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3661A -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Google Patents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53661A KR20080053661A KR1020060125476A KR20060125476A KR20080053661A KR 20080053661 A KR20080053661 A KR 20080053661A KR 1020060125476 A KR1020060125476 A KR 1020060125476A KR 20060125476 A KR20060125476 A KR 20060125476A KR 20080053661 A KR20080053661 A KR 200800536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ine
- control unit
- case
- urinal
- wal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3/00—Urinals ; Means for connecting the urinal to the flushing pipe and the wastepipe; Splashing shields for urinals
- E03D13/005—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urinal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1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 E03D5/105—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electrically, e.g. by a photo-cell; also combined with devices for opening or closing shutters in the bowl outlet and/or with devices for raising/or lowering seat and cover and/or for swiveling the bowl touchless, e.g. using sensor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02—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of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공간의 일측 벽면에 매달려 장착되는 소변기본체; 상기 소변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세척하는 세척부; 사용자의 접근 및 퇴거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어부 케이스; 및 상기 소변기본체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에 대해 상기 제어부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제어부를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케이스 내에 은닉될 수 있어 청소시에 고장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벗어나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소변기, 도기, 제어부, 케이스, 체결, 볼트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도,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소변기에서 제어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변기본체 15 : 세척부
20 : 커버 25 : 제어부
30 : 제어부 케이스 30a : 후크공
40 : 착탈결합부 41 : 걸림쇠
41a : 몸체부 41b : 후크부
41c : 절곡부 43 : 착탈부재
본 발명은,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어부를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케이스 내에 은닉될 수 있어 청소시에 고장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벗어나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에 관한 것이다.
소변기는 오줌을 누게 만든 일련의 기구이다. 보통은 도기 재질로 제작되며, 남성용인 경우에는 화장실의 일측 벽면에 걸려 시공된다. 이처럼 벽면에 장착된 소위, 벽걸이형 소변기는 주로 전면이 완전 개방되어 있는 타입이 흔하다.
이러한 벽걸이형 소변기에는 물을 이용하여 소변기본체 내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이 구비된다. 종전만 하더라도 세척수단은 소변기본체의 상단 측에 배치된 누름스위치를 직접 가압함으로써 일정량의 물이 소변기본체의 내부로 흘러내리게 한 수동식 구조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동식 구조의 경우, 사용자의 의도적인 조작에만 의존해야 하므로, 실질적으로 소변기본체 내부의 세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에, 근자에 들어서는 센서(이하, 제어부라 함)에 의한 전자식 감지 방식에 의해 소변기본체의 내부가 세척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근접 센서라든지 혹은 적외선 검출 센서 등을 적용한 후, 소변기 측으로 사용자가 접근하거나 퇴거할 경우에 이를 감지하여 물이 흘러내리도록 함으로써 소변기를 항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통상적인 벽걸이형 소변기의 경우에는, 제어부가 소변기본체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감지가 잘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소변기에 있어서는, 제어부를 보호하는 케이스가 소변기본체의 외관으로 노출되는 구조를 가지기에 청소시에 물로 인해 고장날 우려가 높으며,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로 인해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를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케이스 내에 은닉될 수 있어 청소시에 고장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벗어나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내부에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공간의 일측 벽면에 매달려 장착되는 소변기본체; 상기 소변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세척하는 세척부; 사용자의 접근 및 퇴거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어부 케이스; 및 상기 소변기본체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에 대해 상기 제어부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제어부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쇠; 및 상기 소변기본체의 측부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쇠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걸림쇠는, 막대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에 형성된 후크공에 걸림유지되는 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본체 내에 형성된 가이드에 안내되는 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동부재의 정방향 회전 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공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역방향 회전 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볼트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볼트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링(E-Ring)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볼트는 상기 소변기본체의 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는 상기 소변기본체의 양측에 한 쌍 마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걸이형 소변기는, 소변기본체(10)와, 소변기본체(10)에 마련되어 소변기본체(10)의 내부공간을 세척하는 세척부(15)와, 소변기본체(10)의 상부 개구 영역을 개폐하는 커버(20)를 구비한다.
소변기본체(10)는 그 내부에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공간의 일측 벽면에 매달려 장착된다. 소변기본체(10)가 벽면에 매달려 장착될 수 있도록 소변기본체(10)에는 다수의 앵커볼트공(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공(12)들은 소변기본체(10) 내에 은닉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 않은 앵커볼트를 이용하여 소변기본체(10)를 벽면에 시공한다 하더라도 앵커볼트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미관이 저해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세척부(15)는 물을 이용하여 소변기본체(10) 내의 공간을 세척하는 부분이다. 세척부(15)에 대해서는 자세하게 도시하고 있지는 않지만, 급수호스(15a)에 의 해 소변기본체(10) 내로 물이 유입됨으로써 물에 의해 소변기본체(10)를 세척할 수 있도록 한다. 급수호스(15a)의 상부 영역에는 벽배관부(16)가 형성되어 있으며, 벽배관부(16)의 일측에는 출수호스(17)가 구비되어 있다. 출수호스(17)는 그 상단의 어댑터(18)에 결합되어 있다.
커버(20)는 소변기본체(10)의 상부 개구 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평상시에 소변기본체(10)로부터의 악취가 화장실 공간으로 확산되는 것을 저지한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므로 반드시 커버(20)가 구비될 필요는 없다.
한편, 도 3은 도 1의 벽걸이형 소변기에서 제어부 케이스가 분리된 상태의 부분 단면도, 도 4는 도 3의 결합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변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는 제어부 케이스(30)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어부 케이스(30) 내에는 사용자의 접근 및 퇴거 동작을 감지하여 전술한 세척부(15)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부(25)가 마련되어 있다.
이처럼 제어부(25)가 구비된 제어부 케이스(30)가 소변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5)가 제어부 케이스(30) 내에 은닉될 수 있어 물을 이용한 청소시에 제어부(25)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케이스(30)가 아래의 구조에 의해 소변기본체(10)에 쉽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 부(25)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탈피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면 이하에서는 소변기본체(10)와 제어부 케이스(30) 간의 결합 구조 및 그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소변기본체(10)에 대해 제어부 케이스(3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소변기본체(10)와 제어부 케이스(30)에는 착탈결합부(40)가 마련된다. 착탈결합부(40)는 한 개 마련되어도 무방하지만 본 실시예와 같이 한 쌍으로 마련될 경우라면 제어부 케이스(30)를 보다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어 유리하다.
이러한 착탈결합부(40) 각각은, 적어도 일 영역에서 제어부 케이스(30)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쇠(41)와, 소변기본체(10)의 측부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걸림쇠(41)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43)를 포함한다.
걸림쇠(41)는, 막대형상의 몸체부(41a)와, 몸체부(41a)의 하단에 형성되고 몸체부(41a)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어부 케이스(30)에 형성된 후크공(30a)에 걸림유지되는 후크부(41b)와, 몸체부(41a)의 상단에 형성되어 소변기본체(10) 내에 형성된 가이드(11)에 안내되는 절곡부(41c)를 포함한다. 걸림쇠(41)를 형성하는 몸체부(41a), 후크부(41b) 및 절곡부(41c)는 단일 재질에 의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걸림쇠(41)와 상호 작용하는 작동부재(43)는, 작동부재(43)의 정방향 회전 시 후크부(41b)가 후크공(30a)에 걸리는 방향으로 걸림쇠(41)가 이동하고, 작동부 재(43)의 역방향 회전 시 후크부(41b)가 후크공(30a)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걸림쇠(41)가 이동하도록 걸림쇠(41)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부재(43)로는 몸체부(41a)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43)로 적용하고 있다. 볼트(43)의 단부에는 몸체부(41a)로부터 볼트(43)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링(44, E-Ring)이 더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볼트(43)는 소변기본체(10)의 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10a)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 케이스(30)를 소변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는 볼트(43)를 적당하게 회전조작하여 걸림쇠(41)의 후크부(41b)와 제어부 케이스(30)의 후크공(30a)이 상호 동일 선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 케이스(30)를 소변기본체(10)의 하단에 접촉시킨 후, 볼트(43)를 정방향, 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처럼 해당 위치에서 볼트(43)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볼트(43)와 나사 맞물림된 걸림쇠(41)가 이동하게 되고, 이 때 걸림쇠(41)의 후크부(41b)가 후크공(30a)에 걸림유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제어부 케이스(30)의 결합이 완료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에, 제어부(25)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제어부 케이스(30)를 분리하고자 한다면, 전술한 반대 방법으로, 즉 볼트(43)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걸림쇠(41)의 후크부(41b)가 후크공(30a)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한 상태에서 소변기본체(10)로 부터 제어부 케이스(30)를 분리해내면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소변을 보기위해 소변기로 접근하면, 소변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 위치한 제어부(25)가 사용자의 접근을 감지한다. 이 때, 소변기본체(10)에 마련된 도시 않은 램프는 온(On)될 수 있다. 사용자의 접근이 감지되면 세척부(15)에 의한 1차 세척이 진행된다. 이 후, 소변을 본 사용자가 퇴거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25)의 제어 신호에 의해 세척부(15)에 의한 2차 세척이 진행된다. 만약에 커버(20)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타입이라면 2차 세척 시 커버(20)가 자동으로 닫힐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가 구비된 제어부 케이스(30)가 소변기본체(10)의 하부 영역에 마련됨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제어부(25)가 제어부 케이스(30) 내에 은닉될 수 있어 물을 이용한 청소시에 제어부(25)가 고장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어부 케이스(30)가 아래의 구조에 의해 소변기본체(10)에 쉽게 착탈될 수 있기 때문에 제어부(25)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와 같이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탈피할 수 있기 때문에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부를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배치시킴으로써 어린 아이나 혹은 키가 작은 일반인들이 소변기에 접근하더라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어 항상 소변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제어부가 케이스 내에 은닉될 수 있어 청소시에 고장나는 문제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의 유지 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고, 나아가 외관 노출 구조라는 구조적인 한계를 벗어나 디자인을 심플하고 콤팩트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 내부에 소변이 모아져 배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며, 설치공간의 일측 벽면에 매달려 장착되는 소변기본체; 상기 소변기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의 내부공간을 세척하는 세척부; 사용자의 접근 및 퇴거 동작을 감지하여 상기 세척부를 온오프(On/Off)시키는 제어부를 수용하며, 상기 소변기본체의 하부 영역에 결합되는 제어부 케이스; 및 상기 소변기본체와 상기 제어부 케이스에 마련되어 상기 소변기본체에 대해 상기 제어부 케이스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는, 적어도 일 영역에서 상기 제어부 케이스와 선택적으로 걸림유지되는 걸림쇠; 및 상기 소변기본체의 측부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걸림쇠를 작동시키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걸림쇠는, 막대형상의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절곡되어 상기 제어부 케이스에 형성된 후크공에 걸림 유지되는 후크부; 및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소변기본체 내에 형성된 가이드에 안내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3항에 있어서,상기 작동부재의 정방향 회전 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공에 걸리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고, 상기 작동부재의 역방향 회전 시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공으로부터 이탈되는 방향으로 상기 걸림쇠가 이동하도록,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몸체부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볼트의 단부에는 상기 몸체부로부터 상기 볼트가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는 이링(E-Ring)이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4항에 있어서,상기 볼트는 상기 소변기본체의 측면에서 함몰되게 형성된 함몰부 내에 삽입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적어도 하나의 착탈결합부는 상기 소변기본체의 양측에 한 쌍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5476A KR20080053661A (ko) | 2006-12-11 | 2006-12-11 |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60125476A KR20080053661A (ko) | 2006-12-11 | 2006-12-11 |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53661A true KR20080053661A (ko) | 2008-06-16 |
Family
ID=39800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60125476A KR20080053661A (ko) | 2006-12-11 | 2006-12-11 |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80053661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06942A (ja) * | 2016-05-12 | 2017-11-24 | Toto株式会社 | 衛生設備機器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1672A (ja) * | 1991-12-24 | 1993-07-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小便器 |
JPH0589578U (ja) * | 1992-05-22 | 1993-12-07 | 株式会社イナックス | 小便器 |
JPH07166592A (ja) * | 1993-12-15 | 1995-06-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小便器 |
JP2006141583A (ja) * | 2004-11-18 | 2006-06-0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水洗便器 |
KR20060102839A (ko) * | 2005-03-25 | 2006-09-28 | 대림통상 주식회사 |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
-
2006
- 2006-12-11 KR KR1020060125476A patent/KR20080053661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171672A (ja) * | 1991-12-24 | 1993-07-09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小便器 |
JPH0589578U (ja) * | 1992-05-22 | 1993-12-07 | 株式会社イナックス | 小便器 |
JPH07166592A (ja) * | 1993-12-15 | 1995-06-27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小便器 |
JP2006141583A (ja) * | 2004-11-18 | 2006-06-08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水洗便器 |
KR20060102839A (ko) * | 2005-03-25 | 2006-09-28 | 대림통상 주식회사 |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7206942A (ja) * | 2016-05-12 | 2017-11-24 | Toto株式会社 | 衛生設備機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60015382B1 (ko) | 소변기 | |
RU2585848C1 (ru) | Водосберегающий унитаз | |
KR20080053661A (ko) | 제어부 케이스를 구비한 벽걸이형 소변기 | |
KR20040037290A (ko) |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 |
WO2009006781A1 (fr) | Urinoir rotatif | |
KR100815020B1 (ko) |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 |
JP5411234B2 (ja) | 小便装置 | |
KR20180134187A (ko) | 자동문 소변기 | |
KR101359284B1 (ko) | 여성 전용 소변기 | |
JP2843697B2 (ja) | 小便器 | |
KR101632384B1 (ko) | 세가지 모드로 물 배출 방식을 제어할 수 있는 수도꼭지장치 | |
KR200210859Y1 (ko) | 수세대가 구비된 소변기 | |
KR20130064524A (ko) | 소변기 | |
KR100338152B1 (ko) | 자폐식 수전금구의 조작페달 자동세척장치 | |
KR200384911Y1 (ko) | 비데용 급수 커넥터 | |
KR200338346Y1 (ko) | 소변기용 세척수 제어판 | |
KR200290875Y1 (ko) | 온도 감지식 소변기 | |
CN2811423Y (zh) | 坐便器 | |
KR200417179Y1 (ko) | 소변기 버튼 자동 누름 장치 | |
KR20120100163A (ko) | 남성용 소변기 | |
KR200276615Y1 (ko) | 자동발판손세정대 | |
KR101051340B1 (ko) | 용변의 종류별 선택이 가능한 플래시밸브용 작동장치 | |
KR200211507Y1 (ko) |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 |
KR200403934Y1 (ko) | 기능성 와변기 | |
CN101597913A (zh) | 一种组合式蹲便器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E801 |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