길이만큼 조명빛을 제공하는 조명부재(20)와,
    조명부재(20)가 조명되도록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연결부(30)와,
    바디(10)에 슬라이딩가능하게 고정된 상태로 전원연결부(30)를 가압하여서 바디(10)의 외측으로 돌출된 조명부재(20)를 돌출된 상태로 고정시키는 스토퍼(40) 및
    스토퍼(40)가 전원연결부(30)의 가압을 해제한 상태에서 조명부재(20)를 바디(10)의 장착공간(12)으로 회수시키는 회수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바디(10)는 일부분이나 전체가 투명하거나 반투명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조명부재(20)는
    장방형이면서 플랙시블한 띠(21)와,
    띠(21)의 전면에 소정간격으로 이격되어서 고정되는 다수의 엘이디(22) 및
    엘이디(22)들을 도통가능하도록 연결되면서 띠(21)의 면에 배선되는 플랙시블한 심선(23)을 포함하고,
    상기 심선(23)은 상기 띠(21)의 배출되는 단부 측이 막히고 반대 측이 개방된 'U' 형태를 가지는 것인,
    줄자타입 랜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조명부재(20)는
    띠(21)의 단부에 가깝게 배치되는 엘이디(22)들의 양측에 도통상태로 연결되면서 띠(21)의 단부에서 심선(23)과 반대되는 방향이면서 'U'형태로 배선되는 추가 심선(2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5. 청구항 3에 있어서, 띠(21)는 표면에 엘이디(22)에서 발산되는 조명빛을 반사하도록 반사도료가 도포되거나 반사필름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6. 청구항 3에 있어서, 띠(21)는 단부에 바디(10)의 출입홀(11)에 걸려서 고정되는 걸림팁(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전원연결부(30)는
    외압에 의해 조명부재(20)의 일측을 가압하는 가압부재(31)와,
    가압부재(31)의 저면에 서로 이격되게 고정되어 조명부재(20)에 전원을 인가하는 복수의 접속단자(32)와,
    접속단자(32)들에 각기 연결되는 전원케이블(33) 및
    전원케이블(33)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원부(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9.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수수단(50)은 일단이 바디(10)의 장착공간(12)에 고정된 상태로 조명부재(20)의 단부에 연결되는 감겨지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줄자타입 랜턴.
KR1020120148466A 2012-12-18 2012-12-18 줄자타입 랜턴 KR1014198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66A KR101419899B1 (ko) 2012-12-18 2012-12-18 줄자타입 랜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8466A KR101419899B1 (ko) 2012-12-18 2012-12-18 줄자타입 랜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15A KR20140079015A (ko) 2014-06-26
KR101419899B1 true KR101419899B1 (ko) 2014-07-15

Family

ID=51130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8466A KR101419899B1 (ko) 2012-12-18 2012-12-18 줄자타입 랜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98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613640A (en) * 2021-12-13 2023-06-14 Redwards Consultants Ltd Lamp assembl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064A (ja) * 2003-09-16 2005-04-07 Mitsuru Hosoo 照明装置付き巻尺
JP2007298353A (ja) * 2006-04-28 2007-11-15 Hara Doki Kk 照明付き巻尺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91064A (ja) * 2003-09-16 2005-04-07 Mitsuru Hosoo 照明装置付き巻尺
JP2007298353A (ja) * 2006-04-28 2007-11-15 Hara Doki Kk 照明付き巻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79015A (ko)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78930B2 (en) Illuminating necklace
CN203489018U (zh) 便携式太阳能灯笼
MX2007013036A (es) Luces de diodo emisor de luz recargables con el sol.
CN100483022C (zh) 闪光灯或者发光装置
CN210267013U (zh) 一种伸缩台灯
US10139092B2 (en) Lighting assembly
KR101419899B1 (ko) 줄자타입 랜턴
US7938555B1 (en) Emergency preparedness lamp
KR101676562B1 (ko) 조명장치가 구비된 거울
CN209165186U (zh) 组合式灯具及其led发光模块
CN214840696U (zh) 一种led灯具
US20100117542A1 (en) Led light pipe ornament
KR102026804B1 (ko) 휴대용 조명램프 유닛
CN212117333U (zh) 跳闪吊饰
CN201307426Y (zh) 带led的u盘
CN212011420U (zh) 一种接头连接器及运用其的灯具
CN218972450U (zh) 一种组合式夜灯
CN215489389U (zh) 一种照明模组
CN219264000U (zh) 多功能便携式灯具
JP3175663U (ja) 照明器具包装
CN212204103U (zh) 抽拉式露营灯
CN209445109U (zh) 发光二极管照明装置
CN218482498U (zh) 一种具有照明功能的转换器插座
CN211232635U (zh) 一种易拆装的led吊灯
EP2357391B1 (en) Flashligh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