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7757A -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 Google Patents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7757A
KR20080037757A KR1020060104775A KR20060104775A KR20080037757A KR 20080037757 A KR20080037757 A KR 20080037757A KR 1020060104775 A KR1020060104775 A KR 1020060104775A KR 20060104775 A KR20060104775 A KR 20060104775A KR 20080037757 A KR20080037757 A KR 200800377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ed
pine bark
pine
pine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6285B1 (ko
Inventor
한완택
한선정
김동호
Original Assignee
한완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완택 filed Critical 한완택
Priority to KR102006010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6285B1/ko
Publication of KR20080037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7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6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6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2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hydrolysates of wood or straw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20/00Accessory food factors for animal feeding-stuffs
    • A23K20/10Organic substances
    • A23K20/158Fatty acids; Fats; Products containing oils or fa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40/0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 A23K40/10Shaping or working-up of animal feeding-stuffs by agglomeration; by granulation, e.g. making powde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ysiology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나무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에 관한 것이다.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주로 식물체의 잎, 줄기, 뿌리 및 종자 등에 널리 분포하고 있다. 특히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된 고품질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활성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각종 건강보조식품, 식품, 화장품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천연 폴리페놀성분은 강력한 탈취기능을 갖고 있으므로 폴리페놀 사료로 가축을 사육하면 축분에 의한 악취가 감소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천연 폴리페놀성분을 포함한 소나무 껍질로부터 간단하게 추출하는 공정을 완성하여 폴리페놀을 함유한 사료첨가제 또는 사료를 제조하였고, 폴리페놀 사료를 가축사육에 사용한 결과 항생제의 사용함이 없이도 건강한 발육을 보였고, 또한 생산된 축산물은 항생제를 사용한 제품에 비하여 품질이 더 우수하였다. 이는 폴리페놀이 함유된 사료가 가축을 질병으로부터 보호하여 건강을 증진함으로써 무항생제 축산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보여준다.
소나무 껍질, 폴리페놀, 사료, 무항생제, 축산, 축산제품

Description

소나무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A functional feed and feed addictive containing a pine tree bark}
본 발명은 소나무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의 성장을 촉진하고 설사 등의 질병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사료첨가제로는 일반적으로 항생제가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항생제는 장기간 사용하거나 남용하게 되면 항생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게 되고, 축산물에 항생제가 잔류됨에 따라 식품으로서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항생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사료첨가제가 개발되고 있다. 그 예로 생균제, 효모제, 올리고당, 천연물질 등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적용되고 있다. 생균제는 동물의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함으로써 유익한 작용을 하는 미생물로 주로 유산균이 사용된다. 그러나 생균제는 가격이 높고, 생균을 장기보관시 사멸하게 되어 활성이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효모제에는 죽은 효모균체를 이용하는 효모배양물과 살아있는 효모의 기능을 이용하는 활성효모 제품으로 분류된다. 효모배양물은 다양한 영양성분을 갖고 사료의 기호성을 높일 수 있 으나 가격이 비교적 고가인 문제점이 있다. 활성효모는 가축에 급여시 가축의 소화관내에서 발효에 의항 영양성분이 생성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올리고당은 가축의 소화효소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고 가축의 장내 미생물, 특히 유산균에 의하여 정장효과를 나타내어 가축을 건강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물질의 경우 가축의 영양소 이용성을 높이고 면역력을 증진시킴으로써 가축을 질병으로부터 예방하여 안전성이 높은 축산물을 생산하고자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천연물질로는 광물질, 한약성분, 식물발효생성물, 목초액, 키토산류, 유카식물추출물, 프로폴리스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사료 첨가제는 항생제를 대체할 만큼 강력한 항균활성과 면역력증진활성을 지니지 못하여 항생제 등과 병행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또한 가격이 비교적 고가이므로 그 사용량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임산자원의 부산물로 다량 생성되는 소나무 껍질로부터 추출한 천연 폴리페놀추출물을 함유한 사료첨가물 또는 사료의 제조법과 이를 축산용 사료로 사용하여 무항생제 축산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사례는 아직 없다.
소나무 껍질은 목질부에 비교하여 탄수화물의 함량이 매우 낮고 리그닌 등의 성분이 다량으로 존재하고 있어 가축의 사료로 사용하더라도 소화흡수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는 리그닌 성분이 가축이나 가축의 장내 미생물에 의하여 분해가 되지 않는 난분해성물질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소나무 껍질세포에 함유된 폴리 페놀 성분도 가축에 의하여 거의 이용되지 못하고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므로, 소나무 껍질 내 유효성분의 소화흡수율을 높이기 위하여 껍질부를 분쇄하여 표면적을 넓힘으로써 용출되는 추출액의 양을 어느 정도 증가시킬 수는 있지만 내부에 존재하는 소나무 껍질 세포에 함유된 대부분의 폴리페놀성분을 포함한 유효 성분이 이용되지 못하는 제한성이 있기 때문에, 소나무 껍질의 유효성분을 가축이 효과적으로 섭취하게 하기 위해서는 용매를 사용하여 껍질 세포 내부에 있는 폴리페놀을 적절하게 추출하여 분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소나무 껍질의 유효 성분을 물이나 주정 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천연용매인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액상 또는 분말상태의 사료 또는 사료첨가물을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상기 방법으로 추출한 추출물이 병원성균(Staphylococcus aureus, Klebsiella pneumoniae 등)과 같은 유해세균 대해서는 높은 항균효과가 있으나 유산균(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등)과 같은 유용한 미생물에 대하여는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소나무 껍질의 유효 성분을 물이나 주정 등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천연용매인 주정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이를 액상 또는 분말상태의 기능성 사료 또는 사료첨가물로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소나무 껍질에서 유래한 천연 폴리페놀성분 등의 유효성분이 함유된 고기능성 사료를 사용하여 가축을 항생제를 사용함이 없이 사육함으로써, 고품질의 위생적인 축산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나무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제를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소나무류 껍질은 소나무류 껍질 그 자체 또는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농축 효과를 위해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류 껍질을 분쇄한 분쇄물과 용매를 중량 기준으로 1:3 내지 1: 5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건조한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료에는 상기 추출물에, 상기 추출잔유물과 주정을 중량 기준으로 1: 1 내지 1: 2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다시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건조하는 공정을 1회 또는 2회 반복 수행하여 수득한 분말을 더 포함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소나무류 껍질을 분쇄한 분쇄물과 용매를 중량 기준으로 1:3 내지 1: 5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잔유물을 건조한 추출박 과립 표면에 상기 추출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혼합 및 건조하여 균일하게 코팅한 코팅 추출박을 본 발명의 추출물로서 통상의 사료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진다.
또한, 종래와 동일한 기술적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료나 사료 첨가물에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나무류 껍질은 폴리 페놀 화합물을 비롯한 다양한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소나무류”라 함은 소나무과에 속하는 식물로 정의되며, 구체적으로는 적송, 해송, 라디아타소나무, 리기다소나무, 타에다소나무, 금강소나무, 구주소나무, 솔잣나무, 호주소나무 또는 히말라야산 소나무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소나무류 껍질의 유효 성분은 가축에 있어서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 작용과 유익세균에 대한 정장(整腸) 작용을 제공함으로써, 이를 일반 사료에 포함하여 가축에 급여하면 가축의 면역 기능이 강화되어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적게 사용해도 사육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특히, 소나무류 껍질의 유효 성분 중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활성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탈취 효과 등 여러 가지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사료는 무항생제 기능성 사료의 역할을 하여, 이를 급여한 가축의 육류는 항생제 남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가축은 소, 돼지, 사슴, 양, 염소, 개, 고양이, 닭, 오리, 거위 등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사료라 함은 이들 가축들에게 급여하는 전용 사료(자체 제조 사료나 상업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사료 모두를 포함)를 각각 의미한다.
본 발명은 소나무류 껍질 내 함유된 유효 성분을 추출하여 사료첨가물 또는 사료를 제조하는 공정에 관한 것으로, 소나무 껍질 전처리공정, 소나무 껍질 추출공정, 농축공정, 분말 공정, 소나무 껍질 건조 추출박 제조공정, 무항생제 기능성 사료 제조공정으로 구성된다.
이때, 소나무 껍질 내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추출공정 시 사용되는 추출용매로는 주정(酒精)용액,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물 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작업성과 안전성이 비교적 안전한 천연 용매인 주정 용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추출공정에 사용된 에탄올의 농도는 1.0∼100% 바람직하게는 30∼100%를 사용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방법을 공정별로 상세하게 기술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1. 소나무류 껍질 전처리공정: 소나무류 껍질은 벌채된 소나무로부터 수작업 또는 기계작업을 통하여 확보하고, 껍질은 분쇄기로 분쇄하여 입자 또는 분말 상태로 만든 후 다음, 추출공정에 사용한다.
2. 소나무 껍질 추출 공정: 물 또는 극성을 갖는 용매를 사용하여 분쇄된 소나무류 껍질로부터 천연 염료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추출 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등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천연용매인 발효 주정용액을 사용한다. 주정 용액에 함유된 에탄올의 함량은 1.0∼100%를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의 함량은 30∼1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피 대 주정 용액의 비율은 중량비로 1:3 내지 1: 5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20로 혼합하여 천연 염료를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수피 중량이 1 기준일 때 주정 용액이 3 미만을 사용하게 되면 소나무 껍질에서 충분한 유효 성분이 추출되지 않고, 50을 초과하면 추출액을 농축하거나 건조 시 많이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추출 공정 시, 추출 온도는 -20∼90℃, 바람직하게는 10∼70℃에서 10분∼3일, 바람직하게는 30분∼24시간 동안 정치상태, 간헐적인 혼합, 또는 계속적인 혼합에 의하여 소나무류 껍질 내 천연 염료 성분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20℃ 이하에서는 소나무 껍질에서 충분한 유효 성분이 일정 시간내에 추출되기가 어렵고, 90℃를 초과하면 추출 용매가 알콜인 경우에는 위험성이 증가하고 물인 경우에는 유효 성분이 파괴되거나 변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추출이 완료되면 추출잔유물(소나무류 껍질의 유효성분이 추출되고 남은 소나무류 껍질 추출박)을 추출액과 분리하기 위하여 공지된 여과 또는 원심분리 등의 방법을 사용한다.
이때, 소나무류 껍질 추출잔유물은 주정용액과 1:1 내지 1:30의 비율로,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1:15로 혼합하고 상술한 추출방법을 1회 내지 2회 더 수행하여 추출잔유물에 잔존하고 있는 유효 성분을 더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추출잔유물을 건조시킨 추출박은 별도로 분리하여 건조한 후 혼합/코팅공정에 사용하고, 분리된 추출액은 함께 모아서 다음 농축공정 또는 추출박 코팅/혼합공정에 사용한다.
3. 농축공정: 상기 공정에서 얻은 천연 추출액은 감압농축과정을 통하여 용매를 제거한 후, 농축액을 제조한다.
4. 분말화 공정: 상기 공정에서 얻은 농축액을 분무건조 등 공지의 방법으로 건조하고, 파쇄하여 적갈색의 분말을 제조한다.
5. 추출박 코팅 공정: 상기 추출공정에서 제조한 건조 추출박과 농축공정에서 제조한 농축액을 혼합하여 추출박 과립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한 후 건조하여 코팅 추출박을 제조한다.
6. 무항생제 기능성 사료 제조 공정: 상기 공정으로부터 제조한 농축액 또는 분말, 또는 코팅 추출박을 통상의 가축 사료에 중량기준으로 0.01∼5 중량%의 농도로 혼합하여 무항생제 기능성 사료를 제조한다. 이는 0.01 중량% 미만을 사용하면 상술한 본 발명의 효과가 미미하고 10.0 중량%를 초과하면 사료 가격상승으로 인하여 경제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사료 완제품뿐만 아니라 상기 공정으로부터 제조한 농축액, 분말 또는 추출박을 별도 포장 용기에 포장하여 사료 첨가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 또는 수정할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실시예 1]
국내 강원도 삼척지방에서 벌채된 50~100년생 적송(Pinus densiflora Sieb & Zucc.)으로부터 껍질을 채취한 후 분쇄기에 통과시켜 분쇄물 10Kg을 제조하였다. 소나무 껍질 분쇄물 10Kg에 60%에탄올이 함유된 주정용액 100Kg을 혼합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한 후 여과하여 1차 천연 추출액 72Kg을 얻었다. 이중 상기 추출액 60Kg을 취하여 회전감압농축장치에서 에탄올을 제거한 후 18Kg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추출이 완료된 소나무 껍질 추출박은 70℃에서 건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농축액 3Kg을 취하여 분무건조기를 이용하여 건조하고 분쇄하여 81.0g의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건조한 소나무 껍질 추출박 5.0Kg과 실시에 1에서 제조한 농축액 3Kg을 균일하게 혼합한 후 70℃에서 건조하여 코팅 추출박 5.1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얻은 코팅 추출박 2.0Kg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농축액 1.2Kg을 추가적으로 혼합한 후 70℃에서 건조하여 코팅 추출박 2.04Kg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주정 용액 대신 50% 메탄올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주정 용액 대신 60% 에틸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주정 용액 대신 50% 아세톤용액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적송대신 해송(Pinus thunbergii)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실시예 1에서 적송대신 라디아타소나무(Pinus radiat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실시예 1에서 적송대신 리기다소나무(Pinus rigid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실시예 1에서 적송대신 타에다소나무(Pinus taeda)를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추출액과 이의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본 실험예는 본 발명의 따른 소나무껍질의 농축액이 가축에 대한 유해세균의 항균 작용과 유익세균의 정장 작용을 하는 지의 여부를 확인하고자, 가축의 각종 유해세균에 대한 항균 효과와 유익 세균에 대한 정장 효과에 대한 실험을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다.
1. 유해세균
살균된 티에스비(TSB)배지에 멸균 루프를 사용하여 보관중인 포도상구균을 (Staphylococcus aureus)을 접종하고 37℃에서 24시간 진탕 배양하고, 배양 용액의 균주를 흡광계로 측정하여 균수를 측정한 후 500배로 희석된 티에스비 배지에 3 x 104 개(CFU)/ml가 되도록 희석 조제하여 항균 시험의 대조 시료(Control)로 사용하였고, 동일한 조건에서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소나무 껍질 추출물 분말을 0.2%를 함우한 희석 티에스비 배지를 항균 시료(Test)로 사용하였고, 각각의 시료를 멸균 플라스크에서 37 ℃, 120 rpm에서 18시간 진탕 배양한 후 각 시료의 균수를 측정하였다. 유사한 방법으로 다른 병원성균(Salmonella typhi , Vibrio cholerae , Klebsiella pneumoniae )에 대해서도 동일한 조건하에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표 1과 같다.
Figure 112006077983419-PAT00001
2. 유익균에 대한 정균 효과 실험
상기 1과 유사한 방법으로 유산균(Streptococcus the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등)과 효모(Saccharomyces cerevisiae)에 대한 정균 효과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Figure 112006077983419-PAT00002
[실험예 2]
1. 육계용 닭 사육
A사의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육계용 사료를 사용하여 7일된 병아리를 각각 50수씩 나누어 대조구와 시험구(1과 2)로 나눈 후 30일간 동일한 조건으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시험구 1의 사료는 실시예 1의 소나무 껍질 분쇄물을 육계용 사료에 3.0중량%의 함량으로, 시험구 2의 사료는 실시예 3의 코팅추출박 사료첨가물을 육계용 사료에 3.0중량%의 함량으로 혼합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7983419-PAT00003
2. 돼지 사육
A사의 항생제가 첨가되지 않은 양돈용 사료를 사용하여 5일된 자돈을 각각 20마리씩 나누어 대조구와 시험구로 나눈 후 50일간 동일한 조건으로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이때, 본 발명의 사료는 실시예 4의 코팅추출박 사료첨가물을 양돈용 사료에 2.0중량%의 함량으로 혼합하였다.
이의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6077983419-PAT00004
상술한 결과를 보면, 본 발명에 따른 사료는 가축에 별다른 거부감 없이 급여가 원활하였고, 급여하는 동안 별다른 병원성 증상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특히 소나무 껍질의 천연 폴리페놀 성분 등으로 축분에 의한 악취가 상당량 감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임산자원의 부산물로 대부분 폐기되어 왔던 소나무류 껍질의 추출물을 가축의 사료첨가물 또는 사료조성물에 사용하여 가축이 용이하게 소나무 껍질에 함유된 천연 폴리페놀 성분을 포함한 유효성분을 섭취하게 함으 로써, 가축의 건강을 증진하여 무항생제 축산제품을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국내에서 생산되는 소나무는 연간 수십만 톤에 이르며 소나무 껍질의 함량을 소나무 무게의 3%로 가정할 경우, 연간 만톤 이상의 껍질이 부산물로 생산되고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부산물의 부가가치를 획기적으로 높여서 재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더 넓게는 본 발명에서 개시한 가축의 사육방법으로 무항생제 축산제품을 개발한다면 소나무의 부가가치증대, 임산농가의 소득증대, 축산산업 및 식품산업의 발전 등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리고, 소나무류 껍질의 유효 성분에 포함된 천연 폴리페놀 성분은 강력한 항산화활성뿐만 아니라 항염증, 항균, 항바이러스, 면역증진, 천식개선, 혈액순환촉진, 동맥경화개선, 혈전방지, 운동력증진 등 여러 가지 인체에 대한 생리활성 효능을 지니고 있으므로, 이러한 효용성을 가축사양에 적용함으로써 위생적인 고품질의 축산제품을 제공하여 국민건강 및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수 있고, 생산된 사료와 사료첨가물, 그리고 무항생제 축산제품의 수출로 국제수지의 개선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6)

  1. 소나무류 껍질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류 껍질은 소나무류 껍질 그 자체 또는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류 껍질을 분쇄한 분쇄물과 용매를 중량 기준으로 1:3 내지 1: 5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건조한 분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에,
    상기 추출잔유물과 주정을 중량 기준으로 1: 1 내지 1: 2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다시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액을 농축하여 건조하는 공정을 1회 또는 2회 반복 수행하여 수득한 분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은
    소나무류 껍질을 분쇄한 분쇄물과 용매를 중량 기준으로 1:3 내지 1: 50 비율로 혼합하여 -20 내지 90℃에서 10분 내지 3일 동안 추출한 다음 추출액과 추출잔여물을 분리하고, 상기 추출잔유물을 건조한 추출박 과립 표면에 상기 추출액을 농축한 농축액을 혼합 및 건조하여 균일하게 코팅한 코팅 추출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주정, 에탄올, 메탄올, 에칠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사료 및 사료 첨가물.
KR1020060104775A 2006-10-27 2006-10-27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KR100916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75A KR100916285B1 (ko) 2006-10-27 2006-10-27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4775A KR100916285B1 (ko) 2006-10-27 2006-10-27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7757A true KR20080037757A (ko) 2008-05-02
KR100916285B1 KR100916285B1 (ko) 2009-09-10

Family

ID=39646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775A KR100916285B1 (ko) 2006-10-27 2006-10-27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628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3003A (ko) * 2020-01-22 2020-02-0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소나무 유래 섬유소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00059724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괭생이모자반 추출박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143525A (ko) * 2020-05-20 2021-11-2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곰솔(Pinus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20220010464A (ko) * 2020-07-17 2022-01-25 김종우 유류 흡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65313B1 (en) * 1992-04-02 1997-07-30 Kabushiki Kaisha Hayashibara Seibutsu Kagaku Kenkyujo Method to improve taste preference of pine extract, and orally administrable product obtained thereby
KR100434035B1 (ko) * 2001-07-12 2004-06-04 아바바이오 영농조합법인 소나무과와 삼나무과에서 추출한 항균성원액을 함유한아이스크림과 유산균이 포함된 항균성원액 함유아이스크림의 제조방법과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각각의아이스크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724A (ko) * 2018-11-21 2020-05-29 한국프라임제약주식회사 괭생이모자반 추출박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사료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13003A (ko) * 2020-01-22 2020-02-05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소나무 유래 섬유소를 함유하는 가축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143525A (ko) * 2020-05-20 2021-11-29 대한민국(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곰솔(Pinus thunbergii)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어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KR20220010464A (ko) * 2020-07-17 2022-01-25 김종우 유류 흡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6285B1 (ko) 2009-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hak et al. Waste to wealth: a case study of papaya peel
KR101748368B1 (ko) 액상발효유황이 함유된 가축용 발효사료
Kaya et al. Potential nutritive value and condensed tannin contents of acorns from different oak species
EP1790234B1 (en) Natural antioxidant additive for feed and drinking water
WO2010079104A1 (en) Additive to food or drinking water containing botanical antioxidants together with probiotic microorganisms
KR101956516B1 (ko) 닭사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16285B1 (ko) 소나무류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정장 및 항균용 무항생제 사료 및 사료 첨가물
KR100936015B1 (ko) 가축용 사료 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가축용 사료
KR101335081B1 (ko) 강황과 캡사이신을 사과부산물과 함께 발효하여 항바이러스와 항균력이 있는 항생제 대체용 기능성 사료첨가제의 제조 방법
KR102134543B1 (ko) 닭사료 조성물
US20070122505A1 (en) Natural antioxidant additive for feed and drinking water
CN112970975A (zh) 一种提高饲料中红鱼粉比例的鳗用混合型饲料添加剂、制备方法及其应用
CN112970976A (zh) 改善肠道健康的鳗鲡用促生长饲料添加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101369059B1 (ko) 영양성분이 강화된 고급 발효 어분 및 이의 제조방법
CN116349794A (zh) 一种宠物鲜粮及其制备方法
KR102526310B1 (ko) 사료 및 그 제조 방법
CN110583871A (zh) 麦味地黄丸中药渣生物发酵产品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0037184A (zh) 高蛋白植物精油复配猪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032033B1 (ko) 중쇄지방산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첨가용 항균제 조성물, 그의 제조방법 및 상기 항균제 조성물을 포함하는 가축사료
Butt et al. Analysis of Trigonella foenum-graecum Seeds, Musa paradisiaca, and Citrus sinensis Peels as a Poultry Feed Supplement.
CN113974006A (zh) 一种提高猪生长性能和改善肉品质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与应用
Nguse et al. Optimizing amla (Phyllanthus emblica) fruit powder supplementation in liquid feed fed to Holstein dairy calves: Insights from growth performance and health events
Kvan et al. Effect of Bacillus cereus IP 5832 and coumarin in the diet on the general state of the broilers
Dibamehr et al. Effects of two plant extracts and native Lactobacillus culture on immune response, lymphoid organ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broiler chickens
Pourhossein et al. Investigation on the effects of different levels of Citrus sinensis peel extract on gastrointestinal microbial population in commercial broil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