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8843A -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8843A
KR20070068843A KR1020050130887A KR20050130887A KR20070068843A KR 20070068843 A KR20070068843 A KR 20070068843A KR 1020050130887 A KR1020050130887 A KR 1020050130887A KR 20050130887 A KR20050130887 A KR 20050130887A KR 20070068843 A KR20070068843 A KR 20070068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ze
remaining
display
battery
charge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30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130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68843A/ko
Publication of KR20070068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8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H04W52/026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 H04W52/027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by controlling user interface components by controlling a display operation or backlight un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3OS processes, e.g. booting an STB, implementing a Java virtual machine in an STB or power management in an STB
    • H04N21/4436Power management, e.g. shutting down unused components of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1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 H04H2201/11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broadcast system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변환시키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을 단계별로 정의함과 아울러 그 충전레벨 잔량과 대응되는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도 단계별로 정의하여 저장시킨다. 그리고 기기 구동에 따라 배터리가 소모되면서 상기 정의해 놓은 충전레벨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그와 대응되는 비율로 축소 조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한정적인 충전용량을 갖는 배터리의 소모량을 최소화시킬 수가 있게 되어서 방송 시청시간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배터리, 충전 잔량,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

Description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Aapparatus for controlling a size of display according to battery charging level in DMB terminal and the controll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일반적인 DMB용 PDA를 보인 구성도.
도 2는 도 1에 따라 DMB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실시 예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도 3에서 배터리 충전레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설정한 데이터 테이블.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휴대단말기가 오프상태에서 온 구동시에 디스플레이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어레이. 10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02 : DMB IC부. 104 : 제어부.
106 : 인터페이스부. 108 : 디스플레이드라이버.
109 : 메모리. 110 : 디스플레이부.
112 : 배터리드라이버. 114 : 배터리 충전잔량 알림부.
116 : 충전용 배터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제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휴대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은, 비디오, 오디오, 및 데이터 신호를 위성을 통해 전송하는 위성 DMB방송과, 방송국이 지상중계기를 통해 신호를 전송하는 지상파DMB방송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위성DMB방송 또는 지상파DMB방송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고화질의 방송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DMB 전용 휴대단말기(이하, 'DMB용 PDA'라 함)가 있어야 한다.
도 1은 그러한 DMB용 PDA를 보인 일반적인 구성도이다.
DMB용 PDA는, DMB방송을 수신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는 DMB IC부 (5)와, 상기 DMB IC부(5)로부터 제공받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R/G/B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인터페이스부(8)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0)에 전송하는 제어부(CPU:Bulverde)(7)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0)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9)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드라이버(9)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화면의 크기모드정보 및 상기 음성/영상데이터가 디스플레이부(10)에 실제 표시되도록 하는 오버레이(Overlay) 기능정보를 갖는다.
그리고, DMB용 PDA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자 환경을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3)와, 방송청취 및 각종 기능설정 등을 위한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어레이(1)가 구성된다.
그와 같이 구성되는 DMB용 PDA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3)의 환경설정에 따라서 사용자가 키어레이(1) 조작을 통해 방송 시청 등을 위한 명령을 입력한다. 그러면 DMB IC부(5)는 위성 또는 방송국을 통해 송신되는 DMB방송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DMB방송신호는 제어부(7)의 제어동작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된다. 이때 DMB IC부(5)는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화면 크기와 실제 DMB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도록 오버레이기능을 활성화시킨다. 즉, 오버레이기능의 활성화에 의해 DMB 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며, 상기 표시되는 화면 크기는 사용자가 키어레이(1) 조작에 의해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DMB방송신호가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되는 형태는 도 2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즉, 기본 바탕화면이 아닌 다른 층에 표시하고자 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정보를 기본 바탕화면에 덮어씌여 표시하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화면 크기는 사용자 인터페이스환경 지원에 따라 노멀모드(Normal Mode)와 랜드스케이프모드(Landscape Mode)의 디스플레이모드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모드에서는 사용자는 통상 기본 기능을 이용할 때는 노멀모드에서 작업을 하고, DMB방송을 시청할 때는 좀 더 큰 화면에서 볼 수 있도록 랜드스케이프모드로 전환하여 이용하고 있다.
그와 같은 기능을 제공하는 DMB용 PDA는 휴대용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이동성이 보장된 상태로서 장시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충전용 배터리가 동작전원으로 사용된다. 충전용 배터리는 충전량에 따라 사용시간에 제한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현재 충전잔량이 어느정도 남아있고, 이에 비례하여 어느정도 시청이 가능한지를 인지할 수 있도록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 휴대단말기에서의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은 현재의 배터리 충전잔량만을 단순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서, 만일 사용자가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시간에 비하여 충전레벨 잔량이 얼마 남아있지 않으면 DMB방송을 원할하게 감상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즉, DMB용 PDA는 다른 휴대단말기와 다르게 화면을 디스플레이부(10)에 표시하는 오버레이 기능 이외에도 디스플레이모드를 선택적으로 변경하면서 이용하기 때문에 배터리 용량이 많이 소모되는 경향이 있고, 또한 화면크기가 큰 랜드스케이프모드에서는 노멀모드에 비하여 배터리의 소모량이 휠씬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상기 랜드스케이프모드에서 DMB 방송을 시청하게 되면 그만큼 배터리 소모량이 증가 할 수 밖에 없었다. 비록 사용자들이 디스플레이부(10)의 백라이트를 줄이거나 출력 소리를 줄이는 방법으로 배터리의 잔량을 늘려 더 오래 시청하는 편법을 사용하고 있긴 하지만, 배터리의 잔량이 부족한 경우 DMB 방송의 시청을 중단할 수밖에 없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DMB 방송 등을 시청할 때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되는 화면 크기가 단계적으로 축소 조절되도록 제어하는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는; 충전용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IC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검사하여 상기 IC부에게로 제공하는 배터리 드라이버와, 상기 IC부로부터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충전레벨 잔량 정보와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부 크기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 정보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부 크기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대응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은; 충전용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정보와 상기 충전레벨 잔량정보와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레벨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사하여 상기 충전레벨 잔량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충전레벨 잔량이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충전레벨 잔량과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 조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충전 레벨잔량 정보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총 충전량으로부터 일정 레벨씩 감소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정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원 오프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구동상태가 되면,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현재 충전레벨 잔량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설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원 오프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구 동상태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시간동안 최대 크기로 표시된 이후에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과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DMA용 PDA를 통한 DMA방송 수신시에 배터리 잔량을 체크하고 그 배터리 잔량이 기 정의된 레벨이하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도 상기 배터리 잔량과 대응되어 작게 표시되도록 하여 한정된 배터리 용량의 효율적인 사용에 따라 방송 시청시간을 더 연장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및 조정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DMB방송신호를 수신하여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DMB IC부(102)와, 상기 DMB IC부(102)로부터 제공받는 음성 및 영상데이터를 R/G/B데이터로 변환시키고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송하는 제어부(CPU:Bulverde)(104)와, 상기 DMB IC부(102)의 제어를 받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모드정보 및 디스플레이부(110)에 실제 표시되도록 오버레이 기능정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와, 충전용 배터리(116)의 상태(즉 충전레벨 잔량 등)를 감시하는 배터리 드라이버 (112)와, 배터리 드라이버로(112)부터 감시된 배터리 충전레벨잔량 정보를 상기 DMB IC부(102)에게 전달하는 배터리 충전잔량알림부(114)와, 각종 기능설정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수의 키가 배열된 키어레이(1)와, 사용자 환경으로서, 사용자가 키 조작에 따라 충전레벨 잔량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 데이터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제공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상기 충전레벨 잔량정보와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모드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109)가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메모리(109)에 저장되는 배터리(116)의 충전레벨 잔량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모드정보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109)에 저장된 배터리 충전레벨잔량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모드정보는 룩-업 테이블화되어 저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40%인 경우에는 전체 100%의 화면크기에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크기를 80%(모드 'A'라 칭함)로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30%인 경우에는 100%중 70%(모드 'B')로 설정한다. 또한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20%인 경우에는 100%중 60%로 설정하고,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10%인 경우에는 100%중 50%로 설정한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 대비 디스플레이부(110)의 화면크기는 고정될 필요는 없고 사용자 설정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10) 크기는 배터리 충전용량이 10%정도까지 감소되더 라도 사용자가 용이하게 DMB 방송을 시청할 수 있는 최소한의 크기를 제공해야 한다.
이어,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조정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의 흐름도이다.
제 100단계에서 사용자가 키어레이(1)에 구비된 전원 온(ON)를 조작하면, 충전용 배터리(116)로부터 휴대단말기 구동에 필요한 소정 레벨의 전원이 공급되면서 DMB용 PDA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되고, DMB IC부(102)는 DMB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한다. 여기서, 상기 DMB방송신호는 이를 수신하는 DMB IC부(102)에 의해 제어부(104)에게로 전달되고, 제어부(104)는 DMB방송신호인 영상 및 음성데이터를 R/G/B 데이터로 변환시켜서 디스플레이부(110)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DMB방송신호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모드에 따라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의 제어하에 동작된다. 상기 선택모드는 노멀모드 또는 랜드스케이프모드가 될 수 있다.
그와 같이 전원공급에 따라 DMB용 PDA가 동작 가능한 상태가 될 때, 제 102단계에서 배터리드라이버(112)는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을 검사하게 된다.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은 배터리드라이버(112)로부터 충전레벨 잔량데이터를 DMB IC부(102)를 통해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가 인가받고, 디스플레이부(110)의 소정 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표시 형태는 현재 셀룰러폰 등에 배터리 충전상태를 막대그래프 형 태로 제공하고 있는 것과 유사하다.
상기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이 표시되면서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을 DMB IC부(102)를 통해 계속해서 제공받는데, 도중에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하기 위한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의 일정 수준은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하면서 사용시간을 충분히 보상받을 수 있도록 100%의 충전용량에서 대략 40%-50%정도로 설정한다. 예컨대 40%-50% 정도부터 화면크기를 조절하게 되면 배터리 사용시간을 늘리면서 원하는 프로그램을 더 시청할 수 있는 것이다. 물론, 그러한 충전용량 수치는 사용자가 임의대로 정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적인 값은 아니다.
제 104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40%-50%정도가 되면,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메모리(109)에 기 설정되어 있는 데이터, 예컨대 룩-업테이블을 액세스하여 40%-50%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 데이터를 리드한다. 그러면,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현재 100%인 디스플레이 크기를 40%-50%에 해당되는 디스플레이 크기인 모드 'A'(80/100)로 크기 변환을 수행한다(ST106). 이때, DMB IC부(102)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로부터 충전용 배터리(116)의 잔량과 함께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줄인다라는 정보를 인가받고 음성정보 또는 디스플레이부(110)에 문자정보로 표현하도록 제어하여 사용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현재 디스플레이부(110) 크기가 80%인 상태에서 배터리(116)를 소 모하면서 DMB 방송을 시청하다가,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이 30%로 감소하게 되면(ST108),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메모리(109)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고 기 설정된 크기인 모드 'B'(70/100)로 크기 변환을 수행한다(ST110).
또한 계속되는 DMB 방송 시청에 따라서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은 계속 감소하게 되고, 사용자가 설정한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인 20%, 10%에 도달되면(ST112, ST116),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메모리(109)의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기 설정된 디스플레이부(110) 크기인 모드 'C'(70/100)와 모드 'D'(60/100)로 크기를 변환시킨다(ST114, ST118).
그와 같이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가 축소 변환되지만, 일반적인 DMB방송신호의 제어, 즉 DMB IC부(102)가 영상/음성데이터를 제어부(104)에게로 전달하고, 제어부(104)는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해 R/G/B데이터로 변환시킨 DMB방송신호를 디스플레이부(110)에 전송, 표시하는 것은 동일하게 진행된다. 다시말해, 제어부(104)는 DMB 방송신호를 계속해서 디스플레이부(110)로 전달하여 표시하고, 그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는 충전용 배터리(116)의 충전용량 감소에 따라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에 의해 점진적으로 축소 변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과 대비되는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미리 지정해놓은 상태에서, 기기의 구동에 따라 소모되는 충전용 배터리(116)의 현재 충전레벨 잔량을 검사하고 임의의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도달되었을 때마다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도 6는 DMB용 PDA가 오프 구동상태에서 다시 온 구동상태가 될 때의 디스플레이부 크기 조정이 수행되는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20단계에서 DMB용 PDA가 오프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구동되면, DMB IC부(102)는 현재의 충전레벨 잔량을 근거로 바로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한 것인지를 결정한다.
만일, 전원 온(ON)과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0)에 의하여 설정되었다면(ST122에서 예), DMB IC부(102)는 충전용 배터리(116)의 충전잔량 레벨을 배터리 드라이버(112)로부터 전달받는다(ST124). 이때 DMB용 PDA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거나 사용도중 전원 오프상태이기 때문에 대부분은 충전이 100%가 안된 상태이다.
상기 DMB IC부(102)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에게로 충전잔량 레벨정보를 전달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드라이버(108)는 메모리(109)에 저장된 룩-업테이블을 참조하여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정하는 과정을 수행한다(ST126). 즉, DMB용 PDA가 최초 100% 충전상태에서 사용을 하다가 전원 오프상태를 소정 시간 유지한 후, 다시 전원이 온 구동되더라도 상기 충전용 배터리(116)의 충전 잔량에 따른 룩-업테이블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110) 크기가 조정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 122단계에서 상기 DMB용 PDA가 다시 전원 온 구동시에 곧바로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가 조절되지 않고,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 제 128단계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10) 크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DMB용 PDA가 전원 오프 상태에서 전원 온 구동이 되면 사용 자 입력에 따라 설정된 소정 시간 예컨대 10분 정도는 충전용 배터리(116)의 충전레벨 잔량과는 관계없이 최대 크기로 디스플레이부(110)를 제어하고, 그 시간이 경과되면 충전용 배터리(116)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를 조절한다는 것이다(ST130). 이는 다시 온 구동시에 바로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10)의 크기가 축소된 상태로 표시되면 사용자가 즉시 시청하기에 작은 화면사이즈로 인해 어려움이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되기 때문에, 한정된 충전용 배터리의 용량을 효율적으로 이용하면서 방송시청시간을 연장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에 따라서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의 크기를 점진적으로 축소 변환시켜 표시함으로써, 배터리의 소모량을 줄일 수가 있게 되어 시청시간을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는, 한정적인 충전용량을 갖는 배터리로 가능한 최대 시간동안 방송을 시청할 수 있기 때문에, 동일 제품에서의 경쟁 우위력을 점할 수 있는 기대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DBM용 PDA 기기로 한정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충전용 배터리 및 일반 배터리가 사용되는 다른 휴대용 단말기에도 모두 적용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할 것이 다.

Claims (8)

  1. 충전용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단말기에 있어서,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IC부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잔량을 검사하여 상기 IC부에게로 제공하는 배터리 드라이버와,
    상기 IC부로부터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 정보를 인가받고, 상기 충전레벨 잔량 정보와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부 크기를 조정하는 디스플레이드라이버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 정보와 상기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크기정보가 적어도 하나 이상 상호 대응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는 룩-업 테이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키 조작에 따라 상기 충전레벨 잔량/크기 데이터를 임의로 설정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장치.
  5. 충전용 배터리를 동작 전원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디스플레이부 크기를 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정보와 상기 충전레벨 잔량정보와 대응되어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레벨정보를 설정하는 단계와,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전압레벨을 검사하여 상기 충전레벨 잔량정보를 감지하는 감지단계와,
    상기 감지된 충전레벨 잔량이 특정 레벨에 도달할 때마다 상기 충전레벨 잔량과 대응되어 미리 설정된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 정보에 근거하여 디스플레이부의 크기를 조절하는 디스플레이부 크기 조정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 레벨잔량 정보는 상기 충전용 배터리의 총 충전량으로부터 일정 레벨씩 감소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원 오프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구동상태가 되면,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현재 충전레벨 잔량에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설정되어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 단말기가 전원 오프상태에서 전원 공급에 따라 온 구동상태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일정 시간동안은 최대 크기로 표시된 이후에 상기 충전식 배터리의 충전레벨 잔량과 대응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크기가 조정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크기 조정방법.
KR1020050130887A 2005-12-27 2005-12-27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KR20070068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87A KR20070068843A (ko) 2005-12-27 2005-12-27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30887A KR20070068843A (ko) 2005-12-27 2005-12-27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8843A true KR20070068843A (ko) 2007-07-02

Family

ID=3850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30887A KR20070068843A (ko) 2005-12-27 2005-12-27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688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8465A1 (en) * 2016-12-28 2019-09-12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s
US11935445B2 (en) 2020-11-06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78465A1 (en) * 2016-12-28 2019-09-12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isplay screens
US11935445B2 (en) 2020-11-06 2024-03-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90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a control method therefor
US20050160464A1 (en) Electronic apparatus
US7825818B2 (en) Broadcast receive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US20110050416A1 (en) Charging method for a mobile terminal
KR20110078083A (ko) 카메라 구동 방법 및 장치
US7746729B2 (en) Electronic device with working mode switching function and method of switching working mode
US20090160843A1 (en)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JP2006211421A (ja) 携帯型電子機器
EP1876527A1 (en) Method of automatically upgrading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KR20110068027A (ko) 휴대 단말기의 전력 제어 방법 및 장치
US8253857B2 (en)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KR20070068843A (ko) 배터리 충전레벨 잔량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디스플레이크기 조정장치 및 그 방법
JP2009071568A (ja) 映像表示システム,映像表示装置
JP2012257171A (ja) 電子機器、電子機器の制御装置、電子機器の制御方法
US20080259210A1 (en) Audiovisual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US20070083775A1 (en) Method for suspending execution of preset sleep mode in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terminal
JP2004336330A (ja) 携帯端末装置
KR10101508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 전원 제어 방법.
JP5124354B2 (ja) 地上デジタル放送対応可搬型携帯機器および、卓上ホルダー機器
JP200801696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及びその電源制御方法
KR100735182B1 (ko) 배터리의 사용시간 연장을 위한 휴대용 텔레비젼 수상기 및방법
JP2010062708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706396B1 (ko) 화면 밝기 조절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60057465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원 제어 장치 및 방법
JP5033073B2 (ja) 放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