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701A -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701A
KR20080050701A KR20060121264A KR20060121264A KR20080050701A KR 20080050701 A KR20080050701 A KR 20080050701A KR 20060121264 A KR20060121264 A KR 20060121264A KR 20060121264 A KR20060121264 A KR 20060121264A KR 20080050701 A KR20080050701 A KR 20080050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deo call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user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1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6709B1 (ko
Inventor
상효진
Original Assignee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엘지텔레콤 filed Critical (주) 엘지텔레콤
Priority to KR1020060121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6709B1/ko
Publication of KR20080050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6709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상통화 시도시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101 단계(S101);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S102); 상기 제 102 단계(S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103 단계(S103);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104 단계(S104)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화상통화를 이용한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 제공시, 상대방의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이를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어해석기능과 영상 녹화기능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의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환경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로써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이동통신단말기,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 화상통화, 자막표시,

Description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METHOD FOR PROVIDING FOREIGN-LANGUAGE-LEARNING-SERVICE USING MOBILE VIDEO PHONE}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3은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4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5는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나타낸 동작 플로우챠트,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
도 7은 도 3에서 "단어해석 저장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면,
도 8은 도 4에서 "녹화영상 저장기능"이 수행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참조도면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기 200 : 수신자(강사)의 이동통신단말기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상통화를 이용한 폰투폰(Phone To Phone)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 제공시, 상대방의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Text)로 변환한 후 이를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Overlap)하여 디스플레이(Display)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어해석기능과 영상 녹화기능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주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최근 들어 이동통신산업은 획기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으며, 이로써 현대인들에게 있어 이동통신단말기는 이제 생활필수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가운데,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가 각광을 받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음성통화를 이용한 폰투폰(Phone To Phone)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 스는 무한 경쟁시대에 있는 바쁜 현대인들에게 자기개발의 기회를 제공하는 효율적인 수단으로 널리 애용되고 있다.
한편, 현재에는 이동통신망과 단말기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한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도 진화를 거듭하고 있다. 즉, 이제는 음성으로 듣고 말하는 중심의 음성통화를 이용하는 학습방법 대신,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화상통화 방식으로 학습하도록 하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음성을 이용한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만 존재했을 뿐,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가 출시되지 않았고, 이로 인해 사용자들은 강사의 외국어 발음을 듣는 것 외에 그의 입 모양을 직접 보면서 외국어 회화를 습득할 수 없었으므로, 외국어 회화학습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외국어 회화학습을 제공받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가 떨어져 불만의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업자 입장에서는 타사에 비해 보다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하지 못해 이익창출에 이바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상통화를 이용한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 제공시, 상대방의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이를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어해석기능과 영상 녹화기능 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의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환경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로써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타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독점하도록 해주기 위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1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제 1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103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10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 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2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02 단계;
상기 제 2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2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 2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하는 제 205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20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3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 를 판단하는 제 302 단계;
상기 제 3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3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하는 제 3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하는 제 305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30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은,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4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02 단계;
상기 제 4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 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4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 4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하는 제 405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하는 제 406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하는 제 407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40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이동통신망의 구성을 나타낸 망 구성도로서, 이는 사용자(학습자)의 이동통신단말기(100) 및 수신자(강사)의 이동통신단말기(20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수신자(강사)의 단말기(2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도 6의 (c)와 같이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고, 도 7의 (a)와 같이 단어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도 7의 (b)와 같이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도 6의 (d)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하고,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도 8의 (b)와 같이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화상통화중 화상통화 연결해제 상황을 계속 감시하다가 연결이 해제되면,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술한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자막표시 기능, 단어해석 기능, 통화영상 녹화기능은 모두 화상통화중 사용자에 의해 언제든지 선택/변경 가능하며, 이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각 기능의 온/오프 전환기능을 수시로 수행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도 2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수신자(강사)의 단말기(2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한다(S101).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102).
이때, 상기 제 102 단계(S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한다(S103).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화상통화 연결해제 상황을 계속 감시하다가 연결이 해제되면, 화상통화를 종료한다(S104).
반면에, 상기 제 102 단계(S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YE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 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104 단계(S104)로 진행한다(S105).
이때, 상술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자막표시 기능은 도 6의 (b)에 표시된 자막표시 메뉴 온/오프 선택에 따라, 화상통화 중 수시로 전환가능하다.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도 3, 도 6,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수신자(강사)의 단말기(2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한다(S201).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2).
이때, 상기 제 202 단계(S2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한다(S203).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자막표시 기능은 도 6의 (a)에 도시된 자막표시 메뉴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화상통화중 수시로 전환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도 6의 (c)와 같이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한다(S204).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어해석 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온/오프 전환가능하다.
또한, 단어해석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중, 도 7의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7의 (b)와 같이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한다(S205).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어 저장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저장가능하되, 사용자에 의해 단어 저장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화상통화 종료 전 한번 강제적으로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켜 저장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화상통화 연결해제 상황을 계속 감시하다가 연결이 해제되면, 화상통화를 종료한다(S206).
반면에, 상기 제 202 단계(S2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YE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204 단계(S204)로 진행한다(S207).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삼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도 4, 도 6,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수신자(강사)의 단말기(2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한다(S301).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302).
이때, 상기 제 302 단계(S3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한다(S303).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자막표시 기능은 도 6의 (a)에 도시된 자막표시 메뉴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화상통화중 수시로 전환가능하다.
한편, 도 6의 (d)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한다(S304).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화영상 녹화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구동가능하다.
그런 후,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8의 (b)와 같이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한다(S305).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 기(100)는 통화영상 녹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화영상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화상통화 연결해제 상황을 계속 감시하다가 연결이 해제되면, 화상통화를 종료한다(S306).
반면에, 상기 제 302 단계(S3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YE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304 단계(S304)로 진행한다(S307).
한편,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사 실시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대해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수신자(강사)의 단말기(200)로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이동통신망을 통해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한다(S401).
그런 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402).
이때, 상기 제 402 단계(S4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NO),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a)와 같이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한다(S403).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자막표시 기능은 도 6의 (a)에 도시된 자막표시 메뉴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화상통화중 수시로 전환가능하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도 6의 (c)와 같이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한다(S404).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어해석 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온/오프 전환가능하다.
또한, 단어해석 기능이 실행되고 있는 중, 도 7의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7의 (b)와 같이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한다(S405).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단어 저장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저장가능하되, 사용자에 의해 단어 저장기능이 선택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화상통화 종료 전 한번 강제적으로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켜 저장동작을 수행한다.
한편, 도 6의 (d)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한다(S406).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의 통화영상 녹화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구동가능하다.
그런 후, 도 8의 (a)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8의 (b)와 같이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한다(S407). 이때,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통화영상 녹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화영상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킨다.
한편,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화상통화 연결해제 상황을 계속 감시하다가 연결이 해제되면, 화상통화를 종료한다(S408).
반면에, 상기 제 402 단계(S402)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YES),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00)는 도 6의 (b)와 같이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404 단계(S404)로 진행한다(S409).
이상에서 몇 가지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에 의하면, 화상통화를 이용한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서비스 제공시, 상대방의 음성을 분석하여 텍스트로 변환한 후 이를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하여 디스플레이하되,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단어해석기능과 영상 녹화기능까지 동시에 제공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사용자들의 폰투폰 외국어 회화학습 환경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이로써 사용자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여 타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독점하도록 해주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22)

  1.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1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102 단계;
    상기 제 1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103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10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104 단계로 진행하는 제 105 단계가 추가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막표시 기능은 화상통화 중 사용자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4.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2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202 단계;
    상기 제 2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2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 2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하는 제 205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20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204 단계로 진행하는 제 207 단계가 추가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6. 제 4항 또는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막표시 기능은 화상통화 중 사용자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4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어해석 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온/오프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어 저장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저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9.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단어 저장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화상통화 종료 전 한번 강제적으로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0.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3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302 단계;
    상기 제 3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3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하는 제 3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하는 제 305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30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 통신단말기가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304 단계로 진행하는 제 307 단계가 추가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막표시 기능은 화상통화 중 사용자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4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영상 녹화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구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4.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 3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영상 녹화가 종료됨과 동 시에 녹화영상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5. 사용자가 강사와의 화상통화를 시도하거나, 또는 상대방 강사로부터 화상통화 요청이 시도되면,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와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연결하는 제 401 단계;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02 단계;
    상기 제 4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막이 없는 상태에서 사용자 및 상대방 강사와의 외국어 회화학습 화상통화를 제공하는 제 403 단계;
    사용자에 의해 단어해석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인식기능과 전자사전기능을 구동하여 화상통화 화면에 단어해석 화면을 오버랩시켜 디스플레이하는 제 404 단계;
    사용자에 의해 해석된 단어의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해석된 단어를 단어장에 저장하는 제 405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시점으로부터 화상통화 영상을 녹화하는 제 406 단계;
    사용자에 의해 통화영상 녹화기능이 종료됨과 동시에 저장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그 녹화된 영상을 동영상 보관함에 저장하는 제 407 단계; 및
    화상통화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화상통화를 종료하는 제 408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2 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해 자막표시 기능이 선택되면,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음성/문자 변환기능을 통해 상대방 강사의 음성내용을 화상통화 화면에 자막으로 오버랩시켜 화상통화를 제공한 후 상기 제 404 단계로 진행하는 제 409 단계가 추가로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7. 제 15항 또는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막표시 기능은 화상통화 중 사용자의 온/오프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4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어해석 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온/오프 전환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단어 저장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저장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20.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5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사용자에 의해 단어 저장기능이 선택되지 않으면, 화상통화 종료 전 한번 강제적으로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21.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6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화영상 녹화기능은, 화상통화중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시로 구동가능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22.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407 단계에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는, 통화영상 녹화가 종료됨과 동시에 녹화영상 저장 여부를 묻는 화면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 제공방법.
KR1020060121264A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KR10120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264A KR101206709B1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21264A KR101206709B1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701A true KR20080050701A (ko) 2008-06-10
KR101206709B1 KR101206709B1 (ko) 2012-11-29

Family

ID=3980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21264A KR101206709B1 (ko) 2006-12-04 2006-12-04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670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658A1 (en) * 2007-04-27 2008-1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ultimedia user interfaces for documents and associated digital videos
KR20190130774A (ko) * 2018-05-15 2019-11-25 (주)우리랑코리아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56832B1 (ko) * 2020-09-16 2021-05-27 (주)김엄마교육 온라인을 이용한 비대면 ai 개인학습 관리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004B1 (ko) 2018-12-27 2019-10-31 김신일 메시지 교육 시스템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50086A (ko) * 2000-05-15 2000-08-05 고광수 인터넷을 이용한 실시간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및 그방법
KR20020084916A (ko) * 2001-05-02 2002-11-16 황금호 인터넷상에서의 상대방을 자동호출하는 방식에 의한화상/음성통신, 광고 및 외국어 회화 교습 시스템
KR20050109670A (ko) * 2004-05-17 2005-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기반 외국어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1044149B1 (ko) * 2004-08-05 2011-06-24 주식회사 케이티 영상전화기를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96838A (ko) * 2004-09-23 2004-11-17 김미화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0670906B1 (ko) * 2005-03-28 2007-01-17 주식회사 온세통신 대화 상대 매칭을 통한 어학 학습 서비스 시스템 및 그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34658A1 (en) * 2007-04-27 2008-11-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Multimedia user interfaces for documents and associated digital videos
KR20190130774A (ko) * 2018-05-15 2019-11-25 (주)우리랑코리아 언어 교육을 위한 영상의 자막 처리 방법 및 장치
KR102256832B1 (ko) * 2020-09-16 2021-05-27 (주)김엄마교육 온라인을 이용한 비대면 ai 개인학습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6709B1 (ko) 201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7986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peech-to-text encoding and telephony service
US8416928B2 (en) Phone number extraction system for voice mail messages
CN105100360A (zh) 用于语音通话的通话辅助方法和装置
US20070135101A1 (en) Enhanced visual IVR capabilities
US20130003945A1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Speech-to-Text Encoding and Telephony Service
US20140142952A1 (en) Enhanced interface for use with speech recognition
WO2002058050A3 (en) Voice-enabled user interface for voicemail systems
CN103973877A (zh) 一种在移动终端中利用文字实现实时通话的方法和装置
CN107465816A (zh) 一种通话即时原声语音翻译的通话终端及方法
US20110158392A1 (en) Interactive voice response (ivr) cloud user interface
US20120212567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ulti-lingual support for hearing impaired communication
CN106357932A (zh) 一种通话信息记录方法和移动终端
KR10120670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화상통화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서비스제공방법
CN104580762A (zh) 一种根据语种实现电话转接的方法和装置
US10984229B2 (en) Interactive sign language response system and method
US9237224B2 (en) Text interface device and method in voice communication
CN108418979B (zh) 一种话务接续提示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090054609A (ko) 감정적 콘텐츠 효과를 포함하는 전화 통신 서비스를제공하는 VoIP 전화 통신 시스템 및 방법
WO2007105841A1 (en) Method for translation service using the cellular phone
KR101275385B1 (ko) 인터넷 전화를 이용한 자동 음성 응대서비스 제공방법 및시스템
KR100929531B1 (ko) 음성 인식을 이용한 무선 환경에서의 정보 제공 시스템 및그 방법
CN114584656B (zh) 流式语音的响应方法、装置及其语音呼叫机器人
KR101105682B1 (ko) 청각 장애인을 위한 자막 전화기
CN104639772A (zh) 一种实现手机免注册网络通话的方法
CN115309385A (zh) 基于表格的可视化ivvr编辑器、编辑方法、设备和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