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6260A -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 - Google Patents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6260A
KR20080056260A KR1020087010303A KR20087010303A KR20080056260A KR 20080056260 A KR20080056260 A KR 20080056260A KR 1020087010303 A KR1020087010303 A KR 1020087010303A KR 20087010303 A KR20087010303 A KR 20087010303A KR 20080056260 A KR20080056260 A KR 200800562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sphor
lapo
ypo
fluorescent lamps
form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루나바 두타
레오나르드 브이. 둘레아
첸-웬 판
알린 테트레울트
니콜라스 데스빈스
Original Assignee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오스람 실바니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62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62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6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two or more rare earth metals
    • C09K11/7777Phosph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7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 C09K11/772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rare earth metals containing europium
    • C09K11/774Bor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8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 H01J61/42Devices for influencing the colour or wavelength of the light by transforming the wavelength of the light by luminescence
    • H01J61/44Devices characterised by the luminescent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5Vessels; Containers provided with coatings on the walls thereof;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 coa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70Lamps with low-pressure unconstricted discharge having a cold pressure < 400 Tor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 Vessels And Coating Films For Discharge Lamps (AREA)

Abstract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과 상기 인광체 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가 제공된다. 배합물은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의 혼합물로 구성된다.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는 램프 안정화를 향상시키기 위해 등전위점을 높이도록 표면 처리될 수 있다.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 중 어느 것보다 적어도 3pH 단위 더 높은 등전위점을 갖는 제3 인광체가 또한 램프 안정화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해 추가될 수 있다. 인광체 배합물은 납을 함유하지 않으며, 상기 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들은 최신 태닝 램프들과 동등한 성능을 제공한다.

Description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 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UV­EMITTING PHOSPHORS, PHOSPHOR BLEND AND LAMP CONTAINING SAME}
본 출원은 2005년 9월 29일자로 가출원된 미국 특허 번호 60/596,513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 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에 관한 것이다.
자외선(UV)-방출 형광 태닝 램프들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그 목적들 중 하나는 인체의 태닝이다. 램프 엔벨로프의 내부 표면상의 인광체 코팅부는 저압 수은 플라즈마에 의해 생성된 254 내지 185㎚ 광자들을 흡수하고 전자기 스펙트럼의 UVA 및 UVB 범위에서 방출한다. 램프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SPD)는 각각의 파장에서 방출되는 에너지량이고 램프에서 사용되는 인광체들의 타입 및 그들의 상대적인 비율들에 따라 좌우된다.
통상적으로, 태닝 산업은 하나의 특정한 인광체 화학, 즉 납-활성화된 바륨 디실리케이트(BaSi2O5:Pb)에 의존했다. 상기 인광체는 인광체 코팅부의 100%를 포함할 수도 있고 또는 다중성분 인광체 배합물 중에서 가장 높은 중량 백분율(wt.%) 을 갖는 성분으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BaSi2O5:Pb 인광체는 약 351㎚에서 피크에 이르는 램프 SPD를 생성한다.
그러나, BaSi2O5:Pb 인광체의 사용에는 단점들이 존재한다. 한 가지 단점은 대부분의 실리케이트 인광체들처럼 형광 램프들의 UV 출력의 지속이 불충분하다는 것이다. 지속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보호 알루미나 코팅부가 인광체 입자들에 통상적으로 제공된다. 보호 코팅부를 인광체 입자들에 제공하기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유동층에서 CVD 반응을 통한 것이다(미국 특허 번호 5,223,341 및 4,710,674). CVD 방법은 효과적인 반면에 상대적으로 복잡한 코팅 장비와 위험한 화학제품들을 요구한다. 다른 단점은 납 활성체 그 자체이다. 납 활성체의 처분에 관련된 환경적 관심사 때문에 모든 제조업자들에게는 자신들의 제품들로부터 납을 제거하도록 하는 압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납이 없는, BaSi2O5:Pb에 대한 비-실리케이트 대안은 램프 제조업자들에게 상당한 장점을 제공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UV 태닝 램프들을 위한 납이 없는 인광체 배합물 그리고 상기 인광체 배합물을 포함하는 태닝 램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램프 안정화 시간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산염 인광체들의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르면,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광체 배합물이 제공된다.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바람직한 중량비는, 선호도 증가순서에 따라 60:40 내지 99:1, 70:30 내지 99:1, 80:20 내지 99:1, 90:10 내지 99:1, 그리고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96:4이다. (여기에 기술되는 모든 인광체 배합물 비율들은 그렇지 않다고 지시되지 않는 한 중량 비율들로서 주어진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인광체 배합물은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 중 어느 하나보다 적어도 3pH 단위가 더 높은 등전위점을 갖는 제3 인광체를 더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인광체는 SrB4O7:Eu 인광체이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배합물은 5wt.% 내지 40wt.%의 SrB4O7:Eu, 30wt.% 내지 80wt.%의 YPO4:Ce, 5wt.% 내지 3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에 따르면, YPO4:Ce 또는 LaPO4:Ce 중 적어도 하나가 적어도 0.5pH 단위만큼, 및 더욱 바람직하게 적어도 1 pH 단위만큼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처리되었다. 더욱 상세하게는, pH 4.3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및 더욱 바람직하게 pH 4.8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등전위점을 갖는 LaPO4:Ce 인광체가 제공된다. 또한, pH 5.3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및 더욱 바람직하게 pH 5.8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등전위점을 갖는 YPO4:Ce 인광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UV-방출 형광 램프가 제공되고, 상기 UV-방출 형광 램프는 밀폐된 관형 엔벨로프와 방전을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엔벨로프는 상당한 수은을 포함하고 내부 표면에 인광체 코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램프가 인광체 코팅부와 엔벨로프 사이에 위치된 UV-반사층을 갖고, 상기 UV-반사층은 엔벨로프의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3 내지 10㎡/g 사이의 표면 영역을 갖는 알파 알루미나를 포함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램프는 334-342㎚부터의 제1 피크 방출 파장과 352-360㎚부터의 제2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SPD를 구비한다. 제1 피크 방출 파장의 세기는 바람직하게 제2 피크 방출 파장의 세기의 60%-70% 사이에 있다.
한 대안예에서, 302-31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SPD의 정규화된 세기는 바람직하게 0.75% 내지 2.5%이다; 311-32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방출의 정규화된 세기는 1% 내지 3.5%이다; 321-325㎚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의 정규화된 세기는 1.5% 내지 4%이다; 및 326-33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방출의 정규화된 세기는 4.5% 내지 20%이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램프가 20 내지 80분 사이의 홍반 응답 시간, 즉 0h Te을 갖고, 바람직하게는 88% 초과하는 100h UVA 지속과 88% 초과하는 100h UVB 지속을 갖는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 램프의 0h UVA 출력은 8500㎼/㎠를 초과한다.
도 1은 반사기 태닝 램프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는 반사기 태닝 램프의 직각방향 단면도,
도 3은 세 개의 태닝 램프들의 자외선 방사량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에 대한 그래프,
도 4는 YPO4:Ce/LaPO4:Ce 인광체 배합물에서 LaPO4:Ce 인광체의 백분율에 따른 초기 홍반 시간(0h Te)의 점선도,
도 5는 96:4 YPO4:Ce/LaPO4:Ce 인광체 배합물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의 그래프,
도 6은 KOH 용액으로 워싱한 후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의 등전위점들의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
도 7은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로 처리가 이루어진 램프들의 안정화 시간의 향상을 나타내는 점선도,
도 8은 다양한 인광체 배합물들에 대한 램프 안정화 시간 곡선들의 그래프,
도 9는 다양한 인광체 배합물들에 대한 램프 안정화 시간 곡선들의 추가 그래프, 및
도 10은 최신 제어 램프와 비교한 다양한 인광체 배합물들의 스펙트럼 전력 분포의 그래프.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장점들과 성능들과 함께 본 발명에 대한 우수한 이해를 위해, 상기 기술된 도면들과 관련되어 하기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청구항들에 대한 참조가 이루어진다.
반사기 태닝 램프에는, 일반적으로 전구 원주의 일부분만을 덮는 유리 바로 옆에 UV 반사물질 코팅부가 존재한다. 그런 다음에 인광체의 층이 상기 반사물질 상부에 제공된다. 반사기 태닝 램프에 대한 묘사가 도 1 및 도 2에 나타난다. 도 1은 그 중심축을 따라 관형 램프를 관통하는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램프의 중심축에 직각인 단면도를 도시한다. 램프(10)는 기밀 방식으로 밀폐된 UV 투과성 유리 엔벨로프(17)를 갖는다. 엔벨로프(17)의 내부는 아르곤, 네온, 크립톤 또는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비활성 기체로 채워지고, 적어도 동작중에 낮은 증기압을 제공하기에 충분한 소량의 수은으로 채워진다. 자외선 방사가 생성되도록 수은 증기를 여기시키기 위하여 전기 방전이 전극들(12) 사이에서 이루어진다. UV 반사물질(19), 예컨대 산화알루미늄(알루미나)의 코팅부가 엔벨로프(17)의 내부 표면상에 코팅되고 인광체 코팅부(15)가 반사층(19) 위에 제공된다. 인광체 층(15)이 전체 전구 원주를 덮는 반면에, 반사기 층에 대한 통상적인 적용 각도는 원주의 180° 내지 240°에서 변동된다. 원주 중 220°를 덮는 반사기 층이 도 2에 도시된다. 반사기 물질의 주요 역할은 유리상에 어떠한 UV 반사물질도 갖지 않는 전구 영역을 통과해 벗어난 곳으로부터 램프의 전면을 향하여 다시 인광체 층에 의해 방출된 UVA 및 UVB 방사선을 반사하는 것이다.
예시 1
반사기 램프들은 두 개의 인광체 코팅부들 (1) 100% YPO4:Ce(오스람 실바니아 타입 2040)와 (2) 96wt.% YPO4:Ce 및 4wt.% (Mg, Sr)Al11O19:Ce의 배합물(오스람 실바니아 타입 2096)로 만들어진다. 두 개의 반사기 코팅부들은 또한 (1) 100% HPA와 (2) 중량으로 75:25인 HPA/CR30의 혼합물로 평가된다. HPA는 Baikowski에 의해 제조된 알파 알루미나 파우더이고 약 5㎡/g의 표면 영역을 갖는다. CR30은 Baikowski의 다른 상용화된 것이고 약 30㎡/g의 표면 영역을 갖는다.
코팅된 램프들은 동일한 충전 가스 구성과 충전 압력을 이용하는 제어(예컨대, 미국 특허 번호 6,984,931 참조)와 같이 최신 태닝 램프들과 함께 완성된다(즉, 작업용 램프들로 만들어진다).
75:25 HPA/CR30 반사기 알루미나를 갖는, DLF78로 마킹된 곡선인 96:4 2040/2096 검사 그룹의 SPD가 도 3에 도시된다. 정규화된 램프 SPD들을 비교함으로써, 상기 검사 그룹이 100% BaSi2O5:Pb 인광체를 사용하는 표준 램프 또는 최신 제어 램프 모두 보다 더욱 상이한 SPD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피크 파장은 96:4 2040/2096 배합물의 경우 약 356㎚에서 발생하고, 100% BaSi2O5:Pb 램프의 경우 351㎚에서 발생하며 최신 제어의 경우 약 366㎚에서 발생한다.
검사 램프들에 대한 측정들의 결과치가 표 1에 주어진다. 특히, 램프들은 초기 UVA 출력(0h UVA), 초기 홍반 시간(0h Te) 및 100h UV 지속에 대하여 측정되었다. 100h UV 지속은 0h UV의 백분율로서 표현되는 100h에서의 UV 출력을 참조한다. 최신 제어 램프들의 0h UVA 출력은 약 9100㎼/㎠으로 측정되었다.
Figure 112008030811375-PCT00001
표 1에서, 모든 세 개의 램프 검사 그룹들의 0h UVA 출력이 최신 제어 램프 제어 그룹보다 약 6.5%-8.5%만큼 더 낮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부가하여, 두 개의 100% 타입 2040 램프 그룹들의 0h Te는 28-38분의 원하는 0h Te 범위와 비교하기에는 너무 높다. 상기 두 개의 검사 그룹들의 경우 훨씬 더 높은 0h Te의 이유는 타입 2040 인광체로부터의 낮은 UVB 방출 때문이다. 홍반 시간 Te는 램프 SPD의 UVB 부분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좌우된다. 더 낮은 0h UVB는 더 높은 0h Te를 생성한다.
타입 2096 인광체는 전자기 스펙트럼의 UVB 부분에서 피크에 이른다. 4wt.%의 타입 2096이 타입 2040에 부가될 때(표 1, 96:4 비율), 0h Te를 수용 가능 레벨까지 낮추는 램프 UVB 출력이 증가한다. 동일한 반사기를 이용하여 100% 타입 2040 그룹에 비해 다소 낮은 96:4 2040/2096 그룹의 0h UVA는 타입 2040 인광체의 희석 덕분이다.
모든 세 개의 검사 경우들의 UVA 및 UVB 지속은 최신 제어 램프들과 동등하다. 검사 그룹들의 100h UVA 지속은 90%를 초과하고, 검사 그룹들의 100h UVB 지속은 88%를 초과한다. 또한, 상기 값들 모두는 100% BaSi2O5:Pb 기반 반사기 태닝 램프들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관찰되는 UV 지속 값들, UVA의 경우 약 85% 및 UVB의 경우 80%을 초과한다.
75:25 HPA/CR30 반사기 알루미나를 갖는 96:4 2040/2096 그룹이 수용 가능 램프를 생성했더라도, 0h UVA의 증가가 추구되었다.
예시 2
반사기 램프들은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인광체 배합물로 코팅되었다. 이 경우, 사용된 배합물은 중량으로 96:4인 YPO4:Ce/LaPO4:Ce이다. LaPO4:Ce 인광체(오스람 실바니아 타입 2080)는 예시 1에서 사용된 타입 2096 인광체와 비교하여 본질적으로 상이한 방출 스펙트럼을 갖는다.
UV 반사기 물질은 또한 예시 1과 상이하다. 이러한 램프들에서, 반사기 층은 약 6㎡/g의 표면 영역을 갖게 Baikowski에 의해 제조된 알파 알루미나인 100% CR6 알루미나였다. CR6 알루미나가 HPA 알루미나와 비교하여 전자기 스펙트럼의 UVA 및 UVB 범위에서 더 높은 반사율을 갖는다는 것이 알려졌다. 특히, 유리 슬라이드들은 다양한 레벨들의 파우더 로딩에서 HPA 알루미나 및 CR6 알루미나 모두로 코팅되었고 UV 반사율에 대해 측정되었다. CR6 알루미나는 UV 방출 태닝 램프들에 대한 관심 범위인 300 내지 400㎚ 사이의 모든 파장들에서 UV 반사율에 있어서 HPA 알루미나를 초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기초하면, 반사기로서 CR6 알루미나의 사용이 0h UVA 출력의 추가적 증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는데, 왜냐하면 램프의 윈도우 범위에 대하여 더 많은 UV를 반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바람직한 CR6 알루미나 코팅부는 약 7 내지 약 12㎎/㎠ 범위의 중량을 갖는다.
이러한 램프들에 대한 정규화된 램프 SPD가 도 5에 도시된다. 표 2(FR70.2/T12/VHR 램프 구성의 검사)는 램프 측정들의 결과치들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30811375-PCT00002
표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CR6 반사기 알루미나와 96:4 YPO4:Ce/LaPO4:Ce 인광체 배합물의 조합은 예시 1의 96:4 배합물과 비교하여 램프 0h UVA 출력에 있어서 상당한 증가를 유도했다. 표 2의 검사 그룹의 0h UVA 출력은 표 2의 경우 최신 제어 그룹보다 단지 약 1.5% 더 낮다. 예시 1에서, 96:4 배합물의 0h UVA 출력은 최신 제어보다 적어도 약 8.5% 낮았다.
예시 1과 비교할 때 더 낮은 0h Te에서 볼 수 있는 상기 램프에서의 0h UVB 출력에서의 증가가 존재한다. 예시 2의 0h Te는 예시 1의 35.8분과 비교할 때 29.3분이다. 더 낮은 Te가 더 신속한 태닝 특성들을 지시하므로 바람직하다.
YPO4:Ce/LaPO4:Ce 인광체 배합물에서 LaPO4:Ce의 백분율이 증가함에 따라, 배합물로부터 UVB 방출이 증가할 것이고 0h Te가 도 4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감소할 것이다. 여기서, LaPO4:Ce의 백분율은 그룹 B로부터 그룹 E까지 하나의 과정들로서 2wt.% 내지 8wt.%로 증가한다.
0h Te에서 더 큰 유연성을 갖는 태닝 램프들의 제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두 가지 성분의 배합물에서 YPO4:Ce 인광체와 균형을 이루며 LaPO4:Ce의 백분율이 1 내지 4 wt.% 사이에서 변동할 수 있다. 이는 0h Te가 2-80분 사이에서 변동할 수 있게 한다.
예시 2의 램프의 100h UVA 및 UVB 지속은 또한 매우 우수하며 최신식 제어 그룹에 비교할만하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인산염 인광체들을 위해 어떠한 보호 코팅부들도 요구되지 않으며 그러나 UVA 및 UVB 지속 모두가 완벽하다는 것을 인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수성 코팅 현탁액들(water-based coating suspensions)에서 사용되는 경우 인산염 인광체들은 앞서 언급된 실리케이트 인광체들보다 더욱 견고하다. 이는 제조 과정 경제학에 이점을 주는 코팅 현탁액들의 수명을 길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인광체 배합물은 어떠한 납-함유 인광체들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잠재적 환경상 이점들을 제공한다.
표 3은 96:4 YPO4:Ce/LaPO4:Ce 인광체 배합물이 수성 코팅 현탁액을 생성하기 위해 사용된 이후에 수용성 매체의 이온 분석의 결과치들을 제공한다. 현탁액은 35일 동안에 잔류한다. Y 및 La 레벨들은 매우 낮으며 10ppm이다. BaSi2O5:Pb 인광체를 포함하는 수성 현탁액의 30일 잔류기간에 대한 통상적인 양이온 레벨들은 상당히 높으며 유사한 잔류 조건의 경우 약 1500-2000ppm이다.
Figure 112008030811375-PCT00003
YPO4:Ce/LaPO4:Ce가 수용 가능한 태닝 램프들을 생성할지라도, 이러한 인광체들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한 가지 문제점은 종래의 BaSi2O5:Pb 기반 램프들과 비교할 때 스위치 온 된 이후에 안정화되기 위해 상당히 긴 시간을 갖는다는 것이다. 차이는 종종 두 배이다(The difference is often a factor of two).
전기적으로 램프가 안정화되는 시간은 램프가 수직 상태로 동작시 완전한 축 밝기로 전개하는데 요구되는 시간과 직접 상관된다. 검사 동안에, YPO4:Ce/LaPO4:Ce 램프들은 BaSi2O5:Pb 기반 램프들과 비교되는 완전한 축 밝기로 전개하기 위해 훨씬 더 긴 시간을 요구했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램프의 바닥이 완전한 밝기에 먼저 도달하고 그런 다음에 점진적으로 램프의 상부 영역들이 완전한 밝기가 되었다.
추가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인광체들의 표면 화학작용에 대한 측정들이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 모두의 표면이 산성임을 결정했다. LaPO4:Ce 인광체에 대해 측정된 등전위점(IEP)은 YPO4:Ce 인광체에 대한 IEP가 약 pH 4.8인 반면에 약 pH 3.8이다. 상기 산성 표면이 형광 램프의 저압 플라즈마에서 인광체 표면이 음으로 충전되도록 유발하는 것이 가정된다. 이는 인광체 표면이 방전으로부터 Hg2+ 이온들을 끌어당기도록 유발하는 것으로 믿어지며 더 느린 Hg 확산 속도 및 결과적으로 더 느린 안정화를 유도하고 완전한 밝기에 도달하는데 더 긴 시간을 유도한다.
램프 안정화 시간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이러한 인광체들은 자신들의 IEP를 증가시키도록 처리되었다, 즉 입자 표면이 더욱 염기성(more basic)이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방법은 인광체들을 염기성 용액으로, 바람직하게는 수산화칼륨 KOH으로 워싱하는 것이다. 다른 방법들은 더욱 염기성의 코팅부, 예컨대 알루미나 또는 산화이트륨을 다양한 방법들 중 임의의 하나에 의해 부착(depositing)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KOH 워시가 YPO4:Ce 인광체(타입 2040)와 LaPO4:Ce 인광체(타입 2080)의 IEP를 약 1pH 단위만큼 증가시키는 것을 증명한다.
KOH-처리된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가 검사되었고 램프들에서 비처리된 인광체들과 비교되었다. 검사 그룹들의 결과치들이 도 7에 나타난다. 박스 내 교차된 원이 검사 그룹의 평균 값을 나타내고, 수평선이 중간 값을 지시한다. 박스들의 상부 경계 및 하부 경계는 각각 75번째 및 25번째 4분위수를 나타낸다. 상기 결과치들은 비처리된 인광체들과 비교할 때 표면-처리된 인광체들이 사용되는 경우에 안정화 시간에서의 괄목할만한 향상을 명백하게 보여준다. 또한, 표면-처리된 인광체들이 사용된 경우 완전한 축 밝기의 전개를 위한 시간에서 유사한 향상이 있음이 드러났다.
표면 처리에 부가하여 또는 표면 처리 대신에, 두 개의 인산염 인광체들 중 어느 하나보다 훨씬 더 높은 IEP를 갖는 제3 성분을 인광체 배합물에 추가함으로써 안정화 시간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한데, 특히 제3 인광체의 IEP는 비처리된 인산염 인광체들보다 적어도 약 3pH 단위가 더 높아야 한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인광체는 SrB4O7:Eu(예컨대, 오스람 실바이나 타입 2052)이다. SrB4O7:Eu 인광체는 약 pH 9에서 IEP를 갖고 배합물의 5wt.% 내지 40wt.% 분량으로 배합물에 추가될 수 있다. 바람직한 배합물에서, 세 가지 성분들은 5wt.% 내지 40wt.%의 SrB4O7:Eu, 30wt.% 내지 80wt.%의 YPO4:Ce, 5wt.% 내지 3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세 가지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배합물 내 세 가지 성분들은 10wt.% 내지 25wt.%의 SrB4O7:Eu, 50wt.% 내지 70wt.%의 YPO4:Ce, 10wt.% 내지 30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세 가지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이다. 훨씬 더욱 바람직하게, 배합물 내 세 가지 성분들은 15wt.% 내지 20wt.%의 SrB4O7:Eu, 60wt.% 내지 70wt.%의 YPO4:Ce, 15wt.% 내지 2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세 가지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이다.
앞서 기술된 인광체 배합물들로 생성된 램프들을 위한 감소된 안정화 시간이 도 8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은 초기 램프 작동 시간에 따라 정규화된 UVA 출력에 대한 그래프이다. 정규화는 피크 UVA 출력에 관하여 이루어진다. KOH-처리된 인산염 인광체들, 즉 YPO4:Ce 및 LaPO4:Ce를 포함하는 배합물들 모두는 비처리된 2-성분 배합물(96:4 YPO4:Ce/LaPO4:Ce)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비처리된 3-성분 배합물(15:62:23 SrB4O7:Eu/YPO4:Ce/LaPO4:Ce)은 비처리된 2-성분 배합물과 비교할 때 월등한 향상, 완전한 UVA 출력까지 최단 시간을 나타냈다. 놀랍게도, 비처리된 인광체들을 포함하는 3-성분 배합물은 처리된 인광체들을 포함하는 3-성분 배합물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그 이유는 불명확하지만, SrB4O7:Eu 인광체의 높은 IEP 값의 효과가 인산염 인광체들의 표면 처리로부터 도출되는 유익을 어느 정도 무효화할 수 있음을 지시한다. 그러나, 처리된 인광체들을 갖는 3-성분 배합물은 2-성분 배합물들(처리된 것 및 비처리된 것) 중 어느 것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도 9에서, 비처리된 인산염 인광체들을 갖는, 즉 KOH 워시가 이루어지지 않은 배합물들을 포함하는 램프들에 대한 안정화 곡선들이 도시된다. 15:62:23 및 20:62:18의 배합 구성을 갖는 SrB4O7:Eu/YPO4:Ce/LaPO4:Ce 인광체들의 두 가지 비처리된 3-성분 배합물들이 96:4의 배합 구성을 갖는 YPO4:Ce/LaPO4:Ce 인광체들의 비처리된 2-성분 배합물과 함께 도시된다. 앞서 언급된 타입의 최신 제어 램프가 또한 참조를 위해 포함된다. 3-성분 비처리된 배합물들을 포함하는 램프들이 최신 제어 램프와 유사하게 매우 우수한 안정화 시간을 갖고 2-성분 비처리된 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보다 훨씬 더 신속하게 안정화되는 것을 알 수 있다.
3-성분 배합물 램프의 0h UVA 출력은 또한 2-성분 배합물 램프보다 약 1.8-3.5%만큼 더 우수하다. 3-성분 배합물들 대 2-성분 배합물들 그리고 최신 제어의 통상적인 SPD들이 도 10에 도시되어 있다. 2-성분 배합물과 비교하여 3-성분 배합물들은 상이한 SPD를 나타내고, 이번에는 2-성분 배합물들이 최신 제어의 SPD와 상이한 것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고려한 바가 도시되고 기술되었으나, 다양한 변경들 및 수정들이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인광체 배합물은 유리 바로 다음에 UV 반사층을 갖지 않는 완전 코팅 태닝 램프들에도 동등하게 적용될 수 있다.

Claims (47)

  1. 인광체 배합물로서,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인광체 배합물.
  2. 제 1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60:40 내지 99:1인,
    인광체 배합물.
  3. 제 1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70:30 내지 99:1인,
    인광체 배합물.
  4. 제 1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80:20 내지 99:1인,
    인광체 배합물.
  5. 제 1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90:10 내지 99:1인,
    인광체 배합물.
  6. 제 1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96:4인,
    인광체 배합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SrB4O7:Eu 인광체를 더 포함하는,
    인광체 배합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인광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0.5pH 단위만큼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처리된,
    인광체 배합물.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 중 어느 하나보다 적어도 3pH 단위가 더 높은 등전위점을 갖는 제3 인광체를 더 포함하는,
    인광체 배합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1pH 단위만큼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처리된,
    인광체 배합물.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5wt.% 내지 40wt.%의 SrB4O7:Eu, 30wt.% 내지 80wt.%의 YPO4:Ce, 5wt.% 내지 3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인광체 배합물.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10wt.% 내지 25wt.%의 SrB4O7:Eu, 50wt.% 내지 70wt.%의 YPO4:Ce, 10wt.% 내지 30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인광체 배합물.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물은 15wt.% 내지 20wt.%의 SrB4O7:Eu, 60wt.% 내지 70wt.%의 YPO4:Ce, 15wt.% 내지 2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인광체 배합물.
  14. UV-방출 형광 램프로서,
    밀폐된 관형 엔벨로프와 방전을 이루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엔벨로프는 상당한 수은을 포함하고, 내부 표면에 인광체 코팅부를 구비하며,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YPO4:Ce 인광체와 LaPO4:Ce 인광체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UV-방출 형광 램프.
  15. 제 14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60:40 내지 99:1인,
    UV-방출 형광 램프.
  16. 제 14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70:30 내지 99:1인,
    UV-방출 형광 램프.
  17. 제 14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80:20 내지 99:1인,
    UV-방출 형광 램프.
  18. 제 14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90:10 내지 99:1인,
    UV-방출 형광 램프.
  19. 제 14 항에 있어서,
    YPO4:Ce 인광체 대 LaPO4:Ce 인광체의 중량비가 96:4인,
    UV-방출 형광 램프.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SrB4O7:Eu 인광체를 더 포함하는,
    UV-방출 형광 램프.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0.5pH 단위만큼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처리된,
    UV-방출 형광 램프.
  22.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들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1pH 단위만큼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처리된,
    UV-방출 형광 램프.
  23.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YPO4:Ce 인광체 및 LaPO4:Ce 인광체 중 어느 하나보다 적어도 3pH 단위가 더 높은 등전위점을 갖는 제3 인광체를 더 포함하는,
    UV-방출 형광 램프.
  24.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5wt.% 내지 40wt.%의 SrB4O7:Eu, 30wt.% 내지 80wt.% 의 YPO4:Ce, 5wt.% 내지 3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UV-방출 형광 램프.
  25.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10wt.% 내지 25wt.%의 SrB4O7:Eu, 50wt.% 내지 70wt.%의 YPO4:Ce, 10wt.% 내지 30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UV-방출 형광 램프.
  26.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인광체 코팅부는 15wt.% 내지 20wt.%의 SrB4O7:Eu, 60wt.% 내지 70wt.%의 YPO4:Ce, 15wt.% 내지 25wt.%의 LaPO4:Ce를 포함하고, 상기 배합물 내 인광체들의 wt.%의 합은 100%인,
    UV-방출 형광 램프.
  2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인광체 코팅부와 엔벨로프 사이에 위치된 UV-반사층을 갖고,
    상기 UV-반사층은 엔벨로프의 주변을 따라 부분적으로 연장되고, 3 내지 10㎡/g 사이의 표면 영역을 갖는 알파 알루미나를 포함하는,
    UV-방출 형광 램프.
  2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는 334-342㎚부터의 제1 피크 방출 파장과 352-360㎚부터의 제2 피크 방출 파장을 갖는 SPD를 구비한,
    UV-방출 형광 램프.
  29. 제 28 항에 있어서,
    제1 피크 방출 파장의 세기는 제2 피크 방출 파장의 세기의 60%-70% 사이인,
    UV-방출 형광 램프.
  30. 제 28 항에 있어서,
    302-31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정규화된 세기는 0.75% 내지 2.5%인,
    UV-방출 형광 램프.
  31. 제 28 항에 있어서,
    311-32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방출의 정규화된 세기는 1% 내지 3.5%인,
    UV-방출 형광 램프.
  32. 제 28 항에 있어서,
    321-325㎚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방출의 정규화된 세기는 1.5% 내지 4%인,
    UV-방출 형광 램프.
  33. 제 28 항에 있어서,
    326-330㎚ 사이의 파장 범위에 대한 램프 방출의 정규화된 세기는 4.5% 내지 20%인,
    UV-방출 형광 램프.
  34. 제 14 항에 있어서,
    램프 0h Te는 20 내지 80분 사이인,
    UV-방출 형광 램프.
  35. 제 14 항에 있어서,
    100h UVA 유지가 88% 초과인,
    UV-방출 형광 램프.
  36. 제 14 항에 있어서,
    100h UVB 유지가 88% 초과인,
    UV-방출 형광 램프.
  37. 제 14 항에 있어서,
    0h UVA 출력이 8500㎼/㎠ 초과인,
    UV-방출 형광 램프.
  38. UV-방출 인광체로서,
    pH 4.3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등전위점을 갖는 LaPO4:Ce를 포함하는,
    UV-방출 인광체.
  39. 제 38 항에 있어서,
    상기 등전위점은 pH 4.8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 있는,
    UV-방출 인광체.
  40. UV-방출 인광체로서,
    pH 5.3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서 등전위점을 갖는 YPO4:Ce를 포함하는,
    UV-방출 인광체.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등전위점은 pH 5.8 또는 그보다 높은 상태에 있는,
    UV-방출 인광체.
  42. 인산염 인광체를 포함하는 형광 램프의 안정화 방법으로서,
    적어도 0.5pH 단위만큼 인광체의 등전위점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인산염 인광체의 표면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화 방법.
  43.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등전위점은 적어도 1pH 단위만큼 높아지는,
    안정화 방법.
  44. 제 42 항에 있어서,
    인광체는 수산화물 용액과 혼합되어 처리되는,
    안정화 방법.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산화물은 수산화칼륨인,
    안정화 방법.
  46.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처리 단계는 개별적인 인광체 입자들 상에 알루미나 또는 산화이트륨의 코팅부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안정화 방법.
  47. 제 4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산염 인광체는 YPO4:Ce 또는 LaPO4:Ce인,
    안정화 방법.
KR1020087010303A 2005-09-29 2006-09-25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 KR2008005626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9651305P 2005-09-29 2005-09-29
US60/596,513 2005-09-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6260A true KR20080056260A (ko) 2008-06-20

Family

ID=3790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10303A KR20080056260A (ko) 2005-09-29 2006-09-25 Uv­방출 인광체들, 인광체 배합물 및 상기 인광체배합물을 포함하는 램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070069624A1 (ko)
EP (1) EP1929503B1 (ko)
KR (1) KR20080056260A (ko)
CN (1) CN101288144A (ko)
CA (1) CA2623695A1 (ko)
DE (1) DE602006018162D1 (ko)
RU (1) RU2008116815A (ko)
WO (1) WO200703846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627A (ko) * 2017-12-21 2020-08-26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입자 혼합체, 그것을 사용한 광산란성 향상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광산란 부재 및 광학 디바이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211378A1 (en) * 2005-09-29 2008-09-04 Arunava Dutta Enhanced UV-Emitting Fluorescent Lamp
US8647373B1 (en) * 2010-02-11 2014-02-11 James G. Shepherd Phototherapy methods using fluorescent UV light
JP5857863B2 (ja) * 2011-09-22 2016-02-10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紫外線照射装置
CN103018963B (zh) * 2011-09-22 2017-11-28 东芝照明技术株式会社 紫外线照射装置
NL2014885B1 (en) 2015-05-29 2017-01-31 Fuji Seal Int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 sleeved product.
CN111433152B (zh) 2017-12-21 2023-09-19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稀土类磷酸盐粒子、使用了其的光散射性提高方法、以及包含其的光散射构件及光学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78495A (en) * 1994-02-01 1995-01-03 Osram Sylvania Inc. Method of coating a fluorescent lamp
JP3551279B2 (ja) * 1995-05-25 2004-08-04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低温用光触媒装置付き物品および低温用照明装置付き物品
US5602444A (en) * 1995-08-28 1997-02-11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 having ultraviolet reflecting layer
US6984931B2 (en) * 2003-01-21 2006-01-10 Osram Sylvania Inc. UV-emitting phosphor blend and tanning lamp containing same
US8173230B2 (en) * 2003-05-06 2012-05-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uorescent lamp having a UVB phosphor
EP1644660A2 (fr) * 2003-06-23 2006-04-12 Saint-Gobain Glass France Systeme eclairant a haute performance mecanique et optique
US6952081B1 (en) * 2003-07-31 2005-10-04 General Electric Company Fluorescent lamp having ultraviolet reflecting layer
JP2005166638A (ja) * 2003-11-10 2005-06-2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冷陰極蛍光ランプおよび当該冷陰極蛍光ランプを搭載した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7074549B2 (en) * 2004-04-16 2006-07-11 Eastman Kodak Company Photothermographic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s and methods of using same
TW200625380A (en) * 2004-10-07 2006-07-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Fluorescent lamp, backlight apparatus,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uorescent la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0627A (ko) * 2017-12-21 2020-08-26 미쓰이금속광업주식회사 입자 혼합체, 그것을 사용한 광산란성 향상 방법, 그리고 그것을 포함하는 광산란 부재 및 광학 디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9503B1 (en) 2010-11-10
DE602006018162D1 (de) 2010-12-23
RU2008116815A (ru) 2009-11-10
CN101288144A (zh) 2008-10-15
EP1929503A4 (en) 2009-01-14
CA2623695A1 (en) 2007-04-05
WO2007038467A9 (en) 2007-05-31
US20070069624A1 (en) 2007-03-29
EP1929503A2 (en) 2008-06-11
WO2007038467A2 (en) 2007-04-05
WO2007038467A3 (en) 200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34631B2 (en) Low-pressure gas discharge lamp with phosphor coating
US7591962B2 (en) Low-pressure mercury vapor discharge lamp comprising UV-A phosphor
EP1929503B1 (en) Uv-emitting phosphors, phosphor blend and lamp containing same
EP1759305B1 (en) Low-pressure gas discharge lamp comprising a uv-b phosphor
CN1947213B (zh) 包含uv-b荧光粉的介质阻挡放电灯
US7435358B2 (en) UVC-emitting Sr(Al,Mg)12O19:Pr phosphor and lamp containing same
EP2245654B1 (en) Enhanced uv-emitting fluorescent lamp
US20110301672A1 (en) Uv-emitting discharge lamp
EP1887068B1 (en) Ce, pr-coactivated yttrium phosphate phosphor and lamp containing same
KR20080003702A (ko) Uv-방출 인광물질 및 이를 함유한 램프
WO2010016009A1 (en) Ultra-violet and visible light emitting system
EP1588395B1 (en) Uv-emitting phosphor blend
JP2006307211A (ja) ホールドオーバー安定性が改善されたuv発光ホウ酸ストロンチウム蛍光体
EP1842893B1 (en) Ce, Pr-coactivated calcium pyrophosphate phosphor and lamp containing same
EP2785815B1 (en) Phosphor blends for fluorescent lamps
US20020195922A1 (en) Gas discharge lamp for dielectrically impeded discharges comprising a blue phosphor
US4246630A (en) Ultraviolet emitting Ce alkaline earth aluminate lamp phosphors and lamps utilizing same
US20130076227A1 (en) Fluorescent lamp with underlying yttrium vanadate phosphor layer and protective phosphor layer
JP2014129452A (ja) 紫外線発光蛍光体及びそれを用いる発光素子
US8446085B2 (en) Fluorescent lamp with zinc silicate phosphor and protective phosphor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