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2768A - 핸드 헬드 유축기 - Google Patents

핸드 헬드 유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2768A
KR20080042768A KR1020077027689A KR20077027689A KR20080042768A KR 20080042768 A KR20080042768 A KR 20080042768A KR 1020077027689 A KR1020077027689 A KR 1020077027689A KR 20077027689 A KR20077027689 A KR 20077027689A KR 20080042768 A KR20080042768 A KR 20080042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rod
motor
actuating member
drive mechanism
breast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76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크 워틀리
로저 윌리엄스
에드워드 앳킨스
Original Assignee
아벤트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벤트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아벤트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42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27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0Suction pumps
    • A61M1/81Piston pumps, e.g. syring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07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 A61M2205/071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having air pumping means hand operated
    • A61M2205/073Syringe, piston 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82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 A61M2205/8206Internal energy supply devices battery-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10/00Anatomical parts of the body
    • A61M2210/10Trunk
    • A61M2210/1007Breast; mammar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Reciprocating Pumps (AREA)

Abstract

핸드 헬드 유축기는, 전동식 헤드(1), 다이어프램을 구비한 몸체(7), 유방 접촉부(23), 및 젖병 커플링(24)를 구비한다. 상기 전동식 헤드(1)는, 수동 헤드(4)로 상호교환 가능하기도 하다.
핸드 헬드 유축기, 전동식, 다이어프램, 부스트 조절기.

Description

핸드 헬드 유축기{Hand held breast pump}
설명
본 발명은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와,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WO-A-01/47577에는, 프로그램 가능형 전동식 유축기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개시된 유축기 장치는, 제어 데이터를 상기 유축기 장치 내에 삽입된 데이터 매체 상에 또는 데이터 매체에 기록하여 프로그램되어 있다. 그 제어 데이터는, 데이터 매체로부터 판독되고 펌핑 사이클을 제어한다.
상기 WO-A-01/47577에 개시된 유축기 장치는, 프로그래밍 처리가 복잡하다는 단점을 갖는다.
US-A-5571084에는, 사용자가 그 펌핑 사이클에 대해 일부를 제한되게 제어하는 전동식 유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 사용자의 제한된 제어는, 그 자체가 문제점이다.
EP-A-1502610에는, 조작의 학습 및 실행 모드를 갖는 전동식 유축기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는,
유방 수납부와 짜낸 젖을 담기 위한 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몸체 와,
펌핑을 행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갖는 피스톤 수단과,
상기 피스톤 수단을 왕복 구동하기 위해 모터와 구동기구를 갖는 모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접촉할 경우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모터부를 상기 몸체에 장착하는 처리동안 상기 작동부재에 접속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동기구가 크랭크 기구를 갖는 경우, 이것은, 하사점에서 크랭크 기구를 갖고 있고, 및/또는 상기 하사점을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rod) 수단을 구비하고, 픽업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작동부재 사이에서 상대적인 탄성적 편향 및 복원에 의해 실행된다. 그러나,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는 다른 기구, 예를 들면, 리드 스크류 기구를 사용하여도 된다. 그 선형 운동은, 회전모터보다는 선형 모터를 사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재는, 피스톤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돌출부이다. 그러나, 그 탄성은, 상기 연접 봉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벌지(bulge)를 갖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돌출부를 움직이게 결합하도록 상기 벌지를 수납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벌지는, 상기 벌지가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되게 수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연접 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돌출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벌지 수납수단은 상기 결합부 내에 함몰부 또는 슬롯을 구비한다. 다른 결합기구, 이를테면 스프렁 크레프트(sprung cleft) 및 자기 커플링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은, 탄성적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지지만 단단한(rigid) 피스톤이어도 된다. 다이어프램형 피스톤 수단일 경우에,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편향된 후 그 다이어프램의 탄성으로 인해 복원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방향을 교번하여 펌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는, 상기 피스톤 수단이 작동하는 펌프 실을 구비하기도 한다. 그러나, 상기 펌프 실은 모터부 내에 있어도 된다.
상기 핸드 헬드 유축기는, 배터리 전동식이고, 이러한 경우,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동식 핸드 헬드 유축기는, 펌프 모터와, 그 펌프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은,
유방 수납부와, 짜낸 모유를 담는 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몸체 와,
상호 교환 가능한 수동 및 동력화 작동부들을 구비한다.
각 작동부는, 각각의 펌프 실을 구비하고, 이 경우에, 도관은 상기 펌프 실과 상기 몸체의 내측을 연결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이 도관은, 상기 몸체의 구멍 내에 삽입가능한 튜브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몸체는 펌프 실을 구비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스톤 수단은, 수동 작동부와 동력화 작동부 양쪽에 의해 상기 펌프 실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 수단은, 펌핑을 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화 작동부는 상기 피스톤 수단을 왕복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이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동력화 작동부를 상기 몸체에 장착하는 처리 동안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동기구가 크랭크 기구를 갖는 경우, 이것은, 하사점에서 크랭크 기구를 갖고 있고, 및/또는 상기 하사점을 통해 구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랭크 기구는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픽업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작동부재 사이에서 상대적인 탄성적 편향 및 복원에 의해 실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작동부재는, 피스톤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돌출부이다. 그러나, 그 탄성은, 상기 연접 봉에서 제공되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돌출부는 벌지(bulge)를 갖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돌출부를 움직이게 결합하도록 상기 벌지를 수납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그러나, 상기 벌지는, 상기 벌지가 상기 돌출부 상에 형성되게 수납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연접 봉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돌출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벌지 수납수단은 상기 결합부 내에 함몰부 또는 슬롯을 구비한다. 다른 결합기구, 이를테면 스프렁 크레프트 및 자기 커플링을 대신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스톤은, 탄성적 다이어프램을 구비하지만 단단한 피스톤이어도 된다. 다이어프램형 피스톤 수단일 경우에,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편향된 후 그 다이어프램의 탄성으로 인해 복원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모터의 방향을 교번하여 펌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가 구비된다.
상기 핸드 헬드 유축기는, 배터리 전동식이고, 이러한 경우,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하기도 한다.
상기 동력화 작동부는, 배터리 전동식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 는 동력화 작동부의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아래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예시에 의해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축기 시스템을 도시하고,
도 2는 몸체에 장착된 도 1의 전동식 헤드의 측단면도,
도 3은 상기 전동식 헤드의 상면도 및 헤드의 덮개를 제거한 몸체이고,
도 4는 도 1의 배터리 팩의 블록도,
도 5는 전동식 헤드와 그것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 6a 내지 6c는 상기 다이어프램에 도 2에 도시된 전동식 헤드의 연접 봉을 연결하는 처리를 나타내고,
도 7은 도 1의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도 1의 시스템의 모드 변경을 나타낸 흐름도,
도 9는 도 1의 시스템의 "학습" 모드 동작 동안 2개의 예시적 펌핑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학습" 모드 동작의 일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흐름도,
도 11은 도 1의 시스템의 3개의 "실행(run)" 모드 펌핑 사이클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전동식 헤드의 측단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제 2 전동식 헤드의 앞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유축기 시스템은, 전동식 헤드(1), 배터리 팩(2), 메인 PSU(3), 수동 헤드(4), 젖병(5), 상기 젖병(5)과 몸체(7)를 위한 받침대(29)를 구비한다.
상기 수동 헤드(4), 상기 몸체(7) 및 상기 젖병(5)은, 아벤트(Avent)(RTM) ISIS(RTM) 유축 제품의 구성요소와 매우 유사하다.
상기 몸체(7)는, 목(21)과, 상기 목(21) 상에 지지된 컵(22)과, 상기 컵(22)의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나팔(23)을 구비한다. 상기 목의 바닥은 바깥쪽으로 벌어지고 상기 몸체(7)를 젖병(5)에 나사식으로 돌리기 위해 내부 나사산(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나팔(23)은, 위쪽을 향해 경사지고, 사용중, 사용자의 젖꼭지와 유방부분을 둘러싸서 밀봉된다. 통로는, 컵(22)의 바닥과 목(21)을 통과하여 상기 나팔(23)의 개방 말단 단부로부터 상기 목(21)의 개방 바닥 단부까지 연장된다. 오리너구리 밸브(30)(도 2 참조)는, 상기 컵(22)과 상기 목(21) 사이에 설치된다. 이 밸브(30)는, 컵(22)에 압력이 목(21)의 압력에 비해 떨어지는 경우 닫히고, 컵(22)의 압력이 목(21)의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열린다.
상기 수동 헤드(4)는, 단순 돔형 덮개(6)와 레버(12)를 구비한다. 상기 돔형 덮개(6)는, 상기 몸체(7)의 컵(22)에 각각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2a) 상에 고정되는 반대측면에 스커트(6a)를 갖는다. 상기 레버(12)는, 상기 몸체(7)의 컵(22)에 장착된 다이어프램(25)을 동작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몸체(7)의 컵(22)의 후면 가장자리로부터 상승하는 돌출부(22c)에 형성된 받침점에서 회전가 능하도록 구성된다.
EP-A-0733376으로부터 상기 몸체(7)와 젖병(5)을 결합하여 수동 헤드(4)의 동작에 관한 또 다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컵(22)에 수납된 다이어프램(25)은, 컵형상이고 일래스토머 재료로 형성된다. 상기 다이어프램(25)의 림(rim)은, 컵(22)의 다이어프램을 고정하도록 상기 컵(22)의 림을 수납하는 채널(27)을 형성하도록 저절로 되돌아간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전동식 헤드(1)는, 다이어프램(25)의 내벽을 덮을만큼 충분히 큰 베이스(28)를 갖고, 상기 다이어프램의 상부에 딱 맞게 끼워지는 환상 플랜지를 갖고, 덮개(32)는, 상기 베이스(28) 상에 고정된다. 그 덮개(32)는, 컵(22)에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22a) 상에 고정되는 2개의 스커트(32a)(도 1 참조)를 갖는다.
아암(43)과 레버(44)는, 덮개(34)의 절단부를 통과하여 하우징(26)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아암(43)과 상기 레버(44)의 전체 형태는, 상기 수동 헤드(4)의 조작 레버(12)의 것과 유사하다. 상기 레버(44)는, 중앙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길이방향의 슬롯을 갖고, 상기 아암(43)은, 실질적으로 그것을 채우는 슬롯(45)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레버(44)의 중앙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상기 덮개(32) 내에서 회전 가능하다.
상기 아암(43)은, 상기 덮개(32) 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아암(43)을 컵(22)을 향해 누르면 스위치(46)(도 5 참조)는 닫힌다.
상기 레버(44)는, 상기 덮개(32) 내에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바깥쪽으로 한쪽방향으로 치우치게 기울어져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2)은, (미도시된) 주머니에 담겨질 수 있다. 상기 전동식 헤드(1)는, 상기 덮개(32)를 통해 열리는 소켓(33)을 갖고, 상기 배터리 팩(2)은 상기 전동식 헤드(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상기 소켓(33)에 들어가는 플러그(34)를 갖는다.
메인 PSU(3)는, 종래의 것이고, 배터리 전원에 대한 대안으로서 상기 전동식 헤드(1)의 소켓(33)에 직접 꽂힐 수 있다. 또한, 메인 PSU(3)는, 배터리 팩(2)의 소켓(35)에 꽂혀서 배터리들을 재충전하고, 그 메인 PSU(3)로부터의 전원은 배터리 팩(2)을 통해 상기 전동식 헤드(1)에 전송되기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터리 팩(2)은, (2개가 도시되었지만 보다 많을 수도 있다) 배터리들(82)과 접촉하는 단자(81)와, 부스트 조절기(83) 및 충전회로(84)를 구비한다. 이 부스트 조절기(83)의 사용으로 배터리들(82) 방전으로서 펌프 동작이 보다 일관되게 된다.
다시 도 2 및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전동식 헤드(1)는, 상기 부의 제어회로, 모터(54), 크랭크 기구(62), 감속 기어(57) 및 회전 엔코더(58)를 갖는 인쇄회로기판(61)을 수용한다.
상기 소켓(33)을 통해 공급된 전원은, 모터(54)와 조절기(55)에 전원을 공급하는 H 브릿지 회로(53)에 제공된다. 상기 조절기(55)의 조절된 출력은, 마이크로콘트롤러 둘레에 설치된 처리회로(56)에 전원을 제공한다.
상기 모터(54)는, 상기 감속 기어(57)를 거쳐 상기 크랭크 기구(62)를 180도까지의 범위에서 전후로 구동한다.
상기 크랭크 기구(62)는, 상기 다이어프램(25)으로부터 돌출부(64)에 연결되는 연접 봉(63)을 구비한다. 상기 돌출부(64)의 헤드는, 평평한 벌브(bulb)로 형성된다.
도 6a 내지 6c를 참조하면, 상기 연접 봉(63)의 하부 단부(63a)는 반원 단면을 갖는다. 횡단 슬롯(63b)은 상기 연접 봉(63)의 바닥부로부터 단거리로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64)의 상부에서 상기 벌브(64a)를 수납한다.
상기 전동식 헤드(1)는, 컵(22)과 정렬하고 눌러서 맞물리게 하여서 상기 컵(22)에 장착된다. 이러한 처리 동안, 상기 연접 봉(63)이 하사점에 있는 경우, 그 연접 봉(63)의 바닥부는, 상기 돌출부(64)를 편향시키고(도 6b), 상기 돌출부(64)의 벌브(64a)가 상기 연접 봉(63)에서의 슬롯(63b)과 정렬되는 경우, 다이어프램(25)의 탄성은, 상기 돌출부(64)의 벌브(64a)를 슬롯(63b) 내로 이동시키고, 그 돌출부(64)를 수직 위치로 되돌아가서 상기 연접 봉(63)과 상기 돌출부(63)(도 6c)를 구동 결합한다.
상기 연접 봉(63)이 상기 전동식 헤드(1)가 상기 컵(1)에 장착될 때 하사점에 없는 경우, 상기 연접 봉(63)은, 상기 헤드(1)가 상기 컵(22)에 장착된 후 상기 연접 봉이 처음으로 상기 하사점을 통과할 때 상기 돌출부(64)와 맞물린다. 이 경우에, 상기 연접 봉(63)이 하사점을 통과할 때, 상기 연접 봉(63)의 바닥부는 돌출부(64)를 편향시키고(도 6b), 상기 돌출부(64)의 벌브(64a)가 상기 연접 봉(63)의 슬롯(63b)과 정렬될 때, 상기 다이어프램(25)의 탄성은, 상기 돌출부(64)의 벌브(64a)를 상기 슬롯(63b) 내로 이동하고, 상기 돌출부(64)를 그것의 수직 위치로 되돌아가서 상기 연접 봉(63)과 상기 돌출부(63)(도 6c)를 구동 결합한다.
또한, 상기 다이어프램(25)의 탄성에 의해, 하우징(26)이 컵(22)을 뽑을 수 있게 된다.
이와 대조하여, 수동 헤드(4)는 상기 조작 레버(12)의 일 단부에서의 포크(fork)와 맞물려서 장착되어, 돌출부(64)의 벌브(64a)는 그 포크 보다 위에 있고, 그 레버(12)를 그 받침점에 얹히고 그 덮개(6)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장착된 조작 레버(12)를 조작하는 경우, 돌출부(64)가 올려져, 그와 함께 다이어프램(25)의 주요부에 걸린다. 사용자가 상기 조작 레버(12)를 놓는 경우, 그 다이어프램(25)은 정지위치로 되돌아간다.
도 2, 도 3 및 도 5를 다시 참조하면, 전동식 헤드(1)가 상기 컵(22)에 장착되는 경우, 모터(54)의 동작으로 상기 크랭크 기구(62)가 다이어프램(25)을 올려지게 하고 떨어지게 하여 펌핑을 실행한다. 상기 크랭크 기구(62)의 위치는, 회전 엔코더(58)에 의해 감지된다.
상태 LED(59)는, 제어회로(56)로부터의 출력에 의해 제어되어 사용자에게 피드백한다. LED(59)로부터의 광은,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61)으로부터 전도되어 (미도시된) 광 도파로에 의해 렌즈(67)(도 1 참조)에 전도된다.
스위치(46)는, 처리회로(56)의 인터럽트 입력과 접지 사이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44)의 피벗(pivot) 장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61)에 장착된 프리셋형 포텐셔 미터(47)를 통과하는 스터브(44a)를 구비하여, 그 포텐셔미터(47)의 와이퍼는 레버(44)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때 이동한다. 상기 포텐셔미터(47)는, 조절기(55)의 양전압 출력과 접지 사이에 연결되고, 상기 포텐셔미터(47)의 와이퍼는 상기 처리회로(56)의 아날로그 대 디지털 변환기 입력에 접속된다.
상기 처리회로(56)는, 모터 속도 및 방향 신호들을 상기 H 브릿지 회로(53)에 제공하여 그 모터(54)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제, 상기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이 온(on) 되는 경우, 상기 처리회로(56)는, 상기 회전 엔코더(58)의 출력과 초기(home) 기준값, 즉 0을 비교하여서 상기 크랭크가 초기 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한다(스텝 s1). 크랭크 기구(62)가 초기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처리회로는, 오류 검사 루틴을 수행하고 어떠한 오류가 상기 상태 LED(59)에 신호를 보내고(스텝 s2) 그 시스템을 정지시킨다.
상기 시스템은, 디폴트로 "학습" 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이 "학습"모드에 있는 동안 스위치(46)를 닫으면 실행 모드 플래그를 설정하여 "실행"모드로 전환하고(스텝 s101 및 s102), 상기 시스템이 "실행"모드에 있는 동안 스위치(46)를 닫으면 그 실행 모드 플래그를 재설정하여 다시 "학습" 모드로 전환한다(스텝 s101 및 s103).
"학습" 모드에서(스텝 s3), 상기 모터(54)는 단순한 서보 루프에서 상기 처리회로(56)에 의해 제어된다(스텝 s4). 사용자가 레버(44)를 상기 몸체(7)를 향해 누를 때, 상기 포텐셔미터(47)의 와이퍼는 이동하여 상기 포텐셔미터(47)의 출력전 압을 변경한다. 이러한 전압은 디지털화되어 상기 회전 엔코더의 출력과 비교되고, 임의의 오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데 사용되어 상기 모터(56)를 구동하여 그 오류를 제거한다. 상기 레버(44)를 누름으로써 모터(54)가 다이어프램(25)을 위로 이동시키고 유방 수납용 나팔(23)에서의 흡입력을 가하여, 그 레버(44)를 휴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모터(54)가 다이어프램(25)을 아래로 이동시켜 그 흡입을 완화한다. 이와 같이, 상기 나팔(23) 내의 압력은 레버(44)의 위치에 의해 설정되고, 사용자는 편안하고 효과적인 사이클을 발견할 때까지 상기 레버(44)를 눌러 해제하여 시도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학습"모드에서 작동할 때, 상기 처리회로(56)는, 각 흡입 스트로크의 시작 시간(ta), 각 흡입 스트로크의 끝 시간(tb), 각 이완 스트로크의 시작 시간(tc) 및 각 이완 스트로크의 끝 시간(td)을 감시한다. 또한, 상기 처리회로(56)는, 각 흡입 스트로크의 시작 위치(s)와 길이(d)를 감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두 번째 및 각각 다음의 이완 스트로크의 끝에서, 즉 tdn에서(스텝 s201), 상기 처리회로(56)는, 흡입 스트로크 속도(즉, d/(tb-ta)를 계산하고, 상기 흡입 유지기간, (가령 있다 할지라도) 이완 스트로크 속도(즉, d/td-tc) 및 이전 사이클의 휴지 기간은, 현재 및 선행하는 사이클의 감시된 시간으로부터 계산되어(스텝 s202) 저장된다(스텝 s203). 그 후, 상기 실행 모드 플래그의 상태를 검사하고(스텝 s204), 이 모드를 "실행" 모드로 변경한 경우, "학습" 모드는 그냥 두고, 그렇지 않은 경우 상기 처리는 스텝 s101로 되돌아간다.
상기 시스템이 상기 스위치(46)를 닫는 사용자에 의해 "실행"모드로 전환되는 경우, 상기 처리회로(56)는 상기 모터(54)를 상기 저장된 속도와 기간 및 상기 저장된 스트로크 및 깊이 값에 따라 제어한다.
도 7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시스템이 "실행" 모드에 있다고 판단되면(스텝 s3), 상기 처리회로(56)는, 크랭크샤프트가 휴지 위치, 즉 흡입 스트로크 시작위치에 있는지를 판단하여(스텝 s4), 휴지 위치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모터(54)의 속도를 설정하기 위해 H 브릿지 회로(53)에 펄스의 스트림과, 상기 휴지 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상기 저장된 평균 흡입 속도에서 상기 다이어프램(25)이 이동하도록 방향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5). 상기 크랭크샤프트가 휴지 위치에 있는 경우(스텝 s4), 상기 처리회로(56)는, 상기 모터(54)가 제 1 방향으로 작동하도록 하기 위한 순방향 신호와 함께 상기 H 브릿지 회로(53)에 모터 속도 제어 펄스의 스트림을 출력하기 시작한다(스텝 s6). 이들 펄스와 상기 순방향 신호를, 상기 회전 엔코더(58)의 출력이 상기 휴지 위치와 상기 저장된 스트로크 깊이 값의 합과 일치할 때까지 출력하고(스텝 s7), 그 때에 모터를 정지시킨다(스텝 s8). 모터가 정지된 경우, 상기 처리회로(56)는, 상기 저장된 흡입 유지 기간에 해당한 기간이 만료할 때까지 더 이상 속도제어 펄스를 출력하지 않는다(스텝 s9). 그 흡입 유지 기간이 만료한 경우(스텝 s9), 상기 처리회로(56)는, 상기 저장된 평균 이완 스트로크 속도에 해당한 속도 제어펄스를 리버스 신호와 함께 H 브릿지 회로(53)에 출력한다(스텝 s9). 이들 신호로 모터가 제2의 역방향으로 구동되게 되어, 다이어프램(25)을 이완시킬 수 있고, 다이어프램(25)이 휴지 위치로 되돌아간 것을 상기 회 전 엔코더(58)가 나타내는 경우 종료된다(스텝 s11 및 s12). 상기 처리회로(56)는, 어떠한 또 다른 모터 제어신호도 출력하지 않고, 상기 저장된 평균 휴지 기간이 만료한 경우(스텝 s13), 스텝 s3로 되돌아간다.
상기 시스템은, "실행"모드로 전환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학습"모드에서 조작될 수 있다. 그래서, 이 시스템도 수동 유축기를 사용하지만 수동 유축기에서 필요로 하는 물리적인 수고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펌핑 사이클 동안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전원 지원형 유축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실행"모드 사이클 다음에는, 보다 충실도가 큰 "학습"모드 사이클이 올 수 있다. 이것은, "학습"모드에서 각 스트로크 동안 복수의 순간에 크랭크샤프트의 위치를 기록하여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실행"모드 사이클은, 복수의 학습 모드 사이클에서 얻어진 사이클 파라미터의 평균을 구하여서 실시될 수 있다. 편의상, 사용자 입력수단은, 수동 유축기의 액추에이터와 유사하다. 이러한 장치는, 재봉틀 또는 별도의 핸드 헬드 제어유닛의 것과 같은 풋 스위치 및 페달로 대체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은, 무선으로, 예를 들면 IR을 사용하여 상기 처리회로와 통신하여도 된다.
상기 흡입 시작 파라미터 및 스트로크 길이 파라미터 조합에 대한 대안은, 휴지 위치 파라미터와 흡입 유지 위치 파라미터이어도 된다.
제 2 실시예는, 전기적으로 상술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이지만 Medela(RTM) Harmony 수동 유축기의 몸체(107)에 사용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된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전동식 헤드(101)는, 다이어프램(125)을 갖는 펌핑 실(122)을 구비한 베이스(128)와, 그 베이스(128)에 장착된 섀시(126)와, 상기 베이스(128)와 상기 섀시(126)를 둘러싸는 덮개(132)로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132)는, 상기 전동식 헤드(101)를 적소에 보유하기 위해 상기 유축기 몸체(107)의 나팔(123)의 루트(root) 둘레에서 고정하는 한 쌍의 측면편(132a)을 갖는다. 튜브(130)는, 유축기 몸체(107)의 대응한 구멍에 삽입하기 위한 상기 베이스(128)의 바닥부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상기 튜브(130)의 상부 단부는, 펌핑 실(122) 내로 개구되어 있다.
아암(143) 및 레버(144)는, 덮개(132)의 절단면을 통해 하우징(126)의 뒷면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상기 아암(143) 및 레버(144)의 전체 형태는, 상술한 수동 헤드(4)의 조작 레버(12)와 유사하다. 상기 레버(144)는, 중심에 가까운 쪽의 단부에 길이방향 슬롯(145)을 갖고, 상기 아암(143)은 그 슬롯(145)을 따라 연장되어, 실질적으로 슬롯을 채운다. 상기 레버(144)의 중심에 가까운 쪽의 단부는, 덮개(132) 내에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있다.
상기 아암(143)은, 그 아암(143)을 유축기 몸체(107)로 눌러 스위치(46)가 닫히도록 상기 덮개(132) 내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다(도 5 참조).
상기 레버(144)는, 상기 덮개(132) 내에 (미도시된) 스프링에 의해 바깥쪽으로 한쪽방향으로 치우치게 기울어져 있고, 상기 포텐셔미터(47)의 와이퍼에 구동 결합된다(도 5 참조).
전동식 헤드(101)는, 상기 부의 제어회로를 갖는 인쇄회로기판(161), 모터(154), 크랭크기구(162), 감속 기어(157) 및 회전 엔코더(158)를 수납한다.
상기 모터(154)는, 감속 기어(157)를 거쳐 상기 크랭크 기구(162)를 180도까지의 범위에서 전후로 구동한다.
상기 크랭크 기구(162)는, 상기 다이어프램(125)으로부터 돌출부(164)에 연결되는 연접 봉(163)을 구비한다.
모유를 짜내는 상기 제 2 전동식 헤드(101)의 동작은, 상술한 제 1 전동식 헤드(1)의 동작과 같다.
상술한 실시예들에 대해 많은 변형을 할 수도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이어프램은, 단단한 피스톤으로 대체되거나 모터가 다이어프램의 주위를 위 아래로 구동하면서 반전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리드 스크류 기구를 사용하여 피스톤 또는 다이어프램을 구동할 수 있다. 크랭크 기구, 스크류 기구 또는 어떠한 다른 회전운동을 선형운동으로 변환하는 기구는, 상술한 회전 모터 대신에 선형 모터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피할 수 있다.

Claims (31)

  1. 유방 수납부와 짜낸 젖을 담기 위한 용기를 부착하는 수단을 갖는 몸체와,
    펌핑을 행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갖는 피스톤 수단과,
    상기 피스톤 수단을 왕복 구동하기 위해 모터와 구동기구를 갖는 모터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접촉할 경우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모터부를 상기 몸체에 장착하는 처리동안 상기 작동부재에 접속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구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4. 제 1 항, 제 2 항 또는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작동부재 사이에서 상대적인 탄성적 편향 및 복원에 의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피스톤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벌지를 갖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돌출부를 움직이게 결합하도록 상기 벌지를 수납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돌출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벌지 수납수단은 상기 결합부 내에 함몰부 또는 슬롯을 구비한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탄성적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편향된 후 그 다이어프램의 탄성으로 인해 복원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모터의 방향을 교번하여 펌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피스톤 수단이 작동하는 펌프 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전동식 유축기.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배터리 전동식 핸드 헬드 유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동식 핸드 헬드 유축기.
  14. 펌프 모터와, 그 펌프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전동식 핸드 헬드 유축기.
  15. 유방 수납부와, 짜낸 모유를 담는 용기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갖는 몸체 와,
    상호 교환 가능한 수동 및 동력화 작동부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 작동부는, 각각의 펌프 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펌프 실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수동 작동부와 동력화 작동부 양쪽에 의해 상기 펌프 실에서 작동 가능한 피스톤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 수단은, 펌핑을 하기 위한 작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동력화 작동부는 상기 피스톤 수단을 왕복 구동하기 위한 모터와 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이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모터부를 상기 몸체에 장착하는 처리 동안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구동되면서 상기 작동부재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2. 제 19 항, 제 20 항 또는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이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작동부재 사이에서 상대적인 탄성적 편 향 및 복원에 의해 실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피스톤 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한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벌지를 갖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연접 봉 수단과 상기 돌출부를 움직이게 결합하도록 상기 벌지를 수납하는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돌출부를 부분적으로 둘러싸도록 성형된 결합부를 갖고, 상기 벌지 수납수단은 상기 결합부 내에 함몰부 또는 슬롯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6. 제 18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은, 탄성적 다이어프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구는, 크랭크 기구를 구비하고, 연접 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다이어프램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연접 봉 수단은, 상기 작동부재와의 접속이,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편향된 후 그 다이어프램의 탄성으로 인해 복원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8.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화 작동부의 모터의 방향을 교번하여 펌핑을 실시하도록 구성된 제어회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29. 제 15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화 작동부는, 배터리 전동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 기 시스템.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화 작동부의 모터에 공급된 전압을 조절하는 부스트 조절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핸드 헬드 유축기 시스템.
  31. 청구항 15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상기 동력화 작동부로서 사용하는데 적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화 작동 유닛.
KR1020077027689A 2005-04-29 2006-04-28 핸드 헬드 유축기 KR200800427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508904.0 2005-04-29
GB0508904A GB2425486B (en) 2005-04-29 2005-04-29 Hand held breast pum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2768A true KR20080042768A (ko) 2008-05-15

Family

ID=3467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7689A KR20080042768A (ko) 2005-04-29 2006-04-28 핸드 헬드 유축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1893254B1 (ko)
JP (1) JP5175716B2 (ko)
KR (1) KR20080042768A (ko)
CN (1) CN101208117B (ko)
BR (1) BRPI0610435B8 (ko)
CA (1) CA2606076A1 (ko)
GB (1) GB2425486B (ko)
RU (1) RU2417794C2 (ko)
WO (1) WO200611735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18067B1 (de) * 2006-02-13 2008-11-12 Trimed AG Milchpumpe
JP4969262B2 (ja) * 2007-02-08 2012-07-04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EP2196229A1 (en) * 2008-12-12 2010-06-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otorized head for a breast pump
RU2548792C2 (ru) 2009-09-22 2015-04-20 Медела Холдинг Аг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для откачивания грудного человеческого молока
CA2850021A1 (en) * 2011-09-26 2013-04-04 Vasa Applied Technologie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ing flow rates and patterns of human milk secretion by a breast pump
MY155725A (en) * 2013-11-06 2015-11-17 See Jing Yeu A USB (Universal Serial Bus) Power Cable for Electric Breast Pump
CN104721893A (zh) * 2015-04-15 2015-06-24 陈俊波 一种吸奶器的负压产生装置
WO2018062986A1 (en) 2016-09-29 2018-04-05 See Jing Yeu A power cabl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71564A (ja) * 1987-12-28 1989-07-06 Jiekusu Kk 搾乳器
CN2172649Y (zh) * 1993-09-08 1994-07-27 何渭妹 电动吸奶器
US5571084A (en) 1994-12-12 1996-11-05 Spread Spectrum Inc. Microprocessor-controlled vested lactation system
GB2299027B (en) * 1995-03-24 1999-02-17 Cannon Rubber Ltd Diaphragm breast pump
JP3744570B2 (ja) * 1995-07-31 2006-02-15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JP3698218B2 (ja) * 1995-08-31 2005-09-21 ピジョン株式会社 搾乳器
US6673036B1 (en) * 1999-10-13 2004-01-06 The First Years Inc. Pumping breast milk
DE10132516A1 (de) * 2001-07-09 2003-01-30 Kaweco Gmbh Milchabsaugpumpe
CN2523431Y (zh) * 2001-12-29 2002-12-04 张良 电动乳汁吸取器
US20040087898A1 (en) * 2002-11-01 2004-05-06 Gotthilf Weniger Breast pump assembly
GB2404590B (en) * 2003-08-01 2005-06-01 Cannon Rubber Ltd Powered breast pump
US7569996B2 (en) * 2004-03-19 2009-08-04 Fred H Holmes Omni voltag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175716B2 (ja) 2013-04-03
RU2417794C2 (ru) 2011-05-10
BRPI0610435A2 (pt) 2012-05-22
EP1893254B1 (en) 2017-10-04
GB2425486A (en) 2006-11-01
WO2006117352A3 (en) 2007-01-18
JP2008538955A (ja) 2008-11-13
WO2006117352A2 (en) 2006-11-09
CA2606076A1 (en) 2006-11-09
GB2425486B (en) 2007-07-18
RU2007144192A (ru) 2009-06-10
EP1893254A2 (en) 2008-03-05
GB0508904D0 (en) 2005-06-08
CN101208117A (zh) 2008-06-25
BRPI0610435B1 (pt) 2019-03-26
CN101208117B (zh) 2011-06-08
BRPI0610435B8 (pt) 2021-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9383B2 (en) Hand held breast pump
RU2377023C2 (ru) Молокоотсасыватель с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KR20080042768A (ko) 핸드 헬드 유축기
AU2019283847B2 (en) Wirelessly controlled oral irrigator
US6792640B2 (en) Automatic electric toothbrush
CN209995565U (zh) 肌肤补液仪
KR20140002738U (ko) 휴대용 콘택트 렌즈 세정장치
CN211834837U (zh) 电动牙刷
CN212490218U (zh) 电动牙刷
KR20190108455A (ko) 핸즈프리 일체형 전동식 모유 착유기
JP2022085644A (ja) 電動ディスペン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