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3915A - 체크체인 - Google Patents

체크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3915A
KR20080043915A KR1020060112570A KR20060112570A KR20080043915A KR 20080043915 A KR20080043915 A KR 20080043915A KR 1020060112570 A KR1020060112570 A KR 1020060112570A KR 20060112570 A KR20060112570 A KR 20060112570A KR 20080043915 A KR20080043915 A KR 20080043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oil chamber
cushion
check chain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12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7945B1 (ko
Inventor
박명화
Original Assignee
박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화 filed Critical 박명화
Priority to KR1020060112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7945B1/ko
Publication of KR20080043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3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7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7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preventing or limiting side-play of implemen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크체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렉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체크체인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연신됨으로 특별한 기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체크체인에 내장된 유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의 요동 및 진동을 한층더 완화시킬 수 있는 체크체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핑수단이 없이도 몸통부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체크체인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제품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통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봉이 몸통부 내부에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외부의 수분과 먼지에 의한 산화 및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명연장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쿠션조절부를 구비하여 유실 내의 유체에 유동성을 줌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체크체인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완화시키며, 이에 따라 진동 및 요동에 의한 고장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작업기에 연결되는 로드부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부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트랙터와 작업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체크체인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20)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나사산(20a)과; 상기 나사산(20a)이 삽입되어 너트결합되는 결합봉(30a)과, 상기 결합봉(30a)의 일측에 상기 몸체 부(5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가압판(30b)으로 구성된 가압부재(3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상기 로드부(10)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실(61)에 내장되는 유체(6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50)의 일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50b)와 상기 견인부(20) 상에 형성된 고정공(20b)에 핀 결합되는 고정핀(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P1020060112570
회전식, 체크체인, 유체, 쿠션조절, 트랙터, 유실

Description

체크체인{CHECK CHAIN}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체이동관과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체이동관과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로드부 10a: 로드헤드
10b: 작업기연결링 20: 견인부
20a: 나사산 20b: 고정공
20c: 트렉터연결링 30: 가압부재
30a: 결합봉 30b: 가압판
40: 고정핀 40a: 핀기둥
40b: 핀머리 40c: 고정날개
50: 몸통부 50a: 유실판
50b: 고정돌기 51: 손잡이
52: 실 53: 베어링
54: 유체이동관 60: 유체
61: 제1유실 62: 제2유실
63: 제3유실 70: 쿠션조절부
71: 쿠션판 72: 스프링
73: 체결볼트 74: 유체통로
75: 제1스위치 76: 제2스위치
77: 제3스위치
본 발명은 체크체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트렉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체크체인을 좌우로 회전시키면 길이가 연신됨으로 특별한 기구가 없이도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체크체인에 내장된 유체를 이용하여 외부에서의 요동 및 진동을 한층더 완화시킬 수 있는 체크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경작용의 가래, 쟁기, 수확기 등의 각종 작업기를 견인하는데 없어서는 안돼는 장비로서, 트랙터의 후방에는 작업기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링크가 구비되어 있으며, 작업기의 연결시에는 상,하와 좌,우와 전,후 간 의 길이 조절이 가능한 체크체인을 이용하여 연결하고 있다.
특히, 트랙터 본체와 작업기 간의 균형은 매우 중요하며, 불균형 발생하면 견인저항이 커지고 경심이 점점 깊어진다거나 얕아져 트랙터의 슬립이 발생하고 연료소비가 많아지므로 상기 체크체인을 연결수단으로 하여 작업기와 트랙터의 좌우 수평을 보정하고, 상기 연결링크와 트랙터에 장착된 브라킷간의 거리를 팽팽하게 유지하여 좌우 진동 및 요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며, 체크체인의 길이는 작업기에 따라 수시로 길이가 조정된다.
종래의 체크체인은, 나사결합 방식을 이용한 턴버클(Turnbuckle)식 체크체인과 유체의 이동을 이용한 유압식 체크체인이 대표적이다.
상기 턴버클식 체크체인은 몸체를 좌우로 회전시키도록 외주면에 손잡이가 구비된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일측에 나사결합하는 견인부와, 상기 몸통부의 타측에 삽입결합되는 로드부로 구성되며, 상기 견인부와 로드부의 일측면에는 트랙터와 작업기를 연결하는 연결링이 구비된다.
그러나, 상기 턴버클식 체크체인은 상기 브라킷간의 거리만을 팽팽하게 해줄뿐 외부에서의 진동 및 요동을 방지하지 못하며, 상기 로드부와 몸통부 간의 삽입결합이 매우 불편할 뿐만 아니라 상기 로드부를 몸통부에 고정하는 고정핀을 분실하는 경우가 많고, 체크체인에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견인부의 나사산가 어긋나는 경우가 많아 이에 따른 비용손실을 감수해야만 했다.
또한, 트랙터 작업은 주로 수분과 먼지가 많은 경작지에서 사용되므로 턴버클식 체크체인은 수분이나 먼지에 의해 산화 및 부식으로 상기 견인부의 회전이 어 려운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인력과 시간의 낭비가 많았다.
상기 유압식 체크체인은 공개특허공보 제2006-20584호(2006.03.06, 발명의 명칭:유압식가동식 체크체인)과 같이 제1원통체와 제2원통체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고 유체를 펌핑시키기 위한 펌핑수단이 구비된 캡과, 상기 본체의 피스톤실에서 왕복이동되는 피스톤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펌핑수단은 플런저 펌프와 제1체크밸브 및 제2체크밸브로 구성되어 유체의 이동에 따른 유압식으로 길이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약품에 의한 산화 및 부식발생을 방지하고 있다.
특히, 상기 체크체인은 본체의 유실과 피스톤실 상에서 유체가 이동되면서 피스톤로드부를 본체로부터 인입,출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연결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종례의 턴버클식 체크체인의 나사결합에 의한 수동방식보다 유체를 이용한 연신수단을 채택함으로써 편리성이 향상됨과 더불어 상기 턴버클식 체크체인의 산화 및 부식에 대한 단점과 자동성이 보완되어 시장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체크체인은 유압유를 흡입하여 토출하기 위하여 플런저 펌프나 모터와 같은 펌핑수단을 필요로 하고, 펌핑을 하기위한 까다로운 구조로 인해 고장이 자주 발생하며, 펌핑수단을 갖추기 위한 제조비용이 매우 비싸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 은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핑수단이 없이도 몸통부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체크체인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제품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통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봉이 몸통부 내부에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외부의 수분과 먼지에 의해 산화 및 부식이 되지않는 체크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쿠션조절부를 구비하여 유실 내의 유체에 유동성을 줌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체크체인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완화시키며, 이에 따라 진동 및 요동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여 유지보수비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크체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랙터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작업기에 연결되는 로드부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부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트랙터와 작업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체크체인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나사산과; 상기 나사산이 삽입되어 너트결합되는 결합봉과, 상기 결합봉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가압판으로 구성된 가압부재와; 상기 가압부재와 상기 로드부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실에 내장되는 유체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일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와 상기 견인부 상에 형성된 고정공에 핀 결합되는 고정핀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로드부가 상기 몸체 부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체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이동된 후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원위치되어 상기 로드부를 원상복귀시키는 쿠션조절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쿠션조절부는 상기 제1유실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체통로와, 상기 유체통로의 내부에 구비되는 쿠션판과, 상기 쿠션판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핀 결합되는 체결볼트와, 상기 유체통로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외부에서 차단하기 위한 제1스위치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유실의 반대쪽에 상기 가압판을 매개로 형성된 제2유실 및 상기 로드부를 매개로 형성된 제3유실에 유체가 더 내장되고, 상기 제2유실과 제3유실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가압부재의 이동에 따른 상기 로드부의 인입 또는 인출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이동관과, 상기 쿠션조절부에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체크체인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체이동관과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유체이동관과 쿠션조절부가 구비된 체크체인의 단면도이다.
상기 도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의한 체크 체인은 트랙터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는 견인부(20)와; 상기 견인부(20)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작업기에 연결되는 로드부(10)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부(20)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트랙터와 작업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몸체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견인부(20)는 일측에 고리형의 트렉터연결링(30a)이 구비되어 트랙터와 결합되고, 상기 로드부(10)의 일측에 구비된 작업기연결링(10a)에는 작업기가 결합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20)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나사산(20a)과; 상기 나사산(20a)이 삽입되어 너트결합되는 결합봉(30a)과, 상기 결합봉(30a)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5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가압판(30b)으로 구성된 가압부재(3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상기 로드부(10)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실(61)에 내장되는 유체(60)로 구성되며, 상기 몸체부(50)의 일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50b)와 상기 견인부(20) 상에 형성된 고정공(20b)에 핀 결합되는 고정핀(4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40)은, 상기 고정돌기(50b)와 상기 고정공(20b)을 관통하는 일정길이에 핀기둥(40a)의 일측 단부에 회동되게 구비되고, 상기 고정돌기(50b)의 외주면에 압착되는 사각 링 형태의 고정날개(40c)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유체(60)는 일정한 압력이나 충격에 의해 특정 공간으로 이동되어 지는 오일이나 구리스등의 유동성 액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50)를 회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한 개 이상의 손잡이(51)가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 부착되며, 회전에 의한 체크체인의 길이조정 후에는 상기 고정핀(40)을 상기 고정공(20b)에 삽입하여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로드부(10)가 상기 몸체부(5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체(60)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이동된 후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원위치되어 상기 로드부(10)를 원상복귀시키는 쿠션조절부(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쿠션조절부(70)는 상기 제1유실(61)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체통로(74)와, 상기 유체통로(74)의 내부에 구비되는 쿠션판(71)과, 상기 쿠션판(71)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72)과, 상기 스프링(72)의 이탈방지와 쿠션의 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핀결합되는 체결볼트(73)와, 상기 유체통로(74)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외부에서 차단하기 위한 제1스위치(75)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50)의 내주면에는 상기 결합봉(30a)의 일측 외주면에 압착되는 유실판(50a)이 형성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유실판(50a)과 가압부재(30)의 사이에는 유실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체(60)가 일정한 틈새로 새어 들어오는 것을 막는 실(52)은 상기 몸체부(50)의 내주면에 압착되는 로드헤드(10a)와 상기 가압판(30b)의 외주면에 구비되고, 상기 결합봉(30a)의 일측 외주면과 유실판(50a)의 접촉부와, 상기 로드부(10)의 외주면과 상기 몸체부(50)의 접촉부에 각각 구비되며, 상기 고정돌 기(50b)의 일측 내주면과 상기 견인부(20)의 사이에는 베어링(53)이 구비되어 상기 견인부(20)의 일측이 상기 몸체부(50)내에서 원활히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유실(61)의 반대쪽에 상기 가압판(30b)을 매개로 형성된 제2유실(62) 및 상기 로드부(10)를 매개로 형성된 제3유실(63)에 유체가 더 내장되고, 상기 제2유실(62)과 제3유실(63)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가압부재(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로드부(10)의 인입 또는 인출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이동관(5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유체이동관(54)은 상기 쿠션조절부(70) 내에서 상기 유체통로(74)와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체통로(74)와 상기 쿠션조절부(70)가 연통되는 점을 기점으로 상기 유체이동관(54)의 양측에는 상기 유체이동관(54)의 유체이동을 막기 위한 제2스위치(76)와 제3스위치(7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몸체부(50)의 외주면에 부착된 한개 이상의 손잡이(51)를 상기 몸체부(5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시키는 경우 견인부(20)와 가압부재(30)간의 나사결합으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30)가 상기 몸체부(50)의 내주면을 따라 이동되며, 유체(60)에 인장력과 압축력이 가해지고, 이 경우 상기 유체(60)의 이동으로 로드헤드(10a)에 힘이 가해지며, 일측이 상기 몸체부(50)에 돌출된 로드부(10)가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로드부(10)에 외부의 충격으로 인하여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상기 로드부(10)와 접촉된 상기 유체(60)에 압축력이 작용하고, 상기 유체(60)의 일부가 상기 유체통로(74)를 통해 쿠션조절부(70)로 유입되며, 이 경우 유압에 의 해 쿠션판(71)이 일정거리만큼 후퇴된 후 탄성력에 의해 원위치 되면서 상기 유체(60)를 상기 몸체부(50)의 제1유실(61)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쿠션판(71)에 불량이 발생하여 교체시키거나 이물질로 인해 작동기능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상기 쿠션조절부(70)에 부착된 제1스위치(75)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여 상기 유체(60)가 외부로 투출되지 않도록 하고, 체결볼트(73)를 상기 쿠션조절부(70)에서 결합해제시킨 후, 유체통로(74)의 내부에서 상기 쿠션판(71)을 분리시키며, 상기 쿠션판(71)의 재결합 시에는 상기 유체통로(74)의 내부에 쿠션판(71)을 삽입한 후에 상기 체결볼트(73)을 핀 결합하고, 상기 제1스위치(75)를 개방상태로 변경하여 상기 유체(60)와 상기 쿠션판(71)이 다시 접촉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75)를 잠금 상태로 유지하고 상기 몸체부(50)와 상기 견인부(20)를 고정하여 체크체인이 외부의 충격에 노출시킬 경우 상기 쿠션조절부(70)로 이동되는 상기 유체(60)가 없어지고, 이 경우 상기 쿠션조절부(70)의 충격흡수가 없이 상기 몸체부(50)와 상기 견인부(20)를 고정하여 작업을 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스위치(75)의 개방이나 잠금 상태에 의해 상기 체크체인이 외부의 충격이 완화되도록 할 수도 있고 없게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볼트(73)를 상기 쿠션조절부(70)에 결합할 경우에 상기 체결볼트(73)를 상기 쿠션판(71)과 압착되어 질수록 상기 체결볼트(73)와 상기 쿠션판(71)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 상기 유체(60)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쿠션조절부(70)로 이동되는 양이 적어져 체크체인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양이 적어지 고, 상기 체결볼트(73)를 상기 쿠션판(71)과 거리를 두도록 핀결합 할 경우에 상기 쿠션판(71)과 상기 체결볼트(73)사이에 구비된 스프링(72)이 차지하는 공간이 확장되어 상기 유체(60)가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상기 쿠션조절부(70)로 이동될 경우 상기 유체(60)의 이동량이 그만큼 많아지며 상기 체크체인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하는 양이 많아지게 되므로, 상기 체결볼트(73)를 통해 상기 체크체인의 쿠션강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부(50)와 상기 견인부(2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로드부(10)가 임의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돌기(50b)와 견인부(20)에 형성된 고정공(20b)에는 고정핀(40)이 삽입되며, 상기 고정핀(40)의 핀머리(40b)에는 상기 고정핀(40)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고정돌기(50b)에 압착되는 원터치 형식의 고정날개(40c)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40c)는 자체적인 탄성력에 의해 상기 고정핀(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유실(62)과 제3유실(63)이 형성된 체크체인의 길이를 상기 몸체부(50)의 회전을 통하여 연신시킬 경우에는 상기 제2유실(62)과 상기 제3유실(63)의 유체가 유체이동관(54)을 통하여 이동하며, 상기 로드부(10)가 상기 몸체부(5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많아질 수 록 상기 제3유실(63)의 유체가 제2유실(62)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로드부(10)가 상기 몸체부(5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이 줄어들 수 록 상기 제3유실(63)의 부피가 팽창되므로 상기 제2유실(62)의 유체(60)가 상기 유체이동관(54)을 통해 유입되게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체이동관(54)의 내부에 이동되는 유체가 유체통로(72)를 통해 제1유실(61)로 유입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유실(61)의 유체(60)가 제2유실(62)이나 제3유실(63)로 이동되는 것을 막기 위해, 쿠션조절부(70)의 제1스위치(75)를 차단상태로 하고, 제2스위치(76)와 제3스위치(77)를 개방상태로 유지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50)와 상기 견인부(20)를 고정하여 체크체인이 외부의 충격에 노출시킬 경우에는, 충격을 완화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제1스위치(75)를 개방상태로 하여 제1유실(61)의 유체(60)가 상기 유체통로(74)를 통해 이동되어 쿠션판(71)에 접촉되게 하고, 상기 제2스위치(76)와 상기 제3스위치(77)를 차단하여 상기 제1유실(61)의 유체(60)가 상기 제2유실(62)이나 상기 제3유실(63)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체크체인을 연신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몸체부(50)의 회전을 통해 용이하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고, 고정시에는 원터치 형식의 고정핀(40)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되고, 트랙터의 운전시에는 쿠션조절부(70)를 통해 작업기와 트랙터 간의 요동 및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를 유동시키기 위한 별도의 펌핑수단이 없이도 몸통부를 좌우로 회전시킴으로써 체크체인의 길이를 간단하게 조작할 수 있고 이에 따른 제조비용의 절감과 더불어 제품의 사용상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몸통부와 나사결합되는 결합봉이 몸통부 내부에 밀폐되어 있음으로써 외부의 수분과 먼지에 의한 산화 및 부식을 방지함과 아울러 수명연장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쿠션조절부를 구비하여 유실 내의 유체에 유동성을 줌으로서 외부의 충격에 의해 체크체인에 가해지는 인장력과 압축력을 완화시키며, 이에 따라 진동 및 요동에 의한 고장이 발생치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트랙터의 후방에 일측이 결합되는 견인부와; 상기 견인부가 일측으로 삽입되고 타측으로 작업기에 연결되는 로드부가 삽입되며, 상기 견인부와 길이조절수단에 의해 트랙터와 작업기의 간격을 조절하는 몸체부로 이루어진 체크체인에 있어서,
    상기 길이조절수단은, 상기 견인부(20)의 타측 외주면에 일정 피치로 형성된 나사산(20a)과; 상기 나사산(20a)이 삽입되어 너트결합되는 결합봉(30a)과, 상기 결합봉(30a)의 일측에 상기 몸체부(50)의 내주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는 가압판(30b)으로 구성된 가압부재(30)와; 상기 가압부재(30)와 상기 로드부(10)의 사이에 형성된 제1유실(61)에 내장되는 유체(60)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부(50)의 일측면에 돌출된 고정돌기(50b)와 상기 견인부(20) 상에 형성된 고정공(20b)에 핀 결합되는 고정핀(4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체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50)의 외주면에 외부 충격에 따라 상기 로드부(10)가 상기 몸체부(50)의 내부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유체(60)의 일부가 일시적으로 이동된 후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면서 원위치되어 상기 로드부(10)를 원상복귀시키는 쿠션조절부(7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쿠션조절부(70)는 상기 제1유실(61)과 연통되게 형성된 유체통로(74) 와, 상기 유체통로(74)의 내부에 구비되는 쿠션판(71)과, 상기 쿠션판(71)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72)과, 상기 스프링(72)의 이탈방지와 쿠션의 강도를 조절하도록 핀 결합되는 체결볼트(73)와, 상기 유체통로(74)로 유입되는 유체의 흐름을 외부에서 차단하기 위한 제1스위치(7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체인.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실(61)의 반대쪽에 상기 가압판을 매개로 형성된 제2유실(62) 및 상기 로드부(10)를 매개로 형성된 제3유실(63)에 유체가 더 내장되고, 상기 제2유실(62)과 제3유실(63)을 상호 연통시켜 상기 가압부재(30)의 이동에 따른 상기 로드부(10)의 인입 또는 인출시 유체의 이동을 안내하는 유체이동관(54)과, 상기 쿠션조절부(70)에 구비되어 유체의 이동을 제어하는 스위치(76,7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크체인.
KR1020060112570A 2006-11-15 2006-11-15 체크체인 KR100847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70A KR100847945B1 (ko) 2006-11-15 2006-11-15 체크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12570A KR100847945B1 (ko) 2006-11-15 2006-11-15 체크체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3915A true KR20080043915A (ko) 2008-05-20
KR100847945B1 KR100847945B1 (ko) 2008-07-22

Family

ID=3966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12570A KR100847945B1 (ko) 2006-11-15 2006-11-15 체크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794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32A (ko) * 2017-12-27 2019-07-05 박기혁 경작기의 안전장치
CN114097342A (zh) * 2021-11-19 2022-03-01 王秀娟 一种可调节农业机械用牵引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1680B1 (ko) 2010-03-15 2011-12-30 박명화 트랙터용 체크체인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749C2 (de) 1999-09-17 2001-07-19 Walterscheid Gmbh Gkn Seitenstrebe für einen Unterlenker eines Traktors
KR200182655Y1 (ko) 1999-12-16 2000-05-15 박명화 농기계용 유압가동식 체크체인
KR200194194Y1 (ko) 2000-03-21 2000-09-01 박명화 농기계용 체크체인
KR100658560B1 (ko) 2005-07-25 2006-12-15 김성조 유압식가동식 체크체인
KR200418754Y1 (ko) 2006-04-03 2006-06-13 박명화 유압식 체크체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32A (ko) * 2017-12-27 2019-07-05 박기혁 경작기의 안전장치
CN114097342A (zh) * 2021-11-19 2022-03-01 王秀娟 一种可调节农业机械用牵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7945B1 (ko) 2008-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9063233A1 (fr) Cylindre hydraulique
US9289888B2 (en) Screw tensioning device
JP2015511541A (ja)
KR100847945B1 (ko) 체크체인
MA28776B1 (fr) Moteur entraine par un agent de pression fourni par une source de pression externe
US8245805B2 (en) Vehicle cab tilting device with telescopic tilting cylinder
CN102272507B (zh) 受压流体联结器、接收受压流体联结器及其组件
US20050242512A1 (en) Sealing device
CN201991870U (zh) 一种张紧油缸
US6318401B1 (en) Air valve assembly for hydraulic jack
US7543656B2 (en) Breathing for single acting hydraulic cylinders
KR101846289B1 (ko) 브레이커
JP3532766B2 (ja) 油圧建設機械の油圧シリンダ
JP2008175258A (ja) 補機駆動用ベルトの張力調整装置
KR100658560B1 (ko) 유압식가동식 체크체인
KR200372065Y1 (ko) 유압 실린더의 피스톤 고정장치
CN211852807U (zh) 一种工程机械用液压泵离合器
US20060162545A1 (en) Hydraulic cylinder device
KR100835304B1 (ko) 유압식가동식 체크체인
KR20080110202A (ko) 건설중장비용 유압실린더 피스톤 고정구조
CN113217051B (zh) 多功能锚杆支护施工装置
JP5438415B2 (ja) 液圧シリンダ
JP2001153109A (ja) 油圧シリンダ
CN110307192B (zh) 加压油缸
KR101021407B1 (ko) 유압 브레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7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