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201A -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201A
KR20080040201A KR1020060107845A KR20060107845A KR20080040201A KR 20080040201 A KR20080040201 A KR 20080040201A KR 1020060107845 A KR1020060107845 A KR 1020060107845A KR 20060107845 A KR20060107845 A KR 20060107845A KR 20080040201 A KR20080040201 A KR 20080040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heat exchanger
exhaust
duct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060107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40201A/ko
Publication of KR20080040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2/00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 F24F12/001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 F24F12/006Use of energy recovery systems in air conditioning, ventilation or screening with heat-exchange between supplied and exhausted air using an air-to-air heat exchang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급기흡입구 및 급기배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배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를 가지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서 급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가 형성된 일측과 상기 급기배출구 및 배기흡입구가 형성된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재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로 실외 공기나 실내 공기가 통과할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길이방향 전체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열교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데드존을 제거하므로서 열교환 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유로구조, 폐열회수환기장치.

Description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ENERGY RECOVERY VENTILATION IMPROVING FLUID PASSAGE}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폐열회수 환기장치 103: 격벽
110: 덕트 111: 급기흡입구
113: 급기배출구 115; 급기팬
121: 배기흡입구 123: 배기배출구
125: 배기팬 130: 열교환기
200: 제1 가이드판 201: 제2 가이드판
본 발명은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로구조를 개선하여 열교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폐열회수 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실외공기를 실외로 배출되는 실내공기와 먼저 열교환시킨 다음 실내로 공급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폐열회수 환기장치(1)는 실내공기(도면에서 '실선'참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2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실내공기가 배기흡입구(21)를 통해 덕트(1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30)의 배기통로를 지나 배기배출구(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이와 동시에, 급기팬(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도면에서 '점선'참조)가 급기흡입구(11)를 통해 덕트(10)로 유입된 다음, 열교환기(30)의 급기통로(미도시)를 지나 급기배출구(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이 때, 열교환기(30)를 지나는 실내공기와 실외공기는 열교환판을 통해 열교환하게 된다. 이 과정을 상술하면, 열교환기(30)에서 일어나는 열교환은 급기되는 실외공기와 배기되는 실내공기 사이에 일어나는 현열교환과, 실내공기 또는 실외공기 중 고온의 공기가 노점온도(dew point temp.) 이하의 상태가 되면서 생성된 응축수에 의한 잠열교환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열교환 방식의 환기장치의 경우, 실내가 냉방 또는 난방 분위기일 때 급기되는 실외공기가 실내공기와 1차적으로 열교환된 다음 실내로 유입됨에 따라, 실내온도의 급격한 상승이나 하강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기(30)의 길이방 향으로 양단부에 해당하는 'A'부분 및 'B'부분에서는 실제로 공기가 교차하는 부분이 매우 적어서 열교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부위, 즉 데드존(dead zone)이 형성되기 때문에, 열교환기(30)의 열교환 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유로구조를 개선하여 종래의 열교환기에서 열교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부위를 제거하므로서 열교환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는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는,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급기흡입구 및 급기배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배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를 가지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서 급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가 형성된 일측과 상기 급기배출구와 상기 배기흡입구가 형성된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재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로 실외 공기나 실내 공기가 통과할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길이방향 전체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인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급기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판과, 상기 배기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100)는, 덕트(110), 열교환기(130), 및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200,201)을 포함한다.
먼저, 덕트(110)는 급기팬(115)의 가동으로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급기흡입구(111) 및 급기배출구(113)를 가지고, 배기팬(125)의 가동으로 실내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배기흡입구(121) 및 배기배출구(123)를 가진다.
실시예에서, 덕트(110)는 전체가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에 급기흡입구(111)와 배기배출구(123)가 나란하게 형성되고, 타측에 급기배출구(113)와 배기배출구(121)가 나란하게 형성된다.
아울러, 열교환기(130)는 덕트(110)에서 급기흡입구(111) 및 배기배출구(123)가 형성된 일측과, 급기배출구(113)및 배기흡입구(121)가 형성된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재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킨다.
실시예에서, 이 열교환기(130)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하 모서리가 덕트(110)에 의해 지지되고 좌우 모서리가 격벽(103)에 의해 지지되는 육면체 형상으로 그 내부에 덕트(110)와 연통되는 다수의 급기통로와 상기 급기통로와 이웃하며 덕트(110)와 연통되는 다수의 배기통로가 구비된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급기통로와 배기통로의 경계부분에는 열전도 효율이 뛰어난 열교환판이 구비된다.
한편,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200,201)은 열교환기(130)로 실외공기나 실내공기가 통과할 경우 열교환기(130)의 길이방향 전체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가이드 유닛(200,201)은 열교환기(130)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200,201)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가이드판(200,201)은, 급기흡입구(111)에서 열교환기(130)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판(200)과, 배기흡입구(121)에서 상기 열교환기(130)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판(20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가이드판(200)은 평면으로 봤을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태로 이루어지며, 제2 가이드판(201)은 '「'형태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판(200)과 제2 가이드판(201)이 각각의 위치에서 세 개 정도로 형성되어 있지만, 최적의 유로 설계를 위해 필요에 따라 세 개 이상 또는 이하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가진 폐열회수 환기장치(100)의 동작 및 기능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내공기가 어느 정도 오염되었을 때 배기팬(125)에 전원이 인가되면 서 실내공기가 배기흡입구(121)를 통해 덕트(110)로 유입된 다음, 덕트(110) 내의 제1 가이드판(200)을 따라 열교환기(130)로 제공되고, 이 실내공기는 열교환기(130)의 배기통로를 지나 배기배출구(123)를 통해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한 과정에서 열교환기(130)는 도 1의 'A'부위와 같이 데드존으로 존재하지 않고, 제1 가이드판(200)의 안내에 의해 공기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급기팬(115)에 전원이 인가되면서 신선한 실외공기가 급기흡입구(111)를 통해 덕트(110)로 유입된 다음, 덕트(110) 내의 제2 가이드판(201)을 따라 열교환기(130)로 제공되고, 이 실외공기는 열교환기(130)의 급기통로를 지나 급기배출구(113)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다.
상기한 과정에서도 위에서 언급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1의 'B'부위와 같은 데드존이 존재하지 않고, 제2 가이드판(201)의 안내에 의해 공기의 소통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열교환기(130)의 열교환 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가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열교환기로 실외 공기나 실내 공기가 통과할 경우 열교환기의 길이방향 전체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구비하기 때문에, 열교환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던 기존의 데드존을 제거하므로서 열교환 효율을 대폭 상승시킬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급기팬의 가동으로 실외 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급기흡입구 및 급기배출구를 가지고, 배기팬의 가동으로 실내 공기가 실외로 유출되도록 배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를 가지는 덕트; 및
    상기 덕트에서 급기흡입구 및 배기배출구가 형성된 일측과 상기 급기배출구 및 배기흡입구가 형성된 타측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내재한 실외공기 및 실내공기를 서로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를 포함하며,
    상기 열교환기로 실외 공기나 실내 공기가 통과할 경우 상기 열교환기의 길이방향 전체에 공기의 소통이 가능하도록 복수개의 가이드 유닛을 더 포함하는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유닛은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가이드판인 것을 포함하는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급기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1 가이드판과, 상기 배기흡입구에서 상기 열교환기를 향해 굴곡 형성되는 복수개의 제2 가이드판인 것을 포함하는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20060107845A 2006-11-02 2006-11-02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20080040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845A KR20080040201A (ko) 2006-11-02 2006-11-02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845A KR20080040201A (ko) 2006-11-02 2006-11-02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201A true KR20080040201A (ko) 2008-05-08

Family

ID=39647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845A KR20080040201A (ko) 2006-11-02 2006-11-02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402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71B1 (ko) * 2014-01-02 2014-07-23 송종운 멀티 기능을 갖는 간이주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1471B1 (ko) * 2014-01-02 2014-07-23 송종운 멀티 기능을 갖는 간이주택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25004B2 (ja) 空調換気システム
JP2011075118A (ja) 外気処理空気調和機
JP2006125826A (ja) 換気装置
JP2007285584A (ja) 換気装置
KR101118167B1 (ko) 다단으로 열교환기가 장착된 공기조화기
KR20160074734A (ko) 건공기 유로를 구비한 백연저감 냉각탑
KR20080073488A (ko) 환기장치
KR20080040201A (ko) 유로구조를 개선한 폐열회수 환기장치
KR100541247B1 (ko) 공기흐름전환식 공기조화기
JP2001059637A (ja) 熱交換型換気装置
KR101784135B1 (ko) 화재 피해를 줄이기 위한 환풍 시스템
JP5314118B2 (ja) ワンスパン用床設置空調機
KR20030063868A (ko) 환기장치
KR100740404B1 (ko) 환기장치용 전열교환기
JP3534314B2 (ja) 床置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CN216205128U (zh) 用于烘干的装置
KR100550753B1 (ko) 환기장치
CN215112938U (zh) 一种高效节能的空调器
CN209147341U (zh) 除臭设备用热交换器
KR100675748B1 (ko) 고효율 다단식 열교환기
KR20120021747A (ko) 지중 열을 이용한 실내?외 공기 열 교환장치
KR100729606B1 (ko) 증발식 냉방장치의 에어가이드
KR200242664Y1 (ko) 열교환장치
KR100567015B1 (ko) 이중관식 전열소자를 갖는 공기조화장치
JP2009250595A (ja) 熱交換形換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