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897A -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897A
KR20080037897A KR1020060105161A KR20060105161A KR20080037897A KR 20080037897 A KR20080037897 A KR 20080037897A KR 1020060105161 A KR1020060105161 A KR 1020060105161A KR 20060105161 A KR20060105161 A KR 20060105161A KR 20080037897 A KR20080037897 A KR 20080037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duct
air
air condition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51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1299B1 (ko
Inventor
이대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5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1299B1/ko
Priority to PCT/KR2007/005195 priority patent/WO2008050985A1/en
Publication of KR20080037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8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28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vehicle ventilation system, e.g. air-conditioning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덕트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시켜 시트측으로 공급하여 시트공조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콘솔덕트를 활용함으로 시트 냉,난방을 위한 필요공간을 최소화하고 부품수를 줄일수 있으며 전체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어서 소음을 방지하고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뒷좌석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콘솔벤트(25d)에서부터 콘솔박스의 후방측까지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좌,우 독립된 공기통로를 갖는 콘솔덕트(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덕트(101)를 전방덕트(102) 및 후방덕트(103)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102)(103)의 사이에 연결/결합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전,후방덕트(102)(103)의 공기통로(102a)(103a)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111)가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는 시트통로(112)가 형성된 좌,우측 연결덕트(110)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시트통로(112)와 차량의 시트(10)측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시트덕트(120)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솔덕트(101)를 통해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하여 상기 시트(10)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의 개폐량을 좌,우 독립적으로 또는 좌,우 연동 가능 하게 조절하는 개폐수단(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 공조장치, 콘솔덕트, 연결덕트, 시트덕트, 도어

Description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를 하측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내에 설치된 도어의 위치에 따른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시트공조장치 101: 콘솔덕트
102: 전방덕트 102a,103a: 공기통로
103: 후방덕트
110: 좌,우측 연결덕트 111: 연결통로
112: 시트통로 113: 개폐수단
114: 도어 114a: 플레이트
114b: 회전축 114c: 돌출부
115: 구동수단 116: 캠
116a: 슬라이딩홈
117: 레버 117a: 가이드
118: 연결부재 118a: 홈
119: 보강부재 120: 시트덕트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콘솔덕트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시켜 시트측으로 공급하여 시트공조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콘솔덕트를 활용함으로 시트 냉,난방을 위한 필요공간을 최소화하고 부품수를 줄일수 있으며 전체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어서 소음을 방지하고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조장치는 하절기나 동절기에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우천시나 동절기에 윈드실드에 끼게 되는 성에 등을 제거하여 운전자의 전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게 할 목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의 내장품으로, 이러한 공조장치는 통상 난방장치와 냉방장치를 동시에 갖추고 있어서 송풍유니트를 통해 내기나 외기를 선택적으로 도입한 후 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차량의 실내에 송풍함으로써 자동차 실내를 냉,난방하거나 또는 환기하게 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송풍유니트,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의 독립적인 구조에 따라, 상기 3개의 유니트들이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쓰리 피스 타입과, 증발기 유니트 및 히터코어 유니트가 공조케이스에 내장되고 송풍유니트가 별도의 유니트로 구비되는 세미 센터 타입과, 그리고 상기 3개의 유니트가 모두 공조케이스에 내장되는 센터마운팅 타입으로 대별할 수 있다.
또한, 2층류 공조장치는, 난방시 디포깅(Defogging) 성능을 확보하면서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발되었다. 즉, 겨울철 난방 주행시 창문에 서리는 성에를 제거할 때 저습한 차가운 외기가 효과적이므로, 일반적인 자동차용 공조장치는 저습한 차가운 외기를 도입하여 성에를 제거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실내온도가 낮아지는 결과가 초래된다. 2층류 공조장치는 상기와 같은 경우에, 차량 상부에는 외기를 공급하고, 하부에는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외기 2층 공기유동을 실현함으로써, 상부로 공급되는 신선하고 저습한 외기를 이용하여 성에를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한편 탑승자에게 신선한 외부 공기를 제공하고, 따뜻한 내기를 하부로 공급하여 높은 난방 성능을 유지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공조장치들은 보통 앞좌석의 공조를 위한 프론트 공조장치이며, 뒷좌석의 공조를 위한 리어 공조장치도 있다. 한편, 뒷좌석의 공조를 위해 별도의 리어 공조장치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지만, 프론트 공조장치의 출구측에 콘솔덕트를 연결 설치하여 프론트 공조장치에서 열교환된 공기를 뒷좌석으로 직접 공급함으로써 뒷좌석 공조를 행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장치 중에는,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프론트 공 조장치로부터 차량의 앞좌석 시트측으로 열교환된 공기를 바이패스하여 차량의 시트를 냉/난방시킴으로써, 탑승자의 등과 엉덩이를 쾌적하게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가 적용된 것도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도 1은 이러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의 일례(일본 공개특허 제1999-263116호(1999.09.28))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20)를 구성하는 공조케이스(21)로부터 차량 시트(10)까지 연결되는 연결덕트(30)와, 상기 연결덕트(30)에 설치되는 송풍기(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차량 시트(30)에는 탑승객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도록 통풍로(1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풍로(12)에 연결덕트(30)가 연결됨으로써, 송풍기(40)의 구동에 의하여 공조케이스(21)의 토출구로부터 연결덕트(30)를 통해 통풍로(12)쪽으로 공기를 효과적으로 송풍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는,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송풍유니트(미도시)와는 별도로 시트(10)측 송풍기(40)를 구성해야 하기 때문에 공간상의 제약은 물론 소음이 발생하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콘솔덕트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시켜 시트측으로 공급하여 시트공조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콘솔덕트를 활용함으로 시트 냉,난방을 위한 필요공간을 최소화하고 부품수를 줄일수 있으며 전체구조도 간단하여 제조비용을 절감함과 아울러 시 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어서 소음을 방지하고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한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프론트 공조장치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뒷좌석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의 콘솔벤트에서부터 콘솔박스의 후방측까지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좌,우 독립된 공기통로를 갖는 콘솔덕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덕트를 전방덕트 및 후방덕트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의 사이에 연결/결합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전,후방덕트의 공기통로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가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는 시트통로가 형성된 좌,우측 연결덕트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의 시트통로와 차량의 시트측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시트덕트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솔덕트를 통해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하여 상기 시트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통로와 시트통로의 개폐량을 좌,우 독립적으로 또는 좌,우 연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개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를 하측 방향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에서 좌,우측 연결덕트내에 설치된 도어의 위치에 따른 공기의 유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가 결합될 콘솔덕트(101)가 설치된 프론트 공조장치(20)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는 내부의 통로상에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증발기(22) 및 히터코어(23)가 설치됨과 아울러 공기의 유동방향을 조절하는 다수의 도어(24)들이 설치된 공조케이스(21)와,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일측에 설치되어 공조케이스(21)의 내부로 내,외기를 송풍하는 송풍유니트(26)로 구성된다.
상기 송풍유니트(26)의 내부에는 내기유입모드 또는 외기유입모드에 따라 내,외기를 선택적으로 유입할 수 있도록 엑츄에이터(미도시) 등의 제어수단에 의해 작동하면서 내,외기유입구(28a)(28b)를 개폐하는 인테이크 도어(27)가 설치되고, 상기 인테이크 도어(27)에 의해 선택적으로 유입된 내,외기를 공조케이스(21)측으로 강제 송풍하는 송풍팬(29)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출구측에는 차량의 앞유리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디프로스트 벤트(25a),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페이스 벤트(25b) 및 탑승자의 발쪽으로 공기를 토출시키기 위한 플로어 벤트(25c)가 차례로 형성된다.
상기 각 벤트(25a)(25b)(25c)들은 차량의 앞좌석측으로 공기를 토출하기 위한 벤트들이며, 상기 공조케이스(21)에는 차량의 앞좌석 뿐만아니라 뒷좌석으로도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리어플로어벤트(25e) 및 콘솔벤트(25d) 등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리어플로어벤트(25e) 및 콘솔벤트(25d)에는 뒷좌석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별도의 덕트가 뒷좌석을 향하여 길게 연장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콘솔벤트(25d)에는 상기 공조케이스(21)에서부터 차량의 콘솔박스(미도시)의 후방측까지 콘솔덕트(101)가 연장되어 설치됨으로써, 뒷좌석 탑승자의 얼굴쪽으로 공기를 토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앞좌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벤트(25a)(25b)(25c)들 및 뒷좌석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벤트(25d)(25e)들은 모두 상기 공조케이스(21)내에 설치된 다수의 도어(24)들에 의해 개폐량이 조절된다.
이러한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는 공지된 것이므로 여기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는, 좌,우측 연결덕트(110), 시트덕트(120), 개폐수단(113)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콘솔덕트(101)의 대략 중간지점에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를 설치하여 상기 공조케이스(21)에서 콘솔덕트(101)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하여 차량의 시트(10)측으로 공급하게 된다. 물론 차량의 종류 및 구조에 따라 상기 콘솔덕트(101)에 설치되는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설치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상기 콘솔덕트(101)는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출구인 콘솔벤트(25d)에서부터 콘솔박스의 후방측까지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입구에서부터 출구까지 좌,우 양쪽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좌,우 독립된 공기통로를 갖는다. 따라서, 뒷좌석의 좌,우측 에 탑승한 탑승자 모두에게 공기를 토출할 수 있는 것이다. 만일,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가 좌,우 독립제어방식일 경우에는 뒷좌석의 좌,우측에 탑승한 탑승자에게 각각 다른온도의 공기를 토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는 상기 콘솔덕트(101)를 전방덕트(102) 및 후방덕트(103)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102)(103)의 사이에 연결/결합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전,후방덕트(102)(103)의 각 독립된 좌,우 공기통로(102a)(103a)를 연통시키는 독립된 좌,우 연결통로(111)가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는 차량의 시트측(10,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시트통로(112)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콘솔덕트(101)는 전,후방향으로 각각 전방덕트(102)와 후방덕트(103)로 분할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102)(103)의 각 단부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전,후방측 단부에 각각 연결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전,후방덕트(102)(103)의 각 독립된 좌,우 공기통로(102a)(103a)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좌,우측 연결통로(111)에 각각 독립되게 연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덕트(120)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하측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시트통로(112)와 상기 시트(10)측을 연통되게 연결하게 된다. 이때 차량의 시트(10)가 전,후방향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기 시트덕트(120)도 시트(1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유동할 수 있는 유연한 구조(가변덕트)로 구성하여 상기 시트(10)가 움직일 경우에도 공기가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한편, 상기 시트덕트(120)의 출구측이 연결되는 시트(10)의 내부에는 상기 시트덕트(120)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탑승자쪽으로 토출될 수 있도록 통풍로(1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폐수단(113)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솔덕트(101)를 통해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하여 상기 시트(10)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의 개폐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개폐수단(113)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각 연결통로(11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도어(114)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14)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1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어(114)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4b)과, 상기 회전축(114b)의 일측에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114a)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이트(114a)는 상기 연결통로(111)내를 유동하는 바람의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사이에는 상기 각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되는 각 도어(114)가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114)의 회전축(114b)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18)가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18)와 회전축(114b)의 결합은, 도 4에서와 같이, 상 기 각 연결통로(111)에 설치된 회전축(114b)의 일단부를 상기 연결부재(118)측으로 연장하여 연결부재(118)의 양단부에 삽입/결합한다. 이때 상기 회전축(114b)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돌출부(114c)가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114b)의 단부가 삽입되는 연결부재(118)의 양단부 내주면에는 상기 돌출부(114c)가 끼워지는 다수의 홈(118a)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하나의 구동수단(115)으로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각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된 각각의 도어(114)를 동시에 연동 가능하게 작동시킬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회전축(114b)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돌출부(114c)를 삭제하거나 또는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연결부재(118)를 생략하고,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양측에 각각 구동수단(115)을 설치할 경우, 상기 각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된 도어(114)를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도 있다. 즉, 두 개의 구동수단(115)으로 상기 좌,우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된 각 도어(114)를 독립제어함으로써, 상기 콘솔덕트(101)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거나 또는 시트덕트(120)를 통해 시트측(10, 운전석과 조수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 풍량을 개별 제어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각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된 각각의 도어(114)를 동시에 연동 가능하게 작동시킬 수도 있고, 좌,우 독립적으로 작동/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114)를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15)은, 상기 좌,우측 연결 덕트(110) 중 어느 하나의 일측면에 모터(116b)의 구동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는 캠(116)과,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기 회전축(114b)의 단부에 결합됨과 아울러 단부측에는 상기 캠(116)의 슬라이딩홈(116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117a)가 돌출 형성된 레버(117)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캠(116)이 모터(116b)의 구동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캠(116)의 슬라이딩홈(116a)에 가이드(117a)로 결합된 레버(117)가 회전하게 되면서 상기 회전축(114b)을 회전시켜 도어(114)를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사이에는 일정길이의 보강부재(119)가 연결 형성되어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를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프론트 공조장치(20)의 냉방 또는 난방 구동시, 상기 공조케이스(21)의 디프로스트 벤트(25a), 페이스 벤트(25b) 및 플로어 벤트(25c)에서 토출된 냉기 또는 온기는 앞좌석으로 공급되고,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콘솔벤트(25d)에서 토출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콘솔덕트(101)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된다.
즉, 시트공조를 가동하지 않는 차량 실내 공조시에는, 도 5와 같이,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내에 설치된 도어(114)가 상기 연결통로(111)는 완전개방하고 상기 시트통로(112)를 완전폐쇄함으로써,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콘솔벤트(25d) 에서 토출된 공기는 콘솔덕트(101)의 전방덕트(102)와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연결통로(111) 및 콘솔덕트(101)의 후방덕트(103)를 통해 뒷좌석으로만 공급되는 것이다.
그리고, 시트공조를 가동할 경우에는, 도 6 및 도 7과 같이,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내에 설치된 도어(114)가 상기 구동수단(115)의 제어에 의해 상기 시트통로(112)를 개방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도어(114)의 위치에 따라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풍량과 시트(10)측으로 공급되는 풍량이 조절된다.
여기서, 도 6과 같이, 상기 도어(114)가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를 모두 개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콘솔벤트(25d)에서 토출된 냉기 또는 온기는 상기 콘솔덕트(101)의 전방덕트(102)를 거쳐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연결통로(111)로 진입하게 되며, 상기 연결통로(111)로 진입한 공기는 상기 도어(114)에 의해 분기되어 일부는 상기 콘솔덕트(101)의 후방덕트(103)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고, 나머지는 상기 시트통로(112) 및 시트덕트(120)를 통해 시트(10)측으로 공급된다.
이후, 상기 시트(10)측으로 공급된 공기는 시트(10)내의 통풍로(12)를 통해 탑승자쪽으로 토출되면서 시트(10)를 냉,난방 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도어(114)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연결통로(111)를 완전폐쇄하고 시트통로(112)를 완전개방할 경우, 상기 공조케이스(21)의 콘솔벤트(25d)에서 토출된 공기는 콘솔덕트(101)의 전방덕트(102)와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시트통로(112) 및 시트덕트(120)를 통해 시트(10)측으로만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공조장치(100)를 통해 시트(10)측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탑승자의 냉난방 요구에 맞도록 냉기 또는 온기로 열교환된 공기이며, 따라서 탑승자의 냉난방 요구에 맞는 시트 공조를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내에 설치되는 도어(114)를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115)으로 개별제어할 경우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며, 이때에는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측 풍량조절은 물론 시트(10, 운전석과 조수석)측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측 풍량조절도 가능하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콘솔덕트를 전,후방덕트로 분할함과 아울러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의 사이에는 내부에 도어가 설치되고 시트덕트를 통해 시트측과 연결된 좌,우측 연결덕트를 설치하여, 상기 콘솔덕트를 통해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시켜 시트측으로 공급하여 시트공조를 행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콘솔덕트를 활용함으로 시트 냉,난방을 위해 차량에서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여 승객의 실내공간을 침해하지 않으며 공기를 효율적으로 시트에 분배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공조장치의 부품인 콘솔덕트를 활용함으로써 부품 추가를 최소화하고 부품수를 줄여 전체구조가 간단하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제조비용도 절감된다.
그리고, 시트측에 별도의 송풍기가 필요없어서 소음이 방지됨과 아울러 시트측 공간상의 제약이 상대적으로 적다.
또한, 프론드 공조장치를 높은 효율을 활용함으로써 에너지의 소모를 줄일수 있다.
그리고,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내에 설치되는 도어를 각각 별도의 구동수단으로 제어할 경우, 좌,우 독립제어가 가능하여 운전석과 조수석 또는 뒷좌석으로 공급되는 공기의 좌,우측 풍량조절이 가능하다.

Claims (5)

  1. 프론트 공조장치(20)에서 토출되는 공기중 일부를 뒷좌석으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프론트 공조장치(20)의 콘솔벤트(25d)에서부터 콘솔박스의 후방측까지 연장 설치됨과 아울러 좌,우 독립된 공기통로를 갖는 콘솔덕트(10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차량용 공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콘솔덕트(101)를 전방덕트(102) 및 후방덕트(103)로 분할하여 상기 분할된 전,후방덕트(102)(103)의 사이에 연결/결합됨과 아울러 전,후방향으로는 상기 전,후방덕트(102)(103)의 공기통로(102a)(103a)를 연통시키는 연결통로(111)가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는 시트통로(112)가 형성된 좌,우측 연결덕트(110)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시트통로(112)와 차량의 시트(10)측을 연통되게 연결하는 시트덕트(120)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콘솔덕트(101)를 통해 뒷좌석으로 송풍되는 공기중 일부를 분기하여 상기 시트(10)측에 선택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의 개폐량을 좌,우 독립적으로 또는 좌,우 연동 가능하게 조절하는 개폐수단(1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113)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각 연결통로(111)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연결통로(111)와 시트통로(112)의 개폐량을 조절하는 도어(114)와,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114)를 회전 작동시키는 구동수단(115)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114)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내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114b)과, 상기 회전축(114b)의 일측에 형성되는 평판형 플레이트(114a)로 이루어지되, 상기 플레이트(114a)는 상기 연결통로(111)내를 유동하는 바람의 방향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사이에는 상기 각 연결통로(111)내에 설치되는 각 도어(114)가 연동하여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도어(114)의 회전축(114b)을 연결하는 연결부재(118)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의 사이에는 상기 좌,우측 연결덕트(110)가 서로 일정간격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보강부재(119)가 연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20060105161A 2006-10-27 2006-10-27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2012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161A KR101201299B1 (ko) 2006-10-27 2006-10-27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PCT/KR2007/005195 WO2008050985A1 (en) 2006-10-27 2007-10-23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5161A KR101201299B1 (ko) 2006-10-27 2006-10-27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897A true KR20080037897A (ko) 2008-05-02
KR101201299B1 KR101201299B1 (ko) 2012-11-14

Family

ID=39646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5161A KR101201299B1 (ko) 2006-10-27 2006-10-27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12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78B1 (ko) * 2012-12-31 2014-08-04 갑을오토텍(주) 차량 후석용 통풍시트
KR20190079106A (ko) * 2017-12-27 2019-07-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75160B2 (ja) 1998-03-17 2005-07-27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JP4132629B2 (ja) 2000-10-10 2008-08-13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トラック用シート空調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078B1 (ko) * 2012-12-31 2014-08-04 갑을오토텍(주) 차량 후석용 통풍시트
KR20190079106A (ko) * 2017-12-27 2019-07-05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공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1299B1 (ko) 201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95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0294482B1 (ko) 공기조화장치의케이스와이를이용한공기조화장치
US8544533B2 (en) Vehicular air conditioner having two-layered air flow
KR10140344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0574335B1 (ko) 좌우 독립 제어식 자동차용 공기조화장치
CN110678338B (zh) 车用空调
KR1026034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4487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1301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75872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2319003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201299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220971B1 (ko) 차량용 공조장치
WO2008050985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00755B1 (ko) 차량용 시트 공조장치
KR10117682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161A (ko) 차량용 공조장치
JP40752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425880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15012988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71446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572569B1 (ko)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
KR20110024413A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429999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20210150010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