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843A -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843A
KR20080047843A KR1020060117794A KR20060117794A KR20080047843A KR 20080047843 A KR20080047843 A KR 20080047843A KR 1020060117794 A KR1020060117794 A KR 1020060117794A KR 20060117794 A KR20060117794 A KR 20060117794A KR 20080047843 A KR20080047843 A KR 20080047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evice
host device
signal
function
operat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7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영중
제퍼슨 올리비에라
레네 뮤니즈
이우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7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7843A/ko
Publication of KR20080047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8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51Execution arrangements for user interfa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06F9/4401Bootstrapping
    • G06F9/4406Loading of operating syste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219/00Program-control systems
    • G05B2219/30Nc systems
    • G05B2219/34Director, elements to supervisory
    • G05B2219/34256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표시 장치로 인가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호스트 장치의 구동 제어가 가능한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표시 장치와 연결되고, 소정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의 기능을 연동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는, 표시 장치에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외부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표시 장치에서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제어 신호에 따라 운영 체제의 기능과 대응되는 APIs를 호출하는 AP 소프트웨어부 및 호출된 APIs를 이용하여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API,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원격 제어, 리모콘, 직렬(serial) 통신

Description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HOST DEVIC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FOR THE HOST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컴퓨터 아키텍쳐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영상 시스템 200 : 표시 장치
210 : 신호 입력부 220 : 제1 제어부
230 :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 300 : 호스트 장치
310 :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 320 : 제2 제어부
330 : 메모리부 340 : 영상 처리부
350 : 표시부 400 : 원격 제어 장치
본 발명은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호스트 장치와 표시 장치로 구성된 영상 시스템에서 표시 장치로 인가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호스트 장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로젝션, 텔레비전(TV) 등과 같은 표시 장치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는 소정 영상으로 표시한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는 컴퓨터 또는 방송국 등과 같은 호스트 장치와 한 조를 이루어 호스트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소정 영상으로 표시하는 영상 시스템을 구성한다. 이러한 영상 시스템은 호스트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에 전송하기 위해 D-sub, USB 케이블 등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이때, 케이블을 통해 입력되는 영상 신호는 사용자가 컴퓨터를 제어함에 따라 형성되는 컴퓨터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로, 호스트 장치로부터 표시 장치로 단방향으로 전송된다.
이러한 영상 시스템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컴퓨터 화면보다 큰 대화면을 통해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표시하여 홈 씨어터(home theater)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고,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시 다수의 사람들이 동시에 컴퓨터 화면에 표시되는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만일, 이러한 영상 시스템을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용도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컴퓨터 화면에 대한 영상 신호가 단방향으로 전송됨에 따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프리젠테이션 시 하나 이상의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시켜 다양한 문서들을 통해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문서가 표시되더라도 다양한 페이지들을 구성된 문서를 통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응용 프로그램 또는 페이지를 변경함과 동시에 원활한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의 주변 위치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를 배치하고,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면서 컴퓨터 화면을 스크린 또는 텔레비전에 표시되도록 한다.
이때, 발표자는 프리젠테이션 수행을 보다 원할하게 하기 위해, 타인의 도움을 받아 컴퓨터를 조작하면서, 컴퓨터 화면을 스크린 또는 텔레비전에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의 주변 위치에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를 배치하여 프리젠테이션을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사용자가 단독으로 프리젠테이션 수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서는 호스트 장치의 주변에 사용자가 위치하여 컴퓨터 화면을 변경하여야 하나, 프리젠테이션 시 스크린 또는 텔레비전이 배치된 위치로 이동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프리젠테이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타인의 도움을 받아 프리젠테이션 수행하는 경우에 있어서, 타인과 사용자가 공동으로 프리젠테이션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원만한 진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 프리젠테이션의 준비 과정에 있어서 타인에게 도움을 요청해야 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에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입력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구동의 제어가 가능한 호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입력되는 외부 신호에 기초하여 호스트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표시 장치와 연결되고, 소정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의 기능을 연동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외부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과 대응되는 상기 APIs를 호출하는 AP 소프트웨어부 및 상기 호출된 APIs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는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과 상기 외부 신호의 매칭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는 상기 표시 장치와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RS-232C, IEEE1394, USB, IRDA 및 블루투스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 신 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는,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신호이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여 소정 APIs를 이용한 운영 체제 기능이 구동되도록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호스트 장치 이외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구동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부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신호는, 2 바이트 신호일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소정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의 기능을 연동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서의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신호이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APIs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호출된 APIs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는 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호스트 장치 이외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가 상기 제1 구동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상기 상태 확인 데이터가 상기 표시 장치에 수신될 때 상기 호스트 장치에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표시 장치의 리모콘 등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호스트 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 때도 표시된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 프리젠테이션 등에 영상 시스템을 적용하여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100)은 표시 장치(200), 호스트 장치(300) 및 원격 제어 장치(4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200)는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입력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가 CRT, LCD, PDP 등으로 구현된 텔레비전(TV) 수상기로 구성되는 경우, 안테나와 튜너(tuner)를 구비하여 방송국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 장치(200)는 사용자의 원격 제어 장치(400) 조작을 통해 출력되는 외부 신호에 의해 전원 온/오프(on/off), 채널 설정, 소리 설정 등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200)는 상술한 텔레비전 수상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터 등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다양한 표시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텔레비전 수상기를 일례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표시 장치(200)는 컴퓨터뿐만 아니라 DVD 플레이어 등과 같은 다양한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표시 장치(200)는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하여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300)와 연결되고, 호스트 장치(300)와 양방향으로 인터페이싱하여 제어 신호 및 영상 신호를 송수신한다.
이러한 표시 장치(200)는 컴퓨터와 같은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방송국 등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표시 장치(200)의 구동 모드는 사용자가 표시 장치(200) 외주면에 형성된 조작 패널을 통해 설정할 수 있고, 원격 제어 장치(400)에 형성된 조작 키를 통해 설정할 수도 있다.
호스트 장치(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 장치(200)에 소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모든 영상 기기로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구동 모드에서 표시 장치(200)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컴퓨터와, 제2 구동 모드에서 표시 장치(200)로 영상 신호를 제공하는 방송국, DVD 등의 외부 장치로 구분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호스트 장치(300)가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터로 구성되는 경우, 호스트 장치(300)는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해 표시 장치(200)와 연결되고, 데이터 링크를 통한 직렬 통신 방식에 의해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호스트 장치(300)에 표시되는 화면이 표시 장치(200)에 표시되도록 연결된 케이블(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영상 신호를 전송한다.
이러한 데이터 링크(Data Link)는 한 종류의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표시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300)가 상호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일례로, RS-232C, IEEE1394, USB, 블루투스(Bluntooth) 및 IrDA 중 선택된 하나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외에도 표시 장치(200)에서 호스트 장치(300)로 제어 신호를 상술한 직렬 통신 방식 등 다양한 통신 방식에 의해 인가할 수 있으면 족하고,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호스트 장치(300)는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표시 장치(200)로 인가하는 외부 신호에 따라 표시 장치(20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아, 제어 신호에 의해 호스트 장치(300)의 운영 체제의 소정 기능을 구동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이하, AP 소프트웨어)가 설치된다.
이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6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원격 제어 장치(400)는 일례로, 적외선(IR) 통신 방식을 통해 표시 장치(200)에 외부 신호를 입력하는 리모콘(Remote controller) 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400)는 다양한 조작 키를 구비하고, 각 조작 키에 기 설정된 기능에 따라 표시 장치(200)가 구동하도록 외부 신호를 출력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표시 장치(200)의 구동을 제어하고,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에 따라 호스트 장치(300)의 운영 체제의 소정 기능이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통신 방식에 의한 원격 제어 장치(400)에 관한 사항은 다양한 문헌 등을 통해 기 공지된 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영상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컴퓨터 아키텍쳐의 계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데이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의 구동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일례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영상 시스템(100)은 표시 장치(200) 및 호스트 장치(300)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200)는 신호 입력부(210), 제1 제어부(220) 및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입력부(210)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400)로부터 출력되고 적외선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외부 신호(S_Re)를 입력받아 제1 제어부(200)로 제공한다.
제1 제어부(220)는 일례로,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 Controller Unit)로 구성할 수 있고,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1 제어부(220)는 신호 입력부(210)를 통해 외부 신호(S_Re)를 입력받아 표시 장치(2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어부(220)는 표시 장치(200)의 구동 모드를 판단한다. 표시 장치(200)의 구동 모드는 사용자에 의해 원격 제어 장치(400) 또는 표시 장치(200) 외부에 조작 패널을 통해 설정될 수 있으며, 제1 제어부(220)는 컴퓨터로 구성된 호스트 장치(300)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방송국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 중 사용자가 설정한 구동 모드를 판단한다.
제1 제어부(220)는 먼저, 표시 장치(200)의 구동 모드가 제2 구동 모드로 판단한 경우, 호스트 장치(300)와의 연결 상태 또는 호스트 장치(300)에서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 무관하게 방송국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외부 영상 신호를 소정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제1 제어부(220)는 제1 구동 모드로 판단되는 경우, 신호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된 외부 신호(S_Re)를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로 출력한다.
이때, 외부 신호(S_Re)는 호스트 장치(300)에서 인식할 수 있는 제어 신호(CS)로 변환되어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로 출력될 수 있으며, 호스트 장치(300)에서 외부 신호(S_Re) 자체를 인식할 수 있는 경우에는 외부 신호(S_Re) 자체가 제어 신호(CS)로 출력될 수도 있다.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는 제1 구동 모드에서 제1 제어부(230)로부터 출력되는 제어 신호(CS)를 입력받아 연결된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해 호스트 장치(300)로 출력한다.
여기서, 제어 신호(CS)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 바이트(byte)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 신호(CS)의 상위 8비트에는 원격 제어 장치(400)에 포함된 각각의 조작 키 각각에 대응하는 데이터가 배치될 수 있으며, 하위 8비트에는 상위 8비트에 대한 사부 사항에 대한 데이터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영상 시스템(100)에는 제어 신호(CS)의 상위 8비트와 하위 8비트에 포함되는 데이터가 지시하는 커맨드(command)가 호스트 장치(300)에서 어떤 기능을 구동하도록 하는 커맨드인지에 대한 정의가 룩 업 테이블 등을 통해 기 설정되어 있어야 함은 자명한 사항이다.
호스트 장치(30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 제2 제어부(320), 메모리 부(330), 영상 처리부(340) 및 표시부(3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는 표시 장치(200)의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와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해 연결되어, 제1 구동 모드에서 제어 신호(CS)를 입력받아 제2 제어부(320)로 출력한다.
제2 제어부(320)는 일례로, 중앙 처리 장치(CPU)로 구성될 수 있고, 호스트 장치(3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제어한다. 또한, 제2 제어부(320)는 메모리부(330)를 제어하여, 호스트 장치(300)의 운영 체제를 구동시키고, 사용자가 키보드,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들을 수행할 때,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응용 프로그램이 구동하도록 제어한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한 제2 제어부(32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인가되는 제어 신호(CS)에 따라 호스트 장치(300)의 운영 체제의 기능 중 일부가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연동하여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메모리부(330)는 OS(Operational System)부(331), 응용 프로그램부(332),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 interface, 이하 APIs)(333), AP 소프트웨어(Application software)부, 구동 드라이버부(335)를 포함한다.
메모리부(330) 각각에 대한 설명에 앞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영상 시스템에서 컴퓨터 아키텍쳐의 계층 구조를 간략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 의한 AP 소프트웨어는 APIs를 이용하여 운영 체제(OS)의 일부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하고, OS는 하드웨어(hardware)를 구동 드라이버(device driver)를 통해 제어하여 소정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OS부(331)는 예를 들어, 리눅스(Linux), 윈도우즈(Windows)와 같은 컴퓨터의 운영 체제를 저장하고, 호스트 장치(300)의 부팅 시 제2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운영 체제가 독출되어 호스트 장치(300)의 운영 체제를 구축한다.
응용 프로그램부(332)는 사용자가 문서 등의 작성에 예를 들어, 파워 포인트, MS 워드, 엑셀 등 각종 응용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사용자가 소정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소정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 제2 제어부(320)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을 독출 및 실행한다.
APIs(333)은 운영 체제의 일부 기능을 응용 프로그램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로서, 1000여개 이상의 함수 집합으로 구성되어 있다. 응용 프로그램부(332)에 저장된 각종 응용 프로그램은 APIs(333)를 이용하여 운영 체제의 일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어 저장된다. 이러한 APIs(333)는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자가 함수를 응용 프로그램에 기술하기만 하면, 함수 호출에 의해 운영 체제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으로, 응용 프로그램의 개발이 편리하다. 이러한, APIs(333)는 표준화된 기술임으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AP 소프트웨어부(334)는 운영 체제의 기능을 외부 신호(S_Re)에 응답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응용 프로그램 소프트웨어를 저장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인스톨 화면을 통해 호스트 장치(300)에 설치된다.
AP 소프트웨어부(334)는 표시 장치(200)로부터 제어 신호(CS)가 입력되면, 제2 제어부(320)의 제어 하에, 제어 신호(CS)에 대응하는 운영 체제의 기능이 실행되도록 APIs(333)에 포함된 함수를 호출하고, 이에 의해, 운영 체제의 대응하는 기 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외부 신호(S_Re)가 제1 구동 모드에서 응용 프로그램 중 파워 포인트(Microsoft power point)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이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CS)가 호스트 장치(300)로 입력되면, AP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따라 대응되는 APIs 함수를 호출하고, 운영 체제를 제어하여 파워 포인트가 구동하도록 제어하다.
또한, 예를 들어, 외부 신호(S_Re)가 제1 구동 모드에서 구동중인 파워 포인트의 마우스 휠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이며, 이에 따라 제어 신호(CS)가 출력되면, AP 소프트웨어부(334)는 대응되는 APIs 함수를 호출하고, 운영 체제를 제어하여 파워 포인트의 마우스 휠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한다.
이에 대한 전제조건으로, 사용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신호(S_Re)와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하여 저장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원격 제어 장치(400)의 숫자 키 "1"을 파워 포인트를 실행하는 키로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원격 제어 장치(400)의 숫자 키 "1"을 눌렀을 경우, 제1 구동 모드에서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가 조합된 제어 신호(CS)가 제2 제어부(320)로 입력된다. 제2 제어부(320)는 이에 따라 AP 소프트웨어부(334)를 이용하여 운영 체제를 제어함으로써, 응용 프로그램부(332)에 저장된 파워 포인트를 실행하고,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다른 제어 신호(CS)가 입력되는지 검색하게 된다.
또한, 원격 제어 장치(400)의 특정 키가 마우스 휠 키로 매칭된 경우, 특정 키가 눌러졌을 경우, 제1 구동 모드에서 이에 대응하는 데이터 비트가 조합된 제어 신호(CS)가 제2 제어부(320)로 입력된다. 제2 제어부(320)는 이에 따라 AP 소프트웨어부(334)를 이용하여 하는 함수 예를 들어, 마우스 휠 기능을 수행하는 운영 체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마우스 휠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의 각 조작 키 구체적으로, 각 조작 키에서 출력되는 외부 신호와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킨 상태에서 APIs 함수를 호출함으로써, 운영 체제의 기능을 원격 제어 장치(400)를 통해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외부 신호와 응용 프로그램 및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하는 것은 개발자에 의해 셋팅될 수 있으며,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창를 통해 사용자가 셋팅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 드라이버부(335)는 운영 체제에 의해 호스트 장치(300)의 하드웨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드라이버들을 저장한다. 구동 드라이버부(335)는 제2 제어부(320)의 제어하에 운영 체제와 응용 프로그램들이 구동함에 따라 생성된 영상 신호들을 이용하여 그래픽 카드와 같은 영상 처리부(340) 또는 프린트(도시하지 않음) 등 다양한 하드웨어의 구동을 제어한다.
영상 처리부(340)는 구동 드라이버의 제어 하에, 운영 체제를 기반으로 구동된 응용 프로그램의 처리 결과와, 제어 신호(CS)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의 기능이 실행됨에 따른 처리 결과를 표시부(340)에 표시할 수 있도록 영상 신호로 출력한다. 또한, 영상 처리부(340)는 D-sub 케이블, DVI 케이블 등을 통해 처리된 영상 신호(S_im)를 표시 장치(200)로 출력하고, 표시 장치(200)는 입력된 영상 신 호(S_im)를 소정 영상으로 표시한다.
표시부(340)는 CRT, LCD, PDP 등으로 구성되어, 영상 처리부(34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를 육안으로 관찰 가능한 소정 영상으로 표시한다. 또한, 표시부(340)와 표시 장치(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이 형성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여 사용자로부터 AP 소프트웨어의 인스톨, 원격 제어 장치(400)의 조작 키와 응용 프로그램 또는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하는 제어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으며, 매칭 정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영상 시스템에서의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호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의 일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호스트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 장치로의 외부 신호 입력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S100),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가 제1 구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10), 외부 신호와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는 단계(S120),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상호 연결상태를 판단하는 단계(S130), APIs를 통해 외부 신호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S140), 영상 신호를 표시 장치로 전송 및 표시하는 단계(S150) 및 제2 구동 모드로 구동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단계 S100과 단계 S110은 표시 장 치(200)에서 수행하는 단계들로써, 단계 S100에서 제1 제어부(220)는 신호 입력부(210)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400) 등으로부터 외부 신호(S_Re)가 입력되는지 여부를 검출한다. 단계 110에서 제1 제어부(220)는 단계 S100을 통해 외부 신호(S_Re)가 검출되면, 표시 장치(220)의 구동 모드를 판단한다.
표시 장치(220)의 전원 온 시의 구동 모드나, 전원 온 후의 원격 제어 장치(400)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모드 제어 신호에 의해 변경된 구동 모드가 호스트 장치(30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인지, 아니면 이외의 외부 장치 예를 들어, 방송국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제2 구동 모드인 경우, 단계 S160을 수행한다. 이때, 제1 제어부(220)는 외부 신호를 표시 장치(200) 자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로 인식하고, 외부 신호의 제어에 의해 표시 채널을 변경하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여 방송국 등으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한다.
판단 결과, 제1 구동 모드인 경우, 단계 S120을 수행한다.
단계 S120에서 사용자는 외부 신호와 운영 체제의 기능을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의 각 조작 키가 눌러졌을 때, 출력되는 외부 신호와 각 조작 키에 대응하여 수행하고자 하는 운영 체제의 기능을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매칭시킨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 형성되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의 "Configure shortcuts..."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400)의 조작 키와,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이 표시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각 조작키에 대해 매칭을 시킨 후, "ok" 버튼을 선택하면, 도 6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창에 각 조작 키에 매칭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이해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단계 S110 이후에 외부 신호와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개발자에 의해 미리 셋팅될 수도 있으며, 단계 S100 이전 즉, 영상 시스템(100)의 현재 구동 전 사용자에 의해 미리 셋팅될 수도 있다.
단계 S130에서는 단계 S110에서 판단한 결과 표시 장치(200)의 구동 모드가 제1 구동 모드인 경우, 제1 제어부(2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와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단계 S130에서 다음의 단계를 수행하여 데이터 송수신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단계 S130은 호스트 장치(300)로 제1 상태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32), 제1 상태 확인 데이터의 수신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134) 및 표시 장치(200)로 제2 상태 확인 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S136)를 포함한다.
단계 S132에서 제1 제어부(2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에 소정 형식의 제1 상태 확인 데이터를 제공하여 호스트 장치(300)로 전송한다.
단계 S134에서 제2 제어부(320)는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에 제1 상태 확인 데이터가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표시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300) 가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해 정상적으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로부터 제1 상태 확인 데이터가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20)에 전송될 것임으로, 제2 제어부(320)는 제1 상태 확인 데이터가 전송됨을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300)가 상호 연결되어 있지 아니하거나, 비정상적으로 연결되는 경우, 제1 상태 확인 데이터는 제2 제어부(320)에 의해 검출되지 아니한다.
단계 S136에서 제2 제어부(320)는 제1 상태 확인 데이터를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입력받을 경우, 이에 대한 반향 신호로 제2 상태 확인 데이터를 표시 장치(200)에 출력한다. 반면, 제1 상태 확인 데이터가 입력되지 아니한 경우, 제2 상태 확인 데이터 또한 표시 장치(200)로 출력되지 아니한다.
이러한 단계들을 통해 단계 S130에서 제1 제어부(220)는 표시 장치(200)와 호스트 장치(300)가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판단하게 된다.
다시 도 8을 참조하면, 단계 S130에서 판단한 결과, 통신 인터페이스부가 상호 연결되지 아니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1 제어부(220)는 제1 통신 인터페이스부(230)로 제어 신호(CS)를 출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통신 인터페이스부의 연결 상태 확인을 종료하고, 표시 장치(200)의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노말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그러나, 제1 제어부(220)는 제1 구동 모드에 따라 단계 S130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단계 S140에서 제1 제어부(220)는 제1 구동 모드에서 호스트 장치(300)의 구동이 외부 신호에 따라 수행되도록 데이터 링크(Data Link)를 통해 제어 신호(CS)를 출력한다.
단계 S140에서 제2 통신 인터페이스부(310)를 통해 제2 제어부(320)로 제어 신호(CS)가 인가되면, 제2 제어부(320)는 AP 소프트웨어의 구동에 의해 제어 신호(CS)에 대응하는 APIs의 함수를 호출하고, 호출된 함수에 의해 운영 체제의 기능 중 입력된 제어 신호(CS)의 기능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현재 호스트 장치(300)에 응용 프로그램 중 파워 포인트가 실행되고 있는 중, 제어 신호(CS)가 마우스 휠 기능과 매칭된 조작 키가 눌러짐에 따라 출력된 제어 신호(CS)이면, 운영 체제의 기능 중 마우스 휠 기능이 APIs 함수 호출을 통해 실행되어 일 측에 배치된 스크롤 바가 이동하면서 현재 페이지 중 미 표시된 부분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 신호(CS)가 파워 포인트를 실행하는 키와 매칭된 조작 키(예를 들어, 숫자 키 "1")가 눌러짐에 따라 출력된 제어 신호(CS)이면, 운영 체제의 기능 중 파워 포인트를 실행하는 기능이 APIs 함수 호출에 의해 실행되어, 응용 프로그램부(332)에 저장된 파워 포인트가 실행될 수 있다.
단계 S150에서 제2 제어부(320)는 운영 체제의 기반하에서 구동 드라이버를 구동하여 그래픽 카드와 같은 영상 처리부(340)의 구동을 제어하고, 이를 통해 응용 프로그램에 의해 형성된 화면과 제어 신호에 의해 변환되는 화면을 소정 영상 신호(S_im)로 변환하여 D-sub 케이블 또는 DVI 케이블 등을 통해 표시 장치(200)로 전송하고, 제1 제어부(220)는 전송된 영상 신호(S_im)를 소정 영상으로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표시 장치의 리모콘 등의 원격 제어 장치를 통해 호스트 장치와 이격된 위치에서 호스트 장치의 구동을 직접 제어하여 소정 영상을 표시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호스트 장치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을때도 표시된 영상을 변경시킬 수 있음으로 프리젠테이션 등에 영상 시스템을 적용하여 원만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표시 장치와 연결되고, 소정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의 기능을 연동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에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외부 신호가 입력됨에 따라 상기 표시 장치에서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가 출력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과 대응되는 상기 APIs를 호출하는 AP 소프트웨어부; 및
    상기 호출된 APIs를 이용하여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이 매칭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와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송수신하고, 상기 표시 장치로부터 상기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RS-232C, IEEE1394, USB, IRDA 및 블루투스 중 선택된 하나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
  5.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신호 입력부;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신호이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 신호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전송하여 소정 APIs를 이용하여 운영체제의 기능을 구동하게 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호스트 장치 이외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제1 구동 모드로 판단된 경우,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2 바이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소정 응용 프로그램과 운영 체제의 기능을 연동시키는 응용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s)를 구비한 호스트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영상 신호를 입력받아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영상 시스템에서의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를 통해 외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신호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신호이면, 상기 외부 신호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호스트 장치로 출력하는 단계;
    상기 제어 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에 대응하는 상기 APIs를 호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신호와 상기 호출된 APIs에 따라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키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신호와 상기 운영 체제의 기능을 매칭시킨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제어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1 구동 모드와, 상기 호스트 장치 이외의 외부 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를 표시하는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모드가 상기 제1 구동 모드로 판단되면, 상기 표시 장치와 상기 호스트 장치의 연결을 확인하기 위한 상태 확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신호는,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상기 상태 확인 데이터가 상기 표시 장치에 수신될 때 상기 호스트 장치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트 장치의 제어방법.
KR1020060117794A 2006-11-27 2006-11-27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KR200800478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94A KR20080047843A (ko) 2006-11-27 2006-11-27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7794A KR20080047843A (ko) 2006-11-27 2006-11-27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843A true KR20080047843A (ko) 2008-05-30

Family

ID=39664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7794A KR20080047843A (ko) 2006-11-27 2006-11-27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7843A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67127A (ja) * 2001-08-30 2003-03-07 Horist Japan:Kk 操作装置
KR100420661B1 (ko) * 2001-07-09 2004-03-02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원격 컴퓨터 단말기 제어 장치
KR20040066271A (ko) * 2003-01-17 2004-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리모콘에 의해 컴퓨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프로젝션시스템
KR20050070896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리모콘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장치 및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661B1 (ko) * 2001-07-09 2004-03-02 (주)초이스테크놀로지 원격 컴퓨터 단말기 제어 장치
JP2003067127A (ja) * 2001-08-30 2003-03-07 Horist Japan:Kk 操作装置
KR20040066271A (ko) * 2003-01-17 2004-07-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레이저리모콘에 의해 컴퓨터의 동작을 원격 제어하는프로젝션시스템
KR20050070896A (ko) * 2003-12-31 2005-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기기의 리모콘을 이용한 컴퓨터 프로그램 실행장치 및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7319B2 (en) Interactive control apparatus using remote control signal between computer and electric home appliance
US7423610B2 (en) Display controller architecture for portable computers
US2004022298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program
US20080239149A1 (en) OSD system having colorful and dynamic OSD menu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9110624B2 (en) Output restoration with input selection
EP3709180B1 (en) Processing method and handheld device
JP2001125551A (ja) 投射表示装置、投射表示システム
US20120254748A1 (en) Host device to install driver and method thereof
US8896611B2 (en)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system and method
US20050185102A1 (en) Single touch launch of remote applications over video
KR20130037801A (ko) 원격제어장치, 원격제어방법 및 디스플레이장치
US20120092563A1 (en) Remote controller for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30227490A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 device
KR100676366B1 (ko)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무선단말기를 이용한 컴퓨터 제어방법및 그 시스템
WO2021196433A1 (zh) 界面显示方法及显示设备
KR20080047843A (ko) 호스트 장치, 표시 장치 및 호스트 장치의 제어 방법
CN110232934B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EP1739544B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961218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picture in picture function
CN108881800B (zh) 显示装置、其中的信息终端机的设定方法以及显示系统
USRE44957E1 (en) Monitor contro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02063017A (ja) 表示システム及び表示装置
TWI712926B (zh) 顯示裝置、連結於顯示裝置的硬體插件及顯示裝置控制方法
JP3514599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TWI403921B (zh) 操作模式決定方法及電腦系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