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118A -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 Google Patents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118A
KR20080057118A KR1020060130490A KR20060130490A KR20080057118A KR 20080057118 A KR20080057118 A KR 20080057118A KR 1020060130490 A KR1020060130490 A KR 1020060130490A KR 20060130490 A KR20060130490 A KR 20060130490A KR 20080057118 A KR20080057118 A KR 20080057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filter
thermosetting resin
protective film
formula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4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2359B1 (ko
Inventor
권오범
최현무
이선율
이길성
Original Assignee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일모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일모직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4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235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2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23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2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bound to another nitrogen atom
    • C08K5/23Azo-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5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05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or components in so far as characterised by the lithographic processes or materials used therefor
    • G03F7/0007Filters, e.g. additive colour filters; Components for display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여, 접착강도,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카리성, 및 장기보존성이우수한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1]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1
(상기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n은1~10의 정수.)
[화학식2]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2
(상기식 중,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 1~10의 정수.)
[화학식3]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3
(상기식 중,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화학식4]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4
(상기식 중, X는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5
,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6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7
중에서 선택된 1종이며, o는 1~4의 정수이고, p는 4~12의 정수이며, Y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 및 탄소수 1~4의 저급 알콕시기 중 어느 하나.)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 보호막, 액정표시장치, 이미지센서, 저장안정성

Description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COLOR FILTER USING THE COMPOSITION, AND LIQUID CRYSTAL DISPLAY AND IMAGE SENSOR USING THE COLOR FILTER}
본 발명은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표시장치 및 이미지센서의 컬러필터의 표면에는 평탄성 양화와 보호를 목적으로 한 보호막이 부여되어 있다.  이러한 표면 보호막은 광학적인 투명성과 충분한 피막강도를 나타내야 하며, 또한, 상기 보호막 상에 투명 전도막 등을 형성하는 공정을 견디기에 충분한 내열성 및 내화학성을 나타내야 한다.
컬러필터의 보호막 형성재료와 형성방법에 대해서는 종래부터 널리 알려져 있다.  즉, 일본 특개 평 1-134306호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 소 62-163016호에는 폴리이미드를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으며, 일본 특개 소 63-131103호에는 멜라민 수지와 에폭시 수지의 혼합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에폭시 수지를 이용한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로써 접착강도, 내열성, 내약품성, 내수성 등의 신뢰성이 높은 기술들이 공지되어 있다.  즉, 일본 특개평 08-050289호에는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폴리머에 페놀계의 경화제를 이용한 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평 08-201617 호에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투명필름용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는데, 상기 경화제로 스티렌 무수말레인산 공중합물 폴리머와 아민류와의 반응물을 이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에폭시 수지는 경화제와의 반응이 빠르기 때문에, 사용시에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하는, 소위 2액형으로 이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1액화가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2액형은 취급이 복잡하며 공업적 생산에 이용되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종래 공지 기술들에서는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칼리성을 전부 만족시키면서, 동시에 에폭시 수지의 1액화까지 가능한 경우는 없었다.  이에 일본 특개 제 2001-091732호는 다관능 카르본산 화합물을 비닐에테르 등으로 보호함으로써 보존안정성을 도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보호기화는 제조방법이 복잡하여 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피할 수가 없으며, 비닐 에테르 화합물의 사용은 인체에 유해하므로, 공업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지에 대해 불확실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접착강도, 투명성, 피막강도, 내열성, 내산성, 내알카리성이 양호하며, 또한 장기 보존이 가능한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컬러필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컬러필터를 이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 및 이미지센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8
(상기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n은 1~10의 정수.)
[화학식 2]
Figure 112006094237353-PAT00009
(상기 식 중,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 1~10의 정수.)
 
[화학식 3]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0
(상기 식 중,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화학식 4]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1
(상기 식 중, X는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2
,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3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4
중에서 선택된 1종이며, o는 1~4의 정수이고, p는 4~12의 정수이며, Y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  및 탄소수 1~4의 저급 알콕시기 중 어느 하나.)
 
또한, 상기 조성물은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45 중량%, 에폭시 화합물 1~45 중량%, 및 유기용매 10~98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의 몰비는 화학식 1이 5mol%~89mol%, 화학식 2가  1mol%~35mol%, 화학식 3 이 1mol%~35mol% 및 화학식 4가 1mol%~2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 ~ 1,00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및 치환식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티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놀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N-비닐비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미드 및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및/또는 실리콘 폴리머를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5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아민화합물, 인화합물, 붕소화합물, 안티몬화합물, 카본산화합물, 및/또는 유기술폰산화합물을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10중량부 이하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적외선안정제, 가소제, 레벨링제, 및/또는 필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기의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이미지센서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미지센서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용제를 포함하는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인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1로 표현되는 구성단위와 화학식 2 내지 화학식 4로 표현되는 구성단위 간에 열에 의한 가교 반응이 이루어져 열경화성을 갖게 된다.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현되는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는 랜덤 공중합체, 교호 공중합체, 블록 공중합체, 그래프트 공중합체 등 임의의 형태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5
(상기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n은 1~10의 정수.)
 
[화학식 2]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6
(상기 식 중,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 1~10의 정수.)
 
[화학식 3]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7
(상기 식 중,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화학식 4]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8
(상기 식 중, X는
Figure 112006094237353-PAT00019
,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0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1
중에서 선택된 1종이며, o는 1~4의 정수이고, p는 4~12의 정수이며, Y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  및 탄소수 1~4의 저급 알콕시기 중 어느 하나.)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의 몰비는 화학식 1이 5mol%~89mol%, 화학식 2가  1mol%~35mol%, 화학식 3 이 1mol%~35mol% 및 화학식 4가 1mol%~20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중량평균 분자량 1,000 내지 1,000,0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분자량이 1,000보다 낮으면 충분한 경화성이 얻어지지 않으며, 분자량이 1,000,000보다 높으면 용제가용성이 저하되거나 도포성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 1~45 중량%를 차지한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에폭시 화합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및 치환식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며, 중량평균 분자량이 50~1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은 전체 수지 조성물 중 1~4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30중량%를 차지한다. 이는 상기 에폭시 화합물의 함량이 1중량% 미만이면 보호막의 치수안정성이 저하되며, 45중량%를 초과하면 도포성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구성성분인 유기용매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한 유기용매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에틸렌글리콜류;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류;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프로필렌글리콜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모노프로필에테르, 프로필렌모노부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에틸에테르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류;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프로필렌글리콜에테르아세테이트류;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를 포함하는 아미드류;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시클로헥사논를 포함하는 케톤류;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solvent naphtha)를 포함하는 석유류; 아세트산에틸, 아세트산부틸, 유산에틸을 포함하는 에스테르류; 및 그것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 10~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0~95 중량%를 차지한다. 상기 유기용매의 함량이 10중량% 미만이면 도포특성의 저하가 우려되며, 98중량% 초과이면 충분한 두께의 보호막을 얻기 어렵기 때문이다.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인 단량체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류;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티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놀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N-비닐비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미드 및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보호막과 하부막과의 밀착력 향상을 위해 실란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커플링제의 함량은 상기 자기경화성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1 중량부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며, 30중량부를 초과 시 도포성이 저하되어 핀홀 등이 생길 우려가 있다.
 
한편,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종래 공지된 방법을 사용하여 특별한 제한없이 합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구성하는 유기용매와 같은 유기용매 안에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여 합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공중합에 사용하는 유기용매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상술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구성성분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와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중합에 사용되는 유기용매의 양은 유기용매와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용액 중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농도가 5 내지 60 중량%가 되도록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35 중량%이다.  상기 용액 중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농도가 5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속도가 느려서 반응하지 않고 남아 있는 모노머가 문제되며, 6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점도가 너무 높아서 취급이 어렵고, 반응속도의 조절 또한 곤란하게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합에 사용하는 중합 개시제로는 열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산화환원계 개시제 등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지만, 취급의 용이성, 반응속도와 분자량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과산화물계, 아조계 등의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의 예로는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메틸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아세틸아세톤퍼옥사이드, 1,1-비스(ter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ert-부틸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ert-헥실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1,1-비스(tert-헥실퍼옥시)시클로헥산, 1,1-비스(tert-부틸퍼옥시)시클로도데칸, 이소부틸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호박산퍼옥사이드, 3,5,5-트리메틸헥사노일퍼옥사이드, 벤조일퍼옥사이드 옥타노일퍼옥사이드, 스테아로일퍼옥사이드,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노말프로필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틸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에톡시에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디-2-메톡시부틸퍼옥시디카보네이트, 비스-(4-tert-부틸시클로헥실)퍼옥시디카보네이트, (α,α-비스-네오데카노일퍼옥시)디이소프로필벤제, 퍼옥시네오데칸산큐밀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옥틸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헥실에스테르, 퍼옥시네오데칸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피바린산-tert-헥실에스테르, 퍼옥시피바린산-tert-부틸에스테르, 2,5-디메틸-2,5-비스(2-에틸헥사노일퍼옥시)헥산, 1,1,3,3-테트라메틸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헥실에스테르,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2-에틸헥산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3-메틸프로피온산-tert-부틸에스테르, 퍼옥시라우린산-tert-부틸에스테르, tert-부틸퍼옥시-3,5,5-트리메틸헥사노에이트, tert-헥실퍼옥시이소프로필모노카보네이트, ter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2,5-디메틸-2,5-비스(벤조일퍼옥시)헥산, 과초산-tert-부틸에스테르,  과안식향산-tert-헥실에스테르, 과안식향산-tert-부틸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산화물계 중합개시제에 환원제를 첨가해서 산화-환원 개시제로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아조계 중합개시제의 예로는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1-카보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4-메톡시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2-아미지노-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판]염산염, 2,2'-아조비스[2-(5-메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판],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2-히드록시메틸)-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N-(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미드],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아미드)2수염, 4,4'-아조비스(4-시아노-결초산), 2,2'-아조비스(2-히드록시메틸프로피오니트릴), 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온산)디메틸에스테르(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 시아노―2―프로필아조포름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과산화물계 중합 개시제, 아조계 중합 개시제 외에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중합단계에서 바람직한 분자량 범위를 달성하기 위해 연쇄이동제, 연쇄정지제, 중합촉진제 등의 공지의 분자량 조절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그 예로 메르캅토프로피온산, 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치오글리콜, 치오글리세린, 도데실메르캅탄, α-메틸스티렌다이머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중합 후 구성 성분의 용해성 보조, 레벨링성 및 건조속도 조정 등의 목적으로 상기 중합에 사용되는 유기용제 외에 다른 용제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합성된 공중합체는 정제, 보존, 용제변경 등의 목적으로 고체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추출방법에 제한은 없지만, 스프레이 건조, 필름건조, 빈용매에의 적하, 재침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내에칭성, 내알칼리성 등을 향상시키거나 유동성을 조정하기 위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이외에 다른 중합체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첨가하는 폴리머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폴리이미드, 실리콘 폴리머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첨가하는 폴리머의 양은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해 50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열경화 반응의 촉매로서 아민화합물, 인화합물, 붕소화합물, 안티몬화합물, 카본산화합물, 유기술폰산화합물 등을 첨가할 수 있다.  열경화 반응 촉매의 첨가량은 보존안정성의 관점에서 자기경화성 폴리머 100 중량부에 대해 10 중량부 이하가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는 기타 성분으로 산화방지제, 적외선안정제, 가소제, 레벨링제, 필러 등 종래 공지된 것을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한편, 컬러필터용 보호막의 제조를 위해서,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스크린 인쇄, 커튼 코팅, 블레이드 코팅, 스핀 코팅, 스프레이 코팅, 딥 코팅(dip coating), 플로우 코팅(flow coating), 롤 코팅(roll coating), 슬릿 코팅(slit coating) 등의 방법으로 기판 위에 도포한다.  도포막의 두께는 건조 후 0.1~5 μm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3~ 2 μm의 범위이다.  막 두께가 0.1 μm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단차에 대해서 충분한 평탄화 성능을 얻을 수가 없으며, 막 두께가 5 μm 초과로 너무 두꺼우면 투과율의 저하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건조 및 경화에 시간이 걸리며, 생산성이 저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 도포된 기판은 건조―열경화 공정에 의해 용제가 휘발되고, 가교반응에 의해 경화하여 경도가 충분한 보호막을 형성한다.  건조공정과 열경화 공정은 동시에 또는 개별적으로 할 수 있지만, 너무 급격하게 가열할 경우 발포나 균열 등이 생길 수 있으므로, 건조공정과 열경화 공정을 개별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건조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온풍 건조기, 원적외선 건조기, 핫 플레이트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건조온도는 50 내지 150℃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건조시간은 건조기 용량, 풍량, 온도 및 막 두께에 따라서 다르지만, 1~1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열경화 공정에 사용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으나, 온풍 오븐, 원적외선 오븐, 핫 플레이트 등 임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열처리 온도는 150~250℃의 범위가 바람직한데, 열처리 온도가 150℃ 미만일 경우에는 경화반응이 충분히 진행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열처리 온도가 250℃를 초과할 경우에는 고분자 화합물의 해중합 반응이나 탄화반응이 일어나 수득된 막의 성능이 저하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술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막은 액정표시장치 및 이미지센서의 컬러필터의 보호막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나, 하기의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을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실시예 1]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10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0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 29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5g,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17g, N-페닐말레이미드 5g, 스티렌 10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25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20g의 혼합물을 1.5 ~ 2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3~4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a)를 얻었다.  이 용액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 이하,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이었다.  
상기 얻어진 고분자 용액(a) 40g에 에폭시 수지(JER제 jER-152) 2g, 계면활성제(DIC제 R-08) 0.12g 및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50g을 첨가하고, 충분히 교반,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목적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e)를 얻었다.
상기 제조된 열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조성물(e)를 스핀코터를 이용하여 유리기판(코닝社 제품:1737번, 판두께 0.7 ㎜)에 각각 도포하고, 80℃ 온도의 건조기 안에서 3분간 건조한 후, 다시 230℃의 온도로 50분간 경화시켜 막두께 0.8 ㎛의 투명한 보호막을 얻었다.
 
[실시예 2]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10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0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 30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g,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g, N-페닐말레이미드 5g, 스티렌 10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8g의 혼합물을 1.5~2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b)를 얻었다.  이 용액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 이하,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12,000이었다.
고분자 용액(a)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b)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f)를 얻었다.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e) 대신 제조된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f)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0.8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실시예 3]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10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0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 32g,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10g,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g, N-페닐말레이미드 15g, 스티렌 33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8g의 혼합물을 1.5~2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c)를 얻었다.  이 용액을 겔투과크로마토그래피(Gel Permission Chromatography : 이하,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 중량평균분자량은 9,000이었다.
고분자 용액(a)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c)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g)를 얻었다.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e) 대신 제조된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0.8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비교예 1]
환류냉각기와 교반기를 갖춘 1000㎖ 플라스크에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600g을 투입한 후, 교반하면서 온도를 80℃까지 상승시켰다.  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상기 플라스크 내부에 메타크릴산글리시딜 32g, 디시클로펜타닐메타크릴레이트 15g, 스티렌 15g, 메틸메타크릴레이트 20g 및  디메틸-2,2'-아조비스(2-메틸프로피오네이트)8g의 혼합물을 1.5~2 시간 동안 적하, 투입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모두 적하한 후, 반응온도를 80℃로 유지하고, 교반하면서 4~5시간 동안 반응시켜, 투명한 고분자용액 (d)를 얻었다.  이 용액을 GPC법으로 측정한 결과, 폴리스티렌환산중량 평균 분자량은 11,000이었다.
고분자 용액(a)대신에 상기 고분자 용액(d) 40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여 목적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h)를 얻었다.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e) 대신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h)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막두께 0.8 ㎛의 투명한 보호막 및 컬러필터를 얻었다.
 
<물성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을 통해서 얻어진 유리기판 및 컬러필터에 대해 하기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평탄성, 밀착성, 막강도, 내열성을 평가하였고,  얻어진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대한 보관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① 평탄성 평가
평탄성 평가를 위해 더미(dummy) 컬러필터의 적색화소와 녹색화소의 중심부분의 높이의 차(화소간 단차)를 구했다.  그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보호막이 도포된 컬러필터의 적색화소와 녹색화소의 중심부분의 높이의 차를 구했다.  하기, 식 (1)에 따라서, 보호막 도포 전의 화소간 단차(d1)와 보호막 도포 후의 화소간 단차(d2)의 비율 R을 구하고, 하기의 기준에 따라서 본 발명에 의 해 제조된 보호막 조성물의 평탄화성을 1 ~ 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R = d2/d1 ……(1)
상기 식에서 구해진 R〉0.4일 때 1, 0.4≤ R ≤0.3일 때 2, 0.3〈 R ≤0.2일 때 3, 0.2〈 R ≤0.1일 때 4, R 〈0.1일 때 5로 하였다.  단, 1은 평탄화 성능이 낮은 것을 나타내며, 5는 평탄화성능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② 밀착성 및 내화학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 의해 얻어진 컬러필터 보호막 위에 바둑판의 눈금 형상으로 100개의 크로스컷트(cross-cut)를 넣고, 셀로판 테이프를 이용해서 필링(peeling) 시험(크로스커트 시험)을 한 후, 바둑판 눈금의 박리 상태를 육안으로 평가하여 밀착성을 시험하였다.  
또한, 수득된 컬러필터 보호막을 40℃의 N-메틸-2-피롤리돈(NMP), 10% 수산화칼륨수용액 및 Etchant용액 (제품명 CYANTEK CORPORATION LCE-12K) 에 30분간 침적한 후, 다시 상술한 방법과 같은 방법으로 밀착성 시험을 실시하여 눈금의 박리상태에 따라 100(침적후)/100(침적전)인 경우 합격, 침적후의 개수가 100이하일 경우 불합격으로 표시함으로써 각 용액에 대한 내화학성을 평가하였다.
 
③ 막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투명한 보호막을 스태들러(Statdler) 社에서 제작한 연필 6종(1H~6H)로 긁어 기판의 손상정도에 따라서 막 의 강도를 1H에서 6H까지 평가하였다.
 
④ 보관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에서 수득된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의 점도를 최초로 측정하고, 이들 각각을 10㎖ 바이알(vial)에 담아 40℃의 인큐베이터에 보관하면서 매 3일마다 점도를 측정하였다.  15일 후, 총 5회의 점도 측정결과 점도 증가량이 10%를 넘는 구간의 번호를 각각 0, 3, 6, 9, 12, 15의 숫자로 표시하였다.   
구분 평탄성 밀착성 내화학성 투과도 막강도 보관 안정성
염기 유기
실시예 1 4 100/100 합격 합격 합격 99% 4H 15
실시예 2 4 100/100 합격 합격 합격 98% 4H 15
실시예 3 3 100/100 합격 합격 합격 99% 4H 15
비교예 1 2 100/100 합격 불합격 불합격 98% 3H 6
상기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의해 제조된 컬러필터용 보호막의 평탄성, 밀착성, 투과도 및 막강도가 우수하고, 특히 저장안정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 성물에 따르면, 종래의 2액형 열경화성 컬러필터용 수지 조성물에 비해 사용상의 편리함과 우수한 내화학성 및 저장안정성 특성을 보이는 컬러필터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컬러필터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여 평탄성, 밀착성, 투과도, 막강도, 내열성 등이 우수한 컬러필터용 보호막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1.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에폭시 화합물, 및 유기용매를 포함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는 하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3 및 화학식 4로 표시되는 구성단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2
    (상기 식 중, R1은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n은 1~10의 정수.)
     
    [화학식 2]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3
    (상기 식 중, R2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를 나타내며, m은 1~10의 정수.)
     
    [화학식 3]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4
    (상기 식 중, R3는 수소원자 또는 메틸기)
     
    [화학식 4]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5
    (상기 식 중, X는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6
    ,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7
    Figure 112006094237353-PAT00028
    중에서 선택된 1종이며, o는 1~4의 정수이고, p는 4~12의 정수이며, Y는 수소원자, 탄소수 1~4의 저급알킬기 및 탄소수 1~4의 저급 알콕시기 중 어느 하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45 중량%;
    에폭시 화합물 1~45 중량%,; 및
    유기용매 10~98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의 몰비는 화학식 1이 5mol%~89mol%, 화학식 2가 1mol%~35mol%, 화학식 3 이 1mol%~35mol% 및 화학식 4가 1mol%~20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 ~ 1,00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 화합물은 비스페놀 A형 에폭시, 비스페놀 F형 에폭시,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및 치환식 에폭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경화성 공중합체의 구성단위로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하는 (메타)아크릴레이트, N-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아크릴아미드, N-메티놀아크릴아미드, N-메틸메타크릴아미드, N-에틸메타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N-메티놀메타크릴아미드, N,N-디메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타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타크릴아미드를 포함하는 아크릴아미드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히드록시스티렌을 포함하는 스티렌류, N-비닐비롤리돈, N-비닐포름아미드, N-비닐아미드 및 N-비닐이미다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실란커플링제를 자기경화성 공중합체 100중량부에 대하여 0.1~30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 나일론, 폴리에 스테르, 폴리이미드, 및/또는 실리콘 폴리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의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10. 제 9 항 기재의 컬러필터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60130490A 2006-12-19 2006-12-19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KR100872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90A KR100872359B1 (ko) 2006-12-19 2006-12-19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490A KR100872359B1 (ko) 2006-12-19 2006-12-19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118A true KR20080057118A (ko) 2008-06-24
KR100872359B1 KR100872359B1 (ko) 2008-12-05

Family

ID=39803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490A KR100872359B1 (ko) 2006-12-19 2006-12-19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23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3141B2 (en) 2006-02-03 2012-09-25 Samsung Sdi Co., Ltd. Fuel re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628698B2 (en) 2009-12-28 2014-01-14 Cheil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 for protection layer of color filter, protection layer of color filter using same and image sensor including same
US11066583B2 (en) * 2017-08-17 2021-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mixed modifiers for adhesiv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565B1 (ko) 2015-09-10 2016-03-16 영창케미칼 주식회사 컬러필터 이미지 센서용 현상액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871B1 (ko) * 2003-03-10 2010-12-30 제이에스알 가부시끼가이샤 수지 조성물, 컬러 필터의 보호막 및 그의 형성 방법
KR101098014B1 (ko) * 2004-10-20 2011-12-22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JP2006276049A (ja) * 2005-03-25 2006-10-12 Nof Corp カラーフィルター保護膜用樹脂組成物、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73141B2 (en) 2006-02-03 2012-09-25 Samsung Sdi Co., Ltd. Fuel reforming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8628698B2 (en) 2009-12-28 2014-01-14 Cheil Industries Inc. Resin composition for protection layer of color filter, protection layer of color filter using same and image sensor including same
US11066583B2 (en) * 2017-08-17 2021-07-2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rmy Admixed modifiers for adhes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2359B1 (ko) 200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5605B1 (ko) Cmos 이미지센서 컬러필터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투명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이미지센서
JP2006113547A (ja) 熱硬化性の一液型カラーフィルター用保護膜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ー
KR10075887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CN105593328B (zh) 压敏粘合剂组合物
TWI496833B (zh) 陽離子聚合性樹脂、陽離子聚合性樹脂組成物及其硬化物
KR10087235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보호막을 포함하는 컬러필터, 및 그 컬러필터를 사용하여 제조된 액정표시장치와 이미지센서
KR100805688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KR100845939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845692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782264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일액형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컬러필터
KR100777965B1 (ko) 열경화성 일액형 컬러필터용 보호막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컬러필터
US8389621B2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for producing color filter for CMOS image sensor, color filter comprising transparent film formed using the composition and CMOS image sensor using the color filter
JP6577746B2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液晶表示素子用シール剤及びタッチパネル用層間充填剤
KR101002736B1 (ko) 컬러필터 보호막용 열경화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TWI812767B (zh) 硬化性樹脂組合物、及聚合物、(甲基)丙烯酸系彈性體及片材
JP6565392B2 (ja) (メタ)アクリル樹脂溶液
KR20220070198A (ko) 경화성 수지 조성물, 그리고 엘라스토머 및 시트
KR101246700B1 (ko) 바인더 수지 및 이를 포함하는 열경화 수지조성물.
JP2002053622A (ja) 耐熱性および耐薬品性の向上したメタクリル樹脂の製造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