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049A -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049A
KR20080057049A KR1020060130358A KR20060130358A KR20080057049A KR 20080057049 A KR20080057049 A KR 20080057049A KR 1020060130358 A KR1020060130358 A KR 1020060130358A KR 20060130358 A KR20060130358 A KR 20060130358A KR 20080057049 A KR20080057049 A KR 20080057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locking
cover
electronic device
battery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55214B1 (ko
Inventor
백인열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0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5214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52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52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86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portable, e.g. battery operated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간단한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전자기기는 배터리 수용부와, 배터리 수용부 단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2 잠금수단과,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는, 개구부와,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와, 개구부와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굴곡부를 구비한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의 개구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홈부에 탈착되는 잠금부와, 상기 버튼부의 타 측에서 양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이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한 제 1 잠금수단;과,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및 상기 돌기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개구된 슬릿이 구비된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돌기부의 이동시 돌기부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돌기부에 의한 외력에 의해 열리는 제 2 잠금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 comprising battery opening/closing structure}
도 1은 종래의 배터리 커버를 열기 위하여 버튼부를 미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레버를 열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레버를 미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와 잠금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가 잠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 및 제 2 잠금수단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돌기부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잠금장치가 열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 버가 잠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배터리 커버는 열려 있으나 제 2 잠금수단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 및 제 2 잠금수단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배터리커버 조립체 110: 제 1 커버
111: 개구부
112: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 113: 굴곡부
114: 제 1 오목부 115; 제 2 오목부
116: 제 3 오목부 120: 제 1 잠금수단
121: 버튼부 122: 잠금부
123: 이동수단 124: 돌기부
125: 이동수단의 단부 126: 전자기기의 홈부
130: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131: 스프링
132: 핀 140: 제 2 커버
141: 슬릿
142: 제 2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
200: 제 2 잠금수단 300: 배터리 수용부
310: 단자부 320: 배터리
본 발명은 간단한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한 각종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자기기를 작동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하여 휴대용 배터리를 전자기기 내부의 수용부에 구비하고 있다. 전자기기가 전자기기의 수용부에 배터리를 수용하는 경우, 배터리와 전자기기의 외부 공간을 분리하는 배터리 커버를 구비하며, 이에 더하여 배터리 커버를 열 경우 바로 배터리가 전자기기의 단자부에서 이탈하여 전기적으로 절연되거나, 전자기기 외부로 떨어져 나가 충격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터리 수용부의 입구에 레버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배터리 커버를 열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의 버튼부를 미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 및 배터리 레버를 열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가 열린 상태에서 레버를 미는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배터리 커버(11)의 버튼부(12)를 도 1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y방향)으로 밀면 배터리 커버(11)의 단부에 구비된 잠금부(13)가 디지털 카메라의 홈부(14)에서 이탈되어 배터리 커버(11)가 먼저 열리게 된다. 그 다음 배터리 수용부(16)의 입구 측에 배터리(15)를 누르고 있는 레버(17)를 도 2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x방향)으로 밀면 레버(17)가 회전하면서 배터리(15)를 누르는 부분이 돌아가게 되고, 그 결과 배터리(15)를 미는 수직력이 제거되어 배터리가 배터리 수용부(16)에서 꺼낼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종래 기술에 의하면 두 번의 동작으로, 즉, 배터리(15)를 배터리 수용부(16)에서 꺼내기 위하여 배터리 커버(11)를 여는 단계와 배터리 커버(11)가 열린 후 배터리 레버(15)를 여는 단계를 거쳐야 배터리(15)를 꺼낼 수 있어 동작이 번잡해 진다.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기기들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전자기기 및 그 배터리가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배터리(15)를 수용하는 배터리 수용부(16)와 그 주변의 부품, 예를 들자면 배터리 레버(17)와 같은 부품은 소형화되고 있기 때문에 손으로 별도로 레버를 여는 동작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 커버를 여는 동작으로 배터리 레버를 동시에 열 수 있게 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로부터 꺼낼 수 있는 전자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배터리를 전자기기에 삽입시 배터리의 단자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단자부를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 단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2 잠금 수단과,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는,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타 측에 형성된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굴곡부를 구비한 제 1 커버;와, 상기 제 1 커버의 개구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홈부에 탈착되는 잠금부와, 상기 버튼부의 타 측에서 양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이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한 제 1 잠금수단;과,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및 상기 돌기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개구된 슬릿과, 상기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제 2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잠금 수단을 상기 제 1 커버와 결합시키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이동시 상기 돌기부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기부에 의한 외력에 의해 열리는 제 2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의 단부는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 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는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첫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 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는 닫혀 있으며,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두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하여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돌기부가 첫 번째 오목부를 경유하여 두 번째 오목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이 상기 돌기부의 외력에 의해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는 세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첫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닫혀 있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두 번째 오목부에 배치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세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돌기부가 두 번째 오목부를 경유하여 세 번째 오목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이 상기 돌기부의 외력에 의해 열릴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전자기기는 기록소자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기록소자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열면 상기 기록소자 수용부가 보이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1 잠금수단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배터리를 이탈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은 핀과, 상기 핀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한 힌지 구조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전성 단자와 절연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아울러 대표적 휴대용 전자기기인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디지털 카메라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디지털 캠코드, PDA 등 배터리를 수용하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커버 조립체와 잠금수단을 구비한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부분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디지털 카메라의 개략적인 부분 분해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제 1 커버(110), 제 1 잠금수단(120), 배터리커버 체결수단(130) 및 제 2 커버(140)를 구비하는 배터리커버 조립체(100)와, 제 2 잠금수단(200)과, 배터리 수용부(300)를 포함한다.
제 1 커버(110)는 개구부(111),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12) 및 굴곡부(113)를 구비한다.
개구부(111)는 제 1 커버(1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제 1 잠금수 단(120)의 버튼부(121)가 돌출되는 부분이다.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12)는 제 1 커버(110)의 타 측에 배치되고, 후술할 배터리커버 체결수단(130)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배터리커버가 디지털 카메라에 용이하게 결합 되도록 한다.
굴곡부(113)는 제 1 커버(1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개구부(111)와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12) 사이에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굴곡부(113)는 두 개의 오목부(114, 115)를 구비한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제 1 잠금수단(120)은 버튼부(121), 잠금부(122), 한 쌍의 이동수단(123) 및 돌기부(124)를 구비한다.
버튼부(121)는 제 1 커버의 개구부(111)로 돌출되는 부분으로, 사용자는 버튼부(121)에 수평방향의 힘을 인가하여(y방향) 버튼부(121)의 일 측에 연결된 한 쌍의 이동수단(123)을 이동시킴으로써 버튼부(121)의 타 측에 연결된 잠금부(122)를 이동시킬 수 있다.
버튼부(121)는 사용자가 손가락을 사용하여 버튼부에 외력을 인가하기 쉽도록 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골과 마루가 나란히 직선으로 형성된 요철부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도면에 제시된 형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버튼부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잠금부(122)는 버튼부(121)의 일측에 돌출된 형상이며, 상술한 버튼부(121)의 조작으로 배터리커버를 전자기기의 홈부(126)로 삽입시키거나 이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이동수단(123)은 버튼부(121)의 타 측에서 양 갈래로 갈라져 형성된다. 그리고 버튼부(121)에 인가하는 외력에 의해 제 1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며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진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수단은 탄성과 강성을 적절히 구비하는 재질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123)의 단부(125)는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113) 측으로 꺾여 있다. 이는 이동수단(123)이 굴곡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수단(123)이 굴곡부(113)에 형성된 오목부(114, 115)에 적절히 안정적으로 안착 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한 한 쌍의 이동수단(123) 중 어느 하나의 단부(125)에는 돌기부(124)가 형성된다. 이 돌기부(124)는 배터리 수용부(300)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며, 이동수단(123)의 이동에 따라 후술할 제 2 잠금수단(200)을 밀어서 배터리(32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함으로써 배터리(320)가 배터리 수용부(300)로부터 돌출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제 1 잠금수단(120)은 버튼부(121), 잠금부(122), 이동수단(123) 및 돌기부(124) 등이, 예를 들면 몰딩으로 형성된다든지 해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는 제 1 잠금수단(120)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또한, 스프링(131)과 핀(132)을 포함한 배터리커버 체결수단(130)을 구비한다. 스프링(131)은 배터리커버의 개폐시 배터리커버 조립체(110)가 배터리 수용부(300) 측으로 도로 주저앉지 않고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열려있는 상태를 지속시켜 준다.
핀(132)은 제 1 커버(110)의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12)와 제 2 커버(140)의 제 2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42)에 결합되어, 배터리 수용부(300)의 일 측에 배치되는 힌지 구조체이다. 본 실시예에서, 배터리커버 체결수단(130)으로 스프링(131)과 핀(132)을 포함한 힌지 구조체가 제시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다양한 방법과 형태의 체결수단이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 2 커버((140)는 슬릿(141)과 제 2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142)를 구비한다. 슬릿(141)은 상술한 한 쌍의 이동수단(123) 중 어느 하나의 단부(125)에 형성된 돌기부(124)의 이동통로를 제공한다. 즉,이동수단(123)이 1 커버(110)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된 굴곡부(113)를 따라 움직임에 따라, 이동수단의 단부(125)에 구비된 돌기부(124)도 같이 움직이며, 이 돌기부(124)는 제 2 커버(140)에 개구되어 형성된 슬릿(141)을 통하여 후술할 제 2 잠금수단(200)에 도달할 수 있다.
제 2 잠금수단(200)은 상술한 돌기부(124)가 소정의 위치에 도달했을 때, 돌기부(124)의 이동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회전에 의해 배터리(320)에 수직으로 힘을 인가하던 제 2 잠금수단(200)이 제거되어 배터리(320)가 배터리 수용부(300)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한다.
배터리 수용부(300)는 배터리(320)가 전자기기에 삽입될 때, 배터리 단자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단자부(310)를 구비하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배터리 수용부의 하면에는 상기 단자부(310)와는 절연된 탄성부재가 구비된다.
이 탄성부재는 배터리(320)에 가해지는 외력이 제거될 때 디지털 카메라를 거꾸로 돌리지 않아도 배터리(320)가 배터리 수용부(300)에서 탄성적으로 튀어오르게 하여 배터리(320)의 이탈을 용이하게 한다.
이하, 도 5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를 배터리 수용부에서 꺼내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가 잠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 및 제 2 잠금수단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돌기부가 이동함에 따라 제 2 잠금장치가 열리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 1 잠금수단(120)의 굴곡부(113)는 두 개의 오목부(114, 115)를 구비한다.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첫 번째 오목부(제 1 오목부, 114)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잠금부(122)는 전자기기에 그대로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배터리커버 조립체(100)는 닫혀 있다. 이때, 돌기부(124)는 제 2 잠금수단(200)이 있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잠금수단(200)은 그대로 배터리를 누르고 있다. 따라서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제 1 오목부(114)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배터리커버 조립체(100) 및 제 2 잠금수단(200)은 모두 닫혀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두 번째 오목부(제 2 오 목부, 115)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잠금부(122)는 전자기기에서 이탈하여 배터리커버 조립체(100)는 열리게 된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돌기부(124)가 첫 번째 오목부(114)를 경유하여 두 번째 오목부(115)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제 2 잠금수단(200)은 돌기부(124)의 이동방향에 따른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배터리(320)를 누르고 있는 부분이 제거되고, 그 결과 배터리(320)가 배터리 수용부(300)를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는 배터리(320)를 꺼내기 위하여 제 2 잠금수단(200)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제 1 잠금수단(120)의 조작으로 제 2 잠금수단(200)도 동시에 조작이 가능하므로, 사용자는 용이하게 배터리(320)를 꺼낼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가 잠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고,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가 배터리 커버는 열려 있으나 제 2 잠금수단은 닫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며, 도 14 및 도 1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의 배터리 커버 및 제 2 잠금수단이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터리 커버 조립체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는 제 1 커버(110), 제 1 잠금수단(120), 배 터리커버 체결수단(130) 및 제 2 커버(140)를 구비하는 배터리커버 조립체(100)와, 제 2 잠금수단(200)과, 배터리 수용부(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는 제 1 커버(110)의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굴곡부(113)가 세 개의 오목부(114, 115, 116)를 구비하고, 굴곡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돌기부(124)의 동작 단계가 세 단계로 나누어지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0 내지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제 1 잠금수단(120)의 굴곡부(113)는 세 개의 오목부(114, 115, 116)를 구비한다.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첫 번째 오목부(제 1 오목부, 114)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잠금부(122)는 전자기기에 그대로 삽입되어 있어 배터리커버 조립체(100)는 닫혀 있다. 이때, 돌기부(124)는 제 2 잠금수단(200)이 있는 위치에 미치지 않기 때문에 제 2 잠금수단(200)은 그대로 배터리(320)를 누르고 있다. 즉, 배터리커버 조립체(100) 및 제 2 잠금수단(200)이 모두 닫혀있는 상태이다.
도 12 내지 13을 참조하면,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두 번째 오목부(제 2 오목부, 115)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잠금부(122)는 전자기기의 홈부(126)에서 이탈하여 배터리 커버가 열리게 된다. 그러나, 이때, 돌기부(124)는 여전히 제 2 잠금수단(200)이 있는 위치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제 2 잠금수단(200)은 그대로 배터리(320)를 누르고 있다.
이 경우, SMD카드 등의 기록소자(410)를 구비하는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배터리커버 조립체(100)를 열면 보이는 배터리 수용부(300)의 일 측에 기록소자 수용 부(400)에 기록소자(410)가 수용될 경우, 제 2 잠금수단(200)은 잠겨 있으므로 배터리를 꺼내지 않고 기록소자(410)만 간단히 교체할 수 있다.
도 14 내지 15를 참조하면, 이동수단의 단부(125)가 세 번째 오목부(제 2 오목부, 116)에 안착되어 있는 경우, 잠금부(122)는 전자기기에서 이탈하여 배터리커버 조립체(100)는 열리게 된다.
이때, 도 9를 참조하면 돌기부(124)가 두 번째 오목부(115)를 경유하여 세 번째 오목부(116)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제 2 잠금수단(200)은 돌기부(124)의 이동방향에 따라 외력에 의하여 회전하면서 배터리(320)를 누르고 있는 부분이 제거되고, 그 결과 배터리(320)가 배터리 수용부(300)를 이탈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는 버튼부(121)에 두 단계의 외력을 가함으로써, 배터리(320)를 꺼내기 위하여 제 2 잠금수단(200)을 별도로 조작할 필요없이 제 1 잠금수단(120)의 조작으로 동시에 조작이 가능하므로 용이하게 배터리(320)를 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록소자(410)만 꺼내는 경우에는 배터리(320)를 누르는 제 2 잠금수단(200)을 열지 않고 꺼낼 수 있어서 사용의 편리성을 더욱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자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한 번의 동작으로 배터리커버와 배터리 잠금장치를 열 수 있으므로, 휴대용 배터리를 포함하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0)

  1. 배터리를 전자기기에 삽입시 배터리의 단자와 전자기기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도전성 단자부를 구비한 배터리 수용부와, 상기 배터리 수용부 단부의 일 측에 설치되어 배터리를 고정하는 제 2 잠금수단과,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구비하고,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는,
    일 측에 형성된 개구부와, 타 측에 형성된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와, 상기 개구부와 상기 제 1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결합부 사이에 구비되고 내면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굴곡부를 구비한 제 1 커버;
    상기 제 1 커버의 개구부로 돌출되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의 일 측에 돌출되어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전자기기에 형성된 홈부에 탈착되는 잠금부와, 상기 버튼부의 타 측에서 양 갈래로 갈라져 형성되고 상기 버튼부에 인가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커버의 내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좌우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는 한 쌍의 이동수단과,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배치되고 상기 배터리 수용부 측을 향하도록 형성된 돌기부를 구비한 제 1 잠금수단;
    배터리커버 체결수단; 및
    상기 돌기부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도록 개구된 슬릿과, 상기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이 결합되는 제 2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잠금 수단을 상기 제 1 커버와 결합시키는 제 2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이동시 상기 돌기부가 소정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돌기부에 의한 외력에 의해 열리는 제 2 잠금수단;을 포함하는 전자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이동수단의 단부는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 측으로 꺾인 형상으로 구비된 전자기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는 두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첫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는 닫혀 있으며,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두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하여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돌기부가 첫 번째 오목부를 경유하여 두 번째 오목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이 상기 돌기부의 외력에 의해 열리는 전자기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버 내면의 굴곡부는 세 개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첫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 기기에 삽입되어 있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닫혀 있고,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두 번째 오목부에 배치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이동수단의 단부가 세 번째 오목부에 안착시 상기 잠금부는 상기 전자기기에서 이탈되어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가 열리며,
    상기 돌기부가 두 번째 오목부를 경유하여 세 번째 오목부에 안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이 상기 돌기부의 외력에 의해 열리는 전자기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기기는 기록소자 수용부를 가지고, 상기 기록소자 수용부는 상기 배터리커버 조립체를 열면 상기 기록소자 수용부가 보이도록 상기 배터리 수용부의 일 측에 배치되는 전자기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적어도 하나의 요철부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잠금수단은 일체로 형성된 전자기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잠금수단은 상기 돌기부의 이동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배터리를 이탈시키는 전자기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커버 체결수단은 핀과, 상기 핀에 끼워지는 스프링을 포함한 힌지 구조체인 전자기기.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수용부는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도전성 단자와 절연된 전자기기.
KR1020060130358A 2006-12-19 2006-12-19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KR1012552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58A KR101255214B1 (ko) 2006-12-19 2006-12-19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58A KR101255214B1 (ko) 2006-12-19 2006-12-19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049A true KR20080057049A (ko) 2008-06-24
KR101255214B1 KR101255214B1 (ko) 2013-04-23

Family

ID=39803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358A KR101255214B1 (ko) 2006-12-19 2006-12-19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52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CN107865465A (zh) * 2017-12-07 2018-04-03 深圳市华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子烟主机电池盖滑动按钮打开装置
JP2019113724A (ja) * 2017-12-2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開閉機構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23480A (ja) 2000-02-07 2001-08-17 Canon Inc 電子機器
KR20050103796A (ko) * 2004-04-27 2005-11-01 고재관 배터리 삽입식 이동통신 단말기
JP4297038B2 (ja) 2004-11-15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9824A (ko) * 2012-08-30 2014-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기기의 커버 장치
CN107865465A (zh) * 2017-12-07 2018-04-03 深圳市华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子烟主机电池盖滑动按钮打开装置
CN107865465B (zh) * 2017-12-07 2024-03-01 深圳市华玉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电子烟主机电池盖滑动按钮打开装置
JP2019113724A (ja) * 2017-12-25 2019-07-1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蓋開閉機構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5214B1 (ko) 201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0390B2 (en) Card-type peripheral device
US8437814B2 (en) Slide opening/closing device, method of restricting sliding movement of slide member, electronic apparatus, and mobile terminal device
US20070252816A1 (en) Wireless mouse
KR20140141972A (ko) 전자 기기의 커버 개폐 장치
JPH11251027A (ja) Icソケット
JP3003509U (ja) 電池収納機構
KR101255214B1 (ko) 배터리 개폐구조를 구비한 전자기기
JP2001339176A (ja) 小型電気装置
JP3910507B2 (ja) 電子機器
JP3678716B2 (ja) 電子機器用機能拡張ユニットの固定機構
CN111433937B (zh) 电池外壳
TW201022897A (en) Battery cover lock structure
JPH11266293A (ja) 携帯電話機
JP2000105811A (ja) メモリ―カ―ド及びメモリ―カ―ドホルダ―
JP2004022341A (ja) 電子機器及びその筐体
JP4558439B2 (ja) 小型電子機器
JPH05284400A (ja) 電子機器のメモリーカード着脱装置
JP2984662B1 (ja) 電池収納部
JP3675088B2 (ja) バッテリー着脱機構
KR100572472B1 (ko) 회전형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183262Y1 (ko) 휴대용 무선단말기의 힌지장치
KR200355865Y1 (ko) 이동통신단말기용 배터리팩 착탈장치
JP2004280746A (ja) 電子機器
JP2605069Y2 (ja) バッテリ収容装置
KR200358090Y1 (ko) 한 쌍을 이루는 전기 커넥터의 결속상태를 유지시켜 주는록 레버의 힌지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