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7250Y1 -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7250Y1
KR200297250Y1 KR2020020026692U KR20020026692U KR200297250Y1 KR 200297250 Y1 KR200297250 Y1 KR 200297250Y1 KR 2020020026692 U KR2020020026692 U KR 2020020026692U KR 20020026692 U KR20020026692 U KR 20020026692U KR 200297250 Y1 KR200297250 Y1 KR 20029725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wheel
coupled
pin
click
ratch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69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숙
Original Assignee
정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인숙 filed Critical 정인숙
Priority to KR202002002669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725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725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7250Y1/ko

Links

Landscapes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12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의 선단에 형성된 누름핀(10)과, 상기 래칫(160)의 톱니에 결합되어 주륜(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릭(150)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핀(20)과, 상기 프레임(110) 전, 후방면에 결합되고, 상측 내면에 힌지축(30)을 갖는 고정판(40)과, 상기 힌지축(3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50)와 외측에는 탄성부재(61)에 결합되고 클릭(150)의 회동핀(20)을 눌러 래칫(160)의 단속을 해지하는 누름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구(70)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주륜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구의 회동부재를 트립레버의 누름핀이 누름과 동시에 누름부재가 클릭의 회동핀을 눌러 동시에 회동되면서 단속되어 있는 로프를 자동으로 해지하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한 것이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조속기{Speed regulator of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주륜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구의 회동부재를 트립레버의 누름핀이 누름과 동시에 누름부재가 클릭의 회동핀을 눌러 동시에 회동되면서 단속되어 있는 로프를 자동으로 해지하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는 로프가 끊어졌을 때뿐만 아니라 어떠한 이상이 있어 승강대가 비정상적으로 빠르게 하강하는 경우에 이를 저지하는 조속기가 설치된다.
그리고 조속기는 통상 기계실에 설치되고 승강대에 연결된 조속기 로프(이하 '로프'라 함)가 조속기 주륜에 권취되어 상기 주륜을 회전시키다가 승강대의 속도가 비정상적으로 상승되면 조속기 주륜의 진자가 원심력에 의해 바깥쪽으로 벌어지며 과속스위치를 동작시켜 권양기의 전동기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권양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킴으로써 승강대가 정지하게 된다.
한편, 권양기 브레이크의 고장이나 로프가 끊어진 경우에는 승강대를 멈출 수 없게 되므로 정격속도의 1.3배를 넘는 경우에는 조속기 주륜의 진자가 다시 벌어져 로프캐쳐를 당겨지게 하여 이 로프캐쳐에 결합된 슈우에 의해 로프가 고정되므로서 승강기에 부착되어 있는 비상정지장치를 동작시켜 비상정지가 가능하도록 된다.
즉, 이와 같은 조속기는 승강대가 로프의 절단 등의 이유로 하강방향으로 자유낙하거나 하강방향으로 규정된 속도 이상으로 과속하여 승강대가 추락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조속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대가 하강방향으로 추락 및 급과속될 경우에만 작동되는 것이므로 상승방향의 과속시에는 주 전원을 차단하는 스위치가 동작하는 것 이외에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급상승시의 승객안전에 문제가 발생되었다.
또한, 엘리베이터 권양기의 브레이크 이상이나 권양기의 도르래에서 로프가 미끄러질 경우 또는 안전회로의 이상 등으로 승강대가 승강장에서 문을 연 채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때 이를 감지하여 승강대를 멈추도록 하는 기능이 없어 안전사고의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조속기는 구성요소의 수량이 많아 조립공수 및 생산원가 증가되고 이에 따라 생산성이 저하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실용신안등록 제243836호인 '엘리베이터의 조속기'가 있는데 이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양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프레임상에 결합되는 중심축(1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륜(120)과, 상기 주륜(120)에 설치되어 이 주륜(120)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복수의 진자(130,Flyweight)와, 상기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Trip lever)와, 이 트립레버(140)와 접속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주륜(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릭(150,Click)과, 상기 주륜(120)의 일측 중심축에 회동자재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150)과 맞물림되면 그 회동이 구속되어 주륜과 연동되는 래칫(160,Ratchet)과, 상기 래칫(160)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는 링크(172)의 타측에 슈를 포함하는 로프캐쳐(178,rope catcher)가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측으로 로프캐쳐(178)에 외력을 인가시키는 외력인가부재(176)가 구성된 로프고정체(170)와, 승강대가 비정상적으로 과속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진자(130)의 작용에 의해 작동되어 권양기(미도시)의 전동기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권양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과속스위치(210)가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 도면 도 2a 내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승강대가 하강방향으로 구동되면 조속기의 로프가 승강대와 같은 속도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로프가 권취된 주륜(120)이 회전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대가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하강되면 주륜에 장착된 진자(130)가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과속스위치(210)를 동작시켜 권양기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브레이크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다시 지정된 속도이상으로 더 과속되면 진자(130)가 트립레버(140)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트립레버(140)에 고정되어 있던 클릭(150)의 구속이 해제되고 탄성부재(158)의 인장력에 의해 당겨지게 작동되면서 그 선단이 래칫(160)의 톱니에 맞물림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칫(160)이 주륜(120)에 구속되는 바, 주륜(12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16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래칫(160)의 래칫핀에 고정된 링크(172)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당겨지는 링크(172)는 고정판(174)을 당겨 이 고정판에 결합된 로프캐쳐(178)가 로프에 밀착되면서 로프의 움직임을 차단 구속하게 되므로 하강방향으로 비상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가 고정된 상태에서 계속 승강대가 하강운동을 하게 되면 승강대에 장착된 비상정지장치(미도시)가 작동되어 승강대를 정지시키게 된다.
반대로 승강대가 상승방향으로 구동될 경우에는 로프가 권취된 주륜(12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대가 정해진 속도이상으로 하강되면 주륜(120)에 장착된 진자(130)가 원심력에 의해 작동되면서 과속스위치(210)를 동작시켜 권양기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브레이크작용을 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다시 지정된 속도이상으로 더 과속되면 진자(130)가 트립레버(140)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클릭(150)이 작동되면서 그 선단이 래칫(160)의 톱니에 맞물림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칫(160)이 주륜(120)에 구속되는 바 주륜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래칫(160)의 래칫핀에 고정된 링크(172)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당겨지는 링크는 고정판(174)을 당겨 이 고정판에 결합된 로프캐쳐(178)가 로프에 밀착되면서 로프의 움직임을 차단 구속하게 되므로 상승방향으로 비상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한 고안은 승강대가 로프의 절단 등의 이유로 하강방향으로 자유낙하하거나 규정속도 이상으로 과속할 경우 조속기가 동작하므로 엘리베이터의 기계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장점은 있다.
그러나, 조속기가 구속하고 있는 로프를 다시 해지하여 정비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주륜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구의 회동부재를 트립레버의 누름핀이 누름과 동시에 누름부재가 클릭의 회동핀을 눌러 동시에 회동되면서 단속되어 있는 로프를 자동으로 해지하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기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12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의 선단에 형성된 누름핀(10)과, 상기 래칫(160)의 톱니에 결합되어 주륜(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릭(150)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핀(20)과, 상기 프레임(110) 전, 후방면에 결합되고, 상측 내면에 힌지축(30)을 갖는 고정판(40)과, 상기 힌지축(30)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측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50)와 타측에는 탄성부재(61)에 결합되고 클릭(150)의 회동핀(20)을 눌러 래칫(160)의 단속을 해지하는 누름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구(70)로 이루어진다.
도 1은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a~2b는 종래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인 조속기의 회동구에 누름핀과 회동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a는 도 5의 확대도.
도 6b는 도 5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누름핀 20: 회동핀
30: 힌지축 40: 고정판
50: 회동부재 60: 누름부재
61: 탄성부재 70: 회동구
90: 조속기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인 조속기의 회동구에 누름핀과 회동핀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a는 도 5의 확대도이며. 도 6b는 도 5의 회전상태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이의 도면중 부호 50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조속기를 표시하고 있다.
첨부 도면 도 3과 같이 상기 조속기(90)는, 외주면에 로프가 권취되어 있는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12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의 선단에 형성된 누름핀(10)과, 상기 래칫(160)의 톱니에 결합되어 주륜(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릭(150)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핀(20)과, 상기 프레임(110)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측 내면에 힌지축(30)을 갖는 고정판(40)과, 상기 힌지축(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50)와 외측에는 탄성부재(61)에 결합되고 클릭(150)의 회동핀(80)을 눌러 래칫(160)의 단속을 해지하는 누름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구(7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동구(70)는 첨부 도면 도 5와 같이 힌지축(30) 일측에 회동부재(50)와 누름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회동부재(50)는 선단 상측을 면취하고, 누름부재(60)는 선단 하측을 면취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50)의 길이는 누름부재(60)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하여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 반경이 누름부재(60) 보다 좁게된다.
또한, 상기 회동부재(50)의 선단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이 위치하게 되고, 누름부재(60)의 면취된 부분의 후방으로 맞닿도록 클릭(150)의 회동핀(20)이 위치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첨부 도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대가 지정된 속도 이상으로 더 과속되면 진자(130)가 트립레버(140)를 동작시키게 되고, 이에 연동되어 트립레버(140)에 고정되어 있던 클릭(150)의 구속이 해제되어 탄성부재(158)의 인장력에의해 당겨지게 작동되면서 그 선단이 래칫(160)의 톱니에 맞물림되게 된다.
이에 따라 래칫(160)이 주륜(120)에 구속되는 바, 주륜(120)이 시계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래칫(160) 또한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 래칫(160)의 래칫핀에 고정된 링크(172)가 당겨지게 된다.
이와 같이 당겨지는 링크(172)는 고정판(174)을 당겨 이 고정판에 결합된 로프캐쳐(178)가 로프에 밀착되면서 로프의 움직임을 차단 구속하게 되므로 하강방향으로 비상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조속기 로프가 고정된 상태에서 계속 승강대가 하강운동을 하게 되면 승강대에 장착된 비상정지장치(미도시)가 작동되어 승강대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승강대(미도시)가 비상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주륜(120)이 역회전하면서 고정판(40)의 힌지축(30)에 결합되어 있는 회동구(70)를 회전시켜 로프를 해지하게 된다.
첨부 도면 도 6a는 회동구(70)의 초기화 상태를 나타낸 되는 것으로, 상기 회동부재(50)의 선단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이 위치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누름부재(60)의 면취된 부분의 후방으로는 클릭(150)의 회동핀(20)이 위치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첨부 도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형성된 회동부재(50)를 주륜(120)의 진자(130)에 형성된 트립레버(140) 선단에 형성된 누름핀(10)이 누르면서 회전하면서 누름부재(60)에 체결되어 있는 탄성부재(61)의 탄성력에 의해 누름부재(60)가 클릭(150)의 회동핀(20)을 누르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주륜(120)이 자유로운 상태가 되고 구속된 로프도 해지되어 승강대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쉽게 수리 작업을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조속기가 로프를 구속하여 비상정지한 상태에서 승강대를 상측으로 상승시키면 주륜이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판에 설치되어 있는 회동구의 회동부재를 트립레버의 누름핀이 누름과 동시에 누름부재가 클릭의 회동핀을 눌러 동시에 회동되면서 단속되어 있는 로프를 자동으로 해지하므로 고장으로 인한 수리 및 보수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직육면체 형상을 갖되 양측부가 개방되게 형성된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상에 결합되는 중심축(12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륜(120)과, 상기 주륜(120)에 설치되어 이 주륜(120)이 정해진 속도 이상으로 과속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복수의 진자(130,Flyweight)와, 상기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Trip lever)와, 상기 트립레버(140)와 접속 연동되어 회동되도록 주륜(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클릭(150,Click)과, 상기 주륜(120)의 일측 중심축(122)에 회동자재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릭(150)과 맞물림되면 그 회동이 구속되어 주륜(120)과 연동되는 래칫(160,Rachet)과, 상기 래칫(160)에 일측 단부가 접속되는 링크(172)의 타측에 슈를 포함하는 로프캐쳐(178,rope catcher)가 프레임(11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외측으로 로프캐쳐(178)에 외력을 인가시키는 외력인가부재(176)가 구성된 로프고정체(170)와, 승강대가 비정상적으로 과속할 경우 원심력에 의해 벌어지는 진자(130)의 작용에 의해 작동되어 권양기(미도시)의 전동기 전원을 차단시킴과 동시에 권양기의 브레이크를 동작시키는 과속스위치(210)가 구성된 엘리베이터의 조속기에 있어서,
    상기 주륜(120)의 과속으로 작용되는 원심력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되는 진자(130)에 접촉되어 작동되도록 주륜(120)의 일측으로 설치되는 트립레버(140)의 선단에 형성된 누름핀(10)과,
    상기 래칫(160)의 톱니에 결합되어 주륜(120)의 회전을 단속하는 클릭(150)의 후방에 형성된 회동핀(20)과,
    상기 프레임(110)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측 내면에 힌지축(30)을 갖는 고정판(40)과,
    상기 힌지축(3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내측에는 트립레버(140)의 누름핀(10)에 의해 회동하는 회동부재(50)와 외측에는 탄성부재(61)에 결합되고 클릭(150)의 회동핀(80)을 눌러 래칫(160)의 단속을 해지하는 누름부재(60)가 일체로 형성된 회동구(7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20020026692U 2002-09-06 2002-09-0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29725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92U KR200297250Y1 (ko) 2002-09-06 2002-09-0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692U KR200297250Y1 (ko) 2002-09-06 2002-09-0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53709A Division KR100458825B1 (ko) 2002-09-06 2002-09-0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7250Y1 true KR200297250Y1 (ko) 2002-12-11

Family

ID=73128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692U KR200297250Y1 (ko) 2002-09-06 2002-09-06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725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52383A1 (en) Governor for elevator
US7537090B2 (en) Method and appliance for tripping the safety gear of an elevator using an overspeed governor
CN107673159B (zh) 升降机的限速器
JP4437574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JP3929724B2 (ja) エレベータ
JP2007084260A (ja) エレベータの調速機
KR100458825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297250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40029816A (ko) 엘리베이터 장치의 조속기
EP1598300A1 (en) Governor for elevator, and elevator equipment
KR100716863B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JP4326255B2 (ja) エレベータ用ガバナ
KR200200007Y1 (ko) 상하 양방향 비상정지장치를 갖는 엘리베이터 조속기
KR100468092B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602875B1 (ko) 엘리베이터 승강 조속기
KR100490331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EP3640186B1 (en) Remote triggering device, overspeed governor assembly and elevator system
KR200243836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200318718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854739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100709506B1 (ko) 자동복귀 및 수동트립형 조속기
JP4986428B2 (ja) エレベータ用調速機
KR200221490Y1 (ko) 엘리베이터의 조속기
KR100857644B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KR200389605Y1 (ko) 엘리베이터용 조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27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