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972A - 공기조화기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972A
KR20080052972A KR1020060124817A KR20060124817A KR20080052972A KR 20080052972 A KR20080052972 A KR 20080052972A KR 1020060124817 A KR1020060124817 A KR 1020060124817A KR 20060124817 A KR20060124817 A KR 20060124817A KR 20080052972 A KR20080052972 A KR 20080052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panel
indoor unit
air conditioner
cov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8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세민
정창훈
윤일한
김연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2972A/ko
Publication of KR20080052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9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판넬에 점검구를 천공 형성하여 실내기를 천장에 고정시에 점검구를 통해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402)와 토출구(406)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400)과; 상기 전면판넬(400)과 결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전면판넬(400)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400)의 하면 일부를 차폐하는 점검구커버(46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전면판넬(40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400)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되어 상기 전면판넬(400)의 상부가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점검구(446)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상기 점검구(446)의 하측에 결합되어 점검구(446)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며 작업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는 이점이 있다.
공기조화기, 실내기, 전면판넬, 점검구, 점검구커버

Description

공기조화기 실내기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도 1 은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구성인 전면판넬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구성인 전면판넬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구성인 루버모터와 루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전면판넬과 점검구커버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전면판넬과 점검구커버가 결합되는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
도 9a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실시예에서 전면판넬에 점검 구커버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9b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의 일실시예에서 전면판넬과 점검구커버가 분리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9c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실시예에서 점검구커버가 전면판넬에 결합되는 과정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a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점검구커버가 전면판넬에 결합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b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점검구커버의 일측이 전면판넬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0c 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다른 실시예에서 점검구커버가 전면판넬에서 분리된 모습을 보인 종단면도.
도 11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점검구커버가 전면판넬에서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실내기 130. 캐비넷
132. 설치브라켓 134. 절제부
136. 판넬브라켓 137. 체결구멍
140. 베이스 142. 에어가이드
150. 드레인팬 160. 실내열교환기
170. 실내팬 172. 팬모터
180. 오리피스 182. 오리피스공
190. 플라즈마필터 192. 필터브라켓
194. 집진필터 196. 컨트롤박스
200. 그릴승강수단 220. 승강키트
240. 와이어 400. 전면판넬
402. 흡입구 404. 흡입그릴
405. 공기유동공 406. 토출구
408. 고정돌기 408'.간섭부
420. 루버 422. 중심축
424. 루버모터 425. 회전축
426. 체결플랜지 428. 커넥터
440. 모터수용공간 442. 구획리브
444. 장착보스 445. 축삽입홀
446. 점검구 448. 판넬플랜지
448'. 판넬결합홀 448".결합구멍
450. 모터커버 460. 점검구커버
462. 걸림돌기 462'. 곡면
464. 고정부 465. 돌기안내홀
465'.단턱 467. 끼움돌기
469. 단차돌기 470. 돌기관통부
480. 낙하방지부재 482. 체결홀
484. 끼움홀 F . 설치부재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면판넬에 점검구를 천공 형성하여 실내기를 천장에 고정시에 점검구를 통해 설치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하여 저온의 냉매로 열교환한 후 이를 실내로 토출하는 반복작용에 의해 실내를 냉방시키거나 또는 반대작용에 의해 실내를 난방시키는 냉/난방 시스템으로서, 압축기-응축기-팽창밸브-증발기로 이루어져 일련의 사이클을 형성하는 기기이다.
이하에서는 일반적인 멀티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이하 '실내기'라 칭함)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삽입 고정되며 하면이 천장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1)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10)과, 상기 전면판넬(1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유 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20)과, 상기 실내기(1)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30)과, 상기 캐비넷(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가 천장 내부에 장착되도록 하는 베이스(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은 스크류 등에 의해 캐비넷(30)과 체결되며, 내부에는 상기 흡입그릴(20)이 장착되도록 천공된 토출구(12)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1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열교환 된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10)의 전후좌우에 동일한 형상으로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12)에는 토출구(12)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강제하는 루버(14)가 형성된다. 상기 루버(14)는 상기 토출구(12)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루버모터(미도시)와 연결되어 회동함으로써 공기 유동 방향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14)는 서로 근접하는 단부가 조인트(16)에 의해 연결되어 연동하도록 구성된다. 즉, 4개의 루버 사이에는 조인트(16)가 연결되어 동시에 작동하며, 상기 네 개의 조인트 중 어느 하나에는 루버모터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모터가 작동하여 회전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은 상기 조인트(16)에 전달되어 네 개의 루버(14)를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10)의 중앙부에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는 흡입그릴(20)이 장착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 내부로 흡입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20)의 중앙부에는 가로방향으로 길 게 절제되어 상하부가 관통되도록 흡입구(2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흡입그릴(20)의 상측에는 에어필터(50)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필터(50)는 상기 흡입구(22)를 통해서 내부로 흡입되는 실내 공기를 필터링하는 것으로,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상기 실내기(1) 내부의 이물 적재를 차단한다.
그리고 전술한 상기 전면판넬(1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60)이 안착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70)가 공기를 열교환시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는 것으로, 내부에 상방향으로 개구된 집수공간(62)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팬(60)은 흡입구(22)를 통해서 실내기(1)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중앙을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60)의 중앙에는 동그랗게 천공된 관통구(64)가 형성되며, 상기 관통구(64)를 통해 실내 공기는 드레인팬(60)의 상측으로 유동 가능하게 된다.
상기 관통구(64) 내부에는 오리피스(66)가 삽입된다. 상기 오리피스(66)는 드레인팬(60) 하측의 공기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팬(80)의 중앙부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원통 모양을 가지며, 하단부가 외측으로 펼쳐져 상단부보다 큰 직경을 가진다.
상기 집수공간(62)의 상측에는 실내열교환기(7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는 상기 에어필터(50)에 의해서 정화된 실내공기를 열교환하는 것으로, 상기 집수공간(62)과 대응되는 횡단면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열교환기(70)가 실내공기를 열교환시에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62)에 집수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70)의 외측에는 상기 실내기(1)의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는 상기 캐비넷(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30)은 대략 8각형의 종단면을 가지며 상단부는 상기 전면판넬(10) 상면에 결합되고, 하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할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된다.
즉, 상기 캐비넷(30)의 상단부에는 베이스지지대(42) 일측이 삽입 고정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삽입구(32)가 돌출 성형되어 베이스지지대(42)와 결합 가능하며, 하단부에는 상기 실내기(1)가 천장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플랜지(34)가 다수개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미도시) 등의 설치부재 양단부를 상기 체결플랜지(34)와 천장에 각각 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실내기(1)는 천장에 하중이 지지되어 낙하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8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8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82)와 연결되며, 상기 팬모터(8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가 회전하여 상기 실내기(1) 내부에 공기 유동이 강제되면,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실내 공기는 흡입되며, 상기 흡입구(22)를 통해 흡입된 실내공기는 상기 열교환기(70)에 의해서 열교환 된 후 상기 캐비넷(30)에 의해서 안내되어 토출구(12)로 토출가능하게 된다.
상기 팬모터(82)는 모터마운트(84)에 의해서 유동이 규제된다. 즉, 상기 모 터마운트(84) 내부에는 팬모터(82) 상부의 유동이 규제되도록 수용되며, 상기 모터마운트(84)는 전술한 베이스(40)의 저면 중앙부에 고정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팬모터(82)는 상기 실내기(1) 내부에서 유동이 규제된 상태로 빠른 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이스(40)와 캐비넷(30) 사이에는 베이스지지대(42)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지지대(42)는 팬모터(82)와 실내팬(80)의 하중이 상기 베이스(40)에 의해 지지될 때 하중으로 인한 베이스(40)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전면판넬(10)이 캐비넷(30)에 고정되기 위해서는 천장을 형성하는 석고보드 등이 분리된 상태여야 하며, 작업자가 스크류 등으로 전면판넬(10)과 캐비넷(30)을 체결하기 위해 상반신을 석고보드가 분리된 틈 사이로 밀어넣어야만 한다. 따라서 설치 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기가 완전히 설치된 이후에 전면판넬과 천장의 높이가 맞지않을 때에는 단차를 조정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석고보드를 뜯어냄으로써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서비스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면판넬에 점검구를 천공 형성하여 실내기를 천장에 고정시에 점검구를 통해 설치 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점검구의 하측에 선택적으로 탈거 가능한 점검구커 버를 구비함으로써 서비스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과 결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과; 상기 전면판넬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의 하면 일부를 차폐하는 점검구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점검구커버는 전면판넬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천공되어 상기 전면판넬의 상부가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점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커버는, 상기 점검구의 하측에 결합되어 점검구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커버는, 상기 전면판넬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커버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판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커버와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서로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커버의 하방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돌기 및 돌기관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수개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과 간섭되며, 상기 점검구커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고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기관통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측방향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섭부와 고정부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점검구커버의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전면판넬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점검구커버의 일단부가 전면판넬에 구속되도록 하는 단차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상기 단차돌기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돌기안내홀과, 상기 돌기안내홀으로 삽입된 단차돌기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점검구커버를 지지하는 단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캐비넷의 외면 일측에는, 천장에 상단부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캐비넷이 천장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이 캐비넷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넬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설치브라켓과 판넬브라켓은, 상기 점검구의 상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하면, 실내기의 설치 및 서비스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전면판넬이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내부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100)는 상부가 천장 내부에 위치하여 하면이 드러나도록 설치되며, 천장 상측에 상단부가 고정된 설치부재(F)의 하단부와 결합됨으로써 매달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실내기(100)는 하면 외관의 테두리부를 형성하는 전면판넬(400)과, 상기 전면판넬(400) 중앙부에 설치되어 실내 공기가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흡입그릴(404)과, 상기 실내기(100)의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130)과, 상기 캐비넷(130) 상면을 차폐함과 동시에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장착되는 다수개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는 베이스(도 3의 도면부호 140)에 의해서 전체적인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400)은 중앙부가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넬(400)의 중앙부에는 흡입구(402)가 구비된다. 상기 흡입구(402)는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내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상기 흡입구(402) 내부에는 실내기(100)로 유입되는 공기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필터링하는 흡입그릴(404)이 구비된다.
상기 흡입그릴(404)은 실내기(100) 내부로 이물이 포함된 공기가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흡입구(402)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흡입그릴(404)의 상면에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선택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에어필터 (미도시)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어필터는 유연성있는 재질로 성형되며 전면(全面)에는 미세구멍(미도시)이 천공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구(402)를 통해서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미세구멍을 통과하지 못하고 잔류되어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의 하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이물의 적재가 미연에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404)은 실내 공기가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상기 흡입그릴(404)의 전면(全面)에는 등간격으로 길게 공기유동공(405)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유동공(405)은 흡입그릴(404)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실내기(100) 내부 중앙의 공간이 실내와 연통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기(100)가 작동시에 실내 공기는 상기 공기유동공(405)을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400)의 전/후 좌/우에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 모양의 토출구(406)가 형성된다. 상기 토출구(406)는 흡입구(402)를 통해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가 다시 실내로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실내기(100)의 내부가 실내와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전면판넬(400)은 본 발명의 요부 구성으로서 구성 설명은 아래에서 상세히 하기로 한다.
상기 전면판넬(400)의 상측에는 드레인팬(150)이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 팬(150)은 아래에서 설명할 실내열교환기(160) 내부를 경유하는 냉매와 실내공기가 열교환시에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발생되는 응축수를 집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방에서 본 실내열교환기(160)의 외곽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에는 하방향으로 함몰되어 응축수가 집수되는 집수공간(미도시)이 형성되며, 상기 집수공간의 내부에는 실내열교환기(160)의 하단부가 수용 및 안착됨으로써 실내열교환기(160) 외면에 형성된 응축수는 하방향으로 흘러내려 상기 집수공간(미도시) 내부에 수용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드레인팬(150)은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하여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도 동시에 수행한다.
즉, 상기 드레인팬(150)의 중앙부에는 동그랗게 관통구(154)가 천공된다. 따라서, 실내 공기는 상기 흡입구(402)와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드레인팬(150)의 상면,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의 상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실내열교환기(160)가 설치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정화된 실내 공기를 열교환하기 위한 것으로, 내부에는 실내 공기와 열교환하는 냉매가 유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상방에서 볼 때 대략 "ㅁ" 형상으로 절곡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는 공기와의 열교환 면적이 넓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늘고 긴 관을 다수회 절곡한 형상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볼 때 사각형이다.
따라서, 상기 관통구(154)를 통해 상방향으로 유동한 실내 공기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유동 강제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하게 되며, 열교환 과정 중에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면에 발생된 응축수는 상기 집수공간(미도시)에 집수 된다.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외측에는 전술한 캐비넷(130)이 구비된다. 상기 캐비넷(130)은 다수개의 판이 서로 결합되어 상방에서 볼 때 8각형을 이루며, 상기 실내기(100)의 전후좌우면 외관을 형성함으로써 실내기(100) 내부를 차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는 전면판넬(400)의 상면 테두리부에 접촉한 상태로 결합되며, 상단부는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베이스(140)의 하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캐비넷(130)의 상/하단부에 상기 베이스(140)와 전면판넬(400)이 결합되면,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다수개 부품이 내장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캐비넷(130)의 전/후 및 좌/우측면에는 상기 설치부재(F)의 하단부와 결합되도록 설치브라켓(132)이 구비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32)은 판재를 절곡한 후 상단부 일측을 절제하여 형성한 것으로, 이렇게 형성된 절제부(134)에 설치부재(F)의 하단부가 결합되면, 전면판넬(400)을 제외한 나머지 부품들은 천장에 매달린 상태가 된다.
상기 설치브라켓(132)의 하측 즉, 상기 캐비넷(130)의 하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판넬브라켓(136)이 구비된다. 상기 판넬브라켓(136)은 대략 사각판 형상을 가지며 스크류 등의 체결부재가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멍(137)이 천공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구멍(137)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될 판넬플랜지(도 4의 도면부호 448)와 체결부재에 의해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브라켓(136)과 판넬플랜지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면, 상기 전면판넬(400)은 캐비넷(130)에 의해 하중이 지지된다.
상기 캐비넷(130)과 실내열교환기(160) 사이에는 에어가이드(142)가 구비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42)는 내부가 빈 사각관 형상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의 내부에서 외측으로 유동하면서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캐비넷(130)의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에어가이드(142)의 횡단면 크기는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보다는 크고 전면판넬(400) 보다는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캐비넷(130) 내부 중앙에는 실내팬(170)이 설치된다. 상기 실내팬(170)은 전원 인가시에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팬모터(172)와 연동하여 공기 유동을 강제하기 위한 구성으로,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내측에서 외측으로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팬모터(172)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아 빠른 속도로 회동하게 되면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관통구(154) 및 흡입구(402)에 전달 되어 실내 공기를 흡입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되어 상기 실내열교환기(160)를 관통함으로써 냉매에 의한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관통구(154) 내부에는 오리피스(180)가 구비된다. 상기 오리피스(180)는 드레인팬(150)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유동하는 공기가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증가하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하단부가 드레인팬(150)의 저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오리피스(180)의 내부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드레인팬(150) 하측의 공기가 드레인팬(150)을 관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오리피스공(182)이 형성된다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경은 실내팬(170)의 외경보다 조금 작게 형성되며, 상기 오리피스공(182)의 내부에 상기 실내팬(170)이 위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이 회동하여 하측으로 흡입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드레인팬(150)을 기준으로 하측의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을 따라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실내팬(170)의 중앙부로 유입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측에는 플라즈마필터(190)가 구비된다. 상기 플라즈마필터(190)는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것으로, 전/후단부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일측에 체결부재에 의해 결 합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플라즈마필터(190)의 상측에는 필터브라켓(192)이 구비된다.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플라즈마필터(190)가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구속력을 발생하여 상기 플라즈마필터(19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은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구속된 플라즈마필터(190)는 상기 필터브라켓(192)이 오리피스(180)에 결합됨에 따라 하방향으로 낙하되지 않고 필터브라켓(192)에 의해 하중이 지지되어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브라켓(192)과 플라즈마필터(190) 사이에는 집진필터(194)가 더 구비된다. 상기 집진필터(194)는 상기 에어필터(미도시)와 플라즈마필터(190)에 2차적인 필터링에도 불구하고 제거되지 않은 미세한 이물을 한번 더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필터브라켓(192)으로부터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에어필터와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를 거쳐 3단계로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실내기(100) 내부에 이물 적재를 발생시키지 않게 되며, 보다 더 쾌적한 실내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우측에는 컨트롤박스(196)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박스(196)는 실내기(1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내부에는 일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어 인쇄회로기판(198)이 내장됨이 일반적이다.
한편, 상기 오리피스(180)의 하면 좌/우에는 그릴승강수단(도 3의 도면 부호 200)이 구비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상기 흡입그릴(404)을 선택적으로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오리피스(180)와 전면판넬(400) 사이에 설치되며, 별도로 구비된 키트브라켓(미도시)에 의해 상기 오리피스(180)에 고정된다.
상기 그릴승강수단(200)은 크게 회전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흡입그릴(404)의 상/하방향 유동을 강제하는 다수개의 승강키트(220)와, 하단부가 상기 흡입그릴(404)에 결합되어 상기 승강키트(220)가 발생한 회전동력을 흡입그릴(404)로 전달하는 와이어(2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를 끌어당기게 되면 상기 흡입그릴(404)은 상방향으로 유동하여 상기 흡입구(402)를 차폐하게 되며, 상기 승강키트(220)가 와이어(240)의 길이를 늘어뜨리게 되면 상기 흡입구(40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판넬(4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구성인 전면판넬을 보인 상면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일구성인 루버모터와 루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7 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전면판넬과 점검구커버가 결합되는 일 실시예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다.
상기 토출구(406) 내부에는 토출구(406)를 통해서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을 강제하는 루버(420)가 장착된다. 상기 루버(420)는 토출구(406)의 형 상 및 크기와 대응되는 대략 사각판 모양을 가지며, 양단부를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루버(420)의 양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루버(42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중심축(도 6의 도면부호 422)이 형성되며, 상기 중심축(422)으로부터 이격된 좌측에는 루버모터(4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424)와 중심축(422) 사이에는 루버모터(424)의 회전축(425)이 중심축(422)에 연결되어질 수 있도록 커넥터(428)가 구비된다.
상기 커넥터(428)는 내부가 좌우측으로 개구되며, 개구된 좌/우측에는 상기 회전축(425)과 중심축(422)이 삽입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루버모터(424)가 회전 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회전동력은 상기 커넥터(428)를 통해 상기 중심축(422)으로 전달되어 상기 루버(420)는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 루버모터(424)의 외주면에는 체결플랜지(426)가 구비된다. 상기 체결플랜지(426)는 루버모터(424)가 전면판넬(400)의 상면 일측에 장착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한 쌍이 구비되며 체결부재에 의해 아래에서 설명할 장착보스(444)에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루버모터(4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루버(420)와 대응되는 수량으로 구비되며,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424)는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1개의 루버(420)에 1개의 루버모터(424)가 결합되며 상기 다수개 루버모터(424)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다수개 루버(420)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4개의 루버모터(424) 중에서 1개만 작동시켜 이와 축결합된 루버(420) 1개만 일정각도만큼 반복 회동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4개의 루버모터(424)를 모두 작동시켜 모든 루버(420)를 회동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이로써 상기 루버(420)의 상면과 토출구(406)를 통해서 토출되는 공기가 서로 접촉하게 되면, 상기 루버모터(424)의 회동에 의해 루버(420)와 토출 공기의 접촉각이 시시각각 변하게 되어 상기 루버(420)는 토출 공기가 여러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강제하게 된다.
상기 전면판넬(400)의 상면 좌/우측 모서리부에는 모터수용공간(도 5의 도면부호 440)이 구비된다.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상기 루버모터(424)가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곳으로,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구획리브(442)에 의해 전면판넬(400)의 상부 공간으로부터 구획된다.
즉,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은 상기 구획리브(442)는 전면판넬(400)의 상면 좌/우측 모서리에서 상방향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고 직립되게 돌출되며, 상기 구획리브(442)의 일측에는 구획리브(442)와 직교하도록 돌출된 장착보스(444)가 구비된다.
상기 장착보스(444)는 상기 체결플랜지(426)가 면접촉한 상태로 체결되도록 하는 것으로,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원통 형상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장착보스(444)에 체결플랜지(426)가 체결되면 상기 루버모터(424)는 모터수용공간(440) 내부에 위치하여 유동이 제한된다.
상기 한 쌍의 장착보스(444) 사이에는 상기 회전축(425)의 삽입 위치를 안내 하는 축삽입홀(445)이 구비된다. 상기 축삽입홀(445)은 구획리브(442)에 천공 형성되어 상기 회전축(425)이 회동 가능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425)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축삽입홀(445)의 직경은 상기 커넥터(428)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축(425)이 커넥터(428)와 결합된 상태로 상기 축삽입홀(445) 내부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커텍터(428)의 우측단부는 상기 루버(420)의 중심축(422)과 결합되어 상기 루버모터(424)가 발생한 회전 동력은 상기 루버(420)로 전달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전면판넬(400)을 삼각형 모양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점검구(446)가 구비된다. 상기 점검구(446)는 상기 실내기(100)를 점검하기 위해 캐비넷(130)으로부터 전면판넬(400)을 분리하고자 할 때 드라이버 등의 연장이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판넬브라켓(136)의 하측에 위치한다.
상기 점검구(446)의 내부 벽면의 일측에는 판넬플랜지(448)가 구비된다. 상기 판넬플랜지(448)는 대략 직사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점검구(446)의 내부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400)이 캐비넷(130)에 결합되어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판넬플랜지(448)의 대략 중앙부에는 타원형상으로 천공된 판넬결합홀(44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판넬결합홀(448')과 체결구멍(137)이 체결부재로 체결되면 상기 전면판넬(400)은 캐비넷(1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 다.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의 상측에는 모터커버(450)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커버(450)는 모터수용공간(440)의 개구된 상부를 차폐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을 상부에서 내려다본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커버(450)를 관통한 체결부재의 단부를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의 바닥면 일측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모터커버(450)는 고정된다.
상기 모터커버(450)의 상면에는 모터도피홈(452)이 형성된다. 상기 모터도피홈은 루버모터(424)의 상부를 내부에 수용하여 루버모터(424)와 모터커버(450)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루버모터(424)의 상부 외관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모터커버(450)의 하면에서 상방향으로 함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수용공간(440)의 개구된 상면이 모터커버(450)에 의해 차폐되었을 때, 상기 루버모터(424)의 직경이 구획리브(442)의 높이보다 구조적으로 크다 하더라도 상기 루버모터(424)의 상부는 모터도피홈(452)에 수용됨으로써 간섭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점검구(446)와 모터수용공간(440)의 하측에는 점검구커버(460)가 구비된다.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대략 삼각형 모양을 가지며, 상기 전면판넬(400)의 모서리부에 결합되어 실내기(100)의 외관 일부를 형성함은 물론, 개구된 점검구(446)를 차폐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전면판넬(400)의 하면 모서리에서 슬라이딩하여 전면판넬(400)에서 선택적으로 분리되며, 상기 루버모터(424)의 수리가 용이 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즉, 상기 전면판넬(400)에서 점검구커버(460)가 분리되면 상기 점검구(446)는 실내기(100) 내부와 실내 공간을 연통시키게 되므로, 상기 전면판넬(400) 전체를 분리하지 않아도 상기 설치부재(F)의 체결 상태를 확인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상면에는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의 하면 모서리에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걸림돌기(46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462)는 도 5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대략 "ㄱ" 형상의 종단면을 가지며 하단부는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걸림돌기(462)의 높이는 전면판넬(400)의 두께와 대응되게 형성된다(도 9a 참조). 이것은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의 하면에 근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시에 상기 걸림돌기(462)의 상부 하면이 전면판넬(400)의 상면과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하중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걸림돌기(462)의 상부 하면이 전면판넬(400)의 상면과 접촉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넬(400)의 모서리부에는 돌기관통부(470)가 천공 형성된다. 상기 돌기관통부(470)는 전면판넬(400)의 상/하 방향으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천공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462)와 대응되는 위치에서 걸림돌기(462)의 상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전면판넬(400)의 하면에서 근접시키게 되면 네 개의 걸림돌기(462) 중에서 우측(도 5 참조) 세 개의 걸림돌기(462)는 상기 돌 기관통부(470)를 관통하여 삽입된다.
상기 다수개 걸림돌기(462) 중에서 어느 하나의 일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 5에서 볼 때 가장 좌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62)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된 고정부(464)가 구비된다. 상기 고정부(464)는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슬라이딩을 규제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할 간섭부(408')와 간섭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점검구(446)의 내부 벽면 일측에는 점검구(446)의 내부로 연장되어 돌출된 고정돌기(408)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기(408)의 상면 단부에는 상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간섭부(408')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64)는 걸림돌기(462)의 하면에서 하방향으로 라운드지게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간섭부(408')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관통부(470) 내부에 걸림돌기(46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좌측(도 8a 참조)으로 슬라이딩하게 되면, 간섭부(408')와 고정부(464)는 서로 접촉하게 되어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우측방향 슬라이딩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8을 참조하여 상기 점검구커버(460)와 전면판넬(400)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 실내기에서 요부를 구성하는 전면판넬(400)과 점검구커버(460)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구성을 보인 상면 사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상면 전/후반부에는 걸림돌기(462)가 구비된다. 상기 걸림돌기(462)는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에 결합될 때 탄성 복원력을 발생하여 걸림 결합되는 것으 로, 상기 걸림돌기(462)의 일면 상부는 라운드지게 전방으로 돌출되어 곡면(46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400)에는 걸림돌기(462)의 단면크기보다 조금 큰 사각형상으로 천공된 돌기관통부(470)가 구비된다. 상기 돌기관통부(470)는 걸림돌기(462)와 대응되는 위치에 천공 형성된 것으로, 상기 걸림돌기(462)의 곡면(462')과 간섭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에 근접하게 되면 상기 걸림돌기(462)는 곡면(462')과 돌기관통부(470) 내면의 간섭에 의해 휘어지면서 탄성력이 발생되며, 상기 점검구커버(460)와 전면판넬(400)이 완전히 결합되면 상기 걸림돌기(462)는 돌기관통부(470)의 간섭으로부터 해지되어 원상태로 복원됨으로써 걸림 결합된다.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우측단에는 상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단차돌기(469)가 구비된다. 상기 단차돌기(469)는 점검구커버(460)의 우측단이 전면판넬(400)의 모서리부 일측에 의해 구속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한 것으로 우측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전면판넬(400)의 우측단에는 상/하로 천공되어 상기 단차돌기(469)가 삽입 위치를 안내하는 돌기안내홀(465)이 구비된다. 상기 돌기안내홀(465)은 단차돌기(469)가 하측에서 상방향으로 삽입될 때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단차돌기(469)보다 크게 천공되며, 대략 사다리꼴 형성을 가진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경사지게(도 10b 참조) 하여 상기 단차돌 기(469)를 돌기안내홀(465)에 삽입하게 되더라도 상기 단차돌기(469)는 돌기안내홀(465)과 간섭되지 않게 된다.
상기 돌기안내홀(465)의 우측단에는 단턱(465')이 형성된다. 상기 단턱(465')은 전면판넬(400)의 모서리부에서 돌기안내홀(465)이 천공되고 남은 우측 부분으로, 상기 단차돌기(469)의 하면을 상방향으로 지지함으로써 상기 단차돌기(469)의 우측단을 구속하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에서 분리되었을 때, 점검구커버(460)의 낙하를 제한하는 낙하방지부재(48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부재(480)는 양단부가 상기 점검구커버(460)와 전면판넬(400)의 일측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매달리도록 하는 것으로, 유연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며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띠처럼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방지부재(4870)의 상단부에는 상기 전면판넬(400)과 체결부재로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482)이 천공 형성되며, 하부에는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구속하기 위한 끼움홀(484)이 천공 형성된다.
즉, 상기 체결홀(482)은 판넬플랜지(448)에 천공 형성된 결합구멍(448")과 체결되며, 상기 끼움홀(484)은 전면판넬(400)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된 끼움돌기(467)가 끼워져 결합된다.
상기 끼움돌기(467)는 상부가 사다리꼴 모양의 횡단면을 가지며, 하부보다 큰 단면적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끼움돌기(467)의 하부 외경은 상기 끼움홀(484)의 내경과 대응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467)가 끼움홀(484)에 강제로 끼워지면 상기 끼움돌기(467)의 상부는 끼움홀(484)의 외측을 간섭하게 되어 상기 낙하방지부재(480)로부터 점검구커버(460)가 분리되지 않도록 구속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기조화기 실내기(100)의 작용을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상기 실내기(100)에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팬모터(172)는 전원을 인가받아 회전력을 발생하며, 상기 팬모터(172)가 발생한 회전력은 상기 실내팬(170)을 회전시킴으로써 공기의 유동을 발생시키게 된다.
즉,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 중앙부로는 상방향의 흡입력을 발생하며, 외주면 방향으로는 풍력을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실내팬(170)의 하측에 발생된 흡입력은 상기 흡입그릴(404)에 전달되어 실내 공기는 실내기(100) 내부로 유입 강제된다. 상기 실내기(100) 내부로 흡입된 실내 공기는 흡입구(402)를 관통한 후에 에어필터(미도시)에 의해 필터링된다.
이후 상기 에어필터에 의해 필터링된 공기는 플라즈마필터(190) 및 집진필터(194)에 의해 재차 필터링되며, 이렇게 정화된 실내 공기는 상기 오리피스공(182)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실내팬(170) 내부 중앙으로 유입된다. 상기 실내팬(17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외주면 방향으로 송풍 강제되며, 상기 실내열교환기(160)와 열교환되어 냉각된다.
이러한 과정으로 냉각된 실내 공기는 상기 에어가이드(142)와 베이스(14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토출구(406)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물론 상기 루버(420)는 일정각도만큼 반복적으로 회동하여 토출 공기를 간섭함으로써 실내의 구석진 곳까지 토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이때, 상기 루버(420)는 이에 대응하는 루버모터(424)의 선택적인 작동에 의하 독립적으로 작동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점검구(446)를 개방하기 위해 상기 전면판넬(400)에서 점검구커버(460)를 분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9a 내지 도 9c 및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전면판넬(400)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 결합 및 분해되므로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우측으로 밀어 전면판넬(400)과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에 도 9a와 같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우측으로 밀게 되면, 상기 고정부(464)와 간섭부(408')는 서로 간섭되어 걸림돌기(462)의 상면을 상방향으로 들어올리면서 탄성복원력을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464)가 간섭부(408')의 우측에 위치하게 되면 고정부(464)와 간섭부(408')의 간섭은 해지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우측의 걸림돌기(462)는 상기 돌기관통부(470)의 상측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전면판넬(400)로부터 분리된다.(도 9b 및 도 9c 참조)
상기 점검구커버(460)가 전면판넬(400)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점검구(446)는 도 11과 같이 전면판넬(400)의 하측으로 개구되며, 상기 점검구(446)의 내부에 위치한 판낼플랜지(448)과 상기 점검구(446)의 상측에 위치한 설치브라켓(132)은 상기 점검구(446)를 통해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446)를 통해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삽입하여 상기 체결부재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전면판넬(400)과 캐비넷(130)의 분리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점검구(446)를 통해 상기 설치부재(F)의 길이를 조정함으로써 상기 전면판넬(400)과 천장(도 11의 도면부호 H)의 높이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 점검구커버(460)와 전면판넬(400)이 다른 실시예로 적용된 경우, 이를 분리하는 과정을 첨부된 도 10a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전면판넬(400)에 걸림돌기(462)와 단차돌기(469)가 구속되어 결합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좌측이 하방향으로 당겨짐으로써 전면판넬(4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즉,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우측을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단차돌기(469)는 단턱(465')에 의해 하방향 유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단차돌기(469) 또는 단턱(465')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상기 점검구커버(460)의 좌측부위를 하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도 10b와 같이 단차돌기(469)가 단턱(465')에 걸려진 상태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듯이 전면판넬(400)과 이격된다.
이때, 상기 끼움돌기(467)는 낙하방지부재(480)의 하부에 끼워져 있고, 상기 체결홀(482)은 결합구멍(448")에 체결부재로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상기 점검구커버(460)를 좌측 하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상기 단차돌기(469)는 돌기안내홀(465)을 따라 안내되어 상기 단턱(465')과의 간섭이 해지됨으로써 상기 점검구커버(460)는 전면판넬(400)에서 완전히 분리된다.
그리고 상기한 과정으로 전면판넬(400)에서 분리된 점검구커버(460)는 낙하방지부재(480)에 의해 낙하가 제한되어 도 10a와 같이 매달린 상태가 되며, 상기 점검구(446)는 개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여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서는, 전면판넬에 점검구를 천공 형성하여 실내기를 천장에 고정시에 점검구를 통해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내기의 설치 작업과 캐비넷과 전면판넬의 결합 작업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점검구의 하측에 슬라이딩 또는 인출되어 전면판넬에서 분리됨으로써 상기 점검구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하는 점검구커버를 더 구성하였다.
따라서, 실내기로부터 전면판넬 전부를 분리하지 않고 점검구커버만 분리함 으로써 서비스 시간이 현저히 단축되므로 고객 만족도 향상도 기대된다.

Claims (13)

  1. 흡입구와 토출구가 형성되어 실내 공기의 흡/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전면판넬과 결합되어 상부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다수개의 부품이 내장되는 캐비넷과;
    상기 전면판넬의 하면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의 하면 일부를 차폐하는 점검구커버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점검구커버는 전면판넬에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상/하방향으로 천공되어 상기 전면판넬의 상부가 하부와 연통되도록 하는 점검구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커버는,
    상기 점검구의 하측에 결합되어 점검구를 차폐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커버는,
    상기 전면판넬에 슬라이딩되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 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커버는,
    일단부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기 전면판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커버와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서로 걸림 결합되어 상기 점검구커버의 하방향 유동이 제한되도록 하는 걸림돌기 및 돌기관통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 걸림돌기 중 어느 하나의 일측에는,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과 간섭되며, 상기 점검구커버의 슬라이딩을 규제하는 고정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관통부의 일측에는,
    상기 고정부의 측방향 유동을 간섭하는 간섭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간섭부와 고정부는 대향되는 방향으로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구커버의 일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단차지게 돌출되어 상기 전면판넬 일측에 삽입되며, 상기 점검구커버의 일단부가 전면판넬에 구속되도록 하는 단차돌기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에는,
    상기 단차돌기가 삽입되도록 천공된 돌기안내홀과,
    상기 돌기안내홀으로 삽입된 단차돌기의 일면과 접촉하여 상기 점검구커버를 지지하는 단턱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넷의 외면 일측에는,
    천장에 상단부가 고정된 고정부재와 결합되어 상기 캐비넷이 천장에 대하여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는 설치브라켓과,
    상기 전면판넬의 일측과 결합되어 상기 전면판넬이 캐비넷에 고정되도록 하는 판넬브라켓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브라켓과 판넬브라켓은,
    상기 점검구의 상측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060124817A 2006-12-08 2006-12-08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80052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17A KR20080052972A (ko) 2006-12-08 2006-12-08 공기조화기 실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817A KR20080052972A (ko) 2006-12-08 2006-12-08 공기조화기 실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72A true KR20080052972A (ko) 2008-06-12

Family

ID=398074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817A KR20080052972A (ko) 2006-12-08 2006-12-08 공기조화기 실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29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7793A1 (en) * 2015-12-31 2017-07-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20180089786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87793A1 (en) * 2015-12-31 2017-07-05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CN106969411A (zh) * 2015-12-31 2017-07-21 Lg电子株式会社 空调机
US10677475B2 (en) 2015-12-31 2020-06-09 Lg Electronics Inc. Air conditioner
KR20180089786A (ko) 2017-02-01 2018-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천장형 공기조화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18657B1 (en) Air conditioner
EP1943467B1 (en) Dehumidifier
KR20080110109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90067349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52973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1611327B1 (ko)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KR2008005297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80045000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60845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2008007563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1158602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흡입패널 지지구조
KR20070005176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60083016A (ko) 공기조화기
KR100902154B1 (ko) 폐열회수형 환기장치
KR20090043361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환기 유로구조
KR101137160B1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드레인팬
KR20080056936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80043632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CN215909231U (zh) 新风部件和具有其的空调器
JP3364048B2 (ja) 壁掛式空気調和機
KR20070053834A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44342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의 루버모터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