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7016A -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7016A
KR20080057016A KR1020060130313A KR20060130313A KR20080057016A KR 20080057016 A KR20080057016 A KR 20080057016A KR 1020060130313 A KR1020060130313 A KR 1020060130313A KR 20060130313 A KR20060130313 A KR 20060130313A KR 20080057016 A KR20080057016 A KR 20080057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ipe
connection
bar
key
pipe br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0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25331B1 (ko
Inventor
나승민
이종구
이용주
김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601303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5331B1/ko
Publication of KR20080057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7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53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53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굴착공사에서 토압을 지지하는 가설 벽체에 설치되어 가설 벽체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키부착판(30); 및 연결바(42)와, 상기 연결바(42)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바(44)와, 상기 연결바(42)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바(46)를 구비하고, 상기 키부착판(30)에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전단키(40)를 구비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연결에 따라 상기 전단키(40)가 회동하여 상기 고정바(46)가 상기 강관 버팀보의 단부에 소정 거리 이격 구비된 삽입홈(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강관, 버팀보, 가설 흙막이, 전단키

Description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Appratus for Connecting Steel Pipe Strut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와 이에 결합하는 강관 버팀보의 연결전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보호 커버를 추가로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강관 버팀보 3: 삽입홈
10 :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20 : 연결판
30 : 키부착판 40 : 전단키
42 : 연결바 44 : 작동바
46 : 고정바 48 : 회동부
50a : 제 1 보호커버 50b : 제 2 보호커버
52 : 메인 커버 54a, 54b : 결합 날개
60 : 연결 장치 수용부 62 : 고정바 수용홈
본 발명은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지하 굴착공사에서 토압을 지지하는 가설 벽체에 설치되어 가설 벽체의 지지력을 확보하는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하철, 건축물, 지하차도, 지하 저장시설물 등의 기반 공사를 위한 굴착 공사에 있어서 굴착되는 부지 외곽에는 토압을 지지하기 위한 흙막이 공사가 필요하다. 통상의 경우에는 굴착을 진행함과 동시에 굴착되는 부지 외곽에 토압 지지를 위한 가설 벽체를 시공하면서, 이러한 가설 벽체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
대표적인 흙막이 공법 중의 하나는 가설 스트럿(Strut) 공법이다. 가설 스트럿 공법은 부지 외곽에 흙막이 벽체를 설치한 후, 중앙부에 포스트 파일(Post Pile)을 설치하여 단계별 굴착에 따라 띠장 및 스트럿을 설치하는 공법이다. 스트럿은 흙막이 벽체에 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종래에는 주로 H-형강을 주압축 부재로 사용하였다. 그런데 H-형강은 좌굴(挫屈)이 발생하기 쉽고 중량이 큰 문제점이 존재하여 최근에는 강관 버팀보를 스트럿으로 사용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강관 버팀보를 스트럿으로 사용할 경우 강관을 상호 연결할 필요성이 존재하는데 종래에는 강관의 폐쇄된 단면 형상으로 인해 주로 용접을 통하여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였다. 이러한 용접에 의한 강관 버팀보의 연결은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존재하며, 용접 부분에의 응력으로 인해 연결 강도 확보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 강관 버팀보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가설 벽체를 충분히 지지하지 못하여 지하 굴착공사에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바 강관 버팀보를 확실히 연결할 수 있는 구조의 개발이 요구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굴착 공사에서 흙막이 벽체를 지지하는 강관 버팀보의 연결 장치에 있어서, 강관 버팀보를 양측으로부터 결합시키는 경우 자체 구조에 의해 강관 버팀보에 결합하여 압축력을 받는 강관 버팀보를 확실히 결합시키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한 후 연결 상태를 보강하고 연결 부분을 보호하는 보호 커버를 포함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키부착판(30); 및 연결바(42)와, 상기 연결바(42)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바(44)와, 상기 연결바(42) 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바(46)를 구비하고, 상기 키부착판(30)에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전단키(40)를 구비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연결에 따라 상기 전단키(40)가 회동하여 상기 고정바(46)가 상기 강관 버팀보의 단부에 소정 거리 이격 구비된 삽입홈(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와 이에 결합하는 강관 버팀보의 연결 전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하기 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를 연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는(10), 중앙에 구비된 연결판(20)과, 연결판(2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키부착판(30)과, 키부착판(30)에 회동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전단키(4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연결되는 두 개의 강관 버팀보(1)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강관 버팀보(1)를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 방향으로 밀면 전단키(40)가 강관 버팀보(1)에 결합함으로써 강관 버팀보(1)를 상호 연결하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연결판(20)의 판상으로 이루어지면, 바람직하게는 원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연결판(20)의 형상은 원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연결판(2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키부착판(30)은 전단키(40)를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하며, 전단키(40)가 연결판(20)에 합체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연결판(20)을 열십자(┼) 형상으로 구비하였다. 연결판(20)이 열십자 형태로 구비된 경우에는 전단키(40) 4개가 연결판(20)에 결합한다. 필요한 전단키(40)의 개수에 따라 연결판(20)은 열십자 형상이 아니고 중앙으로부터 3 갈래나 5 갈래 또는 그 이상의 가지를 가지는 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단키(40)는 연결바(42)와, 상기 연결바(42)의 하부에 연결바(42)에 대해 직각으로 구비되는 작동바(44), 및 연결바(42)의 상부에 직각으로 구비되는 고정바(46)를 포함한다. 연결바(42)는 회동부(48)에 의해 키부착판(30)의 일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전단키(40)의 고정바(46)는 강관 버팀보(1)에 구비되는 삽입홈(3)에 삽입되도록 형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1)를 상호 연결할 경우 강관 버팀보(1)에는 그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전단키(40)의 작동바(44)와 고정바(46)간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삽입홈(3)이 형성되도록 하여 고정바(46)가 삽입홈(3)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강관 버팀보(1)와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
키부착판(30)에 결합한 전단키(40)가 모두 내측으로 향하도록 한 상태에서 강관 버팀보(1)를 연결판(20)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강관 버팀보(1)의 단부가 전단키(40)의 작동바(44)에 접하게 된 후 계속해서 이동하면 전단키(40)는 고정바(46)가 외측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회동한다.
강관 버팀보(1)를 더 이동시키면 전단키(40)의 회동에 따라 고정바(46)는 강관 버팀보(1)의 삽입홈(3)에 삽입되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강관 버팀보(1)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를 통해 연결된다.
이때,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에는 방사 방향으로 형성된 전단키(40)를 구비함에 따라, 강관 버팀보(1)가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에 완전히 결합하게 되면 강관 버팀보(1)는 전단키(40)로부터 상하 좌우 방향에서 지지를 받게 되는바 두 개의 강관 버팀보(1)가 확실히 결합하게 된다.
한편, 강관 버팀보(1)는 압축력을 받는 부재이기 때문에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를 이용하여 강관 버팀보(1)를 상호 연결하면 강관 버팀보(1)는 계속하여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되는바 결합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는 추가적인 구성없이도 강관 버팀보(1)를 효과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나, 현장에서의 설치 안전성 확보와 연결부위 보호를 위해 보호 커버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에 보호 커버를 추가로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보호 커버는 제 1 보호 커버(50a)와 제 2 보호 커버(50b)로 형성되어 제 1 보호 커버(50a)와 제 2 보호 커버(50b)를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와 강관 버팀보(1)의 연결 부분의 상하부에 각각 설치하여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제 1 보호 커버(50a)와 제 2 보호 커버(50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바, 제 1 보호 커버(50a)를 중심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도록 한다.
제 1 보호 커버(50a)는 원통을 반으로 절개한 형상의 메인 커버(52)와 메인 커버(52)의 양측에 구비된 결합 날개(54a, 54b)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결합 날개(54a, 54b)에는 결합공(56)이 구비되고, 결합공(56)에는 결합 볼트(58a)가 삽입되어 결합 너트(58b)와 결합함으로써 제 1 보호 커버(50a)와 제 2 보호 커버(50b)가 강관 버팀보(1) 및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의 외주연에 장착된다.
한편, 제 1 보호 커버(50a)의 메인 커버(52)에는 연결 장치 수용부(60)와 고정바 수용홈(62)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의 연결판(20)의 지름은 강관 버팀보(1)의 지름보다 크게 형성되어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는 강관 버팀보(1)보다 지름 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메인 커버(52)에는 연결 장치 수용부(60)가 일련의 벨트 형상으로 구비되어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10)로 인해 메인 커버(52)가 강관 버팀보(1)의 외주연에 밀착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메인 커버(52)에는 고정바 수용홈(62)이 형성되어 강관 버팀보(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고정바(46)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으로, 메인 커버(52)의 내측면에는 고무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킹층이 형성되어 제 1 보호 커버(50)와 제 2 보호 커버(50)가 강관 버팀보(1)의 외주연에 결합시 상호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강관 버팀보 연결을 매우 용이 하게 할 수 있으며, 강관 버팀보의 설치 및 해체 시간과 노동력을 절감할 수 있어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의 절감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7)

  1. 강관 버팀보를 상호 연결하는 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구비되는 연결판(20);
    상기 연결판(2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되는 키부착판(30); 및
    연결바(42)와, 상기 연결바(42)의 하부에 구비되는 작동바(44)와, 상기 연결바(42)의 상부에 구비되는 고정바(46)를 구비하고, 상기 키부착판(30)에 회동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전단키(40)를 포함하고,
    상기 강관 버팀보의 연결에 따라 상기 전단키(40)가 회동하여 상기 고정바(46)가 상기 강관 버팀보의 단부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 구비된 삽입홈(3)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단키(40)는 상기 키부착판(30)에 방사형으로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키부착판(30)은 열십자(┼) 형상이며, 상기 전단키(40)는 상기 키부착판(30) 각각에 4개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강관 버팀보가 연결된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상하부에서 결합되어 연결부 및 연결 상태를 보호하도록, 메인 커버(52)와 상기 메인 커버(52)의 좌우측에 구비되는 결합 날개(54a, 54b)를 각각 포함하는 제 1 보호 커버(50a)와 제 2 보호 커버(50b)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52)의 중앙부에는 벨트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연결 장치 수용부(6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52)에는 상기 강관 버팀보(1)의 상기 삽입홈(3)을 통해 돌출되는 고정바(46)를 위한 고정바 수용홈(6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커버(52)의 내측면에는 패킹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KR1020060130313A 2006-12-19 2006-12-19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KR1013253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3A KR101325331B1 (ko) 2006-12-19 2006-12-19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0313A KR101325331B1 (ko) 2006-12-19 2006-12-19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7016A true KR20080057016A (ko) 2008-06-24
KR101325331B1 KR101325331B1 (ko) 2013-11-08

Family

ID=39803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0313A KR101325331B1 (ko) 2006-12-19 2006-12-19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53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6926B1 (ko) 2018-04-02 2020-01-16 장남종 강관 버팀보용 연결 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3975B2 (ja) * 1994-04-19 1997-09-17 アサヒ産業株式会社 パイプジョイント
JP2005291242A (ja) * 2004-03-31 2005-10-20 Shinshu Tlo:Kk ジョイント部材
KR200412813Y1 (ko) * 2005-12-29 2006-03-31 (주)핸스건설 강관 버팀보 중간 이음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25331B1 (ko) 2013-1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8736B1 (ko) 버팀보용 강관 이음장치 및 접합장치
RU2582380C2 (ru) Опора трубопровода
KR100698878B1 (ko) 강관 버팀보의 와이형 연결구조
KR101687495B1 (ko) 지하 구조물 구축을 위한 부분 탑다운 공법
KR100656194B1 (ko) 터널공법을 적용한 개착식 공법
JP5351382B2 (ja) 立坑用足場の組立方法及び立坑用足場の撤去方法
CN109654295B (zh) 弯头接入点临时止推块及其施工方法和设计方法
CN105604064A (zh) 综合管线保护体系支撑体系施工方法
KR101325331B1 (ko) 강관 버팀보 연결 장치
US11255065B2 (en) Cover band of steel pipe strut connector, steel pipe strut connector having same, and steel pipe strut assembly
KR20100001516A (ko) 가설 흙막이 공법에 있어서의 사각강관으로 된 버팀보와경사버팀재의 연결구조
KR100919990B1 (ko) 경사 차단판이 설치된 추진관
KR101325383B1 (ko) 강관 버팀보 연결 구조
US7021868B1 (en) Lightweight shoring system for accommodating crossing utilities
CN108678791A (zh) 一种新型复合式锁脚锚杆节点装置
KR102186630B1 (ko) 상하수도공사 시공방법
KR101003039B1 (ko) 인양수단을 갖는 가설 흙막이 공사용 사각강관 버팀보
KR101235717B1 (ko) 터널공사용 조립식 가설재
KR20170052317A (ko) 강화된 연약지반용 어스앵커 구조체
CN215978829U (zh) 一种公路工程用基坑安全防护装置
CN220581845U (zh) 一种大跨度压力管线临时架空保护结构
CN221030296U (zh) 一种装配式钢结构防水防土墙
JP2003129505A (ja) 非開削による既設管人孔接続部の耐震化工法
CN209114480U (zh) 一种基坑斜撑装置
CN219509681U (zh) 一种简易装配式盾构隧道钢封门应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