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388A -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 Google Patents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388A
KR20080040388A KR1020060108302A KR20060108302A KR20080040388A KR 20080040388 A KR20080040388 A KR 20080040388A KR 1020060108302 A KR1020060108302 A KR 1020060108302A KR 20060108302 A KR20060108302 A KR 20060108302A KR 20080040388 A KR20080040388 A KR 200800403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eedback signal
doppler frequency
repeater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8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3746B1 (ko
Inventor
이희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Priority to KR1020060108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3746B1/ko
Publication of KR20080040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3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3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1Reducing phase shif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제거하는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에 있어서,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여기서, 무선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 및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에서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여 무선 신호에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고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드백 신호가 포함된 수신 신호로부터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통해 중계기로 유입되는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여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방지함으로써 중계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의 옥외형 고출력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무선 중계기, 발진제거, 피드백, 도플러 주파수, 상관도

Description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 그 방법{A Repeater for Cancellating Interference by Estimating Doppler Frequency and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한 발진제거 중계기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도플러 주파수 추정하여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는 중계기 및 이때 이용되는 피드백 신호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동통신 시스템이 개발되어 보편화되고 이를 이용한 서비스 사업이 확장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소정의 송신 매체로부터 관할 영역의 수신 매체에 단방향 또는 양방향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 도록 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송신 매체와 수신 매체의 위치, 예를 들어, 산악지역, 큰 빌딩의 밀집지역 또는 지하 등과 같이 소정의 통신 음영지역이 형성되는 경우 통신 서비스 제공이 어려워진다.
이러한 통신 음영지역의 형성에 따른 통신 서비스의 질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송신 매체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증폭하여 수신 매체로 송출하는 무선(RF : Radio Frequency) 중계기가 개발되어 도입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무선 중계기는 송신 매체와 수신 매체 사이에서 신호를 증폭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양 매체 간 거리가 멀리 떨어져 있거나, 건물 등에 가려진 음역지역에 전파를 도달시킴으로써 양질의 서비스 품질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은 종래의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무선 중계기(100)는 송신 매체와의 통신을 위한 수신 안테나(110), 수신 매체와의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송신 안테나(150) 및 수신 안테나(110)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소정의 레벨로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150)로 출력하는 증폭기(13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선 중계기(100)는 설치시 안테나 간의 이격거리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는 경우, 증폭기(130)를 통해 증폭 출력되는 증폭신호가 다시 무선 중계기(100)의 입력으로 인가되는 피드백 현상이 발생되므로, 증폭기(130)를 통해 출력되는 증폭신호가 반복적으로 발진하게 된다.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송신 매체로부터 수신 매체로 전송되는 신호는 수신 안테나(110)로 입력되며, 증폭기(130)에 의해 이득(Gain) G만큼 신호가 증폭되고 송신 안테나(150)에 의해 방사된다. 여기서, 송신 안테나(150)에 의해 방사되는 신호 중 일부는 수신 안테나(110)로 인입되며, 다시 이득 G만큼 증폭되고 이 과정이 반복되면서 발진 현상을 일으키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는 위에서 언급한 발진 현상으로 인하여 중계기 이득을 낮추어 운용할 수 밖에 없었으며, 발진 현상을 피하기 위해서 건물지하 등의 제한적인 장소에서 저출력으로만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드백 신호가 포함된 수신 신호로부터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통해 무선채널 변화를 정량적으로 검출하고, 실시간으로 상관 길이(Correlation Length)를 적용하여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는 중계기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여기서, 무선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 및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에서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무선 신호에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고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기에서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무선 신호-여기서, 무선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무선 신호에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고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모듈(module)이란 용어는 특정한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하나의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한 발진제거 중계기는 수신안테나(210), 믹서(Mixer)(220), A/D 컨버터(230),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240), 로컬주파수 생성기(250),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 D/A 컨버터(270), 증폭부(280), 송신안테나(290)를 포함한다.
수신안테나(210)는 기지국으로부터 원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1
를 수신하는 안테나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수신안테나(210)는 중계기의 송신안테나(290)로부터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2
도 함께 수신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안테나(210)로 수신되는 총입력신호는 원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3
와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4
의 합이 되며, 총입력신호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5
로 나타낸다.
믹서(220)는 로컬주파수 생성기(250)로부터 생성된 로컬주파수와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6
를 믹싱하여 저주파 형태로 주파수를 변환한다.
A/D 컨버터(230)는 믹서(220)에서 주파수 변환된 신호인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이때 생성된 디지털 신호를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7
로 나타낸다.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 및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를 포함한다.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240)는 셀 탐색기(241), 파일럿채널 검출기(242), AFC(자동 주파수 제어, Automatic Frequency Control)(243) 및 도플러 주파수 검출기(244)를 포함한다.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240)는 기본적으로 피드백 신호 제거부의 동작이 안정 화된 후에 동작하여야 하며, 이후에는 추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실시간 반영하여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와 연계/동작하여 피드백 제거 성능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셀 탐색기(241)는 셀 탐색(Cell Search) 기법을 이용하여 A/D 컨버터(230)로부터 수신되는 디지털 신호로부터 기지국 신호의 타이밍 및 코드를 검출하여 파일럿채널 검출기(243)로 송신한다.
파일럿채널 검출기(243)는 셀 탐색기(241)로부터 수신된 초기 코드의 위상, 코드의 종류에 대한 정보 및 A/D 컨버터(230)로부터 수신한 디지털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8
를 이용하여 기준 채널을 복조하고, 복조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도플러 주파수 측정기(244) 및 AFC(243)로 송신한다.
AFC(243)은 파일럿채널 검출기(243)로부터 수신한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이용하여 로컬주파수 생성기(250)를 통해 안정된 로컬주파수를 생성한다.
도플러 주파수 측정기(244)는 파일럿채널 검출기(243)로부터 수신한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의 상관값 및 영점 교차 비율(Zero Cross Rate) 방식 등을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한다.
이때, 도플러 주파수 측정기(244)에서 추정된 도플러 주파수는 아래에서 설명할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에서 상관도 계산을 위한 입력값인 상관 길이(Correlation Length) M을 생성하기 위한 함수가 된다.
여기서,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한 상관 길이 M을 계산하는 방법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로컬주파수 생성기(250)는 AFC(243)에 의해 제어되며, 고주파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09
를 저주파 형태로 바꿔주기 위한 로컬주파수를 생성한다.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 및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를 포함하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240)의 도플러 주파수 측정기(244)로부터 수신된 상관 길이 M값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화된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0
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 신호는 피드백 신호 제거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1
로 나타낼 수 있으며, 이 피드백 신호 제거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2
는 새로운 총입력신호가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에 의해서 피드백 신호가 제거될 때마다 새로 갱신된다.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는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총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3
와 이전에 생성된 피드백 신호 제거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4
와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관도를 계산하고, 상관값을 통해 변화하는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및 위상을 추정한다. 이때, 상관도를 계산하기 위하여 도플러 주파수 측정기(244)에서 계산된 상관 길이 M이 이용된다. 좀 더 상세한 계산 방법은 아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에서 추정된 시간 지연, 진폭 및 위상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의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총입력신호에 적용하여 총입력신호에서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는 디지털 적응필터(Adaptive Filter) 형태로 구성된다.
D/A 컨버터(270)는 피드백 신호 제거부(260)에서 생성한 디지털 신호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5
을 아날로그 신호 형태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6
로 변환한다.
증폭부(280)는 D/A 컨버터(270)에서 변환된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7
를 이득 G만큼 증폭한다. 이때, 증폭부(280)에서 증폭된 신호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8
로 나타낼 수 있다.
송신안테나(290)는 증폭부(280)에서 증폭된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19
를 이동통신 단말기로 송신하는 안테나이다.
이하,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동작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수신안테나(210)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원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0
및 송신안테나(290)로부터 수신되는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1
를 포함하는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2
를 수신한다(S310). 여기서,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3
는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4
와 함께 수신되는 원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5
의 이전에 수신된 원수신신호가 피드백 신호 제거 과정을 거쳐 출력된 신호이다.
이때, 총입력신호는 원수신신호와 피드백 신호의 합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수학식 1]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6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7
는 기지국에서 수신되는 원수신신호이며,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8
는 피드백 신호를 의미한다. 또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29
는 열잡음 항이다.
또한, 송신안테나(290)와 수신안테나(210) 간의 무선 채널은 L개의 다중경로를 갖는 시변 다중경로 채널(Time-varying Multi-path Channel)로 모델링할 수 있으며, 모델링한 시변 다중경로 채널에 따른 임펄스 응답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0
은 아래의 [수학식 2]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1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2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실수 진폭(Real Amplitud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3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지연시간(Delay),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4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위상(Phase) 및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5
는 p번째 다중경로의 도플러천이(Doppler Shift)를 의미한다. 송신안테나와 수신안테나 간의 피드백 신호 변화 정도가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6
로 모델링 된다.
이때, 임펄스 응답은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7
로 정의하고 p번째 경로의 채널에 따른 임펄스 응답을 디지털 신호화된 기저대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3]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8
여기서, 이전의 피드백 신호 제거 과정을 거친 후의 신호를
Figure 112006080701927-PAT00039
라고 하면, 중계기 이득 G 및 다중경로 채널을 통과한 피드백된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0
는 [수학식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1
이어서, 믹서(220)는 로컬주파수 생성기(250)로 수신되는 로컬주파수를 이용하여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2
를 저주파로 변경한 후 A/D 컨버터(230)를 통해 디지털 신호화하여 기저대역 형식으로 변환한다(S320). 이때, 기저대역 형식으로 변환된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3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4
로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5
를 디지털 신호화한 기저대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5]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6
여기서, 계산의 편의를 위해 시스템 자체의 지연 시간은 수식에서 생략하였다.
따라서, 피드백된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7
를 고려한 중계기의 총입력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8
를 기저대역으로 표현하면 [수학식 6]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49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0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1
의 상관값 또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2
의 자기 상관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 특성을 검출할 수 있으며, 검출 시 상관값 길이 M의 최초값은 기본 설정값이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240)가 동작한 이후에는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하여 최적의 값으로 갱신한다(S330).
무선채널은 시간에 따라 그 특성이 변하며 채널 특성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 는 최대시간을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3
)이라고 한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4
는 도플러 주파수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5
의 함수이며 [수학식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6
이때, 상관 길이 M은 대략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7
)의 1/4 내지 1/10 정도가 적합하며, 이 조건에서 피드백채널의 특성을 안정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때,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8
라고 할 때, 상관 길이를 시간으로 나타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59
는 [수학식 8]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상관 길이 M을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0
)의 1/10 이라고 가정한 경우).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1
따라서, 도플러 천이가 5㎐ 정도 된다면 약 1.9㎳ 정도의 길이로 상관을 취해야 됨을 의미한다.
또한, A/D 컨버터(230)에서의 샘플링률(Sampling Rate)에 따라 상관 길이 M값이 결정되며, 만약 Chip Rate인 3.84㎒로 샘플링한 WCDMA 시스템에 적용했다고 가정한 경우 M이 약 7300 샘플 내외가 된다.
이어서,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는 총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2
과 피드백 신호 제거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3
과의 상관관계를 이용하여 상관도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4
을 계산하면 [수학식 9]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상관도를 계산하는 M 샘플 구간 내에서는 채널 특성 변화가 크지 않아야 하며, [수학식 8]을 적용하여 상관 길이 M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5
여기서, [수학식 9]을 살펴보면 상관도의 인덱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6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7
일 때, 상관값이 나타남을 알 수 있으며, 이때 나타난 상관값의 진폭과 위상은 피드백 채널의 특성을 반영한다.
이어서, 피드백 신호 검출기(261)에서 복소(Complex) 상관값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의 시간지연, 진폭 및 위상을 추정하며(S350), 이 값이 피드백 제거 필터(263)의 계수로 반영된다.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 계수는 [수학식 10]과 같이 상관값의 역위상 신호열을 이용하여 디지털 적응필터(Adaptive Filter) 형태로 구현하며, 피드백 경로의 반사 성분이 필터 계수 w(n)으로 반영되므로 피드백 채널의 시변 특성을 실시간 제거 가능하다.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8
피드백 신호 제거 필터(263)에서 총입력신호로부터 피드백 신호를 제거(S370)하고,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총입력신호를 D/A 컨버터(27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후 증폭기(280)로 이득 G만큼 증폭시켜 송신안테나(290)를 통해 송출한다(S380).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피드백 신호가 포함된 수신 신호로부터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통해 중계기로 유입되는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여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방지함으로써 중계기의 성능을 향상시켜, 동일대역 증폭 무선 중계기의 옥외형 고출력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여 이동통신 서비스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18)

  1.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에 있어서,
    수신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무선 신호-여기서, 무선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 및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에서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무선 신호에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고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피드백 신호 제거부
    를 포함하는 중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는
    상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셀 탐색(Cell Searching) 기법을 이용하여 기지국 기준 타이밍 및 초기 코드의 위상 및 코드의 종류를 찾는 셀 탐색기;
    상기 셀 탐색기에서 찾은 초기 코드의 위상 및 코드의 종류를 이용하여 기준 채널 및 상기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복조하는 파일럿채널 검출기; 및
    상기 파일럿채널 검출기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고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도플러 주파수 측 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계기는
    상기 무선 신호를 저주파 형태로 변환하는 믹서(Mixer);
    상기 믹서에서 저주파로 변환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로 제공하는 A/D 컨버터;
    상기 믹서에서 상기 무선 신호를 저주파로 변환하기 위한 로컬주파수를 생성하는 로컬주파수 생성기;
    상기 피드백 신호 제거부에서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무선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컨버터; 및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이득만큼 증폭하여 상기 송신안테나를 통해 송출하는 증폭부
    를 추가로 포함하는 중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는
    상기 파일럿채널 검출기부터 수신한 상기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이용하여 상기 로컬주파수 생성기에서 안정된 로컬주파수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AFC(Automatic Frequency Control)
    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신호 제거부는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에서 추정한 상기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기 무선 입력 신호의 상관 관계를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및 위상을 추정하는 피드백 신호 검출기; 및
    상기 피드백 신호 검출기에서 추정된 상기 피드백 신호의 시간 지연, 진폭 및 위상을 이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의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상기 무선 신호에 적용하여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거하는 신호 제거 필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도플러 주파수 측정부에서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는 상기 피드백 신호 검출기에서 상관도 계산을 위한 입력값인 상관 길이를 추정하기 위한 함수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계기.
  7. 중계기에서 피드백 신호에 의한 발진을 제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된 무선 신호-여기서, 무선신호는 피드백 신호를 포함하고 있음-를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b) 상기 측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이용하여 상관 길이를 추정하는 단계; 및
    c) 상기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여 상기 무선 신호에서 피드백(Feedback) 신호를 제거하고 외부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진제거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a)는
    상기 무선 신호를 이용하여 셀 탐색(Cell Searching) 기법을 이용하여 초기 코드의 위상 및 코드의 종류를 찾는 단계;
    상기 초기 코드의 위상 및 코드의 종류를 이용하여 기준 채널 및 상기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찾는 단계; 및
    상기 기준 채널에 대한 파일럿 채널 심볼을 이용하여 도플러 주파수를 측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발진제거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는
    상기 추정된 상관 길이를 입력값으로 하고, 상관도를 계산하는 단계;
    상기 계산된 상관도로부터 상기 피드백 신호의 시간지연, 진폭 및 위상을 추정하는 단계;
    상기 추정된 피드백 신호의 시간지연, 진폭 및 위상을 이용하여 피드백 신호의 역위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역위상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상기 피드백 신호를 제거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발진제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는
    상기 제 1 피드백 신호 제거 신호가 송출된 후 무선 채널을 통해 피드백된 신호를 포함하며,
    Figure 112006080701927-PAT00069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0
    는 상기 무선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1
    는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되는 원수신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2
    는 상기 피드백 신호를 의미하며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3
    는 열잡음 신호이다.)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은
    L개의 다중경로를 갖는 시변 다중경로 채널(Time-varying Multi-path Channel)로 모델링하여 임펄스 응답으로 나타내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4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5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실수 진폭(Real Amplitud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6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지연시간(Delay),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7
    는 p번째 다중경로의 위상(Phase) 및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8
    는 p번째 다중경로의 도플러천이(Doppler Shift)를 의미한다.)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의 p번째 경로의 채널에 따른 임펄스 응답을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79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0
    로 정의한다.)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피드백 신호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1
    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2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3
    는 중계기 출력 신호, G는 중계기 이득을 의미한다.)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4
    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5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기저대역으로 변환하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6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도플러 주파수를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7
    로 정의하고, 채널이 변하지 않고 유지되는 최대 시간을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8
    )이라고 할 때, 도플러 주파수
    Figure 112006080701927-PAT00089
    와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0
    )와의 관계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1
    로 표현되며,
    상기 상관 길이를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2
    로 정의할 때, 상기 상관 길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3
    와 상기 도플러 주파수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4
    의 관계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5
    (여기서, 상관 길이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6
    는 Coherent Time(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7
    )의 1/10 내지 1/4 사이의 범위로 K는 4 내지 10 사이의 값)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상관도는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8
    (여기서,
    Figure 112006080701927-PAT00099
    는 상관도를 의미하고, M은 상기 상관 길이를 의미하고,
    Figure 112006080701927-PAT00100
    는 기저대역으로 변환된 상기 무선 신호를 의미며,
    Figure 112006080701927-PAT00101
    는 기저대역으로 변 환된 출력 신호를 의미한다.)
    로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추정된 상관값
    Figure 112006080701927-PAT00102
    의 시간지연, 진폭 및 위상을 이용하여 생성된 피드백 신호의 역위상 신호열은
    Figure 112006080701927-PAT00103
    로 표현되며 역위상 신호열이 디지털 피드백 신호 제거 적응필터 계수로 반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제거 방법.
KR1020060108302A 2006-11-03 2006-11-03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KR100853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02A KR100853746B1 (ko) 2006-11-03 2006-11-03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8302A KR100853746B1 (ko) 2006-11-03 2006-11-03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388A true KR20080040388A (ko) 2008-05-08
KR100853746B1 KR100853746B1 (ko) 2008-08-22

Family

ID=39648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8302A KR100853746B1 (ko) 2006-11-03 2006-11-03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374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63B1 (ko) * 2008-11-11 2010-09-16 주식회사 케이티 궤환 간섭 제거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적응 필터 스텝 사이즈 제어 방법
WO2014084694A1 (ko) * 2012-11-30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도플러 확산 완화 방법 및 장치
WO2016140425A1 (en) * 2015-03-05 2016-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153152A1 (en) * 2015-03-24 2016-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35848A (en) * 1996-12-30 1998-11-10 Lucent Technologies Inc. Range repeater for a transmission system
JP2003174392A (ja) 2001-12-06 2003-06-20 Mitsubishi Electric Corp 無線中継装置
KR100570180B1 (ko) * 2002-09-14 2006-04-13 주식회사 컨버시스 다중 경로 탐색기를 이용한 무선 중계기의 재입력 신호방지 방법 및 장치
KR100604677B1 (ko) * 2003-05-28 2006-07-26 (주)에어포인트 귀환신호 제거 및 출력세기 자동 제어 기능을 구비한 코드분할 다중 접속방식 무선중계장치
KR100658211B1 (ko) * 2004-12-22 2006-12-15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을 위한 무선중계 장치 및 중계 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2863B1 (ko) * 2008-11-11 2010-09-16 주식회사 케이티 궤환 간섭 제거 중계기 및 그 중계기의 적응 필터 스텝 사이즈 제어 방법
WO2014084694A1 (ko) * 2012-11-30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초고주파 대역을 지원하는 무선 접속 시스템에서 도플러 확산 완화 방법 및 장치
CN104919734A (zh) * 2012-11-30 2015-09-16 Lg电子株式会社 在支持超高频带的无线接入系统中减轻多普勒展宽的方法和设备
US9735842B2 (en) 2012-11-30 2017-08-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eving doppler broadening in wireless access system that supports super high frequency band
CN104919734B (zh) * 2012-11-30 2018-07-31 Lg 电子株式会社 在支持超高频带的无线接入系统中减轻多普勒展宽的方法和设备
WO2016140425A1 (en) * 2015-03-05 2016-09-0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367562B2 (en) 2015-03-05 2019-07-30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WO2016153152A1 (en) * 2015-03-24 2016-09-29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0374686B2 (en) 2015-03-24 2019-08-06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determining doppler frequency transmission beam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3746B1 (ko) 200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6278B2 (en) Radio receiver for determining location of a signal source
US805062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removing echo signal using channel coefficient predicting technique in multi-carrier system
US8314736B2 (en)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mobile device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received signals and a reference database
EP1166455B1 (en) Doppler spread estimation system
EP1278074A1 (en) Radio positioning systems
KR20070094650A (ko) 기지국 정보 및 중계기 판별자에 기초하여 이동국 포지션을결정하는 방법 및 시스템
US812165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n echo signal in a signal 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of a communication system
WO2014099510A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meliorating signal reception
JP2003174392A (ja) 無線中継装置
KR100853746B1 (ko) 도플러 주파수 추정을 이용하여 발진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그 방법
US62088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stimating a channel parameter
JP2009500592A (ja) 遅延算出装置及び方法
KR100793571B1 (ko)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의 간섭 제거를 위한 무선 중계장치
KR20070091547A (ko) 이동통신 무선중계기의 간섭신호 제거 장치 및 방법
CN109067693B (zh) 一种粗时间同步方法及粗时间同步装置
JP2000078107A (ja) 内挿同期検波方法と無線通信システム
JP2010062997A (ja) 無線通信装置
KR100926827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다중 pn을 제거하는 중계기 및 그방법
US7986723B2 (en) Delay estimation apparatus and method
WO2006015491A1 (en) Monitoring stability of an on-frequency repeater
KR100462827B1 (ko) 무 발진 무선 중계장치 및 무 발진 무선 중계방법
JP6702398B1 (ja) 信号検出装置、信号検出方法および信号検出プログラム
JP5656750B2 (ja) シングルキャリア受信装置
JP2018524576A (ja) オフセット搬送波変調測距信号処理方法
JP5706194B2 (ja) シングルキャリア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