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1027A -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1027A
KR20080041027A KR1020060109096A KR20060109096A KR20080041027A KR 20080041027 A KR20080041027 A KR 20080041027A KR 1020060109096 A KR1020060109096 A KR 1020060109096A KR 20060109096 A KR20060109096 A KR 20060109096A KR 20080041027 A KR20080041027 A KR 20080041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pipe
vehicle
muffler
connection pipe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9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혁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90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1027A/ko
Publication of KR20080041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10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3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between parts of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e.g. between housing and tubes, between tubes and baff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05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draining or otherwise eliminating condensates or moisture accumulating in the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60/00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1N2260/16Exhaust treating devices having provis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educing exhaust flow pul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가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는, 배기가스의 맥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의 배기계에 구비된 소음기에 연결 설치된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 내부에서 응축수의 상승을 차단하는 상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이아웃(layout) 상 불가피하게 연결 파이프가 소음기보다 아래쪽에 위치해야 할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를 적용하면 응축수 빙결 시 시동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응축수 배출 기술과 달리 엔진 작동 시 배기가스 누출 위험도 없다.
소음기, 시동성, 응축수

Description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STRUCTURE OF CONNECTING PIPE FOR MUFFLER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연결 파이프
12. 상하 격벽
본 발명은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배기계 응축수 빙결로 인한 시동성 불량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된 차량용 소음 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에 있어서, 아이들(idle) 또는 저배압 상태에서 엔진이 정지되어 배기계(exhaust system)의 온도가 내려가면 배기계 내부에는 방출되지 못한 배기가스가 응축되어 응축수가 생긴다.
특히, 단거리 주행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배기계의 온도 상승 및 그 지속시간이 충분하지 못해 배기계 내부의 응축수가 증발 또는 배출되지 않아 응축수가 항상 존재하게 된다.
이렇게 배출되지 않은 응축수는 부식을 일으키기도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동절기 및 매우 추운 지역에서 응축수가 빙결하여 시동불량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러한 시동불량을 막기 위해 파이프 레이아웃을 적절히 설정(파이프 직선화 등)하여 대응하고 있으나, 대응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고, 또한 경사로 주차 시에는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응축수를 배출해 내는 고안이 다수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적용이 힘들며 배기가스를 누출하는 고안도 존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배기계 응축수 빙결 시에도 시동성을 보장해주고, 엔진 작동 시 배기가스의 누출 위험도 없도록 한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는, 배기가스의 맥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의 배기계에 구비된 소음기에 연결 설치된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 내부에서 응축수의 상승을 차단하는 상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서 A-A 선을 따라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엔진의 각 배기포트와 연결되어 각각의 배기포트로부터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배출시키는 배기매니폴드가 엔진의 배기측에 결합되고, 상기 배기매니폴드의 출력단에는 배기가스에 포함되어 있는 유해성분을 정화시켜 배출하기 위한 산화촉매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산화촉매의 후단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배기관의 도중에는 배기가스의 맥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프론트 소음기와 메인 소음기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소음기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11)가 연결 설치되어 있다.
특히 상기 연결 파이프(11)는, 그 길이 방향으로 연결 파이프(11)의 내부에 설치되어 연결 파이프(11) 내부에서 응축수의 상승을 차단하는 상하 격벽(12)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 격벽(12)은, 연결 파이프(11)의 센터 라인을 따라 설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는, 배기계의 응축수 빙결 시에도 시동성을 보장해 주기 위한 것이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탱크, CTBA(Coupled Torsion Beam Axle) 등 주변 부품으로 인해 응축수가 고이기 쉬운 레이아웃(layout)이 대부분이다. 이 때문에 설계 가이드에서는 파이프의 센터라인이 소음기의 연결파이프 하면보다 상면에 위치하는 것을 권장하고 있다. 이는 최악의 경우 시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레이아웃에 따라 항상 이 조건을 만족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응축수는 소음기에서 생성되어 레이아웃 상 제일 낮은 곳에 고이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의 경우, 소음기 하단면까지 응축수가 고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일반 파이프(21)의 경우, 응축수가 파이프(21)의 최상단까지 상승하여 빙결 시 시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와 같이, 연결 파이 프(11)에 상하 격벽(12)을 설치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격벽(12)이 응축수의 상승을 차단하여 최악의 경우에도 충분한 배기가스 통로를 확보하여 시동성을 보장해 줄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파이프(11)의 센터 라인이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11)의 하면보다 상면에 위치하도록 설계가이드를 만족하는 경우라고 하더라도 차량이 경사면에 주차된 상태라면 응축수 빙결에 의한 시동불량 문제가 발생(경사에 따라서 응축수 고임부 발생)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는, 최소한의 배기가스 통로를 확보함으로써 근본적으로 시동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레이아웃(layout) 상 불가피하게 연결 파이프가 소음기보다 아래쪽에 위치해야 할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를 적용하면 응축수 빙결 시 시동불량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리고 매우 간단한 구조로서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쉽게 적용이 가능하며, 응축수 배출 기술과 달리 엔진 작동 시 배기가스 누출 위험도 없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 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2)

  1. 배기가스의 맥동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차량의 배기계에 구비된 소음기에 연결 설치된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파이프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연결 파이프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 파이프 내부에서 응축수의 상승을 차단하는 상하 격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격벽은,
    상기 연결 파이프의 센터 라인을 따라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KR1020060109096A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KR200800410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96A KR20080041027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9096A KR20080041027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1027A true KR20080041027A (ko) 2008-05-09

Family

ID=39648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9096A KR20080041027A (ko) 2006-11-06 2006-11-06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102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384A (ko) * 2016-12-26 2018-07-04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을 위한 배기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5384A (ko) * 2016-12-26 2018-07-04 도요타 지도샤(주) 차량을 위한 배기 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147B1 (ko) 차량의 소음기 및 이를 사용한 배기 장치
KR20080041027A (ko) 차량용 소음기의 연결 파이프 구조
JP2012215151A (ja) 内燃機関の排ガス浄化装置
US11525377B1 (en) Condensed water drainage device and exhaust system of a vehicle having the same
KR20090063493A (ko) 가변 복합 소음기를 갖춘 차량의 배기 장치
WO2023136108A1 (ja) 排気路構造
CN220452011U (zh) 一种汽车排气消声器结构
KR20230000860U (ko) 배기가스출구파이프가 최하단에 형성된 자동차의 배기머플러
JP2006169984A (ja) 排気装置
JP7335223B2 (ja) マフラ
KR20230024730A (ko) 차량용 배기 시스템
KR200254686Y1 (ko) 엘피지자동차용 기화기의 예열장치
KR100386963B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CN210660258U (zh) 一种消声器
JP3932852B2 (ja) 自動車の排気系構造
CN211851969U (zh) 汽车排气消声器及汽车
KR100925929B1 (ko) 엔진 부밍 소음 저감타입 차량의 배기 장치
KR100489129B1 (ko) 배기파이프의 직선화 및 저장용량 증대를 위한 연료탱크의구조
KR100501372B1 (ko) 차량용 배기장치의 가스 흐름 유지구조
JP2005330830A (ja) 消音器
KR20060058333A (ko) 브레이크 부스트 니플 결빙방지를 위한 서지탱크
JP2022089383A (ja) 車両用マフラ
KR20230075827A (ko) 차량용 배기 시스템
KR20060005435A (ko) 차량의 부식방지용 머플러
KR200237040Y1 (ko) 자동차의 머플러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