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2926A -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2926A
KR20080052926A KR1020060124709A KR20060124709A KR20080052926A KR 20080052926 A KR20080052926 A KR 20080052926A KR 1020060124709 A KR1020060124709 A KR 1020060124709A KR 20060124709 A KR20060124709 A KR 20060124709A KR 20080052926 A KR20080052926 A KR 200800529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multimedia
multimedia broadcasting
antenna
mode
recep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24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24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52926A/ko
Publication of KR200800529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9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6Internal components of the client ; Characteristic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20Monitoring; Testing of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ultimedia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안테나가 인출될 경우 상기 안테나의 인출을 감지하여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일정 레벨 이상 되는 경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메뉴선택을 다수 번 실행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함으로써 단말기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MB,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안테나 인출, 방송수신모드

Description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Apparatus for receiving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ng mode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설정 메뉴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제어부 110: 안테나
111: 안테나 인출 감지부 120: DMB신호처리모듈
130: 신호레벨 비교부 140: 저장부
150: 출력부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변조하여 전송하는 것으로, CD(Compact Disk)수준의 음질을 갖는 오디오 및 비디오 서비스와 다양한 부가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한 디지털 방식의 멀티미디어 방송이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은 고정된 수신기에 방송신호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이동중에도 개인휴대단말기나 차량용 단말기를 통해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차세대 방송서비스로서 '손안의 TV'라고도 불린다.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들은 안테나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게 되며,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는 단말기가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전파상태 및 안테나의 방향 등에 따라서 수신감도가 차이가 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수신 위치에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 수신감도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지 않은 경우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없게 된다.
한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 이외에도 다른 여러 가지의 부가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사용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서비스 이외에도 제공되는 여러 가지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경우 사용자가 주로 이용하고자 하는 기능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에 있다.
한편,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종래 기술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전원을 인가하여 초기 구동시킨 후, 메뉴 키를 눌러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를 선택하고, 모드 진입 후 안테나를 인출하여 수신이 양호하게 되는지를 확인한다. 상기 확인 결과 수신이 잘 되지 않으면 안테나를 인입시킨 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포기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전원을 오프시키거나, 사용자가 원하는 다른 모드로 진입하기 위한 절차를 밟아야 하는 등의 중복적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에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거나 해당 서비스를 제공할 수 없는 경우를 불문하고 사용자가 그 상태를 확인하기 위한 기본적인 절차를 손수 수행해야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접 여러 번의 메뉴 조작을 해야 하는 불편이 초래되고, 동시에 메뉴 조작을 위한 시간을 낭비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을 위해 안테나가 인출될 경우 상기 안테나의 인출을 감지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를 자동으로 실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단말기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키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안테나가 인출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진입한 후, 자동으로 방송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수신감도 상태에 따라 소정의 동작모드로 자동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 감지부와, 수신된 방송신호 레벨이 소정의 기준 신호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비교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 값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감도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레벨 비교부 및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와 상기 신호레벨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은, 안테나의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스탠바이(Stand-by) 모드로 진입하고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불가 상태를 통보하고 소정의 지정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정의 지정된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는 소정주기로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위한 수신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안테나를 인출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사용의 편의를 제공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안테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 감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00), 안테나(110),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 DMB신호처리모듈(120), 신호레벨 비교부(130), 저장부(140) 및 출력부(150)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안테나는(110)는 휴대시의 편리함을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인입되고,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한 경우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인입 및 인출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안테나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최적 상태로 수신하기 위한 방향으로 안테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기능 및 이동통신이 가능한 복합단말기의 경우 구비되는 상기 안테나(110)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이동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200)와는 별도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을 위한 안테나(110)가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는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110)의 인출 또는 인입되는 상태를 검출하여 검출된 정보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을 위한 안테나(110)의 소정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의 일 실시 예로써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안테나 고정체의 소정 부분(111a)과 이동체의 소정 부위(111b)가 접촉 또는 이격되는 지의 여부에 따라 안테나의 인출 또는 인입 여부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MB 신호처리 모듈(120)은 상기 안테나(1110)를 통하여 수신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데이터를 신호처리하여 출력부(150)로 출력한다.
상기 저장부(14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할 수 있을 정도로 수신되는 신호의 수신감도가 양호한 지를 판단하기 위한 신호 레벨 기준 값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신호레벨 비교부(130)는 상기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의 신호레벨과 상기 저장부(140)에 저장된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함으로써,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수신감도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재생하기에 적합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
상기 출력부(150)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영상표시부와 음성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와 같은 음성출력부를 구비하여 상기 DMB 신호처리 모듈(120)에서 처리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시각적,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 및 상기 신호레벨 비교부(130)의 출력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부(10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안테나가 인출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가능한 상태인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자동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드로 전환하도록 하며, 안테나가 인입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사용자가 필요한 동작모드로 전환될 수 있도록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상세한 동작 및 그를 이용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흐름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설정메뉴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모드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의 일 실시 예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를 구동하기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전원이 인가되면(S410), 제어부(100)는 시스템을 초기화함과 동시에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신호 레벨 기준 값 데이터를 신호레벨 비교부(130)에 로드되도록 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모드로의 진입을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안테나(110)가 인입되어 있는지 또는 인출되어 있는 지를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의 출력을 체크하여 판단한다(S420).
상기 판단 결과(S420), 안테나(110)가 인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에서 제공하는 다른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판단하여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동작모드 선택정보가 포함된 메뉴화면과 같은 모드 선택정보를 출력한다(S490).
상기 모드 선택정보 출력에 따라(S490)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모드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해당 동작모드로 진입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특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S495).
한편, 상기 판단 결과(S420), 안테나(110)가 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수신하기 위한 것으로 판단하여 우선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한다(S430).
상기와 같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가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게 되면, DMB 신호처리 모듈(120)은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에 대한 수신감도 레벨을 체크하여 신호레벨 비교부(130)로 출력한다(S440).
상세하게는,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무선신호 중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는 DMB 신호처리 모듈(120)로 입력되고, DMB 신호처리 모듈(120)에서는 상기 입력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로부터 현재 위치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 레벨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신호레벨 비교부(130)로 출력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신호레벨 비교부(130)는 현재 위치에서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가 되는 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DMB 신호처리 모듈(120)로부터 입력되는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레벨과 시스템 초기화시 로드된 소정의 기준 값 데이터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S450).
상기 비교 결과(S450),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레벨이 기준 값을 넘어서지 못하는 경우, 제어부(100)는 수신된 신호에 의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할 수 없는 상태로 판단하여 출력부(150)에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불가한 상태임을 사용자에게 출력하도록 한다(S460).
이어서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방송 수신 불가 내용이 출력되도록 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 우선 실행 모드(Priority mode)를 지정해 놓은 경우에는 지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한다(S465).
상기 과정에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자동으로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이 불가한 경우에 이를 사용자에게 알 려줌으로써, 방송이 불가한 경우에도 사용자가 손수 메뉴 조작을 통하여 방송 수신 가능 여부를 확인한 후 원하는 동작모드를 새로이 선택하기 위하여 다시 메뉴 항목을 조작해야 하는 단말기 조작의 번거로움을 제거해줄 수 있다.
한편, 상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지정된 동작 모드로 진입함에 따라 해당 모드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는 가운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방송신호의 수신감도가 양호해 지는 경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부(100)는 신호레벨 비교부(130)의 출력을 이용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정도로 수신감도가 기준 값을 넘어서는 지를 소정 시간간격으로 계속 판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S440).
한편, 상기 비교 결과(S450),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레벨이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에게 서비스하기 위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S470).
사용자가 현재 수행하는 작업을 계속하기를 원하는 경우라면, 상기와 같이 방송신호의 수신감도 레벨이 기준 값을 넘어서는 경우라도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곧 바로 진입하는 것이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사용에 방해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방송신호의 수신감도가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고, 메시지에 대응하여 사용자가 방송 수신 모드로의 변경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도록 한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단계(S470)에 따라 DMB 신호처리 모듈(120)은 안테나(110)를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를 신호처리하여 출력부(150)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부(150)는 구비된 표시장치 및 음성출력부를 통하여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서비스한다.
상기 단계(S470)에 따라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을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서비스하는 도중에도 안테나 인출 감지부(111)는 인출된 안테나가 인입되는 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제어부(100)로 출력한다(S475).
상기 체크 결과(S475), 안테나가 인입되었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00)는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프로그램 시청을 중지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를 종료시킨다(S480).
상기와 같이 제어부(100)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재생 모드를 종료시킴과 아울러,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메뉴화면을 출력부(150)를 통하여 디스플레이한다(S490).
상기 메뉴화면의 출력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메뉴 항목을 선택하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는 선택된 동작 모드로 진입하여(S495), 해당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며 사용자가 전원을 오프시키는 경우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동작을 종료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는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 여부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진입을 위 하여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를 자동으로 체크하고, 수신감도에 따라 방송 수신 모드 또는 사용자가 설정해 놓은 소정의 동작 모드로의 진입을 자동으로 수행함으로써 사용자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사용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수신감도가 소정의 기준값을 만족하지 못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진입이 의미없게 되는 경우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가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사용자 설정 메뉴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를 위한 사용자 설정 메뉴 구성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동작 모드를 지정할 수 있도록 한 사용자 설정 메뉴(DMB Setting)의 일 예를 설명하면, 우선진입모드(DMB Priority), 탐색시간(Searching Time) 및 수신품질(Quality) 등의 상위 메뉴 항목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우선진입모드(DMB Priority) 항목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우선 진입 여부를 지정하기 위한 것으로, 사용자가 ON을 선택해 놓은 경우 안테나가 인출된 상태에서는 설정된 탐색시간(Searching Time)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의 감도를 체크하여 설정한 품질 수준을 만족하면 다른 모드에서 작업 중이더라도 사용자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 탐색시간(Searching Time) 항목은 상기 우선진입모드(DMB Priority) 항목이 ON으로 선택되어 있고 다른 모드의 동작을 수행중인 경우에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드로의 진입 가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몇 초마다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체크할 것인지에 관한 시간 간격을 지정한다. 도 5에서는 탐색시간은 30초, 1분 또는 5분 간격으로 구성하였지만 필요에 따라 다른 시간 간격으로 변경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수신품질(Quality) 항목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신호의 수신감도에 대한 소정의 기준 값을 설정하기 위한 것으로, 방송신호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 값 이상이 되는 경우에 한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모드로의 진입 절차를 수행하게 된다. 도 5에 나타난 수신품질(Quality) 항목의 경우 High, Medium 및 Low의 3단계에서 선택하도록 하였지만, High 및 Low의 2단계의 수신품질로 메뉴항목을 구성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 설정 메뉴가 제공됨에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설정 메뉴에서 제공하는 각각의 메뉴 항목 값을 적절하게 설정함으로써 일정 기준 품질 이상의 방송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거나, 방송신호의 수신 상태가 불량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을 시청하지 못하고 다른 작업을 수행중인 상태에서 방송수신 감도가 소정 레벨 이상이 되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시청이 가능한 상태에 이르는 경우 해당 상태에 대한 정보를 통지받거나 자동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모드로 진입하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 자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동작모드 제어 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많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기초를 벗어나지 않고 변경 및 수정을 하더라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이며, 그러한 사실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을 위한 모드로의 진입을 위해 안테나를 인출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감도를 자동으로 체크하여 수신감도가 일정 레벨 이상이 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가능 상태인 경우 자동으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전환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메뉴선택을 다수 번 실행해야 하는 불편을 제거하여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사용상의 편의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의 인입 또는 인출 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안테나 인출 감지부와;
    수신된 방송신호 레벨이 소정의 기준 신호레벨에 해당하는 지를 비교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 값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와;
    상기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감도와 소정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그 결과를 출력하는 신호레벨 비교부; 및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부와 상기 신호레벨 비교부의 출력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단말기의 동작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되는 방송신호의 감도와 비교하기 위한 소정의 기준 값은, 사용자 설정 메뉴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3. 안테나의 인출을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안테나 인출 감지에 따라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스탠바이 모드로 진입하고 방송신호 수신감도를 체크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감도가 설정된 기준치 이하인 경우 사용자에게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시청 불가 상태를 통보하고 소정의 지정된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지정된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는 소정주기로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지정된 모드로 진입한 이후에는,
    소정주기로 방송신호의 수신감도를 체크하여 기준치 이상이 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진입 여부를 묻는 메시지를 출력하는 단계;
    상기 메시지 출력에 따라 사용자가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의 진입을 선택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6. 제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모드로 진입하는 단계 이후에는,
    안테나가 인입되는 지를 감지하는 단계; 및
    안테나가 인입되는 경우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선택 메뉴를 출력하는 단계;가 더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1020060124709A 2006-12-08 2006-12-0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KR200800529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09A KR20080052926A (ko) 2006-12-08 2006-12-0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4709A KR20080052926A (ko) 2006-12-08 2006-12-0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926A true KR20080052926A (ko) 2008-06-12

Family

ID=39807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4709A KR20080052926A (ko) 2006-12-08 2006-12-08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529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2B1 (ko) * 2006-12-27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272B1 (ko) * 2006-12-27 2013-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5772B1 (ko) 방송수신 단말기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100630825B1 (ko) 다이버시티 안테나를 구비하는 차량용 텔레비전의 방송채널자동 변경 장치 및 방법
KR101174659B1 (ko) 방송수신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방송정보 서비스 방법
JP2007043701A (ja) 携帯通信端末機のリモコン装置及びその機能遂行方法
EP2191470B1 (en) Method for connecting an external apparatus and multimedia replay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190415B2 (en) Digital broadcasting receiver
US827533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radio channel
JP2006295748A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
KR20080052926A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수신 단말기 및 디지털 멀티미디어방송 수신 단말기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JP2005101991A (ja) 携帯型視聴装置
US20050032544A1 (en) Multi-purpose hybrid terminal and method for preparing fast implementation of functions
US20040133921A1 (en) RF output channel setting device
JP4609629B2 (ja) 外部機器制御装置および外部機器制御方法
JP2004336330A (ja) 携帯端末装置
JP4817869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7142887A (ja) 受信装置
KR20070068843A (ko)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60114134A (ko) Dmb 수신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88597B1 (ko) 텔레비젼에서의 오디오 모드 제어 방법
KR100835798B1 (ko) 타 채널 동시녹화 기능을 가지는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단말기 및 그 방법
JP4142555B2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20080014397A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JP5033073B2 (ja) 放送受信装置
JP2008098900A (ja) 受信装置と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252719B1 (ko) 텔레비전의 전문정보채널 출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