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6369B1 -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6369B1
KR102016369B1 KR1020180031344A KR20180031344A KR102016369B1 KR 102016369 B1 KR102016369 B1 KR 102016369B1 KR 1020180031344 A KR1020180031344 A KR 1020180031344A KR 20180031344 A KR20180031344 A KR 20180031344A KR 102016369 B1 KR102016369 B1 KR 102016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button
protrusion
housing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동현
Original Assignee
(주) 가브린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가브린트 filed Critical (주) 가브린트
Priority to KR1020180031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07F7/1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together with a coded signal, e.g. in the form of personal identification information, like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or biometric data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3/00Handling of coins or of valuable papers, characterised by a combination of mechanis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G07D1/00 - G07D11/0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8Payment architectures involving self-service terminals [SST], vending machines, kiosks or multimedia terminal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사용 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보안성이 우수한 버튼형 전자 코인기를 제공한다. 나아가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며, 반복적인 터치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와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는 케이스 모듈;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버튼 모듈;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전방 이동과 후방 이동에 의해 클릭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전자 코드가 전방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 캡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BUTTON TYPE ELECTRONIC COIN APPARATUS AND PAYMENT SYSTEM}
본 발명은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코인기는 자판기나 게임기 등에 결제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1세대 코인기는 동전이나 지폐와 같은 실제 화폐를 인식하였고, 2세대 코인기는 카드의 마그네틱 스트립(Magnetic Strip)을 인식하였다.
현재에는, 스마트 단말기가 상용화 되었고, 다양한 결제 정보를 쉽고 빠르게 처리할 것이 요구됨에 따라, QR 코드(Quick Response Code)와 같은 2차원 코드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이 등장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QR 코드 결제 시스템은 스마트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QR 코드를 출력하도록 하거나, 종이 또는 판상의 매체에 QR 코드를 인쇄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인쇄 매체에 QR 코드 스티커를 부착하고, 사용자에게 잘못된 코드 검색 결과를 전송하여 부당이득을 취하는 신종 사기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820651호, 2018.01.22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가 사용 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고, 보안성이 우수한 버튼형 전자 코인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가지며, 반복적인 터치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와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버튼형 전자 코인기는 케이스 모듈;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버튼 모듈;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전방 이동과 후방 이동에 의해 클릭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전자 코드가 전방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캡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케이스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유닛과, 상기 브라켓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유닛이 배치되는 전자 신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모듈은 상기 버튼 모듈의 후방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차단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트레이와, 상기 지지 트레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 다리와 제2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은 내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와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1지지 다리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돌출부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2지지 다리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4돌출부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1지지 다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상기 제1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2지지 다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 다리의 상기 제1차단 돌기와 상기 제2지지 다리의 상기 제2차단 돌기의 전방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과 대향하여, 상기 버튼 모듈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지지 다리의 상기 제1차단 돌기의 후방면은 상기 스위치 유닛과 대향하여, 상기 스위치 유닛을 클릭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모듈의 상기 브라켓 유닛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 돌기와 제2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기 제1지지 돌기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돌출부의 전방면과 접촉하여 지지되고, 상기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기 제2지지 돌기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돌출부의 전방면과 접촉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모듈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방 단부는 상기 버튼 모듈의 지지 트레이와 상기 브라켓 유닛의 제1 및 제2지지돌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에 따른 버튼형 결제 시스템은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는 사용자의 상기 버튼 모듈의 클릭에 따라 클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릭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 코인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전자 코인기는 상기 전자 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버튼 모듈에 전자 코드(일 예로, QR 코드)가 재생되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내장되어, 버튼을 클릭하는 간편한 동작만으로도 전자 코드가 버튼에 직접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남녀노소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접근할 수 있다(User Interface 개선).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는 커버 캡에 전방으로 돌출된 곡면이 형성되어 있어, 전자 코드 스티커를 부착하더라도 전자 코드의 형태가 일그러지기 때문에 악의적인 사기 범죄를 미연에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버튼 모듈과 커넥터 모듈이 하나의 케이스 모듈에 내장되어 각각 전방과 후방으로 노출됨에 따라 컴팩트한 구조를 가지며, 버튼 모듈의 지지 다리가 케이스 모듈에 의해 가이드되어 반복적인 터치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확보하였다.
나아가 상술한 버튼형 전자 코인기를 포함하는 결제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모듈과 케이스 모듈과 탄성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버튼 모듈과 탄성 모듈이 장착된 케이스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에서 커넥터 모듈이 분해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에서 커넥터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후방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 모듈을 도 6 및 도 7의 (1)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한 도면 부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하며, "및/또는"은 언급된 구성요소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upper)"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구성요소들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의 X축은 좌우 방향을 지칭할 수 있으며, Y축은 전후 방향을 지칭할 수 있으며, Z축은 상하 방향을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가 사용되는 결제 시스템(1000)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를 이용한 결제 시스템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결제 시스템(1000)은 전자 코인기(100), 자판기(200), 단말기(300), 무선 공유기(무선 게이트웨이, 400) 및 서버(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전자 코인기(100)가 자판기(200)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의 용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는 다양한 결제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는 게임기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전자 코인기(100)는 자판기(200)에 버튼 모듈(10)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코인기(100)는 무선 공유기(400)와 연결되고, 무선 공유기(400)를 통해서 서버(5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코인기(100)는 무선 공유기(400)와 와이파이(WiFi)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으나, 무선통신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불루트스(Bluetooth), 적외선 통신 등 임의의 다양한 무선통신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모듈(10)을 클릭하면, 전자 코인기(100)는 서버(500)로 클릭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전자 코인기(100)는 서버(500)로부터 전자 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이에 대응되는 전자 코드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전자 코인기(100)의 버튼 모듈(10)을 터치하여 결제에 필요한 전자 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전자 코드는 문자, 숫자, 기호, 도형, 패턴 등을 포함하여 그래픽적으로 구성되어 데이터를 표현하는 코드를 의미한다. 현재 범용적으로 사용되는 전자 코드의 하나의 예로 바코드(Bar code)가 있으며, 다른 예로 QR코드(Quick Response Code)가 있다. 전자 코드는 실시간으로 변경되어 생성될 수 있다.
자판기(200)는 서버(500)로부터 결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되는 결제액과 결제상태(예를 들어, 결제완료 또는 결제실패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자판기(200)는 결제액에 대응하는 다양한 상품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전자 코인기(100)에서 재생(또는, 표시)된 전자 코드를 스캔할 수 있다. 전자 코드의 스캔을 위하여 단말기(300)의 카메라가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임의의 전자 코드 인식기가 단말기(300) 내에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서버(500)와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전자 코드의 스캔 결과를 이용하여 서버(500)에 접속하고, 결제 정보를 서버(500)에게 송신할 수 있다. 여기서, 결제 정보는 특정 상품의 금액의 결제를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결제용 비밀번호, 사용자의 홍채, 지문, 안면 등의 생체 정보, 결제 수단(카드 또는 그 밖의 간편 결제 서비스 등) 정보 중 하나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사용자는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결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단말기(300)에 입력된 결제 정보는 서버(500)로 송신될 수 있다. 단말기(300)는 서버(500)에서 송신하는 결제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단말기(300)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을 통해 결제 결과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서버(500)는 전자 코인기(100)의 클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전자 코드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코드 정보는 각각의 자판기(200)마다 또는 자판기(200)에 비치된 각각의 상품마다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전자 코드 정보는 고정적으로 또는 실시간으로 변동되게끔 생성될 수 있다. 서버(500)는 단말기(500)에게 결제 결과 정보를 송신할 수 있다. 한편, 서버(500)의 데이터베이스에는 다양한 전자 코드 정보, 자판기(200) 및 상품에 관한 정보, 결제 결과 정보 등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버튼 모듈과 케이스 모듈과 탄성 모듈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케이스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버튼 모듈과 탄성 모듈이 장착된 케이스 모듈을 후방에서 바라본 배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에서 커넥터 모듈이 분해된 것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에서 커넥터 모듈이 장착되는 것을 후방에서 바라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버튼 모듈을 도 6 및 도 7의 (1)선을 기준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는 버튼 모듈(10), 케이스 모듈(20), 커넥터 모듈(30), 탄성 모듈(40) 및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 모듈(10)은 사용자의 클릭에 의해 작동하는 입력부일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10)은 자판기(2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모듈(10)에는 사용자의 클릭에 대응하여, 전자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버튼 모듈(10)은 케이스 모듈(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모듈(10)의 전방 부분은 케이스 모듈(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버튼 모듈(10)은 케이스 모듈(20)에서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을 클릭할 수 있다.
버튼 모듈(10)은 커버 캡(11), 지지 트레이(12), 디스플레이 패널(13) 및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캡(11)은 지지 트레이(12)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캡(11)은 디스플레이 패널(13)을 커버할 수 있다. 즉, 커버 캡(11)은 디스플레이 패널(13)을 보호하여 "프로텍트 윈도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커버 캡(11)을 눌러 버튼 모듈(10)의 클릭을 수행할 수 있고, 커버 캡(11)을 통해 디스플레이 패널(13)에 표시된 전자 코드(일 예로, Bar-코드 및 QR-코드 등)을 볼 수 있다. 이를 위해, 커버 캡(11)은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버튼 모듈(10)은 단순한 클릭으로 작동되며 클릭 부분에 바로 전자 코드가 표시되기 때문에, UI(User Interface)가 직관적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는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접근성을 확보할 수 있다.
커버 캡(11)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제3자가 전자 코드가 표시된 스티커를 붙여 부정한 행위를 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커버 캡(11)의 전방 부분은 대략적으로 돔 형태일 수 있다.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은 원통 형태일 수 있다.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은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의 외주면은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의 펜스(2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의 내측에는 지지 트레이(12)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트레이(12)의 외주면은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의 내주면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지지 트레이(12)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트레이(12)는 전방면과 후방면이 형성된 원반 형태일 수 있다. 지지 트레이(12)의 전방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위치할 수 있다. 지지 트레이(12)의 후방에는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지지 트레이(12)의 후방면은 차단부(21)의 차단판(21-1)의 전방면과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10)의 후방 이동 시, 지지 트레이(12)는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에 걸릴 수 있다. 즉,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와 지지 트레이(12)에 의해 버튼 모듈(10)의 후방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과,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되어 RGB 신호를 이에 대응되는 파장의 광으로 변환하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전방면이 커버 캡(11)에 의해 커버되어, 지지 트레이(12)에 안착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커버 캡(11)과 지지 트레이(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버튼 모듈(10)의 클릭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전방면에서는 서버(500)로부터 수신된 전자 코드 신호에 대응하는 전자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는 지지 트레이(12)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는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는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 다리(14)는 하우징(22)의 제1돌출부(22-1)와 제2돌출부(22-2) 사이를 통과할 수 있고, 제2지지 다리(15)는 하우징(22)의 제3돌출부(22-3)와 제4돌출부(22-4) 사이를 통과할 수 있다.
제1지지 다리(14)의 후방 끝단에는 외측(좌측)으로 돌출되는 제1차단 돌기(14-1)가 형성될 수 있다. 제2지지 다리(15)의 후방 끝단에는 외측(우측)으로 돌출되는 제2차단 돌기(15-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차단 돌기(14-1)는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2차단 돌기(14-1)는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차단 돌기(14-1)의 전방면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후방면과 대향할 수 있다. 제2차단 돌기(15-1)의 전방면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후방면과 대향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10)의 전방 이동 시, 제1 및 제2차단 돌기(14-1,15-1)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에 걸릴 수 있다. 즉,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과 제1 및 제2차단 돌기(14-1,15-1)에 의해 버튼 모듈(10)의 전방 이동을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제1차단 돌기(14-1)의 후방면은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과 대향할 수 있다. 즉, 제1차단 돌기(14-1)는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과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가 버튼 모듈(10)을 누르면 버튼 모듈(10)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을 누르고, 버튼 모듈(10)은 탄성 모듈(40)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하여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이 복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커넥터 모듈(30)의 스위치 유닛(31)은 버튼 모듈(10)의 동작에 연동되어 클릭이 수행된다.
케이스 모듈(20)은 버튼 모듈(10)과 커넥터 모듈(30)이 장착되는 외장 고정 부재일 수 있다. 즉, 케이스 모듈(20)에는 버튼 모듈(10)과 커넥터 모듈(30)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버튼 모듈(10)의 전방 부분과 커넥터 모듈(30)의 후방 부분은 케이스 모듈(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케이스 모듈(20)은 차단부(21) 및 하우징(22)을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21)는 케이스 모듈(20)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21)의 후방에는 하우징(22)이 배치될 수 있다. 차단부(21)는 차단판(21-1)과 펜스(21-2)를 포함할 수 있다.
차단판(21-1)은 버튼 모듈(10)의 지지 트레이(12)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버튼 모듈(10)의 후방 이동은 차단판(21-1)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차단판(21-1)은 원반 형태일 수 있다. 차단판(21-1)의 중앙에는 하우징(22)의 내부 공간과 연결되는 개방 부분이 형성될 수 있다.
펜스(21-2)는 차단판(21-1)의 둘레를 따라(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으며, 차단판(21-1)에서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펜스(21-2)의 내측에는 버튼 모듈(10)의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버튼 모듈(10)의 지지 트레이(12)의 외주면은 버튼 모듈(10)의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에 의해 감싸질 수 있고, 버튼 모듈(10)의 커버 캡(11)의 후방 부분은 펜스(21-2)에 의해 감싸질 수 있다.
하우징(22)은 차단부(21)의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하우징(22)의 내부에는 버튼 모듈(10)의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커넥터 모듈(30)의 램프 유닛(32)과 커넥터 모듈(30)의 브라켓 유닛(32)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2)의 내부에서 버튼 모듈(10)의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는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커넥터 모듈(30)의 브라켓 유닛(32)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차단판(21-1)의 후방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우징(22)은 중공 형태일 수 있다. 일 예로, 하우징(22)은 원통 형태일 수 있다. 하우징(22)의 외주면에는 자판기(200)에 장착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22)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 (22-2),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22-2),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의 전후 방향 위상은 동일할 수 있다.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22-2),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는 상호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22-2),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는 하우징(22)의 내주면의 둘레를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도 4 참조, 후방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으로 배열됨).
이 경우, 제1돌출부(22-1)와 제3돌출부(22-3)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2돌출부(22-2)와 제4돌출부(22-4)는 상호 대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1)의 중심과 제3돌출부(22-3)의 중심은 가상의 제1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돌출부(22-2)의 중심과 제4돌출부(22-4)의 중심은 가상의 제2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가상의 제1직선과 가상의 제2직선은 상호 수직할 수 있다.
버튼 모듈(10)과 케이스 모듈(20)의 조립 시, 버튼 모듈(10)은 케이스 모듈(2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이동하여 케이스 모듈(2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버튼 모듈(10)의 제1지지 다리(14)는 제1돌출부(22-1)와 제2돌출부(22-2)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고, 버튼 모듈(10)의 제2지지 다리(15)는 제3돌출부(22-3)와 제4돌출부(22-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 또한, 제1지지 다리(14)의 제1차단 돌기(14-1)와 제2지지 다리(15)의 제2차단 돌기(15-1)가 하우징(20)의 후방으로 노출되고 하우징(20)의 후방면에 걸려, 버튼 모듈(10)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케이스 모듈(20)에 결합될 수 있다(도 3 및 도 5 참조).
제1돌출부(22-1)와 제2돌출부(22-2) 사이의 공간과 제3돌출부(22-3)와 제4돌출부(22-4) 사이의 공간의 크기는 제2돌출부(22-2)와 제3돌출부(22-3) 사이의 공간과 제1돌출부(22-1)와 제4돌출부(22-4) 사이의 공간보다 클 수 있다. 버튼 모듈(10)의 제1지지 다리(14)와 버튼 모듈(10)의 제2지지 다리(15)가 통과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버튼 모듈(10)의 전후 방향 이동은 제1돌출부(22-1) 및 제2돌출부(22-2) 사이의 공간과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 사이의 공간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10)은 반복적인 터치에도 정확한 경로로 가이드될 수 있고, 버튼 모듈(10)이 경로를 이탈하여 다른 부재와의 마찰에 의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버튼 모듈(10)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제1돌출부(22-1)와 제3돌출부(22-3)에는 커넥터 모듈(30)의 브라켓 유닛(32)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돌출부(22-1)와 제3돌출부(22-3)의 전방면에 커넥터 모듈(30)의 제1지지 돌기(32-1) 및 제2지지 돌기(32-2)가 접촉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과 케이스 모듈(20)의 조립 시, 커넥터 모듈(30)은 케이스 모듈(20)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하여 커넥터 모듈(30)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브라켓 유닛(32)의 제1지지 돌기(32-1)는 제1돌출부(22-1)와 제4돌출부(22-4)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고, 브라켓 유닛(32)의 제2지지 돌기(32-2)는 제2돌출부(22-2)와 제3돌출부(22-3) 사이의 공간을 통과할 수 있다(도 6 및 도 7의 X축 참조). 또한, 커넥터 모듈(30)의 전방 부분이 하우징(22)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후, 커넥터 모듈(30)을 시계 방향 45도로 회전시켜, 브라켓 유닛(32)의 제1지지 돌기(32-1) 및 제2지지 돌기(32-2)를 제1돌출부(22-1)와 제3돌출부(22-3)에 안착시킬 수 있다(도 6 및 도 7의 (1) 참조).
상술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자 코인기(100)는 조립이 간편하며, 버튼 모듈(10)과 커넥터 모듈(30)이 모두 케이스 모듈(20)의 내부에 삽입되어 컨팩트한 구조를 가진다. 나아가 케이스 모듈(2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1돌출부(22-1), 제2돌출부(22-2), 제3돌출부(22-3) 및 제4돌출부(22-4)에 의해, 버튼 모듈(10)과 커넥터 모듈(30)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은 버튼 모듈(10)의 클릭 시 이를 감지하여, 전자 신호 형태의 클릭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에서 발생한 클릭 정보는 무선 공유기(400)를 통해, 서버(500)로 송신될 수 있다. 서버(500)는 무선 공유기(400)를 통해, 클릭 정보를 수신하고 이에 대응되는 전자 코드 정보를 커넥터 모듈(30)로 송신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은 수신된 전자 코드 정보를 버튼 모듈(10)의 디스플레이 패널(13)에 송신하며, 버튼 모듈(10)의 디스플레이 패널(13)은 전자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코드(일 예로, Bar-코드 및 QR-코드 등)를 표시할 수 있다.
커넥터 모듈(30)은 스위치 유닛(31), 브라켓 유닛(32) 및 전자 신호 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유닛(31)은 전자 신호 유닛(33)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 유닛(31)은 버튼 유닛(10)의 전방 및 후방 이동과 연동하여, 전방 및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스위치 유닛(31)의 클릭은 버튼 유닛(10)의 클릭과 연동되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자 신호 유닛(33)에서는 버튼 유닛(10)의 클릭에 응답하여 클릭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브라켓 유닛(32)에는 전자 신호 유닛(33)이 장작될 수 있다. 브라켓 유닛(32)의 전방 부분은 램프 유닛(32)과 함께,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브라켓 유닛(32)의 후방 부분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브라켓 유닛(32)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는 가상의 제3직선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는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는 하우징(22)의 제1돌출부(22-1) 및 제3돌출부(22-3)의 전방면과 접촉할 수 있다.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는 탄성 모듈(40)을 지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지지 돌기(32-1)와 제2지지 돌기(32-2)는 탄성 모듈(40)의 후방 단부와 접촉할 수 있다(도 8 참조).
전자 신호 유닛(33)은 케이스 모듈(3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전자 신호 유닛(33)은 브라켓 유닛(32)의 후방 부분에 장착되어,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전자 신호 유닛(33)에는 스위치 유닛(31)이 배치되며, 전자 신호 유닛(33)은 스위치 유닛(31)의 클릭에 반응하여, 클릭 정보를 발생시킬 수 있다.
탄성 모듈(40)은 버튼 모듈(10)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버튼 모듈(10)은 사용자의 누름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하고, 탄성 모듈(40)의 탄성력(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하여 클릭을 수행할 수 있다. 탄성 모듈(40)은 입체 나선 형태의 스프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탄성 모듈(40)에는 다양한 탄성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탄성 모듈(40)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탄성 모듈(40)은 버튼 모듈(10)의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 모듈(40)의 내측에는 커넥터 모듈(30)의 램프 유닛(32)과 브라켓 유닛(32)의 전방 부분이 배치될 수 있다. 탄성 모듈(40)의 전방 단부는 버튼 모듈(10)의 지지 트레이(12)와 접촉할 수 있고, 탄성 모듈(40)의 후방 단부는 브라켓 유닛(32)의 제1 및 제2지지 돌기(33-1,33-2)와 접촉할 수 있다(도 8 참조).
사용자가 버튼 모듈(10)을 누를 시, 버튼 모듈(10)은 케이스 모듈(20)의 차단부(21)에 의해 후방 이동이 차단될 때까지 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버튼 모듈(10)에서 손을 떼면, 버튼 모듈(10)은 탄성 모듈(4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으로 복귀한다. 이 경우, 버튼 모듈(10)은 버튼 모듈(10)의 제1 및 제2지지 다리(14,15)가 케이스 모듈(20)의 하우징(22)의 후방면(후방 단부에 위치)에 의해 차단될 때까지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미도시)은 다양한 전자 제어 칩이 실장되는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은 버튼 모듈(10)의 디스플레이 패널(13) 및 커넥터 모듈(30)의 전자 신호 유닛(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모듈은 버튼 모듈(10)의 디스플레이 패널(13)과, 커넥터 모듈(30)의 램프 유닛(32) 및 커넥터 모듈(30)의 전자 신호 유닛(33)과 별도의 배전선이나 연성 인쇄 회로 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같은 도전 부재로 연결될 수 있다. 다른 형태로는, 전자 제어 모듈의 기판에 버튼 모듈(10)의 디스플레이 패널(13)과, 커넥터 모듈(30)의 램프 유닛(32) 및 커넥터 모듈(30)의 전자 신호 유닛(33)이 직접 실장될 수도 있다.
한편, 전자 제어 모듈은 결제 시스템(1000)의 서버(500)와 결제 시스템(1000)의 무선 공유기(400)를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에는 무선 공유기(400)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 칩(일 예로, 블루투스 동글, Bluetooth Dongle)이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제어 모듈의 통십 칩은 전자 제어 모듈의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USB 커넥터에 의해 연결되거나, 플립 칩(flip-chip)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다른 형태로는, 전자 제어 모듈과 무선 공유기(400)가 렌선(Lan Cable)에 의해 연결되어 유선 통신할 수도 있다.
전자 제어 모듈은 커넥터 모듈(30)의 전자 신호 유닛(33)으로부터 버튼 모듈(10)의 클릭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클릭 정보를 결제 시스템(1000)의 서버(50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은 결제 시스템(1000)의 서버(500)로부터 전자 코드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전자 코드 정보에 대응되는 전자 코드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자 제어 모듈은 커넥터 모듈(30)의 램프 유닛(32)을 제어하여, On/Off 제어를 수행하거나, 조도 및 파장 등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변형례에서 전자 제어 모듈은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인쇄 회로 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에 내장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인쇄 회로 기판의 일측에는 복수 개의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3)의 인쇄 회로 기판의 타측에는 전자 제어 칩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13)이 커넥터 모듈(30)의 전자 신호 유닛(33)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결제 시스템(1000)의 서버(500)와 결제 시스템(1000)의 무선 공유기(400)를 통해 무선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버튼 모듈
20: 케이스 모듈
30: 커넥터 모듈
40: 탄성 모듈
100: 전자 코인기
200: 자판기
300: 단말기
400: 무선 공유기(게이트웨이)
500: 서버
1000: 결제 시스템

Claims (8)

  1. 케이스 모듈;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전방과 후방으로 이동하는 버튼 모듈; 및
    상기 케이스 모듈에 배치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전방 이동과 후방 이동에 의해 클릭되는 스위치 유닛을 포함하는 커넥터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전자 코드가 전방면에 표시되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면을 커버하는 커버 캡을 포함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캡에는 전방으로 볼록한 곡률이 형성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은 상기 케이스 모듈의 내부에 배치되는 브라켓 유닛과, 상기 브라켓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스위치 유닛이 배치되는 전자 신호 유닛을 더 포함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은 상기 버튼 모듈의 후방 이동을 차단하는 차단부와, 상기 차단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은 상기 차단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지지 트레이와, 상기 지지 트레이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 다리와 제2지지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은 내주면을 따라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와 제3돌출부와 제4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1지지 다리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2돌출부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2지지 다리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돌출부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4돌출부 사이를 통과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1지지 다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버튼 모듈의 상기 제2지지 다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차단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지지 다리의 상기 제1차단 돌기와 상기 제2지지 다리의 상기 제2차단 돌기의 전방면은 상기 하우징의 후방면과 대향하여, 상기 버튼 모듈의 전방 이동을 차단하고,
    상기 제1지지 다리의 상기 제1차단 돌기의 후방면은 상기 스위치 유닛과 대향하여, 상기 스위치 유닛을 클릭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모듈의 상기 브라켓 유닛은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1지지 돌기와 제2지지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기 제1지지 돌기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1돌출부의 전방면과 접촉하여 지지되고,
    상기 상기 브라켓 유닛의 상기 제2지지 돌기는 상기 케이스 모듈의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제3돌출부의 전방면과 접촉하여 지지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모듈의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며, 전방 단부는 상기 버튼 모듈의 지지 트레이와 상기 브라켓 유닛의 제1 및 제2지지돌기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버튼 모듈을 탄성 지지하는 탄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버튼형 전자 코인기.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와 통신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형 전자 코인기는 사용자의 상기 버튼 모듈의 클릭에 따라 클릭 정보를 상기 서버에 송신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클릭 정보에 대응하는 전자 코드 정보를 상기 전자 코인기에게 송신하고, 상기 전자 코인기는 상기 전자 코드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하는 결제 시스템.
KR1020180031344A 2018-03-19 2018-03-19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KR102016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44A KR102016369B1 (ko) 2018-03-19 2018-03-19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44A KR102016369B1 (ko) 2018-03-19 2018-03-19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369B1 true KR102016369B1 (ko) 2019-10-21

Family

ID=6846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44A KR102016369B1 (ko) 2018-03-19 2018-03-19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36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950A (ja) * 1995-10-18 1997-05-02 Omron Corp バーコード表示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2004326469A (ja) * 2003-04-25 2004-11-18 Canon Electronics Inc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JP2007087290A (ja) * 2005-09-26 2007-04-05 Oki Joho Systems:Kk 自動販売機、及び該自動販売機の販売制限システム
JP2013235442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Machine Service Co Ltd 事業所内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101820651B1 (ko) 2017-04-12 2018-01-22 김종성 일회용 qr코드를 이용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14950A (ja) * 1995-10-18 1997-05-02 Omron Corp バーコード表示装置およびその取付構造
JP2004326469A (ja) * 2003-04-25 2004-11-18 Canon Electronics Inc 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JP2007087290A (ja) * 2005-09-26 2007-04-05 Oki Joho Systems:Kk 自動販売機、及び該自動販売機の販売制限システム
JP2013235442A (ja) * 2012-05-09 2013-11-21 Japan Machine Service Co Ltd 事業所内自動販売機管理システム
KR101820651B1 (ko) 2017-04-12 2018-01-22 김종성 일회용 qr코드를 이용한 간편 결제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13340B2 (en)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an electronic device at an electronic device docking station
US9659198B2 (en) System and method of determining if a surface is printed or a mobile device screen
US9773145B2 (en) Encoded information reading terminal with micro-projector
CN105740743B (zh) 增强现实视觉条形码扫描系统和方法
US20160125216A1 (en) Scanner with illumination system
US7918397B2 (en) Indicia reading system
US8038054B2 (en) Method of using an indicia reader
CN101387932B (zh) 显示系统
CN114091493A (zh) 具有集成光学结构的标记读取器壳体
US20020074403A1 (en) Extended range bar code reader
EP1903474A1 (en) Devices and/or systems for illuminating barcodes
CN107392069B (zh) 用于采用立体成像来解码可解码标记的标记读取设备和方法
US7497382B2 (en) Method of and control switch arrangement for controlling different operational states in an electro-optical reader
US10956695B2 (en) Indicia reader acoustic for multiple mounting positions
KR102016369B1 (ko) 버튼형 전자 코인기 및 결제 시스템
JPWO2019004486A1 (ja) コード発生装置
US10803267B2 (en) Illuminator for a barcode scanner
JP2005317045A (ja) 情報入力装置
CN108256367A (zh) 用于dpm扫描仪的照明器
US10216969B2 (en) Illuminator for directly providing dark field and bright field illumination
JP3785990B2 (ja) 光学式情報読取装置
EP3016023A1 (en) Scanner with illumination system
JP2023125292A (ja) 情報処理装置
JP2024032668A (ja) 略同軸偏光照明装置及びその使用
EP3239891A1 (en) Customizable aimer system for indicia reading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