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443A - 굴삭기용 버켓 - Google Patents

굴삭기용 버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443A
KR20080041443A KR1020060109553A KR20060109553A KR20080041443A KR 20080041443 A KR20080041443 A KR 20080041443A KR 1020060109553 A KR1020060109553 A KR 1020060109553A KR 20060109553 A KR20060109553 A KR 20060109553A KR 20080041443 A KR20080041443 A KR 2008004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cket
tooth
work
excavator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요찬
정자영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5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443A/ko
Publication of KR2008004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4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0Dippers; Buckets ; Grab device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 buckets, form, geometry or material of bu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8Small metalwork for digging elements, e.g. teeth scraper b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ov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를 부착하여, 종래의 굴삭용 투스와 교체에 의하여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굴삭기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은, 굴삭용 투스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투스 어댑터(12)가 버켓 몸체(11)의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굴삭기용 버켓에 있어서, 판재형태를 갖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와,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의 상단에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투스(14)를 포함한다.
따라서, 별도의 정지 작업용 버켓을 싣고 다닐 필요가 없이, 버켓에서 굴삭용 투스를 제거하고,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를 체결하여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굴삭기의 이동시 무게 감소로 인한 연비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별도의 정지 작업용 버켓을 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객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굴삭기, 버켓, 정지 작업, 투스, 블레이드

Description

굴삭기용 버켓{An excavator bucket}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굴삭 작업용 버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정지 작업용 버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버켓 11 : 버켓 몸체
12 : 투스 어댑터 13 : 정지작업용 블레이드
14 : 체결투스 16 : 록킹 핀
17 : 록킹 와셔 100 : 버켓
101 : 투스 어댑터 110 : 굴삭용 투스
200 : 버켓 210 : 정지작업용 블레이드
본 발명은 굴삭기의 버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굴삭기의 버켓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를 부착하여, 종래의 굴삭용 투스와 교체에 의하여 정지(整地)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굴삭기용 버켓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기계의 일종인 굴삭기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해 사용되는 건설기계로서, 차체의 전방부에는 아암을 구비하고, 상기 아암의 단부에는 토사나 암석을 채굴하기 위한 버켓이 구비된다.
특히, 상기 굴삭기는 택지조성사업, 도로 및 하수도 공사, 하천개조 및 차수공사, 터널 및 지하철 공사, 토석 채취작업, 임야개간공사, 토사 적재작업 등의 다양한 작업을 할 수 있도록 제작되어 있는데, 이와 같은 다양한 작업들은 주로 아암의 선단에 결합되는 버켓 등을 작업목적에 적합한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가능하다.
즉, 종래에는 굴삭 작업을 위한 굴삭 작업용 버켓과, 정지 작업을 위한 정지 작업용 버켓으로 나뉘어 필요에 따라 아암의 선단에 버켓 전체를 교체하여 다양한 작업을 수행하였다.
여기서, 종래 기술에 따른 상기 굴삭 작업용 버켓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켓(100)의 선단에는 굴삭 작업을 위한 다수의 굴삭용 투스(110)가 일정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상기 굴삭용 투스(110)는 버켓(100)에 볼트체결이나 용접 등에 의해 고정 결합되는 투스 어댑터(101)에 결합되어 굴착지면에 직접 접촉되면서 굴삭지면을 굴삭하는 소모품이고, 굴삭용 투스(110)는 상기 투스 어댑터(101)에 끼워진 상태에서 록킹 핀 및 록킹 와셔 등과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조립된다.
한편, 상기 정지 작업용 버켓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버켓(200)의 선단에 일정 넓이를 갖는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210)가 일체로 설치되어 이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210)를 이용하여 지면을 평탄하게 하는 정지 작업을 수행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굴삭 작업용 버켓(100)이 표준 장비로 판매되어 고객은 추가로 상기 정지 작업용 버켓(200)을 구매하여야 하기 때문에 고객의 버켓 구매 비용이 증가하고, 휠 굴삭기의 이동시 상기 정지 작업용 버켓(200)을 싣고 이동하는데 따른 이동시 무게 증가와 연비 저하의 문제점을 수반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굴삭기용 버켓이 갖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굴삭 작업용 버켓의 투스 포인트에 탈착가능한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를 구비하여 별도의 정지 작업용 버켓이 없이도 정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굴삭기용 버켓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굴삭용 투스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투스 어댑터가 버켓 몸체의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굴삭기용 버켓에 있어서, 판재형태를 갖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정지작업용 블레이드와,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 드(13)의 상단에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투스(14)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굴삭기용 버켓의 구성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을 도 3 내지 도 5를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굴삭기용 버켓(10)은 판재 형태를 갖고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와,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를 버켓(10)에 탈착가능하게 체결시키는 체결투스(14)를 포함한다.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는 소정의 폭과 높이를 갖는 판재로 이루어진다.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는, 특히 하단이 지면에 접촉하여 정지(整地)작업이 가능하도록 직선의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를 버켓 몸체(11)에 탈착가능하게 체결함으로써, 지면을 고르게 하는 정지작업이 가능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는 그 폭이 버켓(10)의 폭에 대응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번에 넓은 면적에 대하여 정지작업이 가능하도록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는 버켓(1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투스(14)는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를 버켓 몸체(11)에 체결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의 상단에 소정의 간격으로 구비 된다.
체결투스(14)는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의 상단에 소정의 간격, 버켓 몸체(11)의 투스 어댑터(12)가 형성된 간격으로 형성되어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를 버켓 몸체(11)에 체결시키게 된다.
체결투스(14)의 용접, 볼트 등의 방법에 의해서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의 상단에 구비된다.
체결투스(14)의 자세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켓 몸체(11)의 투스 어댑터(12)에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투스 어댑터(12)는 핀 조인트에 의해서 탈착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를 위해서 체결투스(14)에는 투스 어댑터(12)에 형성된 관통공에 대응하도록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는 록킹 핀(15)과 상기 록킹 핀(15)의 이탈을 방지하는 록킹 와셔(16)를 이용하여 상기 체결투스(14)를 투스 어댑터(12)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체결투스(14)는 버켓 몸체(11)에 형성된 각각의 투스 어댑터(12)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도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투스 어댑터(12)보다 적은 수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같이,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가 버켓 몸체(11)에 체결투스(14)를 통하여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바, 버켓 몸체(11)에 굴삭용 투스와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굴삭 작업용 버켓에서 정지 작업용 버켓으로 전환하는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우선 상기 체결투스(14)가 조립될 버켓(10)에서 굴삭용 투스를 분리 하기 위하여 굴삭용 투스와 투스 어댑터(12)에 체결된 록킹 핀(15)과 록킹 와셔(16)를 제거하여 굴삭용 투스를 분리한다. 상기 굴삭용 투스가 제거된 투스 어댑터(12)에 상기 정지 작업용 체결투스(14)를 끼운 다음 상기 록킹 핀(15)과 록킹 와셔(16)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가 버켓 몸체(11)에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버켓 몸체(11)에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가 구비된 상태에서 굴삭기를 조작함으로써, 정지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굴삭용 투스와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14)의 교체 조립을 통해 굴삭 작업용 버켓이 간편하게 정지 작업용 버켓으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효과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저비용으로 굴삭기용 버켓(10)을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용 버켓에 의하면, 별도의 정지 작업용 버켓을 싣고 다닐 필요가 없기 때문에 휠 굴삭기의 이동시 무게 감소로 인한 연비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고, 구매자가 별도의 정지 작업용 버켓을 구매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고객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며, 정지 작업용 블레이드의 폭을 버켓의 폭 보다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위 작업당 정지 작업의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Claims (1)

  1. 굴삭용 투스가 탈착가능하게 체결되는 투스 어댑터(12)가 버켓 몸체(11)의 선단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굴삭기용 버켓에 있어서,
    판재형태를 갖고 하단에 지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되는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와,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정지작업용 블레이드(13)의 상단에 상기 투스 어댑터(1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체결투스(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굴삭기용 버켓.
KR1020060109553A 2006-11-07 2006-11-07 굴삭기용 버켓 KR20080041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53A KR20080041443A (ko) 2006-11-07 2006-11-07 굴삭기용 버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553A KR20080041443A (ko) 2006-11-07 2006-11-07 굴삭기용 버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4398U Division KR20130004887U (ko) 2013-05-31 2013-05-31 굴삭기용 버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443A true KR20080041443A (ko) 2008-05-13

Family

ID=39648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553A KR20080041443A (ko) 2006-11-07 2006-11-07 굴삭기용 버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4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3156A (zh) * 2015-08-12 2018-04-17 卡特彼勒公司 用于地面接合末端的保持叶片
KR20180110428A (ko) * 2017-03-29 2018-10-10 한영숙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23156A (zh) * 2015-08-12 2018-04-17 卡特彼勒公司 用于地面接合末端的保持叶片
KR20180110428A (ko) * 2017-03-29 2018-10-10 한영숙 분리식 굴삭기용 집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01528C (en) Wear assembly for machinery
CN101321919A (zh) 紧凑型挖掘机连接装置
CA2501703A1 (en) Cam action locking assembly
RU2651730C2 (ru) Землеройный орган в сборе
EP2798127B1 (en) Wear pad assembly
US20220356682A1 (en) Weldless boss for attaching lips to a work implement
KR20080041443A (ko) 굴삭기용 버켓
JP2015145587A (ja) 油圧ショベルのバケット用アタッチメント
KR20130004887U (ko) 굴삭기용 버켓
KR102271813B1 (ko) 나무뿌리 제거가 가능한 굴삭기용 버킷
JP2006342664A (ja) 掘削兼用整地・整形用バケット
JP2001040692A (ja) 断面形状くの字型のカッティングエッジを装着した地均し作業を行う建設機械のブレードの構造
JP2000273896A (ja) カッター付きバケット
KR20030095207A (ko) 파쇄기의 버킷 주위 기구
JP3683806B2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装置
KR102286267B1 (ko) 암반 수거용 장치
JP2003213717A (ja) 油圧ショベルの作業装置
CN212358445U (zh) 一种防止反光的挖掘机用操作面板
KR20100097314A (ko) 굴삭기용 버켓
CN208763084U (zh) 一种带动力臂防护装置的铲斗
CN106930351B (zh) 用于装载机铲斗的磨耗组件
US20130219757A1 (en) Mounting plate attachment for excavating device
JP6052941B1 (ja) 排土処理用アタッチメント
JP2024512496A (ja) 摩耗部品除去システム
KR20220155549A (ko) 실린더 탈착 구조 및 이를 구비한 굴삭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CV Withdrawal of application forming a basis of a converted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