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531A -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531A
KR20080046531A KR1020060116100A KR20060116100A KR20080046531A KR 20080046531 A KR20080046531 A KR 20080046531A KR 1020060116100 A KR1020060116100 A KR 1020060116100A KR 20060116100 A KR20060116100 A KR 20060116100A KR 20080046531 A KR20080046531 A KR 2008004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tation
connecting portion
intermittent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5527B1 (ko
Inventor
김세민
안병선
안병화
정기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161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5527B1/ko
Priority to EP07121007.4A priority patent/EP1925992B1/en
Priority to CNA2007101874050A priority patent/CN101187791A/zh
Priority to US11/944,544 priority patent/US7835666B2/en
Publication of KR2008004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4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associated with a positioning fun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6Electrical conn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본체를 가지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동접속부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접속부에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한 피동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기와;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단속장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동력단속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 편의성을 향상시키며, 동력단속구조를 단순화시켜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캠, 동력단속, 접속, 축선방향

Description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TTING APPARATUS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의 단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요부 측면도,
도 3a는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의 사시도,
도 3b는 도 3a의 동력단속장치의 측면도,
도 4a 및 도 4b는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사이드 프레임의 개방회동 및 폐쇄회동 시 동력단속장치의 동작상태를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도 5a 및 도 5b는 각각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액츄에이터의 폐쇄회동 시 연동되는 동력단속장치의 동작과정을 보여주는 요부 정면도,
도 6은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요부 사시도,
도 7은 도 6의 Ⅶ-Ⅶ 선에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동력전달 상태에서의 요부사시도,
도 9는 도 1의 화상형성기기의 변형 실시예를 보여주는 요부 측면도,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9의 변형 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의 동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배면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의 개략 단면도,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의 개략 단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화상형성기기 101 : 본체
103 : 구동접속부 105 : 사이드 프레임
107 : 액츄에이터 130, 130Y, 130M, 130C, 130K : 현상기
139, 139Y, 139M, 139C, 139K : 피동접속부
200 : 동력단속장치(단속부) 210 : 제1단속부재
220 : 캠 221 : 슬라이딩 돌기
223 : 이동제한 돌기 225 : 정회전제한 돌기
230 : 제2단속부재 240 : 캠 프로파일
250 : 피작동부재 253 : 삽입공
260 : 탄성부재 263 : 고정핀
270 : 탄성가압레버 273 : 플레이트
275 : 연동회전 돌기 277 : 걸림고리
본 발명은,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 게는, 현상기가 화상형성기기 내부에 장탈착 시 사용자가 쉽게 현상기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형성기기는 소정의 화상을 용지 또는 전자파일로 출력하는 전자기기로서, 그 화상형성방식에 따라 전자사진 방식, 잉크젯 방식 및 열전사 방식으로 나뉜다. 전자사진 방식의 화상형성기기는 대전-노광-현상-전사-정착의 과정을 통해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으로서 대표적으로 레이저 프린터, 복사기 등이 있다.
최근, 레이저 프린터 중에서도 YMCK(Yellow, Margenta, Cyan, Black) 색상의 복수의 토너를 사용하여 컬러 화상을 형성하는 컬러 레이저 프린터가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YMCK 색상의 토너를 각각 수용하고 있는 복수의 현상기는 토너 소모 및 용지 잼에 대비하여 레이저 프린터 본체에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기는 감광드럼과 같은 회전체와, 상기 회전체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현상기 장착 시 레이저 프린터 내부의 구동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피동접속부(수 커플링)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레이저 프린터 내부에는 현상기 장착 시 상기 피동접속부(수 커플링)에 동축방향으로 서로 연결 및 연결해제 되는 구동접속부(암 커플링)가 마련되며, 이 구동접속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전동된다.
그런데, 현상기 장탈착 시 상기 피동접속부과 상기 구동접속부를 연결 및 연결 해제하기 위한 동력단속장치가 필요하다. 일본공개특허 평5-61281호는 하나의 현상기에 있는 복수의 피동접속부와 그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접속부를 커버의 개 폐동작에 따라 그들을 연결 및 연결 해제시킬 수 있는 동력단속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동력단속장치는 커버의 개폐동작과 동력단속장치의 단속동작을 서로 연동시키기 위해 커버와 동력단속장치를 서로 링크로 연결함으로써 커버 개폐 시 많은 힘이 많이 필요하다. 특히, 현상기의 개수가 많거나 단속을 요하는 피동접속부의 개수가 많은 경우에는 더 많은 힘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떨어진다.
또한, 복수의 현상기가 장탈착되어야 하거나 피동접속부 간의 거리가 먼 경우, 그 구조가 복잡해지며 호환성이 떨어져서 제조원가가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현상기의 동력을 작은 힘으로 쉽게 단속할 수 있으면서 동시에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는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를 갖는 화상형성기기에 있어서,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동접속부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접속부에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한 피동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기와;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축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단속장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동력단속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에 의해서 달성된다.
또한,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상기 피동접속부 및 상기 구동접속부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일체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단속부재와; 상기 제1단속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속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제2단속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캠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캠 프로파일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속부재 또는 상기 제2단속부재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속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제2단속부재의 외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내주면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상기 캠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단속부재는 내경이 상기 제2단속부재의 내경보다 크고 외경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대향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단속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제2단속부재에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상기 캠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제1단속부재를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시키는 회전모멘트를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받는 피작동부재와; 상기 회전모멘트의 소멸 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한 선을 중심으로 역회전 하도록 탄성 가압되며, 상기 제1단속부재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된 탄성가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탄성가압레버는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피작동부재 측으로 돌출된 연동회전돌기를 가지며, 상기 피작동부재는 상기 연동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시 상기 제1단속부재가 상기 제2단속부재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이동제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하게 마련된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캠은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 돌기와; 상기 직선이동규제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하게 마련되는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동력단속장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의 회전모멘트를 가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동접속부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접속부에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한 피동접속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일체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단속 부재와; 상기 제1단속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속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제2단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캠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캠 프로파일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시 상기 제1단속부재가 상기 제2단속부재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이동제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하게 마련된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시키는 회전모멘트를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받는 피작동부재와; 상기 회전모멘트가 소멸 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한 선을 중심으로 역회전 하도록 탄성 가압되며, 상기 제1단속부재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탄성가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및 동력단속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편의상,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지부(110), 용지이송부(120), 현상기(130), 광주사장치(140), 정착부(150)를 포함한다.
급지카세트(113)에 적재된 용지는 픽업롤러(115)에 의해 픽업되어 이송롤러(123)를 거쳐 용지이송벨트(Paper Transfer Belt : PTB, 125) 측으로 이송된다. 이송된 용지는 용지대전롤러(121)에 의해 용지이송벨트(125)의 대전 전하와 반대 전하를 띠도록 대전된다. 대전된 용지는 반대 전하로 대전된 용지이송벨트(125) 측으로 전기적 인력에 의해 달라붙어서 현상기(130)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용지이송벨트(125)를 궤도 순환하도록 구동하는 용지이송벨트 구동롤러(127) 및 전사롤러(163)의 회전축은 화상형성기기(100)의 측면에 배치되는 사이드 프레임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사이드 프레임(105)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이송벨트(125)에 용지 잼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힌지핀(105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사이드 프레임(105)이 전사롤러(163) 및 용지이송벨트 구동롤러(127)와 일체로서 회동함으로써 현상기(130)를 보다 쉽게 장탈착 할 수 있다.
현상기(130)는 용지이송방향을 따라 옐로우 토너를 저장하는 옐로우 현상기(130Y), 마젠타 현상기(130M), 시안 현상기(130C), 블랙 현상기(130K)가 탈착가능하게 본체(101)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현상기 배치는 도시된 것과 달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는 그 구성이 동일하며 단지 수용되는 토너의 색상만 다를 뿐이므로 옐로우 현상기(130Y)에 대해서만 간략히 설명한다.
옐로우 현상기(130Y)는 공급롤러(133Y), 현상롤러(135Y) 및 감광드럼(137Y)을 갖는다.
감광드럼(137Y)은 회전구동축선(도 3의 A)을 중심선으로 하는 드럼 회전축(131Y)을 갖는다. 그리고, 드럼 회전축(131Y)의 일단부에는 현상기(130) 외부로 노출된 피동접속부(도 3b의 139)가 설치된다.
피동접속부(139)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도 1의 101) 내부의 내부 프레임(10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접속부(103)에 연결되어 그로부터 회전동력을 전달받는다. 구동접속부(103)는 미도시된 구동모터에 연결된다. 피동접속부(139)와 구동접속부(103)는 상기 감광드럼(137Y)의 드럼 회전축(131Y)의 길이방향, 즉 회전구동축선(A)을 따라 서로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하게 마련된다. 피동접속부(139) 및 구동접속부(103)는 한 쌍의 커플링으로 마련된다. 즉, 피동접속부(139)가 암 커플링(female coupling)이면 구동접속부는 수 커플링(male coupling)일 수 있다.
한편,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동접속부(139)와 구동접속부(103) 사이에는 추가커플링(280)이 개재될 수도 있다. 추가커플링(280)은 양단부가 각각 대향하는 피동접속부(139) 및 구동접속부(103)에 회전구동축선(A)을 따라 맞물릴 수 있도록 마련된다. 필요에 따라, 추가커플링(280)은 생략될 수도 있다.
구동접속부(103)는, 도 3b,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후술 할 제1단속부재(210)에 접촉되고 타단은 구동축(168)에 연결된다. 또한, 구동축(168)을 지지하는 프레임(169) 사이에는 스프링(167)이 개재되어 구동접속부(103)를 피동접속부(139) 측으로 탄성 가압한다. 이에 따라, 제1단속부재(210)도 제2단속부재(220) 측으로 탄성 가압된다.
한편, 감광드럼(137Y)은 구동접속부(103)로부터 회전동력에 전달받아 회전하게 되고, 광주사장치(140)에 의해 표면이 노광되어 옐로우 화상에 대응하는 정전잠상이 형성된다. 이 정전잠상은 공급롤러(133Y)에 의해 옐로우 토너를 공급받은 현상롤러(135Y)에 의해 토너 가시 화상으로 현상된다. 그리고, 이 토너 가시화상은 전사롤러(163)에 의해 옐로우 현상기(130Y)로 이송된 용지로 전사된다. 이렇게 용지가 용지이송벨트(125)를 따라 진행하면서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토너 화상이 중첩되면서 완전한 컬러 토너 화상이 용지에 형성된다. 그 후 컬러 토너 화상이 형성된 용지는 정착부(150)를 거치면서 용지에 정착되어 기외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100)는 후술할 동력단속장치(도 3의 200)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더 포함한다. 조작부는 동력단속장치(도 3의 200)의 제1단속부재(도 3의 210) 또는 제2단속부재(도 3의 23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지는 않지만, 제1단속부재(도 3의 210) 및 제2단속부재(도 3의 230) 모두를 회전시키도록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조작부는 전기구동모터를 포함하여 동력단속장치(도 3의 200)를 전동(電動)시킬 수도 있으나 제조원가 및 공간효율 측면에서 바람직하지는 않다.
그리고, 조작부는 현상기(도 1의 130)의 탈착 시 먼저 개방되도록 설계된 것 들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제조원가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조작부는 현상기(도 1의 130Y, 130M, 130C, 130K)의 장탈착을 위해 먼저 개방되어야 하는 커버(도 1의 165) 일 수 있다. 그러나, 조작부로서 커버보다는 사이드 프레임(도 2의 105)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 프레임(도 2의 105)이 커버(도 1의 165)보다 현상기(130)에 더 가까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동력단속장치(200)를 기구적으로 조작하고자 하는 경우, 후술할 액츄에이터(107)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액츄에이터(107)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피작동부재(250) 측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생산성 측면에서 사이드 프레임(105)에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츄에이터(107)는 피작동부재(250) 가압 시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액츄에이터(107)는 연성 플라스틱과 같은 어느 정도 탄성력이 있는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편의상, 제1단속부재(210)와 제2단속부재(230)가 회전구동축선(도 3의 A)을 따라 서로 접근하도록 제1단속부재(210)가 회전하는 방향을 정회전 방향(도 3a의 B)이라 하고, 서로 이격되도록 제1단속부재(210)가 회전하는 방향을 역회전 방향(도 3a의 C)이라 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따른 화상형성기기는 동력단속장치(200)를 더 포함한다.
도 3a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접속부(103) 및 피동접속부(139)를 생략한 동력단속장치(20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구동접속부(103) 및 피동접속부(139)를 포함하는 도 3a의 측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구동접속부(103) 및 추가커플 링(280)이 포함된 화상형성기기의 요부 사시도 및 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는, 도 3a, 도 3b,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30)의 피동접속부(139) 및 구동접속부(103) 사이에 개재된다. 동력단속장치(200)는 제1단속부재(210) 및 제2단속부재(230)를 포함한다.
제1단속부재(21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구동접속부(103)의 웹(103a)에 접촉되어 일체로 회전구동축선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 하게 마련된다. 구동접속부(103)가 스프링(167)에 의해 피동접속부(139) 측으로 탄성 가압되므로 제1단속부재(210)도 피동접속부(139) 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는다. 제1단속부재(210)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구동접속부(103)가 왕복이동 할 수 있도록 내부에 관통홀(213)을 갖는다. 제1단속부재(210)는 관통홀(213)의 크기를 비교적 크게 함으로써 구동접속부(103)의 사이즈가 서로 변경되더라도 서로 호환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제1단속부재(210)는 제2단속부재(230)에 대해 상대 회전함으로써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서로 접근 및 이격 이동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단속부재(2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경이 제2단속부재(230)의 외경보다 약간 커서 제1단속부재(210)의 내주면이 제2단속부재(230)의 외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1단속부재(210)는 제2단속부재(230)에 대해 상대 회전 및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원활한 회전이동을 위해 제1단속부재(210)와 제2단속부재(230) 사이의 마찰면에는 윤활제(미도시)가 도 포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속부재(21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단부에 캠 프로파일(240)이 형성된다. 캠 프로파일(240)은. 후술할 캠(220)과 회전구동축선(A) 방향으로 서로 접촉된다.
캠 프로파일(240)은 후술할 캠(22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서는 캠 프로파일(240)이 제1단속부재(210)의 내외주면을 관통하는 형성으로 되어 있으나, 제1단속부재(210)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내주면을 관통하지 않는 형태의 홈으로 마련할 수도 있다. 캠 프로파일(240)은 캠(220)이 형성된 제1단속부재(210)를 제2단속부재(230) 측으로 접근 및 이격이동 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도 2의 107)에 의한 정회전 모멘트가 없는 때에는 제1단속부재(210) 및 제2단속부재(230)가 회전구동축선(A)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태에 있도록, 제1단속부재(210) 및 제2단속부재(230)는 캠(220) 및 캠 프로파일(240) 이 서로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된다.
한편, 제2단속부재(23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구(233)로 기기 내부의 고정 프레임(미도시)에 결합되어 고정 설치되며, 제1단속부재(210)의 일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된다. 또한, 제2단속부재(230)는 피동접속부(139)를 수용하는 피동접속부 수용 공간(235)을 갖는다. 추가커플링(도 7의 280)이 피동접속부 수용공간(235)에 수용되어 회전구동축선(A) 방향으로 피동접속부(139)와 구동접속부(103)의 사이에 개재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2단속부재(230) 의 외주면에는 제1단속부재(210)의 캠 프로파일(240)과 상호 작용하는 캠(220)이 형성된다.
캠(22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의 슬라이딩 돌기(221)를 포함한다. 슬라이딩 돌기(221)는 제1단속부재(210)가 정회전(B)하는 때 제1단속부재(210)가 슬라이딩 되면서 제2단속부재(230) 측으로 접근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캠(22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을 따라, 즉 수직방향으로 마련되는 이동제한 돌기(2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동제한 돌기(223)는 제1단속부재(210)가 역회전(C) 하는 때 제2단속부재(230)에 대해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이격된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즉, 제1단속부재(210)의 회전구동축선 방향의 이동을 제한한다.
또한, 캠(220)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한 방향의 정회전제한 돌기(2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회전제한 돌기(225)는 액츄에이터(도 2의 107)의 가압에 의해 제1단속부재(210)가 슬라이딩 돌기(221)를 따라서 정회전(B) 하면서 제2단속부재(230)에 접근하여 구동접속부(103)와 피동접속부(139)가 서로 물리게 되었을 때, 제1단속부재(210)가 더 이상 정회전(B)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1단속부재가 계속 정회전(B방향 회전)하면 주변의 다른 부재와 간섭이 발생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술할 탄성부재(260)가 제1단속부재(210)를 역회전 방향(C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므로 있으므로 제1단속부재(210)는 피작동부재(250)가 액츄에이터(107)에 걸리게 됨으로써 더 이상 정회전 할 수 없는 경우, 정회전제한 돌기(225)는 생략될 수도 있다. 그러나, 조립 및 단품 제작 상의 오차 등을 고려하여 제1단속부재(210)의 과도한 정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정회전제한 돌기(225)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a 및 도 3b에서, 슬라이딩 돌기(221), 이동제한 돌기(223) 및 정회전제한 돌기(225)가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고 각각 따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캠(220)은 도면에 도시된 형태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작동부재(250) 및 탄성부재(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피작동부재(25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단속부재(230)가 고정 설치되므로 회전 및 이동 가능한 제1단속부재(210)에 마련된다. 피작동부재(250)는 조작부인 사이드 프레임(도 2의 105)이 현상기(도 2의 130Y, 130M, 130C, 130K) 측으로 접근 회동함에 따라 액츄에이터(도 2의 107)에 의해 가압되어 제1단속부재(210)를 정회전(B방향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한편, 피작동부재(250)외에 후술할 탄성가압레버(270)와 같이 제1단속부재(210)와 일체 회전할 수 있는 부재가 더 추가되는 경우, 액츄에이터(도 2의 107)는 피작동부재(250) 대신에 탄성가압레버(270)를 가압하여도 무방하다.
한편, 생산성 측면에서 피작동부재(250)와 제1단속부재(210)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피작동부재(250)에는 후술할 탄성가압레버(270)와 일체 회전할 수 있도록 탄성가압레버(270)의 연동회전 돌기(275)가 삽입되는 삽입 공(253)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26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도 2의 107)의 제1단속부재(210)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는 때, 제1단속부재(210)를 역회전(C)시키는 역할을 한다. 역회전(C)하는 제1단속부재(210)는 캠 프로파일(240) 및 캠(220)에 의해 접촉 안내되면서 제2단속부재(230)로부터 회전구동축선(A)을 따라 이격되게 된다. 그리고, 제1단속부재(210)의 정역회전이 전동(電動)되는 경우, 탄성부재(260)는 생략될 수 있다. 제1단속부재(210)를 정역회전 시키기 위해 조작부의 전기구동모터(미도시)를 정역회전 시키면 되기 때문이다.
탄성부재(260)는, 도 3a 및 도 3b에서는 후술할 탄성가압레버(270)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피작동부재(250)에 연결되거나 제1단속부재(210)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등 제1단속부재(210)를 역회전 시킬 수 있는 한 어디에 연결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는 탄성가압레버(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가압레버(27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260)의 탄성력에 의한 역회전 시 제1단속부재(210)를 그와 일체로 역회전(C)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탄성가압레버(270)는 제1단속부재(210)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액츄에이터(107)에 의해 제1단속부재(210) 대신에 탄성가압레버(270)를 가압하여도 무방하다.
탄성가압레버(27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273), 플레이트(273)로부터 회전구동축선(A)에 나란한 방향으로 돌출된 연동회전 돌 기(275) 및 탄성부재(260)의 일단이 고정되는 걸림고리(277)를 갖는다. 여기서, 탄성부재(260)의 타단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축선(A)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의 고정핀(263)에 연결된다. 탄성가압레버(270)는 생산성 측면에서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73)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구동축과 나란한 플레이트 회전축(273a)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마련된다. 플레이트(273)가 플레이트 회전축(273a)방향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이탈방지 플레이트(290)가 마련될 수 있다.
연동회전 돌기(275)는 피작동부재(250)의 삽입공(253)에 삽입되어 탄성가압레버(270)와 제1단속부재(210)를 연동 회전하게 한다. 여기서, 삽입공(253)은 피작동부재(25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레이트(273)와 제1단속부재(210)가 서로 편심 되어 있어 회전 시 연동회전 돌기(275)와 피작동부재(250)의 삽입공(253)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즉, 연동회전 돌기(275)가 플레이트 회전축(273a)을 중심으로 회전 시 삽입공(25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되므로 이를 고려하여 적절하게 삽입공(253)을 형성한다.
한편, 걸림고리(277) 및 고정핀(263)의 위치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107)에 의한 가압해제 시 제1단속부재(210)를 역회전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도록 적절하게 결정된다. 즉, 도 5b에서 D 방향으로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한다. 또한, 탄성가압레버(270)가 과도하게 역회전하지 않도록, 즉 탄성가압레버(270)의 역회전 각도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제2단속부재(230) 에는 탄성가압레버 과회동방지편(237)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탄성가압레버(270)의 역회전(C)하는 각도 범위는 구동접속부(103) 및 피동접속부(139)를 물림해제 하기 위해 필요한 제1단속부재(210)의 이동 변위 및 캠(22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결정한다.
이하, 제1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의 동작과정을 도 4a 내지 도 5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도 1의 130Y, 130M, 130C, 130K)를 화상형성기기(100)에서 탈착하기 위해 사이드 프레임(105)을 E방향으로 개방 회동시키면 사이드 프레임(105)에 형성된 엑츄에이터(107)가 피작동부재(250)를 가압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탄성가압레버(270)가 탄성부재(260)에 의해 도 5b 상태에서 도 5a 상태로 역회전(C)하게 되고 탄성가압레버(270)의 연동회전 돌기(275)와 삽입공(253)으로 연결된 피작동부재(250) 및 그와 일체회전 하는 제1단속부재(210)도 역회전하게 된다. 제1단속부재(210)는 역회전하면서 제2단속부재(230)의 슬라이딩 돌기(도 3a의 221)에 의해 제2단속부재(230)로부터 이격되도록 안내되며, 제2단속부재(230)의 이동제한 돌기(도 3a의 223)에 제1단속부재(210)의 선단이 걸려서 이격된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동접속부(139) 및 구동접속부(103)는 물림해제 되며 현상기(130Y, 130M, 130C, 130K)의 감광드럼(137Y, 137M, 137C, 137K)으로 구동력이 차단된다.
한편,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기(130Y, 130M, 130C, 130K)를 화상형성기기(100)에 장착한 후, 사이드 프레임(105)을 F방향으로 폐쇄 회동시키면 사이드 프레임(105)에 형성된 액츄에이터(107)가 피작동부재(250)를 가압하게 된다. 이 에 따라, 제1단속부재(210)는 도 5a 상태에서 도 5b 상태로 정회전(B)하면서 제2단속부재(230) 외주면의 이동제한 돌기(도 3a의 223)를 지나서 슬라이딩 돌기(도 3a의 221)를 따라 제2단속부재(230) 측으로 이동한다. 이동 중, 제1단속부재(210)에 형성된 캠 프로파일(240)의 이동제한 프로파일(도 3a의 243)이 이동제한 돌기(223)에 부딪히면 더 이상 회전구동축선(A)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는다. 또한, 제1단속부재(210)는 캠프로파일(도 3a의 240)의 정회전제한 프로파일 (도 3a의 245)이 정회전제한 돌기(225)에 접촉하게 되면 정회전을 멈추게 된다. 도 8과 같이 제1단속부재(210)가 제2단속부재(230) 측으로 접근 이동함으로써, 구동접속부(103)도 피동접속부(139) 측으로 이동하여 회전구동축선 방향으로 서로 맞물리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가 사이드 프레임(105)을 개방 및 폐쇄 회동시키기만 하면 복수의 현상기에 전달되는 구동력을 일시에 공급 및 차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조작부와 동력단속장치를 서로 연동시키기 위해 그 둘을 링크와 같은 부재로 연결하지 않아도 연동 조작이 가능하므로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사용자가 조작부에 작은 힘을 가하더라도 동력단속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단속장치(200)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고 부품수가 작아서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접속부 및 피동접속부의 구조가 크게 다르지 않는 한, 한 종류의 동력단속장치로 동력단속을 요하는 곳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부품의 호환성 및 표준화에 유리하다.
한편, 이상에서는 액츄에이터(107)가 피작동부재(250)를 가압 및 가압해제 함에 따라 제1단속부재(210)이 정역회전 하여 회전구동축선(A)를 따라 회전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츄에이터(107)가 피작동부재(250)가 아닌 탄성가압레버(270)를 정역회전 시켜도 동일한 기능을 할 수 있음을 설명한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프레임(105)의 액츄체이터(107)에 회전구동축선(A) 방향(도 9에서 지면(紙面)에 수직한 방향)을 따라 돌출된 보조 돌기(107a)를 더 마련한다. 그리고, 탄성가압레버(270)에는 보조돌기(107a)의 회동 위치를 고려하여 플레이트(273)에서 피동접속부(139) 측으로 돌출된 피작용부(279)를 마련한다. 피작용부(279)는 탄성가압레버(270)가 회전하더라도 사이드 프레임(105)의 F 방향 및 E 방향으로의 폐쇄 및 개방 회동 시 보조돌기(107a)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적절한 형상으로 돌출되게 마련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 자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사이드 프레임(105)이 F방향으로 폐쇄 회동됨에 따라 보조돌기(107a)가 탄성가압레버(270)의 피작용부(279)를 누르면 그에 따라 제1단속부재(210)도 정회전(B방향 회전)하면서 캠(220) 및 캠 프로파일(240)에 의해 도 11과 같이 제2단속부재(230)에 접근 이동한다. 이때, 보조돌기(107a)와 피작용부(279)는 서로 접촉되지 않고 소정 간격(G)이격 되도록 마련된다. 이것은, 탄성부재(260)가 도 11과 같은 상태에서 평형상태가 되도록 걸림고리(277) 및 고정핀(263)의 위치 및 형상을 적절하게 변경함으로써 가능하다. 반대로, 사이드 프레임(105)이 E 방향으로 개방 회동됨에 따라, 보조돌기(107a)가 탄성가압레버(270)의 피작용부(279)를 다시 누르 면 그에 따라 제1단속부재(210)는 역회전(C방향 회전)하면서 도 10과 같이 제2단속부재(230)에 이격되게 이동한다. 이렇게 사이드 프레임(105)을 F 및 E 방향으로 폐쇄 및 개방 회동시킴에 따라 피동접속부(139)와 구동접속부(103)를 회전구동축선(A) 방향으로 서로 물림 및 물림 해제 시킬 수 있다.
또한, 사이드 프레임(105)의 F 방향으로의 폐쇄 회동이 종료된 상태에서, 보조돌기(107a)와 피작용부(279)가 소정 간격(G) 이격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프레임(105)이 탄성부재(260)에 의해 힘을 받지 않으므로 현상기(130)의 진동 등이 사이드 프레임(105)에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a)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220a)이 제1단속부재(210)의 내주면 돌출되게 형성되고, 캠 프로파일(240a) 이 제2단속부재(230)에 형성된다. 캠(220a) 및 캠 프로파일(240a)이 제1실시예와 반대로 마련되어도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b)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속부재(210a) 및 제2단속부재(230a)를 포함한다.
제1단속부재(210a)는 외경이 제2단속부재(230a)의 내경보다 작게 마련되어 외주면이 제2단속부재(230a)의 내주면에 지지된다. 제1단속부재(210a)는 제2단속부재(230a)에 의해 지지되면서 회전이동 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캠(220b)은 제2단속부재(230a)의 내주면에 마련되고, 캠 프로파일(240b)은 회전구동축선(A)의 가로방향으로 캠(220b)에 대향하는 제1단속부재(210a)의 단부에 형성된다. 제1단속부재(210a) 및 제2단속부재(230a)의 형상, 캠(220b) 및 캠 프로 파일(240b)의 위치 외의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며, 동작과정도 일치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동력단속장치(200c)는, 도 11a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속부재(210b) 및 제2단속부재(230b)를 포함한다. 그 외 다른 구성요소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단속부재(210b)와 제2단속부재(230b)는 회전구동축선을 동심으로 하는 원통형으로 마련된다. 그리고, 제1단속부재(210b)와 제2단속부재(230b)는 서로 대향하는 선단이 서로 부딪힐 수 있도록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수용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된다. 즉, 제1단속부재(210b)의 외경이 제2단속부재(230b)의 내경보다는 크지만 외경보다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단속부재(210b)의 내경이 제2단속부재(230b)의 내경보다는 크지만 외경보다는 작게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할 캠(220c) 및 캠 프로파일(240c)의 원활한 상대이동을 위해서는,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속부재(210b)와 제2단속부재(230b)는 내외경이 서로 일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캠(220c)은 제1단속부재(210b) 및 제2단속부재(230b) 중 어느 하나의 대향 측 단부에 마련되고, 캠 프로파일(240c)은 다른 하나의 대향 측 단부에 마련된다. 캠(220c) 및 캠 프로파일(240c)은,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회전구동축선(A)을 따라 대향측 단부로부터 돌출된 형태로 마련된다.
이상의 여러 실시예에서, 제1단속부재(210, 210a, 210b, 210c)만이 회전 이동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2단속부재(230, 230a, 230b, 230c)가 제1단속부 재(210, 210a, 210b, 210c)측으로 이동 하거나 둘 다 이동 가능하게 마련할 수도 있다.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와 이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기기 및 동력단속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력단속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현상기 장탈착시 먼저 개폐되어야하는 부재에 마련하여 그것과 연동하여 현상기의 동력을 단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동력단속을 위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없으므로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둘째, 복수의 현상기가 장탈착 되거나, 하나의 현상기에 동축으로 동력을 전달받는 피동접속부가 여러 개 있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동력단속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므로 부품의 호환성 및 표준화에 유리하다. 이에 따라, 제품의 제조원가를 절감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조작부와 동력단속장치 사이를 연동시키기 위한 연결부재가 없으므로 작은 힘, 조작부를 회동시킬 수 있는 힘으로도 현상기 동력을 단속시킬 수 있다.

Claims (26)

  1. 본체를 갖는 화상형성기기에 있어서,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동접속부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접속부에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한 피동접속부를 가지고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마련되는 현상기와;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구동접속부와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동력단속장치와;
    상기 본체에 마련되어 상기 동력단속장치를 조작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각각 상기 피동접속부 및 상기 구동접속부 측으로 탄성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일체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단속부재와;
    상기 제1단속부재가 정역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1단속부재에 대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상대 이동하는 제2단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캠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캠 프로파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 또는 상기 제2단속부재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는 내주면이 상기 제2단속부재의 외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내주면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외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상기 캠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는 내경이 상기 제2단속부재의 내경보다 크고 외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대향측 단부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다른 하나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제2단속부재에 내주면에 접촉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외주면 및 상기 제2단속부재의 내주면 중 어느 하나에 돌출되게 마련되고,
    상기 캠 프로파일은 상기 캠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으로 접촉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2.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제1단속부재를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시키는 회전모멘트를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받는 피작동부재와;
    상기 회전모멘트의 소멸 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단속장치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탄성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한 선을 중심으로 역회전 하도록 탄성 가압되며, 상기 제1단속부재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된 탄성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가압레버는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플레이트와, 상기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피작동부재 측으로 돌출된 연동회전돌기를 가지며,
    상기 피작동부재는 상기 연동회전돌기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시 상기 제1단속부재가 상기 제2단속부재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이동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 에 나란하게 마련된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대해 예각으로 교차하는 슬라이딩 돌기와;
    상기 슬라이딩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제한 돌기와;
    상기 직선이동규제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하게 마련되는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상기 동력단속장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의 회전모멘트를 가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
  20.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마련된 구동접속부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접속부에 상기 회전구동축선방향을 따라 물림 및 물림해제 가능한 피동접속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접속부 및 상기 피동접속부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일체로 이동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단속부재와;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따라 상기 제1단속부재에 대해 상대 이동하는 제2단속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 및 상기 제2단속부재 중 어느 하나에 캠이 마련되고,
    다른 하나에 상기 캠의 이동을 안내하는 캠 프로파일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시 상기 제1단속부재가 상기 제2단속부재 측으로 슬라이딩 되게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마련된 슬라이딩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상기 회전구동축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가로방향으로 마련된 이동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상기 제1단속부재의 정회전 각도를 제한하도록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하게 마련된 정회전제한 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상기 회전구동축선을 중심으로 정회전시키는 회전모멘트를 상기 조작부로부터 전달받는 피작동부재와;
    상기 회전모멘트가 소멸 시 상기 제1단속부재를 역회전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고정 연결되는 고정핀과;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축선에 나란한 선을 중심으로 역회전 하도록 탄성 가압되며, 상기 제1단속부재와 연동 회전하도록 마련되는 탄성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기기의 동력단속장치.
KR1020060116100A 2006-11-22 2006-11-22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KR10130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00A KR101305527B1 (ko) 2006-11-22 2006-11-22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EP07121007.4A EP1925992B1 (en) 2006-11-22 2007-11-19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of
CNA2007101874050A CN101187791A (zh) 2006-11-22 2007-11-22 成像装置及其动力传输单元
US11/944,544 US7835666B2 (en) 2006-11-22 2007-11-23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6100A KR101305527B1 (ko) 2006-11-22 2006-11-22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531A true KR20080046531A (ko) 2008-05-27
KR101305527B1 KR101305527B1 (ko) 2013-09-05

Family

ID=39040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6100A KR101305527B1 (ko) 2006-11-22 2006-11-22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835666B2 (ko)
EP (1) EP1925992B1 (ko)
KR (1) KR101305527B1 (ko)
CN (1) CN10118779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8865A (ja) * 2017-06-30 2020-06-25 納思達股▲ふん▼有限公司 動力受けユニット、回転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及び取外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61821B2 (en) 2007-10-30 2016-02-1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JP4979839B2 (ja) * 2007-10-30 2012-07-18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伝達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KR101617229B1 (ko) * 2009-12-16 2016-05-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N101846955A (zh) * 2010-01-28 2010-09-29 珠海赛纳科技有限公司 一种处理盒
JP5910359B2 (ja) 2012-07-03 2016-04-2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5949226B2 (ja) * 2012-07-03 2016-07-0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KR20140132611A (ko) * 2013-05-08 2014-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JP6653082B2 (ja) * 2016-05-23 2020-02-26 株式会社リコー 駆動伝達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KR20180017427A (ko) * 2016-08-09 2018-02-21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현상 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 화상형성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37659A (ja) 1989-10-24 1991-06-12 Konica Corp 現像器駆動装置
JPH0561281A (ja) 1991-09-02 1993-03-12 Canon Inc 画像形成装置
JP3689504B2 (ja) * 1996-09-26 2005-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WO1998052202A1 (fr) 1997-05-15 1998-11-19 Tdk Corporation Dispositif a ondes magnetostatiques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KR100381598B1 (ko) 2001-09-18 2003-04-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플링장치와 현상카트리지 및 이를 채용한 전자사진방식인쇄기
KR100481528B1 (ko) * 2002-12-30 2005-04-08 삼성전자주식회사 레버를 이용한 동력 클러치
JP4323818B2 (ja) 2003-01-22 2009-09-02 キヤノン株式会社 現像剤補給容器
US7130562B2 (en) * 2004-03-26 2006-10-31 Lexmark International, Inc. Coupling retraction mechanism for an image forming device
JP4556507B2 (ja) * 2004-06-17 2010-10-06 船井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プリンタ
KR100636230B1 (ko) * 2005-04-20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18865A (ja) * 2017-06-30 2020-06-25 納思達股▲ふん▼有限公司 動力受けユニット、回転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及び取外方法
JP2022003414A (ja) * 2017-06-30 2022-01-11 納思達股▲ふん▼有限公司 動力受けユニット、回転部材、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装着方法及び取外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18271A1 (en) 2008-05-22
KR101305527B1 (ko) 2013-09-05
EP1925992A2 (en) 2008-05-28
US7835666B2 (en) 2010-11-16
EP1925992A3 (en) 2013-07-10
CN101187791A (zh) 2008-05-28
EP1925992B1 (en) 2018-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5527B1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CN110879517B (zh) 成像装置和处理盒
US924438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that switches positions of developing rollers in a predetermined fixed order
US827087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US111632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movable developing roller with bidirectionally-rotatable cam
KR20110037302A (ko) 화상형성장치
EP3176641B1 (en) Image forming device
US8285175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transfer device thereof
US7761036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mission unit thereof
US8897671B2 (en) Image formation apparatus
KR20230069205A (ko)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
US9122235B2 (en) Process cartridg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means to regulate movement of developing unit with respect to drum unit in axial direction of developing roller
JP5202162B2 (ja) 画像形成装置
JP2023088232A (ja) シート搬送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