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5110A -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5110A
KR20080035110A KR1020060101324A KR20060101324A KR20080035110A KR 20080035110 A KR20080035110 A KR 20080035110A KR 1020060101324 A KR1020060101324 A KR 1020060101324A KR 20060101324 A KR20060101324 A KR 20060101324A KR 20080035110 A KR20080035110 A KR 20080035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king
area
extracting
extracte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1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7747B1 (ko
Inventor
김훈기
조성봉
이준범
Original Assignee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013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77747B1/ko
Publication of KR2008003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5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7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7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 G06T3/4038Scaling the whole image or part thereof for image mosaicing, i.e. plane images composed of plane sub-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20Special algorithmic details
    • G06T2207/20024Filtering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13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 H04N2005/91357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for scrambling ; for copy protection by modifying the video signal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보안 장치의 입력 영상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여 개인의 중요한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 또는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마스킹 영역의 추출 방식,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고 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전송 또는 저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영상 보호, DVR, 마스킹, 영역 추출, 객체 추적, ASM

Description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Digital Video Recorder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tectiong input image of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장치의 마스킹 영역 추출부의 상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을 위한 ASM 객체 추적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 212. 마스킹 영역 설정부
213. 마스킹 영역 추출부 213a. 설정 좌표 영역 캡춰부
213b. 객체 검출부 213c. 영역 추출부
213d. 객체 추출부 214. 마스킹부
215. 마스킹 영상 저장부
본 발명은 영상 보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 영상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여 개인의 중요한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edo Recorder ;DVR)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디지털 영상 압축기술을 바탕으로 보안감시 분야에서 각광받는 것이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VR)라는 디지털 영상저장 시스템이다.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비디오테이프 대신 하드디스크(HDD)나 디지털비디오디스크(DVD) 등을 사용하므로 저장된 화면을 재생하거나 검색하기가 쉽다.
뿐만 아니라 디지털 신호로 저장되기 때문에 편집과 화상을 전송하기에도 편리하다.
일반적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모션 디텍션(Motion Detection) 기능·센서(Sensor)와 연결녹화·오토팬(Auto Pan)/틸트(Tilt)/줌(Zoom)/컨트롤(Control) 기능 및 화상 확대·편집 기능 등 다양한 선택메뉴 기능이 있으며, 데이타를 반영구적으로 보관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또한 신속하고 손쉬운 검색과 함께 확대 및 축소 기능, 원격지 인쇄도 기본적으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금용 기관의 보안 장치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사생활 논란이 있는 장소, 예를 들어 화장실 또는 탈의실과 같은 공간에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고 녹화하는 경우,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가 문제되기 때문에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일반적인 장소에서 사용하는데 제약을 받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은 반드시 보안을 위하여 감시 카메라를 설치하여야 함에도 개인의 프라이버시 침해 논란 때문에 설치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은행의 무인 점포의 경우에는 보안을 위하여 감시 카메라가 설치되는데, 현금 인출기를 이용한 금융 업무 처리시에 비밀 번호의 입력이 이루어지는 것을 그대로 녹화하여 저장 또는 전송하는 경우에는 개인의 중요한 금융 정보가 유출될 수 있는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사생활 침해 논란의 소지가 있거나 중요 개인 정보 유출의 위험이 있는 부분을 노출시키지 않으면서도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활용할 수 있는 발명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시스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영상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여 개인의 중요한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Digital Viedo Recorder ;DVR)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마스킹할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을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구성을 갖고, 필터링 방식, 블러 방식, 모자이크 방식 등으로 다양한 마스킹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마스킹 수위를 조절하는 기술 구성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양한 마스킹 방식을 구현하여 일반적으로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도 감시 카메라를 설치할 수 있는 영상 보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할 부분을 마스킹하는 작업을 영상 입력 단계에서 수행하므로 녹화 후에 마스킹하는 종래의 방식에서 발생하는 추가적인 비용을 절감하는 영상 보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일부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상기 보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고정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마스킹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 을 추적하여 마스킹할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를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마스킹할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마스킹 영역 추출부와,추출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 또는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마스킹 영역의 추출 방식,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고 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전송 또는 저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의 설정,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마스킹 영역 추출부와,추출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은,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마스킹할 영역의 추출을 위하여, 추출 영역의 좌표값을 설정하거나, 능동 형태의 알고리듬을 갖는 객체 추적 방식으로 추적할 객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설정된 좌표값에 의해 해당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설정 좌표 영역 캡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수신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와,객체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설정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와,객체가 포함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스킹부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필터링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블러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방식의 어느 하나로 추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 또는 저장하기 이전에,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의 추출 방식, 추출된 영역의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설정된 내용에 따라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 및 마스킹 방식의 설정은 수신되는 채널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마스킹 방식이 필터링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마스킹 방식이 블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방식이 모자이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은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에 있어서, 수신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정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상기 추출된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지정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고정 객체인 경우 상기 고정 객체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객체가 이동 객체인 경우 상기 이동 객체의 패턴 추적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의 특징 및 이점들은 이하에서의 각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영상처리부(100), 메인 보드(main board)(110), 프론트 보드(front board)(140) 및 백 보드(back board)(130)를 포함한다.
영상 처리부(100)는 영상 수신부(101),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 MPEG 인코더/디코더(103)를 포함한다.
영상 수신부(101)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채널별 각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한다.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는 상기 영상 수신부(101)에서 수신된 영상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한다.
이는 개인의 사생활 정보나 중요한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입력 영상으로부터 마스킹할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을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구성을 갖고, 필터링 방식, 블러 방식, 모자이크 방식 등으로 다양한 마스킹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마스킹 수위를 조절하는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탈 비디오 레코더는 이와 같은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에 의해 보호할 부분을 마스킹하는 작업을 입력 영상의 저장(녹화) 단계의 이전 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의 구성을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 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의 상세 구성도이고,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장치의 마스킹 영역 추출부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 마스킹 영역 추출부(213), 마스킹부(214), 마스킹 영역 저장부(215)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다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신호를 인코딩하는 단계에서 사용자가 설정한 방식으로 마스킹할 영역을 추출하고 설정된 마스킹 방식으로 추출된 영역의 마스킹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추출 영역의 좌표값을 설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능동 형태의 알고리듬을 갖는 객체 추적 방식으로 추적할 객체를 설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102)는 추출된 영상의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와,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를 통한 설정 방식에 의해 영상 수신부(101)를 통하여 수신된 영상의 설정 영역을 추출하는 마스킹 영역 추출부(213)와, 추출된 영역의 마스킹을 수행하는 마스킹부(214)와, 마스킹 영상을 저장하는 마스킹 영상 저장부(215)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상기 마스킹 영상 저장부(215)는 상기 영상 수신부(101)에서 수신한 원래의 영상에 상기 마스킹부(400)에서 마스킹한 추출된 영역을 오버라이트(over-write)하여 저장하거나, 마스킹된 전체 영상을 사용자가 선택한 단말에 전송한다.
상기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는 사용자가 마스킹할 영역의 좌표 또는 추적할 객체의 지정 그리고 마스킹 방식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마스킹 영역의 설정은,
첫째, 고정영역 마스킹 방식으로서, 특정 부위에 고정적으로 출사되는 영역의 마스킹이 필요한 경우, 사용자가 마스킹할 영역의 좌표를 미리 설정함으로써 저장 이전 단계에서 마스킹이 가능하도록 한다.
예컨대, 현금지급기에 설치된 카메라의 경우, 사용자의 비밀번호 정보를 보호하기 위하여 비밀번호 입력란이 마스킹될 수 있도록 해당 영역의 좌표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고정적으로 출사되는 영역을 마스킹하기 위하여는 고정 영역 마스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둘째, 이동영역 마스킹 방식으로서, 개인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하여 사람의 얼굴 등의 인식 패턴을 추적하여 해당 부분을 마스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객체 추적 방식의 설정인데, 이는 화면에서 고정 부분이 아니기 때문에 추적할 대상의 지정 그리고 그를 판단하기 위한 판단값들의 설정이 필요하다.
예컨대, 주차장에 설치된 카메라의 경우, 주차장 이용자의 패턴을 추적하여 사람임을 인식하고 사람의 얼굴 또는 얼굴의 일부 영역을 마스킹함으로써 이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거나, 자동차의 패턴을 추적하여 자동차임을 인식하고 해당 자동차의 번호판 패턴을 추적하여 해당 번호판을 마스킹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 밖에도 이동하여 촬영되는 영역을 마스킹하기 위하여는 객체 추적을 이용한 이동영역 마스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스킹 영역 추출부(213)는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영역 설정 방식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만약, 마스킹 영역의 설정 방식이 고정영역 마스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도 3a에서와 같이, 마스킹 영역 추출부(213)는 설정 좌표값에 따라 해당 영역을 캡춰하기 위하여 설정 좌표 영역 캡춰부(213a)를 포함한다.
그리고 마스킹 영역의 설정이 이동영역 마스킹 방식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수신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객체의 검출을 위한 객체 검출부(213b)와, 객체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해당 영역(설정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영역 추출부(213c)와, 객체가 포함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하기 위한 객체 추출부(213d)를 포함하고 구성된다.
여기서, 객체 검출부(213b)는 상기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객체의 특징과 매칭되는 부분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번호판을 마스킹 영역으로 선택한다면 상기 객체 검출부(213b)는 자동차의 번호판과 유사한 패턴을 가진 영역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선택한 객체의 특징과 매칭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역 추출부(213c)는 해당 영역을 추출하고, 객체 추출부(213d)는 객체가 포함된 추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한다.
그리고 마스킹 방식의 설정은,
첫째,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필터링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필터링 방식은 일정한 영역 (x, y)부터 (x', y')까지를 검게 처리하는 방식이다. 상기 필터링 방식에서는 선택한 영역을 검게 처리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마스킹의 수위를 조절할 수는 없으나, 선택 영역의 복구가 불가능하므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완전히 보호하기 위한 방식으로 유용하다.
둘째,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블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블러 방식은 영상을 이루는 3원색 즉, R(red), G(green), B(blue)를 주위 픽셀(pixel)의 평균값으로 맵핑(mapping)함으로써 영상을 흐리게 만드는 기법이다.
상기 블러 방식의 일 예로 사용되는 공식은 다음과 같다.
(R, G, B) = ((R0, G0, B0) + (R1, G1, B1) + (R2, G2, B2) + (R3, G3, B3) + (R4, G4, B4)) / 5
여기서, 0은 중심좌표(해당 픽셀), 1은 해당 픽셀의 상좌표, 2는 해당 픽셀의 좌좌표, 3은 해당 픽셀의 하좌표, 4는 해당 픽셀의 우좌표를 나타낸다.
사용자는 상기 블러 방식을 중복하여 적용함으로써, 영상의 마스킹 수위의 조절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윤곽선 정도는 인식하고 싶다면 블러 방식을 한 번만 적용하고, 형태를 가늠할 수 있는 정도만 인식하고 싶다면 블러 방식을 두번 혹은 세번정도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모자이크 방식은 선택한 영상을 일정한 크기의 픽셀로 나누고 그 픽셀의 위치를 랜덤 함수를 이용하여 변경시킴으로써 원본 영상을 인식하기 힘들도록 하는 기법이다.
상기 모자이크 방식에서 픽셀 수를 증가하면 원래의 영상을 인식하기에는 더욱 곤란해지므로, 사용자가 영상의 마스킹 수위를 조절하기에 용이하다.
그 밖에도 공지의 기술로부터 적용할 수 있는 여러 마스킹 방식에서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MPEG 인코더/디코더(103)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에서 마스킹된 영상 데이터에 대하여 인코딩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영상 데이터는 각 카메라에서 촬영한 이미지 데이터뿐만 아니라, 채널 정보, 시간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인코딩된 상기 영상 데이터에는 레코드 태스크부(117)를 통해 복수의 카메라 각각의 촬영 시간에 대응시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서 파일 시스템(111)에 저장된다.
RAID(Redundant Array of Inexpensive Disk) 드라이버(112)는 상기 파일 시스템(111)을 원활하게 구동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인, RAID 방식의 파일 시스템 관리는 데이터를 분할해서 복수의 저장 매체에 대해 병렬로 처리하는 방식으로서, 여러 저장 매체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함으로써 접근(access) 속도와 데이터 보존 신뢰가 우수하다.
재생 태스크부(118)는 상기 파일 시스템(111)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도록 처리한다. 즉, 상기 재생 태스크부(118)는 사용자의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 시스템(111)으로부터 해당 카메라의 촬영 시간에 대응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독출한다.
이때, 상기 재생 태스크부(118)는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디지털 서명을 해독하고, 상기 MPEG 인코더/디코더(103)를 이용하여 상기 독출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재생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이더넷 태스크부(119)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와의 통신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이더넷 태스크부(119)는 원격지에 있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실행 명령을 수신하거나,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영상 및 음성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더넷 태스크부(119)를 구동하기 위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이더넷 드라이버(113)를 포함한다.
이벤트 태스크부(120)는 상기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에 대한 이벤트를 처리한다. 상기 이벤트 태스크부(120)는 상기 영상 데이터의 입력에 따라 해당 이벤트를 발생하여 녹화 시작이나 경보 등을 알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센서 태스크부(121)를 포함한다. 상기 센서 태스크부(121)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 발생하는 열, 소음 등을 미리 감지하며, 저장되는 영상 데이터의 물리적인 열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시리얼 통신 태스크부(122)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와 시리얼 인터페이스로 연결된 다른 장치와의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시리얼 통신 태스크부(122)는 USB 포트를 포함하고, USB 케이블로 연결된 다른 저장 매체에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상기 저장 매체에 백업된 데이터를 독출할 수 있다.
상기 시리얼 통신 태스크부(122)를 구동하기 위하여, 시리얼 포트 드라이버(116)가 이용된다. 예를 들면,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시리얼 통신을 이용하여 관리자의 노트북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리얼 통신 태스크부(122)와 상기 시리얼 포트 드라이버(116)는 상기 노트북의 시리얼 인터페이스와 연결 기능을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소정의 메일 서버로부터 이메일을 수신하거나, 상기 소정의 메일 서버로 이메일을 전송하기 위하여 이메일 태스크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태스크부(124)는 프론트 보드(140)를 통하여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해당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검색을 지원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의 밝기, 콘트라스트 등 이미지 콘트롤 뿐만아니라, 디스플레이 가로 대 세로의 화면 비율 등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
이외에도, 메인 태스크부(124)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운영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능들을 지원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는 SCSI(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드라이버(115)를 통해 주변 기기와의 접속을 위한 직렬 표준 인터페이싱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SCSI 드라이버(115)는 입출력 버스를 접속하는데 필요한 기계적, 전기적인 요구사항과 모든 주변기기 장치를 중심으로 명령어 집합에 대한 규격에 호환되도록 할 수 있다. SCSI 방식의 인터페이스는 주변 기기의 장치 번호를 이용하여 장치간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안정된 성능을 제공한다.
VGA 드라이버(114)는 상기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해당 해상도에 맞게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도록 처리한다. 프론트 보드(140)는 상기 VGA 드라이버(114)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관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론트 보드(140)는 사용자로부터의 리모컨 입력이나, 터치 키의 입력,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내의 각종 장치의 동작 상태를 알리는 LED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등을 제공한다.
또한, 백보드(130)는 프론트 보드(140)에서 만큼 빈번하게 사용되지 않는 기능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보드 교체 등 유지 보수를 위한 기능의 제어나, 시스템 환경의 변경 등을 지원하여 운영자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
원격의 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파일 시스템(111)에서 관리되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에 접속하거나, 원격의 컴퓨터 자체에서 실행될 수 있는 소정 응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백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검색 및 열람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상기 응용 프로그램을 통하여 상기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백업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로부터 별도의 재생기 없이도 자체적으 로 재생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재생 파일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술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의 특정 영역의 마스킹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사용자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212)를 이용하여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 및 마스킹 방식을 설정한다.(S401)
이와 같은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 및 마스킹 방식의 설정은 채널별로 다르게 설정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현금 인출기가 있는 부분의 감시카메라와 화장실에 있는 감시 카메라에 의한 영상의 마스킹 방식 및 영역 추출 방식이 달라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 및 마스킹 방식의 설정 이후에 영상 수신부(211)를 통하여 수신되면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을 판단하여(S402), 설정 방식에 따라 마스킹 영역 추출부(213)에서 설정된 영역의 영상 정보를 추출한다.
예를 들어, 설정된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이 설정 좌표값을 이용하는 고정 영역 마스킹 방식인 경우에는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 좌표 영역을 추출한다.(S403)
그리고 이동 영역 마스킹 방식인 경우에는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객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S404)
도 5는 본 발명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을 위한 ASM 객체 추적 흐름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로써, 도 5를 참조하여 이동 영역 마스킹을 위한 객체 추적 방식을 보 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능동 형태 모델 객체 추적은 입력되는 비디오 이미지를 움직임 검출 단계(S500), 영역 추적 단계(S510), 능동적인 윤곽 추적 단계(S52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와 같은 능동 형태 모델 객체 추적은 객체의 형태를 미리 정해 놓고 영상에서 설정 객체 형태와 가장 유사한 형태를 가져와 추적 객체임을 인식하는 것이다.
움직임 검출 단계(S500)는 칼라 필터링 과정, 차분 움직임을 검출하는 디퍼런스 이미지 처리 과정, 움직임 영상(Motion image) 추출 과정, 영역 검출 과정을 포함한다.
그리고 움직 검출 단계(S500)를 수행하는 것에 의해 움직임 검출이 이루어지면 영역 추적 단계(S510)를 수행한다.
영역 추적 단계는 영역 추적을 위한 프로세스를 진행하고 정적 영역(static regions), 동적 영역(dynamic regions)을 구한 후에 이를 매칭하고 영역 파일링 과정 및 융합(region filling and merging)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움직임 검출 및 영역 추적이 이루어진 후에 능동적인 윤곽 추적 단계를 수행하는데, 윤곽 추적 단계(Active Shape Tracker)는 윤곽 초기화 과정(shape initializations), 윤곽 평균(중간값)을 구하는 과정, PCA 트레이닝(Principal Component Analysis training), 모델 확정(model fitting), 로컬 에지 탐색( Local edge search) 및 마할라노비스 최적 탐색 과정(Mahalanovis Optimal Search Direction)을 거쳐 추적 결과를 출력한다.
이와 같은 객체 추적 방식 이외에 다른 방식의 객체 추적 방식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여 마스킹할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한다.(S405)
그리고 객체를 포함하는 추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한다.(S406)
이와 같이 설정된 방식에 의해 수신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이 추출되면, 설정된 마스킹 방식을 판단하여 마스킹 작업을 수행한다.(S407)
설정된 마스킹 방식이 필터링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고(S408), 블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한다.(S409)
그리고 모자이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를 한다.(S410)
이와 같이 추출된 영역의 마스킹 작업이 이루어지면 마스킹 영역과 원영상을 믹싱하여 저장 또는 호스트 단말기들로 전송한다.(S411)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침해할 우려가 있는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여 개인의 중요한 정보가 보호될 수 있도록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보호할 부분을 마스킹하는 작업을 영상 입력 단계에서 수행하므로 녹화 후에 마스킹하는 추가적인 작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 로서,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첫째, 입력 영상으로부터 마스킹할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을 추출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소정의 부분만을 마스킹함으로써 사생활 침해 가능성 논란을 방지하고, 중요한 개인의 정보 또는 영상 정보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둘째, 필터링 방식, 블러 방식, 모자이크 방식 등으로 다양한 마스킹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가 마스킹 수위를 조절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설치가 불가한 장소에도 설치를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마스킹을 영상 입력 단계에서 수행함으로써, 녹화 후에 마스킹하는 방식에서 발생하는 추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5)

  1.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일부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 및
    상기 보호 처리된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는 인코더 및 상기 인코딩된 영상 데이터를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의 고정 좌표값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 데이터의 일부 영역에 해당하는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고, 추출한 마스킹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을 추적하여 마스킹할 객체를 추출하고, 추출된 객체를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상기 수신된 영상 데이터로부터 마스킹할 영역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마스킹 영역 추출부와,
    추출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5. 제 4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설정된 좌표값에 의해 해당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설정 좌표 영역 캡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6. 제 4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의 패턴을 이용하여 지정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와,
    객체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설정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와,
    객체가 포함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7. 제 4 항에 있어서, 마스킹부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필터링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블러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방식의 어느 하나로 추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8.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 또는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의 마스킹 영역의 추출 방식,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고 설정 내용에 따라 상기 영상 데이터로부터 마스킹 영역을 추출하여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를 포함하고,
    전송 또는 저장이 이루어지기 전에 설정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입력 영상 보호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의 설정,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는 마스킹 영역 설정부와,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마스킹 영역 추출부와,
    추출된 영역을 선택적으로 마스킹하는 마스킹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의 설정은,
    입력되는 영상에서의 마스킹할 영역의 추출을 위하여,
    추출 영역의 좌표값을 설정하거나, 능동 형태의 알고리듬을 갖는 객체 추적 방식으로 추적할 객체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설정된 좌표값에 의해 해당 영역을 추출하기 위한 설정 좌표 영역 캡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 추출부는,
    수신되는 영상에서 지정된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 검출부와,
    객체의 검출이 이루어지면 설정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하는 영역 추출부와,
    객체가 포함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하는 객체 추출부를 포함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마스킹부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필터링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블러 방식과,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방식의 어느 하나로 추출 영역을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14.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에 있어서,
    다수의 감시 카메라들로부터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전송 또는 저장하기 이전에,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영역의 추출 방식, 추출된 영역의 마스킹 방식을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내용에 따라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마스킹 영역 추출 방식 및 마스킹 방식의 설정은 수신되는 채널별로 다르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16. 제 14 항에 있어서, 마스킹할 영역의 추출 방식의 설정은,
    추출 영역의 좌표값을 설정하거나, 능동 형태의 알고리듬을 갖는 객체 추적 방식으로 추적할 객체를 설정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 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된 좌표값을 이용하여 해당 좌표 영역을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18. 제 14 항에 있어서, 수신된 영상에서 설정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에서,
    수신된 영상에서 마스킹할 객체가 검출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마스킹할 객체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객체가 포함된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와,
    객체를 포함하는 추출 영역에서 객체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19. 제 14 항에 있어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할 방식의 설정은,
    필터링 방식, 블러 방식, 모자이크 방식에서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0. 제 14 항에 있어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마스킹 방식이 필터링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1. 제 14 항에 있어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마스킹 방식이 블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2. 제 14 항에 있어서,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에서,
    설정된 방식이 모자이크 방식인 경우에는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3.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에 있어서,
    수신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지정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객체에 해당하는 영역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데이터의 추출된 영역을 마스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정 객체를 검출하는 단계는,
    상기 객체가 고정 객체인 경우 상기 고정 객체에 해당하는 좌표값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고, 상기 객체가 이동 객체인 경우 상기 이동 객체의 패턴 추적을 이용하여 객체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하는 단계는,
    상기 추출한 영역을 필터링하여 검게 처리하는 필터링 방식, 상기 추출된 영역의 R,G,B값을 주변 픽셀의 평균값으로 맵핑 처리하는 블러 방식, 추출된 영역의 픽셀 수를 조절하여 모자이크 처리하는 모자이크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의 입력 영상 보호 방법.
KR1020060101324A 2006-10-18 2006-10-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KR100877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324A KR100877747B1 (ko) 2006-10-18 2006-10-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01324A KR100877747B1 (ko) 2006-10-18 2006-10-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5110A true KR20080035110A (ko) 2008-04-23
KR100877747B1 KR100877747B1 (ko) 2009-01-12

Family

ID=39574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1324A KR100877747B1 (ko) 2006-10-18 2006-10-18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7774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66B1 (ko) * 2011-03-16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4844B1 (ko) * 2013-04-24 2015-01-21 정영규 실시간 영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킹 툴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10322A (ko) * 2017-07-21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압축 방법
KR20190023325A (ko) * 2017-08-28 2019-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101995193B1 (ko) * 2018-01-26 2019-07-02 주식회사 아이디스 보호 영역 처리 장치
KR20190085225A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비요리퍼블릭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2008482B1 (ko) * 2018-11-21 2019-08-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 영상 스마트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0031280A (ja) * 2018-08-20 2020-02-27 株式会社東芝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352B1 (ko) 2009-08-31 2011-10-07 주식회사 이미지넥스트 좌표맵을 이용한 팬틸트줌 카메라 기반의 객체 추적 장치 및 방법
US11748926B2 (en) 2018-03-09 2023-09-05 Hanwha Techwin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privacy masking by reflecting characteristic information of objects
KR101881391B1 (ko) 2018-03-09 2018-07-2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객체의 특성 정보를 반영하여 프라이버시 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 마스킹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792B1 (ko) * 1999-12-08 2002-09-26 주식회사 문화방송 초상권 보호 장치 및 그 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966B1 (ko) * 2011-03-16 2013-02-2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피사체의 마스킹을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84844B1 (ko) * 2013-04-24 2015-01-21 정영규 실시간 영상에 프라이버시 마스킹 툴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90010322A (ko) * 2017-07-21 2019-01-3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압축 방법
US11516482B2 (en) 2017-07-21 2022-11-29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and image compression method of electronic device
KR20190023325A (ko) * 2017-08-28 2019-03-08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KR20190085225A (ko) * 2018-01-10 2019-07-18 (주)아비요리퍼블릭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1995193B1 (ko) * 2018-01-26 2019-07-02 주식회사 아이디스 보호 영역 처리 장치
JP2020031280A (ja) * 2018-08-20 2020-02-27 株式会社東芝 監視システム、監視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EP3843381A4 (en) * 2018-08-20 2022-05-18 Kabushiki Kaisha Toshiba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PROCEDURE AND PROGRAM
US11463659B2 (en) 2018-08-20 2022-10-04 Kabushiki Kaisha Toshiba Monitoring system, monitor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KR102008482B1 (ko) * 2018-11-21 2019-08-07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Cctv 영상 스마트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77747B1 (ko) 200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7747B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KR100883065B1 (ko) 모션 검출에 의한 녹화 제어장치 및 방법
CN101640788B (zh) 一种监控控制方法、装置及监控系统
JP3770859B2 (ja) 監視カメラ装置
US20220272255A1 (en) Surveillance video streams with embedded object data
CN111310134A (zh) 屏幕水印生成方法、装置及设备
JP2008182459A (ja) 通行監視システム
US20050035858A1 (en) Monitoring system
KR101080066B1 (ko) 차량 번호판 식별 방법 및 차량 번호판 식별 장치
CN100515036C (zh) 智能型图像处理闭路电视摄像机装置及其物体追踪方法
JP4487660B2 (ja) 画像保護装置及び撮像装置
KR100750827B1 (ko) 사용자별 권한 설정이 가능한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KR100472546B1 (ko) 보안용 녹화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025060A (ja) 画像保護装置、撮像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101698864B1 (ko) 메타 데이터를 이용한 영상 검출 방법을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JP2004206774A5 (ko)
JP2008288744A (ja)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20190100844A (ko)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표시되는 정보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과 이를 이용한 보안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473753B1 (ko)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프리뷰 서치 인덱스파일 관리방법
US20220174200A1 (en) Low light surveillance system with dual video streams
KR100378157B1 (ko) 감시 시스템의 모션 디텍션 설정방법
KR100758090B1 (ko) 디지털 영상감시 시스템의 영상정보 기록 방법
KR101029730B1 (ko) 사람과 차량을 식별하는 영상 감시 장치
CN107547851A (zh) 大数据管理系统
KR200262163Y1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를 이용한 감시 장면 녹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