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6211A -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시스템 - Google Patents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6211A
KR20080046211A KR1020087007268A KR20087007268A KR20080046211A KR 20080046211 A KR20080046211 A KR 20080046211A KR 1020087007268 A KR1020087007268 A KR 1020087007268A KR 20087007268 A KR20087007268 A KR 20087007268A KR 20080046211 A KR20080046211 A KR 200800462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mmunication mode
mhz
cdma
transm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72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렌 민-트리트 트랜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62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62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28Combinations of substantially independent non-interacting antenna units or 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30Combinations of separate antenna units operating in different wavebands and connected to a common feeder syste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5/00Arrangements for simultaneous operation of antennas on two or more different wavebands, e.g. dual-band or multi-band arrangements
    • H01Q5/30Arrangements for providing operation on different wavebands
    • H01Q5/307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 H01Q5/314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 H01Q5/335Individual or coupled radiating elements, each element being fed in an unspecified way using frequency dependent circuits or components, e.g. trap circuits or capacitors at the feed, e.g. for impedance ma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6Details
    • H01Q9/14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 H01Q9/145Length of element or elements adjustable by varying the electrical leng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4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separate antennas for the more than one b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05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 H04B1/0067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dapting radio receivers, transmitters andtransceivers for operation on two or more bands, i.e. frequency ranges with one or more circuit blocks in common for different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ceivers (AREA)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Abstract

일 디바이스로 하여금 CDMA 및 GSM과 같이 다중의 주파수 및/또는 다중의 모드 사이에서 스위칭하게 하는,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 시스템이 개시된다. 그 시스템은 동조가능 송신 안테나 및 동조가능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구성은 다중의 송신 안테나 및 다중의 수신 안테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Figure P1020087007268
듀얼-안테나, 동조

Description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 시스템{TUNABLE DUAL-ANTENNA SYSTEM FOR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기술분야
본 출원은 일반적으로 통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동조가능 듀얼-안테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배경
이동 전화기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단일 안테나를 가질 수도 있다. 다중의 주파수 대역 및 다중의 무선 통신 표준을 지원하고자 하는 요구는 기존 안테나의 사이즈의 증가 또는 추가적인 안테나의 설치를 요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옵션들은 작은 폼 팩터(form factor)를 갖는 더 신규한 무선 디바이스에 대해 문제를 발생시킨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a는 단일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b는 다중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1c는 별개의 비-동조가능 송신 및 수신 안테나를 갖는 시스템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는 본 출원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2개의 동조가능 안테나를 갖는 디바 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2b는 송신 및/또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도 있는 다중의 동조가능 안테나를 갖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도 1a의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1b의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1c의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2의 시스템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 안테나 공진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2개의 안테나가 일 디바이스 또는 그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의 내부, 그 근방 또는 그 상부에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2개의 안테나가 일 디바이스 또는 그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의 수평면(단면도)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하나의 안테나가 일 디바이스 또는 그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 상에 또는 그 내부에서 제 2 안테나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도 2의 TX/RX 안테나 쌍의 주파수 동조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해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 측정된 안테나 주파수 응답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2의 안테나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상세한 설명
"월드 폰"과 같은 일부 무선 통신 디바이스는, 적절하게 기능하기 위해 다중-대역 안테나 및/또는 다중의 안테나를 필요로 할 수도 있는 다중의 주파수 대역("다중-대역") 및 다중의 통신 표준("다중-모드")으로 동작하도록 의도된다. 물리 법칙은, 요구된 주파수 대역 상에서 기능하기 위해 다중-대역 안테나가 단일-대역 안테나보다 전기적으로 더 클 것을 강요한다. "다중-대역" 디바이스는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하나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사용하고, 따라서, 다중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도 1b). 대안으로, "다중-대역" 디바이스는 하나의 다중-대역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지만,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안테나 신호를 각각의 대역의 적절한 송신기 및 수신기에 라우팅하도록 멀티플렉서 또는 단일-폴-다중-스로우 스위치를 추가하도록 요구된다.
유사하게, "다중-모드" 디바이스는 각각의 통신 표준에 대해 하나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이용할 수 있고, 따라서, 다중의 송신/수신 안테나를 가질 수 있다(도 1b). 대안으로, "다중-모드" 디바이스는 추가적인 멀티플렉서 또는 단일-폴-다중 스로우 스위치를 갖는 하나의 다중-대역 안테나를 이용하여 동작할 수 있다. EV-DO(Evolution Data Optimized) 및 MIMO(다중입력 다중출력)와 같은 일부 무선 표준은, 데이터 스루풋 성능 및 음성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추가적인 안테나를 필요로 하는 다이버시티 방식을 이용할 수도 있다. 무선 통신 디바이스 상의 더 많은 다중-대역 안테나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고, 이는 무선 디바이스의 사이 즈 및 비용에 있어서의 증가로 인해 이슈가 되고 있다. 핸드셋 제조자들은 그 디바이스의 비용 및 사이즈를 감소시키기 위한 압력을 받고 있다.
도 1a는 단일의 송신/수신 안테나(102), 듀플렉서(104), 송신 회로(106) 및 수신 회로(108)를 갖는 시스템(100)을 도시한 것이다. 듀플렉서는, 송신 회로(106) 및 수신 회로(108)가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단일의 안테나(102)를 공유하게 한다.
도 1b는 다중의 송신/수신 안테나(102, 112), 듀플렉서(104, 114), 송신 회로(106, 116) 및 수신 회로(108, 118)를 갖는 시스템(110)을 도시한 것이다. 일예로서, 안테나(102), 듀플렉서(104), 송신 회로(106) 및 수신 회로(108)는 CDMA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안테나(112), 듀플렉서(114), 송신 회로(116) 및 수신 회로(118)는 GSM 또는 WCDMA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c는 별개의 비-동조가능 송신 및 수신 안테나(122, 123), 송신 회로(126) 및 수신 회로(128)를 갖는 시스템(120)을 도시한 것이다. 이 시스템(120)이 갖는 문제점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의 송신과 수신 간에 에너지 또는 주파수의 커플링, 즉, 크로스-토크, 중첩, 또는 누설일 수도 있다.
도 3a는 도 1a의 시스템(100)의 송신(Tx) 및 수신(Rx) 주파수 대역(300)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의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b는 도 1b의 시스템(110)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302A, 302B)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의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c는 도 1c의 시스템(120)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304, 306)에 대한 반사 전력의 관점에 있어서의 안테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 것이다.
일예로서, 일 구성에 있어서, 이상적인 송신 주파수 대역은 824~849 메가 헤르쯔(MHz)일 수도 있으며, 이상적인 수신 주파수 대역은 869~894MHz일 수도 있다.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 주파수 대역(304)은 수신 주파수 대역(306)과 중첩하며, 이는 송신 및 수신 회로(126, 128)에 있어서 간섭 또는 잡음을 야기할 수도 있다. 필터 또는 아이솔레이터가 그러한 간섭 또는 잡음을 제한하기 위해 추가되어야 할 수도 있다.
도 2a는, 본 출원의 일 실시형태에 따라, 2개의 동조가능 안테나(202, 203), 주파수 제어기(210), 송신 회로(206) 및 수신 회로(208)를 갖는 디바이스(220)를 도시한 것이다. 디바이스(220)는, 다중의 주파수 대역 및/또는 다중의 무선 통신 모드에 대해 동조가능한 별개의 송신 및 수신 안테나(202, 203)의 일 세트를 가진다. 디바이스(220)는 이동 전화기, 개인휴대 정보단말기(PDA), 페이저, 정지형 디바이스, 또는 랩탑이나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컴퓨터에 삽입, 플러그-인 또는 부착될 수도 있는 휴대용 통신 카드(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메모리 카드 국제 협회(PCMCIA))와 같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일 수도 있다.
안테나(202, 203)는 충분히 소형이고, 특정 통신 디바이스 내부에 맞도록 사이징될 수도 있다. 송신 및 수신 회로(206, 208)는 별개의 유닛으로서 도시되어 있지만, 프로세서, 메모리, 의사-랜덤 잡음(PN) 시퀀스 발생기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엘리먼트를 공유할 수도 있다. 디바이스(220)는 도 1a에서와 같은 듀플 렉서(104)를 요구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는 디바이스(220)의 사이즈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별개의 송신 및 수신 동조가능 안테나(202, 203)는 주파수 동조/적응 엘리먼트를 가지며, 이는 주파수 제어기(210)에 의해 제어되어, 다중의 주파수 대역(다중-대역; 주파수 범위 또는 채널 세트라고도 지칭됨)에서의 및/또는 다중의 무선 표준(다중 모드)에 따른 통신을 가능케 할 수도 있다. 안테나 시스템(200)은 특정 동작 주파수에 대한 그 성능을 적응적으로 최적화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상이한 주파수 대역 및/또는 상이한 무선 표준을 갖는 다양한 국가 또는 지역에서 디바이스(200)를 사용하길 원하는 사용자에게 유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202, 203)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450MHz, CDMA 800MHz, 확장된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EGSM) 900MHz, 글로벌 측위 시스템(GPS) 1575MHz, CDMA 1800MHz, CDMA 1900MHz,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1700MHz,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MTS) 1900MHz 등과 같은 다중-대역 무선 애플리케이션의 임의의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도록 동조될 수도 있다. 안테나(202, 203)는, 하나 이상의 1.25MHz 캐리어를 사용할 수도 있는 CDMA 1x EV-DO 통신용으로 이용될 수도 있다. 시스템(200)은 CDMA, GSM, 광대역 CDMA(WCDMA), 시분할 동기식 CDMA(TD-S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WiMAX 등과 같은 다중의 무선 표준(다중 모드)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안테나(202, 203)의 동조 엘리먼트는 별개의 엘리먼트일 수도 있거나 단일 엘리먼트로서 통합될 수도 있다. 동조 엘리먼트는 송신 및 수신 회로(206, 208)에 있어서 별개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되거나, 주파수 제어기(210)와 같은 단일의 제어 유닛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의 시스템(200)의 송신 및 수신 주파수 대역(400, 402)에 대한 반사 전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있어서 대역들(400, 402)의, 도 3에 존재하는 바와 같은 중첩은 존재하지 않는다. 대역들(400, 402) 사이에, 고정된 또는 조절가능한 갭이 존재할 수도 있다. 대역(400, 402)은 도 3에 있어서의 대역(300, 302) 보다 좁을 수도 있다. 안테나(202, 203)는, 송신 회로(206)와 수신 회로(208) 간의 커플링(또는 크로스-토크)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더 협소한 개별 주파수 응답을 가질 수도 있다. 도 4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의의 시간 슬롯에서, 각각의 안테나는 동작 채널 근방에서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 부대역의 오직 작은 부분만을 커버할 수도 있다.
동조 엘리먼트는 TX 및 RX 안테나(202, 203)의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동조 엘리먼트는 전압-가변 마이크로-전자 기계 시스템(MEMS), 전압-가변 강유전체 캐패시터, 버랙터, 버랙터 다이오드 또는 다른 주파수 조절 엘리먼트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조 엘리먼트에 인가되는 상이한 전압 또는 전류는 동조 엘리먼트의 캐패시턴스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이는 안테나(202 또는 203)의 송신 또는 수신 주파수를 변경한다.
듀얼 안테나 시스템(200)은 하나 이상의 이점을 가질 수도 있다. 듀얼 안테나 시스템(200)은 크게 분리(낮은 커플링, 낮은 누설)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직교 안테나의 쌍은 매우 큰 분리(더 낮은 커플링)를 제공할 수도 있다. 높은 Q 및 협대역 안테나는 CDMA 시스템과 같은 풀-듀플렉스 시스템에 있어서 TX 체인과 RX 체인 간의 큰 분리를 제공할 수도 있다.
안테나들(202, 203) 사이에 큰 분리를 제공하기 위해 좁은 순시 대역폭을 갖는 별개의 및 소형의 TX 및 RX 안테나(202, 203)를 이용함으로써, 시스템(200)은 특정 듀플렉서, 멀티플렉서, 스위치, 및 아이솔레이터가 다중-대역 및/또는 다중-모드 디바이스에서 무선 주파수(RF) 회로로부터 생략되게 할 수도 있으며, 이는 비용을 절약하고 회로 보드 면적을 감소시킨다.
더 소형의 안테나는 디바이스(220)에서 안테나 탑재 위치를 선택함에 있어서 더 많은 유연성을 제공한다.
시스템(200)은 더 우수한 신호 품질, 즉, 더 우수한 음성 품질 또는 더 고속의 데이터 레이트를 제공하기 위해 고조파 제거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시스템(200)은 무선 디바이스의 사이즈 및 비용을 감소시키기 위해 송신기 및/또는 수신기 회로와 안테나의 통합을 가능케 할 수도 있다. 시스템(200)의 주파수-동조가능 송신 및 수신 안테나(202, 203)는 안테나의 사이즈 및/또는 수를 감소시킴으로써 호스트 다중-모드 및/또는 다중-대역 무선 디바이스의 사이즈 및 비용 감소를 가능케 할 수도 있다.
시스템(200)은, 예를 들어, EV-DO 또는 MIMO 시스템에 있어서 다이버시티 특성(예를 들어 편파 다이버시티(도 7) 또는 공간 다이버시티(도 2b))을 구현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2b는, 송신 다이버시티 및/또는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할 수도 있는 다중의 동조가능 안테나(232A, 232B, 233A, 233B)를 갖는 디바이스를 도시한 것이다. 임의의 수의 동조가능 송신 및/또는 수신 안테나가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a의 안테나(202, 203)는 디바이스(220)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및 다양한 위치에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일부 예를 제공한다.
도 5는, (동조 엘리먼트를 갖는) 2개의 안테나(502, 504)가 디바이스(500) 또는 그 디바이스의 판 또는 회로 보드의 내부, 그 근방 또는 그 상부에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정면도). 도 5는 또한 송신 및 수신 회로 또는 소스(506, 508)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2개의 안테나(602, 604)가 디바이스(600) 또는 그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의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단면도). 이는 평면 반전형 "F" 안테나(PIFA)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도 6 또한 송신 및 수신 회로(606, 608)를 도시하고 있다.
도 7은, 하나의 안테나(702)가 디바이스(700) 또는 그 디바이스의 회로 보드 상에 또는 그 내부에서 제 2 안테나(704)에 실질적으로 직교하게 위치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정면도). 도 7 또한 송신 및 수신 회로(706, 708)를 도시하고 있다.
도 8은 도 2의 TX/RX 안테나 쌍(202, 203)의 주파수 동조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측정된 반사 전력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의 상부 절반은 853MHz의 중심 주파수 및 1.8 피코패럿(pF)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송신 안테나의 반사 전력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그 상부 절반은 899MHz의 중심 주파수 및 1.8pF의 캐패 시턴스를 갖는 수신 안테나의 반사 전력을 도시한다. 도 8의 저부 절반은 837MHz의 중심 주파수 및 2pF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송신 안테나의 반사 전력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그 저부 절반은 876MHz의 중심 주파수 및 2pF의 캐패시턴스를 갖는 수신 안테나의 반사 전력을 도시한다. 다른 데이터는 안테나 시스템(200)의 다양한 구성 및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측정될 수도 있다.
도 9는 도 2의 안테나 시스템(200)을 이용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블록 900에서, 시스템(200)은 제 1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202)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안테나(203)로 신호를 수신한다. 제 1 주파수 범위는 채널의 세트, 예를 들어, 상이한 코드 및/또는 주파수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일 수도 있다.
블록 902에서, 디바이스(220)는 주파수 범위 및/또는 모드에 있어서의 변경이 존재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없었다면, 안테나 시스템(200)은 블록 900에서 계속할 수도 있다. 만약 변경이 존재하였다면, 시스템(200)은 블록 904로 천이한다. 디바이스(220)는 주파수 범위 및/또는 제 2 무선 통신 모드가 제 1 주파수 범위 및/또는 무선 통신 모드보다 더 우수한 통신(파일럿 또는 데이터 신호 수신, 신호대 잡음비(SNR), 프레임 에러 레이트(FER), 비트 에러 레이트(BER) 등)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정할 수도 있다.
블록 904에서, 시스템(200)은 제 1 무선 통신 모드 또는 제 2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주파수 범위에 따라 엘리먼트(210, 212)로 안테나(202, 203)를 동조시킨다. 제 2 주파수 범위는 채널의 세트, 예를 들어, 상이한 코드 및/또 는 주파수에 의해 정의된 채널들일 수도 있다.
블록 906에서, 시스템(200)은 제 2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202)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안테나(203)로 신호를 수신한다.
당업자는 다양한 서로 다른 기술 및 기법을 이용하여 정보 및 신호가 표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한다. 예를 들어, 상기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도 있는 데이터, 명령, 커맨드(commands), 정보, 신호, 비트, 심볼, 및 칩은 전압, 전류, 전자기파, 자계 또는 자성 입자, 광계 또는 광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도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인식한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대체 가능성을 분명히 설명하기 위하여,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주로 그들의 기능의 관점에서 상술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 구현될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된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조건들에 의존한다. 당업자는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지만, 그러한 구현의 결정이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하지는 않아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회로(ASIC),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기타 프로그래머블 로직 디바이스, 별개의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별개의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계되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 또는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다른 방법으로, 그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 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일 수도 있다. 또한, 프로세서는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결합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기타 다른 구성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ROM), 전기적 프로그래머블 ROM(EPROM), 전기적 소거가능 프로그래머블 ROM(EEPROM),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커플링되어, 그 프로세서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 은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별개의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개시되어 있는 실시형태들에 대한 상기의 설명은 당업자로 하여금 본 발명을 제조 또는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들 실시형태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본 명세서에서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사상 또는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른 실시형태들에 적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형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원리 및 신규한 특징들과 부합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Claims (21)

  1.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 1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수신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 2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들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450MHz, CDMA 800MHz, 확장된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EGSM) 900MHz, 글로벌 측위 시스템(GPS) 1575MHz, CDMA 1800MHz, CDMA 1900MHz,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1700MHz, 및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MTS) 1900MHz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은 상기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보다 적어도 100MHz 더 높은, 무선 통신 디바이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모드 및 상기 제 2 통신 모드는, CDMA, GSM, 광대역 CDMA(WCDMA), 시분할 동기식 CDMA(TD-S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WiMAX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조가능 엘리먼트 및 상기 제 2 동조가능 엘리먼트는 전압-가변 마이크로-전자 기계 시스템(MEMS)을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동조가능 엘리먼트 및 상기 제 2 동조가능 엘리먼트는 전압-가변 강유전체 캐패시터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 및 상기 제 1 수신 주파수 대역은 서로 실질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 안테나는 상기 수신 안테나에 직교하게 위치되어 있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9.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제 2 수신 안테나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0. 제 1 항에 있어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제 2 송신 안테나를 더 구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1.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송신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송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 1 동조 수단을 갖는 송신 수단; 및
    상기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수신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수신 주파수 대역으로 변경하기 위한 제 2 동조 수단을 갖는 수신 수단을 구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2.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1 송신 주파수 세트를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2 송신 주파수 세트로 변경하기 위한 제 1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송신 안테나; 및
    상기 제 1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1 수신 주파수 세트를 상기 제 1 통신 모드 또는 상기 제 2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2 수신 주파수 세트로 변 경하기 위한 제 2 동조가능 엘리먼트를 갖는 수신 안테나를 구비하는, 무선 통신 디바이스.
  13. 제 1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1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통신 모드 또는 제 2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제 2 주파수 범위로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동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무선 통신 모드가 상기 제 1 무선 통신 모드보다 더 우수한 통신을 제공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들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450MHz, CDMA 800MHz, 확장된 이동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EGSM) 900MHz, 글로벌 측위 시스템(GPS) 1575MHz, CDMA 1800MHz, CDMA 1900MHz, 디지털 셀룰러 시스템(DCS) 1700MHz, 및 유니버설 이동 통신 시스템(UMTS) 1900MHz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주파수 범위는 상기 제 2 주파수 범위보다 적어도 100MHz 더 높은, 무선 통신 방법.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무선 통신 모드 및 상기 제 2 무선 통신 모드는, CDMA, GSM, 광대역 CDMA(WCDMA), 시분할 동기식 CDMA(TD-SCDMA),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OFDM), 및 WiMAX 중 적어도 2개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는, 서로 실질적으로 분리된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19. 제 13 항에 있어서,
    수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0. 제 13 항에 있어서,
    송신 다이버시티를 제공하기 위해, 제 3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21. 제 1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1 주파수 세트를 이용하여, 제 1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고 제 2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 1 무선 통신 모드 또는 제 2 무선 통신 모드와 관련된 채널의 제 2 주파수 세트로 상기 제 1 안테나 및 상기 제 2 안테나를 동조시키는 단계; 및
    상기 채널의 제 2 주파수 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안테나로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 2 안테나로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방법.
KR1020087007268A 2005-08-26 2006-08-28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시스템 KR2008004621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213,464 2005-08-26
US11/213,464 US7801556B2 (en) 2005-08-26 2005-08-26 Tunable dual-antenna system for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6211A true KR20080046211A (ko) 2008-05-26

Family

ID=37496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7268A KR20080046211A (ko) 2005-08-26 2006-08-28 다중의 주파수 대역 동작을 위한 동조가능 듀얼-안테나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801556B2 (ko)
EP (1) EP1917698A1 (ko)
JP (1) JP2009506685A (ko)
KR (1) KR20080046211A (ko)
CN (1) CN101292395A (ko)
BR (1) BRPI0615137A2 (ko)
CA (1) CA2620204A1 (ko)
RU (1) RU2395874C2 (ko)
TW (1) TWI312209B (ko)
WO (1) WO200702530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2478B2 (en) 2004-05-07 2010-01-26 Baker Hughes Incorporated Cross-component alignment measurement and calibration
KR100735319B1 (ko) * 2006-06-2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단말기의 안테나 잡음률 보정 방법 및 장치
US8018913B2 (en) * 2006-09-29 2011-09-13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components in a time division multiplex wireless system
GB0700801D0 (en) * 2007-01-16 2007-02-21 Nortel Networks Ltd Shared radio backhaul system
KR20080083753A (ko) * 2007-03-13 2008-09-1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송수신 장치 및 방법
TW200840137A (en) * 2007-03-16 2008-10-01 Advanced Connectek Inc Switching frequency band apparatus of wideband antenna and method thereof
US7688273B2 (en) * 2007-04-20 2010-03-30 Skycross, Inc. Multimode antenna structure
EP2063548B1 (en) * 2007-11-23 2012-04-11 Alcatel Lucent A user terminal for radio communications,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8583197B2 (en) 2007-12-12 2013-11-12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sharing antennas for high frequency and low frequency applications
WO2009134788A1 (en) * 2008-04-28 2009-11-05 Wispry, Inc. Tunable duplexing antenna and methods
US20100029350A1 (en) * 2008-08-01 2010-02-04 Qualcomm Incorporated Full-duplex wireless transceiver design
US8509709B2 (en) * 2008-08-07 2013-08-13 Wilocity, Ltd. Consumer electronic device having a distributed form factor millimeter wave receiver and transmitter
US20100105340A1 (en) * 2008-10-29 2010-04-29 Qualcomm Incorporated Interface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KR20110130389A (ko) 2008-12-24 2011-12-05 레이스팬 코포레이션 Rf 전단 모듈 및 안테나 시스템
US8106838B2 (en) 2009-02-05 2012-01-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bile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having diversity antenna system and related methods
US9231680B2 (en) * 2009-03-03 2016-01-05 Rfaxis, Inc. Multi-channel radio frequency front end circuit
US8711047B2 (en) * 2009-03-13 2014-04-29 Qualcomm Incorporated Orthogonal tunable antenna arra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WO2010105336A1 (en) * 2009-03-18 2010-09-23 Sierra Wireless, Inc. Multiple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8472904B2 (en) * 2009-03-30 2013-06-2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Antenna with integrated tuning detection elements
CN101562460B (zh) * 2009-05-22 2013-04-03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的无线收发装置
CN101640949B (zh) * 2009-06-29 2012-07-25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多天线无线收发装置
JP5463868B2 (ja) 2009-11-18 2014-04-09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信号処理方法
EP2609686B1 (en) * 2010-08-26 2019-10-09 Wispry, Inc. Tunable radio front end and methods
US9425850B2 (en) 2010-10-27 2016-08-23 Sai C. Kwok Simultaneous voice and data communication
US8810331B2 (en) 2010-12-10 2014-08-19 Wispry, Inc. MEMS tunable notch filter frequency automatic control loop systems and methods
KR101171298B1 (ko) 2011-03-15 2012-08-06 (주)에드모텍 차량용 측후방 레이더 센서용 안테나
US20120243447A1 (en) 2011-03-21 2012-09-27 Qual Comm Incorporated Dual antenna distributed front-end radio
AU2012262112B2 (en) 2011-06-01 2016-12-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Broadband distributed antenna system with non-duplexer isolator sub-system
US8843085B2 (en) * 2011-09-09 2014-09-23 Ethertronics, Inc. Pre-optimization of transmit circuits
CN102420634A (zh) * 2011-12-07 2012-04-18 捷开通讯科技(上海)有限公司 无线通信收发系统
US8977216B2 (en) * 2012-03-19 2015-03-10 Qualcomm Incorporated Limited Q factor tunable front end using tunable circuits and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MEMS)
US9312888B2 (en) 2012-06-29 2016-04-12 Qualcomm Incorporated Antenna interface circuits for carrier aggregation on multiple antennas
CN103592478A (zh) * 2012-08-17 2014-02-1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辐射信号源
US8913976B2 (en) 2012-10-23 2014-12-16 Qualcomm Incorporated Amplifiers with shunt switches
US8886137B2 (en) 2012-10-31 2014-11-11 Raytheon Company Frequency tunable transmit/receive (Tx/Rx) antenna switch
US9197393B2 (en) * 2012-11-27 2015-11-24 Intel Corporation Multi-transceive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adaptive multi-band communication
US11662704B1 (en) 2013-03-15 2023-05-30 Vivint, Inc. Monitoring removal of an automation control panel
US10018981B2 (en) * 2013-03-15 2018-07-10 Vivint, Inc. Monitoring removal of an automation control panel
JP6487912B2 (ja) * 2013-06-26 2019-03-20 キャベンディッシュ・キネティック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Cavendish Kinetics, Inc. ダイバーシティアンテナの動的離調によるアンテナ効率向上
US9450638B2 (en) 2013-08-23 2016-09-20 Qualcomm Incorporated TX antenna selection for LTE in multiple radio devices
FR3010836B1 (fr) * 2013-09-18 2016-12-09 Centre Nat Rech Scient Dispositif de reflexion d'une onde, dispositif mobile, et systeme
WO2015143377A1 (en) 2014-03-21 2015-09-24 Wispry, Inc. Tunable antenna systems, devices, and methods
US9750020B2 (en) * 2014-03-27 2017-08-29 Intel Corporation Carrier aggregation with tunable antennas
WO2015160777A1 (en) 2014-04-15 2015-10-22 Commscope Technologies Llc Wideband remote unit for distributed antenna system
US9654152B2 (en) 2015-03-02 2017-05-1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rvice provider adaptive vehicle antenna
US10318858B2 (en) 2015-04-08 2019-06-11 Nike, Inc. Multi-antenna tuned wearable article
GB2543741B (en) 2015-10-05 2019-02-27 Visteon Global Tech Inc Multi channel communications
CN106058465B (zh) * 2016-05-23 2019-01-22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降低机载天线间耦合度的装置
JP2018198372A (ja) * 2017-05-23 2018-12-13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US10910714B2 (en) 2017-09-11 2021-02-02 Qualcomm Incorporated Configurable power combiner and splitter
DE102018222589A1 (de) * 2018-12-20 2020-06-25 Siemens Mobility GmbH Antennenanordnung sowie Schienenfahrzeug mit Antennenanordnung, aufweisend mehrere Antennen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7343A (en) 1996-09-09 2000-12-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Antenna array calibration
JPH0897624A (ja) * 1994-09-28 1996-04-12 Sharp Corp プリントアンテナ
JP3482089B2 (ja) * 1996-12-25 2003-12-22 シャープ株式会社 周波数切替式逆fアンテナ
US5945964A (en) 1997-02-19 1999-08-31 Motorola, Inc. Multi-band antenna structure for a portable radio
FI113212B (fi) * 1997-07-08 2004-03-15 Nokia Corp Usean taajuusalueen kaksoisresonanssiantennirakenne
US6151354A (en) * 1997-12-19 2000-11-21 Rockwell Science Center Multi-mode, multi-band, multi-user radio system architecture
US5977928A (en) 1998-05-29 1999-11-0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High efficiency, multi-band antenna for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JP2001136026A (ja) * 1999-11-05 2001-05-18 Hitachi Ltd 携帯無線端末
JP2002319815A (ja) * 2001-04-24 2002-10-31 Ee C Ii Tec Kk アンテナ装置
US20020183013A1 (en) * 2001-05-25 2002-12-05 Auckland David T. Programmable radio frequency sub-system with integrated antennas and filters an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ing same
US20040130496A1 (en) * 2001-06-04 2004-07-08 Hiroshi Iijima Diversity antenna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3743324B2 (ja) * 2001-08-03 2006-02-0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と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JP2003087023A (ja) 2001-09-13 2003-03-20 Toshiba Corp 無線通信アンテナを内蔵した携帯型情報機器
US6476769B1 (en) * 2001-09-19 2002-11-05 Nokia Corporation Internal multi-band antenna
JP3823792B2 (ja) * 2001-09-25 2006-09-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アンテナモジュールとこれを用いた携帯機器
US6864848B2 (en) * 2001-12-27 2005-03-08 Hrl Laboratories, Llc RF MEMs-tuned slot antenna and a method of making same
US7184727B2 (en) * 2002-02-12 2007-02-27 Kyocera Wireless Corp. Full-duplex antenna system and method
CN100367686C (zh) 2002-02-21 2008-02-06 京瓷无线公司 用于提供具有全球定位系统能力的无线通信的系统和方法
US6624789B1 (en) * 2002-04-11 2003-09-2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isolation in radio-frequency antennas
US20040072542A1 (en) * 2002-10-10 2004-04-15 Sanford John Richard Communication device with integration in separate transmitter and receiver antennas
JP4168786B2 (ja) 2003-03-05 2008-10-22 日本電気株式会社 マルチバンド無線端末及びそれに用いるバンド切替方法並びにそのプログラム
US6924766B2 (en) * 2003-04-03 2005-08-02 Kyocera Wireless Corp. Wireless telephone antenna diversity system
JP2004328285A (ja) 2003-04-23 2004-11-18 Alps Electric Co Ltd 携帯型受信機
JP4529375B2 (ja) * 2003-04-28 2010-08-25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無線中継装置
JP2005210568A (ja) * 2004-01-26 2005-08-04 Kyocera Corp 周波数可変アンテナおよびそれを用いた無線通信装置
WO2005072468A2 (en) * 2004-01-28 2005-08-11 Paratek Microwave Inc.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utilizing a tunable antenna-duplexer combination
US7202790B2 (en) 2004-08-13 2007-04-10 Sensormatic Electronics Corporation Techniques for tuning an antenna to different operating frequencies
US7663555B2 (en) * 2004-10-15 2010-02-16 Sky Cros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US7834813B2 (en) * 2004-10-15 2010-11-16 Skycross, Inc. Methods and apparatuses for adaptively controlling antenna parameters to enhance efficiency and maintain antenna size compact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620204A1 (en) 2007-03-01
US20070049213A1 (en) 2007-03-01
EP1917698A1 (en) 2008-05-07
US7801556B2 (en) 2010-09-21
TWI312209B (en) 2009-07-11
JP2009506685A (ja) 2009-02-12
RU2395874C2 (ru) 2010-07-27
WO2007025309A1 (en) 2007-03-01
CN101292395A (zh) 2008-10-22
RU2008111490A (ru) 2009-10-10
TW200717923A (en) 2007-05-01
BRPI0615137A2 (pt) 2011-05-03
WO2007025309A8 (en) 2007-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01556B2 (en) Tunable dual-antenna system for multiple frequency band operation
JP6227686B2 (ja) 適応可能アンテナシステム
US7848771B2 (en) Wireless terminals
US8711047B2 (en) Orthogonal tunable antenna array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US8005438B2 (en) Multiple frequency band wireless transceiver device and related devices
JP2012513731A (ja) マルチポートアンテナ構造
US9531084B2 (en)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MIMO) antennas having polarization and angle diversity and related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s
AU2010225399A1 (en) Multiple antenna system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509047B2 (en) Self-configurable resonance antenna
US10211539B2 (en) Reconfigurable antenna
WO2014072323A1 (en) Capacitively coupled antenna apparatus and methods
KR100620743B1 (ko) 다중 대역 안테나가 구비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