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61648A -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 Google Patents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61648A
KR20090061648A KR1020097006889A KR20097006889A KR20090061648A KR 20090061648 A KR20090061648 A KR 20090061648A KR 1020097006889 A KR1020097006889 A KR 1020097006889A KR 20097006889 A KR20097006889 A KR 20097006889A KR 20090061648 A KR20090061648 A KR 20090061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wireless base
handover
mode
user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68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하마드 카즈미
리아오 징이
Original Assignee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filed Critical 텔레호낙티에볼라게트 엘엠 에릭슨(피유비엘)
Priority to KR10200970068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61648A/ko
Publication of KR20090061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61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11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 H04W36/0027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for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 for a plurality of data sessions of end-to-end connections, e.g. multi-call or multi-bearer end-to-end data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55Transmission or use of information for re-establishing the radio lin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16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 H04W36/18Performing reselection for specific purposes for allowing seamless reselection, e.g. soft resel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가 수행되기로 되어 있는 경우,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이 보장된다. 이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드 리스트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2 모드 리스트를 비교하여 공통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는 것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핸드오버,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모드, 서빙 무선 기지국, 타깃 무선 기지국, 사용자 장비(UE)

Description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MIMO MODE SELECTION AT HANDOVER}
본 발명은 이동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네트워크의 상이한 노드들에서 상이한 MIMO 모드들이 이용 가능한 셀룰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년에 걸쳐서, 무선 채널을 통하여 높은 데이터 레이트를 전달하기 위해 다중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행해졌다. 다중의 송신 안테나 및 다중의 수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은 다중 입력 다중 출력(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시스템이라고 불린다. 상이한 다중-안테나 방법들이 제안되었고, 상이한 방법들은, 무선 채널의 상이한 특성들을 활용하는 그들의 능력에 있어서, 상이한 이점들을 갖는다.
상이한 공간 처리는 스펙트럼 효율, 다이버시티, 커버리지, 간섭 완화 등을 개선하기 위해 상당히 기여하는 잠재력을 갖는다. 예를 들면, PARC(per antenna rate control)로서 기술된 제안은 원칙적으로 독립적인 심벌 스트림들을 송신함으로써 높은 스펙트럼 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제안인 수신기 다이버시티는 다중 차원들에서 리던던시(redundancy)를 도입함으로써 링크 신뢰도를 증가시키지만, PARC 제안과 동일한 정도의 개선된 스펙트럼 효율을 제공하지는 않는다.
원칙적으로, 단일 공간 처리 알고리즘에 대응하는 각 MIMO는 다중 화(multiplexing) 또는 다이버시티 이득들(diversity gains)을 제공한다. 그러나, 그 2가지 타입의 성능 이득 사이에 합리적인 트레이드오프(trade-off)를 찾아내기 위해 상이한 방법들 사이에서 적응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시스템 모드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시스템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이한 MIMO 스킴(scheme)들은 상이한 타입의 측정 보고를 요구하고, 그 모드의 선택은 HARQ(Hybrid ARQ)와 같은 다른 처리들의 성능에 영향을 줄 것이다. 예를 들면, 만일, 모드 전환 중에, 노드(Node)-B 또는 RNC가 다른 높은 우선순위 처리들, 예를 들면, 핸드오버를 행하고 있다면, 모드 전환은 결과적으로 다량의 핸드오버 시그널링 요건 때문에 일부 HARQ 처리의 손실 또는 일부 HARQ 소프트 결합 처리(soft combining process)의 손실을 일으킬 수 있다.
미국 특허 6,937,592호는 무선 통신 시스템이 송신 특유의 변수(transmission-specific varibles)에 응답하여 공간 다중화(spatial multiplexing)와 비공간 다중화(non-spatial multiplexing) 사이에서 그의 동작 모드를 적응시킬 수 있는 시스템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서빙 무선 기지국(serving radio base station)으로부터 타깃 무선 기지국(target radio base station)으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그 방법은,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보장하 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이 제공되고, 상기 무선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 그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제공되고,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적응된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하여, 이제 예로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1의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4의 시스템에서의 시그널링을 설명한다.
도 1은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의 일부를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장비(UE)(20)와 같은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4개의 노드 B들(12, 14, 16, 18)을 보여준다. 이 노드 B들(12, 14, 16, 18) 각각은 액세스 게이트웨이(aGW)(22)에의 접속을 갖는다. 이 기술의 숙련자에게는, 시스템(10)은 실제로는 더욱 많은 노드 B들, 및 더욱 많은 모바일 장치들을 포함할 것이지만, 도 1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충분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액세스 게이트웨이(22)가 사용자 평면 스위칭(user plane switching)만을 수행하고, 어떤 무선 관련 정보도 전달하지 않는, 분산 시스템(distributed system)을 보여준다. 노드 B(12)와 노드 B(14) 간의 링크(24)와 같은 논리적 링크들이 제공되고, 무선 관련 정보의 교환은 다양한 노드 B-노드 B 인터페이스들을 통하여 수행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설명하는 순서도이다.
이 방법은 도 1의 사용자 장비(UE)(20)와 같은 모바일 장치가 도 1의 노드 B(12)와 같은 서빙 노드 B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있고, 도 1의 노드 B(14)와 같은 타깃 노드 B로의 핸드오버가 계획되는 상황에 관계된다.
이 설명에서, 용어 "핸드오버"(handover)는 셀내(intra-cell) 핸드오버, 셀간(inter-cell) 핸드오버, RAT내(inter-RAT) 핸드오버 또는 셀 변경과 같은 임의의 타입의 핸드오버를 의미하기 위해 사용된다.
단계 40에서는, 서빙 노드 B에 대하여 가상 모드 리스트(virtual mode list; VML)가 형성된다. 여기에서 사용될 때, 용어 "가상 모드 리스트"는, UE 및 관련 노드 B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될 수 있는 상이한 MIMO 모드들과 같은, 가능한 모드들 전부의 리스트를 지시한다. 즉, 사용자 i에 대한 가상 모드 리스트 VVML_serving은 i번째 UE 및 서빙 노드 B 쌍방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이다. 따라서,
VVML _ serving = VUE ∩ VNodeB _ serving = [α12,...,αM]
여기에서 VUE 및 VNodeB _ serving은 각각 UE 및 서빙 노드 B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들이고 'α'는 MIMO 모드 ID이다.
도 1에 도시된 분산 아키텍처의 경우에, 가상 모드 리스트(VML)는 서빙 노드 B, 예를 들면, 도 1의 노드 B(12)에서 형성(build)되고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UE는 그의 MIMO 모드 능력들을 서빙 노드 B에 보고하고, 서빙 노드 B는 그 자신의 능력들 및 UE의 능력들에 기초하여 VML을 형성한다. 아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VML은 핸드오버를 결정 및 실행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에 의해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VML은 UE, 노드 B,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adio Network Controller, RNC)에 의해, 또는 임의의 다른 네트워크 엘리먼트에 의해 형성될 수 있을 것이다.
단계 42에서는, 타깃 노드 B에 대하여 가상 모드 리스트(VML)가 형성된다. 전과 마찬가지로, VML은 UE 및 관련 노드 B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될 수 있는 가능한 모드들 전부의 리스트이다. 즉, 사용자 i에 대한 가상 모드 리스트 VVML_target은 i번째 UE 및 타깃 노드 B 쌍방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들을 포함하는 리스트이다. 따라서,
VVML _ target = VUE ∩ VNodeB _ target = [α12,...,αM]
여기에서 VUE 및 VNodeB _ target은 각각 UE 및 타깃 노드 B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들이고 'α'는 MIMO 모드 ID이다.
다시, 도 1에 도시된 분산 아키텍처의 경우에, 가상 모드 리스트(VML)는 관련 노드 B, 이 경우 도 1의 타깃 노드 B(14)에서 형성되고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UE의 MIMO 모드 능력들은, 타깃 VML을 형성할 수 있는, 타깃 노드 B에 보고된다.
단계 44에서는, 공통 가상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기 위해, 서빙 노드 B에 대한 및 타깃 모드 B에 대한, 2개의 가상 모드 리스트들이 교환된다. 공통 가상 모드 리스트(VVML _c)는 특정 UE에 대한 서빙 및 타깃 노드 B들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MIMO 모드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i번째 사용자에 대한 공통 VML VVML _c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VVML _c = VUE ∩ VNodeB _ serving ∩ VNodeB _ target = [α12,...,αL]
여기에서, VUE, VNodeB _ serving 및 VNodeB _ target은 각각 UE, 서빙 노드 B 및 타깃 노드 B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들이고 'α'는 VVML _c에 속하는 MIMO 모드들에 대한 ID들이다.
이 정보 교환은, 도 1에 도시된 인터페이스(24)와 같은, 직접 노드 B-노드 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일어난다. 서빙 노드 B가 핸드오버를 제어하기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타깃 노드 B에 대하여 형성된 가상 모드 리스트가 서빙 노드 B에 송신되는 것만이 필요하다. 대안은 주어진 UE에 대한 서빙 노드 B와 타깃 노드 B 간에 공통 VML을 형성하기 위하여 서빙 노드 B가 타깃 노드 B에게 직접 노드 B-노드 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그의 모드 능력들을 보고할 것을 요청하는 것이다.
단계 46에서는, 서빙 노드 B(12)에서 사용중인 현재의 MIMO 모드가 타깃 노드 B(14)에 의해 지원되는지, 즉, 그것이 공통 VML에 있는지가 판정된다.
단계 46에서 공통 VML이 적어도 하나의 MIMO 모드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48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공통 VML이 실제로 임의의 MIMO 모드를 포함하는지가 판정된다.
단계 48에서 공통 VML이 적어도 하나의 MIMO 모드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는 것을 가정하여, 처리는 단계 50으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공통 VML이 1개보다 많은 그러한 MIMO 모드를 포함하는지가 판정된다.
단계 50에서 공통 VML이 1개보다 많은 MIMO 모드를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프로세스는 단계 52로 넘어가고, 이들 모드들 중 하나가 최적의 공통 모드로서 선택된다. 공통 VML 내의 모드들 중 어느 것이 최적의 모드로서 간주될 것인지는 진행중인 접속(ongoing connection)의 요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최적의 모드는, 예를 들면, 커버리지 또는 용량에 기초하여, 또는 서비스 요건의 품질을 가장 잘 만족시키는 모드로서, 또는 UE 측정 보고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단 이용 가능한 모드들 중 하나가 처리의 단계 52에서 선택되면, 또는 단계 50에서 공통 VML이 하나의 MIMO 모드만을 포함한다고 판정되면, 처리는 단계 54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서빙 노드 B가 관련 모드로의 모드 전환을 수행한다.
일단 관련 공통 모드로의 전환이 수행되면, 처리는 단계 56으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핸드오버가 일어나고 있는 동안에 추가의 모드 전환을 방지하는 조치들이 취해진다. 그 후 처리는 단계 58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단계 46에서 현재의 MIMO 모드가 공통 VML에 있다고 판정되면, 본 발명의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어떤 모드 전환도 수행되지 않고, 처리는 바로 단계 56 및 58로 넘어가고, 그 단계들에서는, 각각, 모드 전환이 동결되고, 핸드오버가 수행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공통 VML 내의 다른 모드로의 모드 전환이 이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단계 48에서 UE(20)에 의해, 및 서빙 노드 B(12)와 타깃 노드 B(14) 쌍방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가 없다고 판정되면, 본 발명의 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처리는 단계 60으로 넘어가고, 그 단계에서는 핸드오버를 단순화하기 위해 비-MIMO 스킴(non-MIMO scheme), 예를 들면 단일 입력 단일 출력(single input single output; SISO) 스킴 또는 단일 입력 다중 출력(single input multiple output; SIMO) 스킴이 선택되고, 처리가 단계 58로 넘어가기 전에 적절한 모드 전환이 수행된다.
핸드오버가 완성될 때 타깃 노드 B가 원하는 MIMO 모드를 이용하여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조치들이 취해지는 한에서 외에는, 핸드오버 절차는 일반적으로 종래와 같으므로, 여기에서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도 3은 서빙 노드 B(12)와 타깃 노드 B(14) 사이의 메시지 흐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서빙 노드 B(12)에서 모드 전환(70)이 수행된 후에, 서빙 노드 B(12)와 타깃 노드 B(14) 사이에 메시지들(72, 74, 76)을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되는 것을 보여준다. 이들 메시지들은 핸드오버 절차 중에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고, 그들의 콘텐트는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것들은 본 발명에 관련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3은 또한 서빙 노드 B(12)로부터 타깃 노드 B(14)로 메시지가 송신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가능한 시기들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1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타깃 노드 B가 특정 MIMO 모드로 그의 동작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78)가 서빙 노드 B(12)로부터 타깃 노드 B(14)로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타깃 노드 B가 요청된 모드로 시작할 충부한 시간을 가질 것이라는 주요한 이점을 갖고, 이것은 어떤 중단(interruption)도 바람직하지 않은, 소프트 핸드오버(soft handover)에 대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제2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 중에, 예를 들면,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들 중 하나에 피기백(piggyback)되는, 메시지(80)가 서빙 노드 B(12)로부터 타깃 노드 B(14)로 송신될 수 있고, 이 메시지(80)도 타깃 노드 B가 특정 MIMO 모드로 그의 동작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어느 정도까지는 이 옵션은 시그널링 오버헤드(signalling overhead)를 감소시키지만, 그것은 타깃 노드 B가 다수의 태스크들을 동시에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제3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 직후에, 타깃 노드 B가 특정 MIMO 모드로 그의 동작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82)가 서빙 노드 B(12)로부터 타깃 노드 B(14)로 송신될 수 있다. 이 옵션에 의해 핸드오버 중단(handover interruption)이 더 길어질 수도 있지만, 그것은 메시지(82)는 핸드오버가 완성된 후에만 송신되고, 따라서 핸드오버 실패의 경우에 시그널링의 어떤 낭비도 초래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서빙 노드 B(12)에 의해 및 타깃 노드 B(14)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가 없다고 판정되고, 따라서 비-MIMO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타깃 노드 B가 그의 동작을 시작해야 하는 모드를 타깃 노드 B에 통지하기 위한 동일한 3개의 옵션들이 존재한다.
도 4는 대안적인 셀룰러 무선 통신 시스템(90)의 일부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영역 내에서 이동하는, 사용자 장비(UE)(100)와 같은 모바일 장치들에 대한 셀룰러 네트워크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4개의 노드 B들(92, 94, 96, 98)을 보여준다. 이 노드 B들(92, 94, 96, 98) 각각은 결합된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 및 액세스 게이트웨이(RNC/aGW)(110)에의 각각의 접속(102, 104, 106, 108)을 갖는다. 다시, 이 기술의 숙련자에게는, 시스템(10)은 실제로는 더욱 많은 노드 B들, 및 더욱 많은 모바일 장치들을 포함할 것이지만, 도 4에 도시된 시스템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충분하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도 4는 RNC/aGW(110)가 사용자 및 제어 평면 스위칭(user and control plane switching)을 수행하고, 또한 무선 관련 정보를 처리하는, 집중식 아키텍처(centralized architecture)를 보여준다.
이 시스템의 경우에, 다시 도 2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방법이 수행된다. 다만, 그 방법은 RNC/aGW(11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는 점에서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는 상이하다.
따라서, RNC/aGW(110)는 UE(100)의 능력 및 다양한 노드 B들의 능력들을 알고 있으므로, 타깃 노드 B 및 서빙 노드 B에 대한 VML들, 및 공통 VML을 형성하고 유지할 수 있다.
도 2의 절차에 의해 요구되는 임의의 모드 전환도 이 경우에 RNC/aGW(110)의 제어 하에 수행된다. 또한, RNC/aGW(110)는 핸드오버 절차를 제어하고, 또한 핸드오버 후에 사용될 노드를 타깃 노드 B에 통지하는 책임이 있다.
도 5는 RNC/aGW(110)와, 서빙 노드 B, 예를 들면 노드 B(92)와, 타깃 노드 B, 예를 들면 노드 B(94) 사이의 메시지 흐름들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처리의 단계 54에서, RNC/aGW(110)가 서빙 노드 B(92)에게 지정된 모드로 전환할 것을 지시하는 메시지(120)를 송신한다. 이것이 행해지면, 서빙 노드 B(92)는 확증 메시지(confirmatory message)(122)를 반환한다.
그 후, RNC/aGW(110)와, 서빙 노드 B(92)와 타깃 노드 B(14) 사이에 메시지들(124, 126, 128)을 수반하는, 핸드오버 절차가 수행된다. 이들 메시지들은 핸드오버 절차 중에 송신되는 메시지들을 대표하는 것일 뿐이고, 그들의 콘텐트는 더 설명되지 않을 것이다. 그것들은 본 발명에 관련되지 않기 때문이다.
도 5는 또한 타깃 노드 B가 특정 MIMO 모드로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메시지가 RNC/aGW(110)로부터 타깃 노드 B(94)로 송신될 수 있는 적어도 3개의 가능한 시기들이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제1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가 시작되기 전에 RNC/aGW(110)로부터 타깃 노드 B(94)로 메시지(130)가 송신될 수 있다. 이것은 타깃 노드 B가 요청된 모드로 시작할 충분한 시간을 가질 것이라는 주요한 이점을 갖고, 이것은 어떤 중단도 바람직하지 않은, 소프트 핸드오버에 대해 특히 유리할 수 있다.
제2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 중에, 예를 들면, 핸드오버 관련 메시지들 중 하나에 피기백되는, 메시지(132)가 RNC/aGW(110)로부터 타깃 노드 B(94)로 송신될 수 있다. 어느 정도까지는 이 옵션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감소시키지만, 그것은 타깃 노드 B가 다수의 태스크들을 동시에 처리할 필요가 있을 것임을 의미한다.
제3 옵션으로서, 핸드오버 절차 직후에, RNC/aGW(110)로부터 타깃 노드 B(94)로 메시지(134)가 송신될 수 있다. 이 옵션에 의해 핸드오버 중단이 더 길어질 수도 있지만, 그것은 메시지(134)는 핸드오버가 완성된 후에만 송신되고, 따라서 핸드오버 실패의 경우에 시그널링의 어떤 낭비도 초래하지 않는다는 이점을 갖는다.
다시, 서빙 노드 B(12)에 의해 및 타깃 노드 B(14)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가 없다고 판정되고, 따라서 비-MIMO 모드가 선택되는 경우, 타깃 노드 B가 그의 동작을 시작해야 하는 모드를 타깃 노드 B에 통지하기 위한 동일한 3개의 옵션들이 존재한다.
HARQ 및 핸드오버의 실행 시간 스케일들은 상당히 다르고, 핸드오버 절차 중에 몇 개의 HARQ 송신들이 있을 수 있다. 통화 단절(call dropping)을 방지하기 위해, 핸드오버는 HARQ보다 더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다. 한편, UE는, 예를 들면 그것이 처리할 수 있는 병렬 처리들의 수에 있어서, 제한된 처리 능력을 갖는다. 그러므로, 핸드오버 절차 중에 몇 개의 HARQ 송신들이 요구된다면, 이것들은 핸드오버 절차 중에 모드도 변경된다면 잘 수행될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된 모드 전환은 HARQ 처리들의 손실을 방지하고 그에 의해 핸드오버 중에 HARQ 성능 열화를 방지한다. 또한, 핸드오버 이전에, UE가 서빙 및 타깃 노드 B들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공통 모드로 전환한다면 핸드오버 처리 지연도 감소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관련 노드 B들이 적절한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보장함으로써, 핸드오버 절차를 단순화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 방법 및 네트워크 엘리먼트들이 설명되어 있다.

Claims (21)

  1. 서빙 무선 기지국(serving radio base station)으로부터 타깃 무선 기지국(target radio base station)으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보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사용자 장비,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 및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 및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통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은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직접 그에 의해 지원되는 모드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2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 엘리먼트가 상기 제1 모드 리스트 및 상기 제2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사용자 장비,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 및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상기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통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선호 모드(preferred mode)를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의 동작을 상기 선호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모드는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한 보고된 측정들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모드는 서비스 타깃 요건들(service target requirements)의 품질을 만족시키는 능력에 기초하여 선택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가 없는 경우, 상기 선호 모드로서 비-MIMO 모드(non-MIMO mode)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제어 엘리먼트가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게 상기 선호 모드로 전환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오버를 실행하는 네트워크 엘리먼트가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게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상기 모드를 사용할 것을 요청하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핸드오버의 실행 단계의 시작 전에 행해지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핸드오버의 실행 단계 중에 행해지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은 상기 핸드오버 절차의 성공적인 완성 후에 행해지는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 수행 방법.
  16. 셀룰러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하기 위한 무선 기지국으로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사용자 장비에 대한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서 기능하고 있는 경우, 그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 및 상기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잠재적인 MIMO 모드들을 포함하는 제1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기지국.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이 타깃 무선 기지국으로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경우, 그것은 상기 사용자 장비,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서 기능하는 상기 무선 기지국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리스트를 포함하는 공통 모드 리스트를 형성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기지국.
  18. 제17항에 있어서, 핸드오버를 수행하기 전에, 상기 무선 기지국은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상기 리스트로부터 MIMO 모드를 선택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기지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기지국은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상기 선택된 MIMO 모드를 통지하도록 적응되는 무선 기지국.
  20. 네트워크 컨트롤러로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가 서빙 무선 기지국으로부터 타깃 무선 기지국으로 사용자 장비의 핸드오버를 실행하기 위해 준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상기 핸드오버 전에, 상기 사용자 장비가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에 의해 및 상기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지원되는 MIMO 모드에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보장하도록 적응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컨트롤러는 상기 사용자 장비, 상기 서빙 무선 기지국 및 타깃 무선 기지국에 의해 공동으로 지원되는 MIMO 모드들의 리스트를 유지하도록 적응되는 네트워크 컨트롤러.
KR1020097006889A 2009-04-03 2006-10-05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KR20090061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6889A KR20090061648A (ko) 2009-04-03 2006-10-05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7006889A KR20090061648A (ko) 2009-04-03 2006-10-05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61648A true KR20090061648A (ko) 2009-06-16

Family

ID=40991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6889A KR20090061648A (ko) 2009-04-03 2006-10-05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616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349035B2 (en) MIMO mode selection at handover
CN111316732B (zh) 使用双波束以支持无线通信网络中的多连接的用户设备
EP2787657B1 (en) Signaling support for antenna selection using subset lists and subset masks
EP3560235B1 (en) Handover procedures in multi-carrier networks
TWI513106B (zh) 無線通訊節點、固定位置之無線通訊節點及建立無線蜂巢式連結之方法
WO2018030510A1 (en) Communication system
CN112055371A (zh) 无线基站和用户设备
KR20100057921A (ko)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 내의 기지국과 이동국간에서 협조하여 통신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N106465375A (zh) 波束成形的通信系统中空间分集的方案
EP2795959B1 (en) Method for changing the configuration of a relay node, corresponding relay node and corresponding cellular network system
EP3320737B1 (en) Technique for controlling radio access nodes
KR20120125516A (ko) 타겟 셀 사전-구성을 가진 노드 b 간 서빙 hs-dsch 셀 변화 및 이용자 장비로의 대안적인 구성 정보의 시그널링
WO2012016670A1 (en) Method for managing energy consumption in a wireless network and corresponding wireless network system
WO2006018715A1 (en) Communication system
KR20090061648A (ko) 핸드오버 시의 mimo 모드 선택
GB2590491A (en) Communication with vehicle based n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