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5279A -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5279A
KR20080055279A KR1020060128372A KR20060128372A KR20080055279A KR 20080055279 A KR20080055279 A KR 20080055279A KR 1020060128372 A KR1020060128372 A KR 1020060128372A KR 20060128372 A KR20060128372 A KR 20060128372A KR 20080055279 A KR20080055279 A KR 200800552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base
information
aviation
international
management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550B1 (ko
Inventor
정상호
최재길
장만희
강혜정
김구슬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관리부서: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관리부서: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 filed Critical 대한민국(관리부서:건설교통부 항공안전본부)
Priority to KR10200601283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0550B1/ko
Priority to US12/519,235 priority patent/US20100036882A1/en
Priority to PCT/KR2006/005492 priority patent/WO2008072813A1/en
Priority to CNA200680056615XA priority patent/CN101595482A/zh
Priority to BRPI0622245-5A priority patent/BRPI0622245A2/pt
Publication of KR200800552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52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550B1/ko
Priority to GB0909021A priority patent/GB2456969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40Data acquisition and logg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공안전 이행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가 제정, 관리하는 18개 분야 부속서(Annex)에서 요구하는 항공안전규정(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SARPs)을 기본으로 하여 자국의 항공안전 이행 현황을 자동으로 분석, 보완 및 평가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은, 국제항공안전규정 제개정 발의에 관한 공식문서(State Letter) 정보로 이루어진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 국제항공안전규정 정보로 이루어진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 자국 항공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 항공법령의 비교분석 정보로 이루어진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 이행 현황 정보로 이루어진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10);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와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 및 가공하여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에 업데이트하는 비교/관리 프로그램(6)과,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고 이행 현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업데이트하는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내장되는 메인 서버 (20); 상기 메인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 (20)로 이행 현황 정보를 전송 입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2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조회, 수정, 저장 또는 삭제하는 단말 (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국제항공안전규정, 국내항공법령, 항공안전 이행 현황 관리, SMIS, SARPs

Description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SARPs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데이터베이스 구성의 일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구성의 일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업무 분석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 전ㆍ후의 업무 절차 비교도.
도 5는 국제기준이행실태 확인 매트릭스의 예.
도 6a, 도 6b 및 도 6c는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의 실행 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
2: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
3: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
4: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
5: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
6: 비교/관리 프로그램
7: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
10: 데이터베이스 서버
20: 메인 서버
30: 단말
본 발명은 항공안전 이행 현황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국제민간항공기구(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ICAO)가 제정, 관리하는 18개 분야 부속서(Annex)에서 요구하는 항공안전규정(Standards And Recommended Practices, SARPs)을 기본으로 하여 자국의 항공안전 이행 현황을 자동으로 분석, 보완 및 평가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민간항공의 안전과 발전을 주목적으로 하는 정부 차원의 국제협력기구로서, 1944년 시카고에서 52개국 대표가 모여 설립을 결정한 국제민간항공조약(시카고조약)에 의거하여 설립되어 1947년 국제연합 경제사회이사회 산하 전문기구가 되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국제민간항공 운송의 발전과 안전의 확보, 능률적이고 경제적인 운송의 실현, 항공기 설계ㆍ운항기술 발전 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으며, 항공기ㆍ승무원ㆍ통신ㆍ공항시설ㆍ항법 등 그 기술면에서의 표준화와 통일을 위해 연구하며 그 결과를 회원국에 제공하는 것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다. 국제민간항공기구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전 회원국을 대상으로 항공안전 이행 여부에 대한 감독감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18개 분야 부속서의 항공안전규정은 감독감사 시 평가의 기준으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항공안전 감독감사 평가에 대비하여, 우리나라의 경우 종래에는 사람의 수작업에 의하여 항공안전 이행 실태를 분석하고 미비점에 대한 보완조치를 실시하여 왔으나, 이러한 관리 방식에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문제점들이 있어 왔다.
첫째, 새로운 항공안전 규정이 최초 발의된 시점으로부터 최종 요구가 결정될 때까지 수차례에 걸쳐 우리나라의 여건에 기초한 검토가 이루어지지만 이러한 과정이 수작업으로 처리되므로 관련 자료의 조사를 통한 의견조회 및 의사결정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어야 한다.
둘째, 항공안전 규정별로 충족을 위한 이행업무의 착수로부터 종결까지 업무 처리에 소요되는 기간이 1년 이상 등 장기간인 경우가 빈번하므로 인적 실수에 의한 관리누락 등이 발생한다.
셋째, 수작업의 특성 상 신속하고 정확한 실태 파악이 불가능하다. 특정 시점에서 우리나라의 이행 현황을 확인하고 평가하기 위해서는 관련 부서로부터 해당 현황 자료를 집계하고 이를 다시 종합한 후 평가하는 과정을 거치게 되지만, 그 결과에 대한 신뢰성은 떨어지게 된다.
넷째, 항공안전규정의 개정으로 인한 변경사항 발생 시 대처 능력이 부족하다. 특정 항공안전규정의 요건이 변경되거나 또는 우리나라 항공법령이 개정되는 경우, 10,000여종의 항공안전규정과 이에 대응하는 수천종의 국내 항공법령 조항의 상호 연관성을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적절한 대책수립을 위한 분석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제민간항공기구의 항공안전규정과 자국 내에서 이를 이행하기 위한 항공법령 간의 대응성을 확인하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이행 현황을 자동 및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국제표준의 분석과 이행 업무 효율을 최대화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은, 국제항공안전규정 제개정 발의에 관한 공식문서(State Letter) 정보로 이루어진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 국제항공안전규정 정보로 이루어진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 자국 항공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 항공법령의 비교분석 정보로 이루어진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 이행 현황 정보로 이루어진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 스 서버 (10);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와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 및 가공하여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에 업데이트하는 비교/관리 프로그램(6)과,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고 이행 현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업데이트하는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내장되는 메인 서버 (20); 상기 메인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20)로 이행 현황 정보를 전송 입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2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조회, 수정, 저장 또는 삭제하는 단말 (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는 제목 및 번호, 발행일자 및 배포일자, 주요 내용, 이전에 발행된 관련 공식문서 존재 여부, 관련 부속서(Annex)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는 부속서 번호, 최신 개정 정보, 규정 번호, 규정 내용, 의무 이행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는 법령 제목, 법령 번호, 법령 제개정 일자 및 제개정 번호, 법령의 각 조항 번호, 조항의 상세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는 보다 우수한 수준(More exacting or exceeds)을 표시하는 "우수", 다소 상이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이행(Different in character or other means of compliance)함을 표시하는 "상이", 미흡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충족(Less protective or partially compliance)함을 표시하는 "미흡", 전혀 충족하지 못함(Not implemented)을 표시하는 "불이행" 및 해당사항 없음을 표시하는 "해당사항 없음"의 다섯 가지로 구분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는 책임 부서, 책임자, 조치 완료 요구 일자, 조치 계획, 지연 사유, 종결 표시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책임자 정보는 실무자, 확인자, 승인자 정보로 구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단말(30)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DA, 핸드폰, 전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들의 구성의 일실시예를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들은, 국제항공안전규정 제개정 발의에 관한 공식문서(State Letter)의 내용으로 이루어진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 국제항공안전규정의 내용 으로 이루어진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 자국 항공법령의 내용으로 이루어진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 항공법령의 비교분석 내용으로 이루어진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 이행 현황의 내용으로 이루어진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로 구성된다.
상기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국제항공안전규정 제개정 발의에 관한 공식문서(State Letter)의 내용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제목 및 번호, 발행일자 및 배포일자, 주요 내용, 이전에 발행된 관련 공식문서 존재 여부, 관련 부속서(Annex) 번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데, 도 1에서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의 각 테이블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정보들이 체계적으로 분리되어 저장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제목, 번호, 발행일자, 배포일자 및 주요내용은 Table_SL 테이블에, 책임부서, 담당자 및 조치일정은 Table_SL_Charge 테이블에, 이전에 발행된 관련 공식문서 존재 여부는 Table_SL_Rule 테이블에, ICAO로부터 접수한 문서 파일 및 제출한 문서는 Table_SL_File_Attach 테이블에, ICAO에 통지한 조치내용은 Table_SL_File_Reply 테이블에 각각 저장되거나 또는 각 테이블에 저장된 항목의 내용들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도 1에 도시된 것은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일실시예로서, 본 발명이 도 1에 도시된 구성에 제한받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테이블의 명칭 및 구조는 변경될 수 있다. 이는 하기의 다른 데이터베이스들(2, 3, 4, 5)에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는 국제항공안전규정의 내용으로 이루어지는 데, 보다 상세하게는 부속서 번호, 최신 개정 정보, 규정 번호, 규정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부속서 번호는 Table_Annex 테이블에, 규정번호, 규정내용 및 최신 개정 정보는 Table_Version 테이블에 각각 저장된다.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는 자국의 항공법령의 내용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법령 제목, 법령 번호, 법령 제개정 일자 및 제개정 번호, 법령의 각 조항 번호, 조항의 상세 내용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내용들은 Table_Kor_Rule 테이블 및 Table_Kor_Rule_Link 테이블의 항목 내용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이 때, 도 1은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한 본 발명의 실시예이므로 상기 테이블의 이름에 대한민국을 의미하는 Kor가 사용되었으나, 물론 다른 나라에서는 이를 자국의 명칭에 맞게 바꾸어도 무방하다.
상기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는 국제항공안전규정, 즉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의 내용과 자국 항공법령, 즉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한 내용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다음의 5개 항목 중 하나로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 우수: 보다 우수한 수준(More exacting or exceeds)
□ 상이: 다소 상이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이행(Different in character or other means of compliance)
□ 미흡: 미흡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충족(Less protective or partially compliance)
□ 불이행: 전혀 충족하지 못함(Not implemented)
□ 해당사항 없음
도 1의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 분석된 내용은 Table_Annex_Rule 테이블의 항목 내용들로서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는 이행 현황의 내용으로 이루어지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책임 부서, 책임자(실무자, 확인자, 승인자를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치 완료 요구 일자, 조치 계획, 지연 사유, 종결 표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의 실시예에서, 책임부서, 책임자는 Table_Department 테이블과 Table_Authority 테이블에 저장된 내용을 Table_Annex_Charge 테이블로 불러와서 저장된다. 또한 조치완료요구일자, 조치계획, 지연사유, 종결표시는 Table_Charge 테이블에 저장된다.
또한,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들의 내용들을 검색, 조회, 수정, 저장 및 삭제할 수 있는 회원들을 관리하는 회원관리와 관련된 정보가 더 저장된다. 이러한 정보들은 공지사항, 항목 라이브러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또한 도 1의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사항은 Table_Notice 테이블에, 항목 라이브러리는 Table_Library 테이블에, 각각 저장되거나 또는 각 테이블에 저장된 항목의 내용들이 조합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의 업무 분석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은 크게 데 이터베이스 서버(10), 메인 서버(20) 및 단말기(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는 상술한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 서버(20)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와 연결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 내의 각 데이터베이스들과 연동되어 작동하는 비교/관리 프로그램(6) 및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을 내장한다.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은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와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항목들을 비교하여 국제항공안전규정 대비 자국의 항공법령에서 이행하는 바를 "우수, 미흡, 상이, 불이행, 해당사항 없음"으로 구분하며, 또한 이를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한다. 상기 메인 서버(20)는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단말(30)과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단말(30)은 상기 메인 서버(2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접근하여 상기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에 저장된 이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은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와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항목들을 비교한 결과를 가지고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의 항공법령의 비교표를 제공함으로써 변경 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단말(30)을 통해 용이하게 관련 규정을 조회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20)에 내장된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은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을 통하여 가공된 데이터를 다양한 형식으로 사용자(실무자 및 관리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들이 국제항공안전규정의 이행 현황을 확인하고 평가하며 필요 시 적절한 후속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이행 현황은 도 1의 설명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단말(30)을 이용하여 상기 메인 서버(2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접근하여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의 각 항목을 권한별로 검색, 조회, 수정, 저장 또는 삭제할 수 있다.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저장되는 내용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치 완료 요구 일자, 조치 계획, 지연 사유, 종결 표시 등으로 구성되는 바, 이와 같이 단말(30)을 통해 이행 현황이 업데이트됨에 따라 사용자 모두가 실시간으로 이행 현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기 전ㆍ후의 업무 절차 비교도이다. 항공안전규정 관리 업무 절차는 도시된 바와 같이, 국제항공안전규정의 자료가 관리되는 단계, 자국항공법령 대응조항이 관리되는 단계, 비교분석을 위한 업무가 처리되는 단계, 국제항공안전규정의 이행이 관리되는 단계, 업무 성과가 분석/보고/평가되는 단계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종래에는 국제항공안전규정의 자료가 관리되는 단계에서 모든 업무가 사람이 문서와 파일을 사용하여 처리하는 수작업(S_old1)으로 이루어졌으며, 자국항공법령의 대응조항 관리 단계에 있어서도 역시 담당자 개인의 경험에 의존하여 문서와 파일을 사용하여 수작업(S_old2)으로 처리해 왔다. 이러한 과정에서 많은 인력과 시간이 투입되어야만 했을 뿐만 아니라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반면, 본 발명에 의한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국제항공안전규 정의 자료는 온라인으로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에 저장되며(S_new1), 자국항공법령 역시 온라인으로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에 저장되므로(S_new2), 데이터베이스가 구축된 후에는 언제든 쉽고 신속하면서도 절대 실수가 발생할 가능성이 전혀 없이 정확한 정보를 찾아볼 수 있게 된다.
또한,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항공법령의 비교 분석 단계에 있어서, 종래에는 담당자 개인의 경험이나 기억에 의존하여 문서나 파일을 사용하여 수작업(S_old3)으로 처리했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기억이 잘못되거나 단순한 실수 등과 같이 사람이 저지르는 오류(human error)가 발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하면, 이러한 작업이 비교/분석 프로그램(6)에 의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며(S_new3), 한 번 비교/분석된 법령들은 다시 비교되거나 분석될 필요가 전혀 없고 관련 담당자들은 누구나 쉽고 신속하게 정확한 비교표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국제항공안전 이행관리 단계에 있어서, 종래에는 이행관리에 있어서도 문서나 파일을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작업의 진행(S_old4)이 이루어졌기 때문에 이행 과정이 불명확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공식문서, 안전규정, 항공법령 등의 문서화 작업에 있어서 실수가 발생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어떤 잘못이 일어났을 경우 책임 구분이 모호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책임부서, 책임자 즉 실무자, 확인자, 승인자 등이 확실하게 실시간으로 업데이트(S_new4)되기 때문에 실수가 발생할 여지가 거의 없을 뿐더러, 만일 문제가 발생했다 하더라도 저장된 정보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검색됨으로써 어느 단계에서 잘못이 발생하였는지 확실히 알 수 있게 되어 책임 구분도 명확해지고 일의 효율도 비약적으로 높아지게 된다.
또한, 업무성과 분석/보고/평가 단계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모든 것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을 뿐만 아니라 사실상 동일 작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야 했기 때문에(S_old5) 다른 단계들에서와 마찬가지로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극심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시스템을 도입하게 되면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를 바탕으로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실시간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때문에(S_new5) 체계적이고 훨씬 효율적인 업무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의 실제 작동 흐름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ICAO Annex 1의 1.1항의 개정 제안에 관한 State Letter를 접수한 경우 State Letter의 제목, 발행일자, 배포일자, 책임부서 및 책임자, 조치계획, 접수하거나 제출한 문서파일의 각 정보는 도 1의 Table_SL, Table_SL_Charge, Table_SL_Rule, Table_SL_File_Attach, Table_SL_File_Reply 테이블에 각각 저장된다. 이후 Annex 1의 1.1항이 정식으로 발의되었다면 부속서 번호, 규정번호, 규정내용, 최신개정정보가 Table_Annex 및 Table_Version 테이블에 각각 저장된다. Annex 1의 1.1항의 요건 이행에 관한 국내 규정이 Table_Kor_Rule 테이블에 입력되며, Annex 1의 1.1항과 국내 규정에 대한 비교분석 결과가 Table_Annex_Rule 테이블에 입력된다. 비교분석 결과에 따라 책임부서, 책임자, 조치완료요구일자, 조치계획, 지연사유(해당시) 및 종결표시가 Table_Annex_Charge 및 Table_Charge 테이블에 각각 입력된다.
도 5는 국제기준이행실태 확인 매트릭스의 한 예이다. 도 5에 도시된 표에 기재된 바와 같이, ICAO 규정과 국내규정은 서로 대비되어 각 규정의 차이점 정보가 분류 및 데이터베이스화된다. 예를 들면, '기준강화'로 판정된 국내규정의 경우 ICAO 규정이 보다 강화된 상태로 관리되고 있음을 의미하고, '규정없음'의 경우에는 자국 내에 해당 규정이 없으므로 개정이 필요하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와 같이 분류된 정보가 일단 데이터베이스화되고 나면, 이 데이터는 비교/관리 프로그램(6) 및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에 의해 수시로 언제든지 불러들여져서 필요한 정보를 개개의 항목별, 원하는 카테고리별 등으로 가공하여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비교/관리 프로그램(6)은 이와 같이 입력된 모든 데이터를 "우수, 미흡, 상이, 불이행, 해당사항없음"으로 구분하여 전체항목현황, 차이점전체 현황, 차이점-우수현황, 차이점-미흡현황, 차이점-불이행현황, 차이점-해당사항없음 현황과 같이 그래프나 표와 같은 형식으로 가공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도 5는 이와 같이 비교/관리 프로그램(6)에 의해 가공되어 제공되는 형식의 일례를 보여주고 있다.
도 6은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의 실행 예이다.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은 전체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국내규정과의 차이점 현황, 책임부서별 차이점 현황, 차이점 추이, 검토결과현황, 조치필요사항현황, 조치필요사항-미결현황/지연현황/미결목록/지연목록, 법령 제개정현황과 같이 다양한 목적과 요구에 맞게 사용 자의 요청 입력에 따라 데이터를 가공하여 보고서로서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도 6a는 ICAO 부속서별 항목 현황을 도시하고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표의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으며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가공하여 도 6a와 같이 출력한 화면을 보고 부속서 번호에 따른 항목의 개수나 국내 규정과의 차이점, 기준강화 등의 현황을 한눈에 알 수 있다. 도 6b는 국내규정과의 차이점 현황을 표로써 출력한 사용예이다. 도 6b에서는 상기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표로써 데이터를 출력한 사용예를 보여주고 있으며, 쉽게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데이터는 도 6a 하부의 그래프 형태로써 출력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은 데이터베이스화된 정보를 다양한 방법으로 가공하여 출력하여 주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를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출력, 검색 및 조회할 수 있다. 도 6c는 조치필요사항 미결현황을 보여주는 사용예로서, 사용자는 상기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을 통해 조치필요사항 미결현황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미결 건 중 어떤 건이 처리될 경우, 해당 건을 처리한 담당자는 도 2에 도시된 단말(30)을 통해 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업데이트한다. 예를 들어 도 6c에서 Annex6-기타의 조치미결현황 건수가 1로 되어 있었는데, 해당 건을 담당자가 처리하여 조치가 종결되면, 해당 담당자는 해당 건에 대하여 조치가 종결되었음을 업데이트한다. 그러면 상기 도 6c의 표에서 Annex6-기타의 조치미결현황은 1에서 0으로, Annex6-기타의 조치종결현황은 0에서 1로 바뀌어 실시간으로 미결현황이 확인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작업이 서류를 통한 수작업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담당자가 조치 종결을 보고하더라도 곧바로 현황을 파악할 수가 없었으나, 본 발명의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에 의하면 이러한 현황의 파악이 매우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 내의 항공법령 간의 차이점을 비교 분석하고 이행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정보기술을 이용하여 관련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일련의 업무분석 처리 과정을 프로그램으로 자동화한 것이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에 수작업으로 반복 관리하던 국제항공안전규정의 비교 분석 및 처리 과정이 모두 자동화되는 효과가 있으며, 더불어 이에 따라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들을 수작업으로 처리하였기 때문에 발생하였던 소요 시간의 증가, 투입 인력의 작업 효율 저하, 이에 따른 비용의 낭비 등의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제거하여, 모든 자원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우리나라만이 아니라 국제민간항공기구의 모든 회원국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보편적인 개념으로 구현하였기 때문에, 어떤 나라에서든 자국 내 에서의 항공법령을 데이터베이스화하기만 하면 본 발명의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어 이식성과 활용성이 극대화되는 커다란 효과가 있다. 아울러, 이러한 효과에 따라 향후 국제항공사회에서 본 발명을 소개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우리 항공 분야의 위상이 국제 항공사회에서 크게 제고될 수 있는 커다란 파급 효과가 있다.

Claims (8)

  1. 국제항공안전규정 제개정 발의에 관한 공식문서(State Letter) 정보로 이루어진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 국제항공안전규정 정보로 이루어진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 자국 항공법령 정보로 이루어진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 국제항공안전규정과 자국 항공법령의 비교분석 정보로 이루어진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 이행 현황 정보로 이루어진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로 구성되는 데이터베이스 서버 (10);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연결되며,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와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의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하고 그 결과를 정리 및 가공하여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에 업데이트하는 비교/관리 프로그램(6)과, 상기 비교/관리 프로그램(6)에 의해 가공된 정보를 제공하고 이행 현황 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에 업데이트하는 분석/보고/평가 프로그램(7)이 내장되는 메인 서버 (20);
    상기 메인 서버(20)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며, 상기 메인 서버(20)로 이행 현황 정보를 전송 입력하고 상기 메인 서버(20)를 통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서버(10)에 저장된 정보를 검색, 조회, 수정, 저장 또는 삭제하는 단말 (3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식문서 데이터베이스(1)는
    제목 및 번호, 발행일자 및 배포일자, 주요 내용, 이전에 발행된 관련 공식문서 존재 여부, 관련 부속서(Annex) 번호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규정 데이터베이스(2)는
    부속서 번호, 최신 개정 정보, 규정 번호, 규정 내용, 의무 이행 여부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항공법령 데이터베이스(3)는
    법령 제목, 법령 번호, 법령 제개정 일자 및 제개정 번호, 법령의 각 조항 번호, 조항의 상세 내용을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분석 데이터베이스(4)는
    보다 우수한 수준(More exacting or exceeds)을 표시하는 "우수", 다소 상이하거나 유사한 방법으로 이행(Different in character or other means of compliance)함을 표시하는 "상이", 미흡하거나 부분적으로만 충족(Less protective or partially compliance)함을 표시하는 "미흡", 전혀 충족하지 못함(Not implemented)을 표시하는 "불이행" 및 해당사항 없음을 표시하는 "해당사항 없음"의 다섯 가지로 구분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행관리 데이터베이스(5)는
    책임 부서, 책임자, 조치 완료 요구 일자, 조치 계획, 지연 사유, 종결 표시를 포함하는 정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책임자 정보는
    실무자, 확인자, 승인자 정보로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30)은
    개인용 컴퓨터(PC), 노트북, PDA, 핸드폰, 전용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KR1020060128372A 2006-12-15 2006-12-15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KR100850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72A KR100850550B1 (ko) 2006-12-15 2006-12-15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US12/519,235 US20100036882A1 (en) 2006-12-15 2006-12-15 Sarps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PCT/KR2006/005492 WO2008072813A1 (en) 2006-12-15 2006-12-15 Sarps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CNA200680056615XA CN101595482A (zh) 2006-12-15 2006-12-15 Sarp的管理和实施系统
BRPI0622245-5A BRPI0622245A2 (pt) 2006-12-15 2006-12-15 sistema de implementaÇço e administraÇço de sarps
GB0909021A GB2456969A (en) 2006-12-15 2009-05-26 Sarps management and implement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8372A KR100850550B1 (ko) 2006-12-15 2006-12-15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5279A true KR20080055279A (ko) 2008-06-19
KR100850550B1 KR100850550B1 (ko) 2008-08-08

Family

ID=39511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8372A KR100850550B1 (ko) 2006-12-15 2006-12-15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00036882A1 (ko)
KR (1) KR100850550B1 (ko)
CN (1) CN101595482A (ko)
BR (1) BRPI0622245A2 (ko)
GB (1) GB2456969A (ko)
WO (1) WO200807281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52A (ko) * 2014-08-13 2016-02-24 한국과학기술원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91524B (zh) * 2015-11-27 2019-02-01 广东南航天合信息科技有限公司 Qar数据自动化管理方法及系统
KR102231588B1 (ko) 2020-06-29 2021-03-24 항공안전기술원 항공안전점검 감독장치
KR20240029536A (ko) 2022-08-26 2024-03-05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도심 항공 모빌리티를 위한 비행 장치 및 비행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4202B1 (en) * 2000-05-31 2004-01-27 Lexis Nexis Computer-based system and method for finding rules of law in text
KR100381888B1 (ko) * 2000-08-09 2003-04-26 김득영 토지의 멀티미디어 관리 운영 시스템 및 운영 방법
KR20020031612A (ko) * 2000-10-20 2002-05-03 전영주 감정평가에 기반한 부동산복합정보구축의관리분석활용시스템 및 방법
KR20040033768A (ko) * 2002-10-15 2004-04-28 김경선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명세서 작성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0120128A (ja) * 2008-11-20 2010-06-03 Ihi Corp ブラシロール製造方法
JP5050007B2 (ja) * 2009-06-19 2012-10-17 京楽産業.株式会社 遊技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0652A (ko) * 2014-08-13 2016-02-24 한국과학기술원 위험요인 매트릭스기반 항공안전 위험도평가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909021D0 (en) 2009-07-01
WO2008072813A1 (en) 2008-06-19
GB2456969A (en) 2009-08-05
KR100850550B1 (ko) 2008-08-08
BRPI0622245A2 (pt) 2011-12-27
CN101595482A (zh) 2009-12-02
US20100036882A1 (en) 2010-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03884B2 (en) System and methods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regulatory compliance manual using modularized and taxonomy-based classification of regulatory obligations
US8606624B2 (en) Risk reports for product quality planning and management
Alkhatib et al. Logistics Service Providers (LSPs) evaluation and selection: Literature review and framework development
Lee et al. Core Manufacturing Simulation Data–a manufacturing simulation integration standard: overview and case studies
Van Ruijven Ontology for systems engineering
US10579651B1 (en) Method, system, and program for evaluat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
CN111061679B (zh) 一种基于rete和drools规则的科技创新政策速配的方法和系统
Hashmi et al. Business process data compliance
US10679230B2 (en) Associative memory-based project management system
Höhenberger et al. Supporting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through business process weakness pattern collections
ER et al. Material movement analysis for warehouse business process improvement with process mining: a case study
CN113868498A (zh) 数据存储方法、电子装置、装置及可读存储介质
CA2793400C (en) Associative memory-based project management system
KR100850550B1 (ko) 국제 항공안전 규정관리 시스템
CN110414806B (zh) 员工风险预警方法及相关装置
CN108804685B (zh) 一种资产托管监督任务的处理方法及装置
CN111061733A (zh) 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Dakrory et al. Automated ETL testing on the data quality of a data warehouse
US20090055203A1 (en) Method, program code, and system for business process analysis
Gerke et al.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of IT processes based on reference models and process mining
Cicconi et al. An approach to support model based definition by PMI annotations
Matthies A text mining approach for extracting lessons learned from project documentation: An illustrative case study
Borek et al. A risk management approach to improving information quality for operational and strategic management
Housseman et al. Impacts of radio-identification on cryo-conservation centers
Kim et al. Management of software test using case 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