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94194Y1 - 농기계용 체크체인 - Google Patents

농기계용 체크체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94194Y1
KR200194194Y1 KR2020000008013U KR20000008013U KR200194194Y1 KR 200194194 Y1 KR200194194 Y1 KR 200194194Y1 KR 2020000008013 U KR2020000008013 U KR 2020000008013U KR 20000008013 U KR20000008013 U KR 20000008013U KR 200194194 Y1 KR200194194 Y1 KR 2001941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iral
gear
check chain
bevel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80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화
Original Assignee
박명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화 filed Critical 박명화
Priority to KR20200000080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19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1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1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02Details, componen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농기계용 체크체인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체크체인은 수분접촉 또는 습기 등에 의해 나선봉 및 이에 결합된 조임너트가 산화 및 부식되어 그 상태로 굳어짐으로써 길이 조절 기능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각종 공구 및 도구가 요구되고, 또한 작업이 힘들고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인해 체크체인의 조기 수명단축을 초래함은 물론 작업기의 트랙터 탈부착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됨으로써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한 쌍의 연결편(11)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동방향으로 수용된 수평축(222A) 상의 종동기어(222)와 직교되게 원동기어(221)가 하우징(1)을 삽입 관통한 수직축(221A) 상에 형성된 베벨기어(2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축(221A)에는 구동모터(21)가 연결된 구동부(2)와; 상기 베벨기어(22)의 수평축(222A)과 하우징(1) 사이에 삽입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평축(222A)에 형성되는 외측나선(223)과 나선결합되도록 내측나선(31)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탄지부(324)를 갖는 고정구(323)가 고정핀(322)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편(321)을 갖는 작동부(3)로 구성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도구없이 작업이 간편성 및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작업의 간편성으로 작업기의 트랙터 탈부착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협속공간에서의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농기계용 체크체인{Check chain for farming machines}
본 고안은 트랙터의 연결장치에 작업기를 탈부착시키는 농기계용 체크체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공구없이 상기 작업기의 탈부착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농기계용 체크체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트랙터(100)의 후방측에는 각종 농업용 작업기를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연결장치(200)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연결몸체(200)에는 작업기가 직접 장착되고 장착공(220A)을 갖는 장착링크(220)가 몸체(210)의 전방측으로 평행하게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장착링크(220)에 장착된 작업기를 당김력 또는 가압력으로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장착링크(220)와 몸체(210) 사이에는 길이조절이 가능한 체크체인(230)이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이 체크체인(230)의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같다.
즉, 상기 체크체인(230)은 회전조작구(231)를 중심으로 이의 양측에 나선봉(232)(232A)이 결합되어 있고, 상기 나선봉(232)(232A)에는 조임너트(233)가 체결되어 있으며, 각 나선봉(232)(232A)의 단부측에는 'U'자형의 연결쇠(234)가 용접으로 일체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연결쇠(234)에는 고정구(235)(235A)가 각각 자유롭게 연결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체크체인(230)은 양단의 고정구(235)(235A)를 트랙터(100)의 후방측에 설치된 연결장치(200)의 몸체(210)와 장착링크(220)에 각각 고정시킨 상태에서 중앙부의 회전조작구(231)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회전조작구(231)에 나선 결합된 나선봉(232)(232A)의 회전조작구(231)를 따라 나선 이동됨으로써 길이조절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고, 이렇게 길이 조절된 상태에서 조임너트(233)를 상기 회전조작구(231) 측으로 조임으로써 그 조절된 길이로 회전조작구(23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체크체인은 수분접촉 또는 습기 등으로 나선봉 및 이에 결합된 조임너트가 산화 및 부식되면 그 상태로 굳어져 상호 나선 결합된 상기 회전조작구 및 나선봉과 조임너트의 풀고 조임에 의한 길이 조절기능을 상실하게 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각종 공구 및 도구가 요구됨으로써 작업의 번거로움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인해 협소공간에서의 작업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체크체인의 조기 수명단축을 초래하게 되고, 또한 작업기의 트랙터 탈부착 시간이 많이 소요됨으로써 작업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별도의 공구나 도구없이도 작업기의 트랙터 탈부착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한 쌍의 연결편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동방향으로 수용된 수평축 상의 종동기어와 직교되게 원동기어가 하우징을 삽입 관통한 수직축 상에 형성된 베벨기어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축에는 구동모터가 연결된 구동부와; 상기 베벨기어의 수평축과 하우징 사이에 삽입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평축에 형성되는 외측나선과 나선결합되도록 내측나선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탄지부를 갖는 고정구가 고정핀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편을 갖는 작동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체크체인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일반적인 트랙터에 연결장치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체크체인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하우징
11:연결편 12:연결핀
13:부시
2:구동부
21:구동모터
22:베벨기어
221:원동기어 221A:수직축
222:종동기어 222A:수평축
223,223A:외측나선 224:베어링
3:작동부
31,31A:내측나선
32:고정돌부
321:지지편 322:고정핀
323:고정부 324:탄지부
33:부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분리사시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전.후방측으로 관통된 중공의 관체로 하우징(1)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의 후단부측에는 고정구(미도시됨)가 연결핀(12)으로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핀공을 갖는 한 쌍의 연결핀(12)()이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의 중간 후방측에는 후술되어질 베벨기어(22)가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고, 그 공간의 상부측에는 상기 베벨기어(22)의 수직축(221A)이 삽입 관통 형성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 내부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베벨기어(22)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베벨기어(22)는 수평축(222A)의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원동기어(221)와, 상기 원동기어(221)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수직축(221A)의 단부측에 일체로 형성된 종동기어(222)로 구성된 상기 종동기어(222)는 원동기어(221)와 치합된다. 상기 원동기어(221)가 형성된 수평축(222A)은 하우징(1)과 동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종동기어(222)가 형성된 수직축(221A)은 하우징(1)에 직각으로 이루는 수직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을 관통하여 삽입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직축(221A)에는 구동모터(21)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21)의 구동력에 의해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수직축(221A)의 외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원통체로 된 커버체(23)가 씌워져 상기 수직축(221A)을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수직축(221A)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체(23) 내부에 베어링(25)이 구비됨과 아울러 오일실(24)이 형성된다. 또, 상기 커버체(23)에는 수직축(221A)의 회전을 핀삽입에 의해서 강제로 저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수직축(221A)에 형성되는 구멍과 일치되는 핀삽입공(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벨기어(22)의 수평축(222A)과 하우징(1) 사이에는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고 수평축(222A)의 회전에 의한 전.후진으로 직선운동을 하는 작동부(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의 선단부에는 탄지부(324)를 갖는 고정구(323)가 고정핀(322) 결합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편(321)을 갖는 고정돌부(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작동부(3)를 베벨기어(22)의 수평축(222A) 회전에 의해서 전.후진으로 직선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수평축(222A)의 외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외측나선(223)이 형성되고, 작동부(3)의 내측면에는 상기 외측나선(223)과 나선결합되는 내측나선(31)이 형성되어 상기 수평축(222A)의 회전에 의한 작동부(3)의 나선이동에 의해서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와함께 상기 작동부(3)의 외측에는 부시(33)가 끼워져 하우징(1)과의 간격을 유지토록 함과 동시에 유동을 방지토록 하고, 상기 하우징(1)과 작동부(3) 사이에는 오일실(13)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축(222A)의 후단부측은 베어링(224)에 의해서 지지된다.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조를 보인 단면도로서, 이를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작동과정 및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작업자는 하우징(1)의 연결편(11)에 연결핀(12)으로 고정되는 고정구(미도시됨)와 작동부(3)의 선단부에 탄지부(324)와 함께 고정된 고정구(323)를 각각 트랙터(100)의 후방측에 설치된 연결장치(200)의 몸체(210)와 장착링크(220)에 연결 및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구동모터(21)에 전원을 인가시켜 구동시키게 되고, 이의 구동력은 상기 구동모터(21)와 연결된 수직축(221A)으로 전달되어 상기 수직축(221A)의 단부측에 형성된 베벨기어(22)의 원동기어(221)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또한 원동기어(221)의 회전력은 다시 상기 원동기어(221)와 치합된 종동기어(222)를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종동기어(222)의 회전에 의해서 외측나선(223)을 갖는 수평축(222A)을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수평축(222A)의 외측나선(223)에 내측나선(31)이 치합된 작동부(3)가 상기 수평축(222A)을 따라 길이방향으로 나선이동하면서 길이가 자동 조절되는 것으로서, 길이가 짧아지면 상기 장착링크(220)에 작업기를 당김력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되고, 길이가 길어지면 당김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장착링크(220)로부터 작업기를 분리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 구성을 보인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일측단부측에 연결핀(12)으로 고정구(미도시됨)가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연결편(11)이 형성된 중공의 하우징(1)이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1) 내부에는 서로 직교되게 치합된 원동기어(221) 및 종동기어(222)로 구성된 베벨기어(22)가 형성되며, 상기 베벨기어(22)의 원동기어(221)와 종동기어(222)는 각각 구동모터(21)에 연결된 수직축(221A)과 수평축(222A) 상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평축(222A)의 선단부측에는 탄지부(324)를 갖는 고정구(323)가 고정핀(322) 결합에 의해서 회전이 자유롭게 연결 및 고정될 수 있도록 한 쌍의 지지편(321)을 갖는 고정돌부(3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벨기어(22)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수평축(222A)을 전.후진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기 위해 작동부(3)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작동부(3)는 베벨기어(22)의 종동기어(222) 내측면에 내측나선(31A)을 형성하고, 수평축(222A)의 외측면에는 상기 내측나선(31A)에 치합되는 외측나선(223A)을 형성하여 상기 베벨기어(22)의 종동기어(222) 회전에 의해서 수평축(222A)이 나선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구동부(2)는 베벨기어(22) 이외에도 이(齒)의 방향이 축에 평행하게 원동기어 및 종동기어가 치합된 스퍼어기어를 적용할 수 있으며, 이의 작용 및 효과는 본 고안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베벨기어로 전달받아 나선이동에 의해서 체크체인의 길이조절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공구 또는 도구없이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을 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작업의 간편성으로 작업기의 트랙터 탈부착이 보다 신속하면서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협소공간에서의 작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중공의 관체로 형성되고, 후방측에는 한 쌍의 연결편(11)이 형성된 하우징(1)과;
    상기 하우징(1) 내부에 동방향으로 수용된 수평축(222A) 상의 종동기어(222)와 직교되게 원동기어(221)가 하우징(1)을 삽입 관통한 수직축(221A) 상에 형성된 베벨기어(22)가 구비되고, 상기 수직축(221A)에는 구동모터(21)가 연결된 구동부(2)와;
    상기 베벨기어(22)의 수평축(222A)과 하우징(1) 사이에 삽입 형성되고, 내부에는 상기 수평축(222A)에 형성되는 외측나선(223)과 나선결합되도록 내측나선(31)이 형성되며, 선단부에는 탄지부(324)를 갖는 고정구(323)가 고정핀(322)으로 고정되는 한 쌍의 지지편(321)을 갖는 작동부(3)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체크체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3)는 베벨기어(22)의 종동기어(222)에 내측나선(31A)을 형성하고, 상기 종동기어(222)와 축 결합되는 수평축(222A)의 외측면에는 내측나선(31A)에 치합되는 외측나선(223A)을 형성하여 종동기어(222)의 회전에 의해서 수평축(222A)이 나선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체크체인.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2)는 이의 방향이 축에 평행한 스퍼어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체크체인.
KR2020000008013U 2000-03-21 2000-03-21 농기계용 체크체인 KR2001941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13U KR200194194Y1 (ko) 2000-03-21 2000-03-21 농기계용 체크체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8013U KR200194194Y1 (ko) 2000-03-21 2000-03-21 농기계용 체크체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194Y1 true KR200194194Y1 (ko) 2000-09-01

Family

ID=19648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8013U KR200194194Y1 (ko) 2000-03-21 2000-03-21 농기계용 체크체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19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45B1 (ko) 2006-11-15 2008-07-22 박명화 체크체인
KR100847920B1 (ko) * 2006-11-14 2008-07-22 박명화 트랙터용 수평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7920B1 (ko) * 2006-11-14 2008-07-22 박명화 트랙터용 수평조절장치
KR100847945B1 (ko) 2006-11-15 2008-07-22 박명화 체크체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1853A (en) Power tool
US20050245318A1 (en) Coupling of driver/driven shafts of a motor and thrust isolation
US20030089510A1 (en) Impact tool with improved operability
US20220272906A1 (en) Pole saw
KR200194194Y1 (ko) 농기계용 체크체인
FR2543042A1 (fr) Marteau perforateur electropneumatique
US6026909A (en) Power tool
JP2005066804A (ja) 電動工具
KR200212513Y1 (ko) 농기계용 견인식 작업기고정장치
KR200212503Y1 (ko) 트랙터용체크체인
US7331110B2 (en) Device for a pole saw
KR20020032315A (ko) 경작기에 사용되는 지지브라켓
KR200182655Y1 (ko) 농기계용 유압가동식 체크체인
KR20020004720A (ko) 차체 조립용 공구
KR200212497Y1 (ko) 농기계용 견인식 체크체인
KR200187980Y1 (ko) 농기계용 견인식 체크체인
KR200216775Y1 (ko) 트랙터의 고정바 길이 조절장치
JPH0725460Y2 (ja) エンジンの動力取り出し装置
KR890008589Y1 (ko) 경운기용 노터리 작업기의 축심 조절장치
KR20220140196A (ko) 트랙터의 로워링크 핀
KR100273041B1 (ko) 유압구동식전동공구
KR100525182B1 (ko) 하수관로용 원격커팅장치의 커팅암 구동구조
JP3960892B2 (ja) 作業機における作業装置の角度可変機構
JP3348139B2 (ja) エンジンの防振構造
JP2007513787A (ja) 液圧岩石破砕機のケーシングおよび本体を組み立て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