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1507Y1 -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 Google Patents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1507Y1
KR200211507Y1 KR2020000023659U KR20000023659U KR200211507Y1 KR 200211507 Y1 KR200211507 Y1 KR 200211507Y1 KR 2020000023659 U KR2020000023659 U KR 2020000023659U KR 20000023659 U KR20000023659 U KR 20000023659U KR 200211507 Y1 KR200211507 Y1 KR 2002115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plate
upper cover
injec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36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선구
Original Assignee
여선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선구 filed Critical 여선구
Priority to KR20200000236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07Y1/ko

Link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덮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에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를 향해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의 분사기능을 조절하는 분사조절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서, 간편한 변기 청소와 위생적인 변기 관리를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Chamber-pot equiping auto-cleaner}
본 고안은 좌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간편하게 좌변기를 청소하고 위생적으로 좌변기를 관리하기에 적당한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좌변기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좌변기는 도 1에서와 같이 상부덮개(1), 좌판(2), 본체(3)로 이루어져 있다.
일반적으로 좌변기는 도 1에서 보듯이 재래식 변기와 달리 사용시 의자처럼 좌판(2)에 앉아 대변을 보는 구조로 되어있다. 따라서 직접 피부에 닿는 접촉부분인 좌판(2)은 청결과 위생에 있어서 특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대소변으로 오염될 수 있는 좌변기 본체와 좌변기 주변의 청결과 위생도 요구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한 좌변기에서는 좌판부분의 청결과 위생에 대한 별다른 수단이 없어 좌변기를 이용할 시 좌판을 휴지로 닦아 이용할 수 밖에 없었고 좌변기 본체와 좌변기 주변을 청소하기 위해서도 휴지를 이용하거나 물을 뿌리며 청소용 솔을 이용하여 좌변기의 좌판이나 본체에 묻은 오물을 닦아내는 방법밖에는 없었다.
특히 공공장소 등의 남자 화장실에서는 좌판을 내린 채로 소변을 보는 경우가 많아 소변이 좌판에 묻어 좌판을 오염시켜 다음 사람이 대변을 보거나 할 경우 불쾌해지기 일수이고 위생에도 문제가 되었으나, 휴지로 직접 닦아내는 방법 밖에는 별 도리가 없었다.
설사 좌판을 올린 상태로 소변을 본다 하더라도 본체의 상단부와 좌변기 주변에 오물이 묻는 경우가 다반사였으나 어찌할 수 없이 직접 닦아 내거나 직접 물을 부어 청소할 수 밖에 없었다.
이러한 종래의 청소방법은 그 자체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공공장소나 상가에서는 좌변기를 자주 청소할 수 없기 때문에 청결 상태가 불량하여 이용자들에게는 불쾌감을 주었고, 양호한 청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자주 청소를 해주어야 하므로 관리자에게는 관리의 불편함을 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좌변기를 갖춘 공공장소나 상가의 화장실은 일반적으로 좋지 못한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세균의 번식 등의 위생적으로 불결함을 야기시키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일반 가정은 물론 특히 상가나 공공장소에 설치된 좌변기의 청소와 관리에 있어서 편리하고 위생적이며 청결하게 좌변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뿐만 아니라, 좌변기 주변에 묻은 오물을 동시에 청소할 수 있도록 하여 청결한 화장실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좌변기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덮개를 닫았을 때의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분사부의 설치를 달리하여 구성한 좌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덮개를 닫았을 때의 정단면도이고,
도 6는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상부덮개 30 : 분사부
40 : 분사조절스위치 50 : 커버
60 : 건조팬 70 : 동력전달부
80 : 공기유도판 90 : 청소제어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덮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에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를 향해 물을 뿌릴 수 있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의 분사기능을 조절하는 분사조절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가 제공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 1실시예를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 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덮개를 닫았을 때의 정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에서 분사부의 설치를 달리하여 구성한 좌변기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덮개를 닫았을 때의 정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본체(14)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12)과; 상기 좌판(12)의 상부에서 덮는 상부덮개(20)와; 상기 상부덮개(20)에 상기 좌판(12)과 상기 본체(14)를 향해 물을 뿌릴 수 있는 분사부(30)와; 상기 분사부(30)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기능을 조절하는 분사조절스위치(40)가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분사부(30)는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별도의 파이프로써 상기 상부덮개(20)의 하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덮개(20)의 자체내부에 수관역할을 하는 통로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사부(30)와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를 연결하는 부위는 소프트 파이프(soft pipe)로 구성하여 상기 상부덮개(20)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는 누르고 있는 동안에만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원터치로 작동되어 눌렀을 시 일정시간 물이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조절스위치(30)는 상기 상부덮개(20)가 열려 있을 때는 좌변기 사용자의 오동작으로 작동될 수 없도록 상기 상부덮개(20)의 뒤쪽으로 가려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와 함께 상기 상부덮개(20)에는 상기 상부덮개(20)를 열었을 시에 상기 분사조절스위치(30)가 눌리지 않도록 오목형성된 함입부(25)가 구비된다.
그럼으로써 분사조절스위치를 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덮개를 닫아야 되게 되고, 상부덮개가 열렸을 때 오작동되어 좌변기 사용자에게 물이 분사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덮개(20)에는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12)과 상기 본체(14)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덮개(20)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덮개(20)로부터 절곡형성된 커버(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버(50)는 분사부(30)에서 분사된 물이 변기 외부로 튀기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체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커버(50) 내측면에 상기 분사부(30)를 설치할 수도 있어 물의 분사각도의 폭을 넓게 함으로서 좌판(12)과 상부덮개(20) 사이를 향해서도 직접 분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한다.
분사된 물은 좌판과 본체 상단부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본체의 외면을 따라서 흘러내려 좌변기 주변 화장실 바닥의 오물을 청소케 하는 역할도 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상부덮개(20)가 상기 좌판(12)을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12)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덮개(20)의 중심방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좌판(12)과 상기 본체(14)를 청소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분사부(30)는 상기 상부덮개(20)가 상기 좌판(12)을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12)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덮개(20)의 외주방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좌판(12)과 상기 본체(14)를 청소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관통공은 샤워기의 샤워구멍처럼 각도를 달리하여 복수로 형성하는 것이 세척에 바람직하겠으나 여러 가지 변형 형성도 가능할 것이다.
이하, 본 고안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제 2실시예를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전술한 제 1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본체(14)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12)과; 상기 좌판(12)의 상부에서 덮는 상부덮개(20)와; 상기 상부덮개(20)에 상기 좌판(12)과 상기 본체(14)를 향해 물을 뿌릴 수 있는 분사부(30)와; 상기 분사부(30)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30)의 분사기능을 조절하는 분사조절스위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분사조절스위치(40) 또는 커버(50)가 더욱 구비될 수 있다거나 분사부(30)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할 수 있다는 점 또한 제 1실시예와 동일하나, 세척 후 건조를 위한 구성요소가 더욱 구비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는, 제 1실시예의 구성에 상기 상부덮개(20)의 중심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조팬(60)과; 상기 건조팬(60)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70)와; 상기 건조팬(60)이 일으킨 바람을 상기 덮개의 외주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판(8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건조팬(60)은 기압차를 형성할 수 있도록 스크류 회전하게 구성될 수 있고, 이 때 형성된 공기는 공기흐름 통로를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덮개(20)의 하부에 설치된 상기 공기유도판(80)에 의해 유도되어 좌판(12)과 본체(14)를 향해 토출됨으로서 좌판(12)과 본체(14)의 물기를 흩어내게 된다.
상기 동력전달부(70)는 상기 상부덮개(20) 내부로 설치되고 상기 상부덮개(20)의 하단부로 인출되는 것이 미관상이나 습기와의 접촉 가능성을 줄이는데 바람직하다.
여기서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상부덮개(20)의 윗면에 상기 건조팬(60) 주위로 뚫려서 상기 건조팬(60)이 회전시에 외부로부터의 공기흐름을 유지시키는 공기유입구(85)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는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와 상기 동력전달부(70)와 연결되는 청소제어부(90)가 더욱 포함될 수 있는데,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를 작동하면 상기 청소제어부(90)는 일정 시간동안 물을 분사시킨 다음 일정 시간동안 건조팬(60)을 작동시켜 건조시킬 수 있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청소제어부(90)에는 일정 시간을 체크할 수 있는 타이머가 내장될 수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상부덮개(20)를 덮게 되면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수단으로는 리미트 스위치, 광 스위치, 또는 압력감지스위치 등의 감지센서가 채용될 수도 있고, 상기 상부덮개(20)의 하단부에 돌출부가 있는 ON/OFF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덮개(20)가 닫히게 되면 상기 ON/OFF 스위치의 돌출부가 눌려서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가 작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제 1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본체(14)와 좌판(12)과 상부덮개(20)와 분사부(30)와 분사조절스위치(40)의 다섯 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을 이용하여 좌변기를 청소하기 위해서는 상부덮개(20)를 덮고 분사조절스위치(40)를 누르면 분사부(30)의 분사구를 통해 물이 분사되어 좌판(12)과 본체(14)의 상단부에 묻은 오물을 씻어내게 된다.
이 때 분사조절스위치(30)를 상부덮개(20)의 뒤쪽에 설치하여 상부덮개가 열려 있을 때는 스위치를 작동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상부덮개(20)에는 상부덮개(20)를 열었을 시에 분사조절스위치(30)가 눌리지 않도록 오목형성된 함입부(25)를 구비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분사조절스위치를 작동 시키기 위해서는 덮개를 닫아야 하고, 실수로 상부덮개가 열렸을 때 작동시켜서 사람에게 물이 분사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이때 도 2와 도 3에서처럼 분사부(30)가 좌판(12) 외주측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물이 중심방향을 향하여 분사되면서 좌판(12)과 본체(14)를 세척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에서처럼 분사부(30)가 좌판(12) 내주측에 위치해 있는 경우에는 물이 외주방향을 향하여 분사되면서 좌판(12)과 본체(14)를 세척하게 된다.
이때 분사부(30)에서 분사된 물줄기가 내주를 향하건 외주를 향하건 간에 도면 2와 도면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좌판(12)과 본체(14)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절곡형성된 커버(50)가 구비되어 물줄기가 변기 외부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지체의 역할을 해준다.
그리고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50) 내측면에 분사부(30)를 설치할 경우에는 물의 분사각도의 폭을 넓게 하여 좌판(12)과 상부덮개(20)사이를 향해서도 직접 분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5)는 분사된 물이 좌판과 본체 상단부를 세척하고 커버(50)를 따라서 흘러내리게하여 좌변기 주변 화장실 바닥의 오물을 청소케하는 역할도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제 2실시예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제 1실시예에 더하여 건조팬(60)과 동력전달부(70)와 공기유도판(80)의 세부분을 포함하여 구성되고,청소제어부(90)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을 이용하여 좌변기를 세척하기 위해서는 상부덮개(20)를 덮고 청소제어부(90)의 분사조절스위치(40)를 누르면 청소제어부(90)가 작동하고, 청소제어부(90)가 분사조절스위치(40)와 동력전달부(70)에 작용하여 분사부(30)의 분사구를 통해 일정 시간 물을 분사시키고 난 후 일정 시간동안 건조팬(60)을 작동시켜 좌판(12)과 본체(14)에 묻은 물기를 흩어내게 된다.
또는 분사조절스위치(40)를 누를 필요 없이 리미트 스위치,광 스위치, 압력감응스위치 등의 감지센서를 채용하여, 상부덮개(20)를 덮게되면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분사조절장치가 바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또는 도시 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감지센서 대신에 상부덮개(20)의 하단부에 돌출부가 있는 ON/OFF 스위치를 설치하여, 상부덮개(20)를 덮게되면 감지센서가 감지하여 ON/OFF스위치의 돌출부가 눌려서 분사조절장치가 바로 작동될 수 있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건조 동작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상기 분사조절스위치(40)의 작동에 의해 동력전달부(70)가 동력을 건조팬(60)에 전달하면 건조팬(60)이 회전하고 이 스크류 회전에 의해 기압차를 형성한 공기는 공기유도판(80)에 의해 형성된 통로를 통과해 좌판(12)과 본체(14)를 향해 공기를 토출하여 물기를 흩어내게된다.
여기서, 도 7에서 도시된 것처럼 상부덮개(20)의 윗면에 외부로부터의 공기흐름을 유지시키는 공기유입구(85)를 설치한다면 건조팬이 회전시에 공기의 원활한 유입으로 공기의 역류현상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이처럼 본 고안은 간편한 좌변기 청소와 위생적인 좌변기 관리를 가능하게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 청소장치는 좌변기를 사용한 후 즉시 간편한 스위치 조작만으로 세척 및 건조할 수 있어 위생적인 좌변기 관리를 가능하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된 물이 좌판과 본체 상단부를 세척할 뿐만 아니라 커버를 따라서 흘러내려서 좌변기 주변 화장실 바닥의 오물도 청소케하는 효과도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한 좌변기를 이용자가 많은 상가나 공공장소에 설치하면 더욱 큰 효과를 볼 수 있는 잇점도 있게 된다.

Claims (7)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상단부에 위치하는 좌판과;
    상기 좌판의 상부에서 덮는 상부덮개와;
    상기 상부덮개에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를 향해 물을 분사시킬 수 있는 분사부와;
    상기 분사부와 연결되며 상기 분사부의 분사기능을 조절하는 분사조절스위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덮개는,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의 상부를 감쌀 수 있도록 상기 상부덮개의 외주면에 상기 상부덮개로부터 절곡형성된 커버가 더욱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좌판을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의 외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덮개의 중심방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를 청소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상부덮개가 상기 좌판을 덮었을 시에 상기 좌판 내주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상부덮개의 외주방향으로 물을 분사시켜 상기 좌판과 상기 본체를 청소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상부덮개의 중심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설치되는 건조팬과;
    상기 건조팬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와;
    상기 건조팬이 일으킨 바람을 상기 덮개의 외주부로 유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유도판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분사조절스위치가 작동되면 상기 분사조절스위치와 상기 동력전달부를 제어하여 일정 시간동안 물을 분사시킨 다음 일정 시간동안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는 청소제어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좌변기는,
    상기 상부덮개를 덮게되면 상기 분사조절스위치가 작동되도록 제어하는 감지부를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KR2020000023659U 2000-08-21 2000-08-21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KR2002115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59U KR200211507Y1 (ko) 2000-08-21 2000-08-21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3659U KR200211507Y1 (ko) 2000-08-21 2000-08-21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07Y1 true KR200211507Y1 (ko) 2001-01-15

Family

ID=73057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3659U KR200211507Y1 (ko) 2000-08-21 2000-08-21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07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44B1 (ko) * 2017-10-24 2019-04-05 홍영근 유해균 차단 변기커버를 구비한 좌변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6244B1 (ko) * 2017-10-24 2019-04-05 홍영근 유해균 차단 변기커버를 구비한 좌변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140075A1 (en) Device for removably coupling disposable nozzle tip for bidet
KR20100091039A (ko) 국부 세정 소변기 및 이를 포함하는 좌변기
KR200211507Y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춘 좌변기
KR100697254B1 (ko) 좌변기 뚜껑에 장착된 세정장치
WO2009006781A1 (fr) Urinoir rotatif
KR20090043779A (ko) 악취제거 및 건조공기 공급이 용이한 양변기용 비데
KR20040037290A (ko) 냄새 강제 제거 기능을 가지는 양변기
KR100709400B1 (ko) 벽걸이형 위생 소변기
JP3074909B2 (ja) 衛生便座
KR200210887Y1 (ko) 자동 세면장치
CA2347273C (en) System for directly venting odour air from toilet bowl
CA1086453A (en) Bidet device
US5734997A (en) Portable toilet seat bidet assembly
KR101134887B1 (ko) 절수용 소변기
KR20070103323A (ko) 냄새 없는 양변기
CN213405869U (zh) 马桶
CN214208162U (zh) 一种盥洗装置及用于入户清洁的盥洗装置
KR200146941Y1 (ko) 비데의 에티켓 벨 장치
JP2801986B2 (ja) 水洗便器装置
KR200421819Y1 (ko) 냄새 없는 양변기
KR200316313Y1 (ko) 비데용 노즐구조
KR200210873Y1 (ko) 소변기의 밸브 조정구조
JP2543589Y2 (ja) ボールを備えた洗面又は洗髪用等の衛生設備
JP2512564Y2 (ja) ボ―ルを備えた洗面又は洗髪用等の衛生設備
JP3070199B2 (ja) 衛生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