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9603A - 환기덕트용 댐퍼 - Google Patents

환기덕트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9603A
KR20080039603A KR1020060107109A KR20060107109A KR20080039603A KR 20080039603 A KR20080039603 A KR 20080039603A KR 1020060107109 A KR1020060107109 A KR 1020060107109A KR 20060107109 A KR20060107109 A KR 20060107109A KR 20080039603 A KR20080039603 A KR 200800396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sealing member
duct
ventilation duct
circum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7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48358B1 (ko
Inventor
조은이
Original Assignee
조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은이 filed Critical 조은이
Priority to KR1020060107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48358B1/ko
Publication of KR200800396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96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483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483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씰링부재가 댐퍼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덕트를 정확히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역풍이 불어오면 환기덕트와 접촉면적을 넓혀 기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환기덕트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의 실내와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덕트(100)의 내부에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부에는 씰링부재(300)가 구비된 환기덕트용 댐퍼(200)에 있어서, 건물의 실내와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덕트(100)의 내부에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부에는 씰링부재(300)가 구비된 환기덕트용 댐퍼(200)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300)는 상기 환기덕트용 댐퍼(200)를 감싸도록 금형에 금속 댐퍼(200)를 인서트성형하여 형성하고, 상기 댐퍼(200)의 둘레부에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통공(220)이 다수 형성되고, 댐퍼(200)의 일면과 타측면 부위를 깜싸는 씰링부재(30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상기 통공(220)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씰링부재(300)의 외측 둘레부에는 끝단부가 댐퍼(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폐날개(350)가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날개(35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구 측으로 배치되며, 기밀을 위하여 덕트(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댐퍼를 제공한다.
환기, 덕트, 댐퍼, 씰링부재, 통공, 날개

Description

환기덕트용 댐퍼{damper for 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덕트용 댐퍼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에 씰링부재를 구비한 상태의 일부 절단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사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사용상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덕트 200. 댐퍼
220. 통공 300. 씰링부재
310. 연결부 350. 밀폐날개
본 발명은 환기덕트용 댐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덕트에 회전 개폐되어 냄새나 연가가 배출되도록 하거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환 기덕트용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빌라와 같은 공동주택이나 빌딩과 같은 고층건물에는 옥상으로 연통되는 공동구가 설치되고, 상기 공동구에는 건물의 각 실내로 분기되는 환기덕트가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분기된 환기덕트에는 어느 실내의 공기가 다른 실내로 유입되어 영향을 주지 않도록 댐퍼가 설치되되 댐퍼의 둘레부에는 씰링부재가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댐퍼에 의하면, 예컨데, 주방에서 요리할 때 발생되는 연기를 배출할 경우에는 욕실이나 안방의 환기덕트에 설치된 댐퍼는 폐쇄되고 해당 환기덕트의 댐퍼는 개방되어, 요리시 발생되는 연기가 욕실이나 안방으로 유입되지 않고 건물의 공동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즉, 각 환기덕트의 댐퍼는 필요한 실내의 환기를 위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외부의 화재시, 내부의 화재시에도 유독가스가 공동구를 따라 이동되는 것을 막기에 필수적인 구조인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댐퍼는 씰링부재가 단순히 댐퍼의 둘레부에 감싸져 있으므로, 댐퍼를 계폐작동시키는 과정에서 씰링부재가 덕트의 내벽면과 마찰접촉되면서 댐퍼에서 분리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에 따라, 댐퍼가 덕트를 정확히 폐쇄하지 못하여 냄새나 연기가 역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씰링부재가 댐퍼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환기덕트를 정확히 폐쇄할 수 있도록 하고, 외기압이 발생되면 환기덕트와 접촉면적을 넓혀 기밀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성의 환기덕트용 댐퍼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와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덕트(100)의 내부에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부에는 씰링부재(300)가 구비된 환기덕트용 댐퍼(200)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300)는 상기 환기덕트용 댐퍼(200)를 감싸도록 금형에 금속 댐퍼(200)를 인서트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댐퍼(200)의 둘레부에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통공(220)이 다수 형성되고, 댐퍼(200)의 일면과 타측면 부위를 깜싸는 씰링부재(30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상기 통공(220)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씰링부재(300)의 외측 둘레부에는 끝단부가 댐퍼(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폐날개(350)가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밀폐날개(35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구 측으로 배치되며, 기밀을 위하여 덕트(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기덕트용 댐퍼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에 씰링부재를 구비한 상태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사용상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댐퍼의 사용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환기덕트용 댐퍼(200)는 시스크형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의 실내와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된 원형의 덕트(100)의 내부 중앙에 모터(10)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0)에 고정되어, 모터(10)의 구동에 따라 댐퍼(200)가 회동되어 덕트(100)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댐퍼(200)의 둘레부에는 둘레부를 따라 씰링부재(300)가 댐퍼(200)의 둘레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댐퍼(200)를 닫으면 상기 씰링부재(300)에 의해 덕트(100)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터(10)는 덕트(100)의 외측에 브라켓(지시하지 않음)을 매개로 고정 장착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댐퍼(200)의 외곽 둘레부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원형의 통공(220)이 다수 관통형성되고, 상기 씰링부재(300)는 상기 댐퍼(200)의 통공(220)을 감싸도록 댐퍼(200)를 인서트성형하여 구비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씰링부재를 링형상으로 성형한 후 기 성형된 씰링부재를 댐퍼(200)의 둘레부, 즉, 통공(220)을 감싸도록 댐퍼(200)의 둘레부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댐퍼(200)의 통공(220)을 감싸도록 댐퍼(200)를 인서트성형하여 댐퍼(200)의 둘레 부에 씰링부재(300)가 구비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댐퍼(200)의 씰링부재(300)는 인서트성형하여 구비되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200)의 통공(220)에 씰링부재(300)가 충진되어 댐퍼(200)의 상측 둘레부에 위치되는 상측부분(301)과 댐퍼(200)의 하측 둘레부에 위치되는 하측부분(303)이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310)가 마련되어 상하측부분(301,303)이 일체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씰링부재(300)는 그 둘레부에 통공(220)이 형성된 댐퍼(200)의 둘레부, 즉, 통공(220)을 감싸도록 댐퍼(200)를 인서트하여 성형하여 구비하여, 씰링부재(300)의 상하측부분(301,303)이 서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댐퍼(300)를 개폐작동킴에 따라 씰링부재(300)가 덕트(100)의 내벽면과 마찰접촉하더라도 댐퍼(200)에서 씰링부재(3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덕트(100)를 정확히 폐쇄하여 냄새나 연기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씰링부재(300)의 외측 둘레부에는, 즉, 씰링부재(300)의 외측면 상단에는 끝단부가 댐퍼(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폐날개(350)가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끝단부가 댐퍼(200)의 내측에 위치되되 외측으로 볼록하게 만곡지도록 호형상으로 밀폐날개(350)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밀폐날개(350)는 평상시에 만곡진 상태로 유지하다가 댐퍼(200)의 상면측으로 외기압이 발생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날개(350)가 상측으로 펼쳐지면서 덕트(100)의 내벽면에 밀착되도록 되어, 덕트(100) 와의 접촉면적을 넓혀 보다 확실하게 덕트(100)를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미설명 번호 30은 회전축(20)의 하측을 감싸는 고정브라켓이고, 번호, 40은 볼트와 너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브라켓(30)과 댐퍼(200)를 체결하여 댐퍼(200)를 회전축(20)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구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댐퍼의 둘레부에 통공을 형성하고 상기 통공을 감싸도록 댐퍼를 인서트하여 씰링부재를 구비하되, 씰링부재의 상하측부분이 상기 통공에 충전되는 연결부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어 있어 덕트와 마찰접촉하더라도 씰링부재가 댐퍼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덕트를 정확히 폐쇄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씰링부재에 외기압에 의해 펼쳐져 덕트의 내벽면에 밀착되는 밀폐날개를 구비하여 덕트와의 접촉면적을 넓힐 수 있어 보다 더 기밀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건물의 실내와 외부로 연통되도록 설치되는 덕트(100)의 내부에 회동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며 둘레부에는 씰링부재(300)가 구비된 환기덕트용 댐퍼(200)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300)는 상기 환기덕트용 댐퍼(200)를 감싸도록 금형에 금속 댐퍼(200)를 인서트성형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댐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200)의 둘레부에는 둘레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통공(220)이 다수 형성되고, 댐퍼(200)의 일면과 타측면 부위를 깜싸는 씰링부재(300)의 일측부분과 타측부분이 상기 통공(220)을 통해 서로 일체로 연결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댐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씰링부재(300)의 외측 둘레부에는 끝단부가 댐퍼(200)의 내측에 위치되는 밀폐날개(350)가 둘레부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댐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날개(350)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동구 측으로 배치되며, 기밀을 위하여 덕트(100)의 내측면에 밀착되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덕트용 댐퍼.
KR1020060107109A 2006-11-01 2006-11-01 환기덕트용 댐퍼 KR1008483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09A KR100848358B1 (ko) 2006-11-01 2006-11-01 환기덕트용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7109A KR100848358B1 (ko) 2006-11-01 2006-11-01 환기덕트용 댐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9603A true KR20080039603A (ko) 2008-05-07
KR100848358B1 KR100848358B1 (ko) 2008-07-24

Family

ID=39647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7109A KR100848358B1 (ko) 2006-11-01 2006-11-01 환기덕트용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483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91B1 (ko) * 2008-05-01 2010-03-05 주식회사 티비엠 패킹타입셔터
KR101507359B1 (ko) * 2014-07-07 2015-03-31 (주) 솔티 내구성이 향상된 버블 타이트 댐퍼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48207B1 (ko) 2011-11-24 2017-06-16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KR101694620B1 (ko) * 2015-05-22 2017-01-10 (주)디.에스.인더스트리 방연댐퍼용 가스켓 및 이를 구비한 방연댐퍼
KR101967911B1 (ko) * 2018-04-10 2019-08-19 손남주 모터를 이용한 댐퍼 장치
KR102313725B1 (ko) 2019-08-20 2021-10-15 이성한 내화 발포 가스켓 및 이를 포함하는 방화 댐퍼
KR102089784B1 (ko) * 2019-09-19 2020-03-17 양세연 열회수 공기순환용 환기유니트의 댐퍼구조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28198U (ko) * 1978-08-15 1980-02-23
JPS59133802U (ja) 1983-02-28 1984-09-07 スズキ株式会社 ダンパ−の風洩れ防止装置
JP2002337532A (ja) 2001-05-17 2002-11-27 Denso Corp 通風路切替装置
KR200338283Y1 (ko) 2003-10-02 2004-01-14 주식회사 동명캠프랜트 덕트용 댐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5891B1 (ko) * 2008-05-01 2010-03-05 주식회사 티비엠 패킹타입셔터
KR101507359B1 (ko) * 2014-07-07 2015-03-31 (주) 솔티 내구성이 향상된 버블 타이트 댐퍼
US10401040B2 (en) 2017-03-21 2019-09-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48358B1 (ko) 2008-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8358B1 (ko) 환기덕트용 댐퍼
JP5128605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ユニット
US20140090160A1 (en) Odor Removing Toilet
KR0163363B1 (ko) 결로 방지형 통풍구
AU2016102427A4 (en) Toilet ventilation apparatus
CN110805120A (zh) 地漏芯、地漏及安装方法
KR101188851B1 (ko) 환풍기용 역류 방지 댐퍼
KR101812771B1 (ko) 방화댐퍼가 구비된 자동 역류 방지형 환기장치
GB2582259A (en) Ventilation fixture
CN211571903U (zh) 地漏芯及地漏
JP3960673B2 (ja) ダクトの外壁開口構造
KR101670171B1 (ko) 역류 방지 방화 댐퍼
KR200477238Y1 (ko) 디퓨져
WO2018179186A1 (ja) ダクト用換気扇
KR100648384B1 (ko) 역류 방지 댐퍼
JP4696026B2 (ja) 換気装置
KR102273892B1 (ko) 풍향 조절이 용이한 환기용 디퓨저
KR102390500B1 (ko) 댐퍼 일체형 후드 캡
KR20140007579A (ko) 차량의 공기조화장치용 인테이크 시스템
EP2348258B1 (en) Device for mechanically controlled ventilation
KR200367865Y1 (ko) 환풍기 개폐문
KR20240000729U (ko) 담배연기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환기 조절 어셈블리
KR200376803Y1 (ko) 흡·배기용 덕트의 댐퍼구조
KR102203883B1 (ko) 환풍기
KR20180116014A (ko) 직배기용 역풍방지 환기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