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4956A -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4956A
KR20080044956A KR1020060113804A KR20060113804A KR20080044956A KR 20080044956 A KR20080044956 A KR 20080044956A KR 1020060113804 A KR1020060113804 A KR 1020060113804A KR 20060113804 A KR20060113804 A KR 20060113804A KR 20080044956 A KR20080044956 A KR 200800449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vernor
elevator
pulley
fl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3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4739B1 (ko
Inventor
이상준
Original Assignee
세이프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프테크 (주) filed Critical 세이프테크 (주)
Priority to KR1020060113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4739B1/ko
Publication of KR2008004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4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4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04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detecting excessive speed
    • B66B5/044Mechanical overspeed govern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18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 B66B5/185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and applying frictional retarding forces by acting on main ropes or main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정전시나 개문 발차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에도 비상 제동될 수 있도록 하며, 전체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서포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감긴 조속기 로프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조속기 풀리; 상기 조속기 풀리의 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조속기 풀리가 과속 회전될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플라이 웨이트(fly-weight);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접촉되거나 혹은, 여타의 조작력이 제공될 경우 동작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면서 조속기 로프를 비상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조속기 풀리의 축방향을 행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 레버에 전달하는 연동 브라켓; 그리고, 비상 상황시 상기 연동 브라켓이 돌출되도록 구동되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가 제공된다.
조속기, 조속기 풀리, 래칫, 포올, 캠 형상의 트립레버, 솔레노이드 스위치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조속기{governor for elevator}
도 1은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연동 브라켓 및 구동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동작 상태 중 승강차의 과도한 하강시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9와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동작 상태 중 비상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의 동작 상태 중 비상 제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승강차 11. 승강차 로프
30. 조속기 로프 40. 조속기
50. 텐션 풀리 100. 베이스 프레임
200. 프레임 서포트 210. 로프 관통홀
220. 회동축 300. 조속기 풀리
310. 중앙부 320. 풀리부
330. 리브부 340. 중심축
400. 플라이 웨이트 410. 웨이트 스프링
420. 링크 500. 조작 레버
510. 조작단 520. 구속단
530. 구속홈 600. 제동부
610. 마찰부 620. 쐐기부 621. 회동단
622. 가압단 630. 구속돌기
640. 탄력부재 700. 연동 브라켓
710. 접촉단 720. 걸림단
730. 연결단 800. 구동부
810. 설치 브라켓 820. 솔레노이드
830. 플런저 840. 복원부재
900.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 910. 스위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급격한 엘리베이터의 하강뿐만 아니라 정전시나 개문 발차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에도 엘리베이터가 비상 정지될 수 있도록 하며, 그 동작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승객이 탑승한 승강차를 고층 건물 등에 수직 방향으로 승강시키면서 상기 승객을 이송하는 장치로써, 모터로 견인되는 다수의 로우프에 연결되어 승,하강 된다.
또한, 상기한 엘리베이터에는 수직 방향으로 승강되면서 발생될 수 있는 비상 사고(예컨대, 미끄러짐이나 규정 속도를 초과한 하강 발생시 혹은, 규정 속도를 초과한 상승 발생시)에 대처하기 위한 비상 제동장치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비상 제동장치는 다양한 구성이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조속기(governor) 및 상기 조속기와 연동되는 세이프티 기어(safety gear)이다.
여기서, 상기 조속기는 승기 승강차의 운행시 이 승강차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가 상기 승강차와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면서 상기 승강대의 속도가 정격속도(안전속도)를 초과하게 되면 상기 조속기는 일차적으로 안전회로에 있는 스위치를 동작시켜 정지되도록 동작된다. 만일, 상기 스위치의 동작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승강차의 속도가 계속 증가하게 되면 상기 세이프티 기어를 동작시켜 결국 상기 승강차를 강제 제동하도록 동작된다.
특히, 최근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과속 발생시에만 비상제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정전이나 개문발차 등과 같은 상황에서도 비상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229566호에서와 같이 엘리베이터의 과속 발생시에는 진자가 그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면서 과속 스위치를 동작시키도록 하여 그 비상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개문발차시에는 상기 각 해제부재에 설치된 솔레노이드가 그의 플런저를 돌출시켜 진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상기 진자가 원심력을 제공받지 못하여 충분히 벌어지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비상 제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종래의 기술은 상기 솔레노이드가 각 해제부재에 고정 설치되며, 그의 플런저 돌출 방향은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방향이기 때문에 비상 제동을 위해서는 상기 플런저의 돌출 거리가 충분히 길어야 한다.
즉, 상기 각 해제부재의 위치는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완전히 벌어진 상태에서 부딪힐 수 있는 위치로 결정됨을 고려할 때 상기 진자의 최초 위치와는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되지만, 이러한 거리만큼 상기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돌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솔레노이드의 길이 역시 상기 거리만큼 충분히 길어야 되었으며, 이로 인해 상기 솔레노이드의 설치를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워 실질적인 제품에의 적용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조속기가 가지는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 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급격한 엘리베이터의 하강뿐만 아니라 정전시나 개문 발차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에도 엘리베이터가 비상 정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비상 상황시 비상 정지를 위한 구조는 그 설치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개선한 새로운 형태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서포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감긴 조속기 로프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조속기 풀리; 상기 조속기 풀리의 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조속기 풀리가 과속 회전될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플라이 웨이트(fly-weight);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접촉되거나 혹은, 여타의 조작력이 제공될 경우 동작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면서 조속기 로프를 비상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조속기 풀리의 축방향을 행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 레버에 전달하는 연동 브라켓; 그리고, 비상 상황시 상기 연동 브라켓이 돌출되도록 구동되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조속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마찰부와, 쐐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프레임 서포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과, 상기 조작 레버에 선택적으로 구속됨과 더불어 그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회동단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상기 마찰부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를 쐐기 형태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가압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함께, 상기 제동부에는 일측은 상기 프레임 서포트 중 상기 마찰부와는 반대측편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쐐기부의 회동단에 연결되어 상기 쐐기부가 상기 마찰부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를 구속할 경우 상기 쐐기부로 탄력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력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연동 브라켓은 그의 돌출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접촉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으로부터 내향 절곡되어 상기 조작 레버와 맞닿는 걸림단과,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동력을 제공받는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접촉단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서포트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연동 브라켓에 결합되는 플런저를 가지면서 상기 설치 브라켓의 면상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연동 브라켓의 연결단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연동 브라켓의 연결단과 상기 설치 브라켓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첨부된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가 적용된 엘리베이터 장치가 도시되고 있다.
즉, 상기한 엘리베이터 장치는 모터(도시는 생략됨)로 견인되는 승강차 로프(11)로 인해 승강 및 하강하는 승강차(10)와, 상기 승강차(10)에 연결되어 상기 승강차(10)의 승강 이동과 함께 이동되는 조속기 로프(30)와, 상기 조속기 로프(30)의 이동을 지지하면서 상기 승강차를 비상 제동하기 위한 엘리베이터용 조속기(40)와, 상기 조속기(40)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를 지지하는 텐션 풀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첨부된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전술한 엘리베이터 장치에 적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40)의 세부 구조가 도시되고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40)는 크게 베이스 프레임(100) 및 프레임 서포트(200)와, 조속기 풀리(300)와, 플라이 웨이트(400)와, 조작 레버(500)와, 조작부(600)와, 연동 브라켓(700)과, 구동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은 엘리베이터용 조속기(40)의 안정적인 설치를 위한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베이스 프레임(100)은 조속기의 몸체를 이루는 부위로써,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로 구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프레임 서포트(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저부를 이루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기계실 등에 고정 설치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 서포트(2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과는 수직한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그의 양측에는 조속기 로프(30)가 관통되는 로프 관통홀(210)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속기 풀리(governor pulley)(3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속기 풀리(300)는 휠(wheel)의 형상을 이루면서 그 둘레면을 따라 감긴 조속기 로프(30)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일련의 풀리이다.
특히, 상기한 조속기 풀리(300)는 중앙측 부위를 이루면서 중심축(340)이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는 중앙부(310)와, 둘레면을 따라 상기 조속기 로프(30)가 감기는 풀리부(320)와, 상기 중앙부(310) 및 풀리부(320)를 서로 연결하도록 상기 중앙부(310)로부터 방사상으로 형성된 리브부(33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중앙부(310)에 고정되는 중심축(340)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플라이 웨이트(fly-weight)(4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는 그 일단이 상기 조속기 풀리(300)를 이루는 리브부(33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조속기 풀리(300)가 과속 회전될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외측 방향을 향해 벌어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는 단순히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지만, 비상 제동에 대한 반응이 더욱 빨리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어도 둘 이상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이의 경우 상기 두 플라이 웨이트(400)는 상기 조속기 풀리의 전면 중 서 로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한 플라이 웨이트(400)는 상기 조속기 풀리(300)에 탄력 설치함으로써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거나 혹은, 상기 조속기 풀리(3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를 원심력으로 벌릴 정도에까지 회전력을 제공하지 못할 경우라면 항상 최초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일단이 상기 조속기 풀리(300) 중 어느 한 리브부(330)의 면상에 고정됨과 더불어 타단은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측과는 반대측 끝단에 연결되는 웨이트 스프링(410)이 더 제공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웨이트 스프링(410)은 모든 플라이 웨이트(400)에 각각 별개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첨부된 도 2와 같이 어느 한 플라이 웨이트에 상기 웨이트 스프링(410)을 설치함과 더불어 다른 한 플라이 웨이트는 상기 어느 한 플라이 웨이트와 링크(420)로써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즉, 두 플라이 웨이트(400)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질 경우에는 서로 동일한 양만큼 벌어지도록 함과 더불어 원상태로 복귀시에는 상기 하나의 웨이트 스프링(410)에 의해 상기 두 플라이 웨이트(400)가 동일하게 복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조작 레버(5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조작 레버(500)는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접촉되어 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거나 혹은, 여타의 강제적인 조작력이 제공될 경우 그 회동 동작이 이루어지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조작 레버(500)의 회동 중심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 중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저부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일단(이하, “조작단”이라 함)(510)은 상기 조속기 플리(300)를 이루는 풀리부(320)의 전면에까지 이르도록 돌출되고, 타단(이하, “구속단”이라 함)(520)은 프레임 서포트(200)에 위치되도록 돌출된다.
즉, 조속기 풀리(300)가 과속 회전되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질 경우 상기 조작 레버(500)의 조작단(510)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부딪혀 상기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을 향해 회동되면서 구속단(520)을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동부(6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동부(600)는 상기 조작 레버(500)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면서 조속기 로프(30)를 비상 제동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30)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마찰부(610) 및 쐐기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찰부(610)는 상기 조속기 로프(30)를 바라보면서 조속기 로프(30)의 유동 방향을 따라 길게 세워진 평판형의 플레이트이다.
그리고, 상기 쐐기부(620)는 상기 조작 레버(500)에 의한 구속이 해제될 경 우 상기 마찰부(610)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30)를 쐐기 형태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쐐기부(620)는 상기 프레임 서포트(20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621)과, 상기 마찰부(610)에 선택적으로 근접하면서 그 사이에 위치된 조속기 로프(30)를 쐐기 형태로 가압하는 가압단(62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압단(622)은 상기 조작 레버(500)에 선택적으로 구속됨과 더불어 그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회동단(621)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한 가압단(622)의 면상에는 상기 조작 레버(500)의 타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구속되는 구속 돌기(630)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조작 레버(500)의 타단에는 상기 구속 돌기(630)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는 구속홈(530)(도 6 및 도 7 참조)이 형성되어 상기 조작 레버(500)가 회동될 경우 상기 구속홈(530)이 상기 구속 돌기(630)의 구속을 선택적으로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쐐기부(620)가 마찰부(610)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30)를 구속할 경우 상기 쐐기부(620)로 탄력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력부재(640)가 더 포함됨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탄력부재(640)는 그 일측이 상기 프레임 서포트(200) 중 상기 마찰부(610)와는 반대측편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쐐기부(620)의 회동단(621)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쐐기부(620)의 회동단(621)에는 상기 탄력부재(640)에 의한 좌우 유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도 가능하도록 좌우 방향으로 긴 장공(650)이 형성되고, 상기 장공(650)에는 프레임 서포트(2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된 회동축(220)이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 브라켓(7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연동 브라켓(700)은 비상 상황시(예컨대, 정전이나 개문발차 등)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축방향을 향해 선택적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접촉되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 레버(500)에 전달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연동 브라켓(700)은 그의 돌출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접촉되는 접촉단(710)과, 상기 접촉단(710)으로부터 내향 절곡되어 상기 조작 레버(500)와 맞닿는 걸림단(720)과, 후술되는 구동부(800)로부터 돌출력을 제공받는 연결단(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특히, 상기 접촉단(710)은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가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더라도 접촉될 수 있을 정도에 이르기까지 길게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걸림단(720)은 연동 브라켓(700)의 돌출 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조작 레버(500)와 맞닿도록 구성됨이 그 실시예로 제시하고 있지만,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돌출시에만 상기 조작 레버(500)와 맞닿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접촉단(710)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형상적 특징은 상기 플라이 웨이 트(400)가 상기 접촉단(710)에 부딪히더라도 상기한 경사면을 타고 넘어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급작스러운 충격에 의한 상호 간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일련의 구조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동부(800)에 대하여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800)는 비상 상황시 상기 연동 브라켓(700)이 돌출되도록 구동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설치 브라켓(810)과 솔레노이드(8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론, 상기한 구동부(800)는 비상 상황이 아닐 경우 첨부된 도 7과 같이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동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을 뿐 아니라 조작 레버(500)에도 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위치에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 브라켓(810)은 상기 솔레노이드(820)를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하기 위한 일련의 구성으로써, 그 양단은 상기 프레임 서포터(200)에 결합되고, 내측 부위는 상기 연동 브라켓(700)이 수용되도록 요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솔레노이드(820)는 상기 설치 브라켓(810)의 외면에 설치됨과 더불어 그 플런저(830)는 상기 설치 브라켓(810)의 면상을 관통하여 상기 설치 브라켓(810)의 내측 부위인 상기 연동 브라켓(700)이 내장된 공간으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연결단(73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연결단(730)은 상기 플런저(830)에 연결되되 그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연결단(730)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840)가 더 구비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복원부재(840)는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조작력(플라이 웨이트와의 부딪힘에 의해 회동되는 힘)이 해제될 경우 상기 연동 브라켓(700)을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회동시키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연동 브라켓(700)의 연결단(730)과 상기 설치 브라켓(810)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조속기 풀리(300)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하강될 경우 플라이 웨이트(400)가 조작 레버(500)를 조작하기 이전에 승강차 로프(11)를 제동하는 브레이크(도시는 생략됨)를 동작시켜 일차적인 비상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한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 중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전 경로 상에 그 스위치(910)가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면 상단에 설치됨을 제시한다.
물론, 상기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의 스위치(910)는 플라이 웨이트(400)가 그 원심력에 의해 조작 레버(500)를 조작할 정도로 벌어지지 않더라도 미리 설정된 거리(예컨대, 조속기 풀리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였을 경우 플라이 웨이트가 벌어지는 거리) 이상 벌어졌을 경우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의해 그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위치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일련의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용 조속기에 대한 동작 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우선, 첨부된 도 1과 같이 일반적인 승강차(10)의 운행시 조속기 로프(30)는 조속기(40)의 조속기 풀리(300) 및 텐션 풀리(50)에 감겨진 상태로 상기 승강차(10)와 함께 이동된다.
이때, 엘리베이터용 조속기(4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400)는 첨부된 도 2 및 도 3과 같이 웨이트 스프링(410)의 복원력에 의해 그의 벌어짐이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조속기 풀리(300)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함께, 연동 브라켓(700)은 비록 그의 걸림단(720)이 조작 레버(500)와 접촉된 상태를 이루더라도 접촉단(710)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와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강제로 젖혀지는 등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상기 조작 레버(500)의 조작도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상기 승강차(10)가 규정 속도를 초과하여 하강하게 되면 각 플라이 웨이트(400)는 첨부된 도 5와 같이 그 원심력에 의해 회동 중심으로부터 외측단이 점차 벌어지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각 플라이 웨이트(400)는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의 스위치(910)를 가격하여 상기 안전 스위치 어셈블리(900)의 접점(도시는 생략됨)을 온(ON)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브레이크(도시는 생략됨)의 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승강차 로프(11)의 제동이 이루어져 승강차(10)는 비상 정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일련의 비상 제동이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승강차가 계속해서 하강하면서 규정 속도를 초과하게 될 경우에는 상기 각 플라이 웨이트(400)가 그 원심력에 의해 더욱 벌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각 플라이 웨이트(400)는 첨부된 도 6 및 도 7과 같이 조속 기 풀리(300) 중 풀리부(320)의 위치에 이르기까지 돌출된 조작 레버(500)의 일단을 가격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조작 레버(500)의 일단은 그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을 향해 젖혀짐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젖혀지면서 회동 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작 레버(500)의 타단이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 그의 구속홈(530)으로부터 제동부(600)를 이루는 구속 돌기(630)가 구속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동부(600)를 이루는 쐐기부(620)의 가압단(622)은 첨부된 도 8과 같이 회동단(621)을 기준으로 자유낙하 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가압단(622)이 조속기 로프(30)와 접촉될 경우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30)의 유동 방향을 따라 더욱 하강하면서 상기 조속기 로프를 마찰부(610)와의 사이에서 쐐기 형태로 가압하여 구속하게 된다. 이때, 탄력부재(640)는 상기 쐐기부(620)를 상기 마찰부(610)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30)의 더욱 원활한 구속이 이루어진다.
결국, 전술한 일련의 과정에 의해 조속기 로프(30)의 유동이 중지되면서 승강차(10)는 비상 정지하게 된다.
한편, 승강차(10)의 운행 속도가 규정 속도 이내에서 안정적으로 운행하는 도중 정전이나 개문 발차 등과 같은 비상 상황이 발생될 경우에는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400)가 원심력을 제공받지 못하기 때문에 외측으로의 벌어짐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로 인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가 조작 레버(500)를 조작하게 되는 상 황도 이루어지지 않는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승강차(10)의 과속 하강시가 아닌 여타의 원인에 따른 비상 상황(정전, 개문 발차 등)이 발생될 경우에는 구동부(800)를 이루는 솔레노이드(820)의 동작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그 플런저(830)가 첨부된 도 3과 같은 최초 상태에서 첨부된 도 10과 같이 전방 즉, 조속기 풀리(300)의 축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이로 인해, 상기 플런저(830)에 결합된 연동 브라켓(700) 역시 첨부된 도 10과 같이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축방향을 향해 돌출된다.
이때, 상기 연동 브라켓(700)을 이루는 접촉단(710)은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가 그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지 않더라도 조속기 풀리(300)가 회전된다면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에 부딪혀 젖혀질 수 있는 곳에 위치된다.
따라서, 비록 과속 상태가 아닌 정상적인 속도로 조속기 풀리(300)가 회전되더라도 상기 접촉단(710)은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회전되는 플라이 웨이트(400)에 부딪히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연동 브라켓(700) 역시 상기 플라이 웨이트(400)의 회전 방향을 따라 연결단(730)을 기준으로 회동된다. 이의 상태는 첨부된 도 9 및 도 11과 같다.
이의 경우, 상기 연동 브라켓(700)을 이루는 걸림단(720)이 그에 접촉되어 있던 조작 레버(500)의 조작단(510)을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을 향해 젖히게 되고, 상기 조작 레버(500)의 구속단(520)은 그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을 향해 젖혀지면서 회동 된다.
그리고, 상기한 조작 레버(500)의 타단이 상기 조속기 풀리(30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회동되면 그의 구속홈(530)으로부터 제동부(600)의 구속 돌기(630)가 구속 해제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동부(600)를 이루는 쐐기부(620)의 가압단(622)은 첨부된 도 12와 같이 회동단(621)을 기준으로 자유낙하 하게 된다.
이의 과정에서 상기 가압단(622)이 조속기 로프(30)와 접촉될 경우 그 마찰력에 의해 상기 조속기 로프(30)의 유동 방향을 따라 더욱 하강하면서 상기 조속기 로프를 마찰부(610)와의 사이에서 쐐기 형태로 가압하여 구속하게 된다. 이때, 탄력부재(640)는 상기 쐐기부(620)를 상기 마찰부(610)로 가압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상기 조속기 로프(30)의 더욱 원활한 구속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조속기는 정전시나 개문 발차시와 같은 비상 상황의 발생시에 솔레노이드의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한 쌍의 플라이 웨이트가 벌어지는 것과는 상관없이 조작 레버를 조작하여 조작부가 안전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동됨에 따라 승강차의 비상 정지가 가능하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솔레노이드는 조속기 풀리의 축방향을 향해 연동 브라켓을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동작함에 따라 플런저의 돌출량을 최소화하더라도 그 원활한 동작이 가능하게 되어 결국, 전체적인 설치 공간도 최소화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저부에 형성되는 프레임 서포트;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둘레면을 따라 감긴 조속기 로프의 유동에 의해 회전되는 조속기 풀리;
    상기 조속기 풀리의 면상에 설치되며, 상기 조속기 풀리가 과속 회전될 경우 그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플라이 웨이트(fly-weight);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상기 플라이 웨이트가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벌어져 접촉되거나 혹은, 여타의 조작력이 제공될 경우 동작되는 조작 레버;
    상기 조작 레버의 동작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속이 해제되면서 조속기 로프를 비상 제동하는 제동부;
    상기 조속기 풀리의 축방향을 행해 선택적으로 돌출되어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전력을 상기 조작 레버에 전달하는 연동 브라켓; 그리고,
    비상 상황시 상기 연동 브라켓이 돌출되도록 구동되는 구동부:가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부는
    상기 조속기 로프를 사이에 두고 위치되는 마찰부 및 쐐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쐐기부는 상기 프레임 서포트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단과, 상기 조작 레버에 선택적으로 구속됨과 더불어 그 구속이 해제될 경우 상기 회동단의 회동 중심을 기준으로 하향 회동되면서 상기 마찰부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를 쐐기 형태로 가압하여 구속하는 가압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일측은 상기 프레임 서포트 중 상기 마찰부와는 반대측편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쐐기부의 회동단에 연결되어 상기 쐐기부가 상기 마찰부와 함께 상기 조속기 로프를 구속할 경우 상기 쐐기부로 탄력적인 가압력을 제공하는 탄력부재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 브라켓은
    그의 돌출이 이루어질 경우 상기 플라이 웨이트에 접촉되는 접촉단과,
    상기 접촉단으로부터 내향 절곡되어 상기 조작 레버와 맞닿는 걸림단과,
    상기 구동부로부터 회동력을 제공받는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단은 그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플라이 웨이트의 회동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프레임 서포트에 설치되는 설치 브라켓과,
    상기 연동 브라켓에 결합되는 플런저를 가지면서 상기 설치 브라켓의 면상에 결합되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에는 상기 연동 브라켓의 연결단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복원부재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복원부재는 상기 연동 브라켓의 연결단과 상기 설치 브라켓에 그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스프링임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20060113804A 2006-11-17 2006-11-17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854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04A KR100854739B1 (ko) 2006-11-17 2006-11-17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3804A KR100854739B1 (ko) 2006-11-17 2006-11-17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4956A true KR20080044956A (ko) 2008-05-22
KR100854739B1 KR100854739B1 (ko) 2008-08-27

Family

ID=39662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3804A KR100854739B1 (ko) 2006-11-17 2006-11-17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47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7B1 (ko) * 2018-10-05 2019-04-10 주식회사 태헌폴 조명타워 비상제동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18784B (zh) * 2014-06-09 2016-08-24 宁波欧菱电梯配件有限公司 一种电梯的平层防溜动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5960U (ko) * 1996-09-13 1998-06-25 이종수 승강기용 조속기의 안전장치
KR100716863B1 (ko) * 2000-05-10 2007-05-09 주식회사 쉰들러 엘리베이터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557B1 (ko) * 2018-10-05 2019-04-10 주식회사 태헌폴 조명타워 비상제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4739B1 (ko) 200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21395B (zh) 具有自动复位的电梯超速调节器
US8950554B2 (en) Elevator governor
EP2855325B1 (en) Car mounted overspeed governor actuation device
CN101198537B (zh) 释放电梯安全装置的方法和装置
JP4566351B2 (ja) エレベータかごの非常止め装置
KR100854739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JP5159039B2 (ja) 乗客コンベアのガバナ装置
JPH11349251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KR101967590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및 엘리베이터 장치
JP6517372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EP1577248B1 (en) Elevator apparatus and speed adjusting rope
WO2010084564A1 (ja) エレベータ用安全装置
US11858780B1 (en) Governor assembly, elevator safety device and elevator system
EP4389668A1 (en) Governor assembly for an elevator
US20240199376A1 (en) Governor assembly for an elevator
KR100458825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CN118220946A (zh) 用于电梯的调速器组件
KR200297250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356217Y1 (ko) 엘리베이터 상승/하강 겸용 제동 장치
KR20050004395A (ko) 엘리베이터의 양방향 단속 조속기
CN117466101A (zh) 一种自动锁止型电梯限速器
KR20050004399A (ko) 양방향 제동이 가능한 조속기 및 비상제동장치를 갖는엘리베이터
JPH0569042U (ja) エレベーターの調速機
JPH04323184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