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326A -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 Google Patents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326A
KR20080056326A KR1020060129089A KR20060129089A KR20080056326A KR 20080056326 A KR20080056326 A KR 20080056326A KR 1020060129089 A KR1020060129089 A KR 1020060129089A KR 20060129089 A KR20060129089 A KR 20060129089A KR 20080056326 A KR20080056326 A KR 200800563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barcode
casing
main board
viewing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9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9703B1 (ko
Inventor
안현우
Original Assignee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블루버드 소프트 filed Critical (주)블루버드 소프트
Priority to KR1020060129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69703B1/ko
Priority to US12/519,646 priority patent/US7837112B2/en
Priority to PCT/KR2007/006559 priority patent/WO2008075859A1/en
Priority to EP07851530A priority patent/EP2095293A4/en
Publication of KR20080056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9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9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06K7/1082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 G06K7/1088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 G06K7/10891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further details of bar or optical code scanning devices constructional details of hand-held scanners the scanner to be worn on a finger or on a wri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바코드 리더는, 메인 보드(Main Board);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케이싱과, 메인 보드(Main Board)를 사이에 두고 상부케이싱과 상호 분해 및 조립 가능한 하부케이싱과,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의 결합을 보조하도록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투시유닛을 구비하는 케이싱;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케이싱에 결합되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요구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부; 투시유닛을 통하여 외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케이싱 내에 수용되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식 대상의 바코드(Bar Code)를 리딩(reading)하는 바코드 리딩유닛; 및 케이싱에 결합되어 바코드 리딩유닛을 지지하는 바코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바코드, 바코드 리더, 메인 보드, 투시유닛, 장갑

Description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Bar Code Reader and Wearable Bar Code Reader Hav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 바코드 리더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코드 리더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코드 리더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싱 및 배터리 커버의 결합시 형성되는 연통공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의 일측에 투시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싱에 바코드 지지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력버튼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착용 바코드 리더 3 : 바코드 리더
5 : 메인 보드 7 : 도선
10 : 케이싱 20 : 상부케이싱
30 : 하부케이싱 31 : 배터리
32 : 배터리 쿠션부재 33 : 배터리 커버
40 : 투시유닛 41 : 제1 투시창
42 : 제2 투시창 43 : 각도조절부재
44 : 투시창 수용림 50 : 바코드 리딩유닛
60 : 바코드 지지브라켓 70 : 입력버튼부
71 : 제1 버튼 72 : 제2 버튼
73 : 공용 리브연결판 80 :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
85 :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 90 : 장갑
91 : 외장버튼 92 : 포켓
본 발명은,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 둔 사물을 영문자나 숫자 또는 특수기호로 표시해 인식할 수 있게 한 것을 코드(Code)라 한다. 그러나 코드를 일일이 기억하여 컴퓨터에 입력하는 것은 매우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다. 특히, 생활용품처럼 종류가 다양한 품목을 모두 별개의 코드로 다루기란 거의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실현된다 하더 라도 실용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일반 코드 대신 굵기가 다양한 복수의 막대선(Bar)을 조합시켜 코드로 만든 것이 바코드(Bar Code)이며, 광학적으로 이를 판독(리딩)하여 컴퓨터 장치에 입력하는 장치는 바코드 리더라 한다.
다시 말해, 소위, 바코드 판독기 또는 바코드 스캐너(Scanner)라고도 불리는 바코드 리더(Bar Code Reader)는, 인식 대상물의 일영역에 인쇄된 바코드에 전자빔과 같은 빛을 조사하여, 반사되는 빛의 강약에 따라 발생하는 전자 신호를 읽는 일련의 입력장치인 것이다.
이러한 바코드 리더는 전술한 전자 신호를 제어부의 논리회로에 의해 컴퓨터의 내부 코드로 변환시키는 광학원리를 이용한다.
실제, 슈퍼마켓 등의 상점에서 고객이 상품을 구입할 때 바코드 리더로 상품에 인쇄된 바코드를 리딩하여 바로 판매 자료로 만드는 광경을 흔히 볼 수 있다. 바코드는 자료 입력이 정확하고 사용하기 간편하므로 상품의 생산관리에서부터 판매관리에 이르기까지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유통분야에서는 혁명을 일으켰다고 평가될 정도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근래에 들어서는 바코드 리더에 대한 사용 빈도가 크게 증가하여 대형 할인마트 뿐만 아니라 소형의 상점에서도 바코드 리더의 사용을 쉽게 접할 수 있다.
한편, 종래의 바코드 리더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바코드 리더는, 여러 내장부품들을 수용하는 케이싱과, 인식 대상물에 인쇄된 바코드를 리딩하는 바코드 리딩유닛과, 바코드 리딩유닛을 동작시키는 버튼과, 바코드 리딩유닛과 전 기적으로 연결되어 리딩된 바코드의 정보를 제어하는 메인 보드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버튼을 누르면 바코드 리딩유닛으로부터 전자빔이 조사되어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바코드에 대한 정보는 메인 보드에 저장되거나 또는 메인 보드의 제어에 의해 유선 또는 무선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모니터와 같은 출력장치에 출력됨으로써 사용자가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바코드 리더는, 구조가 복잡하여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부피가 비교적 커 사용자의 주머니 등에 휴대하고 다니기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를 장갑에 수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착용 바코드 리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메인 보드(Main Board);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메인 보드(Main Board)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호 분해 및 조립 가능한 하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 기 하부케이싱의 결합을 보조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투시유닛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요구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부; 상기 투시유닛을 통하여 외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식 대상의 바코드(Bar Code)를 리딩(reading)하는 바코드 리딩유닛; 및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을 지지하는 바코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에 의해서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은, 제1 버튼공 및 상기 제1 버튼공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에 마련되는 제2 버튼공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버튼부는, 상기 제1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버튼; 상기 제2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메인 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각각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각각의 신호가 상기 메인 보드로 전달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공용 리브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공 및 상기 제2 버튼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공용 리브연결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사이의 상기 공용 리브연결판 영역에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독립적 누름 동작을 위하여 소정 영역이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버튼공의 외주 영역의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도광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은 제1 설치공 및 제2 설치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공에는,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이 작동시 발광하는 바코드 작동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설치공에는, 상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가 작동시 발광하는 블루투스 작동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케이싱에는 일측벽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하부케이싱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관통가능한 나사공과, 상기 후크에 결합가능한 후크물림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투시유닛은,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투시창; 상기 제1 투시창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투시창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투시창; 상기 제1 투시창 및 제2 투시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투시창을 지지하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제1 투시창, 상기 제2 투시창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에 결합되는 투시창 수용림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투시창 수용림은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싱의 후단부에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쿠션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은 유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전술한 바코드 리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 및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을 동작시키는 외장버튼이 설치되는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바코드 리더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장갑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싱이 수용 가능한 포켓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 바코드 리더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바코드 리더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바코 드 리더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싱 및 배터리 커버의 결합시 형성되는 연통공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상부케이싱 및 하부케이싱의 일측에 투시유닛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하부케이싱에 바코드 지지브라켓이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입력버튼부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착용 바코드 리더(1)는, 바코드 리더(3)와, 바코드 리더(3)의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7)과, 도선(7)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코드 리더(3)의 바코드 리딩유닛(50)을 동작시키는 외장버튼(91)이 설치되는 장갑(90)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바코드 리더(3)는, 메인 보드(5)와, 메인 보드(5)를 사이에 두고 상호 분해 및 조립 가능한 상부케이싱(20) 및 하부케이싱(30)과 이들 일측에 결합되는 투시유닛(40)을 구비하는 케이싱(10)과, 케이싱(10) 내부에서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인식 대상의 바코드(미도시, Bar Code)를 리딩(reading)하는 바코드 리딩유닛(50)과, 케이싱(10) 내부에서 바코드 리딩유닛(50)을 지지하는 바코드 지지브라켓(60)과, 상부케이싱(20)의 형성된 2개의 버튼공(21, 22)에 각각 누름 가능하게 결합되어 바코드 리딩유닛(50)을 동작시키는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을 구비하는 입력버튼부(70)와, 제1 버튼(21)공의 외주 영역에 설치되어 바코드 리딩유닛(50)의 작동시 빛의 점멸에 의해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80)와,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80)에 인접하게 마련되어 블루투스(Bluetooth) 작동시 빛의 점멸에 의해 작동 여부를 나타내는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85)를 구비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착용 바코드 리더(1)에 대해 설명하면서 이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3)를 상술할 것이나, 경우에 따라서는 바코드 리더(3)만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메인 보드(5)는, 본 실시 예의 착용 바코드 리더(1)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메인 보드(5)에는, 입력버튼부(70)와, 배터리(31)와, 바코드 리딩유닛(50)과, 장갑(90)의 외장버튼(91)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구성요소들의 동작들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일어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면, 입력버튼부(70)의 버튼들(71, 72)을 누르면 소정의 입력신호가 메인 보드(5)에 전달되고, 메인 보드(5)는 바코드 리딩유닛(50)을 동작시켜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리딩하고, 리딩된 정보는 다시 메인 보드(5)에 저장되거나 또는 근거리의 컴퓨터 장치(미도시) 등으로 전송된다.
케이싱(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착용 바코드 리더(1)의 외관을 형성하는 부분이다. 케이싱(10)은, 상부케이싱(20)과, 하부케이싱(30)과, 상부케이싱(20) 및 하부케이싱(30)의 조립시 이들의 일측에 결합되는 투시유닛(40)을 구비한다. 상부케이싱(20), 하부케이싱(30) 및 투시유닛(40)의 조립에 의해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여러 내장부품들을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기 때문에 내장부품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부케이싱(20)은, 두 개의 버튼공(21, 22) 및 두 개의 설치공(23, 24)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개의 버튼공(21, 22)을 제1 버튼 공(21) 및 제2 버튼공(22)으로 명칭하고, 두 개의 설치공(23, 24)을 제1 설치공(23) 및 제2 설치공(24)으로 명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버튼공(21) 및 제2 버튼공(22)은 케이싱(10) 내부에 장착되는 입력버튼부(70)의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이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구멍이며, 제1 설치공(23) 및 제2 설치공(24)은 제1 버튼공(21)의 외주 영역에 이격되게 설치되어 후술할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80) 및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85)가 설치되는 구멍이다. 이러한 버튼공(21, 22) 및 설치공(23, 24)에 대해서는 이들에 결합되는 구성요소 설명시 부연하기로 한다.
하부케이싱(30)은, 메인 보드(5), 바코드 지지브라켓(60) 등과 같은 여러 내장부품들이 지지되고 또한 배터리(31)가 수용되는 부분이다. 하부케이싱(30)의 후단부에는 배터리(31)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37)가 마련되며, 배터리 수용부(37)는 배터리 커버(33)로 커버되어 배터리 수용부(37)에 수용된 배터리(31)를 안전하게 보호할 뿐만 아니라 배터리(31)가 배터리 수용부(37)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31)와 배터리 커버(33) 사이에 배터리 쿠션부재(32)가 마련되어 배터리(31)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어 배터리(31)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30)의 후단부와 배터리 커버(33)에는 결합시 서로 연통되는 연통공(34a, 34b)이 각각 형성되어 있어, 하부케이싱(30)의 후단부와 배터리 커버(33)의 결합 후 고리(미도시) 등을 연통공(34a, 34b)에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고리 등이 걸리는 연통공(34a, 34b)이 하부케이 싱(30) 및 배터리 커버(33)에 각각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케이싱(30) 및 배터리 커버(33)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있을 때보다 더 높은 강성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손상될 우려가 거의 없게 된다.
투시유닛(40)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20) 및 하부케이싱(30)의 조립시 이들의 일측에 결합되어 바코드 리딩유닛(50)으로부터 조사되는 전자빔을 투시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의 투시유닛(40)은, 바코드 리딩유닛(50)으로부터 조사되는 전자빔에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투시창(41)과, 제1 투시창(41)과 이격되어 배치되되 제1 투시창(41)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투시창(42)과, 제1 투시창(41) 및 제2 투시창(42) 사이에 배치되어 제2 투시창(42)을 지지하는 각도조절부재(43)와, 전술한 요소들을 수용하며 상부케이싱(20) 및 하부케이싱(30)의 조립시 이들의 일측에 결합되는 투시창 수용림(44)을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투시유닛(40)에 의해 바코드 리딩유닛(5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은 다양한 각도로 조사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투시창(41)에 대한 제2 투시창(42)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43)가 다양한 각도로 마련되어 필요에 따라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바코드 리딩유닛(50)으로부터 조사되는 빛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가령 인식 대상의 바코드가 인식하기 곤란한 부분에 인쇄되어 있을지라도 본 실시 예의 투시유닛(40)은 조사되는 전자빔의 방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바코드의 리딩 작업을 신속하면서도 정확히 수행할 수 있다.
투시창 수용림(44)은, 외부의 인식 대상과 충돌이 있을 경우에 충돌에 따른 충격을 완충할 수 있도록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된다. 또한 투시창 수용림(44)의 내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부(45)가 형성되어 있고, 상부케이싱(20) 및 하부케이싱(30)에는 걸림부(45)에 걸리는 복수 개의 걸림홈(15)이 형성되어 있어, 케이싱(10)과 투시유닛(40) 간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투시창 수용림(44)이 러버 재질이기 때문에 케이싱(10)과 투시유닛(40) 간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바코드 리딩유닛(50)은, 전자빔이 조사되어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리딩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하부케이싱(30)의 선단 내측면에 결합된 바코드 지지브라켓(60)에 결합되어 지지된다. 바코드 리딩유닛(50)은,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향해 전자빔을 조사하는 빔조사렌즈(51)와, 인식 대상의 바코드에 반사된 전자빔을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이러한 바코드 리딩유닛(50)과 메인 보드(5)는 유연성인쇄회로기판(미도시, 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인식 대상의 바코드 정보는 메인 보드(5)로 전달되고, 이후 메인 보드(5)의 제어에 의해 소정의 동작을 실행하게 된다.
이러한 바코드 리딩유닛(50)이 케이싱(10) 내에서 지지되어 인식 대상의 바코드에 정확히 전자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바코드 리딩유닛(50)은 바코드 지지브라켓(60)에 의해 고정 지지된다.
바코드 지지브라켓(60)은, 바코드 리딩유닛(50)의 움직임을 저지하도록 먼저 하부케이싱(30)에 고정 결합되어야 한다. 바코드 지지브라켓(60)은, 도 6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싱(30)에 접하는 외측면이 하부케이싱(30)에 내측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바코드 지지브라켓(60)의 일측에는 하부케이싱(3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나사(미도시)가 관통 가능한 나사공(6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바코드 지지브라켓(60)의 타측에는 하부케이싱(30)에 형성된 후크(35)에 물림 가능한 후크물림공(6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바코드 지지브라켓(60)은 하부케이싱(30)에 견고히 결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소한 구조에서도 바코드 리딩유닛(50)을 적절한 강도로 지지할 수 있어 제품의 전체 사이즈를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바코드 지지브라켓(60)에 전술한 바코드 리딩유닛(50)이 지지 결합됨으로써 바코드 리딩유닛(50)은 인식 대상의 바코드에 정확히 전자빔을 조사하여 리딩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입력버튼부(70)는,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케이싱(20)에 관통 형성된 제1 버튼공(21) 및 제2 버튼공(22)에 부분적으로 노출되게 결합되는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과, 상면은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하단부에 결합되고 하면은 메인 보드(5)에 연결되어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누름 동작에 따라 메인 보드(5)에 소정의 입력신호를 전달하는 공용 리브연결판(73)을 구비한다.
제1 버튼(71)은 상부케이싱(20)에 형성된 제1 버튼공(21)에 누름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1 버튼(71)을 누르면 소정의 입력신호가 메인 보드(5)에 전달되고, 메인 보드(5)는 바코드 리딩유닛(50)을 작동시켜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리딩하도록 한다. 리딩된 바코드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메인 보드(5)에 장착된 메모리 모 듈(미도시) 등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방식(블루투스)에 의해 근거리에 위치한 컴퓨터 장치(미도시) 등으로 전송된다.
반면에, 제2 버튼(72)은 제1 버튼(71)에 의해 리딩된 바코드를 취소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1 버튼(71)에 의해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쉽게 리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리딩된 바코드를 쉽게 취소할 수 있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공용 리브연결판(73)은,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누름 동작에 따라 탄성적으로 움직이도록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되며,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각각의 누름 동작이 서로 간섭을 주지 않도록 중앙 영역 부분에 절개부(76)가 형성되어 있다. 절개부(76)에 의해서 제1 버튼(71)을 누르면 제1 버튼(71)에 인접한 공용 리브연결판(73) 부위(74)만 탄성적으로 움직여 메인 보드(5)에 소정의 입력신호를 제공하고, 또한 제2 버튼(72)을 누르면 제2 버튼(72)에 인접한 공용 리브연결판(73) 부위(75)만 탄성적으로 움직여 메인 보드(5)에 소정의 입력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제작 과정 및 조립 과정을 단순히 하기 위해 공용 리브연결판(73)을 한 피스(Piece)로 제작하면서도 또한 중앙영역에 절개부(76)를 형성하여 제1 버튼(71) 및 제2 버튼(72)의 누름 동작이 독립적으로 정확히 진행될 수 있다.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80)는, 도 1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설치공(23)에 설치되며,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코드 리딩유닛(50)의 리딩 작업의 동작 여부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바코드 작동 발광부재(80)는 바코 드 작동 발광다이오드(81, LED, Light Emitting Diodes)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바코드 리딩유닛(50)이 동작할 때 바코드 작동 발광다이오드(81)에 의해 빛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리딩 작업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85)는, 도 1 및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설치공에 설치되며,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80)와 마찬가지로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블루투스의 동작 유무를 나타내는 부분이다.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85) 역시 블루투스 발광 발광다이오드(86)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블루투스 작동시 블루투스 작동 발광다이오드(86)에 의해 빛을 발광함으로써 사용자가 블루투스 동작이 실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블루투스(Bluetooth)란,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규격 또는 그 규격에 맞는 제품으로 정의되는데, 본 실시 예에서의 블루투스는, 바코드 리딩유닛(50)에 의해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리딩 또는 취소하는 작업을 근거리의 컴퓨터 장치로 무선통신하거나, 또는 역방향으로 컴퓨터 장치 등으로부터 본 실시 예의 메인 보드(5)로 소정의 데이터가 무선통신되는 것을 가리킨다.
본 실시 예의 착용 바코드 리더(1)는, 무선통신 즉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무선으로 정보를 전송하거나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의 착용 바코드 리더(1)는 사용의 편의를 위해 장갑(90)에 수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실시 예의 착용 바코드 리더(1)는,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7)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바코드 리딩유 닛(50)을 작동시키는 외장버튼(91)을 구비한 장갑(90)을 더 구비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장갑(90)을 착용한 상태로 바코드 리더(3)를 동작시킬 수 있다.
장갑(90)의 상부면에는 앞뒤가 개구된 포켓(92)이 마련되어 바코드 리더(3)가 전방을 향해 전자빔을 조사할 수 있도록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검지손가락이 들어가는 장갑(90)의 부분에는 외장버튼(91)이 안 보이게 장착되어 있어 손가락으로 버튼을 눌러 원하는 입력을 메인 보드(5)에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바코드 리더(3)를 조작할 수 있어, 소정의 작업을 더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착용 바코드 리더(1)의 작동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단, 착용 바코드 리더(1)에 구비된 바코드 리더(3)를 직접 손에 파지하고 작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함으로써 바코드 리더(3)가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의 작동방법에 대해 먼저 설명하고, 이어서 바코드 리더(3)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1)의 작동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인식 대상에 인쇄된 바코드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바코드를 리딩(reading)하는 경우, 사용자는 본 실시 예의 바코드 리더(3)의 투시유닛(40)이 전방을 향하도록 파지한다. 그리고, 바코드 리딩유닛(50)에서 조사되는 전자빔이 인식 대상의 바코드에 도달하도록 바코드 리더(3)를 인식 대상에 근접시키고 이어서 상부케이싱(20)에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1 버튼(71)을 누른다.
그러면, 제1 버튼(71)의 누름 동작이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용 리브연결판(73)을 탄성적으로 움직여 메인 보드(5)에 소정의 입력신호를 전달한 다. 이후, 메인 보드(5)는 바코드 리딩유닛(50)을 작동시켜 인식 대상의 바코드에 전자빔을 조사하여 바코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정보는 메인 보드(5)에 저장되거나 또는 메인 보드(5)의 제어에 의해 근거리에 위치한 컴퓨터 장치로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무선통신되어 저장 또는 출력되게 된다.
이러한 과정 중 바코드 리딩유닛(50)으로부터 전자빔이 조사되어 바코드를 읽는 순간 메인 보드(5)는 바코드 발광 도광부재(80)에 빛이 발광되어 사용자가 바코드 리딩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1 버튼(71)을 눌러 블루투스 방식에 의해 무선통신을 실행할 때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85)에 빛이 발광되어 사용자는 무선통신이 제대로 진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는, 인식 대상의 바코드를 리딩하는 것이 아니라 취소해야 하는 경우에, 상부케이싱(20)에 부분적으로 노출된 제2 버튼(72)을 누르면 제2 버튼(72)의 누름 동작이 메인 보드(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공용 리브연결판(73)을 통해 메인 보드(5)에 전달된다. 이후 과정은 전술한 제1 버튼(71)의 누름 동작에 의해 연계되어지는 과정을 통해 유추할 수 있기 때문에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바코드 리더(3)가 장갑(90)에 착용된 상태인 착용 바코드 리더(1)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장갑(90)의 포켓(92)에 투시유닛(40)이 전방을 향하도록 수용시키고, 장갑(90)을 착용한다. 이후, 검지손가락이 끼워지는 장갑(90)의 부분에 장착된 외장버튼(91)을 누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인식 대상의 바코드 리딩 작업이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또한 견고히 조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고, 소형으로 제작이 가능하여 휴대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장갑에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는 보다 더 단순한 동작으로 조작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어 휴대가 간편하며, 조립 및 분리가 간단하면서도 조작 방법이 용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바코드 리더를 장갑에 수용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메인 보드(Main Board);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이 관통 형성되는 상부케이싱과, 상기 메인 보드(Main Board)를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케이싱과 상호 분해 및 조립 가능한 하부케이싱과,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결합을 보조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는 투시유닛을 구비하는 케이싱;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며,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요구되는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버튼부;
    상기 투시유닛을 통하여 외부 투시가 가능하도록 상기 케이싱 내에 수용되며, 상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인식 대상의 바코드(Bar Code)를 리딩(reading)하는 바코드 리딩유닛; 및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어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을 지지하는 바코드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버튼공은, 제1 버튼공 및 상기 제1 버튼공과 이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에 마련되는 제2 버튼공을 포함하며,
    상기 입력버튼부는,
    상기 제1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버튼;
    상기 제2 버튼공에 적어도 일부분이 외부로 노출되는 제2 버튼; 및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메인 보드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각각의 누름 동작에 따라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각각의 신호가 상기 메인 보드로 전달되도록 탄성 변형되는 공용 리브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바코드 리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은 상기 제1 버튼공 및 상기 제2 버튼공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상호 이격되어 상기 공용 리브연결판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 사이의 상기 공용 리브연결판 영역에는 상기 제1 버튼 및 상기 제2 버튼의 독립적 누름 동작을 위하여 소정 영역이 절개된 절개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버튼공의 외주 영역의 상기 상부케이싱에는, 상호 이격되어 마련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이 마련되며,
    상기 설치공에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빛을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도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설치공은 제1 설치공 및 제2 설치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설치공에는,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이 작동시 발광하는 바코드 작동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바코드 작동 도광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제2 설치공에는, 상기 메인 보드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블루투스가 작동시 발광하는 블루투스 작동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전달하는 블루투스 작동 도광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에는 일측벽에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후크가 마련되며,
    상기 바코드 지지브라켓에는, 상기 하부케이싱에 나사결합되는 나사가 관통가능한 나사공과, 상기 후크에 결합가능한 후크물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유닛은,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 투시창;
    상기 제1 투시창에 이격되어 배치되되 상기 제1 투시창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2 투시창;
    상기 제1 투시창 및 제2 투시창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투시창을 지지하는 각도조절부재; 및
    상기 제1 투시창, 상기 제2 투시창 및 상기 각도조절부재를 수용하며, 상기 상부케이싱 및 상기 하부케이싱에 결합되는 투시창 수용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투시창 수용림은 탄성을 갖는 러버(rubber)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싱의 후단부에는 배터리가 수용되는 배터리 수용부가 마련되며,
    상기 하부케이싱은,
    상기 배터리 수용부를 커버하는 배터리 커버; 및
    상기 배터리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하여 상기 배터리 수용부에 장착되는 배터리의 일측에 배치되는 배터리 쿠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보드와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은 유연성인쇄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 리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바코드 리더;
    상기 메인 보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도선; 및
    상기 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바코드 리딩유닛을 동작시키는 외장버튼이 설치되는 장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바코드 리더.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장갑의 상면에는 상기 케이싱이 수용 가능한 포켓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착용 바코드 리더.
KR1020060129089A 2006-12-18 2006-12-18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KR100869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89A KR100869703B1 (ko) 2006-12-18 2006-12-18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US12/519,646 US7837112B2 (en) 2006-12-18 2007-12-14 Bar code reader and wearable bar code reader having the same
PCT/KR2007/006559 WO2008075859A1 (en) 2006-12-18 2007-12-14 Bar code reader and wearable bar code reader having the same
EP07851530A EP2095293A4 (en) 2006-12-18 2007-12-14 BAR CODES READING DEVICE AND PORTABLE BAR CODES READE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9089A KR100869703B1 (ko) 2006-12-18 2006-12-18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326A true KR20080056326A (ko) 2008-06-23
KR100869703B1 KR100869703B1 (ko) 2008-11-21

Family

ID=39536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9089A KR100869703B1 (ko) 2006-12-18 2006-12-18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7112B2 (ko)
EP (1) EP2095293A4 (ko)
KR (1) KR100869703B1 (ko)
WO (1) WO2008075859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233A1 (en) * 2013-01-25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barcode device
KR20190128888A (ko) * 2018-05-09 2019-11-19 (주)에스피에스 결합 및 탈 부착 가능한 인식장치를 구비한 스마트 워치
KR20190129300A (ko) * 2018-05-10 2019-11-20 (주)에스피에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워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482412B2 (en) * 2008-10-16 2013-07-09 The Boeing Company Data interface process with RFID data reader glove
US8371506B2 (en) * 2011-01-26 2013-02-12 Koamtac, Inc. Handheld barcode code input device with no-power supplied switch trigger
US9320309B2 (en) * 2012-12-17 2016-04-26 Melinda Morris Glove-mounted electronic device retention apparatus
US20140214631A1 (en) * 2013-01-31 2014-07-31 Intermec Technologies Corporation Inventory assistance device and method
USD692431S1 (en) * 2013-03-15 2013-10-29 Rubbermaid Commercial Products Llc Bar code scanner
USD726185S1 (en) * 2013-05-23 2015-04-07 Bluebird Inc. Data scan device
US9053125B2 (en) * 2013-07-12 2015-06-09 Lang Lin System utilizing light signals with wavelengths approximately beyond human sensitive light spectrum
USD724592S1 (en) * 2014-02-21 2015-03-17 Amazon Technologies, Inc. Scanner device
TWD171525S (zh) * 2014-06-24 2015-11-01 鴻海精密工業股份有限公司 指環掃描儀
DE102015017430B3 (de) 2014-10-11 2023-08-10 Workaround Gmbh Arbeitskleidungseinheit, Handschuh, Sensormodul sowie bauliche Einheit
USD790546S1 (en) * 2014-12-15 2017-06-27 Hand Held Products, Inc. Indicia reading device
US10412088B2 (en) 2015-11-09 2019-09-10 Silvercar, Inc. Vehicle access systems and methods
DE102016109117B4 (de) * 2016-05-18 2019-05-23 Workaround Gmbh Tragbares Sensorsystem mit einem Kleidungsstück und einem Elektronikmodul, Kleidungsstück für ein tragbares Sensorsystem sowie Elektronikmodul für ein tragbares Sensorsystem
USD805079S1 (en) * 2016-06-22 2017-12-12 Amazon Technologies, Inc. Scanner device
USD829212S1 (en) * 2016-08-01 2018-09-25 Hand Held Products, Inc. Optical scanner
USD866558S1 (en) * 2016-11-11 2019-11-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SD storage device
DE102016123093A1 (de) * 2016-11-30 2018-05-30 Workaround Gmbh Kleidungsstück,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Handschuhs sowie Handschuhsatz
USD865773S1 (en) 2017-04-28 2019-11-05 Hand Held Products, Inc. Electronic device with attachment apparatus
USD876436S1 (en) * 2017-05-31 2020-02-25 Symbol Technologies, Llc Mobile device accessory
USD859412S1 (en) * 2017-08-18 2019-09-10 Practech, Inc. Wearable or handheld hybrid smart barcode scanner
US11188122B2 (en) * 2017-12-21 2021-11-30 Datalogic Usa Inc. Low-profile wearable scanning device
USD879099S1 (en) 2018-05-22 2020-03-24 Hand Held Products, Inc. Handheld barcode scanner
DE102018112945B4 (de) 2018-05-30 2022-03-03 Workaround Gmbh Handschuh
USD944814S1 (en) * 2019-01-31 2022-03-01 Standard Cyborg, Inc Mobile communications device attachment with mirror
USD918914S1 (en) * 2019-07-19 2021-05-11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ata capture device
US10813438B1 (en) 2019-12-15 2020-10-27 Valerie Herman Barcode scanner glove with thumb activation
USD937267S1 (en) * 2019-12-26 2021-11-30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ata capture device
USD928157S1 (en) * 2020-01-02 2021-08-17 Zebra Technologies Corporation Data capture device
KR102462584B1 (ko) 2020-09-22 2022-11-03 주식회사 팩앤롤 산업용 핸즈프리 리더기
KR102653511B1 (ko) 2020-09-22 2024-04-03 주식회사 팩앤롤 지능형 생산공정 관리 장치
USD917115S1 (en) * 2020-09-27 2021-04-20 Yijun Tang Dog trainer
CN112524652B (zh) * 2020-11-30 2022-12-27 云米互联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集成灶的控制方法
USD985863S1 (en) * 2021-05-18 2023-05-09 Shenzhen Tize Technology Co., Ltd. Bark control
USD991595S1 (en) * 2021-08-20 2023-07-04 Bonso Technology (Shenzhen) Co., Ltd. Ultrasonic dog trainer
USD987919S1 (en) * 2021-08-25 2023-05-30 Zhenggen Hu Bark control device
USD985862S1 (en) * 2021-09-14 2023-05-09 Shenzhen Tize Technology Co., Ltd. Bark control
USD986520S1 (en) * 2021-09-15 2023-05-16 Beidi Technology (Shenzhen) Co., Ltd. Transmitter for dog training collar
USD1000019S1 (en) * 2022-06-10 2023-09-26 Shenzhen Patpet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dog trainer
USD1000020S1 (en) * 2022-06-10 2023-09-26 Shenzhen Patpet Technology Co., Ltd. Ultrasonic dog traine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25106A (en) * 1979-09-10 1982-04-13 Duracell International Inc. One piece battery holder
US4766299A (en) 1986-03-28 1988-08-23 Spectra-Physics, Inc. Hand-mounted bar code reader
US7712669B2 (en) * 1988-01-14 2010-05-11 Broadcom Corporation Hand-held data capture system with interchangeable modules
US5479002A (en) * 1988-05-11 1995-12-26 Symbol Technologies, Inc. Bar code scanner with scanning beam and/or field of view adjustable about three mutually orthogonal axes
US5587577A (en) * 1989-06-08 1996-12-24 Norand Corporation Modular scanner with hand-held data terminal
US5340972A (en) 1991-05-13 1994-08-23 Symbol Technologies, Inc. Hands-free bar code scanner with finger activated optical control
US5212372A (en) * 1991-09-09 1993-05-18 Psc, Inc. Portable transaction terminal for optical and key entry of data without keyboards and manually actuated scanners
KR930022235A (ko) * 1992-04-03 1993-11-23 시모야마 도시로오 손이 자유로운 바 코드 스캐너
AU2248197A (en) 1996-01-26 1997-08-20 Shelton E. Harrison Jr. Key palette
US6098877A (en) * 1997-05-21 2000-08-08 Symbol Technologies, Inc. Interfa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optical reader having a scanning module
US6172620B1 (en) * 1998-03-24 2001-01-09 Telxon Corporation Portable data terminal with modular keypad
CA2274351A1 (en) * 1999-01-25 2000-07-25 Jacob Kim Flat panel display
JP2003016380A (ja) * 2001-06-29 2003-01-17 Keyence Corp バーコード読取装置
US7185818B2 (en) 2003-12-29 2007-03-06 Symbol Technologies, Inc. Rotatable/removeable keyboard
US7863702B2 (en) * 2004-06-10 2011-01-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sensor pack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71262B1 (ko) * 2004-08-20 2006-04-13 박상준 바코드패턴 및 리더기를 응용한 시각 장애인용 위치 및 시각정보 송출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116233A1 (en) * 2013-01-25 2014-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Wireless barcode device
US9477916B2 (en) 2013-01-25 2016-10-25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Barcode device
US9875383B2 (en) 2013-01-25 2018-01-23 Ent. Services Development Corporation Lp Barcode device
KR20190128888A (ko) * 2018-05-09 2019-11-19 (주)에스피에스 결합 및 탈 부착 가능한 인식장치를 구비한 스마트 워치
KR20190129300A (ko) * 2018-05-10 2019-11-20 (주)에스피에스 센서를 구비한 스마트워치 및 이를 이용한 인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72811A1 (en) 2009-11-05
WO2008075859A1 (en) 2008-06-26
EP2095293A4 (en) 2010-12-22
EP2095293A1 (en) 2009-09-02
US7837112B2 (en) 2010-11-23
KR100869703B1 (ko) 200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9703B1 (ko) 바코드 리더 및 그 바코드 리더를 구비한 착용 바코드 리더
ES2854248T3 (es) Escáner de códigos montado en la cabeza
US6375079B1 (en) Portable optical scanning and pointing systems
US20070171090A1 (en) Wearable imaging device
KR100869704B1 (ko) 휴대용 바코드 리더
TWI355613B (en) Information reader for optically reading code
US20110169773A1 (en) Touch keyboard
CN111701228A (zh) 输入设备
US7065299B2 (en) Medical device having a combination data reader and infrared data transceiver and method of using same
JP2015222068A (ja) エンジンスタートスイッチ
US20020092913A1 (en) Flexible battery and band for user supported module
EP1406205B1 (en) Portable optical scanning and pointing systems
CN109388981B (zh) 用于多个安装位置的标记读取器声学壳体
US20110280037A1 (en) Optical pointing module having lighting function and electronic apparatus
JP3698788B2 (ja) 光学システムおよび光ポインタモジュール
JPH06203195A (ja) スタイラスペンおよびスタイラスペンに適した情報記録画像読取り装置
JP2019016315A (ja) 情報読取装置
KR102429247B1 (ko) 이미지 코드 인식 장치
JP5708322B2 (ja) 情報端末
EP1602877A2 (en) Light device having an automatic switching device
JP3603441B2 (ja) 光学情報読み取り装置
JP6036196B2 (ja) タグ機能制限用装置および光学的情報読取装置
JP6888479B2 (ja) 光学的情報読取装置
KR102016369B1 (ko)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JP3854301B2 (ja) 光電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