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5225A -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 Google Patents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5225A
KR20190085225A KR1020180003085A KR20180003085A KR20190085225A KR 20190085225 A KR20190085225 A KR 20190085225A KR 1020180003085 A KR1020180003085 A KR 1020180003085A KR 20180003085 A KR20180003085 A KR 20180003085A KR 20190085225 A KR20190085225 A KR 201900852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information
masking
unmasking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6688B1 (ko
Inventor
황영복
Original Assignee
(주)아비요리퍼블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비요리퍼블릭 filed Critical (주)아비요리퍼블릭
Priority to KR1020180003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688B1/ko
Publication of KR201900852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52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6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6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18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ystem of files or objects, e.g. local or distributed file system or database
    • G06F21/6245Protecting personal data, e.g. for financial or medical purpo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2Providing cryptographic facilities or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2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 G06F21/6209Protecting access to data via a platform, e.g. using keys or access control rules to a single file or object, e.g. in a secure envelope, encrypted and accessed using a key, or with access control rules appended to the object itself
    • G06K9/3233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00General purpose image data processing
    • G06T1/0021Image watermark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5Determination of region of interest [ROI] or a volume of interest [VOI]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내 객체에 대한 추적 및 분류를 통해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및 언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How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in video using independent password for each object}
본 발명은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영상 내 객체에 대한 추적 및 분류를 통해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및 언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에 관한 것이다.
CCTV 영상을 배포할 때 영상 내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객체를 마스킹(모자이크 또는 다른 색으로 차단하여 인식할 수 없도록 함) 처리하여 제공하고 있다. 객체를 검출하고 추적하면서 화면상의 객체정보를 파악한 후 인코딩(Encoding)과정에서 Key를 이용해 해당객체 영역을 암호화하고 객체의 정보를 영상에 담아 전달한다. 디코더(Decoder)측에서는 디코딩 해 암호화되어 마스킹 된 객체를 포함한 영상을 표시한다. 이때 마스킹을 위해 암호화된 객체들은 영상블록들이 섞여 어떤 객체인지 구분할 수 없게 된다. 마스킹 된 객체정보를 제외한 주변영상의 정보를 이용해 객체의 확인이 필요한 영상구간을 파악한다. 그런 후 Key를 받아 복호 한 후 구별할 수 없는 모자이크형태였던 객체를 원본 영상의 형태로 본다. 단 이 경우에는 모든 객체를 복호 하여 원본으로 복구하였기 때문에 모든 개인정보가 노출될 수밖에 없는 한계가 있다.
위와 같이, 종래 감시 영상에 대한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기술로 암호 Key를 사용해 객체를 마스킹/언마스킹 하여왔으나 이런 경우 모든 객체를 동시에 마스킹/언마스킹 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필요로 하는 객체의 언마스킹만 하면 되는데 불필요하게 다른 객체의 개인정보를 노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각 객체를 별도의 암호 Key로 마스킹 하는 경우 전체를 언마스킹 할 시 모든 객체의 Key가 필요해지는 불편함이 있다. 전체를 언마스킹 하는 Key 하나로 모두 언마스킹 할 수 있으며 그룹별 마스터 Key가 있어 해당그룹 전체를 하나의 Key로 언마스킹 할 수 있고 또 개별 객체는 하나의 Key로 언마스킹 해 볼 수 있는 기능이 있다면 개인정보를 과다하게 노출하는 위험부담을 줄이며 필요로 하는 개인정보만 선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한 개인정보보호 영상시스템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단, 이러한 편리한 시스템의 도입에도 개별객체의 Key를 이용해 그룹 마스터 Key를 유추하거나 계산할 수 없어야 한다.
본 발명은 영상 내 객체에 대한 추적 및 분류를 통해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및 언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에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및 상기 마스터키 및 개별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키를 생성하는 개별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및 상기 개별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개별키생성단계는,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키는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암호화단계는, 상기 객체키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들을 변경 또는 스크램블 함으로써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스터키는 상기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하고, 상기 그룹키는 상기 마스터키 및 상기 그룹속성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하고, 상기 객체키는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속성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는,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객체 수;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그룹 수; 상기 그룹 각각에 포함 된 객체 수; 및 상기 객체 각각의 객체식별정보 및 객체영역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킹정보;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영역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관심영역의 X-Y좌표; 상기 관심영역의 폭; 상기 관심영역의 높이; 및 상기 관심영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의 언마스킹처리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마스터키 또는 상기 그룹키로부터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2보안키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객체키를 이용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복수의 보안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관심영역추출단계는 상기 복수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복수의 관심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복수의 관심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보안키를 이용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에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입력 받은 상기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는 보안키확인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하는 객체특정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개별객체에 대한 객체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개별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그룹객체에 대한 그룹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해당 그룹 내 복수의 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상기 마스터키로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상기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2보안키생성단계; 입력 받은 상기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는 보안키확인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하는 객체특정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개별객체에 대한 객체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개별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할 객체를 언마스킹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그룹객체에 대한 그룹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해당 그룹 내 복수의 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할 객체를 언마스킹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검출된 상기 객체에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부;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검출된 상기 객체에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부;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된 영상을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함으로써 원본 영상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된 영상의 언마스킹 과정에서 객체 별로 언마스킹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별로 언마스킹 수행 시 각각의 객체 별 보안키(객체키), 객체 그룹 별 보안키(그룹키), 혹은 전체 보안키(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각각의 객체 별, 그룹 별, 혹은 전체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할 수 있어 용이하게 보안키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 및 언마스킹처리장치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 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키의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키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영상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100) 및 언마스킹처리장치(200)의 동작 흐름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100)는 CCTV 등으로 촬영된 영상을 입력 받아, 마스킹이 필요한 영역을 분류하여 마스킹을 삽입한다. 이와 같은 마스킹은 영상 내의 개인정보의 보호를 위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모자이크를 삽입하거나, 혹은 다른 색상의 화상을 삽입함으로써 원래의 영상을 인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들을 보안키를 이용해 암호화하여 윤곽조차 인식하지 못하게 변조하는 방식도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입력된 영상의 기구를 모자이크처리 하는 마스킹을 삽입하였다.
이 때, 상기 마스킹처리장치(100)는 원래의 영상을 변조하는 것이 아니라, 원래의 영상에 암호화 된 마스킹정보를 포함하여 마스킹 영상을 생성함으로써, 복호에 필요한 보안키 없이는 마스킹 된 영상만을 볼 수 있고, 보안키를 이용하면 마스킹이 없는 원본 영상을 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킹처리장치(100)는 영상에서 객체를 검출하고 추적하면서 화면상의 객체정보를 파악한 후 인코딩 과정에서 보안키를 이용해 해당객체 영역을 암호화하고 객체의 정보를 영상에 담아 전달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장치(200)는 상기 마스킹처리장치(100)에서 생성한 마스킹 된 영상에 보안키를 이용하여 복호하고, 삽입 된 마스킹을 제거함으로써 원본 영상을 생성해 낸다.
이와 같이 보안키를 가진 사람만이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영상 내 포함 된 개인정보 등을 보호하면서, 권한을 가진 자는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일 예로, 범죄 혹은 사고의 CCTV영상 등의 경우, 보도 등의 목적을 위해 제공되는 영상에는 마스킹처리를 하여 개인정보 등의 유출을 방지하지만, 이를 처리하기 위해 정확한 원본 영상을 파악해야 하는 수사기관 등에서는 보안키를 이용하여 마스킹이 제거 된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장치(100)는 객체검출부(110), 객체추적부(120), 객체분류부(130), 마스킹처리부(140) 및 마스킹정보삽입부(150)를 포함한다.
상기 객체검출부(110)는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한다. 상기 객체검출부(110)는 다양한 영상처리기법을 통하여 영상 내 객체들을 배경과 분리하여 검출해 낼 수 있다.
객체추적부(120)는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한다. 이와 같이 객체추적부(120)에서는 상기 객체검출부(110)에서 검출 된 객체가 영상의 이전 혹은 이후에서 검출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를 확인한다. 이와 같이 객체를 지속적으로 추적하여 동일 객체를 확인함으로써 영상이 재생됨에 따라 검출된 객체의 위치 등의 변동에 있어서도 동일 객체에 대한 정보를 유지하고 추적할 수 있도록 한다.
객체분류부(130)는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한다. 이를 통해 그룹과 그 그룹에 속하는 객체가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객체분류부(130)가 사람, 차량번호, 간판 등으로 분류를 한다면 1번 그룹인 사람은 1번사람, 2번사람 등으로 구성되고, 2번 그룹인 차량번호는 1번차량, 2번차량 등으로 구성되고, 3번 그룹인 간판은 1번간판, 2번간판 등으로 구성될 것이다. 각각의 그룹과 객체정보는 데이터화 후 영상에 삽입되어 언마스킹 수행 시 활용될 수 있다.
마스킹처리부(140)는 검출된 상기 객체에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는 검출된 상기 객체에 대해 각각 다른 보안키를 사용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여 최대한 객체 각각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만약 각각의 객체에 대하여 별개의 보안키가 아닌, 하나의 보안키로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상기 보안키로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각각의 객체에 대해 개별적으로 언마스킹이 불가능하고, 일률적으로 언마스킹 할 수밖에 없어, 언마스킹이 필요한 객체뿐만 아닌 불필요한 다른 객체까지 언마스킹 됨으로써 다른 객체의 개인정보 등이 보호받지 못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부(140)는 객체 각각을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마스킹정보삽입부(150)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마스킹처리부(140)에서 수행한 마스킹 및 마스킹 된 객체에 대한 정보를 영상 데이터에 포함함으로써, 언마스킹처리장치(200)가 상기 마스킹 된 영상을 언마스킹 할 때, 상기 객체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정보는 우선 영상에 포함 된 총 객체의 수(51) 및 총 그룹의 수(52)가 저장되고 그룹1의 인덱스(53)가 저장된다. 그 다음은 그룹1에 포함된 객체의 수(54) 그리고 그룹에 포함된 객체의 마스킹정보가 (55)부터 (56)까지 저장된다. 그룹1의 저장이 끝나면 그 다음은 그룹2의 인덱스(57)가 저장되고, 그룹2에 포함된 객체의 수(58)와 각 객체의 정보가 그룹1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된다. 마지막은 구분자인 End Of Info(59)가 삽입되어 정보의 끝을 알린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정보는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객체 수,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그룹 수, 상기 그룹 각각에 포함 된 객체 수 및 상기 객체 각각의 마스킹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스킹정보는 추후 언마스킹을 수행할 때 활용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심영역 정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의 예에서와 같이 영상에 삽입되는 마스킹정보에는 각 객체의 마스킹정보가 포함된다. 이 때 각 객체는 객체 각각에 대한 관심영역(Region of Interest, ROI)가 설정이 되어, 상기 관심영역에 대해 마스킹을 삽입함으로써 마스킹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 객체의 마스킹정보는 상기 관심영역의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마스킹에 대한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마스킹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관심영역의 X-Y좌표, 상기 관심영역의 폭, 상기 관심영역의 높이 및 상기 관심영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함으로써 각각의 객체에 대한 마스킹 정보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의 예를 살펴보면 그룹1의 객체1에 대한 정보는 상기 관심영역의 X좌표, Y좌표, 폭 및 높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정보에 의해 상기 관심영역이 직사각형 형태를 띰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해 상기 관심영역을 도출해 낼 수 있다.
그룹1의 객체2에 대한 정보는, 상기 관심영역의 X좌표, Y좌표 및 반경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반경으로 관심영역이 표현 된 경우, 상기 관심영역이 원형임을 알 수 있고, 상기 관심영역을 도출해 낼 수 있다.
그룹1의 객체3에 대한 정보는, 상기 관심영역의 X좌표 및 Y좌표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관심영역의 X-Y좌표만이 포함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심영역은 기설정된 크기와 형태로 규정되어 상기 관심영역을 도출할 수 있다. 혹은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심영역의 좌표만을 포함하고, 상기 영상을 수신하여 처리하는 장치 측에 상기 마스킹처리장치(100)의 객체검출부(110), 객체추적부(120) 및 객체분류부(130)와 같은 모듈을 포함하여 객체의 모양 및 크기를 검출함으로써, 상기 객체를 검출해 내 상기 객체에 대한 마스킹을 처리할 수 있는 관심영역을 도출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부(140)는 관심영역도출부(141), 제1보안키생성부(142) 및 암호화부(143)를 포함한다.
상기 관심영역도출부(141)는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한다. 상기 관심영역은 상기 객체검출부(110), 객체추적부(120) 및 객체분류부(130)에서 검출 및 분류된 객체의 정보에 기초하여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심영역은 직사각형 혹은 원형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객체 별로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키는 마스터키, 그룹키 및 객체키를 포함하여, 계층적으로 보안키를 생성하고 관리한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영상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 대하여 별개의 보안키를 사용하여 보안을 유지하는 경우, 상기 객체의 수만큼의 보안키를 모두 보유하여 전달하여야 하고, 상기 보안키를 사용하여 복호 하는 과정 역시 객체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복잡도가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계층적으로 키를 생성함으로써 보안키의 관리를 편하게 하면서도 동시에 개별 객체에 대한 보안 수준은 각각의 보안키를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마스터키는 영상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 대하여 마스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고, 상기 그룹키는 해당 그룹에 포함된 모든 객체에 대하여 마스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고, 상기 객체키는 해당 객체에 대한 마스킹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등이 기준 패스워드를 입력하여 상기 기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마스터키, 그룹키 및 객체키를 모두 생성해 낼 수 있다. 상기 기준 패스워드는 상기 관리자 등이 입력하는 문자열 혹은 숫자열 등으로서 상기 보안키를 생성하는 시드가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관리자 등이 입력하는 상기 기준 패스워드 외에는 영상 내에서 도출되는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보안키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고, 상기 마스터키 및 개별객체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키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개별키는 그룹키 또는 객체키일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고,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계층적 보안키를 생성함으로써 보안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암호화부(143)는 객체 별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한다. 상기 암호화부(143)는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에서 생성된 객체키를 이용하여 각각의 객체에 삽입되는 마스킹을 암호화한다. 이와 같이 각각의 객체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함으로써, 각각의 객체키가 없이는 상기 마스킹을 해제하여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없고, 마스킹 된 영상만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프라이버시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부(143)는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처리함과 동시에 이를 암호화 하여, 보안키 없이는 상기 마스킹을 해제하여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없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부(143)는 상기 객체키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의 화면표시에 영향이 큰 필드를 객체키를 이용해 XOR하거나, 스크램블 처리하여 윤곽도 알 수 없는 영상으로 만들어 마스킹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영상에 대하여 객체키를 이용하여 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원본 영상을 알아볼 수 없으면서도, 상기 객체키를 통한 언마스킹을 거치게 되면 원본 영상을 확인할 수 있어 영상 정보의 손실 없이 마스킹을 처리할 수 있고, 언마스킹을 위해서는 상기 객체키가 필요하게 되어 객체키 없이는 원본 영상을 확인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암호화부(143)는 위의 실시예와 같이 상기 객체키가 아닌,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관심영역에 각각의 객체키가 아닌,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각각의 관심영역에 대한 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처리 속도를 기대할 수 있으면서도, 마스터키에 의한 보안을 유지함으로써 객체의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혹은 상기 암호화부(143)는 마스터키에 의해 마스킹을 수행할 때, 위의 실시예와 같이 관심영역에 대해 마스킹을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상기 관심영역은 생성되나, 이는 언마스킹 수행 시 언마스킹을 위한 관심영역으로 동작하여 해당 영역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게 되고, 마스킹 처리시에는 영상전체영역에 대하여 마스킹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상기 관심영역 및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객체키는 생성되어,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한 보안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영상의 관리자 등은 상기 영상의 열람 등을 요청하는 사용자 등에게 보안키를 전달함으로써 상기 사용자 등이 상기 보안키를 통해 영상에서 필요한 부분 만을 언마스킹 하여 확인함으로써 이 외의 객체에 대한 프라이버시 등을 유지하면서도 관심 객체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언마스킹 처리 시 상기 마스터키에 의해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보안키가 생성되어 상기 사용자 등이 입력하는 보안키와의 일치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해당 영역에 대한 언마스킹의 권한을 확인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키의 생성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보안키 중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는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생성되나, 상기 그룹키 또는 상기 객체키에서 상기 마스터키를 유추하거나 계산하지 못하도록 하여 마스터키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해시함수를 통하여 보안키를 생성함으로써, 마스터키에 대한 역추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우선 상기 기준 패스워드 및 영상의 고유정보 중 하나인 영상시간을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한다(S10). 이 후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영상 내 객체의 그룹이 몇 개인지를 확인한다(S20). 이 때 그룹이 1개 이상일 경우, S10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 중 그룹넘버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그룹키를 생성한다(S30). 이 후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각 그룹 내 객체가 몇 개인지를 확인한다(S40). 이 때 객체가 1개 이상인 경우, S30단계에서 생성한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 중 객체넘버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객체키를 생성한다(S50).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면 기준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생성한 마스터키 하나만으로 각 그룹키 및 각 객체키를 모두 생성해낼 수 있다. 이는 해시함수가 갖고 있는 역추적이 어려운 특성과 눈사태효과로 인해 메시지가 조금만 바뀌어도 결과가 완전히 바뀌는 특성을 활용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키 세트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기준 패스워드가 'pw'인 경우, 상기 기준 패스워드 'pw'에 영상시간정보 '10124036'을 추가한 pw10124036'을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해시값을 획득한다. 이 때 상기 해시값은 'CF1EB7325A671F80'로서, 이는 마스터키가 된다. 도 7의 실시예에서 상기 해시함수는 16자리의 해시값을 출력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와 달리 SHA-1, SHA-224, SHA-256, SHA-384, SHA-512, HAS-160 등의 다양한 해시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이 후, 그룹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상기 마스터키 'CF1EB7325A671F80'에 그룹1의 그룹넘버 1을 추가한 'CF1EB7325A671F801'을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해시값 'DAC819D2F23C85D4'를 획득하고, 이는 그룹키#1이 된다.
같은 방법으로 객체키를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상기 그룹키#1 'DAC819D2F23C85D4'에 객체넘버 1 및 객체넘버 2를 각각 추가한 'DAC819D2F23C85D41' 및 'DAC819D2F23C85D42'를 각각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2C3F60B6A6B42113' 및 '45D6F1780B8A3CC8'를 획득하게 되고, 이는 각각 객체키#1-1 및 객체키#1-2가 된다.
그룹 2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는 상기 마스터키 'CF1EB7325A671F80'에 그룹2의 그룹넘버 2를 추가한 'CF1EB7325A671F802'를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해시값 '1AF7A0CBE3D17F4F'를 획득하고, 이는 그룹키#2가 된다. 또한, 상기 그룹키#2 '1AF7A0CBE3D17F4F'에 객체넘버 객체넘버 1 및 객체넘버 2를 각각 추가한 '1AF7A0CBE3D17F4F1' 및 '1AF7A0CBE3D17F4F2'를 각각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C39F233110DECFFA' 및 'FD63F3E5C45754BC'를 획득하게 되고, 이는 각각 객체키#1-1 및 객체키#1-2가 된다.
이와 같이 마스터키에 그룹넘버 1 및 2를 추가하여 해시함수에 입력 한 결과, 입력 값은 숫자 하나 차이일 뿐이지만 그 결과값은 큰 차이를 보여, 상기 해시값으로부터 원래의 입력값을 추적하는 것은 매우 어렵게 된다. 이는 그룹키에 객체넘버를 추가하여 해시함수에 입력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서, 하나의 기준 패스워드 및 영상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각각의 객체키를 생성하였음에도, 객체키 각각으로부터 타 객체키, 그룹키 혹은 마스터키를 유추하는 것이 어려워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즉, 마스터키 혹은 그룹키로부터 하위의 객체키를 생성할 수는 있지만, 객체키 혹은 그룹키로부터 상위의 마스터키를 역추적할 수 없기 때문에, 보안키의 관리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보안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넘버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는 방법은 도 7의 예와 같이 상기 마스터키의 문자열 뒤에 그룹넘버를 더하여 변환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마스터키의 16진코드에 그룹넘버를 더하거나, 빼거나, 혹은 곱하는 형태 등으로 상기 마스터키를 변환한 후 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룹키#1을 획득하기 위하여 마스터키 'CF1EB7325A671F80'에 그룹1의 그룹넘버 1을 뺀 'CF1EB7325A671F7F'를 해시함수에 입력하여 그룹키#1을 획득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상기 그룹키 및 객체넘버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의 단계들은 앞서 설명한 마스킹처리장치(100)의 각 부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처리방법은 우선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S110)을 수행한다.
이 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S120)를 수행한다.
이 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S130)를 수행한다.
이 후,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S140)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S150)를 수행한다.
이 후, 객체 별 보안키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S160)를 수행한다.
이 후,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S17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객체 별 독립암호를 이용하여 영상의 마스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영상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의 (a)는 원본 영상으로서, 객체검출부(110), 객체추적부(120) 및 객체분류부(130)는 상기 원본 영상의 사람(11)(12)(13)(14) 및 공(15)(16)을 검출하여 이를 사람과 공으로 그룹을 나누고, 각각 사람은 4 객체(11)(12)(13)(14), 공은 2 객체(15)(16)로 파악한다.
도 9의 (b)는 마스킹 된 영상의 예로서, 21 내지 24는 사람 그룹(그룹1)으로 4 객체가 마스킹 되었으며, 25 및 26은 공 그룹(그룹2)로 2 객체가 마스킹 처리 되었다.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마스킹으로 모자이크를 삽입하였다. 각 객체의 관심영역은 직사각형 형태로서, 관심영역정보에는 각 관심영역의 X-Y좌표, 관심영역의 폭 및 관심영역의 높이가 저장될 수 있다.
도 9의 (c)는 마스킹 된 영상을 확인하는 화면의 예이다. 도 9의 (c)의 예에서 마스킹 된 영상을 전용뷰어를 통해 재생할 때, 마스킹 된 객체에 마우스 커서(32)를 가져가 가리키면, 상기 커서가 위치한 객체에 대한 ID정보(31)가 화면에 표시된다. 도 9의 실시예에서 상기 커서가 가리킨 객체는 사람(14)으로서, 사람 그룹(그룹1)의 4 번째 객체로 ID 1-4가 화면에 표시되었다. 상기 ID를 확인한 사용자는 영상 제공자에게 해당 객체의 ID를 알려주고, 해당 ID의 객체의 객체키를 받아, 해당 ID의 객체만 언마스킹 하여 볼 수 있다. 객체들 중 사람들을 모두 확인하고 싶은 경우 그룹 1의 그룹키를 요청 후 획득하여, 사람 그룹 전체를 언마스킹 하여 확인할 수 있고, 공을 모두 확인하고 싶은 경우 그룹 2의 그룹키를 요청 후 획득하여, 공 그룹 전체를 언마스킹 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영상을 확인하는 사용자가 필요한 객체의 객체키 만을 획득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다른 객체에 대한 프라이버시 노출을 방지하면서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각의 객체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해당 그룹의 그룹키를 획득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하거나, 혹은 마스터키를 획득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각각의 객체키를 입력하지 않고도 일시에 해당 그룹의 객체, 혹은 전체 객체에 대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장치(200)는 마스킹정보추출부(210),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 및 언마스킹처리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마스킹정보추출부(210)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킹 영상에는 상기 마스킹정보삽입부(150)에 의하여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마스킹정보추출부(210)는 이를 영상으로부터 추출하여 불러온다.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는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입력 받아 언마스킹 대상으로 지정할 수도 있고, 혹은 언마스킹 할 그룹을 입력 받아 그룹 내 객체들을 일괄적으로 언마스킹 대상으로 지정할 수도 있다. 또한, 입력 된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에 대한 보안키를 입력 받을 때, 언마스킹 할 객체에 대한 객체키를 입력 받을 수도 있고, 혹은 그에 대한 그룹키, 혹은 마스터키를 입력 받을 수도 있다.
즉, 언마스킹 할 객체를 입력 받은 경우, 해당 객체키, 해당 객체가 포함된 그룹의 그룹키, 혹은 마스터키를 입력 받을 수 있고, 언마스킹 할 그룹을 입력 받은 경우, 해당 그룹의 그룹키 혹은 마스터키를 입력 받을 수 있고, 객체 전체를 언마스킹 대상으로 입력 받은 경우, 마스터키를 입력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은 복수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상기 복수 개의 언마스킹 할 객체에 대한 복수의 보안키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는 이와 같이 복수의 객체에 대한 정보 및 복수의 보안키를 입력 받아, 동시에 언마스킹을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는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없이 객체에 대한 보안키 만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는 상기 언마스킹처리부(230)에서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와 동일한 방법으로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하고,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는 입력 받은 보안키를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와 비교함으로써, 언마스킹 할 객체를 식별하여 언마스킹 할 객체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여 언마스킹처리부(230)에서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언마스킹처리부(230)는 입력 받은 상기 객체 정보 및 상기 보안키에 기초하여 언마스킹 처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언마스킹처리부(230)는 상기 마스킹정보추출부(210)에서 추출한 마스킹정보 및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받은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정보 중 언마스킹 할 객체에 대한 마스킹정보를 상기 보안키에 기초하여 복호 함으로써 언마스킹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부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부(230)은 관심영역추출부(231), 제2보안키생성부(232) 및 복호화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관심영역추출부(231)은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한다. 상기 관심영역추출부(231)는 상기 마스킹정보추출부(210)에서 추출한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에 관한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로부터 입력 받은 언마스킹 대상 객체에 대한 관심영역만을 추출하여 언마스킹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할 수 있다.
상기 제2보안키생성부(232)는 입력 받은 보안키로부터 객체 별 보안키를 생성한다.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인 경우, 언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하여 객체키를 생성한다. 상기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로부터 객체키를 생성하는 방법은 제1보안키생성부(142)와 동일하다. 상기 제2보안키생성부(232)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마스터키 또는 상기 그룹키로부터 생성할 수 있는 모든 객체키를 생성할 수도 있고, 혹은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받은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에 해당하는 객체키만을 선별하여 생성할 수도 있다.
상기 복호화부(233)는 상기 객체 별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한다. 상기 복호화부(233)는 상기 관심영역추출부(231)로부터 추출한 관심영역에 대해 상기 객체키를 이용하여 복호화 하고 마스킹을 제거한다. 이는 마스킹처리장치(100)의 암호화부(143)와 대응하여, 상기 암호화부(143)에서 수행한 암호화를 복호화 하여 상기 객체의 마스킹에 대해 접근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암호화부(143)는 상기 객체키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을 객체키를 이용해 XOR하거나 기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스크램블 처리하여 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복호화부(233)는 상기 객체키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을 다시 객체키를 이용해 XOR 하거나, 상기 기설정된 규칙의 역으로 스크램블 처리를 함으로써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스킹 및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마스킹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 없이, 원본영상의 정보의 손실 없이 마스킹을 수행하면서도, 원본 영상을 인식할 수 없을 정도로 영상이 변화되고, 상기 객체키를 통하여만 원본 영상을 복원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언마스킹처리부(230)의 각 부의 동작에 의하여 객체 별 객체키에 의해 암호화 된 영상에 대하여 언마스킹 대상 객체를 특정하고, 상기 언마스킹 대상 객체만을 언마스킹처리 하여 원본 영상을 인식할 수 있는 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이하의 단계들은 앞서 설명한 언마스킹처리장치(200)의 각 부의 동작과 동일 또는 유사하고, 동일한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은 우선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S210)를 수행한다.
이 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를 수행한다.
이 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S240)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S25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객체 별 독립암호를 이용하여 마스킹 처리 된 영상의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객체키가 아닌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인 경우의 단계를 도시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S210 및 S220 단계를 수행한다.
이 후,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로부터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2보안키생성단계(S230)를 수행한다. 상기 제2보안키생성단계(S230)는 마스킹처리방법의 제1보안키생성단계(S150)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객체키를 생성함으로써, 언마스킹에 필요한 객체키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에서 마스터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2보안키생성단계(S230)에서는 모든 객체의 객체키를 획득할 수 있고, 혹은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에서 그룹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제2보안키생성단계(S230)에서는 해당 그룹 내의 모든 객체의 객체키를 획득할 수 있다.
이 후, 도 12의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S240 및 S250 단계를 수행한다. 이 때 복호화단계(S250)에서는 상기 제2보안키생성단계(S230)에서 생성된 객체키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여 원본영상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언마스킹단계에서 객체키뿐만 아니라, 그룹키 또는 마스터키를 입력 받음으로써, 입력 받은 그룹 내의 모든 객체 또는 영상 내의 모든 객체에 대한 언마스킹을 처리하여 보안키 관리를 간소화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부(230)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4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암호화부(143)가 객체키가 아닌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 한 경우, 혹은 영상전체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한 경우에서의 언마스킹처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 상기 언마스킹처리부(230)는 제3보안키생성부(234), 권한확인부(235), 관심영역추출부(231) 및 복호화부(233)를 포함한다.
상기 제3보안키생성부(234)는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한다. 상기 제3보안키생성부(234)는 상기 제1보안키생성부(142)와 동일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생성된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된 보안키의 언마스킹 권한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상기 권한확인부(235)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고,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한다. 상기 권한확인부(235)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부(220)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를 상기 제3보안키생성부(234)에서 생성 된 그룹키 및 객체키와 비교하여, 상기 그룹키 및 객체키와 일치하는 경우, 언마스킹에 대한 권한이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그룹 또는 해당 객체를 언마스킹 할 객체로 특정한다. 이와 같이 입력 받은 보안키에 따라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함으로써 이 외의 객체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지 않고, 특정된 객체만을 언마스킹 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외의 객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상기 관심영역추출부(231)는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하게, 상기 권한확인부(235)에서 특정된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한다.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정보는 영상에 삽입 된 마스킹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복호화부(233)는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상기 관심영역 또는 영상전체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한다. 이와 같이 상기 복호화부(233)가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단일키 마스킹 및 언마스킹을 수행함으로써 빠른 처리가 가능하다. 객체의 마크로 블록에 직접 마스킹을 하는 경우 동영상 코덱의 움직임 추정(Motion Estimation) 기능에 악영향을 끼쳐, 마스킹이 우측 하단으로 흐르는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관심영역, 또는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킹을 수행하고, 언마스킹 수행 시 상기 복호화부(233)가 상기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해당 관심영역의 마스킹이 제거 된 원본영상을 표출하고, 이 외의 객체에 대해서는 마스킹 된 영상을 표출함으로써, 객체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혹은, 영상전체영역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권한확인부(235)에서 언마스킹 할 객체로 특정된 객체에 대한 관심영역에 대해서만 언마스킹 된 원본영상을 표출하고, 이 외의 객체에 대해서는 마스킹 된 영상을 표출함으로써 해당 객체만이 언마스킹 된 최종 표출영상을 사용자에게 표출함으로써 이 외의 객체에 대한 프라이버시를 유지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의 각 단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순서도이다.
도 15에서는 마스킹 처리 시 각각의 객체키가 아닌, 마스터키에 의해 마스킹이 수행된 실시예에서의 언마스킹처리방법을 도시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언마스킹처리방법은 우선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S210)를 수행한다.
이 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3보안키생성단계(S231)를 수행한다.
이 후, 입력 받은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는 보안키확인단계(S232)를 수행한다. 상기 보안키확인단계(S232)에서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S220)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를 상기 제3보안키생성단계(S231)에서 생성된 그룹키 또는 객체키와 비교하여 상기 보안키가 언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한 권한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때, 상기 입력 받은 보안키가 그룹키 또는 마스터키인 경우, 상기 그룹키 또는 마스터키는 해당 그룹 내 모든 객체 또는 영상 내 모든 객체에 대한 언마스킹을 수행하기 위한 권한을 가질 수 있다.
이 후,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하는 객체특정단계(S234)를 수행한다. 상기 객체특정단계(S234)에서는 상기 보안키확인단계(S232)를 통해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이 확인 된 객체만을 언마스킹 할 객체로 특정하여, 이 후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S240)를 수행한다.
이 후, 상기 보안키를 이용하여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S250)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일련의 단계를 통하여 객체 별 독립암호를 이용하여 마스킹 처리 된 영상의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된 영상을 보안키를 이용하여 암호화 함으로써 원본 영상에 대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킹 된 영상의 언마스킹 과정에서 객체 별로 언마스킹을 할 수 있도록 하여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객체 별로 언마스킹 수행 시 각각의 객체 별 보안키(객체키), 객체 그룹 별 보안키(그룹키), 혹은 전체 보안키(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각각의 객체 별, 그룹 별, 혹은 전체 언마스킹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할 수 있어 용이하게 보안키를 관리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26)

  1.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에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및
    상기 마스터키 및 개별객체정보에 기초하여 개별키를 생성하는 개별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및 상기 개별키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개별키생성단계는,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개별키는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암호화단계는,
    상기 객체키에 기초하여 기설정된 규칙에 의하여 상기 관심영역 내의 매크로 블록들을 변경 또는 스크램블 함으로써 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마스터키는 상기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하고,
    상기 그룹키는 상기 마스터키 및 상기 그룹속성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하고,
    상기 객체키는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속성정보를 해시함수를 통해 변환하여 생성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는,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객체 수;
    상기 영상에 포함 된 총 그룹 수;
    상기 그룹 각각에 포함 된 객체 수; 및
    상기 객체 각각의 객체식별정보 및 객체영역정보를 포함하는 마스킹정보;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객체영역정보는,
    상기 객체에 대한 상기 관심영역의 X-Y좌표;
    상기 관심영역의 폭;
    상기 관심영역의 높이; 및
    상기 관심영역의 반경;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보안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마스터키 또는 그룹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마스터키 또는 상기 그룹키로부터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2보안키생성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객체키를 이용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복수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복수의 보안키를 입력 받은 경우,
    상기 관심영역추출단계는 상기 복수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복수의 관심영역을 추출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복수의 관심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보안키를 이용하여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2.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에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마스킹을 수행할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상기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3보안키생성단계;
    입력 받은 상기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는 보안키확인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하는 객체특정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개별객체에 대한 객체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개별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그룹객체에 대한 그룹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해당 그룹 내 복수의 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8.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으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단계;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단계;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단계;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마스킹처리단계는,
    객체 별로 관심영역을 도출하는 관심영역도출단계;
    상기 관심영역에 대한 보안키를 생성하는 제1보안키생성단계; 및
    상기 마스터키로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킹을 수행하는 암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보안키생성단계는,
    기준 패스워드 및 기설정된 고유정보에 기초하여 마스터키를 생성하는 마스터키생성단계;
    상기 마스터키 및 그룹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그룹키를 생성하는 그룹키생성단계; 및
    상기 그룹키 및 객체속성정보에 기초하여 객체키를 생성하는 객체키생성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보안키는 상기 마스터키, 상기 그룹키 및 상기 객체키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1.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은 언마스킹처리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언마스킹처리단계는,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추출하는 마스킹정보추출단계;
    1 이상의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 및 보안키를 입력 받는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
    상기 마스터키로부터 그룹키 및 객체키를 생성하는 제3보안키생성단계;
    입력 받은 상기 보안키의 언마스킹권한을 확인하는 보안키확인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를 특정하는 객체특정단계;
    언마스킹 할 객체의 정보로부터 관심영역을 추출하는 관심영역추출단계; 및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관심영역에 언마스킹을 수행하는 복호화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2.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개별객체에 대한 객체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개별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객체특정단계는 상기 언마스킹정보입력단계에서 입력 받은 보안키가 그룹객체에 대한 그룹키인 경우에는 언마스킹 할 객체를 해당 그룹 내 복수의 객체로 특정하고,
    상기 복호화단계는 상기 마스터키를 이용하여 상기 언마스킹 할 객체를 언마스킹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방법.
  24.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검출된 상기 객체에 객체 별 보안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부;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
  25.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검출된 상기 객체에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단계;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
  26.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로서,
    영상 내 객체를 검출하는 객체검출부;
    검출된 상기 객체가 기존 검출 객체와 동일 객체인지 확인하는 객체추적부;
    검출된 상기 객체의 종류를 분류하는 객체분류부;
    영상전체영역에 대해 마스터키에 기초하여 마스킹 처리를 수행하는 마스킹처리부; 및
    마스킹 된 객체의 정보를 삽입하는 마스킹정보삽입부; 를 포함하는, 영상의 마스킹처리장치.
KR1020180003085A 2018-01-10 2018-01-10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KR1020666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85A KR102066688B1 (ko) 2018-01-10 2018-01-10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085A KR102066688B1 (ko) 2018-01-10 2018-01-10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5225A true KR20190085225A (ko) 2019-07-18
KR102066688B1 KR102066688B1 (ko) 2020-01-15

Family

ID=6746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085A KR102066688B1 (ko) 2018-01-10 2018-01-10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6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9564B1 (ko) * 2020-08-21 2021-09-08 (주)와토시스 비식별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102319492B1 (ko) * 2020-04-23 2021-10-29 주식회사 컴트루테크놀로지 Ai 딥러닝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방법
WO2022025661A1 (ko) * 2020-07-30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20220160215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딥러닝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오토 마스킹 및 해제하는 마스킹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0879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엠에이치엔씨티 프라이버시 영역 비식별화 및 복원 장치, 프라이버시 영역 비식별화 및 복원 방법
KR20230168103A (ko) *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넷온 선택적으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영상 감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23587B1 (en) * 2020-06-09 2022-03-30 Axis AB Method and device for partially unmasking an object in a video strea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110A (ko) * 2006-10-18 2008-04-2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KR100972849B1 (ko) * 2009-10-16 2010-07-28 주식회사 쓰리디누리 객체 인식 방법
KR20130067530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15137B1 (ko) * 2015-03-27 2016-05-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속성 기반의 데이터 접근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5110A (ko) * 2006-10-18 2008-04-23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및 그의 입력 영상 보호 장치 및방법
KR100972849B1 (ko) * 2009-10-16 2010-07-28 주식회사 쓰리디누리 객체 인식 방법
KR20130067530A (ko) * 2011-12-14 2013-06-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 보안 전송 장치 및 방법과 그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1615137B1 (ko) * 2015-03-27 2016-05-12 순천향대학교 산학협력단 속성 기반의 데이터 접근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9492B1 (ko) * 2020-04-23 2021-10-29 주식회사 컴트루테크놀로지 Ai 딥러닝을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개인정보 처리방법
WO2022025661A1 (ko) * 2020-07-30 2022-02-03 삼성전자 주식회사 데이터 마스킹을 이용하여 이미지를 변환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KR102299564B1 (ko) * 2020-08-21 2021-09-08 (주)와토시스 비식별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WO2022039318A1 (ko) * 2020-08-21 2022-02-24 (주)와토시스 비식별화 영상 데이터를 이용한 인공지능 학습 방법 및 시스템
KR20220160215A (ko) * 2021-05-27 2022-12-06 주식회사 오픈시스넷 딥러닝 객체 정보를 이용하여 감시카메라 영상을 실시간 오토 마스킹 및 해제하는 마스킹 처리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70879A (ko) * 2021-11-15 2023-05-23 주식회사 엠에이치엔씨티 프라이버시 영역 비식별화 및 복원 장치, 프라이버시 영역 비식별화 및 복원 방법
KR20230168103A (ko) * 2022-06-03 2023-12-12 주식회사 넷온 선택적으로 개인정보를 비식별화할 수 있는 인공지능 영상 감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6688B1 (ko) 202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6688B1 (ko) 객체별 독립암호를 이용한 영상내 개인정보보호 방법
US1115572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acting video for compression and identification of releasing party
JP5269033B2 (ja) 映像のプライバシーマスキング方法及び装置
US5940513A (en) Parameterized hash functions for access control
KR20110070735A (ko) 영상의 프라이버시 마스킹 방법 및 장치
EP32349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blishing locational copyrighted watermarking video
KR20130126800A (ko) 캡춰 영상의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이미지 처리 방법 및 이미지 처리 장치
CN102932650B (zh) 视频数据完整性保护和验证方法、设备和系统
KR101746167B1 (ko)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02609890A (zh) 一种图像数字水印嵌入及检测系统
JPWO2009013822A1 (ja) 映像監視装置および映像監視プログラム
Winkler et al. A systematic approach towards user-centric privacy and security for smart camera networks
KR20150021280A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N109785217A (zh) 基于fpga技术的差错控制芯核水印方法
Yu et al. Intelligent video data security: a survey and open challenges
Luo et al. Anonymous subject identification and privacy information management in video surveillance
Winkler et al. Privacy and security in video surveillance
KR101784711B1 (ko) 정보 보호를 위한 영상 처리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CN112328975A (zh) 一种产品软件授权管理方法、终端设备及介质
KR101746168B1 (ko) 차량용 블랙박스의 영상 처리를 위한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JP2007150559A (ja) 防犯装置
JP5718757B2 (ja) 画像管理装置、画像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管理方法
KR101979102B1 (ko) 영상 인증 방법 및 그 장치
JP2010073112A (ja) 顔照合システム
Halvi et al. A robust and secured cloud based distributed biometric system using symmetric key cryptography and microsoft cognitive AP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