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684A -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684A
KR20080056684A KR20070133692A KR20070133692A KR20080056684A KR 20080056684 A KR20080056684 A KR 20080056684A KR 20070133692 A KR20070133692 A KR 20070133692A KR 20070133692 A KR20070133692 A KR 20070133692A KR 20080056684 A KR20080056684 A KR 2008005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maximum ratio
communication
station appar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133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5015B1 (ko
Inventor
마사히꼬 야하기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0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91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sectors, i.e. sector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1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different reception schemes, at least one of them being a diversity reception sche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68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 H04B7/0874Hybrid systems, i.e. switching and combining using subgroups of receive antenn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 H04B7/083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receiving station using pre-detection combining
    • H04B7/0842Weighted combining
    • H04B7/0848Joint weighting
    • H04B7/0857Joint weighting using maximum ratio combining techniques, e.g. signal-to- interference ratio [SIR], received signal strenght indication [R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고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이동 통신 시스템은 기지국 장치가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 유닛과, 이동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선택 합성 유닛을 더 포함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선택 유닛은 통신 중인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의 변경 및 외부 요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최대비 합성 유닛과 선택 합성 유닛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처리, 선택 합성 처리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MOBILE COMMUNICATIONS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BASE STATION APPARATUS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이 출원은 2006년 12월 18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2006-339939호에 기초하여 그 우선권에 따른 이익을 주장하며, 인용에 의해 그 전체 내용이 본원에 포함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 합성의 기술적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는 무선 통신 매체(즉, 전파)를 이용하는 통신 회선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이동하는 중에 다른 사람들과 통신을 행할 수 있다. 이런 특징이 사용자에게는 매력적이므로, 이동 통신 시스템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중요한 사항은 무선 통신 매체를 통해 신호를 전송할 때 가능한 적은 에너지(즉, 전력)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환언하자면, 무선 통신 매체, 즉 무선 통신 링크를 통해 통신 회선을 설정할 때 필요로 되는 전력을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그 이유는 사용 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링크와 또 다른 사용자가 사용하는 무선 통신 링크 간의 간섭은 최소 전력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링크를 설정함으로써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는, 제한된 통신 대역으로 통신 용량의 증가를 유리하게 획득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링크에서 필요한 전력을 줄이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서, 기지국 장치에서의 수신 효율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있다. 수신 효율의 향상이란, 필요한 신호 대 잡음 비(S/N 비)를 얻는 데 필요한 송신측(즉, 이동 단말기)의 전력을 줄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소위 제3 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DMA) 통신 방식을 채용한다. CDMA 통신 시스템은 통상의 접근 방식(예컨대, 주파수 분할 다중 접근(FDMA) 통신 방식, 시간 분할 다중 접근(TDMA) 통신 방식 등)과 다른 통신 방식을 채용한다.
즉, 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 간에 복수의 무선 통신 링크를 동시에 설정한다. 이런 통신에서는, 일반적으로,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 또는 "소프트 핸드오프(soft handoff)"라 칭하는 동작이 행해진다.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 간의 통신 링크는 "하향 링크" 및 "상향 링크"를 포함한다. 하향 링크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이동 단말기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링크이다. 한편, 상향 링크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통신 링크이다.
CDMA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 링크의 연결 모드 시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각각이 전파를 송신한다. 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전파를 수신한다. 상술한 연결 모드를 사용하므로, CDMA 통신 시스템에서는 소위 레이크(RAKE) 수신 방식을 채용한다.
레이크 수신 방식을 채용한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신호를 수신하고, 그 내부의 하나 이상의 회로들은 신호를 개별적으로 분리시킨다. 이동 단말기는 신호들이 동일한 도달 시각을 갖도록 하고, 또한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최대 수신 이득이 얻어지게끔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하는 조정을 행한다. 그 후에, 이동 단말기는 가중치가 부여된 신호를 역 확산시켜 디코딩된 기저대 신호를 얻는다.
한편, CDMA 통신 시스템에서 상향 링크의 연결 모드 시에는, 한 이동 단말기가 송신한 전파를 이동 단말기 주변에 위치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수신한다. CDMA 통신 시스템에는, 각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성에 관련하여 기지국 장치가 수신한 무선 신호를 처리하는 여러 방법이 존재한다.
제1 방법에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또한 수신된 신호를 역 확산하여 디코딩된 기저대 신호를 획득한다. 이 방법에서 각 기지국 장치에서 개별적으로 디코딩되는 신호는 그 신호의 품질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이 방법을 "소프트 핸드오프"라 칭한다. 상술한 프로세스에서 복수의 수신된 신호 각각의 품질을 개별적으로 평가한 후에, 정상 신호만을 선택하고, 선택된 신호들을 합성하여 기저대 신호를 얻는다. 이런 프로세스들을 "선택 합성(SC)"이라 칭한다.
제2 방법은 소위 "섹터 기지국"을 이용하는 방법이다. 섹터 기지국은 섹터 안테나라 칭하는 복수의 안테나 소자를 포함한다. 섹터 기지국의 복수의 섹터 안테나들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개별적으로 수신하고, 섹터 기지국은 이 신호를 섹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신호의 도달 시각 각각이 서로 동일하게 되도록 조정한다. 그 후에, 섹터 기지국은 도달 시각들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진 수신된 신호들을 합성한다. 제2 방법은, 원칙적으로는, 상술한 하항 링크의 연결 모드 시에는 레이크 방식(즉,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된 하항 링크 신호들을 하나의 이동 단말기에서 합성하는 방식)과 거의 동일하다. 이 방법은 또한 "소프터 핸드오프"라 칭한다. 도달 시각들이 서로 동일해지도록 조정되어진 수신된 신호들 각각은 수신 이득이 최대가 되도록 가중치가 부여된다. 이런 프로세스를 "최대비 합성(MRC)"라 칭한다. 섹터 기지국에서 가중치가 부여되는 수신된 신호들 각각을 디코딩하여 기저대 신호를 얻는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00-13289호에서는 소프트 핸드오프(선택 합성) 및 소프터 핸드오프(최대비 합성)를 합성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에서는, 레이크 수신 방식을 채용한 복수의 섹터 안테나(섹터 기지국)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을 디코딩하여 기저대 신호를 획득한다. 디코딩된 신호는 다른 기지국 장치에서 수신된 신호에 기초한 기저대 신호로부터 디코딩된 신호와 비교된다. 이 방법에서는, 서로 비교되는 디코딩된 신호들 중 하나는 디코딩된 신호들의 품질에 따라 선택된다. 즉, 이 방법에서 레이크 수신 방식의 수신 형태는 소프터 핸드오프와, 소 프터 핸드오프에 의해 얻어진 신호와 또 다른 기지국 장치에 의해 얻어진 신호가 품질 정보에 따라 선택되는 소프트 핸드오프를 합성한 수신 형태이다.
상향 링크에서 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 또는 복수의 섹터 안테나가 수신하는 기술을 다이버시티 기술이라 한다. 다이버시티 기술을 채용함으로써,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한 기지국 장치가 수신한 신호의 수신 전력 레벨이 건물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감소되더라도,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또 다른 기지국 장치가 수신한 신호에 의해 효율적으로 수신될 수 있다. 이런 다이버시티 기술 효과를 공간 다이버시티 효과라 칭한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의 수신 이득(수신 효율)에 대해서는, 선택 합성(SC)의 효과와 최대비 합성(MRC)의 효과가 다르다. 이하, 두 케이스를 비교하기로 한다.
우선, 제1 수신 형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두 기지국 장치가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케이스이다. 제2 수신 형태는 하나의 섹터 기지국에 제공된 두 개의 섹터 안테나가 무선 신호를 각각 수신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케이스이다.
선택 합성(SC)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중 적어도 하나의 기지국 장치에서 수신된 전력은 수신에 필요한 소정의 수신 레벨에 부합할 필요가 있다.
한편, 최대비 합성(MRC) 처리를 행할 경우에는, 하나의 섹터 기지국 내의 각각의 섹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복수의 수신 신호를 부가함으로써 신호 합성이 행 해진다. 이런 이유로 인해, 최대비 합성(MRC)은 각 섹터 안테나에 의해 수신된 합성 전의 신호 레벨을 선택 합성(SC)에서와 같이 상기 소정의 수신 레벨에 부합시킬 필요가 없는 특징을 갖는다.
환언하자면, 상향 링크에서, 최대비 합성 방법의 수신 이득은 일반적으로 선택 합성 방법의 수신 이득보다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최대비 합성 방법에서는, 필요한 신호 레벨을 만족시키는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이 선택 합성에서 필요로 되는 송신 전력에 비해 낮더라도 양호한 품질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비 합성 방법을 광범위하게 이용할 경우,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결과적으로는, 상향 링크의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최대비 합성 방법은 높은 수신 이득의 이점을 갖는다. 그러나, 최대비 합성(MRC) 처리를 행할 경우, 신호 합성을 행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 측에서의 통신 회선은 무선 섹션에서의 신호의 전송 레이트를 감소시킴이 없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고속 회선이어야 한다. 이런 제한이 존재하므로, 최대비 합성 방법은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또는 섹터 안테나) 간의 모든 연결 패턴에 대해 사용될 수 없다. 여기서, 상기 제한에 대해서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할 것이다.
선택 합성 방법에서는, 무선 섹션에서 고주파수 대역 내의 수 ㎒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디코딩하고, 또한 디코딩에 의해 얻어진 약 십 수 ㎑ 대역폭을 갖는 기저대 신호가 얻어진다. 선택 합성 방법에서는, 기저대 신호 및 임의 양의 품질 정보가 부가되는 신호를 선택 합성의 판정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전송하는 것은 충분하다. 즉, 선택 합성 방법에서는, 약 십 수 ㎑의 대역폭을 갖는 통신 회선으로 선택 합성이 이루어지는 지점에 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충분하다.
이와 대비하여, 최대비 합성 방법에서는, 우선, 각 섹터 안테나는 무선 섹션에서 고주파수 대역의 수 ㎒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전송 레이트를 변경하지 않거나 그 신호를 동일한 대역폭으로 유지시키면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는, 수신된 각 신호의 도달 시각을 조정하고 최대비 합성 방법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수신 이득에 가중치를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인해, 최대비 합성 방법에서는, 기지국 측의 통신 회선에서는 상기한 무선 섹션의 레이트와 거의 동일한 레이트를 갖는 고속 회선이 필요로 된다.
따라서, 상기한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복수의 안테나 소자(섹터 안테나)에 의해 개별적으로 수신된 신호들을 무선 섹션에서 고속 신호와 거의 동일한 신호레이트를 유지시키면서 처리할 수 있는 하나의 기지국(섹터 기지국)에서는 최대비 합성 방법이 채용된다. 즉,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서는 최대비 합성 방법을 채용하지 않는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한 기지국에 의해 제어되고 이웃하는 섹터와 중첩되는 영역(이 영역이 기지국의 서비스 유효 영역임)에만 위치해 있는 몇몇 사례들이 있다. 사실상,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를 가로질러 서로 면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영역에 흔히 위치해 있다. 즉, 이동 단말기가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영역에 위치해 있는 사례는 종종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가 복수의 기지국 영역에 존재하는 경우, 수신 이득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 그 결과, 상향 링크의 용량을 중 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향 링크의 용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을 송신 속도가 무선 섹션의 송신 속도와 거의 동일한 고속 회선에 연결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 그러나, 비용을 고려해 볼 때 이웃하는 기지국 장치들 모두를 고속 회선에 메쉬로(in a mesh) 연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신호를 전송하는 상향 링크에서는, 상향 링크의 수신 이득 효율 향상 관점에서 볼 때 하나의 기지국 장치(섹터 기지국)에 인접 배치된 섹터 안테나들 간에서만 최대비 합성(MRC) 방법을 채용하는 한편, 다른 위치에 속해 있는 여러 기지국 장치들 간에서는 선택 합성(SC) 방법을 채용하는 시스템 구성이 개선되어야 한다. 여기서, 이런 시스템 구성에 채용되는 합성 처리의 문제 및 현 상태에 대해 도 45, 도 46a 내지 46c 및 도 47a 내지 47c를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기로 할 것이다.
도 45는 종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종류의 기지국 장치들이 서로 연결되는 시스템 구성 및 수신된 신호의 처리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5에서, 기지국 장치(12020)는 3 개의 섹터 안테나(12011, 12012 및 12013)를 갖는 섹터 기지국이다. 기지국 장치(12020)는 3 개의 섹터 안테나에 의해 서비스 유효 영역으로서 기지국 영역(121)을 형성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12020)는 비지향성 안테나(예컨대, 전방향성 안테나 등)를 갖는 기지국 장치로서, 서비스 유효 영역으로서 기지국 영역(122)을 형성한다.
두 기지국 장치(12020 및 12021)가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경우, 이동 단말기(101)는 기지국 영역(121)과 기지국 영역(122) 사이의 경계 상의 한 지점에 위치된다. 이동 단말기(101)는 기지국 영역(121)에서 두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의 중첩된 서비스 유효 영역에 존재하고, 또한 기지국 장치(12021)의 서비스 유효 영역(기지국 영역(122)) 내에 존재한다.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하나의 기지국 장치(섹터 기지국)(12020)의 내부에서 처리된다. 기지국 장치 내의 섹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용으로 고속 회선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최대비 합성 방법에 의한 신호 합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서비스 유효 영역이 기지국 영역(121)인 기지국 장치(12020)에 최대비 합성기(CMB)(1301)를 설치한다. 최대비 합성기(1301)는 3개의 섹터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도 45에 도시된 사례에서는, 두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최대비 합성기(1301)는 최대비 합성 처리의 출력에 기초하여 기저대 신호를 디코딩하고, 또한 디코딩된 신호에 소정의 품질 정보를 부가한다. 최대비 합성기(1301)의 출력 신호는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DHT)(1302)로 전송되어 또 다른 기지국 장치에 설치된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와 선택 합성을 수행한다.
한편, 또 다른 기지국 장치에 설치된 안테나로부터의 신호와 선택 합성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지국 장치(12021)는 기지국 영역(122)에서 수신된 신호를 기저대 신호로 디코딩하고, 또한 소정의 품질 정보를 디코딩된 신호에 부가한다. 기지 국 장치(12021)의 출력 신호는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1302)로 전송된다.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1302)는 기지국 영역(121)을 지원하는(cover) 기지국 장치에서 디코딩된 기저대 신호를 수신하고, 기지국 영역(122)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에서 디코딩된 기저대 신호를 수신한다. 또한, 수신된 각 기저대 신호에 부가되는 품질 정보를 참조하여,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1302)는 품질 정보에 기초하여 수신된 두 기저대 신호 중 하나를 선택한다. 선택된 신호는 RNC(무선 네트워크 제어기)(1307)로 전송된다.
도 45의 예의 경우, 이동 단말기(101)로부터 보내진 신호의 품질에 대해,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1302)로 입력되는 두 신호 중 하나 또는 모두의 품질이 소정 레벨을 만족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두 신호는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이 최대비 합성에 의해 처리되고 처리된 신호가 기저대 신호로 디코딩되는 프로세스에 의해 얻어진 신호와, 기지국 장치(1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기저대 신호로 디코딩되는 신호를 포함한다.
그러나,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 및 기지국 장치(12021)에 의해 수신된 모든 신호들을 최대비 합성 방법을 이용하여 합성시킴으로써 높은 수신 이득을 얻을 수 있다. 이런 방법을 실제로 적용할 수 없는 이유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한 외부 장치에서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할 수 있는 고속 회선을 이용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상향 링크에서, 가능한 많은 수신 안테나로부터의 출력(기지국 장치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와 기지 국 장치 또는 섹터 안테나 사이에 구성되는 모든 연결 패턴들을 서비스 영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고려함으로써 사전에 모든 고속 회선을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 고속 회선에 의해 연결되는 비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치 또는 섹터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이하, "기지국 장치 그룹"으로 축약함)은 기지국 장치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서비스 유효 영역들이 인접하는 연결 패턴을 형성한다. 다른 연결 패턴으로서, 고속 회선에 의해 연결되어야 하는 기지국 장치 그룹에서, 이웃하는 서비스 유효 영역 사이에 하나 이상의 기지국 장치 그룹들이 존재하여, 그 결과, 연결 패턴은 모든 서비스 유효 영역이 근접(close)하는 패턴이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 그룹의 연결 패턴이 상기 판정 기준에 따라 선택될 경우, 설사 가시적으로 두 서비스 유효 영역이 이웃하거나 근접하는 것으로 판정되더라도, 실제로는, 전파에 대해 장해물일 수 있는 구조물의 위치나 높이의 영향으로 인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것이 효율적이지 않은 경우가 있다.
따라서, 모든 연결 패턴들을 고려하여 고가의 고속 회선을 미리 준비하는 것은 비용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않다. 게다가, 이들 고속 회선이 영구적으로 설정되면, 통신 회선들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상태로 쓸모없이 남겨 진다. 따라서, 실제로 필요로 되는 고속 회선만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통신 시스템이 주로 사용되는 지역은 혼잡한 도시 지역이나 인구 조밀 지역이다. 그러나, 이들 지역에서는,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들의 분포 상황은 매 순간 변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들은 평일 아침에, 낮 동안에, 저녁 에, 늦은 밤에, 주말이나 특별 행사에서와 같은 임의 상황에 따라 이동하므로,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의 분포 상황은 사용자들의 이동에 따라 변한다. 이런 이유로, 비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치와 섹터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간에서 사용자들(이동 단말기들)의 이동이나 분포 상황에 따라 가능한 많이 최대비 합성 방법을 사용하여 수신을 실현함으로써 상향 링크의 간섭 전력을 줄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45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이동 단말기가 이동하는 통신 회선의 연결 상태의 이행(transition)에 대해 도 46a 내지 46c 및 도 47a 내지 47c를 참조하면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6a 내지 46c는 도 45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비 합성기와 선택 헙성기의 연결 모드를 일반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46a 내지 46c에서는, 도 45에 도시된 최대비 합성기(1301)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1305)로 표현된다. 도 45에 도시된 다이버시티 핸드오버 트렁크(1302)는 선택 합성 포인트(SC-P)(1306)로 표현된다.
도 46a는 이동 단말기(101)가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에 근접하고, 또한 기지국 장치(12021)에 근접한 상황을 도시한다. 이런 경우에, 섹터 기지국(12020)에 설치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는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1306)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에 의해 합성된 신호와 기지국 장치(비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한다.
다음으로, 도 46b는 이동 단말기(101)가 도 46a에 도시된 위치와는 다른 또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즉, 도 46b에서는, 이동 단말기(101)는 도 46a에 도시된 위치에 비해 기지국 장치(12021)에 의한 서비스 유효 영역을 벗어나 약간 이동하여,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에 의한 서비스 유효 영역 사이의 경계 상에 위치한다. 이런 경우에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에서 섹터 안테나(12012 및 12013)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적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그러나, 그 상황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의 출력 신호 및 기지국 장치(12021)의 출력 신호를 사용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것은 효과적이지 않다. 따라서, 도 46b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기지국 장치(12021)의 출력 신호는 신호 합성을 위한 입력 소스에서 제외된다.
도 46c는 이동 단말기(101)가 상술된 도 46a 및 도 46b에 도시된 위치와 다른 또 다른 위치로 이동하는 상황을 도시한다. 도 46c는 이동 단말기(101)가 기지국 장치(12021)의 기지국 영역(122)의 경계와 섹터 안테나(12013)(기지국 영역(121))의 경계 상에 위치해 있으며, 또한 섹터 안테나(12012)로부터 떨어진 위치 상에 위치해 있는 상황을 도시한다. 그래서, 선택 합성 포인트(1306)는 섹터 안테나(12013)의 출력 신호와 기지국 장치(1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한다.
이하, 상술한 도 46a 내지 도 46c에 도시된 각 상황에 대한 신호 처리에서의 차이점을 도 47a 내지 도 47c를 참조하면서 기술하기로 한다.
도 47a 내지 도 47c는 도 46a 내지 도 46c에 도시된 상황에서 기지국 장치(12020 및 12021),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 및 선택 합성 포인트(1306)의 통신 연결 관계를 논리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7a는 상술한 도 46a에 도시된 연결 상황을 논리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7a에서, 섹터 안테나(12012, 12013)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를 연결하는 굵은 선은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고속 회선을 나타낸다. 즉, 고속 회선은 섹터 기지국(12020)에서 각 섹터 안티나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를 연결하는 통신 회선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섹터 기지국(12020)에 제공된 고속 회선(도 47a에서 굵은 선)은 최대비 합성 방법에 대한 설명 시에 언급한 바와 같이 무선 섹션에서 고주파수 대역의 수 ㎒ 대역폭을 갖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송신 링크와 거의 동일한 성능을 갖는 회선이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는 섹터 안테나(12012, 12013)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고, 또한 선택 합성 포인트(1306)에 그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1306)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로부터 수신된 신호와 기지국 장치(1202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한다. 선택 합성을 위해 사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각 통신 회선용으로 저속 회선을 사용하는 것이 사전 조건이므로, 통신 회선은 가는 선으로 표시된다.
여기서, 가는 선으로 표시된 저속 회선은 선택 합성 방법의 설명 시에 상술된 바와 같이 수 ㎒ 대역폭을 갖는 고속 회선에 비해 송신 속도가 매우 저속인 가는 선이다.
도 47b는 상술된 도 46b에 도시된 연결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경우, 최대비 합성 처리는 섹터 안테나(12012, 12013)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이용하여 행해지므로, 섹터 안테나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를 연결하는 회선은 도 47a와 동일한 굵은 선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기지국 장치(1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도 46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1)의 위치적 관계로 인해 입력 소스에서 제외된다. 따라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와 선택 합성 포인트(1306) 간의 통신 회선(저속 회선)은 설정되지 않는다. 즉, 선택 합성 포인트(1306)는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도 47c는 상술된 도 46c에 도시된 연결 상황을 논리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6c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1)의 위치적 관계로 인해 섹터 기지국(12020)에서는 섹터 안테나(12013)에 의해 수신된 신호만이 사용된다. 그래서, 섹터 안테나(12013)와 선택 합성 포인트(1306)를 연결하는 저속 회선 및 기지국 장치(12021)와 선택 합성 포인트(1306)를 연결하는 저속 회선이 설정된다. 선택 합성 포인트(1306)는 저속 회선들을 통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한다.
도 47a 내지 도 47c에서는, 최대비 합성 처리에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고속 회선(굵은 선) 및 선택 합성에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저속 회선(가는 선)이 이동 단말기(101)의 위치 관계에 따라 각 섹터 안테나에 대해 적합하게 설정된다. 한편, 하나의 전방향성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치(12021)에 대해서는, 선택 합성에 이용되는 신호를 전송하는 저속 회선(가는 선)만이 설정된다.
상술된 예로서는, 각 안테나 소자에서 수신된 신호를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기 위해 송신 속도가 무선 섹션의 송신 속도와 거의 동일한 고속 회선을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최대비 합성기)로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런 이유로, 일반적인 시스템 구성에서는, 고속 회선이 이용가능한 섹터 기지국에서만 최대비 합성 처리가 행해진다. 이런 경우, 최대비 합성 처리는 하나의 섹터 기지국에 설치된 복수의 섹터 안테나들 사이에서만 행해진다. 즉, 통상의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 간에서는 최대비 합성 처리가 수행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및 기타 예시적인 문제점, 단점, 결함들을 해결하려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특징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전송된 무선 신호의 수신 이득의 향상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전달되는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써 통신 회선의 용량 증가를 실현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1 예시적인 양상에 따르면,
(1)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으며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2)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연결가능하고,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동 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부,
(3)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통신하도록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연결가능하고,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동 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선택 합성부 및
(4) 하나의 이동 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동 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합성을 행할 경우, 이동 장치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의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 변경과 외부 요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최대비 합성부와 선택 합성부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하는 선택부
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2 예시적인 양상에 따르면,
(1)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으며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된, 이동 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부에 연결하고; 또한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선택 합성부에 연결하는 단계 및
(2) 하나의 이동 장치로부터 전송된 무선 신호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수신 하는 것에 응답하여,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전송된, 이동 장치로부터의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신호 합성을 행할 경우, 이동 장치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하의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 변경과 외부 요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최대비 합성부 또는 선택 합성부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를 포함하여 제공되며, 기지국 장치는,
(1)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회선과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는 선택 합성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2 통신 회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 회선을 설정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제어 모듈 및
(2)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의 수신지를 통신 중의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 변경에 따라 최대비 합성부 또는 선택 합성부로 변경하도록 외부 장치에게 요청하는 요청 모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인 양상에 따르면,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되며, 이 컴퓨터 프로그램은,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회선과 선택 합성 처 리를 행하는 선택 합성부와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2 통신 회선 중 적어도 하나로 통신 회선을 설정함으로써 정보를 전송하는 통신 제어 함수 및
(2)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상응하는 정보의 수신지를 통신 중의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 변경에 따라 최대비 합성부 또는 선택 합성부로 변경하도록 외부 장치에게 요청하는 요청 함수를 포함한다.
게다가, 상술한 제1 예시적인 특징은 또한 상술된 각 구성을 갖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 대응하는 제어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술된 제1 예시적인 특징은 또한 상술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 포함된 기지국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더욱이, 제1 예시적인 특징은 또한 컴퓨터로 하여금 상술된 기지국 장치를 실현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저장된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기타 예시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은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이와 같이,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수신하면,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이동 단말기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커버되는 서비스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분포 상태의 변경 및/또 는 외부 요인에 따라 가장 적합한 합성 포인트, 즉 최대비 합성 포인트 또는 선택 합성 포인트를 선택함으로써 정확하게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 이득이 향상되므로, 그 결과,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회선 용량의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및 선택 합성 포인트(SC-P)가 고속 회선(1001)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연결 관계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파에 대한 장애물의 실재 상황 또는 지역적인 트래픽 상태(예컨대, 구조물, 차량의 긴 기간의 정지 등)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관련 장치에 대한 규정 수를 줄일 수 있다.
지금부터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기술에서, 우선,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해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동작을 구체적으로 실현하는 시스템을 구성하는 각 장치의 동작 및 처리 구성에 대해 도 25 내지 도 4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주로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305), 선택 합성 포인트(SC-P)(306),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307),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는 서비스 유효 지역(즉, 기지국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도시 안됨)와 무선 통신을 행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는 고속 회선(1001) 또는 저속 회선(1002)을 이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서 송신한다. 이들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성은 도 25를 참조하여 나중에 기술하기로 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즉, 최대비 합성부)(305)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의 출력은 선택 합성 포인트(306)로 전송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가 배치되는 위치와는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속해 있다.
선택 합성 포인트(즉, 선택 합성부)(306)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대해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하고 이들 기지국 장치들이 배치되는 위치와는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선택 합성기를 포함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306)의 출력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로 전송된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의 출력 신호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보다 상위 계층의 장치인 이 동 서비스 교환국(MRC)(도시 안 됨)에 연결된다.
고속 회선(즉, 제1 통신 회선)(1001)은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를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에 연결시키는 광대역 통신 회선이다. 고속 회선(1001)은 도 1에서 굵은 선으로 표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고속 회선(1001)은 최대비 합성(MRC) 처리를 위해 주로 활용된다(나중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저속 회선(즉, 제2 통신 회선)(1002)은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 선택 합성 포인트(306) 및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를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시키는 협대역 통신 회선이다. 저속 회선(1002)은 도 1에서 가는 선으로 표현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저속 회선(1002)은 선택 합성(SC) 처리를 위해 주로 활용된다(나중에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이하 기술될 설명에서는, 고속 회선(1001)을 이용한 통신 회선의 설정을 "MRC 연결"이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저속 회선(1002)을 이용한 통신 회선의 설정을 "SC 연결"이라 칭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인터넷 프로토콜(IP) 네트워크 등의 전송 수신지 어드레스를 표현하는 어드레스 헤더를 포함하는 패킷 링크를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는, 각 전송 수신지 지점마다 상이한 시간 슬롯이 할당되는 동기식 디지털 계층(SDH)을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용으로 논리적으로 등가인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예에서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와 선택 합성 포인트(306) 간의 연결 시에 저속 회선(1002)을 사용한다. 그러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와 선택 합성 포인트(306) 간의 연결 시에 고속 회선(1001)을 이용한 연결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지역과 섹터 안테나 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예에서는, 각 기지국 지역(21 내지 24)은 섹터 기지국의 서비스 유효 지역으로서 물리적으로 상이한 위치에 있는 4 개의 섹터 기지국으로 형성된다. 섹터 기지국의 기지국 지역(21 내지 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 개의 섹터를 포함하는 하나의 셀을 형성한다. 즉,
기지국 지역(21): 섹터 안테나(2011 내지 2013)
기지국 지역(22): 섹터 안테나(2021 내지 2023)
기지국 지역(23): 섹터 안테나(2031 내지 2033) 및
기지국 지역(24): 섹터 안테나(2041 내지 2043)
도 2에 도시된 예에 따르면, 섹터 안테나의 어느 서비스 유효 지역들이 서로 인접해 있거나 서로 중첩되어 있는지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자면, 기지국 지역(21) 내의 섹터 안테나(2013)의 서비스 유효 지역은 기지국 지역(21)의 섹터 안테나(2011 및 2012)의 서비스 유효 지역, 기지국 지역(22)의 섹터 안테나(2022)의 서비스 유효 지역 및 기지국 지역(23)의 섹터 안테나(203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인접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지역(24)의 섹터 안테나(2041)의 서비스 유효 지역은 기지국 지역(24)의 섹터 안테나(2042 및 2043) 및 기지국 지역(22)의 섹터 안테나(2023)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인접한다.
상술한 방법은 이웃하는 안테나 지역을 가시적으로 찾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전파를 차단하는 구조물, 전파 등을 반사시키는 구조물이 각 섹터 안테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지 않는 제한적인(이상적인) 조건 하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런 제한 사항을 극복하기 위해, 출원인은 예컨대, 일본 특허원 제2006-127387호에서 다음과 같은 방법을 제안하였다.
즉, 2006년 5월 1일자로 출원된 일본 특허원 제2006-127387호는 인용에 의해 본원에 포함되는 것에 주목하자.
보다 구체적으로, 이런 방법에서는, 기지국 장치들 간의 인접 상황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보고된 무선 조건에 대한 통계적인 처리에 의해 판단되고, 기지국 장치를 섹터 안테나에 연결하는 예기된 경로는 이런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발생된 데이터(즉, 인접한 셀 정보)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된다.
즉, 일본 특허원 제2006-127387호에 따른 방법은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를 개시한다.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강도에 기초하여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 간의 인접 상황을 판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런 방법에서는, 네트워크 제어 장치는 다음의 절차에 의해 인접 상황을 판단한다. 즉,
복수의 기지국 장치 각각에 대해, 이동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강도를 두 임계치에 기초하여 수신 강도의 내림 차순으로 제1 레벨에서 제3 레벨까지의 3 개 레벨로 분류하고,
복수의 기지국 장치들 중에서 두 기지국 장치를 선택하고,
선택된 두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강도가 제1 레벨에 대응할 경우에는, 두 기지국 장치는 이들 두 기지국 장치가 공간 전파 거리에서 서로 근접하게 존재하는 위치 관계를 갖는 "한 쌍의 밀접한 기지국 장치"인 것으로 판단하고, 한편,
선택된 두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강도 중 하나는 제1 레벨에 대응하고 나머지 하나는 제2 레벨에 대응할 경우, 두 기지국 장치는 이들 두 기지국 장치들 사이의 공간 전파 거리가 한 쌍의 근접한 기지국 장치의 공간 전파 거리보다 긴 위치 관계를 갖는 "한 쌍의 인접한 기지국 장치"인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의 구성소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최대비 합성(MRC)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이동 단말기(1011)는 기지국 장치(2011 및 2021)에 연결된다. 두 기지국 장치(2011 및 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은 이동 단말기(1011)를 위해 제공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로 전송 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코딩 프로세스를 행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1012)는 기지국 장치(2021 및 2031)에 연결된다. 기지국 장치(2021 및 2031)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는 이동 단말기(1012)를 위해 제공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 전송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는 이동 단말기(1012)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디코딩 프로세스를 행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예에서는,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를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설명의 편의상 각 노드를 서로 직접 연결시켰다. 그러나, 실제 상황에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노드는 임의로 연결될 수 있는 네트워크를 형성한다. 그래서, 기지국 장치(2021)는 이동 단말기(1011 및 1012)에 연결된다. 기지국 장치(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052)로 전송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전송을 위해 네트워크 함수인 "방송(broadcast) 함수"를 이용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 3051 및 3052)는 임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필요한 출력을 얻을 수 있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는 단지 통신 중의 이동 단말기(즉, 통화 중인 이동 단말기)의 증가 또는 감소에 관계없이 "방송 함수"를 사용함으로써 기지국을 그와 함께 연관시킨다. 이런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장치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에서의 회선 설정은 필요치 않다.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비 합 성 포인트와 선택 합성 포인트가 물리적인 장치에서 함께 수용되는 상황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에서,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및 2041)는 도 1에 도시된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에 의해 형성된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한편,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및 선택 합성 포인트(SC-P)는 물리적으로 존재하는 장치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502)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제1 장치에 수용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3 및 3504)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제2 장치에 수용된다. 제1 및 제2 장치는 네트워크에 연결된 장치들 중 하나이다. 즉, 제1 및/또는 제2 장치는 독립형일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장치는 이들 장치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을 경우, 기지국 장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또 다른 외부 장치 등 중 임의 장치에 수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의 연결 상태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5에서는 이동 단말기(101)에 대해 기지국 지역(21) 내의 섹터 안테나(2012 및 2013)와 기지국 지역(22) 내의 기지국 장치(2021) 간의 최대비 합성 연결 경로가 형성된 상태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기지국 지역(21)을 지원하는 기지국 장치(즉, 섹터 기지국)(20000)에 수용된다. 섹터 안테나(2012)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 간의 연결은 기지국 장치에서의 연결에 의해 설정된다. 섹터 안테나(2013)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 간의 연결은 기지국 장치에서의 연결에 의해 또한 설정된다.
기지국 장치(2021)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기지국 장치(20000) 내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에 고속 회선(1001)을 통해 연결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선택 합성 포인트(306)에 저속 회선(1002)을 통해 연결되고 또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저속 회선(1002)을 통해 연결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저속 회선(1002)을 통해 직접 연결된다. 이런 관계는 도 46a 내지 도 46c를 참조하여 상술한 연결 관계로 모든 안테나 출력들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에 연결되는 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에는, 실제로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신호들이 전송된 상황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1012)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도시하는 (테이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및 2041) 각각은 전방향성 안테나(비지향성 안테나)를 갖는 기지국 장치이다. 이동 단말기(1011, 1012 및 1013)는 도 6에 도시된 예로서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배치된다. 즉,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 간의 거리 관계는 이동 단말기 각각이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기(1011, 1012 및 1013) 각각 마다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동 단말기(1011)는 이동 단말기(1011)가 기 지국 장치(2011, 2021, 2031 및 2041)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속해 있다. 이동 단말기(1012)는 이동 단말기(1012)가 기지국 장치(2021, 2041, 및 2051)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속해 있다. 이동 단말기(1013)는 이동 단말기(1013)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와 통신할 수 있는 위치에 속해 있다.
이 때, 예를 들면, 이동 단말기(1011)의 경우,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상향 링크에 의해 송신된 신호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다.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 각 신호는 도 6에 도시하지 않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이는 도 5에 도시된 예에서 MRC-P(305)에 대응함)에 의해 합성된다. 상술한 신호 합성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할 것이다.
도 8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의 관점으로부터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도시하는 구성이다.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에서의 신호 전송 루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에서, 도 6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및 2051)는 예를 들어, 버스 타입의 네트워크(즉, 고속 회선(1001))를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내지 3503)에 연결된다. 도 8에 도시된 예에서는, 3 개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내지 3503)는 기지국 장치들이 그 네트워크 상에 배치된 위치들과는 물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외부 장치에 수용된다. 또한, 복수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가 복수의 외부 장치에 수용될 수 있는 데, 즉 상술된 하나의 외부 장치만으 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런 시스템 구성에서, 각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기지국 장치의 출력 신호가 송신되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는 도 9에 도시된 숫자(즉, 관리 테이블)에 따라 관리된다. 즉, 도 9에서, 이동 단말기의 식별 정보 및 이동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식별 번호 및 이동 단말기의 신호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의 식별 정보가 서로 연관된다. 관리 테이블은 도 8에 도시된 시스템 블록도에 도시되지 않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또는 회선 연결 제어기)에 의해 동적으로 관리된다.
여기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관리될 복수의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및 2051)의 동작들을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장치이다. 즉,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는 각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 내의 이동 단말기들의 이동에 따라 도 9에 예시된 관리 테이블을 동적으로 갱신한다. 갱신 동작은 예를 들어, 소정의 시간 주기로 수행된다. 그 결과, 각 기지국 장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전송하는 기지국 장치와, 그 신호가 전송될 최대비 합성 포인트를 판단한다.
또한, 관리 테이블(도 9)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유지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5 개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참조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시스템 구성에서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통신 회선의 연결 상황에 대해, 다음의 판단을 행한다.
즉,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의 신호가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을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로 전송된다. 마찬가지로, 이동 단말기(1012)로부터의 신호는 기지국 장치(2021, 2041 및 2051)를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 전송된다. 이동 단말기(1013)로부터의 신호는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를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3)로 전송된다. 그래서, 각각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가장 적합한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기 위해, 고속 회선(1001)을 통해 패킷 데이터를 수신할 경우,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각각은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한다. 여기서, 패킷 데이터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할 것이다.
도 1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 각각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의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을 형성하는 네트워크는 예로서 "방송 함수"를 사용한다.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및 2051)는 도 10에 예시된 포맷을 갖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하고, 또한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방송 함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전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10에 도시된 데이터 패킷은 어드레스 필드및 페이로드 필드를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및 2051)는 데이터 패킷(5011, 5021, 5031, 5041 및 5051) 각각을 네트워크에 전송한다.
즉, 기지국 장치(2011)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5011)은 페이로드(ANT2011) 및 어드레스 A(ANT2011)를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2011)는 이동 단말 기로부터 수신된 무선 신호에 기초하여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페이로드(ANT2011)에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를 설정한다.
여기서,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는 RF 회로 등을 사용하여 수신된 무선 신호에 대해서만 복조를 적용함으로써 얻어지고, 아직 역 확산(despread) 처리를 받지 않은 디지털 데이터이다. 이는,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포인트에서 역 확산 처리를 비롯하여 일련의 최대비 합성 처리가 행해지기 때문이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각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는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고속 회선(1001)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기지국 장치의 구성은 통상의 섹터 기지국 등의 기지국 장치의 구성과는 다르다.
이런 시스템 구성을 사용하더라도, 전송 대역(즉, 정보 용량)에 대해서는, 고속 회선(1001)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에서 적합한 최대비 합성 처리를 실현하기 위해 무선 섹션에서 전송된 코드 정보의 전송 레이트와 같거나 높은 광대역의 전송 대역을 가져야 한다. 이런 조건은 고속 회선(1001)에 수용되는 기지국 장치의 개수와 최대비 합성 포인트의 개수에는 상관없이 충족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고속 회선(1001)의 전송 레이트는 무선 섹션에서 전송된 코드 정보의 전송 레이트의 수 배인 전송 레이트를 확보해야 한다.
이런 광대역 전송 회선으로서, 예를 들어, 광 섬유를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광 섬유를 이용한 광대역 전송 회선의 형태를 변경하지 않고 무선 신호를 전송하는 RoF(Radio on Fiber)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
기지국 장치(2011)는 자신의 장치에 사전에 할당된 어드레스(즉, 식별 정보)를 어드레스 A(ANT2011)에 설정한다. 그 결과, 기지국 장치(2011)의 "방송 함수"에 의해 전송된 데이터 패킷(5011)이 완료될 것이다. 동일한 절차에 의해, 4 개의 다른 기지국 장치 역시 데이터 패킷을 각각 생성한다.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3052 및 3053)는 고속 회선(1001)을 통해 전달되는 데이터 패킷(5011, 5021, 5031, 5041 및 5051) 중에서 취해야 할 데이터 패킷을 판별한다. 이런 판별은 관리 테이블에 저장된 기지국 장치의 식별 번호 및 각 데이터 패킷의 어드레스 필드 내의 어드레스를 비교함으로써 실행된다. 각각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는 상기 판별에 따라, 취해진 데이터 패킷에 포함된 페이로드를 참조함으로써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일련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11 및 후속 도면에 도시된 각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도에서, 도면의 내용을 단순화하기 위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307)는 도시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 동작에서,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각 노드의 최종 동작을 결정한다.
도 11은 기지국 장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특정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3)에서 취해진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설명의 편의상, 도 11은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수신된 신호만이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되는 상황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하나의 기지국 장치가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수신하는 사례를 도 13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로부터,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도 11에서 개념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 내의 정보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11)에 대한 3 개의 기지국 장치의 방송 함수에 의해 전송되는 데이터 패킷(5021, 5031 및 5041)만을 받아들인다. 이들 최대비 합성 포인트에 대한 데이터 패킷이 도 11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 및 3053)는 마찬가지로 관리 테이블 내의 정보를 참조하여 이런 일련의 동작을 행한다.
여기서, 상술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3052 및 3053) 중 하나의 내부 구성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들 중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예로서, 3 개의 레이크 핑거(4012 내지 4014)(RAKE1, RAKE2, RAKE3) 및 최대비 합성기(CMB)(4015)를 포함한다. 레이크 핑거(4012, 4013 및 4014)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 각각에 연결된다. 각 레이크 핑거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수신된 데이터 패킷(5011)의 페이로드 필드 내의 디지털 데이터에 기초하여 역 확산 처리를 포함한 동기성 검출 처리를 행한다.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들이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에 중첩되면, 레이크 핑거(4012, 4013 및 4014)는 또한 특정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판별한다. 최대비 합성기(4015)는 레이크 핑거(4012, 4013 및 4014)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함으로써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의 신호들의 합성을 행한다. 최대비 합성 처리 시에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최대비 합성 처리 자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3은 기지국 장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특정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052)에서 취해진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들은 하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된다. 이것이 상술된 도 13에 도시된 상태와 도 11에 도시된 상태 간에서의 차이이다.
도 13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1011) 및 이동 단말기(1012)에 대해,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 내의 정보를 참조함으로써도 신호 합성을 위한 일련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즉, 도 13에서,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송신된 신호와 이동 단말기(1012)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21, 2031, 2041 및 2051)에 의해 수신된다.
기지국 장치(2021)는 이동 단말기(1011) 및 이동 단말기(1012)로부터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5021)을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21)는 고속 회선(1001)에 생성된 데이터 패킷(5021)을 전송한다. 기지국 장치(2031)는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5031)을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31)는 고속 회선(1001)에 생성된 데이터 패킷(5031)을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 역시 고속 회선(1001)에 생성된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을 전송한다.
즉, 도 13에 도시된 상태에서, 복수의 이동 단말기(1011 및 1021)로부터의 신호들이 중첩되는 신호가 기지국 장치(2021 및 2041)에 도달한다. 이것이 도 13에 도시된 상태와 도 11에 도시된 상태 간의 차이이다. 이런 경우, 기지국 장치(2021 및 2041)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들이 중첩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될 데이터 패킷의 페이로드 필드에 설정한다. 기지국 장치(2021 및 2041)는 데이터 패킷을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052)에 전송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052)는 도 12를 참조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수신된 데이터 패킷에 기초하여 복수의 레이크 핑거를 이용하여 각 이동 단말기에 대한 처리를 독립적으로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동 단말기(1011) 및 이동 단말기(1012)로부터의 신호들이 중첩되는 데이터 패킷은 데이터 패킷(5021) 및 데이터 패킷(5041)이다. 데이터 패킷들은 이동 단말기(1011)의 신호를 합성하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와 이동 단말기(1012)의 신호를 합성하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 모두에 배분되어 각 최대비 합성 포인트에 제공된 레이크 핑거들에 공급된다. 따라서, 각 기지국 장치는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 내의 정보를 이용하고, 그 결과,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필요로 하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에 의해 받아들여진다.
다음으로, 최대비 합성 포인트 뿐 아니라 선택 합성 포인트가 네트워크에 연결되는 이상적인 사례에 대해 도 14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4는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특정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의해 받아들여지고, 최대비 합성 포인트의 출력 및 기지국 장치(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특정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의해 받아들여지는 상황을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에서는, 단지 최대비 합성 포인트는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신호들을 합성한다. 이에 비해,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에서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 및 선택 합성 포인트가 네트워크 상에 공존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예에서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에 의해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신호에 대해 신호 합성을 행할 뿐 아니라, 선택 합성 포인트(SC-P)에 의해 합성된 신호 및 또 다른 기지국 장치에 의해 수신된 신호를 사용하여 신호 합성을 더 행한다.
여기서, 도 14의 설명을 쉽게 하기 위해,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로부터의 신호들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전송될 수 있는 한편, 기지국 장치(2021)로부터의 신호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전송될 수 없는 것으로 가정한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결 상황에서 신호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기본 구성은 상술된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구성과 동일하고, 또한 선택 합성 포인트(SC-P)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이 것이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구성과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구성 간의 차이이다. 즉, 도 15를 이용함으로써, 최대비 합성 처리 시에 이동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의 출력 신호들 중에서 어느 기지국 장치의 출력 신호를 사용해야 할지를 알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이용함으로써, 최대비 합성 처리의 처리 결과 및 선택 합성 처리 시에 사용해야 할 기지국 장치의 출력 신호를 알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6에 도시된 분포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되었다. 상기 분포 상태에 대응하는 도 15에 도시된 예(즉, 관리 테이블)는 다음 상태를 나타낸다.
즉,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는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전송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2021)는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신호를 수신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합성 결과인 신호를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한다. 기지국 장치(2021)는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데이터 패킷을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한다.
도 16은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기지국 장치를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 및 선택 합성 포인트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에서, 데이터 패킷(5121)은 기지국 장치(2011)에 의해 수신된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의 신호가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되는 사례에 사용된 패 킷을 도시한 것이다. 데이터 패킷(5201)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의한 신호 합성 결과가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되는 사례에 사용된 패킷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201)을 생성하기 전에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상술한 절차에 따라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패킷(5031 및 5041)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1011)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상기한 데이터 패킷(5121 및 5201)을 고려해 보면,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의 신호가 기지국 장치에 전송되는 상태, 최대비 합성 포인트 및 선택 합성 포인트에 대해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4에서, 이동 단말기(1011)로부터 송신된 신호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다. 기지국 장치(2031)는 데이터 패킷(5031)을 생성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고속 회선(1001)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41)는 데이터 패킷(5041)을 생성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고속 회선(1001)에 전송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상술한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사례에서 기술된 동일한 절차에 의해 데이터 패킷(5031 및 5041)을 수신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도 12에 도시된 3 개의 레이크 핑거 등을 이용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최대비 합성 처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술된 데이터 패킷(5201)을 생성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저속 회선(1002)에 전송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상술한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사례에서 기술된 동일한 절차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데이터 패킷(5201)을 수신한다.
한편, 기지국 장치(2021)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패킷(5121)은 저속 회선(1002)에 전송된다.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상술한 도 9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사례에서 기술된 동일한 절차에 의해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데이터 패킷(5121)을 수신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데이터 패킷(5201 및 5121)을 입력 신호로서 사용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행한다.
각 기지국 장치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패킷은 각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 내의 이동 단말기들의 분포 상태 및 각 서비스 유효 지역 주변에 위치된 구조물의 축조 또는 해체에 따라 최대비 합성 포인트로 또는 선택 합성 포인트로 그 수신지를 적절히 변경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다. 이런 경우, 각 기지국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지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사용하여 전화 호출을 행하는 동안(즉, 데이터 패킷이 끊임없이 전송되는 동안) 최대비 합성 포인트 도는 선택 합성 포인트로 변경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이런 변경이 행해지는 사례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선택 합성(SC)에서 최대비 합성(MRC)로의 변경)
우선,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이런 변경이 실현되는 사례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또한, 도 14 및 도 17 내지 도 19에서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지를 선택 합성(SC)에서 최대비 합성(MRC)으로 변경되는 변경 프 로세스를 예시한다.
즉, 도 14에 도시된 상술된 상황에서는, 최대비 합성 처리는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적용되고, 선택 합성 처리는 최대비 합성 처리의 결과 및 기지국 장치(2021)에 의해 수신된 신호에 적용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술한 상황,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상황 및 도 19에 도시된 최종 상황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이런 경우, 도 19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이동 단말기(1011)의 신호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 신호들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하에서는, 일련의 이행들에 대해 순서적으로 기술하기로 한다.
도 17은 선택 합성 포인트(3061)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121)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021)이 기지국 장치(2021)로부터 전송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에 도시된 상황에서, 기지국 장치(2021)는 데이터 패킷(5121)만을 전송한다. 이에 비해, 도 17에서는, 기지국 장치(2021)는 데이터 패킷(5121)을 후속하여 생성하고 또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5021)을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21) 자체는 임계치를 이용한 변경 제어에 기초하여 데이터 패킷(5021) 및 데이터 패킷(5121) 모두 생성되어야 하는가를 판단한다. 이런 변경 제어에 대해서는 도 25 및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이런 상황에서, 데이터 패킷(5021)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의 연결단에 상술한 방송 함수에 의해 전송된다.
그러나, 이 때,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아직 데이터 패킷(5021)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즉,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로부터의 신호만을 이용하여 최대비 합성을 행하고, 또한 생성된 데이터 패킷(5201)을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한다. 이 때의 동작 상태는 도 14에 도시된 상황과 동일하다. 즉,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데이터 패킷(5121 및 5201)을 받아들인다. 한편,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031 및 5041)을 받아들인다.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데이터 패킷(5021)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서 취해질 때까지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관리 테이블을 참조한 후에, 동작가능하도록 기지국 장치(2021)로부터 데이터 패킷(5021)을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021)을 받아들임으로써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로부터의 3 개 신호를 이용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그 결과,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201)을 생성하여,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한다. 이들 프로세스에 따라,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데이터 패킷(5021 및 5201)을 받아들인다. 한편,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021, 5031 및 5041)을 받아들인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선택 합성 포인트의 이용을 중단시킬 때까지의 상황을 나태낸 도면이다.
상술된 도 18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 의해 합성 될 기지국 장치들의 신호들(즉,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로부터의 각 신호)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서 받아들여진다. 이런 이유로, 기지국 장치(2021)는 데이터 패킷(5121)을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기지국 장치(2021)는 도 25 및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변경 요청 처리" 및 변경 요청 처리에 기초한 "동작 변경 제어"를 고려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의해 판단되는 판단에 따라 데이터 패킷(5121)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한다. 여기서, 판단 결과는 선택 합성 처리가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판단(MRC 설정의 해제 요청)이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201)을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 전송할 필요가 없다. 즉, 이 때, 기지국 장치(2021)은 데이터 패킷(5121)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데이터 패킷(5201)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한다. 그 결과,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미사용 상태로 된다.
여기서, 이하의 절차를 이용하여 상술된 데이터 패킷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한다. 즉,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함으로써,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1)는 서로 협동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및 2041)에 대해 모든 데이터 패킷의 수신 확인에 따라 최대비 합성 처리를 시작하고, 또한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게 기지국 장치(2021)로부터의 데이터 패킷이 더 이상 필요치 않다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이런 통지는 예를 들어, 도 19 또는 다른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선(즉, 도 25에 도시된 제어 회선(10005))을 통해 전달된다.
(최대비 합성(MRC)에서 선택 합성(SC)로의 변경)
다음으로, 합성 방법을 최대비 합성(MRC)에서 선택 합성(SC)으로 변경하기 위해, 소정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신호의 수신지는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변경된다. 이런 변경 프로세스에 대해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이동 단말기(1012)의 신호를 수신하는 기지국 장치(2041) 및 기지국 장치(2051)는 데이터 패킷을 출력한다. 도 20 내지 도 22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출력된 데이터 패킷의 수신지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에서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변경된 사례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에 의해 수신된 이동 단말기(1012)의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이동 단말기(1012)의 신호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에 의해 수신된다.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는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을 생성한다. 데이터 패킷들은 또한 상술된 경우와 같이 방송 통지에 의해 고속 회선(1001)에 전송된다.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는 상술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의해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의 획득 및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한다.
이 때,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저속 회선(1002)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데이터 패킷(5021)은 도 17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부터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전송된다.
도 21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141 및 5151)을 생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2041)는 도 20에 도시된 상황의 데이터 패킷(5041) 이외에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5141)을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41)는 데이터 패킷(5041, 5141)을 고속 회선(1001)에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기지국 장치(2051)는 도 20에 도시된 상황의 데이터 패킷(5051) 이외에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전송될 데이터 패킷(5151)을 생성한다. 기지국 장치(2051)는 데이터 패킷(5051 및 5151)을 고속 회선(1001)에 전송한다.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 자체는 데이터 패킷(5021 및 5121) 및 데이터 패킷(5051 및 5151) 모두 임계치를 이용한 변경 제어에 기초하여 생성되어야 하는가를 판단한다. 변경 제어에 대해서는 도 25 및 후속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기술하기로 한다.
도 20에 도시된 상황에서는,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어떠한 데이터 패킷도 받아들일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 이 판단은 또한 상술된 관리 테이블을 참조하여 수행된다. 이에 비해, 관리 테이블의 갱신에 의한 내용 변경에 따라, 상황은 도 21에 도시된 상황으로 이행된다. 즉,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데이터 패킷(5141 및 5151)을 받아들이기 시작한다.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데이터 패킷(5141 및 5151)을 사용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한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최대비 합성 포인트의 이용을 중단시 킬 때까지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에 도시된 상황에서, 선택 합성 포인트(3062)는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에게 데이터 패킷(5141 및 5151)이 정상적으로 수신되고 선택 합성 처리가 시작된 것을 확인함에 의해 동작을 중지하라고 명령한다. 또한,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는 도 25 및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변경 요청 처리" 및 변경 요청 처리에 기초한 "동작 변경 제어"를 고려하여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의해 판단되는 판단에 따라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의 생성 및 전송을 중단한다. 여기서, 판단 결과는 선택 합성 처리가 불필요한 것을 나타내는 판단(즉, MRC 설정의 해제 요청)이다.
상술된 절차를 적용함에 의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선택 합성 포인트(SC-P)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가 사용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선택 합성(SC) 및 최대비 합성(MRC)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다음으로, 대면적의 서비스 지역을 형성하는 다수의 기지국 장치에서 상술한 변경 절차에 기초하여 행해진 동적 변경 처리에 대해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3은 임의 시각(t1)에서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즉, 통화중의 이동 단말기)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다른 시각(t2)에서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 및 도 24에서는, 15 개의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2051,2061, 2071, 2081, 2091, 2101, 2111, 2121, 2131, 2141 및 2151)가 기지국 지역(서비스 지역)을 형성한다. 도 23 및 도 24에서, 각각의 규칙적인 육각형은 하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해 형성된 기지국 지역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각 기지국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위치된 이동 단말기에 의해 수행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한다. 도 23 및 도 24에서는, 도면을 편리하게 나타내기 위해 각 이동 단말기에 참조 부호를 병기하지 않았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들은 각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분포된다.
또한, 도 23 및 도 24에서는, 흑색으로 착색된 기지국 장치는 최대비 합성(MRC)을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 시각(t1)에서 이동 단말기들이 아래와 같이 통신 중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기지국 장치(2011, 2021, 2041, 2071, 2081, 2091, 2121, 2131, 2141 및 215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101 및 211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두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031 및 206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3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05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6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도 23에 도시된 상황을 위에서 보면(조감도),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기지국 장치(205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또한 그 근방에 분포되어 있는 것이 관찰된다. 일반적으로,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의 신호에 대해서는, "배경 기술" 부분에서 상술된 바와 같이, 최대비 합성 처리가 적용되지 않 고 선택 합성 처리가 적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는,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는 도 23에 도시되지 않은 광대역 통신 회선(이는 상술된 고속 회선(1001)에 대응함)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런 시스템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임의 기지국 장치들 간에서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신호가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의 통신 회선(즉, 상향 링크)으로 수신할 경우 선택 합성(SC)과 최대비 합성(MRC) 간에는 수신 효율의 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최대비 합성(MRC)에 의한 수신이 수신 효율에서 뛰어나다. 따라서, 동일한 품질(즉, 비트 에러 레이트)을 보증하는 송신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는, 이동 단말기가 존재하는 셀 내의 상향 링크의 채널 용량을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줄임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지리적으로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기지국 장치들 간에서 최대비 합성을 사용하는 이유들 중 하나이다.
상술된 이유에 의해, 도 23에 도시된 분포 상황에서는, 기지국 장치(2051)와 기지국 장치(2051)에 인접해 있는 기지국 장치(2021, 2031, 2041, 2061, 2081 및 2091) 간에서 최대비 합성(MRC)을 사용하여 시각(t1)에서 수신을 선택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에 따르면, 이런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 각각에 위치된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줄일 수 있다. 그 결과, 다른 이동 단말기들에 대한 간섭 전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선택 합성(SC)의 경우에 비해 많은 이동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시각(t2)에서의 각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 이동 단말기의 분포 상황은 상술된 시각(t1)에서의 분포 상황으로부터 변화되었고, 다음의 이동 단말기들이 통신 중에 있다.
즉, 기지국 장치(2011, 2031, 2041, 2061, 2071, 2091, 2121 및 215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하나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021, 2051, 및 213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두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11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3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081 및 2141)의 각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4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기지국 장치(210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는, 7 개의 이동 단말기가 통신 중에 있다.
도 23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게 도 24에 도시된 상황을 위에서 보면(조감도), 다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기지국 장치(2101)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또한 그 근방에 분포되어 있다. 이 경우, 도 23을 참조하여 상술된 경우와 동일한 이유에 의해, 기지국 장치(2101)와 기지국 장치(2101)에 인접해 있는 기지국 장치(2071, 2081, 2111, 2131, 및 2141) 간에서 최대비 합성(MRC)이 행해진다. 즉, 최대비 합성(MRC)을 사용하는 기지국 장치는 예를 들어, 도 23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4에 도시된 상태로 연속적으로 변화한다. 그 변화 동안 행해진 변경 프로세스에 대해 도 25 및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4에 도시된 상태에서, 최대비 합성이 선택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 술된 바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다른 이동 단말기에 대한 간섭 전력을 줄일 수 있으므로, 선택 합성(SC)의 경우에 비해 많은 이동 단말기들과의 통신을 실현할 수 있다.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 이동 단말기들의 분포 상태의 변화는 통상적으로 각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와 함께 매 순간 이동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발생된다. 예를 들자면, 이동 단말기들의 분포 상태는 이하에서 예시된 다음의 외부 요인들에 의해 상당히 변화된다. 즉,
하루 중 정해진 시간, 예컨대, 작업 시간 동안 및 작업 시간 이후,
평일 및 주말 또는 휴일,
월요일부터 금요일 및 토요일 또는 일요일, 또는
대다수의 사용자들이 모일 것으로 예기되는 일시적으로 개최되는 행사나 연회.
즉,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적용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송신 전력을 줄이는 것이 매우 바람직한데, 이는 수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수를 증가시키고, 동시 통신 및 데이터 전송 레이트의 향상을 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수를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기간 회선(backbone line)의 소모 대역 관점에서 볼 때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적용하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에만 최대비 합성 처리를 적극적으로 적용하고 다른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는 최대비 합성 처리를 적용하지 않는다.
따라서, 상술된 여러 외부적 요인(행사가 개최되는지의 여부, 하루 중의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등의 주변 상황)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기들의 분포 상태 변화에 따라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의 송신 신호를 처리하도록 기지국 장치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동적으로 적용시킴으로써 다수의 이동 단말기를 포함한 통신 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변경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도 25 및 후속 도면들을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기지국 장치에서의 변경 요청 처리>
이하에서는, 상술한 최대비 합성(MRC)과 선택 합성(SC) 간에서의 동적 변경을 위한 장치 구성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각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동적 변경 동작을 실현하기 위해 후술하는 변경 요청 처리를 행한다.
(기지국 장치의 구성)
우선, 상술한 설명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에 연결된 기지국 장치의 구성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10000)는 안테나(10001), 송수신기 모듈(10002), 중앙 처리 장치(CPU)(10003) 및 저장 매체(10004)를 포함한다. 기지국 장치(10000)는 고속 회선(1001), 저속 회선(1002) 및 외부 장치와 제어 신호의 통 신을 행하는 제어 회선(CNT)(10005)에 연결된다. 여기서, 외부 장치는 상술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선택 합성 포인트(SC-P),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등을 나타낸다.
송수신기 모듈(10002)은 안테나(10001)를 통해 무선 신호를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수신하는 일반적인 무선 통신 장치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송수신기 모듈(10002)은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해 역 확산 처리를 행하지 않는다.
CPU(10003)는 각종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시킴으로써 송수신기 모듈(10002)을 포함한 기지국 장치(10000)의 전반적인 동작을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CPU(10003)는 메모리 등의 저장 매체(10004)를 적절하게 참조함에 의해 평가 모듈(10011), 판단 모듈(10012), MRC 보고 모듈(10013), 통신 제어 모듈(10014) 등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평가 모듈(10011)은 최대비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또는 선택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중 어느 상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지침(guideline)이 되는 평가치를 산출한다.
판단 모듈(10012)은 평가 모듈(10011)에 의해 산출된 평가치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또는 선택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중 어느 상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 판단 시에, 판단 모듈(10012)은 제어 회선(10005)을 통해 상술한 도 9 및 도 15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 을 적절히 참조한다.
MRC 보고 모듈(10013)은 제어 회선(10005)을 통해 판단 모듈(10012)에 의한 판단 결과를 다른 노드들에게 통지한다. 여기서, 다른 노드들은 이웃하는 다른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선택 합성 포인트(SC-P), 무선 네트워크(RNC) 등이다.
통신 제어 모듈(10014)은 송수신기 모듈(10002)로부터 획득한 역 확산 처리 전의 신호에 기초하여 도 10을 참조하여 기술된 포맷을 갖는 데이터 패킷을 생성한다. 통신 제어 모듈(10014)은 생성된 데이터 패킷을 판정 모듈(10012)에 의한 판정 결과에 따라 고속 회선(1001) 및/또는 저속 회선(1002)에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서, CPU(10003)에 의해 실행되는 각 모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으로 기술된다. 그러나, 도 25에 도시된 각 모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또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소정의 기능적인 장치로 인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모듈 일부 또는 전부는 하드웨어로 실현될 수 있다.
(평가치를 이용한 변경 판단 절차)
다음으로, 최대비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또는 선택 합성에 의한 수신을 적용해야 하는 상태 중 어느 상태가 존재하는가를 판단하기 위한 절차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 26은 신호 합성 처리의 변경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6에서 수평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수직축은 평가 모 듈(10011)에 의해 산출된 평가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일례로 이하의 세 항목들을 평가치로서 사용한다.
무선 섹션에서 상향 링크의 전력량,
기지국 장치(10000)에서 상향 링크의 정보 레이트 및
기지국 장치(10000)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의 이동 단말기들의 수.
도 26에 예시된 그래프 곡선은 기지국 장치(10000)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이동 단말기들의 상태(상황)에 따라 변하는 최대비 합성(MRC)에 의한 수신 연결 유효성에서의 일시적 변경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최대비 합성(MRC)에 의한 수신이 행해져야 하는지에 대한 판단은 값들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임계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6의 수직축 상에 도시된 임계치 1은 임계치 2보다 크고 최대비 합성의 사용이 보다 바람직한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임계치 2는 최대비 합성을 선택하는 유효성이 임계치 1의 상태보다 낮은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수직축의 평가치로서 상향 링크의 전력량(상향-링크 전력량)을 이용한 도 26에 도시된 사례에 대해 변경 동작을 기술하기로 한다. 시각 ta에서, 곡선으로 도시된 상향-링크 전력량은 임계치 2보다 낮다. 그 후에, 상향-링크 전력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로 증가하고 나서 시각 tb에서 임계치 1에 도달한다. 이 때,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MRC 설정 구간이 최대비 합성을 선택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시작된다. 그 후, 상향-링크 전력량은 증가 하고, 그리고 나서 점차로 감소한다. 이런 감소 단계에서, 상향-링크 전력량은 임계치 1보다 적게 된다. 그러나, 이 때, MRC 설정 구간이 계속된다. 상향-링크 전력량은 또한 감소하여, 시각 tc에서 임계치 2에 도달한다. 이때, MRC 설정 구간이 해제된다. 그 후, 곡선으로 도시된 상향-링크 전력량은 증가하고 다시 감소한다. 그러므로, MRC 설정 구간은 시각 td부터 시각 te까지 설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임계치 1은 MRC 설정치로서 사용된다. 한편, 임계치 2는 MRC 해제값으로 사용된다. 임계치 1 및 임계치 2를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변경 동작이 안정화된다.
(변경 요청 처리)
다음으로, 상술한 절차에 기초하여 판단 모듈(10012)에 의해 실제로 행해지는 변경 요청 처리를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변경 요청 프로세스는 상술한 3 종류의 평가치를 이용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기지국 장치(10000)는 도 27 내지 도 29에 도시된 변경 요청 프로세스 중 어느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필요할 경우, 3 종류의 평가치 또는 복수의 다른 평가치의 조합을 이용하여 판단을 행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도 예기된다.
도 27은 상향 링크의 전력량을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는 기지국 장치(10000)의 CPU(10003)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단계(S11)에서, CPU(10003)는 일반적인 방법에 의해 상향-링크 전력량을 얻 는다. 단계(S11)는 주로 평가 모듈(10011)의 함수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12)에서, CPU(10003)는 단계(S11)에서 얻어진 상향-링크 전력량을 임계치 1과 비교한다. 단계(S12)에서 상향-링크 전력량이 임계치 1과 동일하거나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CPU(10003)는 MRC 설정 요청을 시작한다(단계(S13)).
한편, 단계(S12)에서 상향-링크 전력량이 임계치 1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CPU(10003)는 상향-링크 전력량을 임계치 1과 비교한다(단계(S14)).
단계(S14)에서 상향-링크 전력량이 임계치 2와 동일하거나 많은 것으로 판단되면, CPU(10003)는 MRC 설정 요청을 계속한다(단계(S13)). 한편, 단계(S14)에서 상향-링크 전력량이 임계치 2보다 적은 것으로 판단되면, CPU(10003)는 MRC 설정 요청을 해제시킨다(단계(S15)).
단계(S16)에서, CPU(10003)는 상술한 단계(S13 또는 S15)에서의 요청 프로세스에 따라 자신의 장치의 또 다른 모듈이나 외부 장치로부터 연결 방식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한다. 설정 정보는 후술될 동작 변경 제어 처리(도 30 내지 도 44)의 결과로서 외부 장치(연산 시스템(10100)(콘솔 패널(10101)), 중앙 장치(10201))로부터 획득한 정보, 또는 기지국 장치 자체에 의해 결정된 정보이다. 또한, 단계(S16)에서, CPU(10003)는 이웃하는 다른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선택 합성 포인트(SC-P),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등의 다른 노드들에게 연결 방식에 관해 얻어진 설정 정보를 보고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S12 내지 S15)에서의 각 프로세스는 주로 판단 모듈(10012)의 함수에 의해 실현된다. 단계(S16)에서의 각 프로세스는 주로 보고 모 듈(10013)의 함수에 의해 실현된다.
여기서, 무선 섹션에서 상향 링크의 전력량(상향-링크 전력량)은 최대비 합성에 의한 수신 연결의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한 적합한 지표(index) 중 하나로, 기지국 장치(10000)에서 관찰될 수 있다. 또한, 상향-링크 전력량을 산출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현재 사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8은 상향 링크의 정보 레이트를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기지국 장치(10000)의 CPU(10003)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도 28에 도시된 단계(S21 내지 S26)에서의 처리 구성은 도 27에 도시된 단계(S11 내지 S16)의 처리 구성과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도 28에 도시된 처리 구성의 경우, 상향 링크의 정보 속도가 평가치로서 사용된다. 따라서, 단계(S22 및 S24)에서의 각 임계치와 비교되는 비교 대상은 상술한 단계(S12 및 S14)의 비교 대상과 다르다.
여기서, 기지국 장치(10000)의 상향 링크의 정보 속도는 상향 링크에 대해 기지국 장치로 유입되는 신호의 정보 속도 및 상술한 상향-링크 전력량에 관련된 지표이다. 이 정보 속도는 기지국 장치(10000)가 아닌 외부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속도를 산출하기 위해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9는 이동 단말기의 수를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기지국 장치(10000)의 CPU(10003)가 실행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도 29에 도시된 단계(S31 내지 S36)에서의 처리 구성은 도 27에 도시된 단계(S11 내지 S16)의 처리 구성과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중복되는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한다. 그러나, 도 29의 경우, 기지국 장치(10000)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의 이동 단말기들의 수를 평가치로서 사용한다. 이런 이유로, 단계(S32 및 S34)에서의 각 임계치와 비교되는 비교 대상은 상술한 단계(S12 및 S14)의 비교 대상과 다르다.
여기서, 상술한 이동 단말기의 수는 기지국 장치에 유입되는 정보 및 상술한 상향-링크 전력량에 관련된 지표이다. 이동 단말기의 수는 기지국 장치(10000)가 아닌 외부 장치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의 수를 산출하는 데에 현재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지국 장치(10000)은 도 26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기술한 절차에 의해 최대비 합성의 수신 연결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기지국 장치(10000)는 저장 매체(10004)에 판단 처리의 판단 결과(MRC 설정 요청 또는 해제 요청)를 저장하고, 또한 판단 결과를, 제어 회선(10005)을 통해 MRC 보고 모듈(10013)의 함수를 이용함으로써 다른 노드들(다른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 선택 합성 포인트,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등)에 보고한다.
이런 경우,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307)는 기지국 장치 각각으로부터 획득한 연결 방식의 설정 정보를 고려하여, 복수의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 및 선택 합성 포인트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한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이하의 3 가지 상태를 판단한다.
사례 1: 선택 합성용으로 사용되는 저속 회선(1002)만을 사용하고 최대비 합성을 위한 설정(MRC 연결 모드 요청)을 행하지 않는 상태.
사례 2: 선택 합성용으로 사용되는 저속 회선(1002)만을 사용하고, 또한 최대비 합성을 위한 설정(MRC 연결 모드 요청)은 행하고 실제 회선 상태는 MRC 연결 모드가 아닌 상태.
사례 3: 최대비 합성용으로 사용되는 고속 회선(1001) 및 선택 합성용으로 사용되는 저속 회선(1002) 모두를 함께 사용하고 최대비 합성을 위한 설정(MRC 연결 모드 요청)은 행하는 상태 및, 실제 회선 상태는 MRC 연결 모드인 상태.
3 가지 상태(사례 1 내지 3)에서, 사례 1은 통신 용량이 충분한 상황을 나타낸다. 사례 2는 통신 용량이 가득 찬 상태이지만, 아직 최대비 합성을 위한 연결 회선(고속 회선(1001))이 준비되어 있지 않은 상황을 나타낸다. 사례 3은 통신 용량이 가득 찬 상태이고, 최대비 합성을 위한 연결 회선(고속 회선(1001))을 제공함으로써 수신 효율이 개선되는 상황을 나타낸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상술한 3 가지 상태를 판단하여 이동 통신 시스템의 상황을 안다.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인식 결과 및 후술할 동작 변 경 제어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획득한 연결 모드에 관한 정보에 기초한 합성 판단을 행함으로써 각 노드의 결정적 동작을 판단한다.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회선으로서 선택 합성을 위한 SC 연결과 최대비 합성을 위한 MRC 연결의 선택 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이 방법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에 의해 사용된다.
통상의 신호 합성에서, "배경 기술" 부분에서 기술한 하나의 기지국 장치(섹터 기지국) 내의 복수의 섹터들 간에 최대비 합성이 행해진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기지국 장치들 간에 행해진 선택 합성은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의 한 기능에 의해 수행된다. 즉, 이동 단말기에서 통신 회선이 필요로 될 경우, SC 연결 또는 MRC 연결에 대한 판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동 단말기로부터 신호를 수신하는 복수의 안테나가 한 기지국 장치에 설치된 섹터 안테나인 경우에만, MRC 연결이 선택된다. 다른 경우에는 SC 연결이 선택된다. 이는 통상의 신호 합성에서 피할 수 없는 제한 사항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예시적인 실시예 및 후술될 예시적인 실시예 각각에 따른 신호 합성에서는, 그와 같은 제한 사항이 존재하지 않는다. 즉, 각 기지국 장치는 MRC-P가 연결되는 고속 회선(1001) 및 SC-P가 연결되는 저속 회선(1002)에 연결된다. 각 기지국 장치는 자신의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 평가 상황에 기초하여 MRC 연결이 필요로 되는가를 판단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연결 모드는 상술한 각 기지국 장치에서의 "변경 요청 프로세스" 및 후술될 변경 요청 프로세스에 기초한 "동작 변경 제어"에 따라 매 순간 변경된다.
이런 이유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는, SC 연결 및 MRC 연결이 동적으로 변경된다. 그러나, 연결의 변경은,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취급 방법을 나타내는 "연결 전략"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의 통신 용량이 가득 차게 되어, 이에 따라 통신 회선이 부족하게 될 경우, 수신 효율(수신 이득)을 향상시키기 위해 MRC 연결이 권고된다. 이와는 반대로,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의 통신 회선의 여유가 증가되어 수신 효율(수신 이득)의 향상이 필요치 않기 때문에 MRC 연결이 해제될 경우에는, MRC 연결 대신 SC 연결이 권고된다.
따라서, 예시적인 실시예 및 그 예에서는,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기지국 장치 각각으로부터 적어도 연결 모드의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면 MRC 연결 및/또는 SC 연결에 대한 선택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307)는 연결 모드의 설정 정보뿐 아니라 외부 장치(중앙 장치(10201) 등)에 의해 보유되는 상술한 3 가지 상태 및 정보를 포괄적으로 고려하면서, 실제 및 이상적인 통신 환경을 실현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연결 전략에 따라 MRC 연결 및/또는 SC 연결에 대한 선택 판단을 행한다.
<변경 요청 프로세스에 기초한 동작 변경 제어>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상술한 기지국 장치에서 변경 요청 프로세스 (도 27 내지 도 29)에 따라 합성 방법을 최대비 합성(MRC) 또는 선택 합성(SC)으로 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실제 구성에 대해 기술하 기로 한다. 제1 방법(제1 예)은 이동 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오퍼레이터(동작 및 유지 관리하는 사람)가 개입하는 방법이다. 제2 방법(제2 예)은 중앙 장치(모니터 장치)에 의해 변경이 행해지는 방법이다. 제3 방법(제3 예)은 기지국 장치 자체에 의해 변경이 행해지는 방법이다.
(제1 예: 오퍼레이터가 개입하는 방법)
도 30은 제1 예에서 예시적인 이동 통신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은 도 1 및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시스템 구성 이외에 조작 시스템(OPS)(10100), 콘솔 패널(10101) 및 이동 교환국(MSC)(10102)을 포함한다.
또한, 조작 시스템(OPS)(10100) 및 콘솔 패널(10101)은 서로 다른 유닛 또는 하나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나의 유닛 형태에서, 조작 시스템(10100)에 제공된 디스플레이를 콘솔 패널(10101)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조작 시스템(10100)은 전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시스템을 제어한다. 콘솔 패널(10101)은 오퍼레이터에 의한 시스템의 동작 제어를 행하기 위한 인간-기계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즉, 콘솔 패널(10101)은 조작 시스템(10100)에 의해 수집된 전체 시스템의 동작 상태를 오퍼레이터에게 보고한다. 콘솔 패널(10101)은 조작 시스템(10100)에서 그 시스템의 동작 제어에 관해 오퍼레이터의 조작을 설정한다.
도 31은 제1 예에서 변경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도 31은 기지국 장치 각각으로부터 보고된 MRC 설정 요청에 따라 관련된 기지국 장치의 설 정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절차를 예시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상술한 기지국 장치에서 변경 요청 프로세스(도 27 내지 도 29)의 결과는 MRC 보고 모듈(10013)의 함수에 의해 조작 시스템(10100)에 수집된다. 그 결과, MRC 설정 요청이 이루어지는가에 대한 정보가 각 기지국 장치마다 콘솔 패널(10101) 상에 표시된다. 오퍼레이터는 콘솔 패널(10101) 상에 표시된 내용에 의해 각 기지국 장치의 상태를 인식한다. 필요할 경우, 오퍼레이터는 연결 모드를 콘솔 패널(10101)로 변경시키기 위한 조작을 수행한다. 조작 시스템(10100)은 콘솔 패널(10101)에 설정된 지시 조작에 따라 대응하는 기지국 장치를 제어한다.
도 32는 제1 예에서 콘솔 패널의 형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2에 예시된 콘솔 패널(10101)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서비스 유효 지역의 지리적 특징들(예컨대, 주요 도로의 배치 상태, 경계표(landmark)의 위치 및 기지국 장치의 배치 상태)이 표시된다. 표본으로 도시된 콘솔 패널(10101)에는, 지리적 특징에 따라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의 변경 및 평가 상태의 인식을 위한 8 개의 표시(indication) 및 조작 스위치(BS#2011, BS#2021, BS#2031, BS#2041, BS#2051, BS#2061, BS#2071 및 BS#2081)가 배치된다. 표지 및 조작 스위치 각각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는 제어 스위치이다. 표시 및 조작 스위치의 상측에는, 표시 및 조작 스위치에 대응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 보고된 MRC 설정 요구가 행해지는지의 여부(평가 상태)에 대한 정보가 보여진다. 표시 및 조작 스위치의 하측에는, 기지국 장치의 신호 합성의 현재 상태(설정 상태)가 보여진다. 상측 및 하측에 표시된 "M" 및 "S"는 최대비 합성(MRC) 및 선택 합성(SC) 각각을 나타낸다.
도 33은 제1 예에서 콘솔 패널 상에 제공된 표시 및 동작 전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3의 좌측에 도시된 표지 및 조작 스위치(BS#2041)의 표시는 원래 상태는 대응하는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MRC 설정 요청이 행해진 상태이고, 실제 상태는 기지국 장치에서 선택 합성(SC)이 선택된 상태인 것을 나타낸다.
원래 상태에서, 오퍼레이터가 기지국 장치에서의 신호 합성을 최대비 합성(MRC)로 변경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이 경우, 오퍼레이터가 하측 스위치를 조작하면, 하측 스위치의 표시자(indicator)는 도 33의 중심부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M"을 표시하고, 그 후 신호 합성이 최대비 합성으로 변경되면 표지 및 조작 스위치의 표시는 도 33의 우측 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여기서, 상술한 표지 및 조작 스위치의 조작 메커니즘으로서 누름 버튼 또는 터치 패널 등의 일반적인 구성체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지 및 조작 스위치의 디스플레이 메커니즘으로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태 천이 동안의 상태는 표시 색 또는 플러싱(flashing) 변경 등의 각종 표현 방법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런 조작을 실현하는 콘솔 패널(10101)에서, 기지국 장치 각각의 평가 상태(MRC 설정 요구가 행해지는지의 여부) 및 설정 상태는 도 34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에 의해 관리된다.
도 34는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 및 평가 상태의 관리 시에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즉, 기지국 장치 각각에 대한 장치 번호, 평가 상태, 설정 상태 및 예약 모드에 관한 정보가 도 34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에 등록된다. 예에서는, 관리 테이블은 조작 시스템(10100)에 의해 관리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BS#2011)에 관한 평가 상태(평가 스테이터스)는 MRC 설정 요구(MRC가 적정)가 이루어지는 상태를 나타낸다. 설정 상태는 SC이다. 이 상태는 "BS#2011MS"로 표현된다. 이 경우, 도 34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 각각은 BS#2011MS, BS#2021MM, BS#2031SS, BS#2041MS, BS#2051MM, BS#2061SS, BS#2071MS 및 BS#2081SS로 표현될 수 있다.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 간에 차이가 있을 경우, 그 차이를 장치에서 인식하고 또한 오퍼레이터는 신호 합성의 변경 동작을 행한다. 그 때, 도 34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예약 모드 컬럼에 도시된 변경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플래그가 사용된다. 즉, 도 34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에서, 예약 모드 컬럼 내의 정보는 상태가 BS#2041MS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 "M"이다. 이 상태는 상술한 도 33의 중심부에 도시된 상태를 의미하고, 이는 신호 합성이 변경 중인 것을 나타낸다. 이런 이유로, 관리 테이블의 예약 모드 컬럼 내의 관리 플래그 "M"을 변경 동작이 완료된 상태(도 33의 우측에 도시된 상태)에서 재설정한다.
이런 처리가 행해지는 제1 예에 따르면, 오퍼레이터는 각 기지국 장치의 지리적 위치를 가시적으로 파악하면서 각 기지국 장치에 대한 신호 합성의 상태를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이 행해질 경우 사전에 오퍼레이터에 의 해 상술한 여러 외부적 요인(행사가 개최되는지의 여부, 하루 중의 시간대별 또는 요일별 등의 주변 상황)을 고려(예기)함으로써 보다 적합한 통신 상태를 실현할 수 있다.
(제2 예: 변경이 중앙 장치에 의해 행해지는 방법)
도 35는 제2 예에서 예시적인 이동 통신의 시스템 블록도이다. 또한, 도 35에서,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2041 및 2051) 각각을 서로 연결하는 통신 회선을 표현하는 선은 상술한 도 6에 도시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이 예에서, 기지국 장치 각각 및 중앙 장치(모니터 장치)(10201)는 도 35에 도시되지 않은 제어 회선(도 25에 도시된 제어 회선(10005))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중앙 장치(10201)는 CPU(10202) 및 메모리로서 저장 매체(10203)를 포함한다. CPU(10002)는 저장 매체(10203)를 적절하게 참조하여, 후술할 도 38에 도시된 흐름도의 프로세스를 수행한다.
도 36은 제2 예에 따른 순차 변경 방법에서 중앙 장치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중앙 장치(10201)는 각 기지국 장치로부터 제어 회선을 통해 MRC 설정 요구가 이루어지는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해 낼 수 있다. 중앙 장치(10201)는 각 기지국 장치에 대한 MRC 연결 모드의 설정 및 해제를 제어 회선을 통해 하나씩 순서대로 실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런 변경 절차를 "순차 변경 방식"으로 기술한다.
즉, 도 36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앙 장치(10201)가 기지국 장치 BS#1 및 기지국 장치 BS#2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우선,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1에게 MRC 설정 요구가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요구에 응답하여,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1은 변경 요청 프로세스(도 27 내지 도 29)에 의해 획득한 처리 결과(MRC 설정 요구/해제 요구)를 상술한 MRC 보고 모듈(10013)의 기능에 의해 중앙 장치(10201)에 송신한다. 도 36에 도시된 예에서,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1에게 변경 제어 프로세스(도 38)의 결과에 따라 최대비 합성(MRC)의 동작을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다음에,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2에 대해 상술한 바와 동일한 절차를 수행한다. 그 결과,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2에게 최대비 합성(MRC)의 동작을 해제(즉, 선택 합성(SC)의 동작을 시작)하라고 지시한다.
도 37은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 및 평가 상태의 관리 시에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7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예의 관리 테이블(도 34)의 것들과 동일하다.
이 예에서, 관리 테이블은 CPU(10202)의 제어 하에 중앙 장치(10201)의 저장 매체(10203)에서 관리된다. 중앙 장치(10201)는 각 기지국 장치의 상태를 학습하고, 관리 테이블(도 37)을 이용하여 연결 모드의 변경 제어를 수행한다.
도 38은 제2 예에서 중앙 장치에 의해 행해진 순차 변경 방법을 사용하는 변경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CPU(10202)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 절차를 도시한다.
단계(S51)에서, CPU(10202)는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한 후술할 일련의 변경 제어 프로세스를 완료하였는가를 판단한다. 단계(S51)에서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202)는 다음 번 판독 대상인 기지국 장치로부터, MRC 설정 요구가 행해지는지의 여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S52)).
단계(S53)에서, CPU(10202)는 관리 테이블(도 37)을 참조하여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설정 상태 내의 정보 간의 차가 존재하는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53)에서 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CPU(10202)는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게 선택 합성(SC) 모드 또는 최대비 합성(MRC) 모드의 설정을 행하라고 지시한다(단계(S54), 단계(S55)).
즉, 관리 테이블(도 37)에서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M"이고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S"이면, 단계(S55)에서 CPU(10202)는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게 최대비 합성(MRC) 모드를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한편, 관리 테이블(도 37)에서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S"이고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M"이면, 단계(S54)에서 CPU(10202)는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게 선택 합성(SC) 모드를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CPU(10202)는 단계(S51)에서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한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될 때까지 상술한 일련의 처리를 하나씩 수행한다.
여기서, 관리 테이블(도 37)을 참조해 보면, 상술한 흐름도에 의해 제공된 동작이 기술된다.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41)에 관한 정보에 대한, 상태는 다음과 같다.
기지국 장치(2041)로부터 수집된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는 MRC 설정의 해제 요구를 나타내는 "S"이고,
기지국 장치(2041)의 실제 설정 상태인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는 최대비 합성인 "M"이고,
기지국 장치(2041)에 관한 "예약 모드" 컬럼 내의 정보는 선택 합성인 "S"이다. 즉,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장치(2041)의 모드를 선택 합성(SC) 모드로 바로 변경하려고 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관리 테이블(도 37)은 중앙 장치(10201)가 기지국 장치(2041) 이외의 다른 기지국 장치에게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 간에 차가 있더라도 모드 변경을 수행하라고 지시한다. 즉, 관리 테이블(도 37)로부터 중앙 장치(10201)(CPU(10202))의 제어 대상이 기지국 장치(2041)이고 다른 기지국 장치는 현재 제어 대상이 아닌 것이 알려진다. 따라서, 상술한 흐름도에 도시된 동작에 따르면, 예를 들어, 다음 제어 대상이 기지국 장치(2051)인 경우, 중앙 장치(10201)(CPU(10202))는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M"이고,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S"인 것을 안다. 이런 이유로, 중앙 장치(10201)(CPU(10202))는 "예약 모드" 컬럼을 "M"으로 설정함에 의해 기지국 장치(2051)의 동작 모드를 MRC 연결 모드로 변경한다.
상술한 변경 제어 처리(도 37 및 도 38)에서, 중앙 장치(10201)가 중앙 장치에 의해 관리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게 순서대로 설정을 수행하라고 지시하는 순차 변경 방법을 사용한다. 이 방법은 다수의 기지국 장치들이 광역의 전송 대역 을 필요로 하는 MRC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도 전송 대역에서 어떠한 문제도 발생하지 않는 경우 및, 연결 모드를 상대적으로 많은 시간을 소모하여 변경 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경우에 이용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다수의 기지국 장치들이 MRC 연결 모드에서 동작할 때에 전송 대역에서 문제를 발생하는 경우에는 도 39 및 도 40을 참조하여 후술할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후술할 시스템(일괄 변경 방법)에서, 중앙 장치(10201)는 중앙 장치(10201)에 의해 함께 관리되는 모든 기지국 장치의 상태를 검출한다. 모든 기지국 장치에서 검출된 상태가 이전 상태와 다를 경우, 중앙 장치(10201)는 연결 모드의 설정 변경이 필요로 되는지의 여부를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설정 변경이 필요로 되는 기지국 장치에 대해서만 설정 변경을 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앙 장치(10201)는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우선 순위를 정하여 우선 순위에 기초하여 연결 모드의 설정을 행한다.
여기서, 우선 순위는 MRC 연결 모드의 설정에 의해 획득한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정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일례로, 우선, 도 26을 참조하여 MRC 설정 요구를 보고한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해 상술한 평가치를 산출한다. 설정 변경의 순서는 MRC 설정 요구를 보고한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해 산출된 모든 평가치의 크기에 따라 재배열된다. 이런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MRC 연결 모드는 제한된 전송 대역을 효과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정확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39는 제2 예에 따른 일괄 변경 방법에서 중앙 장치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이런 변경 절차는 상술한 " 순차 변경 방법"에 비해 "일괄 변경 방법"으로 기술된다.
도 39에 도시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중앙 장치(10201)는 도 36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기지국 장치 BS#1 및 기지국 장치 BS#2에 연결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일괄 변경 방법을 사용한다, 이런 이유로,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장치 안테나 BS#1 및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2에게 MRC 설정 요구가 행해져야 하는가에 대한 정보를 판독할 것을 요구한다. 이런 요구에 응답하여, 기지국 장치 안테나 BS#1 및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2는 상술한 MRC 보고 모듈(10013)의 함수에 의해 변경 요구 처리(도 27 내지 도 29)에 의해 획득된 처리 결과(MRC 설정 요구/해제 요구)를 중앙 장치(10201)에 송신한다. 도 39에 도시된 예에서는,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1에게 후술될 변경 제어 처리(도 40)의 결과에 따라 최대비 합성(MRC)에 의한 동작을 수행할 것을 지시한다. 한편, 중앙 장치(10201)는 기지국 안테나 장치 BS#1에게 최대비 합성(MRC)의 동작을 해제할 것을(즉, 선택 합성(SC)의 동작을 시작할 것을) 지시한다. 이 경우, 두 기지국 장치들로의 명령은 함게 행해진다.
도 40은 제2 예에서 중앙 장치에 의해 행해진 일괄(batch) 변경 방법을 사용하는 변경 제어 처리의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에서는 CPU(10202)에 의해 행해진 처리 절차를 나타낸다.
단계(S61)에서, CPU(10202)는 CPU(10202)에 행해진 모든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MRC 설정 요구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처리가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S61)에서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202)는 CPU(10202)에 행해 진 모든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MRC 설정 요구가 행해졌는가에 대한 정보를 획득한다(단계(S62)).
단계(S61)에서, 모든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정보 획득이 완료된 것으로 확인되면("예" 판단인 경우), CPU(10202)는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술한 우선 순위를 분석한다(단계(S63)).
다음에, CPU(10202)는 변경 동작의 우선 순위를 판단하고, 단계(S63)에서의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변경이 필요로 되는가를 판단한다(단계(S64)).
단계(S65)에서, CPU(10202)는 모든 기지국 장치에 대한 변경 제어 처리가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단계(S65)에서의 판단 결과가 "아니오"이면, CPU(10202)는 그 다음 언급된 기지국 장치가 모든 기지국 장치 중에서 변경 대상인지를 단계(S64)에서 획득한 처리 결과를 참조하여 판단한다(단계(S66)).
단계(S66)에서 그 다음 언급된 기지국 장치가 변경 대상인 것으로 판단하면, CPU(10202)는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 간의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관리 테이블(도 37)을 참조하여 판단한다.
단계(S67)에서의 판단에 의해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CPU(10202)는 처리 대상인 기지국 장치에게 선택 합성(SC) 모드 또는 최대비 합성(MRC) 모드의 설정을 행할 것을 지시한다(단계(S68) 및 단계(S69)). 이런 설정 처리 자체는 상술한 순차 변경 방법(도 38)의 것과 동일하다.
도 35 내지 도 40을 참조하여 상술한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MRC 연결 모 드의 변경 절차는 로컬 지역에 대해 기술한 것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연결 모드가 넓은 영역에서 변경되는 사례가 도 41을 참조하여 기술될 것이다.
도 41은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평가 상태와 설정 상태의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1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구성 및 동작은 제1 예의 관리 테이블(도 34)의 것과 동일하다. 관리 테이블은 CPU(10202)의 제어 하에 중앙 장치(10201)의 저장 매체(10203)에서 관리된다. 중앙 장치(10201)는 각 기지국 장치의 상태를 학습하여 관리 테이블(도 41)을 사용하여 연결 모드의 변경 제어를 수행한다.
즉, 도 41에 도시된 예는 실제 서비스 지역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분포 상태와 유사한 상태를 가정한 것이고, 상술한 도 23 및 도 24에 예시된 15 개의 기지국 장치의 동작 제어 상태에 대응한 것이다. 도 41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은 도 23에 도시된 동작 제어 상태로부터 도 24에 도시된 동작 제어 상태를 실현할 때의 관리 정보를 표현한 것이다.
즉, 관리 테이블(도 41)에 도시된 "설정 상태" 컬럼에서, 시각 t1에서의 15 개의 기지국 장치의 실제 동작 상태가 도 23에 목록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MRC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BS#2021, BS#2031, BS#2041, BS#2051, BS#2061, BS#2081 및 BS#2091)에 대해, 관리 테이블(도 41) 내의 "설정 상태" 컬럼의 정보는 MRC 모드를 의미하는 "M"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시각 t2에서 MRC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는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BS#2071, BS#2081, BS#2101, BS#2111, BS#2131, 및 BS#2141이다.
따라서, 중앙 장치(10201)는 시각 t1에서 시각 t2까지의 기간에서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변경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도 24에 도시된 동작 제어 상태를 실현하기 위해, 우선, 예를 들면, 시각 t1에서 15 개의 기지국 장치는 상술한 변경 요구 프로세스(도 27 내지 도 29)에 의한 MRC 설정 요구가 있었는가를 판단한다. 중앙 장치(10201)는 도 36 및 도 39를 참조하여 상술한 절차에 의한 15 개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MRC 설정 요구가 있었는지에 대한 판단 결과를 수집할 수 있다. 수집된 결과는 도 41에 도시된 "평가 상태" 컬럼에 등록된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관리 테이블(도 41)의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 및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에 따라 대상 기지국 장치의 동작 설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다. 즉, 기지국 장치에 대해 관리 테이블(도 41)의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 간에 차이가 있으면, 기지국 장치의 동작 설정은 변경되어야 한다.
도 34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의 설명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예약 모드"는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 간에 차이를 나타내는 관리 플래그용 컬럼이다. 그러므로, 도 41에서는,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11)에 대해,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동일하므로, "예약 모드" 컬럼 내의 정보는 "-"로 재설정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2021)에 대해,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는 최대비 합성을 나타내는 "M"이다. 그러나,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는 선택 합성을 나타내는 "S"이다. 이런 이유로, 기지국 장치(2021)의 모드가 선택 합성 모드로 변경되어야 하므로, "예약 모드" 컬럼이 "S"로 설정된다. 즉, 도 41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에서, 중앙 장치(10201)는 "예약 모드" 컬럼에 설정된 정보가 t1과 t2 사이의 시간 내에서 "S" 또는 "M"인 기지국 장치에 대해 동작 설정의 변경 요구 프로세스를 수행해야 한다. 그 결과, 도 24에 도시된 분포 상태는 MRC 모드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BS#2071, BS#2081, BS#2101, BS#2111, BS#2131, 및 BS#2141)에 대해 실현될 수 있다.
(제3 예: 기지국 장치 자체에 의해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
다음으로, 기지국 장치 자체에 의해 연결 모드의 변경을 수행하는 방법에 대해 기술하기로 한다.
도 42는 제3 예에서 기지국 장치에 의해 자체 관리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는, 도 25를 참조하여 기술한 기지국 장치(10000)는 저장 매체(10004)에 도 42에 도시된 관리 테이블을 갖는다. 관리 테이블(도 42)의 구성 및 동작은, 대상 기지국 장치가 단지 자신의 기지국 장치인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관리 테이블(도 34)의 것들과 동일하다.
즉, 이 예에서는, 기지국 장치(10000)(CPU(10003))는 상술한 변경 요구 프로세스(도 27 내지 도 29)를 수행한다. 저장 매체(10004)에 저장된 관리 테이블(도 42)을 참조하여, 기지국 장치(10000)는 자기 자신의 평가 상태를 관리한다. 기지국 장치(10000) 자체는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 및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에 따라 자신의 동작 설정을 변경한다.
도 43은 제3 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기지국 장치(2011, 2021 및 2031)(BS#1, BS#2 및 BS#3)는 상술한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에 연결된다. 이 예에서는, 고속 회선(1001)은 MRC 연결 모드용으로 사용된다. 저속 회선(1002)은 SC 연결 모드용으로 사용된다. 기지국 장치는 도 25에 도시된 제어 회선(10005)에 대응하는 제어 회선을 통해 회선 연결 제어기(10300)에 연결된다.
회선 연결 제어기(10300)에 의해 관리되는 기지국 장치가 연결 모드의 변경이 필요로 되는 것으로 판단하면(즉, 예약 모드의 설정이 행해지는 경우), 회선 연결 제어기(10300)는 기지국 장치에게 설정 변경을 행할 것을 지시한다. 각 기지국 장치는 회선 연결 제어기(10300)에게 고속 회선(1001) 및 저속 회선(1002)에 의한 연결 모드의 확립 또는 확립된 연결 모드의 변경을 행할 것을 요구한다.
도 44는 제3 예에서 회선 제어기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4에서, 기지국 장치 BS#1, BS#2 및 BS#3는 그들 단독으로 그들 자신의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서의 평가치를 각각 산출하고, 또한 연결 모드의 변경이 필요로 하는지(MRC 설정이 필요로 하는지)를 판단한다. 각 기지국 장치는 평가치 및 판단 결과를 저장 매체(10004)의 관리 테이블(도 42)에 저장한다.
관리 테이블에서 "설정 상태" 컬럼 내의 정보와 "평가 상태" 컬럼 내의 정보가 일치하지 않으면, 예를 들어, 기지국 장치 BS#1는 회선 연결 제어기(10300)에 연결 모드의 변경 요구를 송신한다.
변경 요구의 수신에 응답하여, 회선 연결 제어기(10300)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사용될 통신 회선이 이용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또한, 회선 연결 제어기(10300)는 사용될 통신 회선의 용량이 제한치에 도달하지 않은 것을 확인한다. 회선 연결 제어기(10300)는 이들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기지국 장치(BS#1)로부터 요구된 내용에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하고, 또한 처리 결과를 기지국 장치에 송신한다.
이 예에서는, 각 기지국 장치에서 상술한 일련의 동작들이 수행된다. 결과적으로, 각 기지국 장치는 연결 모드를 단독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및 이 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 따르면, 하나의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수신하면, 무선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는, 이동 단말기가 통신하는 기지국 장치에 의해 커버되는 서비스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분포 상태의 변경 및/또는 외부 요인에 따라 가장 적합한 합성 포인트, 즉 최대비 합성 포인트 또는 선택 합성 포인트를 선택함으로써 정확하게 합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로부터 기지국 장치로 송신된 신호의 수신 이득이 향상되므로, 그 결과,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송신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즉,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회선 용량의 증가를 실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기지국 장치,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및 선택 합성 포인트(SC-P)가 고속 회선(1001)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연결 관계를 동적으로 변경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파에 대한 장애물의 실재 상황 또는 지역적인 트래픽 상태(예컨대, 구조물, 차량의 긴 기간의 정지 등)에 따라 변경되는 네트워크-관련 장치에 대한 규정 수를 줄일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 및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시적인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첨부된 청구범위에 규정된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한 여러 변형 및 수정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청구범위가 실시 중에 변경되었더라고 청구된 본 발명의 모든 등가물은 보유되는 것으로 의도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지역과 섹터 안테나 간의 관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 및 도 2에 예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 장치의 구성소자에 연결되는 복수의 이동 단말기들이 최대비 합성(MRC)에 의해 연결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와 선택 합성 포인트가 물리적 장치에 함께 설치된 상황을 예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장치의 연결 상태를 예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취해진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도시하는 (테이블) 도면.
도 8은 이동 통신 시스템의 네트워크 연결의 관점으로부터 도 6 및 도 7에 예시된 기지국 장치와 이동 단말기 간의 통신 링크의 연결 상황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9는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상황에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 대비 합성 포인트 간에서의 신호 전송 루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기지국 장치 각각이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를 네트워크로 전송할 때의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예시하는 도면.
도 11은 기지국 장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특정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3)에서 취해진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최대비 합성 포인트들 중에서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13은 기지국 장치 각각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도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특정의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 및 3052)에서 취해진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기지국 장치(2031 및 2041)에 의해 수신된 신호가 도 4, 도 6 및 도 9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 기지국 장치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 간의 연결 관계에 대해 특정의 선택 합성 포인트(3061)에서 취해진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연결 상황에서 신호의 수신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이동 단말기의 신호를 기지국 장치를 통해 최대비 합성 포인트 및 선택 합성 포인트로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패킷의 포맷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선택 합성 포인트(3061)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121) 및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021)이 기지국 장치(2021)로부터 전송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8은 도 17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데이터 패킷(5021)이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1)에서 취해질 때까지의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선택 합성 포인트의 이용을 중단시킬 때까지의 상황을 나태낸 도면.
도 20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에 의해 수신된 이동 단말기(1012)의 신호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행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
도 21은 기지국 장치(2041 및 2051)가 최대비 합성 포인트(3052)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041 및 5051) 및 선택 합성 포인트(3062)로 전송되어야 할 데이터 패킷(5141 및 5151)를 생성하는 상황을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상황으로부터 최대비 합성 포인트의 이용을 중단시킬 때까지의 상황을 나태낸 도면.
도 23은 임의 시각(t1)에서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다른 시각(t2)에서 통신 중인 이동 단말기의 분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
도 26은 신호 합성 처리의 변경 판정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
도 27은 상향 링크의 전력량을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
도 28은 상향 링크의 정보 레이트를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
도 29는 이동 단말기의 수를 평가치로서 이용한 변경 요청 처리의 흐름도.
도 30은 제1 예에서 예시적인 이동 통신의 시스템 블록도.
도 31은 제1 예에서 변경 동작의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32는 제1 예에서 콘솔 패널의 전환 레이아웃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제1 예에서 콘솔 패널 상에 제공된 표시 및 동작 전환의 동작 방법을 도시하는 도면.
도 34는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 및 평가 상태의 관리 시에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5는 제2 예에서 예시적인 이동 통신의 시스템 블록도.
도 36은 제2 예에 따른 순차 변경 방법에서 중앙 장치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 및 평가 상태의 관리 시에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38은 제2 예에서 중앙 장치에 의해 행해진 순차 변경 방법을 사용하는 변경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 39는 제2 예에 따른 순차 변경 방법에서 중앙 장치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0은 제2 예에서 중앙 장치에 의해 행해진 일괄(batch) 변경 방법을 사용하는 변경 제어 처리의 흐름도.
도 41은 관리 대상인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설정 상태 및 평가 상태의 관리 시에 사용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2는 제3 예에서 기지국 장치에 의해 자체 관리되는 관리 테이블을 도시하는 도면.
도 43은 제3 예에서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44는 제3 예에서 회선 제어기와 기지국 장치 간에 송수신된 정보의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45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여러 종류의 기지국 장치들이 연결되는 상황 및 또한 수신된 신호의 처리 절차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6a 내지 도 46c는 도 45에 도시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최대비 합성기와 선택 합성기의 연결 방식을 전반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 47a 내지 도 47c는 도 46a 내지 도 46c에 도시된 상황에서 기지국 장치(12020 및 12021), 최대비 합성 포인트(1305) 및 선택 합성 포인트(1306) 간에서의 통신 연결 관계를 논리적으로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5: 최대비 합성 포인트(MRC-P)
306: 선택 합성 포인트(SC-P)
307: 무선 네트워크 제어기(RNC)
1001: 고속 회선
1002: 저속 회선
1011, 1012: 이동 단말기
2011, 2021, 2031: 기지국 장치
3051, 3052: 최대비 합성 포인트

Claims (27)

  1. 이동 통신 시스템으로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고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10000),
    제1 통신 회선(1001)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됨-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최대비 합성 수단(305, 3051),
    제2 통신 회선(1002)을 통해 통신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연결가능하고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됨-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선택 합성 수단(306, 3061)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무선 신호-상기 무선 신호는 하나의 이동 장치로부터 송신됨-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대응하는 상기 정보-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됨-에 기초하여 신호 합성이 수행될 경우, 상기 이동 장치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인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의 변경 및 외부 요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 및 상기 선택 합성 수단 중 하나 또는 모두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10100, 10101, 10201, 10300, 307)
    을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선택 수단에게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수신지를 상기 통신 중인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에 따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섹션에서의 상향 링크의 전력량에 기초하여, 통신 중인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서의 상향 링크에 관한 레이트(rate)에 기초하여, 통신 중인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상기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인 상기 이동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통신 중인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을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정보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로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로 송신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정보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와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 사이에서 동적으로 전환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시에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로 변경하면, 상기 복수의 기 지국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의 송신을 계속하고, 상기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이 상기 정보에 대해 상기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시에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를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로 변경하면,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의 송신을 계속하고, 상기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상기 선택 합성 수단이 상기 정보에 대해 상기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오퍼레이터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변경 요구에 따른 변경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선택할 수 있게 해주는 인간-기계 인터페이스(10101) 및
    상기 인간-기계 인터페이스(10101)에 의한 변경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과 상기 선택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제어 장치(307)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의 변경 요구에 따른 변경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외부 장치(10201) 및
    상기 외부 장치에 의한 변경 판단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과 상기 선택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제어 장치(307)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할 때,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대해 상기 변경이 요구되는지의 여부와 상기 변경의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통신 중인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에 관한 평가치 또는 상기 외부 요인에 따라 판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은,
    상기 변경 요구가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변경을 수행할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 의한 상기 변경 판단의 결과를 고려하여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과 상기 선택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기지국 장치 제어 장치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회선의 통신 레이트는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섹션에서 송신된 코드 정보의 통신 레이트와 적어도 동일한 이동 통신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요인은 시간대별 차, 평일별 차 및 행사가 개최되는지의 여부 중 적어도 하나인 이동 통신 시스템.
  16. 이동 장치(2011, 2021, 2031, 10000)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기지국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 성 처리를 수행하는 최대비 합성 수단(305, 3051)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회선(1001)과,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선택 합성 수단(306, 3061)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2 통신 회선(100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통신 링크를 확립함으로써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 수단(10014) 및
    외부 장치(10100, 10101, 10201, 10300, 307)에게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의 변경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수신지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수단(10011, 10012, 10013)
    을 포함하는 기지국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은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섹션에서의 상향 링크의 전력량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기지국 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은 상기 기지국 장치에서의 상향 링크에 대한 레이트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기지국 장치.
  19. 제16항에 있어서,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상기 분포 상태의 상기 변경은 상기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의 이동 장치의 수에 기초하여 판단되는 기지국 장치.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정보는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로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로 송신되는 기지국 장치.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를 송신할 때,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 및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형태는 동적으로 전환될 수 있는 기지국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시에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로 변경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의 송신을 계속하고, 상기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 고,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이 상기 정보에 대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는 기지국 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장치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송신 시에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를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의 송신을 위한 상기 형태로 변경하면, 상기 기지국 장치는 상기 제1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의 송신을 계속하고, 상기 제2 통신 회선을 통해 상기 선택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기 시작하고, 상기 선택 합성 수단이 상기 정보에 대해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을 경우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에 상기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중지하는 기지국 장치.
  24. 제16항 내지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회선의 통신 레이트는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기지국 간의 무선 섹션에서 송신된 코드 정보의 통신 레이트와 적어도 동일한 기지국 장치.
  25.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지리적으로 분산된 위치에 속해 있고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행하는 복수의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10000)를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됨-에 기초하여 제 1 통신 회선(1001)을 통해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최대비 합성 수단(305, 3051)에 연결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를 제2 통신 회선(1002)을 통해 상기 정보에 기초하여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선택 합성 수단(306, 3061)에 연결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에서 하나의 이동 장치로부터 송신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상기 정보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로부터 송신됨-에 기초하여 신호 합성을 행할 때, 상기 이동 장치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의 서비스 유효 지역에 존재하는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의 변경 또는 외부 요인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장치와 상기 복수의 기지국 장치 간의 무선 섹션에서 송신된 코드 정보의 통신 레이트와 적어도 동일한 통신 레이트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회선을 상기 제1 통신 회선으로 사용하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어 방법.
  27. 이동 장치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기지국 장치(2011, 2021, 2031, 10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정보에 기초하여, 최대비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최대비 합성 수단(305, 3051)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1 통신 회선(1001)과 선택 합성 처리를 수행하는 선택 합성 수단(306, 3061)과 통신하는 데 사용되는 제2 통신 회선(1002)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통신 링크를 확립함으로써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제어 함수(10014) 및
    외부 장치(10100, 10101, 10201, 10300, 307)에게 통신 중의 상기 이동 장치의 분포 상태의 변경에 따라 상기 이동 장치로부터 상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상기 정보의 수신지를 상기 최대비 합성 수단 또는 상기 선택 합성 수단으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요구 함수(10011, 10012, 10013)
    를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
KR20070133692A 2006-12-18 2007-12-18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KR1009650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39939A JP4882723B2 (ja) 2006-12-18 2006-12-18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信号合成方法
JPJP-P-2006-00339939 2006-12-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684A true KR20080056684A (ko) 2008-06-23
KR100965015B1 KR100965015B1 (ko) 2010-06-21

Family

ID=39271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133692A KR100965015B1 (ko) 2006-12-18 2007-12-18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116770B2 (ko)
EP (1) EP1936832B1 (ko)
JP (1) JP4882723B2 (ko)
KR (1) KR100965015B1 (ko)
CN (1) CN1012074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53462A1 (en) * 2008-04-02 2009-10-08 Capece Christopher J Scaleable base station architecture
KR101550463B1 (ko) * 2008-12-30 2015-09-14 엘지전자 주식회사 핸드오버 방법
WO2010147278A1 (ko) * 2009-06-16 2010-12-23 주식회사 쏠리테크 광 중계 시스템
KR100930046B1 (ko) * 2009-06-16 2009-12-08 주식회사 쏠리테크 광 중계 시스템
KR100940517B1 (ko) * 2009-06-16 2010-02-11 주식회사 쏠리테크 광 중계 시스템
JP2012049776A (ja) * 2010-08-26 2012-03-08 Fujitsu Ltd アンテナ装置、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及び通信方法
GB2484287A (en) * 2010-10-04 2012-04-11 Vodafone Ip Licensing Ltd Selecting base station radio systems for receiving and combining OFDM signals from a mobile station
US9072099B2 (en) * 2011-08-10 2015-06-30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to control HSDPA activation/de-activation
DE102011118076B4 (de) 2011-11-04 2024-04-18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zur deutlichen Steigerung der Verfügbarkeit drahtloser Verbindungen
WO2014045417A1 (ja) * 2012-09-21 2014-03-27 富士通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負荷試験方法
JP2014165611A (ja) * 2013-02-22 2014-09-08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US9860019B2 (en) 2014-02-06 2018-01-02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Base st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1302B2 (ja) 1998-06-24 2004-12-15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ダイバーシチ受信装置
JP3852736B2 (ja) * 2000-02-23 2006-12-06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受信信号合成方法、システム、無線受信局及び受信局
WO2002102109A1 (fr) * 2001-06-06 2002-12-1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eil et procede de radiocommunications cellulaires
JP2003069459A (ja) 2001-08-24 2003-03-07 Nippon Soken Inc 受信機
EP1677442B1 (en) * 2003-08-21 2014-04-23 Ntt Docomo,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obile station, and radio control device
WO2005025262A1 (ja) * 2003-09-04 2005-03-17 Fujitsu Limited 通信システム及びハンドオーバ通信方法
EP1564908A1 (en) * 2003-12-23 2005-08-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dvanced multi-sensor processing
KR100810590B1 (ko) * 2003-12-24 2008-03-06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도코모 이동통신 시스템 및 제어 장치
EP1763970B1 (en) * 2004-06-30 2016-03-09 Unwired Planet International Limited Data processing in intra-site handover
US20060039315A1 (en) * 2004-08-20 2006-02-23 Hao Bi Macro diversity schemes for shared dedicated control channel in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JP4327122B2 (ja) * 2005-05-11 2009-09-09 株式会社東芝 無線受信機および無線受信方法
US20070135153A1 (en) * 2005-12-12 2007-06-14 Zhijun Cai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transmit signal strength message
JP4788905B2 (ja) 2006-05-01 2011-10-05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アンテナ近接状況判断方法
KR100788418B1 (ko) * 2006-06-27 2007-12-24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통신방법 및 무선통신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07423B (zh) 2012-11-14
US8116770B2 (en) 2012-02-14
EP1936832B1 (en) 2017-06-14
JP4882723B2 (ja) 2012-02-22
EP1936832A3 (en) 2012-03-21
CN101207423A (zh) 2008-06-25
US20120108243A1 (en) 2012-05-03
US20080254799A1 (en) 2008-10-16
EP1936832A2 (en) 2008-06-25
JP2008153951A (ja) 2008-07-03
KR100965015B1 (ko) 2010-06-21
US8369855B2 (en) 2013-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015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기지국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US7548759B2 (en) Power controlling method during a soft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WI422177B (zh) 使用智慧天線以建立回程網路之方法及系統
JP5021072B2 (ja) 基地局と無線中継局とを含む無線伝送ネットワークの自適応管理方法
TWI387367B (zh) 使用智慧天線以建立回程網路之方法及系統
AU2002329073A1 (en) Power controlling method during a soft handoff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A2468521A1 (en) System and method utilizing dynamic beam forming for wireless communication signals
EP2117239B1 (en) Base station device and cell switching determination method
EP1104608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twork control in communications networks
US8452284B2 (en)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ell selection communication method
EP1195073B1 (en) Prioritized sending of data
JP2007228213A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無線基地局の負荷制御方式
JP3046295B1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
JP3122425B2 (ja) Cdma移動通信システム
CN1306701A (zh) 无线通信系统中用于收集器阵列的方法和装置
JP200333880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WO2020195856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WO2020195855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WO2020195857A1 (ja) 無線通信方法及び基地局
KR100524000B1 (ko) 스마트 안테나 기지국 시스템에서의 안테나 빔의 섹터간전이 방법과 이를 저장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차세대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
Tripathi et al. Handoff and radio resource management in cellular systems
JP2001320316A (ja) 無線データ通信システム、基地局、移動局、無線サーバ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Saluja et al. ERROR CONTROL SYSTEM IN CELLULAR NETWORK
KR20090061648A (ko)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