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246A - 음료 분배용 조립체 - Google Patents

음료 분배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246A
KR20080041246A KR1020087005944A KR20087005944A KR20080041246A KR 20080041246 A KR20080041246 A KR 20080041246A KR 1020087005944 A KR1020087005944 A KR 1020087005944A KR 20087005944 A KR20087005944 A KR 20087005944A KR 20080041246 A KR20080041246 A KR 2008004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element
beverage container
beverage
wall
disp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잔 뇌라게르 라스무센
Original Assignee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filed Critical 칼스버그 브류어리스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8004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4Apparatus utilising compressed air or other ga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on beverages in storage containers
    • B67D1/0462Squeezing collapsible or flexible beverage containers, e.g. bag-in-box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6Mountings or arrangements of dispensing apparatus in or on shop or bar cou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1/0807Openings for emptying, e.g. taped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29Keg connection means
    • B67D1/0841Details
    • B67D1/0847Tamper-evident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27Bags in box
    • B67D2001/0828Bags in box in pressurised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Filling Of Jars Or Cans And Processes For Cleaning And Sealing Jars (AREA)
  • Distillation Of Fermentation Liquor, Processing Of Alcohols, Vinegar And Beer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에 관한 것이다. 그 조립체는, 사용 중에 음료 보관용기(11)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압력 챔버(2)를 포함한다. 그 음료 보관용기는 구김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지고, 또한 배출부를 구비한 목부 부분(13)을 포함한다.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에는 연결요소(12)가 배치되는데, 상기 연결요소는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를 수취하기 위한 수단(27)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챔버(2)는 음료 보관용기를 위한 수용부를 한정하는 덮개(6) 및 벽(5)을 포함한다. 나아가, 연결요소는 압력 챔버의 덮개(6)와의 맞닿음을 위하여 적합화되는데, 이로써 사용 중 덮개와 음료 보관용기 간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음료 분배용 조립체{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에 관한 것인데, 상기 조립체는 이용 중에 음료 보관용기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압력 챔버(pressure chamber)를 포함한다. 그 음료 보관용기는 구김가능한(collapsible) 소재로 만들어지고, 배출부(outlet)를 갖는 목부 부분(neck part)을 포함한다. 나아가,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에는 연결요소가 배치되는데, 상기 연결요소는 분배 라인(dispensing line)의 유입 단부(inlet end)를 수취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 챔버는 음료 보관용기의 수용부(accommodation)를 한정하는 덮개(lid) 및 벽(wall)을 포함한다.
종래에는, 생맥주(draught beer)와 같은 대형 체적의 탄산 음료가, 예를 들어 25 리터의 대형 체적을 보유하는 것이 일반적인 금속 케그(metal keg) 내에 있는 상태로 소비 장소로 배달되었다. 그러한 케그들은, 음료를 냉각시키고 음료를 보관용기(container)로부터 배출시켜 분배하기 위하여, 생맥주 냉각기, 이산화탄소 카트리지(carbondioxide cartridge)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값비싸고 정교한 분배용 조립체를 위해 의도되었다.
상기 금속 케그는 무겁고, 따라서 취급이 곤란하며, 과도한 운송 비용을 초래하였다. 더욱이, 금속 케그들은 제조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며, 완전한 또는 부 분적인 비움 후에는 재충전(refilling)을 위하여 수집되어야 하는 것이었다.
케그는 폐기되기 전에 수차례 다시 이용된다. 그 결과, 케그들은 그들의 수명 동안에 먼 거리를 이동하며, 그들이 무거울 수록 운송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된다. 또한, 생맥주의 소비는 계절에 따른 편차에 매우 민감하다. 특히 여름 기간 중에는 그 소비가 높으며, 추운 기간 동안에는 소비가 낮다. 그러므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많은 갯수의 케그들이 유통되어야 하며, 이것은 소비가 낮은 기간 중에 다량의 빈 케그들을 보관하여야 하는 것으로 귀결된다.
알려져 있는 생맥주 조립체들의 다른 단점은, 음료와 접촉하는 많은 부품들이 다시 이용되고, 그러므로 그 부품들을 위생적으로 깨끗하게 유지하고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기 위하여는 규칙적인 세정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그 세정은 시간을 소요시키는 것이고, 또한 모든 부품들에 대해 완전한 세정을 충분히 수행하는 것은 곤란할 수 있다. 음료와 접촉하는 부품들이 완전히 세정되지 않으면, 음료의 품질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단점들 중의 일부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가볍고 보다 유연한 소재로 제작된 분배용 조립체를 위한 음료 보관용기들이 도입되어 왔다. 내용물을 기계적인, 공압적인, 또는 유압적인 방식으로 가압하여 배출시킴으로써 비워지는 플라스틱 백(plastic bag)들이 시험되었으나, 이들은 대부분의 실용적 목적에 관하여는 너무 허약한 것이었다.
또한 본 기술분야에는, 예를 들어 PET 와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구김가능한(collapsible) 음료 병으로부터의 분배도 알려져 있다. 이 병(bottle)들 은 기계적, 공압적, 또는 유압적 압력의 적용에 의하여 병의 벽(bottle wall)이 구겨짐에 의하여 비워지는데, 이로써 그 내용물이 짜여져 밖으로 나온다. 그러한 음료 병들에는, 몇 리터 정도와 같은 적은 체적만이 보관될 수 있을 뿐이고, 실질적으로 큰 체적의 음료를 보유하는 금속 케그들에 바로 필적할 만한 것은 아니다. 그러나, 상기 구김가능한 병은 많은 측면에서 금속 케그의 우위에 있는 많은 장점들을 갖는다.
플라스틱 소재는 가루화(grind)될 수 있고, 그 결과에 따른 입자는 새로운 플라스틱 재료의 생산에 이용될 수 있다. 그 입자는 적은 공간을 차지하므로, 큰 저장소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병들은 보다 가볍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고, 운송 비용이 적게 소요된다. 플라스틱 병들은, 그 내용물의 시각적 확인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투명하게 제작되거나, 또는 임의의 요망되는 색상으로 착색될 수 있다. 비워진 때에는 그 병이 구겨지고, 재활용을 위한 운송 중에는 적은 공간을 차지할 것이다.
구김가능한 음료 병을 구비한 분배용 조립체는, 예를 들어 EP-A1-1 003 686 으로부터 알려져 있다. 그 문헌에 기재된 장치는, 덮개(lid)를 구비한 하우징(housing), 밀봉 수단, 압력 공급원, 냉각 기기(cooling device), 및 분배용 탭(tap)을 포함하는 일체화된 분배용 기기를 구성한다. 그 분배용 장치는 매우 많은 갯수의 정교하고 값비싼 부품들을 포함하고 복잡하게 설계되어 그 비용이 높게 된다. 따라서, 단순한 설계 및 구조를 갖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로서, 그 음료 보관용기가 비록 상대적으로 무겁더라도 사용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취급될 수 있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를 제공할 필요가 있게 된다.
나아가, 예를 들어 정부의 규제, 환경에 대한 염려, 소재 비용 등 때문에, 그 병이 비워지는 때에 그 병을 재활용하고 또한 다른 요소들이 폐기되거나, 또는 그 병이 교체됨과 동시에 다른 요소들이 교체될 것이 요망된다. 이것은 종종, 다른 요소들과 함께 플라스틱 소재의 병들을 수집 및 가루화(grinding)함에 의하여 행해진다. 그러므로, 환경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음료 분배용 조립체 내에서의 일회성 이용을 위한 요소들 및 부품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이유 때문에, 그 부품들과 요소들의 기능성, 안정성, 및 내구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그 부품들 또는 요소들을 치수와 중량 면에서 가능한 작게 만들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단점들과 결점들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극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되는 수많은 다른 목적들, 장점들, 및 특징들과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하여 달성되는데, 이것은 사용 중에 덮개와 음료 보관용기 사이의 밀봉이 얻어지도록 압력 챔버의 덮개와의 맞닿음을 위해 적합화된 연결요소에 의하여 달성된다.
유리하게는, 연결요소의 전체 폭이 음료 보관용기의 폭보다 작고, 이로써 연결요소의 생산을 위한 소재의 소비가 최소한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연결요소는 원반형상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반형상 부분은 제1 표면과 제2 표면과 벽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벽 부분은 제2 표면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에 대해 원주 상으로 배치되며 또한 제2 표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연결요소의 원반형상 부분의 제1 표면은, 연결요소를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적합화된 잠금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잠금수단은 외측 원형 벽과 내측 원형 벽 사이에 배치된 제1 환형 공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외측 벽와 상기 내측 벽은 동심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환형 공간은 원반형상 부분을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데, 이로써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과 연결요소 사이의 견고한 연결이 향상되며, 이에 의하여 연결요소의 원반형상 부분의 휨(bending)이 잠금수단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측 원형 벽은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내향 표면은 목부의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들과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돌출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외측 원형 벽의 외향 표면이 외측 벽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적합화된 지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로써 목부 부분과 연결요소 간에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에 의하여, 목부 부분과 연결요소 간의 연결이 최대 7 바아(bar) 까지의 압력을 견딜 수 있게 된다. 지지수단은 외측 벽 주위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들로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잠금수단은 잠금수단을 거치는 음료의 누설을 방지하는 밀봉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한 방식에 따라서, 내측 원형 벽은 음료 보관용기의 배출부 내로 삽입되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스밀봉식 멤브레인(gastight membrane)은 내측 원형 벽과 연이어 배치될 수 있는데, 이로써 음료 보관용기가 완전히 밀봉된다. 멤브레인은 7 바아의 압력을 견디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선택적으로는, 제2 멤브레인이 연결요소의 부분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그러한 제2 멤브레인은 음료 보관용기의 추가적인 밀봉을 제공할 수 있고, 현재 존재하는 음료 분배용 시스템 내에 상기 음료 보관용기를 넣음에 있어서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꿰뚫음기는 멤브레인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를 두고 내측 원형 벽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꿰뚫음기는 압력 챔버 내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멤브레인을 꿰뚫도록 적합화된다. 꿰뚫음기는 연결요소의 일체화된 부분이거나, 또는 연결요소에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는 꿰뚫음기와 연이어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는 경사절단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그 분배 라인의 경사진 단부가 꿰뚫음기로 된다.
나아가, 원반형상 부분의 제2 표면은 내측 원형 벽 부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내측 원형 벽 부분은 상기 벽 부분 내측에 배치되며, 이로써 상기 벽 부분들 사이에 제2 환형 공간이 배치된다. 내측 원형 벽 부분은 구획실을 한정할 수 있고, 구획실 내에는 분배 라인의 유입부를 위한 수취수단이 배치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수취수단은 유연성 칼라(flexible collar)와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칼라는 사용 중에 압력 챔버 내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꿰뚫음기를 꿰뚫음 위치로 움직이도록 적합화된다.
유리하게는, 제2 환형 공간이, 압력 챔버의 덮개의 내측에 배치된 대응하는 수단과 맞물리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
또한, 밀봉요소는 덮개와 연결요소 사이의 밀봉을 위하여, 제2 환형 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요소는 PET, PE, PBT, PP,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김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 음료 보관용기로서, 그 음료 보관용기는 배출부를 갖는 목부 부분을 포함하고,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에는 연결요소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요소는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를 수취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음료 보관용기;를 제공하는 면에 있어서도 신규하고 진보적인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음료 보관용기가 연결요소에 의하여 압력 챔버의 덮개에 연결될 수 있고, 이로써 덮개와 음료 보관용기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그것의 많은 장점들은 첨부된 개략적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될 것인데, 그 도면들은 예시를 위하여 비-한정적인(non-limiting) 일부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것이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용 조립체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분배용 조립체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 에는 도 2 의 조립체의 측면도로서, 상측 부분(top part)이 피봇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4 에는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의 압력 챔버(pressure chamber)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 에는 음료 보관용기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 에는 휘감긴(coiled up) 분배 라인(dispensing line)을 구비한 연결요소(connecting element)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7 에는 연결요소 내측에 배치된 분배부(dispensing)의 유입 단부(inlet end)와 꿰뚫음기(piercer)의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 에는 휘감긴 분배 라인을 구비한 연결요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 에는 도 8 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 단면도로서, 음료 보관용기와 연결요소 사이의 밀봉 기기(sealing device)의 배치가 도시되어 있고,
도 10 에는 연결요소의 상측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 에는 연결요소의 하측을 도시하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 에는 연결요소의 옆을 도시하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3 에는 연결요소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 에는 연결요소의 저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 에는 연결요소의 제1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6 에는 연결요소의 일부분의 확대된 상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7 에는 연결요소의 제2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8 에는 도 17 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의 확대된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9 에는 밀봉요소(sealing element)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0 에는 도 19 에 도시된 밀봉요소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1 에는 수취수단(receiving means) 및 연결요소의 특정 실시예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모든 도면들은 매우 개략적으로 도시되었고, 반드시 축적에 맞는 것은 아니며, 거기에는 본 발명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부분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며 다른 부분들은 생략되거나 또는 단지 설명되기만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의 일 실시예의 정면도가 도 1 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조립체(1)가 열전달 시스템(미도시)를 포함한다. 열전달 시스템가 조립체(1)의 적어도 압력 챔버(2)에 열기 또는 냉기를 제공하도록 적합화될 수 있다는 것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압력 챔버(2)는 사용 중 에 음료 보관용기(미도시)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되는데, 이로써 상기 열전달 시스템이 음료 보관용기 내측에 보관된 음료를 냉각 또는 가열시킬 수 있다.
그 음료는 맥주, 청량음료, 와인, 차, 커피 등과 같은 것일 수 있고, 따라서 그 조립체는 특정의 음료를 올바르게 냉각 또는 가열시키기 위하여 적합화되어, 상기 음료가 서빙(serving)될 때에 소비자에게 알맞는 온도를 갖게 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열전달 시스템이 냉각 시스템과 관련된 것으로 설명될 것이지만, 그것이 가열 시스템 또는 가열 시스템과 냉각 시스템의 조합인 것일 수도 있다.
도 1 에 도시된 조립체(1)는 냉장고 형태의 냉각 유니트(3)를 더 포함하는데, 그 내부에는 압력 챔버(2)가 포함된다. 냉각 유니트(3)는, 냉장고로서의 냉각요소(cooling element)들 뿐만 아니라 냉각 유니트(3) 내측에서 냉각된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통풍수단(ventilation means)도 포함한다. 이 요소들은 조립체(1)의 좌측에 도시된 통풍 격자(gratings; 4)의 뒤에 숨겨져 있다.
압력 챔버(2)는 음료 보관용기(미도시)를 위한 수용부(accommodation)를 한정하는 덮개(6) 및 벽 또는 커버을 포함한다.
압력 챔버(2)에는 압력 공급원(미도시)이 더 제공되는데, 상기 압력 공급원은 압력 챔버(2)에 미리 결정된 압력을 제공하도록 적합화된다. 나아가, 상기 압력 공급원 및 압력 챔버(2)와 연결된 압력-제어 유니트가 배치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덮개(6)가 압력 챔버(2)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것이지만,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그것이 압력 챔버에 피봇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덮 개(6)는 트레딩(treading), 베이오넷 클로져(bayonet closure) 또는 스크류 섀클 락(screw shackle lock)과 같은 밀폐 수단에 의하여 챔버에 잠금(lock)될 수 있다. 나아가, 덮개(6)는 실질적으로 덮개(6)의 중심에 있는 것이 바람직한 개구(opening)(미도시)를 포함한다. 압력 챔버(2) 내에 수용된 때에, 상기 개구를 통하여 음료 보관용기에 분배 라인이 연결된다.
압력 챔버(2)는 도 1 에서 작동 위치(operating position)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이 실시예에서 상기 압력 챔버(2)의 수직 방위(vertical orientation)와 동등한 것이다. 덮개(6)는 압력 챔버(2)의 하측부(bottom)에 배치되고, 압력 챔버(2)의 취급을 용이하게 하는 손잡이(handle; 7)를 포함한다.
도 2 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조립체(1')가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가정용 분배용 조립체인데, 여기에서는 압력 챔버(미도시)가 대략 5리터를 담는 음료 보관용기를 수용할 수 있다. 여기에서 그 조립체(1')는 유리잔(8) 내로 음료를 분배할 준비가 된 이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조립체(1')가 소형(compact)이기 때문에, 압력 챔버는 동시에 냉각 유니트인 것으로 구성된다. 조립체(1')는 상측 부분(9) 및 하측 부분(10)을 포함한다.
도 3 에는 도 2 의 조립체(1')가 로딩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 위치에서는 상측 부분(9)이 하측 부분(10)으로부터 멀리 피봇된다. 상측 부분(9)이 피봇된 때에, 압력 공급원(미도시)은 상측 부분(9) 내에 보관된 압력 챔버로부터 연결해제(disconnect)된다. 그 후에, 압력 챔버를 개방하고 빈 음료 보관용기를 언로딩시키며 새로운 충전된 음료 보관용기를 로딩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 다.
후속적으로, 압력 챔버가 닫히고 상측 부분(9)이 되돌려 피봇되어 하측 부분(10), 그리고 이에 따라서 압력 공급원과 연결되는데, 이것은 즉각적으로 분배를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압력 챔버 내의 압력을 상승시키기 시작할 것이다.
도 4 에는 압력 챔버(2) 내에 음료 보관용기(11)가 배치된 상태로 압력 챔버(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 보관용기(11)는 상측이 아래로 배치되어 있고, 압력 챔버(2)는 이용 준비가 된 수직 위치에 있다. 음료 보관용기(11)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요소(12)를 포함한다. 연결요소(12)는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부분(13)에 배치된다. 목부 부분(13)은 음료 보관용기의 유입부/배출부를 포함한다. 연결요소(12)는, 이용 중에 덮개(6)와 음료 보관용기(11) 간의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압력 챔버(2)의 덮개(6)와의 맞닿음을 위해 적합화된다. 또한 연결요소(12)는 덮개(6)의 개구(14)를 분배 라인(미도시)의 유입 단부와 정렬시키고,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를 음료 보관용기(19)의 배출부에 연결시킨다.
연결요소(12)는, 압력 챔버(2)의 덮개(6)의 내측에 배치된 대응하는 수단(16)과 맞물리는 제2 환형 공간(second annular space; 15)을 포함한다.
리브(17)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연결요소(12)의 지지수단(supporting means)은, 본 실시예에서 음료 보관용기(11)의 어깨부 부분(shoulder part; 18)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5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음료 보관용기(1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음료 보관용기(11)의 배출 단부에는, 연결요소(12)가 배치된다. 도 5 에는 일 실 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서는 리브(17)들이 음료 보관용기의 어깨부 부분을 지지하지 않고 있다. 나아가, 연결요소(12)의 전체 폭은 음료 보관용기(11)의 폭 보다 작다.
음료 보관용기(11)는 플라스틱, 특히 PEN 또는 PET 또는 혼합된 PET 와 같은 중합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그 음료 보관용기(11)는, 압력 챔버에 외부 압력이 인가되는 때에의 구김에 적합한, 얇은 벽으로 된 자기-지지형 구조물(thin-walled, self-supporting structure)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음료 보관용기(11)는, 음료 보관용기의 음료 내용물을 보존하기 위한 산소 차폐물(oxygen barrier)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제조될 수 있다. 나아가, 음료의 품질이 빛에 의하여 영향을 받는 경우를 위하여, 그 음료 보관용기(11)가 빛에 대한 차폐물을 형성하도록 착색 또는 염색될 수 있다. 그러한 광 차폐물은 산소 차폐물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공정들로서는 음료 보관용기(11)를 코팅하는 것, 예를 들어 그 내부 표면을 플라스마 코팅(plasma coating) 및/또는 그 외부 표면을 에폭시-코팅(epoxy-coating)에 의하여 코팅하는 것이 있다.
음료 보관용기(11)들은 개별적으로 충전소로 운송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그러한 음료 보관용기(11)들은 음료로 충전되기 직전까지 그들의 최대 크기로 불어지지(blown) 않는다. 생산소(production site)에서는, 그 음료 보관용기(11)들이 그들의 최대 크기로 불어지는데, 그 보관용기(11)는 하측 부분,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의 벽을 구비한 중간 부분, 어깨부 부분, 및 유입부와 배출부를 구비한 목부 부분을 포함한다. 음료 보관용기(11)가 형상을 갖도록 불어진 후에, 그 보관용 기(11)가 요망되는 음료로 충전되고, 목부 위로 연결요소(12)를 가압함에 의하여 밀폐된다. 따라서, 그 연결요소(12)가 음료 보관용기의 클로져(closure)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연결요소(12)와 음료 보관용기(11) 간의 연결은, 본질적으로 일단 연결요소(12)가 음료 보관용기(11)에 고정되면 그것이 음료 보관용기(11) 및/또는 연결요소(12)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제거될 수 없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로써 소비의 장소로 운반될 준비가 된 음료를 담고 있는 조작방지된(tamperproof) 보관용기 유니트가 제공된다. 그러한 분리불가능한 연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그 연결이,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위로 연결요소(12)를 가압끼움(press fitting)시킴에 의하여 이루어지는데, 그 목부와 연결요소(12)에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협력하는 잠금수단(locking means)이 제공된다.
도 6 에는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부분(13)에 연결된 상태로 연결요소(1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분배 라인(19)이 연결요소(12)의 제2 환형 공간(15) 내측에 배치되고 휘감긴(coiled up)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분배 밸브(20)는 분배 라인(19)과 연결되어 배치된다. 연결요소(12)의 하측부에는 운송 중에 분배 라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21)가 배치된다. 도 7 에는 도 7 의 연결요소(12)의 확대된 영역이 도시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가 꿰뚫음기(23)와 연이어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꿰뚫음기(23)는 연결요소(12)의 일체적 부분이다. 꿰뚫음기(23)는 가스밀봉식 멤브레 인(gastight membrane; 25)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를 두고 내측 원형 벽(24)(도 6 참조)의 내측에 배치되는데, 그 가스밀봉식 멤브레인은 내측 원형 벽(inner circular wall; 24)과 연이어 배치된다. 그 조립체의 작동 중에, 압력 챔버(2) 내측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꿰뚫음기(23)가 멤브레인(25)을 꿰뚫도록 적합화된다.
내측 원형 벽(24)은 구획실(compartment; 26)을 한정하는데, 여기에는 분배 라인(19)의 유입부(22)를 위한 수취수단(27)이 배치된다. 수취수단(27)은 유연성 칼라(flexible collar; 28)와 연결되어 배치되는바, 상기 칼라(28)는 사용 중 압력 챔버 내측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꿰뚫음기(23)를 꿰뚫음 위치(piercing position) 내로 움직이도록 적합화된다. 이 실시예에서 칼라(28)는 내측 원형 벽(24)의 상측부에 배치된 환형 플랜지(annular flange; 29)를 거쳐서 내측 원형 벽(24)과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 플랜지(29), 칼라(28), 및 수취수단(27)은 밀봉을 제공하고, 이로써 멤브레인(25)이 꿰뚫리는 때에 음료가 분배 라인(19)의 유입부(22)를 통하여만 인도될 것이다. 플랜지(29)는 상측 표면을 더 제공하는데, 이 위에는 멤브레인(25)이 배치되고, 이로써 압력에 대한 저항성 뿐만 아니라 연결요소에 대한 멤브레인의 부착성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는, 그 꿰뚫음기가 연결요소(12)에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별도의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는 경사절단(oblique cut)될 수 있는데, 이로써 분배 라인의 경사진 단부가 꿰뚫음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도 8 에는 연결요소(1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원으로 표시된 영역(30)은 도 10 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고, 연결요소(12)와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13) 간의 연결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연결요소(12)의 잠금수단은 돌출부(projection)들을 포함하는데, 이 돌출부들은 목부의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들과 안정적으로 맞물림되도록 적합화된다. 이 돌출부들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tap)/바브(barb) 및 리세스(recesse)/칼라(collar)의 형상이거나 또는 임의의 다른 스냅 메카니즘(snap mechanism)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대한 대안예로서, 그 연결요소(12)는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에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거나, 또는 연결요소(12)의 해제를 방지하는 수단이 나사(thread)에 구비된다면 그 연결요소(12)가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상에 나사체결될 수 있다.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13)와 연결요소(12) 사이에는 밀봉 링(sealing ring; 31)이 배치된다. 밀봉 링(31)은, 음료 보관용기와 연결요소 상호간의 변위가 일어날 때의 밀봉뿐만 아니라, 보통의 사용 중에 음료의 누설을 방지한다.
도 11 에는 위로부터 본 연결요소(12)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연결요소(12)는 원반형상 부분(disc shaped part; 32)을 포함하고, 상기 원반형상 부분(32)은 제1 표면(33), 제2 표면(35)(도 11 참조), 및 벽 부분(34)을 구비한다. 벽 부분(34)은 제2 표면(35)으로부터 연장되어 그에 대해 원주 상으로 배치될 뿐만 아니라, 제2 표면(35)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을 이루도록 배치됨으로써 하우징(housing)을 제공한다.
연결요소(12)의 원반형상 부분(32)의 제1 표면(33)에서, 잠금수단(36)은 연 결요소(12)를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적합화된다. 잠금수단(36)은 외측 원형 벽(outer circular wall; 38)과 내측 원형 벽(24) 사이에 배치된 제1 환형 공간(first annular space; 37)을 포함하는데, 상기 외측 벽(38)과 상기 내측 벽(24)은 동심적으로(concentrically) 배치된다. 제1 환형 공간(37)의 폭은, 가압끼움과 잠금(locking)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의 두께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갖는다.
외측 원형 벽(38)의 외향 표면(outward surface)은 지지수단(17)을 포함하는데, 그 지지수단은 외측 벽(38)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적합화되고, 이로써 목부 부분과 연결요소(12) 사이에 견고하고 또한 안정적인 연결이 얻어진다. 그 지지수단은 외측 벽(38)의 둘레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17)들로 구성된다. 리브(17)들은 그 벽(38) 그리고 그에 따라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를 지지하고,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와 연결요소(12) 간에 견고한 맞물림(rigid engagement)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장한다. 연결요소(12)가 음료 보관용기 상에 장착된 때에 연결요소(12)는 손잡이로서 이용될 수 있고, 이로써 실린더형 음료 보관용기의 사용자에 의한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음료 보관용기와 연결요소 간의 맞물림이 가능한 견고하게 되어야 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나아가, 상기 리브(17)들은 음료 보관용기의 어깨부를 지지하기 위하여 음료 보관용기의 어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내측 벽(24)의 내측에는 일체화된 꿰뚫음기(23)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에는 멤브레인이 보이지 않지만, 그것은 꿰뚫음기(23) 위로 배치되었었을 수 있다.
도 11 에는 연결요소(12)가 하측으로부터의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원반형상 부분(32)의 제2 표면(35)은 내측 원형 벽(24)을 포함하는데, 상기 내측 원형 벽(24)은 상기 벽 부분(34) 내측에 배치됨으로써, 제2 환형 공간(15)이 상기 벽 부분(34)과 상기 벽(24) 사이에 배치된다. 이 제2 환형 공간(15)은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감긴 분배 라인을 위한 저장소로서 이용될 수 있고, 사용시에는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력 챔버의 덮개 내측에 배치된 대응 수단과 맞물릴 수 있다. 나아가, 제2 환형 공간 내에는 밀봉요소(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내측 원형 벽(24)은 구획실(26)을 한정하는데, 여기에는 분배 라인의 유입부를 위한 수취수단(27)이 배치된다.
도 12 내지 도 14 에는 연결요소(12)의 측면도, 평면도, 및 저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5 에는 연결요소(1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6 에는 벽(24) 및 칼라(28)의 영역이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도 17 에는 연결요소(12)의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7 의 원으로 표시된 영역(40)은 도 18 에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고, 수취수단(27), 멤브레인(25)의 꿰뚫음을 위하여 배치된 꿰뚫음기(23), 및 유연성 칼라(28)를 재차 상세히 도시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꿰뚫음기(23)가 덮개(6)에의 맞닿음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고, 덮개(6)는 대응하는 맞닿음 수단을 구비한다. 이것은, 음료 보관용기가 압력 챔버(2)의 덮개(6)를 향하여 아래로 강제될 때에 꿰뚫음기(23)가 멤브레인(25)을 자 동적으로 꿰뚫음에 의하여 음료 보관용기를 개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덮개와의 맞닿음이 꿰뚫음기(23)로 하여금 연결요소(12)에 대하여 이동하게끔 강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조립체(1, 1') 내에 음료 보관용기를 배치시키기 전에 음료 보관용기의 개방을 수동적으로(manually) 취급할 필요가 제거된다. 중요한 것은, 압력 챔버(2)가 작동 위치,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요소가 하측 단부에 있는 채로 음료 보관용기의 상측이 아래로 배치된 수직 위치로 배치된 때에, 음료 보관용기의 하중이 연결요소(12)를 압력 챔버의 덮개(6)를 향하여 강제할 것이라는 것이다. 그와 동시에 압력 챔버 내측에는 압력이 축적되기 시작하는데, 이것 또한 연결요소를 덮개를 향해 강제시킬 것이며, 따라서 연결요소(12)가 덮개에 대한 피스톤으로서 기능할 것인데, 이 경우에는 덮개의 맞닿음 수단(abutment means)이 꿰뚫음기를 유연성 칼라를 거쳐서 멤브레인을 향하여 강제할 것이며, 그 멤브레인은 뚫려져서 음료에 대한 개방이 이루어질 것이다.
그 칼라(collar; 28)에는 하나 이상의 슬릿(slit)들(미도시)이 제공될 수 있고, 그 칼라는 꿰뚫음기(23)의 다른 부분들과 동일한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칼라(28)의 슬릿들은 칼라(28)에 탄성을 제공하고, 꿰뚫음기(23)가 멤브레인(25)을 꿰뚫기위하여 음료 보관용기를 향하여 강제되는 때에 칼라(28)가 외향으로 휘어지도록 야기한다. 나아가,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가 꿰뚫음기(미도시)로서 구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멤브레인을 꿰뚫는 것이 분배 라인의 유입 단부이다.
연결요소(12)의 부분들은 PET, PE, PBT, PP,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플 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조비용의 절감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그 부분들이 가루화되어 예를 들어 새로운 연결요소와 같이 새로운 플라스틱 제품으로 재활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멤브레인은 연결요소에 접착 또는 용접될 수 있다. 이 멤브레인을 위한 소재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플라스틱이 코팅된 종이, 종이, 알루미늄 호일일 수 있다.
또한, 제2 멤브레인이 연결요소(12)의 일부분으로서 배치될 수 있다. 이 멤브레인은 PET 와 같은 중합체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연결요소(12)의 일체형 부분일 수 있다. 제2 멤브레인은 음료 보관용기(11)의 내측과 연이은 제1 멤브레인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따라서 꿰뚫음기(23)에 의하여 관통되는 첫 번째 멤브레인이 될 수 있다. 선택에 따라서, 꿰뚫음기(23)는 그러한 제2 멤브레인과의 상호작용을 위하여 특별히 적합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꿰뚫음기(23)는 멤브레인들의 적합한 관통을 보장하기 위하여 금속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21 에는 연결요소(12)의 일부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 에서는, 멤브레인들 및 음료 보관용기를 지향하는 꿰뚫음기(23)의 부분이 편평한(flat)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금속으로 된 꿰뚫음기(23)를 위하여는 이것이 유리한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압력 챔버의 덮개와의 협동을 위하여 적합화된 연결요소(12)의 구조는, 상기 연결요소가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상에 장착된 때에, 그 보관용기의 배출부가 하향으로 대면하는 상태로 음료 보관용기가 직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요소(12)는 음료 보관용기의 배출부가 손상될 위험이 없이 음료 보관용기가 덮 개뿐만 아니라 임의의 다른 표면 상에 서는 것도 가능하게 하는데, 이것은 연결요소의 외측 벽이 음료 보관용기의 목부 부분을 넘어 연장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배출 단부의 반대측에 있는 전체적으로 실린더형인 구김가능한 음료 보관용기의 상측 단부가 구김 성능이 최적화되도록 형상화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실질적으로 편평한 연결요소(12)는 음료 보관용기의 압력 챔버 내에의 설치를 현저히 단순화시키는데, 이것은 음료 보관용기가 종래 기술의 조립체들의 경우와 같이 분배용 조립체의 벽들 위에서 조작될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이로써, 그 구조는 대형의 음료 보관용기 조차도 용이하게 배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19 및 도 20 에는 각각 밀봉요소(41)의 평면도와 도 20 의 A-A선을 따라 취한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밀봉요소(41)는 링(ring)으로서 형성되고, 주된 부분(main part; 42), 환형 립(annular lip; 43), 및 립(43)의 반대 측부 상에 상호간의 간격을 두고 주된 부분(42) 둘레로 배치된 복수의 탭(44)들을 포함한다. 음료 보관용기가 압력 챔버 내로 로딩되고 압력 챔버가 이용 위치, 즉 음료 보관용기의 수직 위치에 배치된 때에 조립체의 이용 중에는, 음료 보관용기가 압력 챔버의 덮개에 대하여 하향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것이다. 이 움직임 중에 연결요소(12)는 먼저 밀봉요소(41)의 립(43)와 접촉하고, 이로서 밀봉이 이루어지며 압력이 증가될 것이다. 연결요소(12)는 덮개를 향하여 그 움직임을 계속하고, 이로써 립(43)을 밀봉요소(41)의 주된 부분(42)을 향하여 아래로 밀 것이다. 압력 챔버 내에 압력이 축적됨에 따라서, 연결요소는 덮개를 향해 강제될 것이고, 밀봉요 소(41)는 덮개와 연결요소 사이에 적절한 밀봉을 제공할 것이다. 나아가, 밀봉요소(41)의 설계형태 때문에, 압력 챔버로부터 음료 보관용기가 제거되는 때에 밀봉요소(41)가 연결요소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것이다.
또한, 밀봉요소는 다른 기하학적 형태를 가질 수도 있는바, 예를 들어 원형(예를 들어, 오-링(O-ring)), 사각형, 타원형, 또는 이들의 임의적 조합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고무 소재와 같이 밀봉을 용이하게 하는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청구항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많은 변형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명백히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24)

  1.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로서,
    상기 음료 분배용 조립체(1, 1')는 사용 중에 음료 보관용기(11)를 수용하도록 적합화된 압력 챔버(2) 및 연결요소(12)를 포함하고,
    상기 음료 보관용기(11)는, 구김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지며, 배출부를 구비한 목부 부분(13)을 포함하고,
    연결요소(12)는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부분(13)에 배치되며, 상기 연결요소(12)는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를 수취(receiving)하는 수단(27)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압력 챔버(2)는 음료 보관용기(11)를 위한 수용부(accommodation)를 한정하는 벽(5) 및 덮개(6)를 포함하며,
    연결요소(12)는, 사용 중에 덮개(6)와 음료 보관용기(11)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도록, 압력 챔버(2)의 덮개(6)와의 맞닿음을 위하여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의 전체 폭이 음료 보관용기(11)의 폭보다 작은, 음료 분배용 조립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는 원반형상 부분(32)을 포함하고, 상기 원반형상 부분(32)은 제1 표면(33)과 제2 표면(35)과 벽 부분(34)을 구비하며, 상기 벽 부분(34)은 제2 표면(35)으로부터 연장되고 그에 대해 원주 상으로 배치되며 또한 제2 표면(35)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음료 분배용 조립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의 원반형상 부분(32)의 제1 표면(33)은, 연결요소(12)를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부분(13)에 안정적으로 연결시키도록 적합화된 잠금수단(36)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수단(36)은 외측 원형 벽(38)과 내측 원형 벽(24) 사이에 배치된 제1 환형 공간(37)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벽(38)와 상기 내측 벽(24)은 동심적으로(concentrically) 배치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환형 공간(37)은 원반형상 부분(32)을 통하여 연장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외측 원형 벽(38)은 내향 표면 및 외향 표면을 포함하고, 내향 표면은 목부 부분(13)의 외측에 배치된 돌출부들과 안정적으로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외측 원형 벽(38)의 외향 표면이 외측 벽(38)을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도록 적합화된 지지수단(17)을 포함함으로써, 목부 부분(13)과 연결요소(12) 간에 견고할 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지지수단은 외측 벽(38) 주위로 배치된 복수의 리브(rib)들로 이루어진, 음료 분배용 조립체.
  10.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잠금수단(36)은 밀봉수단(31)을 포함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11. 제 5 항에 있어서,
    내측 원형 벽(24)은 음료 보관용기(11)의 배출부 내로 삽입되도록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가스밀봉식 멤브레인(gastight membrane; 25)은 내측 원형 벽(24)과 연이어 배치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꿰뚫음기(23)는 멤브레인(25)으로부터 미리 결정된 거리를 두고 내측 원형 벽(24)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꿰뚫음기(23)는 압력 챔버(2) 내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멤브레인(25)을 꿰뚫도록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14. 제 13 항에 있어서,
    꿰뚫음기(23)는 연결요소(12)의 일체화된 부분이거나, 또는 연결요소(12)에 연결되도록 적합화된 별도의 부분인, 음료 분배용 조립체.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는 꿰뚫음기(23)와 연이어 배치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16. 제 15 항에 있어서,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는 경사절단(oblique cut)되어, 그 분배 라 인(19)의 경사진 단부가 꿰뚫음기(23)로 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17. 제 3 항 내지 제 16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원반형상 부분(32)의 제2 표면(35)은 내측 원형 벽(24)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원형 벽(24)은 상기 벽 부분(34) 내측에 배치되며, 이로써 상기 벽 부분(34)과 상기 벽(24) 사이에 제2 환형 공간(15)이 배치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18. 제 17 항에 있어서,
    내측 원형 벽(24)은 구획실(26)을 한정하고, 구획실 내에는 분배 라인(19)의 유입부(22)를 위한 수취수단(27)이 배치되는, 음료 분배용 조립체.
  19. 제 18 항에 있어서,
    수취수단(27)은 유연성 칼라(flexible collar; 28)와 연결되어 배치되고, 상기 칼라(28)는 사용 중에 압력 챔버(2) 내에 미리 결정된 압력이 얻어지는 때에 꿰뚫음기(23)를 꿰뚫음 위치로 움직이도록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20. 제 17 항에 있어서,
    제2 환형 공간(15)은, 압력 챔버(2)의 덮개(6)의 내측에 배치된 대응하는 수단(16)과 맞물리도록 적합화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21. 제 20 항에 있어서,
    밀봉요소(41)는 제2 환형 공간(15) 내에 배치된, 음료 분배용 조립체.
  22. 앞선 청구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요소(12)는 PET, PE, PBT, PP,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플라스틱 소재로 만들어진, 음료 분배용 조립체.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에 따른 조립체에서의 이용을 위하여 구김가능한 소재로 만들어진 음료 보관용기(11)로서, 그 음료 보관용기는 배출부를 갖는 목부 부분(13)을 포함하고, 음료 보관용기(11)의 목부 부분(13)에는 연결요소(12)가 배치되며, 상기 연결요소(12)는 분배 라인(19)의 유입 단부(22)를 수취하기 위한 수단(27)을 포함하는, 음료 보관용기(11).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보관용기는 연결요소(12)에 의하여 압력 챔버(2)의 덮개(6)에 연결되고, 이로써 덮개(6)와 음료 보관용기(11) 사이에 밀봉이 이루어지는, 음료 보관용기(11).
KR1020087005944A 2005-08-12 2006-08-10 음료 분배용 조립체 KR20080041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PA200501147 2005-08-12
DK200501147 2005-08-12
DK200600363 2006-03-14
DKPA200600363 2006-03-1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246A true KR20080041246A (ko) 2008-05-09

Family

ID=37499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944A KR20080041246A (ko) 2005-08-12 2006-08-10 음료 분배용 조립체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360277B2 (ko)
EP (2) EP2206677B1 (ko)
JP (1) JP5096333B2 (ko)
KR (1) KR20080041246A (ko)
CN (1) CN101263075B (ko)
AT (2) ATE539031T1 (ko)
AU (1) AU2006281786A1 (ko)
CA (1) CA2617942A1 (ko)
DK (2) DK1937582T3 (ko)
EA (1) EA012172B1 (ko)
IL (1) IL189446A0 (ko)
NO (1) NO20081257L (ko)
PT (1) PT1937582E (ko)
WO (1) WO2007019848A2 (ko)
ZA (1) ZA20080223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63766A (en) * 2005-08-12 2017-10-31 Carlsberg Breweries As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CN103224212B (zh) 2007-08-20 2016-07-06 嘉士伯酿酒有限公司 用于饮料的模块式压力分配系统及用于该系统的模块
EP2067740A1 (en) 2007-12-04 2009-06-10 Carlsberg Breweries A/S An adapter set for use in combination with a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EP2078602A1 (en) 2008-01-09 2009-07-15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stretch-blow-moulding a beverage container
EP2082986A1 (en) 2008-01-25 2009-07-29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oducing a beverage container
GB0805297D0 (en) * 2008-03-20 2008-04-30 Scottish & Newcastle Plc Beverage dispense apparatus
EP2151414B1 (en) 2008-08-07 2017-05-24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DE602008006388D1 (de) 2008-08-07 2011-06-01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odulare Getränkeausgabeanordnung
EP2154102B1 (en) 2008-08-07 2013-05-22 ELECTROLUX PROFESSIONAL S.p.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179961A1 (en) 2008-10-22 2010-04-28 Carlsberg Breweries A/S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184259A1 (en) 2008-11-05 2010-05-12 Carlsberg Breweries A/S Pressure generating device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213614A1 (en) 2009-01-29 2010-08-04 Carlsberg Breweries A/S A valve element of a beverage dispensing assembly
EP2419368A2 (en) 2009-04-15 2012-02-22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and a system for pressurising and dispensing fluid products stored in a bottle, can, container or similar device
EP2241531A1 (en) 2009-04-15 2010-10-20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and system for pressurising and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NL2003133C2 (en) * 2009-07-03 2011-01-04 Heineken Supply Chain Bv Tapping apparatus and compressible bottle therefore, and a preform for forming such container.
NL2003676C2 (en) * 2009-10-20 2011-04-21 Sara Lee De Nv Fluid packaging container.
EP2582614A1 (en) * 2010-06-17 2013-04-24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for adsorbing propellent gas for a beer dispensing system
EP2444365A1 (en) 2010-10-20 2012-04-25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filling a pressure generating device
MX2012003992A (es) * 2010-07-15 2012-07-23 Ardagh Mp Group Netherlands Bv Contenedor de un solo uso con accesorio de montaje.
PL2595914T3 (pl) 2010-07-21 2021-06-14 Carlsberg Breweries A/S Pomiar objętościowy napoju
EP2511226A1 (en) 2011-04-11 2012-10-17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preventing bacterial growth in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2809609B1 (en) 2012-02-03 2021-01-06 Carlsberg Breweries A/S A method of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and a collapsible container
NL2009237C2 (en) 2012-07-26 2014-01-28 Heineken Supply Chain Bv Connecting device and tapping assembly as well as a container and method for beverage dispensing.
JP5529235B2 (ja) * 2012-10-22 2014-06-25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EP2786960A1 (en) 2013-04-05 2014-10-08 Carlsberg Breweries A/S Constant flow rate throttle for a beer dispenser
WO2014184314A1 (en) 2013-05-17 2014-11-20 Carlsberg Breweries A/S Method of manufacturing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including a gas supply
EP2923998A1 (en) * 2014-03-24 2015-09-30 Anheuser-Busch InBev S.A. Integral KEG connector
US11027960B2 (en) 2015-08-13 2021-06-08 David G. Kraenz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liq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 of liquids in containers
US10005654B2 (en) * 2015-08-13 2018-06-26 David G. Kraenzl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relating to transfer of fluids to/from containers and/or storage/transport of fluids in containers
JP7201606B2 (ja) 2017-03-10 2023-01-10 カールスバーグ ブルワリーズ アグシャセルスガーブ 飲料分配システム、飲料分配アセンブリ、飲料分配システムの動作方法、および圧力チャンバ
PT3601148T (pt) 2017-03-27 2021-11-18 Carlsberg Breweries As Sistema de distribuição de bebidas para a distribuição de uma bebida gaseificada e um método de distribuição de uma bebida gaseificada
WO2019077057A1 (en) 2017-10-19 2019-04-25 Carlsberg Breweries A/S BEVERAGE DISTRIBUTION SYSTEM COMPRISING A PLURALITY OF PRESSURE CHAMBERS
EP3924293A1 (en) 2019-02-12 2021-12-22 Carlsberg Breweries A/S Monitoring of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CA3151887A1 (en) * 2019-09-23 2021-04-01 Peter Bach Rfid-equipped pressure chamber for keg
US20240010486A1 (en) 2020-10-05 2024-01-11 Carlsberg Breweries A/S A digital beverage font lens
EP4219626A1 (en) 2022-01-27 2023-08-02 Carlsberg Breweries A/S Collapsible beverage container and method of manufacture
EP4234480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Multi-directional tap handle for beverage dispensing systems
EP4234478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Cool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dispensing system
EP4234479A1 (en) 2022-02-25 2023-08-30 Carlsberg Breweries A/S Exchangeable applicator for inserting a flexible line and a dispensing valve in a beverage tapping head
EP4311805A1 (en) 2022-07-27 2024-01-31 Carlsberg Breweries A/S Connector for beverage dispense lin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31656A (en) * 1981-07-21 1985-07-30 Nitchman Harold L System, apparatus and method of dispensing a liquid from disposable container and a container therefor
US4860923A (en) * 1986-10-29 1989-08-29 The Coca-Cola Company Postmix juice dispensing system
US5240144A (en) * 1989-01-06 1993-08-31 Joseph Feldma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US4921135A (en) * 1989-03-03 1990-05-01 Lawrence Pleet Pressurized beverage container dispensing system
US5186362A (en) 1991-08-19 1993-02-16 Biagi Jr Hugh A Liquid transfer assembly
US5251787A (en) * 1992-03-09 1993-10-12 Simson Anton K Pressurized container dispenser
US5244117A (en) 1992-03-24 1993-09-14 Lombardo Samuel 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ing and dispensing liquid
US6375048B1 (en) * 1997-09-04 2002-04-23 Heineken Technical Services B.V. Assembly for storing and dispensing beer and other carbonated beverages
NL1015368C2 (nl) * 2000-05-31 2001-12-12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samenstel alsmede houder voor drank, in het bijzonder koolzuurhoudende drank, en drankafgifteleiding voor toepassing in een dergelijk samenstel.
DE20115158U1 (de) * 2001-09-14 2002-02-14 Schaefer Werke Gmbh Getränke-Ausschankeinrichtung
NL1019054C2 (nl) * 2001-09-28 2003-03-31 Heineken Tech Services Drankafgifte-inrichting voorzien van een tweevoudige sluiting.
US20040007589A1 (en) * 2002-02-12 2004-01-15 Lindsay Leveen Device and method for dispensing carbonated beverages
US6820763B2 (en) * 2002-03-13 2004-11-23 Sb Partnership, Inc. Portable beverage dispensing systems
RU2346882C2 (ru) * 2002-11-29 2009-02-20 Интербру С.А. Аппарат с резервуаром сжатого газа для разлива бочкового пива
US20060186136A1 (en) * 2002-11-29 2006-08-24 Albert Wauters Beer dispensing apparatus
GB0227938D0 (en) * 2002-11-29 2003-01-08 Interbrew Sa Interlocking collar for securing alcohol containing bag to keg container
BRPI0410014A (pt) * 2003-05-06 2006-04-25 Carlsberg Breweries As método para distribuir uma bebida e dispositivo para isto
MY163766A (en) * 2005-08-12 2017-10-31 Carlsberg Breweries As An assembly for dispensing beverage
BRPI0815937B1 (pt) * 2007-09-22 2020-01-28 Dispensing Technologies B.V. recipiente dispensador com recipiente interno deformável e método para sua fabricaçã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096333B2 (ja) 2012-12-12
DK1937582T3 (da) 2012-02-13
AU2006281786A1 (en) 2007-02-22
EP2206677A1 (en) 2010-07-14
ZA200802234B (en) 2009-08-26
EP1937582B1 (en) 2011-10-19
EP2206677B1 (en) 2011-12-28
US20100181338A1 (en) 2010-07-22
IL189446A0 (en) 2008-08-07
ATE529373T1 (de) 2011-11-15
WO2007019848A2 (en) 2007-02-22
US8360277B2 (en) 2013-01-29
DK2206677T3 (da) 2012-02-06
WO2007019848A3 (en) 2007-04-12
EP1937582A2 (en) 2008-07-02
ATE539031T1 (de) 2012-01-15
PT1937582E (pt) 2012-01-19
CN101263075B (zh) 2012-11-07
EA012172B1 (ru) 2009-08-28
JP2009504512A (ja) 2009-02-05
CA2617942A1 (en) 2007-02-22
EA200800576A1 (ru) 2008-06-30
NO20081257L (no) 2008-05-08
CN101263075A (zh) 2008-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1246A (ko) 음료 분배용 조립체
AU2004235874B2 (en) A method for dispensing a beverage and devices therefor
JP5484727B2 (ja) 飲料供給アセンブリ
KR100532205B1 (ko) 맥주와 다른 탄산음료를 저장 및 분배하는 조립체
WO2008013819A3 (en) Beer keg and method of assembly
KR20170101916A (ko) 컨테이너를 포함하는 3방 밸브를 갖는 가압 액체 디스펜서
EP2444365A1 (en) Method of filling a pressure generat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