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4799A -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4799A
KR20080054799A KR1020060127376A KR20060127376A KR20080054799A KR 20080054799 A KR20080054799 A KR 20080054799A KR 1020060127376 A KR1020060127376 A KR 1020060127376A KR 20060127376 A KR20060127376 A KR 20060127376A KR 20080054799 A KR20080054799 A KR 20080054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touch
mobile communication
touch device
external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7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5921B1 (ko
Inventor
안현준
김주남
이민학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432056&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5479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7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5921B1/ko
Priority to TW096147364A priority patent/TWI367662B/zh
Priority to US11/955,300 priority patent/US7957770B2/en
Priority to DE102007059694A priority patent/DE102007059694B4/de
Priority to CNA2007103062724A priority patent/CN101232673A/zh
Publication of KR20080054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4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5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5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8Arrangements providing optical indication of the incoming call, e.g. flasher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와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를 조작할 때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동 단말기,이동통신 단말기, 터치 디바이스, 진동 디바이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Mobile Terminal,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Of Providing User Interface Using Sa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좌/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진동 모터의 외형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이동 단말기 110: 슬라이더
120: 본체부 10: 제어부
11: 메모리부 12: 표시부
13: 오디오 처리부 14: 키 입력부
15: 터치 디바이스 16: 진동 디바이스
17: 무선 통신부 171: 이동통신 모듈
173: 방송 수신 모듈 130: 인테나 영역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를 조작할 때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의한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진동 모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진동 모터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소리에 의한 청각적인 정보 제공 대신 진동에 의한 촉각적인 정보 제공이 가능하였다. 예를 들어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오거나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정숙 을 요하는 장소에서 벨소리 혹은 음성을 통해 상기 호(call) 또는 메시지의 수신 사실을 사용자에게 알리게 되면 타인에게 무례한 행동이 되거나 불편함을 주게 된다. 따라서, 이동 단말기를 미리 진동 모드로 설정해 놓고, 사용자에게 진동에 의해 상기 수신 사실을 알릴 수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진동 모터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동 단말기의 진동 모드에만 사용됨으로써 그 사용 범위를 제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에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장착하는 이동 단말기 또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많이 출시되어 사용자에게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정보의 입력이 제대로 완료되었는지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사용자의 터치 디바이스의 조작에 대해 정상적인 입력 완료를 사용자에게 피드백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진동 모드에만 이용되던 진동 디바이스를 터치 디바이스의 조작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에게 진동감을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body)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상기 터치 디바이스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망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은, 40 ~ 100 ms(millisecond)일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각각의 터치 지점에 대한 외부 접촉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하고, 상기 외부 접촉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1 몸체(body)와 제2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각각의 터치 지점에 대한 외부 접촉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하고, 상기 외부 접촉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 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진동에 의해 상기 호 또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진동 모드에 이용되는 진동 디바이스(device)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양상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진동에 의해 상기 호 또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진동 모드에 이용되는 진동 디바이스(device)와,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진동 발생 단계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거나,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들의 기본적인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의한 이동 단말기는, 제어부(10), 메모리부(11), 표시부(12), 오디오 처리부(13), 키 입력부(14), 터치 디바이스(15) 및 진동 디바이스(1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는 버스(bus, 18)에 의해 연결된다.
메모리부(1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제어부(10)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처리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표시부(12)는, 제어부(1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이동 단말기(100)의 상태 혹은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표시 장치이다.
오디오 처리부(13)는, 마이크(MIC)와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를 입출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오디오처리부(13)는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처리 및 제어동작을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로 출력하거나, 각종 정보나 명령을 마이크(MIC)를 통해 오디오로 입력하도록 오디오를 처리한다.
키 입력부(14)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각종 숫자키, 방향키 등을 구비하는 키 패드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디바이스(15)는, 사용자로부터 각종 정보나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장치로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한다. 특히 터치 디바이스(15)는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을 서로 다른 입력 신호로 감지할 수 있다.
진동 디바이스(16)는, 제어부(10)의 제어 신호에 따라 단말기(100)가 진동하도록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 모터와 진동 소자를 포함하는 모듈이다. 상기 진동 소자는 상기 진동 모터에 의해 진동을 발생시킨다. 도 6은 진동 모터의 외형도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진동 디바이스(16)는 터치 디바이스(15)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진동 디바이스(16)와 터치 디바이스(15)의 배치 관계는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부(10)는, 상기 구성 요소들을 제어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통신부(17)는, 이동통신망과의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무선통신 장치인 이동통신 모듈(171) 및/또는 방송망으로부터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 장치인 방송 수신 모듈(17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정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배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좌/우측면도를 각각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두 개의 몸체(body, 110, 1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는 상기 두 개의 몸체를 연결하는 힌지부의 구성에 따라, 슬라이드형, 폴더형 또는 이들을 결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는, 덮개의 역할을 하는 슬라이더와 본체부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참조번호 110을 슬라이더로, 참조번호 120을 본체부로 도시하였고 이하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슬라이드형 이동 단말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살펴 보면, 슬라이더(110)가 상단부에 표시부(12)를 구비하고 하단부에 터치 디바이스(15)를 구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터치 디바이스(15)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터치 지점(15a 내지 15e)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는, 터치 디바이스(15)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15a 내지 15e)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참조번호 15b 지점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게 되면, 이동통신 모듈(171)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망을 통한 통화 기능 혹은 메시지 전송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참조번호 15d 지점을 손가락으로 터치하게 되면, 현재 수행 중인 어느 기능을 중단하게 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15)와 진동 디바이스(16)는 비접촉 상태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15)는 슬라이더(110)에 구비되고 진동 디바이스(16)는 본체부(120)에 구비됨으로써 터치 디바이스(15)와 진동 디바이스(16)는 비접촉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진동 디바이스(1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위 인테나(intenna)로 호칭되는 내부 안테나(internal antenna) 영역(130)에 형성된 홈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진동 디바이스(16)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20)를 이루는 케이스에 맞닿도록 혹은 근접하여 설치됨으로써,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었을 때 느낄 수 있는 진동감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100)를 손에 쥐었을 때, 손과 접촉하는 몸체는 본체부(120)이고, 슬라이더(11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표시부(12)를 구비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진동 디바이스(16)가 사용자의 손과 접촉하는 본체부(12)에 구비되면,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 진동 디바이스(16)가 터치 디바이스(15)와 함께 슬라이더(110)에 구비되는 경우보다 사용자에게 진동감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0)는, 터치 디바이스(15)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진동 디바이스(16)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한다. 터치 디바이스(15)와 진동 디바이스(16)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에 구비되어, 진동 디바이스(16)에 의해 발생되는 진 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터치 디바이스(15)로 진동될 수 있다. 이하 두 가지 상황을 상정하여 이를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왼손에 쥐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디바이스(15)를 조작하는 경우이다. 사용자가 어느 터치 지점(예를 들어, 참조번호 15a)을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터치하면, 제어부(10)는 진동 디바이스(16)를 제어하여 진동을 발생시키게 한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디바이스(16)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은 일차적으로 본체부(120)를 진동시킴으로써 직접적인 진동감이 사용자의 왼손을 통해 전달되고, 상기 진동은 이차적으로 본체부(120) 및 슬라이더(110)를 통해 터치 디바이스(15)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까지 전달되게 된다.
둘째,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오른손에 쥐고 오른손의 손가락으로 터치 디바이스(15)를 조작하는 경우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진동 디바이스(16)에 의해 진동이 발생하면, 상기 발생된 진동은, 본체부(120)의 진동을 통해 일차적으로 사용자의 오른손에 전달되고, 슬라이더(110)의 진동을 통해 터치 디바이스(15)를 조작하고 있는 사용자의 오른손의 손가락까지 전달된다.
상기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각 구성 요소들을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시간 순으로 일차적, 이차적 및 최종적 전달의 개념으로 기술하였으나, 사용자는 이들을 거의 동시에 느끼게 될 것이다.
한편, 진동 디바이스(16)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양상은 다양할 수 있다. 이하 두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첫째, 제어부(10)는 터치 디바이스(15)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진동 디바이스(16)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15)에 구비된 특정 터치 지점을 손가락으로 접촉하고 있는 동안 계속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둘째, 제어부(10)는 터치 디바이스(15)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진동 디바이스(16)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터치 디바이스(15)에 구비된 특정 터치 지점을 손가락으로 접촉하고 있는 시간에 관계없이, 특정 터치 지점에 대한 1회의 외부 접촉에 대해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만 진동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진동 시간은 매우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진동 시간은 40 ~ 100 ms(millisecond)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는 상기 발생되는 진동의 세기, 즉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진동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마다 진동의 강도가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설명되는 진동 디바이스(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터치 디바이스(15)를 통한 외부 입력에 대한 피드백(feedback)을 제공하는 기능 외에도, 진동을 필요로 하는 다른 기능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0)는 이동통신 모듈(171)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진동 디바이스(16)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진동 디바이스(16)의 진동을 통해 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것이다.
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방법은, 일반적으로 표시부(12)를 통한 시각적인 정보 제공, 오디오 처리부(13)를 통한 청각적인 정보 제공 및 전술한 바와 같이 진동 디바이스(16)에 의한 진동을 통한 촉각적인 정보 제공 등이 있다.
이와 같이 촉각적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이동 단말기(100)를 진동 모드로 설정해 놓을 필요가 있다. 상기 진동 모드 상태에서는, 오디오 처리부(13)를 통한 청각적인 정보 제공 대신 진동 디바이스(16)를 통한 촉각적인 정보 제공을 수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호 또는 메시지의 수신 알림 외에도, 알람(alarm) 설정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르면, 진동 디바이스(16)는, 이동 단말기(100)의 일반적인 진동 모드의 기능 수행을 위해 동작함과 동시에, 터치 디바이스(15)를 통한 입력 신호의 수신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위해서도 동작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은, 도 1 내지 도 6에 의한 이동 단말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굳이 이동통신 단말기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은, 이동통신 모듈(171)이 구비되어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강조하기 위함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터치 디바이스(15)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한다[S700]. 예를 들어 터치 디바이스(15)에 대한 외부 접촉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인지한다. 한편 터치 디바이스(15)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각 터치 지점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진동 디바이스(16)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킨다[S710].
그리고 터치 디바이스(15)에 대한 상기 외부 접촉이 유지되는지를 판단하여[S720], 유지되면 상기 S710 단계로 회귀하고, 유지되지 않으면 상기 S710 단계에서 발생한 진동을 중단한다[S73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디바이스(15)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은 계속적으로 진동 디바이스(16)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터치 디바이스(15)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지를 판단한다[S800].
상기 판단 결과, 외부 접촉이 감지되면, 진동 디바이스(16)를 통해 소정 시 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킨다[S810].
즉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디바이스(15)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진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에서 설명한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터치 패드 혹은 터치 스크린과 같은 터치 디바이스를 조작하는 경우, 진동에 의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정상적으로 입력이 완료되었음을 알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하면, 호의 수신, 메시지의 수신 또는 알람에 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경우에 이용되었던 종래의 진동 디바이스를, 사용자의 터치 디바이스의 조작에 대한 피드백 제공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디바이스의 조작에 대한 피드백 제공을 위한 진동 디바이스를 종래의 진동 디바이스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이동 단말기의 부품 수를 줄이고 두께를 줄이며 제조 비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본 발명에 의하면, 터치 디바이스와 진동 디바이스를 서로 다른 몸체에 구비함으로써, 진동에 의해 터치 디바이스의 조작에 대한 피드백 제공시 사용자가 느끼는 진동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1)

  1.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body)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상기 터치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은,
    40 ~ 100 ms(milliseco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각각의 터치 지점에 대한 외부 접촉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하고, 상기 외부 접촉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body)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상기 터치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이동통신망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이동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은,
    40 ~ 100 ms(millisecon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제1 몸체(body)와 제2 몸체로 이루어지는 이동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복수 개의 터치 지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터치 지점 각각에 대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devic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몸체는,
    진동(vibration)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와 비접촉 상태로 배치되는 진동 디바이스; 및
    상기 각각의 터치 지점에 대한 외부 접촉마다 서로 다른 정보의 입력으로 인지하고, 상기 외부 접촉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4.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진동에 의해 상기 호 또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진동 모드에 이용되 는 진동 디바이스(device)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 및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디바이스와 상기 터치 디바이스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body)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상기 터치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 디바이스가 진동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18. 이동통신망을 통해 호(call) 또는 메시지(message)를 수신하는 이동통신 모듈과, 진동에 의해 상기 호 또는 상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진동 모드에 이용되는 진동 디바이스(device)와, 외부 접촉을 입력 신호로 감지하는 터치 디바이스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터치 디바이스를 통해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입력 신호의 수신에 따라 상기 진동 디바이스를 통해 진동을 발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디바이스와 상기 터치 디바이스가 각각 서로 다른 몸체(body)에 구비되어, 상기 진동 디바이스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이 상기 서로 다른 몸체들을 통해 상기 터치 디바이스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단계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되는 동안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 발생 단계는,
    상기 터치 디바이스에 의해 외부 접촉이 감지될 때마다, 미리 정해진 진동 시간 동안 상기 진동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20060127376A 2006-12-13 2006-12-13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KR101145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76A KR101145921B1 (ko) 2006-12-13 2006-12-13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TW096147364A TWI367662B (en) 2006-12-13 2007-12-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US11/955,300 US7957770B2 (en) 2006-12-13 2007-12-12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providing tactile interface
DE102007059694A DE102007059694B4 (de) 2006-12-13 2007-12-12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zur Schaffung eines taktilen Inferface
CNA2007103062724A CN101232673A (zh) 2006-12-13 2007-12-13 提供触觉接口的移动通信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7376A KR101145921B1 (ko) 2006-12-13 2006-12-13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4799A true KR20080054799A (ko) 2008-06-19
KR101145921B1 KR101145921B1 (ko) 2012-05-15

Family

ID=39432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7376A KR101145921B1 (ko) 2006-12-13 2006-12-13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957770B2 (ko)
KR (1) KR101145921B1 (ko)
CN (1) CN101232673A (ko)
DE (1) DE102007059694B4 (ko)
TW (1) TWI3676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10824B (zh) * 2007-12-18 2013-10-01 Htc Corp 具有整合顯示元件與輸入元件之模組的電子裝置
JP5227769B2 (ja) * 2008-12-05 2013-07-03 ソニー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携帯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0147973A (ja) * 2008-12-22 2010-07-01 Nec Corp 携帯端末装置、操作通知方法および操作通知プログラム
US8638306B2 (en) * 2009-11-06 2014-01-2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rner conductive pad
US9201584B2 (en) 2009-11-06 2015-12-01 Bose Corporation Audio/visual device user interface with tactile feedback
US8692815B2 (en) * 2009-11-06 2014-04-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selection accuracy enhancement
US20110109560A1 (en) 2009-11-06 2011-05-12 Santiago Carvajal Audio/Visual Device Touch-Based User Interface
US8669949B2 (en) * 2009-11-06 2014-03-1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touch sensor power
US8686957B2 (en) * 2009-11-06 2014-04-01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conductive rings
US8350820B2 (en) * 2009-11-06 2013-01-08 Bose Corporation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operation accuracy enhancement
US20110113371A1 (en) * 2009-11-06 2011-05-12 Robert Preston Parker Touch-Based User Interface User Error Handling
KR20110063297A (ko) * 2009-12-02 2011-06-1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TWI416388B (zh) 2010-09-01 2013-11-21 Au Optronics Corp 具有力回饋功能之觸控裝置
CN102402318A (zh) * 2010-09-09 2012-04-04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实现定位及力反馈的方法
CN101976145B (zh) * 2010-09-29 2012-05-3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具有力反馈功能的触控装置
CN103377353B (zh) * 2012-04-23 2018-04-17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触控屏保护方法与保护系统
KR101397084B1 (ko) 2012-07-02 2014-05-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3064559A (zh) * 2013-01-07 2013-04-24 华为终端有限公司 触摸屏的触摸振动功能的设置方法及装置
CN105549862B (zh) * 2015-12-09 2019-06-07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闹钟提醒方法、装置和终端设备
CN106919285B (zh) * 2017-02-28 2021-01-15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终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40780C2 (de) * 1991-12-06 1995-05-18 Matthias Dipl Ing Goebel Eingabevorrichtung für Bildschirmgeräte mit taktilem Feedback
KR19990016775A (ko) * 1997-08-19 1999-03-15 윤종용 무선 전화기의 진동 장치 및 방법
JP3949912B2 (ja) * 2000-08-08 2007-07-2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携帯型電子機器、電子機器、振動発生器、振動による報知方法および報知制御方法
SE523636C2 (sv) * 2001-07-22 2004-05-04 Tomer Shalit Ab Portabelt datoriserat handhållet organ och förfarande för hantering av ett på en skärm visat objekt
CN102609088B (zh) 2001-11-01 2015-12-16 意美森公司 用于提供触感的方法和系统
FI112415B (fi) * 2001-11-28 2003-11-28 Nokia Oyj Pietsosähköinen käyttöliittymä
JP3937982B2 (ja) * 2002-08-29 2007-06-27 ソニー株式会社 入出力装置および入出力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EP1406150A1 (en) * 2002-10-01 2004-04-0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Tactile feedback method and device and portable device incorporating same
US7769417B2 (en) * 2002-12-08 2010-08-03 Immersion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haptic feedback to off-activating area
US7148789B2 (en) * 2004-09-09 2006-12-12 Motorola, Inc. Handheld device having multiple localized force feed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32673A (zh) 2008-07-30
KR101145921B1 (ko) 2012-05-15
DE102007059694A1 (de) 2008-06-26
TW200840313A (en) 2008-10-01
TWI367662B (en) 2012-07-01
US7957770B2 (en) 2011-06-07
US20080161065A1 (en) 2008-07-03
DE102007059694B4 (de) 201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5921B1 (ko) 이동 단말기,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사용자인터페이스 제공 방법
CN109040887B (zh)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CN109068206B (zh) 主从耳机切换控制方法及相关产品
RU2454019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генерации звука в ушной раковине
EP1592141A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speaker volume of push-to-talk (PTT) phone
KR1007103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CN108541080B (zh) 第一电子设备与第二电子设备进行回连的方法及相关产品
KR20110019189A (ko) 이벤트 발생 알림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JP3414359B2 (ja) 携帯電話機の知覚情報伝達方法、及び知覚情報伝達機能付携帯電話機
CN109067965B (zh) 翻译方法、翻译装置、可穿戴装置及存储介质
US1116611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hearing system and hearing system comprising two hearing devices
CN113810809B (zh) 一种传感器模组和耳机
KR100678166B1 (ko) 어쿠스틱 쇼크를 방지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출력 볼륨을설정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이동 통신 단말기
CN107135305B (zh) 一种消息提醒方法、装置和终端
CN1186917C (zh) 无线头戴式装置和选择无线头戴式装置定向的方法
KR100779145B1 (ko) 다기능 손목 시계
CN113727231A (zh) 一种耳机音量调节方法及其设备
CN109116982A (zh) 信息播放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08958631A (zh) 屏幕发声控制方法、装置以及电子装置
CN115136617A (zh) 用于调节蓝牙真无线耳机的音量的方法
CN104184881A (zh) 一种移动终端在通话过程中通过触摸屏设置音量的方法
JP4269019B2 (ja) 携帯通信端末機
WO2006046600A1 (ja) 携帯通信装置
KR100688296B1 (ko) 개인휴대단말기 및 개인휴대단말기의 진동제어방법
US20240121333A1 (en)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