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0530A -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 Google Patent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0530A
KR20080050530A KR1020087010640A KR20087010640A KR20080050530A KR 20080050530 A KR20080050530 A KR 20080050530A KR 1020087010640 A KR1020087010640 A KR 1020087010640A KR 20087010640 A KR20087010640 A KR 20087010640A KR 20080050530 A KR20080050530 A KR 20080050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egassing
bubble
inert gas
bub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1064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요시테루 이시카와
히사오 도미카와
히데카즈 이리에
마사히로 데미즈
겐타로 오이에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0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0530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005Degasification of liquids with one or more auxiliary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70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 A23L2/76Clarifying or fining of non-alcoholic beverages; Removing unwanted matter by removal of ga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9/00Degasification of liquids
    • B01D19/02Foam dispersion or prevention

Abstrac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beverage capable of eliminating air bubbles formed in the beverage without impairing the flavor of the beverage.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20) comprises a beverage deaerating means (3) and a bubble breaking means (5), and these manufacturing method uses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The apparatus may comprise a beverage sterilizing means (10). The deaerating means may comprise at least one of a deaerator, an inert gas stripping part, and a static mixer, and the bubble breaking means may be a pump capable of breaking the film of air bubbles. In additio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after air bubbles are broken is desirably 0.5 ppm or below.

Description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제조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an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를 제조하는 음료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시하는 음료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everage production method for producing a beverage and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현재 시장에서는 여러 가지 종류의 음료, 예를 들면 차류 음료, 과즙 음료, 유성(乳性) 음료 등이 판매되고 있다. 이들 음료 가운데, 예를 들면 차류 음료는 갓 끓여낸 상태, 과즙 음료, 유성(乳性) 음료 등은 갓 짜낸 상태가 가장 풍미가 좋다고 한다. 그런데, 음료 제조 시 또한 제조 후에 있어서 음료 내에 혼입된 산소, 특히 용존 기체 중의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비타민 C 등의 특정 향미 성분을 산화시키는데, 이 때문에 음료의 풍미가 점차 손상된다. 따라서, 음료 내의 용존 기체, 특히 용존 산소를 저감하는 방법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고, 물리적인 산소 제거 방법으로서는 인젝트법 및 탑 플러싱법 등 및 화학적인 방법으로서는 탈산제의 혼입 등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Various types of beverages are currently sold in the market, such as tea beverages, juice drinks, oily beverages, and the like. Among these drinks, for example, tea drinks are freshly simmered, juice drinks, oily drinks, and the like. By the way, during the preparation of the beverage and also after the preparation, oxygen incorporated into the beverage, in particular dissolved oxygen in the dissolved gas, oxidizes certain flavor components such as vitamin C in the beverage, which gradually impairs the flavor of the beverage. Therefore, a method of reducing dissolved gas, particularly dissolved oxygen, in a beverage has been conventionally proposed, and an injecting method, a top flushing method, and the like as a physical oxygen removal method, and a mixing of a deoxidizer as a chemical method are already known.

또한, 과즙 음료나 유성 음료는 물론 이들 이외의 음료, 예를 들면 차류 음료 등이어도, 용기 내에서 장시간 보존하는 경우에는 음료 내용물을 살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살균 작용은 고온, 예를 들면 80℃ 내지 130℃의 환경 하에서 음료를 소정의 시간만 체류시킴으로써 살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살균 시에는 음료가 고온하에 노출되므로 산소, 특히 음료 내의 용존 산소에 의한 산화 작용이 촉진되고, 이 때문에 특정 향미 성분이 마찬가지로 산화되어 음료의 풍미가 손상된다. Moreover, even if it is a drink other than these, for example, beverages, such as a tea drink, etc., even if it drinks for a long time in a container, it is necessary to sterilize the drink contents. This sterilization action is performed by keeping the beverage for a predetermined time in an environment of high temperature, for example, 80 ° C to 130 ° C. However, during sterilization, the beverage is exposed to high temperatures, thereby promoting oxidation by oxygen, in particular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which oxidizes certain flavor components likewise, thereby impairing the flavor of the beverage.

이러한 가열 살균시에 풍미가 손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에 있어서는 우유나 과즙 등을 포함한 음료를 불활성 가스로 치환하고, 음료 내의 용존 기체, 특히 용존 산소를 저하시킨 상태로 이들 음료를 살균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가열 살균시에 있어서의 음료 내의 용존 산소가 줄어들어 있으므로, 산화에 의하여 음료의 풍미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평10-295341호(제1도) 또는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1-78665호(제1도)를 참조). In order to avoid damage to the flavor during such heat sterilization, for example, in Patent Document 1 and Patent Document 2, a beverage containing milk or juice is replaced with an inert gas to reduce dissolved gas, particularly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These drinks are sterilized in a state. In such a case, sinc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at the time of heat sterilization is reduc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damage to the flavor of the beverage by oxidation (for example, JP-A-10-295341 ( Fig. 1) or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01-78665 (Fig. 1).

그런데, 음료 내의 용존 기체, 특히 용존 산소를 제거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전술한 바와 같이 음료를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치환하는 경우 또는 감압실을 구비한 탈기기(deaerator)에 음료를 통과시키는 등의 경우에는 다수의 기포가 음료 내 또는 음료의 액면 상에 다량으로 발생한다. 특히,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치환되는 음료가 단백질 및/또는 당류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는 이들 성분에 의하여 극히 다량의 기포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다량의 기포로 인하여 음료의 일부가 저장탱크로부터 흘러넘칠 수 있는 동시에 음료를 배관계에 통과시키는 것이 물리적으로 곤란하게 되어 소정 양의 음료를 후공정에 공급할 수 없게 된다. 또한, 기포를 포함한 음료를 후공정에 공급할 수 있었다고 하더라도, 이들 기포는 후공정의 장치, 예를 들면 살균기 등에 부착되어 이들 장치의 기능 및 처리 효율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가능성도 있다. 또한 한 번 탈기한 기체, 특히 산소가 음료에 다시 용해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 다량의 기포가 음료와 함께 후공정에 공급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전술한 탈기기 내의 감압실의 압력을 통상의 경우보다 높이거나 또는 치환에 사용되는 불활성 가스의 공급량을 줄임으로써 기포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음료 내의 용존 기체의 음료로부터의 탈기되는 양이 줄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By the way, when dissolved gas, especially dissolved oxygen, is removed in the beverage, for example, when the beverage is replaced by an inert gas, or when the beverage is passed through a deaerator having a decompression chamber as described above. There are a large number of bubbles generated in the beverage or on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particular, when the beverage substituted by the inert gas contains proteins and / or sugars, extremely large amounts of bubbles are formed by these components. In such a case, a large amount of bubbles may cause a portion of the beverage to overflow from the storage tank,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physically difficult to pass the beverage through the piping system,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supply a predetermined amount of beverage to the post process. In addition, even if a beverage containing bubbles can be supplied to a later step, these bubbles may be attached to an apparatus of a later step, for example, a sterilizer or the like, to significantly lower the function and processing efficiency of these devices. In addition, there is a fear that the gas once degassed, especially oxygen, is dissolved in the beverage again.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avoid supply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with the beverage to the post-process, for example, the pressure in the decompression chamber in the deaerator above is higher than usual or the amount of inert gas used for replacement is reduced. In this case, it is conceivable to suppress the generation of bubbles, but in this case, the amount of degassed from the beverage of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is not preferable.

또한, 불활성 가스에 의한 치환 후의 음료를 예를 들면 다른 버퍼 탱크 내에 저류시킨 상태로 기포만을 버퍼 탱크 윗쪽에 남기면서, 버퍼 탱크의 아래쪽 면으로부터 음료를 뽑아내어 후공정에 공급하는 것도 상정할 수 있다. 그러나, 기포 내의 기체는 음료로서 불필요한 것이지만, 기포를 형성하는 막 자체는 음료의 일부이므로, 이러한 막의 액체 부분은 음료로서 후공정에 공급할 필요가 있다. 특히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는 음료의 성분이 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액체 부분의 음료의 성분과는 다른 경우에는 최종적인 제품으로서의 음료의 성분 및 풍미는 당초 예정된 성분 및 풍미와는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It is also possible to extract the beverag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ffer tank and to supply it to the subsequent step while leaving only the bubbles above the buffer tank while the beverage after substitution with the inert gas is stored in another buffer tank, for example. . However, the gas in the bubble is unnecessary as a beverage, but since the membrane forming the bubble itself is part of the beverage, the liquid portion of this membrane needs to be supplied as a beverage to the post process. In particular, in the case where the component of the beverage forming the membrane of the bubble is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of the beverage in the liquid portion which does not form the membrane, the component and flavor of the beverage as the final product may differ from the originally scheduled components and flavor.

또는 음료상의 기포가 자연스럽게 소멸하는 것을 기다리는 것 및 음료 상의 기포에 액체를 분무하여 이들을 소멸시키는 것도 상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단시간 내에 충분한 기포 제거 효과를 얻지 못하고 또한 한번 탈기한 기체, 특히 산소가 음료에 재차 용해될 우려도 있으므로 통상의 음료 제조 라인에서는 채용할 수 없다. Alternatively, it may be assumed that the bubbles in the beverage wait for their natural disappearance, and that the bubbles in the beverage are dissipated by spraying the liquid, but in this case, the gas which is degassed once in a short time and does not obtain a sufficient bubble removal effect, Since it may melt | dissolve again in a drink, it cannot be employ | adopted in a normal drink production line.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극복할 수 있도록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탈기하고, 탈기 작용시에 음료에 생긴 기포에 대하여 그 막과 내부의 기체를 분리하면 좋다는 것을 알아내고, 음료 제조 방법 및 음료 제조 장치를 구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ors have conducted extensive studie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and found that it is sufficient to degas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and separate the membrane and the gas inside from the bubbles generated in the beverage during the degassing action. The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were constructed, and the present invention was completed.

본 발명은 음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고 음료에 형성된 기포를 배제하고, 음료 내의 용존 산소를 저감할 수 있는 음료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는 음료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everage production method which can eliminate bubbles formed in a beverage without impairing the flavor of the beverage and to reduc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and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의 탈기공정 후에 기포의 파포(破泡)공정을 둔 음료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1st Embodiment, the beverage manufacturing method which provided the bubble-breaking process after the degassing process of a drink is provided.

즉 제1 실시형태에 의하여,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탈기(脫氣)시 발생한 기포를 형성하는 막 내의 기체와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음료로서 회수함으로써, 음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고 음료에 형성된 기포를 배제하여 음료 내의 용존 산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포의 막을 적극적으로 파단(破斷)시키고 있으므로 극히 단시간에 기포 제거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reduced, and the gas in the film forming bubbles generated during degassing and the liquid forming the film of bubbles can be separated. In addition, by recovering the liquid that has formed the bubble film as a beverage, bubbles formed in the beverage can be eliminated without impairing the flavor of the beverage and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can be reduced. In addition, in this invention, since the film | membrane of foam | bubble is actively broken, the bubble removal effect can also be acquired in extremely short time.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파포 공정 후에 기체의 배출 공정을 두었다. According to 2nd Embodiment, in 1st Embodiment, the gas discharge process was further provided after the said breaking process.

즉 제2 실시형태에 의하여, 음료로부터 생긴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이로써, 한번 탈기된 기체가 음료에 다시 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더 확실하게 음료 내의 용존 산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the gas generated from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reliably. As a result, the gas once degassed can be prevented from dissolving again in the beverage, and th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can be reduced more reliably.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음료의 살균공정을 두었다. According to 3rd Embodiment, in 1st Embodiment and 2nd Embodiment, the sterilization process of the said drink was further provided.

즉 제3 실시형태에 의하여, 살균 작용을 가열 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도, 가열시에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중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음료의 풍미가 손상되는 것이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even when the sterilization action is performed by heat treatment, the dissolved oxygen in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at the time of heating can be reduced to oxidize the component in the beverage. This can further prevent the flavor of the beverage from being impaired.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 내지 제3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기공정 후의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이 0.5ppm 이하가 되도록 하였다. According to 4th Embodiment, in any one of 1st Embodiment-3rd Embodiment, the dissolved oxygen amount in the drink after the said degassing process was made to be 0.5 ppm or less.

즉 제4 실시형태에 의하여,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을 전술한 바와 같이 함으로써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can be optimally prevented from oxidizing the components in the beverage as described above.

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 내지 제4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거품이 이는 성질의 음료이다.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first to fourth embodiments, the beverage is a beverage having a foaming property.

즉 제5 실시형태에 의하여,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양호하게 음료로부터 탈기시켜, 기포의 막을 양호하게 파단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degassed from the beverage satisfactorily and the film of bubbles can be satisfactorily broken.

제6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의 탈기수단과 기포의 파포수단을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가 제공된다. According to 6th Embodiment, the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provided with the degassing means of a drink and the bubble breaking means of a bubble is provided.

즉 제6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줄일 수 있는 동시에, 탈기시에 생긴 기포를 형성하는 막 내의 기체와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음료로서 회수함으로써, 음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고, 음료에 형성된 기포를 배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에 있어서 기포의 막을 적극적으로 파단하고 있으므로, 극히 단기간에 기포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reduced, and the gas in the film forming the bubbles generated during degassing and the liquid forming the film of bubbles can be separated. In addition, by recovering the liquid that forms the film of bubbles as a beverage, bubbles formed in the beverage can be eliminated without impairing the flavor of the beverage. In addition, since the film | membrane of foam | bubble is broken actively in this invention, a bubble removal effect can be acquired in extremely short time.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기체의 배출수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n the sixth embodiment, the gas discharge means is further provided.

즉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로부터 생긴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the gas generated from the beverage can be discharged reliably.

이로써, 한 번 탈기된 기체가 음료에 재차 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더 확실하게 음료 내의 용존 산소를 저감시킬 수 있다. As a result, the gas once degasse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issolved in the beverage again, and th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can be reduced more reliably.

제8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 또한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상기 음료의 살균수단을 구비한다.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the sixth embodiment and the seventh embodiment further include sterilization means for the beverage.

즉 제8 실시형태에 의하면, 살균 작용을 가열 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도, 가열시에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중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이로써, 음료의 풍미가 손상되는 것이 한층 더 방지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even when the sterilization action is carried out by heat treatmen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oxidizing the component in the beverage during heating. This can further prevent the flavor of the beverage from being impaired.

제9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 내지 제8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이 탈기기,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 스태틱 믹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sixth to eighth embodiments, the degassing means includes at least one of a deaerator, an inert gas stripping unit, and a static mixer.

즉 제9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양호하게 음료로부터 탈기시킬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degassed from the beverage satisfactorily.

제10 실시형태에 의하면, 제6 실시형태 내지 제9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파포수단이 기포의 막을 파단할 수 있는 펌프이다.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in any one of the sixth to ninth embodiments, the breaking means is a pump capable of breaking the membrane of bubbles.

즉 제10 실시형태에 의하여, 음료 내의 기포의 막을 양호하게 파단할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10th embodiment, the film | membrane of the bubble in a drink can be broken favorably.

각 발명에 의하면, 음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고, 음료에 형성된 기포를 배제할 수 있다고 하는 공통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each invention, the common effect that foam | bubble formed in a drink can be eliminated without spoiling the flavor of a drink can be provided.

또한 제2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로부터 생긴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gas generated from the beverage can be reliably discharged.

또한 제3 실시형태에 의하면, 살균 작용을 가열 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도, 가열시에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중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even when the sterilization action is performed by heat treatment, the effect that dissolved oxygen in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oxidized during heating can be reduced.

또한 제4 실시형태에 의하면,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최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dissolved oxygen can be optimally prevented from oxidizing a component in the beverage.

또한 제5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양호하게 음료로부터 탈기시켜, 기포의 막을 양호하게 파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degassed from the beverage satisfactorily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membrane of bubbles can be satisfactorily broken.

또한 제7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로부터 생긴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gas generated from the beverage can be reliably discharged.

또한 제8 실시형태에 의하면, 살균 작용을 가열 처리에 의하여 실시하는 경우에도, 가열시에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중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성분을 산화시키는 것을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even when the sterilization action is carried out by heat treat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that the dissolved oxygen in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oxidized in the beverage during heating.

또한 제9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양호하게 음료로부터 탈기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nin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can be degassed from the beverage satisfactorily.

또한 제10 실시형태에 의하면, 음료 내의 기포의 막을 양호하게 파단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tenth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effect that the film of bubbles in the beverage can be satisfactorily broke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들 도면은 축척 등을 적당히 변경하였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n accompanying drawing. In the following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In order to facilitate understanding, these figures have been appropriately changed in scale.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의 음료 제조 장치(20)에 있어서는 내부에서 음료를 조합하기 위한 조합 탱크(1)가 도 1의 왼쪽에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조합 탱크(1) 내에서 조합되는 음료는 거품이 이는 성질의 음료가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커피, 차류 음료, 청량 음료, 츄하이(shochu-based beverage)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조합 탱크(1)는 도 1에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음료용 배관(24)에 의하여 송액(送液)펌프(2)를 거쳐 탈기수단(3)에 접속되어 있다. 탈기수단(3)은 음료 내부에 용존되어 있는 용존 기체, 예를 들면 용존 산소를 음료 내부로부터 음료 외부로 탈출(이하,「탈기」라고 부른다)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나타나는 탈기수단(3)은 음료 내부에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음료의 용존 기체, 특히 용존 산소의 양을 저감시키는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상정하고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하는 탈기수단(3)은 불활성 가스 라인(21)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 공급 부(4)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탈기수단(3)으로서 내부에 감압실을 구비한 탈기기를 채용하여도 되고, 이 경우에는 음료를 감압실에 통과시킬 때에 음료 내의 용존 기체가 음료 외로 탈출된다. 또는 탈기수단(3)으로서 스태틱 믹서를 채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즉, 음료 내부의 용존 기체를 음료 외부로 탈출시킬 수 있는 다른 모든 기구를 탈기수단(3)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되는 탈기수단(3)의 종류에 따라서, 불활성 가스 공급부(4) 및 불활성 가스 라인(21)을 배제할 수 있는 동시에, 후술하는 진공 펌프(7) 및 진공 라인(23)을 탈기수단(3)에 접속하도록 하여도 된다. 1 is a schematic view of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based o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20 of FIG. 1, a combination tank 1 for combining beverages therein is shown on the left side of FIG. 1.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everage to be combined in the combination tank 1 is preferably a beverage having a foaming property, and examples thereof include coffee, tea beverages, soft drinks, shochu-based beverages, and the like. It is not limited to these. The combination tank 1 is connected to the degassing means 3 via the liquid feed pump 2 by the beverage piping 24 shown by the solid line in FIG. The degassing means 3 serves to escape dissolved gas, such as dissolved oxygen, dissolved in the beverage from the inside of the beverage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hereinafter referred to as "degassing"). The degassing means 3 shown in FIG. 1 assumes the inert gas stripping part which reduces the amount of dissolved gas, especially dissolved oxygen, of a beverage by supplying inert gas, for example, nitrogen gas, inside a beverage. Therefore, the degassing means 3 shown in FIG. 1 is connected to the inert gas supply part 4 by the inert gas line 21. As the degassing means 3, a degassing apparatus having a decompression chamber therein may be employed. In this case,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escapes out of the beverage when passing the beverage through the decompression chamber. Or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a static mixer can be employed as the degassing means 3. That is, all other mechanisms capable of escaping the dissolved gas inside the beverage to the outside of the beverage can be employed as the degassing means 3. Therefore, according to the kind of degassing means 3 used, the inert gas supply part 4 and the inert gas line 21 can be excluded, and the vacuum pump 7 and vacuum line 23 which are mentioned later are degassing means. You may connect to (3).

또한 도 1에 있어서 탈기수단(3)은 배관(24)에 의하여 파포수단(5)에 접속되어 있다. 파포수단(5)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탈기수단(3)에 있어서 형성된 기포의 막을 파단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에 도시하는 파포수단(5)은 상세하게 후술하는 파포 펌프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파포수단(5)은 점선으로 나타내는 진공 라인(23)에 의하여 드레인 세퍼레이터(6)를 거쳐 진공 펌프(7)까지 접속되어 있다. 본 형태에 있어서 배출수단은 드레인 세퍼레이터(6)와 진공 펌프(7)로 구성되어 있다. 배출수단에 의하여 음료로부터 발생한 기체를 확실하게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압력계(13, 14)가 탈기수단(3)과 파포수단(5)의 사이, 및 파포수단(5)과 후술하는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파포수단(5)의 전후단에 있어서의 배관(24) 내의 압력을 계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압력계(18)가 진공 라인(23)에 설치되어 있다. 전술한 탈기수단(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기포의 막을 파단 가능한 다른 모든 기구를 파포수단(5)로서 채용할 수 있 고 파포수단(5)의 종류에 따라서, 드레인 세퍼레이터(6), 진공 펌프(7), 불활성 가스 라인(21) 및 압력계(13, 14, 18) 중 어느 하나를 배제하는 등도 가능하다. In FIG. 1, the degassing means 3 is connected to the breaking means 5 by a pipe 24. The breaking means 5 serves to break the film of bubbles formed in the degassing means 3 as described later. Since the wave breaking means 5 shown in FIG. 1 assumes the wave pump mentioned later in detail, the wave breaking means 5 is a vacuum pump 7 via the drain separator 6 by the vacuum line 23 shown with the dotted line. Connected to In this embodiment, the discharging means is composed of a drain separator 6 and a vacuum pump 7. By the discharge means, it is possible to reliably discharge the gas generated from the beverage. Moreover, the pressure gauges 13 and 14 are provided between the degassing means 3 and the breaking means 5, and between the breaking means 5 and the inert gas displacement tank 8 mentioned later, and the breaking means 5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pressure in the pipe 24 at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pipe. As shown, a pressure gauge 18 is provided in the vacuum line 23. As in the case of the degassing means 3 described above, all other mechanisms capable of breaking the bubble film can be employed as the degassing means 5,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degassing means 5, the drain separator 6 and the vacuum pump can be employed. (7), any one of the inert gas line 21 and the pressure gauges 13, 14, and 18 may be excluded.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포수단(5)은 배관(24)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에 접속되어 있다.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는 다른 불활성 가스 라인(22)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 공급부(4)에 접속되어 있고,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가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 내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또는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의 하부는 배관(24)에 의하여 송액 펌프(9)를 거쳐 살균수단(10)에 접속되어 있다. 살균수단(10)에 있어서는 음료를 소정의 온도로 소정의 시간만 체류시킬 수 있다. 이어서, 살균된 음료는 충전부(11)까지 공급되어 용기, 예를 들면 캔, 병, 패트병, 종이 팩 등에 충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breaking means 5 is connected to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by a pipe 24.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is connected to the inert gas supply part 4 by another inert gas line 22, and inert gas, for example, nitrogen, is supplied into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Alternatively, the lower part of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is connected to the sterilizing means 10 via the liquid feeding pump 9 by the pipe 24. In the sterilization means 10, the beverage can be held only for a predetermined time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Subsequently, the sterilized beverage is supplied to the filling section 11 and filled in a container such as a can, a bottle, a plastic bottle, a paper pack, or the like.

도 1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유량계(12, 15)가 송액 펌프(2)와 탈기수단(3)의 사이 및 송액 펌프(9)와 살균수단(10)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배관(24) 내의 음료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량계(16, 17)가 불활성 가스 라인(21, 22)에 각각 설치되어 있고, 이들 불활성 가스 라인(21, 22) 내를 흐르는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의 유량을 계측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s can be seen from FIG. 1, the flowmeters 12, 15 are provided between the liquid feed pump 2 and the degassing means 3 and between the liquid feed pump 9 and the sterilization means 10.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beverage in the). In addition, as shown, the flowmeters 16 and 17 are provided in the inert gas lines 21 and 22, respectively, and the flow volume of the inert gas which flows in these inert gas lines 21 and 22, for example, nitrogen, is measured. I can do it.

음료 제조 장치(20)의 동작시에는 조합 탱크(1) 내에서 조합된 음료가 송액 펌프(2)에 의하여 조합 탱크(1)로부터 탈기수단(3)까지 공급된다. 다음으로, 탈기수단(3)에 있어서는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예를 들면 용존 산소가 탈기된다. 일례로서 도 1에 도시하는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탈기수단(3)으로서 사용하였을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탈기수단(3)은 탱크 형태로 되어 있고, 음료는 이 탱크 내에 축적된다. 다음으로, 불활성 가스 공급부(4) 내의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가 불활성 가스 라인(21)을 통하여 탈기수단(3)의 음료 내에 공급된다. 이로써, 음료가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치환된다. 이 때, 음료 내의 용존 기체, 예를 들면 용존 산소가 불활성 가스의 기포 내에 흡수된다. 또한, 불활성 가스의 기포는 용존 기체를 포함한 상태로 음료의 액면까지 부상하므로, 음료를 불활성 가스에 의하여 치환한 후에는 음료 내의 용존 기체량은 큰 폭으로 저하된다. In the operation of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20, the beverage combined in the combination tank 1 is supplied from the combination tank 1 to the degassing means 3 by the liquid feeding pump 2. Next, in the degassing means 3, dissolved gas, such as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is degassed. As an example, the case where the inert gas stripping part shown in FIG. 1 is used as the degassing means 3 is demonstrated. In this case, the degassing means 3 is in the form of a tank, and beverages are accumulated in this tank. Next, an inert gas, for example nitrogen, in the inert gas supply part 4 is supplied into the beverage of the degassing means 3 via the inert gas line 21. As a result, the beverage is replaced by an inert gas. At this time, dissolved gas, such as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is absorbed into the bubbles of the inert gas. In addition, since bubbles of the inert gas float up to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n the state containing the dissolved gas, the amount of dissolved gas in the beverage is greatly reduced after the beverage is replaced by the inert gas.

그러나, 불활성 가스에 의한 치환을 실시하는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탈기수단(3)으로서 채용하였을 경우에는 용존 기체를 포함한 불활성 가스의 기포는 음료의 액면 근처까지 부상한 후에 소멸되지 않고, 기포로서 음료의 액면상 또는 액면하에 머물게 된다. 또한, 불활성 가스에 의한 치환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면, 용존 기체를 포함한 불활성 가스의 기포의 수도 연속적으로 증가하는데, 이 때문에, 이들 기포는 음료의 주로 액면에 비교적 두꺼운 층을 이루며 퇴적된다. 다른 방식, 예를 들면 탈기기 또는 스태틱 믹서를 탈기수단(3)으로서 채용하였을 경우에도 불활성 가스를 이용하는지 여부에 상관없이 기포로 이루어지는 층이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However, when an inert gas stripping portion that substitutes by an inert gas is employed as the degassing means 3, bubbles of inert gas containing dissolved gas do not disappear after rising to the liquid level near the beverage, and the beverage is bubbled. It stays on or below the face of. In addition, when the substitution by the inert gas is carried out continuously, the number of bubbles of the inert gas including the dissolved gas is continuously increased. Therefore, these bubbles are deposited in a relatively thick layer mainly on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When another method, for example, a deaerator or a static mixer is employed as the deaeration means 3, a layer made of bubbles is similarly formed regardless of whether or not an inert gas is used.

그런데, 이와 같은 기포로 이루어지는 층이 음료의 액면에 형성되어 있은 경우에는 음료를 후공정에 공급하는 것이 곤란해질 뿐만 아니라, 기포가 후공정 장치, 예를 들면 살균수단(10) 내부에 부착되어 그 장치의 기능을 해치는 경우가 있다. However, when such a layer of bubbles is formed on the liquid level of the beverage, it becomes difficult to supply the beverage to the post process, and the bubbles are attached inside the post process apparatus, for example, the sterilizing means 10, There is a case of impairing the function of the device.

또한, 기포 내부의 기체는 음료로서 필요 없기는 하지만, 기포를 형성하는 막의 부분은 음료로서 필요하고, 이들 기포를 기포의 막과 함께 제거하였을 경우에는 최종적인 음료의 성분 및 풍미가 당초 예정하고 있던 성분 및 풍미와는 달라지는 경우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기수단(3)에 있어서 형성한 기포의 막을 파단하기 위한 파포수단(5)을 탈기수단(3)의 하류 측에 설치하고 있다. 또한, 음료를 탈기수단(3)으로부터 파포수단(5)까지 적절히 공급하기 위하여, 탈기수단(3)과 파포수단(5) 사이의 배관(24)의 내경을 다른 부분보다 크게 하거나, 또는 파포수단(5)를 탈기수단(3)에 인접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although the gas inside a bubble is not needed as a drink, the part of the film | membrane which forms a bubble is needed as a drink, and when these bubbles are removed with the film | membrane of a bubble, the component of the final drink and the flavor originally planned for And may differ from the flavor. For this reason, in this invention, the blowing means 5 for breaking the film | membrane of the bubble formed in the degassing means 3 is provided in the downstream side of the degassing means 3. As shown in FIG. In addition, in order to properly supply the beverage from the degassing means 3 to the desorption means 5, the inner diameter of the pipe 24 between the degassing means 3 and the desorption means 5 is made larger than other parts, or the desorption means (5) is preferably arranged adjacent to the degassing means (3).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일례로서의 파포수단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나는 파포수단(5)은 전술한 기포의 막을 파단, 즉 파포하기 위한 파포 펌프(5)의 형태를 이루고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포 펌프(5)의 실질적으로 원통 형상의 케이싱(31)에는 입구부(32)와 출구부(33)가 설치되어 있다. 입구부(32)는 도 1에 도시하는 배관(24)에 의하여 탈기수단(3)에 접속되어 있고, 출구부(33) 배관(24)에 의하여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31)에는 흡인구(35)가 형성되어 있고, 이 흡인구(35)는 도 1에 나타내는 진공 라인(23)에 의하여 배출수단을 구성하는 드레인 세퍼레이터(6) 및 진공 펌프(7)까지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파포펌프(5)는 케이싱(31) 내에 회전축부(41)을 구비하고 있고 회전축부(41)의 선단(43)은 흡인구(35)에 대면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싱(31) 내부는 칸막이 부재(36)에 의하여 제1실(37)과 제2실(38)로 나누어져 있다. 또한, 회전축부(41)의 기단은 베어링(34)을 거쳐 케이싱(31)으로부터 돌출되는 동시에 모터(49)에 접속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회전축부(41)의 선단(43) 측에 위치하는 제1실(37) 내에는 분리 날개(42)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축부(41)의 기단 측에 위치하는 제2실(38)에는 주(主)날개차(4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2실(38)에 있어서는 복수의 대략 L자 형상의 인듀서(45)가 분리 날개(42)와 주날개차(44)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eaking device as an example in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istering means 5 shown in FIG. 2 have the form of a blister pump 5 for breaking, ie, breaking, the above-mentioned film of bubbles. As shown in FIG. 2, the inlet part 32 and the outlet part 33 are provided in the substantially cylindrical casing 31 of the swash pump 5. The inlet part 32 is connected to the degassing means 3 by the piping 24 shown in FIG. 1, and is connected to the inert gas displacement tank 8 by the outlet part 33 piping 24. As shown in FIG. In addition, a suction port 35 is formed in the casing 31, and the suction port 35 has a drain separator 6 and a vacuum pump 7 constituting the discharge means by the vacuum line 23 shown in FIG. 1. Connected to As shown in FIG. 2, the wave pump 5 is equipped with the rotating shaft part 41 in the casing 31, and the front end 43 of the rotating shaft part 41 is arrange | positioned so that the suction port 35 may face. The inside of the casing 31 is divided into the 1st chamber 37 and the 2nd chamber 38 by the partition member 36. As shown in FIG. The base end of the rotating shaft portion 41 protrudes from the casing 31 via the bearing 34 and is connected to the motor 49. As shown in the drawing, the separating vanes 42 are provided in the first chamber 37 located on the tip 43 side of the rotary shaft 41, and the second chamber located on the proximal end of the rotary shaft 41. Main blade vanes 44 are provided at 38. In the second chamber 38, a plurality of substantially L-shaped inducers 45 are provided between the separating blade 42 and the main wing vehicle 44.

파포펌프(5)의 동작시에는 모터(49)에 의하여 회전축부(41)가 회전한다. 또한 다수의 기포를 포함한 음료가 입구부(32)로부터 파포펌프(5)의 제2실(38) 내에 공급된다. 인듀서(45)를 구비한 회전축부(41)가 회전하고 있으므로, 다량의 기포를 포함하고 있는 음료의 액체 부분은 원심력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원통형 케이싱(31)의 내주면 부분(48)에 집적하게 된다. 한편, 실질적으로 원통형 케이싱(31)의 중심부분, 즉 회전축부(41) 주위는 부압(負壓)이 되므로, 음료 중 기포 부분은 회전축부(41) 주위에 집중된다. 또한, 흡인구(35)가 진공 라인(23)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회전축부(41) 주위에 집중된 기포는 칸막이부재(36)와 회전축부(41) 사이의 간극(40)을 거쳐 제2실(38)로부터 제1실(37)까지 이동하게 된다. 제1실(37)에 있어서는 분리 날개(42)가 회전축부(41) 주위로 회전하고 있고, 이들 분리 날개(42)에는 복수의 구멍(46)이 회전축부(41)의 기단으로부터 선단(43)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실(37) 내로 이동한 기포가 흡인구(35)를 향하여 흡인될 때에, 기포는 분리 날개(42)의 구멍(46)을 통과한다. 이 때, 기포가 구멍(46)의 내벽에 충돌함으로써, 기포를 형성하는 막이 파단된다. 이로써 기포는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와 기포의 막 내에 갇혀있던 기체로 분리된다. 다음으로 이들 액체 및 기 체는 구멍(46)을 거쳐 제1실(37) 내의 흡인구(35) 부근까지 이동하게 되는데, 비교적 질량이 작은 기체만이 흡인구(35)를 거쳐 흡인되고, 비교적 질량의 큰 액체는 제1실(37) 내에 머물게 된다. 그 다음으로, 이들 액체는 도 2의 하부에 나타나는 제1실(37)과 제2실(38) 사이의 틈새(39)를 거쳐 다시 제2실(38) 내로 돌아온다. 최종적으로, 제2실(38) 내에 있어서의 음료의 액체 부분은 주날개차(44)에 의하여 출구부(33)로부터 유출되고, 도 1에 도시하는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로 공급된다. 배출수단에 의하여 기체를 완전히 배출함으로써, 한 번 탈기한 기체가 재차 용해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출수단으로서는 진공 펌프가 바람직하지만, 음료로부터 생긴 기체를 배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떠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When the wave pump 5 operates, the rotating shaft portion 41 rotates by the motor 49. In addition, a beverage including a plurality of bubbles is supplied from the inlet portion 32 into the second chamber 38 of the paw pump 5. Since the rotating shaft portion 41 with the inducer 45 is rotating, the liquid portion of the beverage containing a large amount of bubbles is accumulated i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portion 48 of the cylindrical casing 31 by centrifugal force. . On the other hand, sin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cylindrical casing 31, that is, arou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41 becomes negative pressure, the bubble portion in the beverage is concentr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41. In addition, since the suction port 35 is connected to the vacuum line 23, bubbles concentrated arou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41 pass through the gap 40 between the partition member 36 and the rotation shaft portion 41 in the second chamber. It moves to the 1st chamber 37 from 38. FIG. In the first chamber 37, the separating blades 42 are rotated around the rotary shaft portion 41, and in these separation blades 42, a plurality of holes 46 are distal from the base end of the rotary shaft portion 41. It is formed in the direction toward (). When the bubble moved into the first chamber 37 is sucked toward the suction port 35, the bubble passes through the hole 46 of the separation blade 42. At this time, when the bubble collides with the inner wall of the hole 46, the film forming the bubble breaks. As a result, the bubbles are separated into a liquid forming a film of bubbles and a gas trapped in the film of bubbles. Next, these liquids and gases move through the holes 46 to the vicinity of the suction port 35 in the first chamber 37. Only a gas having a relatively small mass is sucked through the suction port 35 and relatively The large liquid of mass stays in the first chamber 37. Then, these liquids return to the second chamber 38 again through the gap 39 between the first chamber 37 and the second chamber 38 appearing in the lower part of FIG. 2. Finally, the liquid part of the beverage in the 2nd chamber 38 flows out from the outlet part 33 by the main wing vehicle 44, and is supplied to the inert gas substitution tank 8 shown in FIG. By completely discharging the gas by the discharging means,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gas once degassed from being dissolved again. Moreover, although a vacuum pump is preferable as a discharge means, as long as it can discharge the gas which arose from the drink, what kind of structure may be sufficient.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파포수단(5)을 통과한 음료는 기포를 거의 포함하지 않은 상태로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에 공급된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불활성 가스 공급부(4) 내의 불활성 가스, 예를 들면 질소가 불활성 가스 라인(22)을 통하여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의 상부에 공급되고 있다.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 내에 산소를 포함한 기체, 예를 들면 공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음료가 산화될 가능성이 있으나,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 내에 불활성 가스를 공급함으로써, 음료가 산소와 접촉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로써, 음료의 산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산소의 재용해가 일어나기 어려운 등의 경우,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를 대신하여 개방형 탱크를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Referring again to FIG. 1, the beverage passing through the breaking means 5 is supplied to the inert gas displacement tank 8 with almost no bubbles. As shown in the drawing, an inert gas, such as nitrogen, in the inert gas supply unit 4 is suppli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through the inert gas line 22. If a gas containing oxygen, such as air, is present in the inert gas displacement tank 8, the beverage may be oxidized. However, by supplying an inert gas into the inert gas displacement tank 8, the beverage may come into contact with oxygen. Can be avoided, thereby avoiding oxidation of the beverage.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re-dissolution of oxygen hardly occurs, an open tank may be used instead of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다음으로 음료는 송액 펌프(9)에 의하여 소정의 유량으로 살균수단(10)에 공급된다. 살균수단(10)에 있어서는 음료를 소정의 온도, 예를 들면 80℃ 내지 130℃에서 1분 내지 20분 정도 체류시키는데, 이것으로 음료가 살균된다. 살균수단(10)에 있어서 살균시에는 음료를 소정의 유량으로 공급할 필요가 있으나, 전술한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를 버퍼 탱크로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유량의 음료를 살균수단(10)에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가열 처리에 의하여 음료를 살균하는 경우에는 음료 내의 용존 산소가 음료 내의 특정 성분도 산화시킬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탈기수단(3)에 있어서 음료의 용존 기체, 특히 용존 산소를 줄이고 있으므로, 가열 살균시에 음료가 산화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음료는 살균수단(10)으로부터 충전부(11)까지 공급되어 용기, 예를 들면 캔, 병, 패트병, 종이 팩 등에 충전된다.  The beverage is then supplied to the sterilization means 10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by the liquid feeding pump 9. In the sterilization means 10, the beverage is held at a predetermined temperature, for example, 80 DEG C to 130 DEG C for about 1 to 20 minutes, whereby the beverage is sterilized. In the sterilization means 10, it is necessary to supply the beverage at a predetermined flow rate at the time of sterilization. However, since the inert gas replacement tank 8 described above can be used as a buffer tank, the beverage having a predetermined flow rate is applied to the sterilization means 10. We can supply reliably. When disinfecting a beverage by heat treatment,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may oxidize certain components in the beverage.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gassing means 3 reduces the dissolved gas of the beverage, in particular dissolved oxygen. It is possible to avoid oxidizing the beverage at the time. Finally, the beverage is supplied from the sterilization means 10 to the filling section 11 and filled in a container such as a can, a bottle, a plastic bottle, a paper pack, or the like.

본 발명의 파포수단(5),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나는 파포펌프(5)에 있어서는 음료 내에 포함되는 기포를 형성하는 막을 분리 날개(42)에 의하여 적극적으로 파단하고 있다. 또한 파포수단(5)에 있어서 기포의 막 내에 갇혀있던 기체와 이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분리함과 동시에,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음료와 함께 회수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는 음료의 성분이 막을 형성하고 있지 않은 액체 부분의 음료의 성분과 다른 경우에는 최종적인 제품으로서의 음료의 성분 및 풍미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음료로서 회수하고 있으므로, 음료의 풍미를 해치지 않고, 음료에 형성된 기포를 배제하고, 음료 내의 용존 기체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포수단(5)에 있어서는 기포를 형성하는 막을 적극적으로 파단 하고 있으므로, 극히 단시간 내에 기포 제거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이렇게 함으로써, 음료 제조 라인의 동작 효율을 저하시키지 않고, 이 파포수단(5)을 음료 제조 라인에 넣을 수 있다. 또한, 파포수단(5)의 일례로서 파포펌프를 도시하고 있으나, 파포수단(5)은 전술한 파포펌프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기포를 형성하고 있는 막을 적극적으로 파단하는 모든 형태의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In the blistering means 5 of this invention, for example, the blister pump 5 shown in FIG. 2, the membrane | membrane which forms the bubble contained in a drink is actively broken by the separating blade 42. As shown in FIG. In addition, the trapping means 5 separates the gas trapped in the membrane of the bubble from the liquid forming the membrane and recovers the liquid forming the membrane of the bubble together with the beverage. As described above, if the component of the beverage forming the membrane of the bubble is different from the component of the beverage of the liquid portion which does not form the membrane, there may be a problem in the component and flavor of the beverage as the final product. Since the liquid which formed the film | membrane of a bubble is collect | recovered as a drink, the bubble formed in a drink can be excluded and the dissolved gas in a drink can be reduced, without impairing the flavor of a drink. In addition, since the film | membrane which forms foam | bubble is actively fracture | ruptured in such a breaking means 5, the bubble removal effect can be acquired in a very short time. By doing this, this breaking means 5 is carried out without reducing the operation efficiency of a beverage production line. ) Can be added to the beverage production line. In addition, although the wave pump is shown as an example of the wave breaking means 5, the wave breaking means 5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wave pump, and includes all the forms which actively break the film | membrane which forms a bubble. do.

녹차잎 30 g을 75℃의 순수한 물 1050 g으로 5분간 추출하고, 추출액으로부터 차잎을 제거하여 냉각 후, 원심분리하고, 그 후 L-아스코르브산, 탄산수소나트륨, 순수(純水)를 가하여 4 L로 조정하였다. 그 후,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N2)를 이용한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탈기수단(3)으로서 사용하고, 질소 가스 플로우 하에서 충전 밀봉하고, 살균수단(10)에 있어서 120℃, 1 분의 조건으로 살균을 실시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이 때의 용존 산소량, 비타민 C의 양, 관능 평가를 표 1에 나타낸다. 30 g of green tea leaves were extracted with 1050 g of 75 ° C. pure water for 5 minutes, the tea leaves were removed from the extract, cooled, centrifuged, and then L-ascorbic acid, sodium bicarbonate, pure water was added to Adjusted to L. Then, nitrogen (N 2) for using an inert gas, the stripping section stripping means 3 is used as, and filled sealed under a nitrogen gas flow, and sterilizing means (10), 120 ℃, conditions of 1 minute in an inert gas Sterilization was carried out to obtain a product. Table 1 shows the dissolved oxygen amount, the amount of vitamin C, and the sensory evaluation at this time.

수준level 탈기체 조건Outgassing conditions 용존 산소(ppm) Dissolved oxygen (ppm) 비타민 C(ppm)Vitamin C (ppm) 관능 평가Sensory evaluation 1One 탈기체 작용 없음No outgassing action 7.937.93 350350 22 N2 스트립핑 15분N 2 15 minutes stripping 1.761.76 399399 33 N2 스트립핑 60분N 2 60 minutes stripping 0.40.4 416416

◎: 대단히 양호, ○:양호, △: 보통, ×: 불량◎: Very good, ○: Good, △: Normal, ×: Poor

탈기수단(3)에 의한 탈기를 실시하지 않는 「수준 1」의 경우에는 최종적인 음료의 용존 산소는 약 8 ppm이었다. 표 1 내의 「수준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질소에 의한 스트립핑을 15분간 실시하였을 경우의 용존 산소는 약 1.8 ppm이며, 「수준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질소에 의한 스트립핑을 60분간 실시하였을 경우의 용존 산소는 약 0.4 ppm였다. 즉, 탈기수단(3)에 의한 탈기, 이 경우에는 질소 가스에 의한 스트립핑을 장시간에 걸쳐서 실시할수록, 음료 내의 용존 산소가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비타민 C의 양은 탈기를 실시하지 않는「수준 1」의 경우가 가장 낮고, 이것은 탈기 후의 후공정, 특히 살균공정에 있어서 비타민 C가 산화 분해에 의하여 저감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용존 산소를 줄인「수준 2」,「수준 3」의 경우에는 비타민 C의 저하는 억제되고, 용존 산소가 적은「수준 3」의 경우가 「수준 2」의 경우보다 비타민 C의 저하가 적어졌다. 또한, 관능평가에 있어서도 비타민 C가 많을수록 좋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 경우, 용존 산소가 0.4 ppm 정도, 조금 여유있게 잡는 경우에는 용존 산소량이 0.5 ppm 이하이면, 관능적으로 우위에 있는 품질의 음료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In the case of "level 1" which does not perform degassing by the degassing means 3, the dissolved oxygen of the final beverage was about 8 ppm. As shown in "Level 2" in Table 1, dissolved oxygen is approximately 1.8 ppm when stripping with nitrogen is carried out for 15 minutes, and stripping with nitrogen is carried out for 60 minutes as shown in "Level 3". The dissolved oxygen of was about 0.4 ppm.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more the degassing by the degassing means 3, in this case, stripping with nitrogen gas over a longer time, the lower the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In addition, the quantity of vitamin C is the lowest in the case of "level 1" which does not perform degassing, and it can be estimated that vitamin C was reduced by oxidative decomposition in the post-degassing process, especially sterilization process after degass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level 2" and "level 3" which reduced dissolved oxygen, the fall of vitamin C is suppressed, and in the case of "level 3" which has little dissolved oxygen, the fall of vitamin C is lower than in the case of "level 2". Is less. In the sensory evaluation, more vitamin C resulted in better results. In this case, when dissolved oxygen is about 0.4 ppm and a little space is taken, it turns out that whe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s 0.5 ppm or less, the beverage of a sensory superior quality can be obtained.

또한, 표 2는 음료로서 통상의 물을 채용하였을 경우의 파포펌프 전(파포수단(5)전)에 있어서의 용존 산소량을 나타내고 있다. 표 2에 있어서는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N2)를 이용한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탈기수단(3)으로서 사용하였다. 이 탈기수단(3)에 음료를 통과시키기 전의 용존 산소량은 7.91ppm이었다. In addition, Table 2 has show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bubble pump (before the bubble means 5) when normal water is employ | adopted as a drink. In Table 2, an inert gas stripping part using nitrogen (N 2 ) as the inert gas was used as the degassing means (3).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before passing the beverage through this degassing means 3 was 7.91 ppm.

파포펌프 전Before paw pump 음료 유량(L/min)Drink flow rate (L / min) 1010 2020 3030 N2 유량(L/min) N 2 Flow rate (L / min) 1010 0.360.36 0.70.7 10.7510.75 1.081.08 1414 0.230.23 0.340.34

단위 ppmUnit ppm

탈기수단(3)에 있어서의 음료의 유량 및 질소의 유량을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여러 가지로 변경하였더니, 음료의 유량이 클수록, 용존 산소량도 큰 것을 알 수 있다. 이것은 음료 유량이 큰 경우에는 음료의 탈기수단(3) 내에서의 체류 시간이 작아지므로, 용존 산소를 충분히 치환할 수 없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한편, 질소의 유량이 큰 경우에는 치환이 촉진되므로,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은 작아진다. When the flow rate of the drink and the flow rate of nitrogen in the degassing means 3 were changed in various ways as shown in Table 2, it turns out that the larger the flow volume of a drink, the larger the dissolved oxygen amount. This is presumably because the residence time in the degassing means 3 of a drink becomes small when a beverage flow volume is large, and since dissolved oxygen cannot fully be substituted. On the other hand, when nitrogen flow rate is large, since substitution is accelerated | stimulated,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a drink becomes small.

파포펌프 후After paw pump 음료 유량(L/min)Drink flow rate (L / min) 1010 2020 3030 N2 유량(L/min) N 2 Flow rate (L / min) 1010 0.270.27 0.260.26 10.7510.75 0.570.57 1414 0.270.27 0.290.29

단위 ppmUnit ppm

표 3은 표 2와 동일한 조건에 있어서의 음료의 파포펌프 후(파포수단(5) 후)에 있어서의 용존 산소량을 나타내고 있다. 파포펌프는 진공 펌프(7)로부터의 진공 라인(23)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표 2의 경우와 비교하면 용존 산소량은 적은 양이긴 하지만 저하하는 경향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불활성 가스로서 질소(N2)를 이용한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를 탈기수단(3)으로서 사용하였을 때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용존 산소량이 약 8 ppm인 녹차 조합액을 송액 펌프(2)에 의하여 조합 탱크(1)로부터 탈기수단(3)까지 공급한다. 탈기수단(3)에 있어서의 질소의 유량은 10 L/min, 음료의 유량은 20 L/min이다. 다음에 파포수단(5)로서 채용한 파포펌프에 대하여 파포처리를 실시한 후의 음료를 10 L만 10 L용 메스실린더에 채취하였다. 표 4는 이 때의 용존 산소량과 기포의 비율(메스실린더 내에 있어서의 거품 높이/메스 실린더의 높이)을 나타내고 있다. Table 3 has show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after the bubble pump (after the foaming means 5) of the drink on the conditions similar to Table 2. Since the wave pump is connected to the vacuum line 23 from the vacuum pump 7, it turns out that compared with the case of Table 2, although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s small, it tends to fall. Further, another embodiment when the inert gas stripping section using nitrogen (N 2 ) as the inert gas is used as the degassing means 3 will be described. A green tea combination liquid having a dissolved oxygen amount of about 8 ppm is supplied from the combination tank 1 to the degassing means 3 by the liquid feeding pump 2. The flow rate of nitrogen in the degassing means 3 is 10 L / min, and the flow volume of a drink is 20 L / min. Next, only 10 L of the 10-L measuring cylinder for 10 L was collected after the blistering process was performed about the bubble pump employ | adopted as the foaming means 5. Table 4 has shown the ratio of the dissolved oxygen amount and the bubble at this time (foam height / height of a measuring cylinder in a measuring cylinder).

용존 산소량(ppm)Dissolved oxygen (ppm) 거품(거품 높이/메스실린더 높이) Bubble (bubble height / mass cylinder height) 파포펌프 전Before paw pump 0.270.27 0.490.49 파포펌프 후After paw pump 0.23 0.23 00

표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탈기수단(3)에 공급하기 전에는 8 ppm인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은 탈기수단(3) 통과 후(파포펌프 전)에 0.27 ppm까지 저하되고, 또한 파포펌프 후에 있어서도 적은 양이긴 하지만 저하되어 최종적으로는 0.23 ppm이 된다. 또 파포펌프 전에 있어서는 메스실린더 내의 거품 높이가 22 cm, 메스실린더 높이가 45 cm이므로 거품 높이의 비율은 약 0.49이다. 이것에 대하여, 파포펌프 후에 있어서는 거품 높이는 Ocm이므로, 거품 높이의 비율도 0이 된다. 즉, 이 경우의 파포펌프, 즉, 파포수단(5)에 있어서의 처리에 의하여 음료 내의 기포를 거의 완전하게 없앨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As shown in Table 4, before supplying to the degassing means 3,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which is 8 ppm, drops to 0.27 ppm after passing the degassing means 3 (before the papo pump), and even after the papo pump is small. However, it is lowered and finally reaches 0.23 ppm. In addition, since the bubble height in a measuring cylinder is 22 cm and the measuring cylinder height is 45 cm before a bubble pump, the ratio of foam height is about 0.49. On the other hand, since a bubble height is Ocm after a bubble pump, the ratio of bubble height becomes zero.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the bubble in the beverage can be almost completely eliminated by the bubble pump in this case, that is, by the treatment in the breakout means 5.

카페인(ppm)Caffeine (ppm) EGCG(ppm)EGCG (ppm) 관능 결과Sensory results 처리 전Before treatment 8282 179179 처리 후After treatment 8282 180180

◎: 대단히 양호, ○:양호, △: 보통, ×: 불량◎: Very good, ○: Good, △: Normal, ×: Poor

또한, 표 5는 탈기수단에 있어서의 처리 전과 파포수단에 있어서의 처리 후의 음료, 즉 녹차 조합액 내의 카페인 및 카테킨류의 에피갈로 카테킨 갈레이트(이하, 「EGCG」라고 부른다)의 양을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하여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표 5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처리의 전후에 있어서 향미에 관련되는 카페인 및 EGCG의 양은 변화되지 않았다. 또한 관능 결과에 있어서, 어느 경우에나 매우 양호한 관능 결과가 얻어졌다. 즉, 본 발명의 파포수단(5)에 있어서는 기포의 막을 파단하고,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회수하므로, 음료의 성분 및 풍미에 기초하는 관능 결과가 손상되지 않고, 극히 양호한 상태로 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파포수단(5)에 의하여 음료의 성분 및 풍미가 손상되지 않는다. In addition, Table 5 shows the amount of the epigallo catechin gallate (hereinafter referred to as "EGCG") of caffeine and catechins in the beverage, that is, the caffeine and the catechins in the green tea combination solution before the treatment in the degassing means and the defoamer means. The result measured by liquid chromatography is shown. As can be seen from Table 5, the amount of caffeine and EGCG related to the flavor was not chang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lso in the sensory results, very good sensory results were obtained in either case. That is, in the breaking means 5 of this invention, since the film | membrane of a bubble is broken and the liquid which formed the film | membrane of a bubble is collect | recovered, the sensory result based on the component and flavor of a drink is not impaired, and it is in the extremely favorable state. . That is, the components and flavors of the beverage are not impaired by the breaking means 5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형태에 기초하는 음료 제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1 is a schematic diagram of a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based o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 제조 장치에 있어서의 일례로서의 파포수단의 길이 방향 단면도이다. 2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breaking device as an example in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Descrip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

1 조합 탱크1 combination tank

2 송액 펌프2 liquid pump

3 탈기수단3 Degassing means

4 불활성 가스 공급부4 inert gas supply

5 파포수단5 Breaking means

6 드레인 세퍼레이터6 drain separator

7 진공 펌프7 vacuum pump

8 불활성 가스 치환 탱크8 inert gas displacement tank

9 송액 펌프9 fluid pump

10 살균수단10 Sterilization Means

11 충전부11 live parts

12, 15, 16, 17 유량계12, 15, 16, 17 flow meter

13, 14, 18 압력계13, 14, 18 pressure gauge

20 음료 제조 장치20 beverage making equipment

21, 22 불활성 가스 라인21, 22 inert gas line

23 진공 라인23 vacuum lines

24 음료용 배관24 Beverage Lines

Claims (14)

음료의 탈기공정 후에, After the degassing of the beverage, 상기 탈기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기포의 파포공정을 두고, 상기 파포공정이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상기 음료로 돌려보내는 것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방법.And a bubble breaking step of the bubble formed by the degassing step, wherein the bubble step returns the liquid, which has formed a film of bubbles, to the beve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공정 후에 기체의 배출공정을 추가적으로 두는 음료 제조 방법. The bever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p of discharging a gas after the blistering ste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살균공정을 추가로 두는 음료 제조 방법. The bever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further comprising sterilizing the beverag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공정 후의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이 0.5 ppm 이하가 되도록 한 음료 제조 방법. The bever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after the degassing step is 0.5 ppm or les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공정 후의 음료 내의 용존 산소량이 0.5 ppm 이하가 되도록 한 음료 제조 방법. The beverage production method according to claim 3, wherein the amount of dissolved oxygen in the beverage after the degassing step is 0.5 ppm or le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거품이 이는 성질의 음료인 것인 음료 제조 방 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beverage is a foamy beverag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거품이 이는 성질의 음료인 것인 음료 제조 방법.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beverage is a foamy beverage. 음료의 탈기수단과, 상기 탈기수단에 의하여 상기 음료를 탈기할 때에 형성된 기포의 파포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파포수단이 기포의 막을 형성하고 있던 액체를 상기 음료로 돌려보내는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제조 장치.And a degassing means for bubbles formed when degassing the beverage by the degassing means, and the degassing means includes means for returning the liquid, which has formed a film of bubbles, to the beverage. . 제8항에 있어서, 기체의 배출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further comprising gas discharge means.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의 살균수단을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or 9, further comprising sterilization means for the beverag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이 탈기기,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 스태틱 믹서 중 어느 하나를 탈기수단으로서 채용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degassing means employs any of a deaerator, an inert gas stripping unit, and a static mixer as the degassing means.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기수단이 탈기기, 불활성 가스·스트립핑부, 스태틱 믹서 중 어느 하나를 탈기수단으로서 채용하는 음료 제조 장치.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0, wherein the degassing means employs any of a deaerator, an inert gas stripping unit, and a static mixer as the degassing means.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수단이 기포의 막을 파단할 수 있는 펌프인 음료 제조 장치.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8, wherein the breaking means is a pump capable of breaking the membrane of bubble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파포수단이 기포의 막을 파단할 수 있는 펌프인 음료 제조 장치. 13. The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foaming means is a pump capable of breaking the membrane of bubbles.
KR1020087010640A 2003-10-03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KR2008005053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45981A JP2005110527A (en) 2003-10-03 2003-10-03 Drink-producing method and drink-producing apparatus
JPJP-P-2003-00345981 2003-10-03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180A Division KR20060097113A (en) 2003-10-03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0530A true KR20080050530A (en) 2008-06-05

Family

ID=3441948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180A KR20060097113A (en) 2003-10-03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KR1020087010640A KR20080050530A (en) 2003-10-03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06180A KR20060097113A (en) 2003-10-03 2004-09-30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5110527A (en)
KR (2) KR20060097113A (en)
CN (1) CN1863465A (en)
TW (1) TWI296940B (en)
WO (1) WO2005032280A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08A (en) 2015-05-26 2016-12-06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Juice processing tank with a multi-functio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91362B (en) 2006-12-01 2015-07-11 Meiji Co Ltd A method of manufacture fermented milk, and fermented milk
JP5546869B2 (en) 2008-01-21 2014-07-09 株式会社明治 Method for producing liquid food, method for producing powdered food using the same, and method for producing skim milk powder
DK2294926T3 (en) 2008-06-30 2015-02-02 Meiji Co Ltd Process for making sour milk
SG173789A1 (en) 2009-02-25 2011-09-29 Meiji Co Ltd Cultured milk with low lactose cont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2606739A4 (en) 2010-08-21 2015-10-07 Meiji Co Ltd Fermented milk having little lactos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FR2964884B1 (en) * 2010-09-16 2017-04-28 Air Liquide METHOD AND SYSTEM FOR ONLINE DEOXYGENATION OF FOOD OR PHARMACEUTICAL FLUIDS
EP2682000A4 (en) 2011-03-04 2014-10-08 Meiji Co Ltd Fermented milk with improved flavor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10413853B2 (en) 2014-12-02 2019-09-17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Gas-liquid separator
WO2016121659A1 (en) * 2015-01-26 2016-08-04 株式会社 横田製作所 Gas-liquid separation device
EP3420859A1 (en) * 2017-06-30 2019-01-02 Koninklijke Philips N.V. A juicing apparatus and juicing method
CN109864585B (en) * 2017-12-05 2021-04-20 广东美的生活电器制造有限公司 Milk maker
DE102018206313A1 (en) * 2018-04-24 2019-10-24 Krones Ag Degassing plant and method for carrying out a degassing process of a liquid and beverage treatment machine
JP7250083B2 (en) * 2021-09-03 2023-03-31 岩井機械工業株式会社 Sterilizer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8107A (en) * 1987-07-31 1989-02-08 Kanzaki Paper Mfg Co Ltd Defoaming device
JPH0780205A (en) * 1993-06-30 1995-03-28 Miura Co Ltd Selective deaeration and its device
JP3083798B2 (en) * 1997-02-27 2000-09-04 明治乳業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savory milk and fruit juice beverages
JPH10290667A (en) * 1997-04-18 1998-11-04 Sapporo Breweries Ltd Production of clear green tea beverage
US6629821B1 (en) * 1999-07-05 2003-10-07 Kabushiki Kaisha Yokota Seisakusho Pump apparatus
JP3091752B1 (en) * 1999-09-09 2000-09-25 明治乳業株式会社 Method for dissolving dissolved oxygen such as milk with nitrogen gas for sterilization and nitrogen gas replacement device
JP4606672B2 (en) * 2001-09-28 2011-01-05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Anti-browning agent, antioxidant and vitamin C decrease rate inhibitor
JP3978350B2 (en) * 2002-02-25 2007-09-19 株式会社高井製作所 Bubble liquefaction method using deaera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38808A (en) 2015-05-26 2016-12-06 농업회사법인 경북대학교포도마을주식회사 Juice processing tank with a multi-fun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5032280A1 (en) 2005-04-14
TWI296940B (en) 2008-05-21
CN1863465A (en) 2006-11-15
KR20060097113A (en) 2006-09-13
JP2005110527A (en) 2005-04-28
TW200523008A (en) 2005-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5053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beverage
JP4110663B2 (en) Vacuum degassing method for molten glass flow
KR101198108B1 (en) Process for producing soymilk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oymilk
JP4573904B1 (en) Method for producing hydrogen-containing water for beverages
US11759756B2 (en) Ultrafine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apparatus and ultrafine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method
JP3252975B2 (en) Glass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JP5449006B2 (en) Beverage production method and beverage production apparatus
JP20102527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beverage
JP5391751B2 (en) Container-packed bever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015134B2 (en) Method for reducing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in beverages
JP4660263B2 (en) Vacuum generator and method for starting the vacuum generator
US20210129090A1 (en) Ultrafine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apparatus and ultrafine bubble-containing liquid producing method
JP3785792B2 (en) Vacuum degassing equipment for molten glass
WO2003096825A1 (en) Carbonated beverage
CN108869310A (en) A kind of gas-liquid separation device on centrifugal pump
WO2006112457A1 (en) Apparatus for removing bubbles
WO2017042936A1 (en) Inkjet printer
JP3905371B2 (en) Deaerator
JP2000189708A (en) Deaeration device for removing gaseous component dissolved in liquid
JP2001046809A (en) Apparatus for reducing dissolved oxygen
JPH07222553A (en) Method for degassing tea drink
CN107362590A (en) A kind of liquid filtering degassing integration apparatus
JPH0568808A (en) Equipment and method for diaphragm vacuum deaeration
JP3774556B2 (en) Container-packed beverage manufacturing apparatus and activation method thereof
JP4354493B2 (en) Circulation facility and method for suppressing foam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