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012A -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필름 - Google Patents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012A
KR20080047012A KR1020060116829A KR20060116829A KR20080047012A KR 20080047012 A KR20080047012 A KR 20080047012A KR 1020060116829 A KR1020060116829 A KR 1020060116829A KR 20060116829 A KR20060116829 A KR 20060116829A KR 20080047012 A KR20080047012 A KR 200800470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philic group
group
inorganic
acrylic resin
inorganic nanopart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7124B1 (ko
Inventor
류정아
한창훈
김은경
김상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60116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7124B1/ko
Publication of KR200800470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0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7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7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2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Processes of polymerisation
    • C08F2/12Polymerisation in non-solvents
    • C08F2/16Aqueous medium
    • C08F2/22Emulsion polymerisation
    • C08F2/24Emulsion polymerisation with the aid of emulsif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2/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 C08F212/02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 C08F212/04Monomers containing only on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 containing one ring
    • C08F212/06Hydrocarbons
    • C08F212/08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4Methyl esters, e.g. methyl (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08F220/16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 C08F220/18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of phenols or of alcohols containing two or more carbon atoms with acrylic or methacr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10Esters
    • C08F220/20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henols, e.g. 2-hydroxyethyl (meth)acrylate or glycerol mono-(meth)acryl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42Nitriles
    • C08F220/44Acrylonitri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52Amides or imides
    • C08F220/54Amides, e.g. N,N-dimethylacrylamide or N-isopropylacrylamide
    • C08F220/56Acrylamide; Methacrylam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9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organic liqu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9Particle size larger than 1000 n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ano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 45 내지 95 중량%,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 1 내지 3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 1 내지 40 중량%로부터 중합된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는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제조시 바인더로 사용되어,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장기간 보관에도 침전되지 않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제공하며, 적은 함량으로 사용됨에도 필름에서의 무기 나노 입자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습도에 따른 필름의 특성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공정상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크릴계 수지, 친수기, 무기 나노 입자, 필름, 기판, 바인더

Description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HYDROPHILIC GROUP-MODIFIED ACRYLIC RESIN, INORGANIC NANO PARTICLE COATING SOLUTION CONTAINING THE SAME, AND INORGANIC NANO PARTICLE FILM}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의 분산 안정성 거동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제조시 바인더로 사용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이를 포함하여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성이 크게 향상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되어 무기 나노 입자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습도에 따른 필름 특성이 균일하게 제어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무기 기판 위에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을 제조하기 위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고분자 바인더를 포함하는 유기 용매에 무기 나노 입자를 첨가하고, 기계적인 분쇄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하여 왔다. 특히, 무기 나노 입자를 코팅하기 위한 바인더로서 종래에는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 및 합성 고무를 포함하는 수지 등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코팅액 내에서의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 안정성이 좋지 않으며, 습도에 따라 코팅성이 영향을 많이 받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코팅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기 나노 입자의 함량 대비하여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이 10 중량% 이상으로 첨가되어야만 했다. 이와 같이,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이 증가되면 필름 내의 무기 나노 입자의 함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코팅을 통하여 얻고자 하는 특성을 충분히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습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코팅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고분자 바인더의 함량을 감소시킴으로써 고농도의 무기 입자 코팅이 가능한 코팅액이 필요한 실정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제조시 바인더로 사용되어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이로부터 제조되어 무기 나노 입자 간의 접착력이 향상되고, 습도에 따른 필름 특성이 균일하게 제어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들은 하기 설명된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 45 내지 95 중량%, b)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 1 내지 30 중량%, 및 c)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 1 내지 40 중량%로부터 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유기 용매에 무기 나노 입자와 상기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가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으로부터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유/무기 기판 위에 1 내지 100 ㎛ 두께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을 코팅함에 있어서,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바인더로 포함하는 코팅액을 사용하는 경우, 습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코팅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바인더의 함량을 무기 나노 입자 함량 대비하여 10 중량% 미만으로 유지함으로써 고농도의 무기 입자 코팅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코팅된 무기 나노 입자가 기판으로부 터 탈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는 a)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 45 내지 95 중량%, b)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 1 내지 30중량%, 및 c)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 1 내지 40 중량%로부터 중합된 수지이다.
상기 a)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아크릴계 단량체는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45 내지 95 중량%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로 중합되는 경우에는 필름 제조시 기판과의 접착성이 높고, 동시에 응집력도 적당하여 필름이 부분 박리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필름의 열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b)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의 분산 안정성을 향상시키며, 습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균일한 코팅성을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말레산무수물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는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30 중량%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 로 중합되는 경우에는 높은 습도에서 건조하는 경우에도 응집력과 접착력이 저하되지 않으며, 기판에서 필름이 들뜨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상기 c)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는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의 열특성을 향상시키고 경도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비닐기 함유 단량체는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1 내지 40 중량%로 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함량으로 중합되는 경우에는 기판과의 접착성을 감소시키지 않으면서도, 건조 후 필름의 응집력과 열특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단량체 성분 이외에 높은 분자량의 아크릴계 수지가 요구되는 경우, 중합시 가교성 단량체가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총 함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로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가교성 단량체로는 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비닐벤젠,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중합은 괴상중합 방법으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중합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중합개시제, 분자량조절제, 용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톨루엔, 에틸벤젠, 자이렌 또는 메틸에틸케톤 등을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합개시제는, 구체적으로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노에이트(t-butylperoxy-2-ethylhexanoate), 1,1-비스(t-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 사이클로헥산{1,1-bis(t-butylperoxy)-3,3,5-trimethyl cyclohexane}, 1,1-비스(t-부틸퍼옥시) 사이클로헥산{1,1-bis(t-butylperoxy) cyclohexane}, 1,1-비스(t-부틸퍼옥시)-2-메틸 사이클로헥산{1,1-bis(t-butylperoxy)-2-methyl cyclohexane}, 2,2-비스(4,4-디-t-부틸퍼옥시 사이클로헥실)프로판{2,2-bis(4,4-di-t-butylperoxy cyclohexyl) propane} 또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은 상기 a) 내지 c)의 단량체 및 용매를 포함하는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중합의 진행이 불가능해져 전체 수지의 물성 균형이 어려우며, 0.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 상승으로 인하여 공정상 불리하고 위험하다.
상기 분자량조절제는, 구체적으로 t-도데실 메르캅탄(t-dodecyl mercaptan) 또는 n-옥틸 메르캅탄(n-octyl mercaptane) 등의 메르캅탄류를 사용할 수 있다. 분자량조절제의 사용량은 혼합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1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사용량이 0.01 중량부 미만일 경우에는 과도한 점도 상승으로 공정상 불리하여 수지의 물성 저하를 초래하고, 1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중합반응이 진행되지 않아 전체 수지의 물성 균형을 이루기 어렵다.
상기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는 무기 나노 입자의 코팅용 바인더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유기 용매에 무기 나노 입자와 바인더로 상기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가 분산된 코팅액이다.
상기 유기 용매는 무기 나노 입자와 바인더를 분산시키기고, 고형분 함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 용매라면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끓는점이 비교적 낮은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톨루엔, 벤젠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구체적으로 BaTiO3, PbZrO3, PbTiO3, Pb1-xLaxZr1-yTiyO3(여기서, x와 y는 각각 0 또는 1), Pb(Mg3Nb2/3)O3-PbTiO3(PMN-PT), 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및 Si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0 ㎚인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와 상기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는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분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유기 용매에 고형분으로 무기 나노 입자와 바인더인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가 분산된 것으로, 이때 고형분 중, 상기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가 10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성분을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코팅액에서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혁신적 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코팅시 무기 입자 간의 접착력 또는 기판과 무기 입자 필름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며, 바인더인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가 10 중량% 미만, 보다 바람직하게 5 중량% 미만으로 포함되어도 코팅성이 향상되며, 습도에 관계없이 균일한 코팅성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부직포 등의 다공성 기재에 코팅되어 공기 정화 필터, 및 다공성 필름이 필요한 수계 1차 또는 2차 전지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으로부터 제조된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이 코팅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기판은 금속, 합금, 목재, 플라스틱, 또는 가죽재 등을 포함하는 유기 또는 무기 기판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도 당연한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제조
교반기 및 온도계 등이 부착된 3구 플라스크에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0.1 g, 아크릴산 10 g, 부틸아크릴레이트 300 g, 스티렌 30 g을 넣고, 불활성 질소가스도 연속적으로 주입하면서 괴상중합하였다. 이때, 플라스크 내부온도는 80 ℃로, 교반속도는 분당 150 rpm였다. 5 시간 동안 중합반응하였으며, 반응이 완료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메탄올에 침전 잡아 수지를 수득하였다.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제조
상기 제조한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벤젠에 녹인 용액에 BaTiO3 분말을 전체 고형분 20 중량% 농도로 첨가하고 분산시켜 BaTiO3와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의 중량비가 95:5인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무기 나노 입자 필름 제조
상기 제조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닥터블레이드로 유리 기판 위에 각각 4가지 다른 습도 조건에서 코팅한 후 건조하여 두께가 약 8 ㎛인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때, 코팅시 온도는 23 ℃로 고정하였으며, 20, 30, 40, 50 %의 습도 하에서 각각 코팅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제조시 아크릴산을 20 g으로 증량하여 첨가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제조시 BaTiO3와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의 중량비가 90:10인 코팅액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에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제조시 BaTiO3 대신 TiO2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 제조시 아크릴산을 첨가하지 않고 중합하여, 친수기를 포함하지 않는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가 아닌 폴리불화비닐리덴 수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의 분산안정성, 및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물성을 하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시험예 1.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의 분산 안정성 측정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높이가 일정한 유기관에 넣은 후, 시간에 따른 침전 거동을 조사하여, 침전에 대한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은 비교예 1 및 2와 비교하여 침전율이 낮아 상대적으로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패킹(packing) 밀도 측정
8 ㎛로 동일한 두께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외부 습도 변화에 따른 단위 면적당 무게를 측정하여 패킹 밀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구분 패킹 밀도(g/m2)
코팅습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20 % 20.2 20.8 19.8 20.3 18.2 16.2
30 % 19.8 20.4 19.3 19.7 17.5 14.8
40 % 19.7 20.2 19.1 19.8 14.3 12.2
50 % 19.8 20.3 19.1 19.6 11.2 8.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은 외부 습도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패킹 밀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바인더로 친수기로 개질되지 않은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종래의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사용한 비교예 2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은 외부 습도의 변화에 따라 그 패킹 밀도가 상당히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기판과의 접착력 측정
8 ㎛로 동일한 두께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외부 습도 변화에 따른 기판과의 접착력을 필 테스터기(peel tester)를 이용하여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접착력(gf/㎝2)
코팅습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20 % 20.3 23.5 19.8 20.3 18.8 16.8
30 % 19.7 22.9 19.3 19.4 15.4 14.8
40 % 19.8 23.1 19.1 19.5 13.2 12.8
50 % 19.6 22.6 19.1 19.2 10.3 7.8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한 친수기로 개질된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한 실시예 1 내지 4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은 외부 습도 변화에 관계없이 일정한 접착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바인더로 친수기로 개질되지 않은 부틸아크릴레이트/스티렌 수지를 사용한 비교예 1, 및 종래의 폴리불화비닐리덴을 사용한 비교예 2의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은 외부 습도가 증가함에 따라 접착력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는 무기 나노 입자 필름의 제조시 바인더로 사용되어, 무기 나노 입자의 분산성을 크게 향상시켜 장기간 보관에도 침전되지 않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제공하며, 적은 함량으로 사용됨에도 필름에서의 무기 나노 입자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고, 습도에 따른 필름의 특성을 균일하게 제어하여, 공정상의 유연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a)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 45 내지 95 중량%;
    b)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 1 내지 30 중량%; 및
    c)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 1 내지 40 중량%로부터 중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아크릴계 단량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2-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산, 말레인산, 말레산무수물 및 이타콘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 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비닐기 함유 단량체는,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디아세톤아크릴아미드, 스티렌, 비닐톨루엔, 비닐아세테이트 및 아크릴로니트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5. 제 1항에 있어서,
    무기 나노 입자 코팅용 바인더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
  6. 무기 나노 입자, 및 유리전이온도가 -85 내지 22 ℃인 아크릴계 단량체 45 내지 95 중량%, 친수성기 도입 단량체 1 내지 30 중량%, 및 유리전이온도가 8 내지 153 ℃인 비닐기 함유 단량체 1 내지 40 중량%로부터 중합된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 릴계 수지가 90:10 내지 99:1의 중량비로 유기 용매에 분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아세톤, 톨루엔, 벤젠 및 에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BaTiO3, PbZrO3, PbTiO3, Pb1-xLaxZr1-yTiyO3(여기서, x와 y는 각각 0 또는 1), Pb(Mg3Nb2/3)O3-PbTiO3, HfO2, SrTiO3, SnO2, CeO2, MgO, NiO, CaO, ZnO, ZrO2, Y2O3, Al2O3, TiO2 및 SiC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9. 제 6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 나노 입자는, 평균입경이 1 내지 1000 ㎚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10. 제 6항 기재의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을 건조시켜 제조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11. 표면에 제 6항 기재의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이 코팅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로 코팅된 기판.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금속, 합금, 목재, 플라스틱 및 가죽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무기 나노 입자로 코팅된 기판.
KR1020060116829A 2006-11-24 2006-11-24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KR101207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29A KR101207124B1 (ko) 2006-11-24 2006-11-24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829A KR101207124B1 (ko) 2006-11-24 2006-11-24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012A true KR20080047012A (ko) 2008-05-28
KR101207124B1 KR101207124B1 (ko) 2012-11-30

Family

ID=39663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829A KR101207124B1 (ko) 2006-11-24 2006-11-24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71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38B1 (ko) * 2009-07-07 2014-07-22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중합체 피복된 금속 기판 및 제조 방법
US10155361B2 (en) 2011-11-09 2018-12-1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binding nanoparticles to glas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64511B (zh) * 2012-12-05 2015-03-11 山东世拓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纳米硫酸钡抗冲改性丙烯酸酯类高分子聚合物及其制法
CN102964506B (zh) * 2012-12-05 2015-03-11 山东世拓高分子材料股份有限公司 纳米二氧化锌抗冲改性丙烯酸酯类高分子聚合物及其制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49138B2 (en) 2000-10-13 2003-11-18 Quantum Dot Corporation Surface-modified semiconductive and metallic nanoparticles having enhanced dispersibility in aqueous media
FR2884254B1 (fr) 2005-04-08 2007-05-25 Arkema Sa Copolymere sequence a fonctions acides modulables et composition adhesive et thermoplastique le contenan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038B1 (ko) * 2009-07-07 2014-07-22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중합체 피복된 금속 기판 및 제조 방법
US10155361B2 (en) 2011-11-09 2018-12-18 Corning Incorporated Method of binding nanoparticles to gla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7124B1 (ko) 2012-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43139B (zh) 抗反射塗層
TWI519623B (zh) An adhesive composition, an adhesive layer, and an adhesive sheet
US11286384B2 (en) Resin composition, molded article, laminate, gas barrier material, coating material, and adhesive
JP6201164B2 (ja)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性ナノカーボン分散液、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コーティング剤
KR20070089129A (ko) 코어-쉘 입자
CN113604116A (zh) 一种高氧气阻隔涂料及其制备方法及其涂布方法
WO2018110245A9 (ja) ラテックス、セルロースナノファイバー含有樹脂、成形体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6215403B2 (ja) 有機無機複合粒子、それを含有する分散液及び樹脂組成物
KR101207124B1 (ko) 친수기로 개질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무기 나노 입자 코팅액, 및 상기 코팅액으로 제조된 무기 나노 입자 필름
TW200951189A (en) Silica-containing UV-crosslinkable hardcoat coatings comprising urethane acrylates
WO2019065999A1 (ja) 積層体、光学部材および光学装置
KR20110021791A (ko) 표면에 다수의 오목부를 갖는 수지 입자
KR20200062221A (ko) 적층체, 광학 부재 및 광학 장치
JP5466612B2 (ja) 樹脂被覆金属酸化物粒子樹脂分散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透明被膜付基材
TWI726042B (zh) 光擴散劑、光擴散性樹脂組成物及成形體
JP5277058B2 (ja) 塗膜形成方法、塗装物品及び遊戯器具
WO2007129748A1 (ja) ナノ粒子を分散させた透明な高分子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24760A (ko) 캡슐화 또는 중합체 흡착된 안료 및 렛다운 결합제를 포함하는 저 또는 무 voc의 수성 코팅 조성물
JP2021169574A (ja) 樹脂組成物、ガスバリア材、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積層体
CN109867845A (zh) 一种抗老化防静电的塑料及其制备方法
JP2009179691A (ja) メタクリル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4276499A1 (en) Air gap layer, multilayer body, method for producing air gap layer, optical member and optical device
JP4974133B2 (ja) 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及び樹脂組成物
JP2024051532A (ja) 保護フィルム付きカバーフィルム
KR101469963B1 (ko) 나노 입자를 포함한 폴리비닐알코올/에틸렌-아크릴산 복합수지 수분산체의 제조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비닐알코올/에틸렌-아크릴산 복합수지 수분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