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184A -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 Google Patents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184A
KR20080034184A KR1020087005276A KR20087005276A KR20080034184A KR 20080034184 A KR20080034184 A KR 20080034184A KR 1020087005276 A KR1020087005276 A KR 1020087005276A KR 20087005276 A KR20087005276 A KR 20087005276A KR 20080034184 A KR20080034184 A KR 200800341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se
wall
blank
outer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1203B1 (ko
Inventor
šœ스케 타와다
테츠야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뽄 다바코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4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0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 B65D85/0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 B65D85/1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compressible or flexible articles rod-shaped or tubular for cigarettes
    • B65D85/1036Containers formed by erecting a rigid or semi-rigid blank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15/00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 A24F15/12Receptacles or boxes specially adapted for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or cigarettes therefor for pocket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72Contents-dispensing means
    • B65D5/721Contents-dispensing means consisting of mobile elements forming part of the containers or attached to the contai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ing Of Annular Or Rod-Shaped Articles, Wearing Apparel, Cassettes, Or The Like (AREA)
  • Carton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Wrapping Of Specific Fragile Articles (AREA)

Abstract

시가렛 상자는, 그 바닥벽(14)의 일부에 힌지(20) 주위로 회동가능한 가동 베이스(22)를 갖는 외측 케이스(2)와, 외측 케이스(2) 안에 배치되어, 내부에 시가렛의 내측팩을 수용한 내측 케이스(4)를 구비하고, 내측 케이스(4)는 그 바닥벽(26)만이 가동 베이스(22)에 결합되고, 가동 베이스(22)와 함께 힌지(22) 주위로 회동되었을 때, 외측 케이스(2)의 개구면(6)으로부터 외측 케이스(2)의 측방으로 튀어나오고, 이에 의해 시가렛 상자는 개방된다.

Description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CIGARETTE BOX AND BLANK SET FOR THE SAME}
본 발명은 시가렛 상자(cigarette box) 및 그 블랭크 세트(blank set)에 관한 것으로, 시가렛 상자는 내측팩(inner pack)을 수용하기 위해 사용되며, 내측팩은 필터 시가렛이나 시가렛의 다발과,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갖는다.
이런 종류의 시가렛 상자에는 소위, 힌지 리드형 패키지(hinge lid package)가 많이 사용되고 있고, 이 패키지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5-21334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자 몸체와, 이 상자 몸체를 개폐하는 뚜껑을 갖고, 내측팩은 상자 몸체 안에 수용되어 있다.
흡연자를 포함한 일반 사람들은 상술한 패키지의 형태에 장기간에 걸쳐 익숙해져 있으므로, 패키지의 개폐 동작이 신선하다는 것은 없고, 이러한 패키지는 이용자의 구매의욕을 환기시키는 시각적인 매력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자의 구매의욕을 증진시키는 참신한 개폐 형태를 갖는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가렛 상자는 외측 케이스(outer case)로서, 개구(開口)된 일측면과, 푸시창(push window)을 갖는 타측벽과,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벽까지 뻗는 바닥벽으로서, 개구면 측에 위치된 일부가 그 나머지 부분에 힌지(hinge)를 통하여 접속되고, 상기 일부가 가동 베이스(movable base)로서 형성되어 있는 바닥벽을 포함하는 외측 케이스와, 외측 케이스 안에 수용되어 내부에 내측팩을 지지하는 한편, 외측 케이스의 푸시창을 통하여 밀어졌을 때에, 외측 케이스의 개구면으로부터 외측 케이스의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내측 케이스(inner case)로서, 외측 케이스의 개구면을 막는 외측 측벽과 외측 케이스의 푸시창을 통하여 노출되는 내측 측벽과, 외측 케이스의 가동 베이스에 결합되어, 가동 베이스와 함께 힌지 주위로 내측 케이스의 회동을 허용하는 바닥벽을 포함하는 내측 케이스와, 내측 케이스가 튀어나왔을 때, 상기 내측 케이스의 최대 회동각을 규제하는 스토퍼(stopper)를 구비한다.
상술한 시가렛 상자에 의하면, 이용자가 외측 케이스 푸시창을 통하여 손가락으로 내측 케이스를 밀었을 때, 내측 케이스는 힌지 주위로 회동하고, 외측 케이스의 개구면으로부터 외측 케이스의 측방으로 튀어나오고, 이것에 의해, 시가렛 상자가 개방된다. 이러한 시가렛 상자의 개방 상태에서, 이용자는 내측 케이스 안의 내측팩으로부터 필터 시가렛 또는 시가렛의 막대모양(棒狀) 흡연물품을 꺼낼 수 있다. 이 후, 이용자가 외측 케이스 안으로 내측 케이스를 되돌렸을 때, 외측 케이스의 개구면이 내측 케이스의 외측 측벽에 의해 막혀짐으로써, 시가렛 상자는 닫혀진다.
상술한 시가렛 상자의 개폐 형태는 일반적인 힌지 리드형 패키지와 비교하여 크게 다르고, 또한 시가렛 상자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본 발명의 시가렛 상자는 독특한 외관을 제공하고, 이 결과, 이용자의 구매의욕을 증진 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내측 케이스는 이 내측 케이스가 외측 케이스로부터 튀어나왔을 때, 외측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시가렛을 위한 취출구(取出口)를 더 포함한다. 이 경우, 취출구는 내측 케이스의 상벽(上壁)의 일부로부터 내측 케이스의 전벽(前壁) 및 배벽(背壁)에 각각 걸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상세하게는, 스토퍼는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내측 케이스를 결합시켜 상기 최대 회동각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는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구비된 고정측 요소(固定側 要素)와, 내측 케이스의 내측 측벽으로부터 천정면을 향하여 돌출하여, 내측 케이스가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고정측 요소에 결합하는 가동측 요소(可動側 要素)를 포함한다.
또한, 스토퍼는 외측 케이스의 전벽 및 배벽 중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내측 케이스를 결합시켜 상기 최대 회동각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스토퍼는 외측 케이스의 내면에 구비된 고정측 요소와, 외측 케이스의 내면에 대향하는 내측 케이스의 내면에 구비되어, 내측 케이스가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고정측 요소에 결합하는 가동측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시가렛 상자는 내측 케이스가 최초로 회동되기 전 상태에 있을 때, 외측 케이스에서의 전벽 및 배벽의 각각과 가동 베이스를 분리가능하게 접속하는 천공열(穿孔列)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가렛 상자의 경우, 스토퍼는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형성된 걸림홈(locking groove)과, 내측 케이스에 설치되어 결합홈에 결합하였을 때, 내측 케이스의 제1 개도(開度)를 결정하는 제1 스토퍼 요소와, 외측 케이스의 전벽 및 배벽 중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겹쳐진 걸림 라이너(locking liner)와, 내측 케이스에 설치되어 걸림 라이너에 결합하였을 때, 내측 케이스의 제2 개도를 결정하는 제2 스토퍼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제2 개도는 제1 개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도 제공하고, 이 블랭크 세트는 첨부도면 및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의 란(欄)의 기재로부터 명백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시가렛 상자가 열렸을 때의 시가렛의 전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내측 블랭크로부터 성형되는 내측 케이스를 나타내는 전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외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외측 블랭크의 접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가 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 다.
도 8은 도 7의 상태에 있을 때, 내측 케이스의 돌기와 내측상단플랩(inner top flap)의 배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가 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의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가 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내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내측 블랭크로부터 성형된 내측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은 외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제2 실시예의 외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도 12의 내측 케이스 및 도 13의 외측 블랭크로부터 성형된 시가렛 상자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3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내측 블랭크로부터 형성된 내측 케이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도 15의 외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외측 블랭크의 접기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도 19의 상태로부터 외측 블랭크가 더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3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의 제1 개도 및 제2 개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 및 도 2는 제1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를 나타내고, 이 시가렛 상자는 이중(二重)구조를 이루며, 외측 케이스(2) 및 내측 케이스(4)를 포함한다. 외측 케이스(2)는 직방체 형상을 이루며, 전벽(8), 배벽(10), 상벽(12) 및 바닥벽(14)을 갖는다. 또한, 외측 케이스(2)는 전면이 개구된 한 쪽의 측면, 즉, 개구면(6)과 한 쪽의 측면, 즉, 측벽(16)을 갖는다.
측벽(16)은 그 상부에 푸시창(18)을 갖고, 이 푸시창(18)은 내측 케이스(4)를 부분적으로 노출시키고 있다. 푸시창(18)은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푸시창(18)의 상단(上端)은 상벽(12)을 향하여 돌출한 삼각 형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푸시창(18)은 오각형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2)의 바닥벽(14)은 그 거의 중앙에 셀프 힌지(self hinge)(20)를 갖는다. 이 셀프 힌지(20)는 바닥벽(14)을 횡단하여 뻗고, 바닥벽(14)은 셀프 힌지(20)에 의해 개구면(6) 측에 위치된 가동 베이스(22)와, 측벽(16) 측에 위치된 고정 나머지 부분으로 구분되어 있다. 가동 베이스(22)는 외측 케이스(2)의 전벽(8) 및 배벽(10)의 어느 쪽과도 접속되어 있지 않고, 셀프 힌지(20)를 중심으로 한 회동이 허용되어 있다.
한편, 내측 케이스(4)는 외측 케이스(2)와 같은 직방체 형상을 이루며, 외측 케이스(2) 내에 수용 가능한 크기를 갖는다. 즉, 내측 케이스(4)도 또한, 전벽(24), 배벽 및 바닥벽(26)을 갖고, 이들 벽은 외측 케이스(2)의 전벽(8), 배벽(10) 및 바닥벽(14)에 각각 겹쳐져 있다. 또한, 내측 케이스(4)는 양 측벽(28, 30)을 가지고 있고, 외측 케이스(2) 내에 내측 케이스(4)가 완전히 수용되었을 때, 한 쪽의 외측 측벽(28)은 외측 케이스(2)의 개구면(6)을 막아, 한 쪽의 내측 측벽(30)은 외측 케이스(2)의 측벽(16)에 겹쳐진다. 이때, 내측 측벽(30)의 일부는 측벽(16)의 푸시창(18)을 통하여 노출된다.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26)은 외측 케이스(2)에 대하여, 외측 케이스(2)의 가동 베이스(22) 만에 접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스(4)는 가동 베이스(22)와 함께 셀프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 결과, 이용자가 외측 케이스(2)의 푸시창(18)을 통하여 내측 케이스(4)의 내측 측벽(30)으로 밀었을 때, 도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4)는 가동 베이스(22)와 함께 셀프 힌지(20)의 주위로 회동하여, 내측 케이스(4)의 일부, 즉, 내측 케이스(4)의 외측 측벽(28) 측의 부분이 외측 케이스(2)의 개구면(6)으로부터 측방으로 튀어나온다.
내측 케이스(4)는 그 내부에 내측팩(도 1 및 도 2에 도시하지 않음)을 수용 하고 있고, 이 내측팩은 필터 시가렛이나 시가렛의 흡연물품의 다발과,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한다.
또한,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은 개구되고, 그리고, 내측 케이스(4)의 전벽(24) 및 배벽은 그러한 상연(上椽)에 액세스 노치(access notch)를 갖는다. 이들 액세스 노치는 내측 케이스(4)의 외측벽(28) 측에 위치되어, 대응하는 벽의 상연으로부터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26)을 향하여 뻗는 대략 U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액세스 노치는 내측 케이스(4)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면과 함께, 내측 케이스(4)의 취출구(32)를 형성한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2)로부터 내측 케이스(4)가 튀어나왔을 때, 내측 케이스(4)의 취출구(32)는 외측 케이스(2)의 외측에 위치되며, 이것에 의해, 시가렛 상자가 개방된다. 시가렛 상자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이용자는 취출구(32)를 통하여 내측팩으로부터 흡연물품을 꺼내, 꺼낸 흡연물품을 흡연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시가렛 상자의 개방 상태로부터, 내측 케이스(4)가 이용자에 의해 외측 케이스(2) 안으로 밀어넣었을 때, 내측 케이스(4)의 취출구(32)는 외측 케이스(2) 안으로 이동하여, 외측 케이스(2)의 개구면(6)은 내측 케이스(4)의 외측 측벽(28)에 의해 폐색된다. 즉, 시가렛 상자는 개방 상태로부터 도 1의 닫힘 상태로 된다.
외측 케이스(2)로부터의 내측 케이스(4)의 허용되는 튀어나옴 개도(開度)
Figure 112008015605357-PCT00001
, 즉 셀프 힌지(20) 주위로 내측 케이스(4)의 허용 회동각을 결정하기 위해, 시 가렛 상자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이러한 스토퍼는 도 2 중에 일점쇄선의 원 A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외측 케이스(2)의 천정면 및 내측 케이스(4)를 서로 결합시키거나, 또는 도 2 중의 일점쇄선의 원 B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2, 4)의 각각의 전벽이나 배벽을 서로 결합시킨다. 또한, 스토퍼의 구체적인 구조는 후술하는 블랭크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의 경우, 외측 케이스(2)에 대하여 내측 케이스(4)가 셀프 힌지(20)를 중심으로 회동 가능함으로써, 즉, 내측 케이스(4)의 사이드 스윙(side swing)에 의해, 시가렛 상자는 개폐된다. 이러한 시가렛 상자는 통상의 힌지 리드형 패키지에 비해 개폐 형태나 개방 상태에서의 외관을 독특한 것으로 하여, 본 발명의 시가렛 상자에 대한 이용자의 구매의욕을 높인다.
도 3은 내측 케이스(4)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34)의 이면(裏面)을 나타낸다.
내측 블랭크(34)는 복수씩의 패널 및 플랩을 포함한다. 인접하는 패널끼리나 플랩끼리, 또는 인접하는 패널 및 플랩은 파선인 접기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내측 블랭크(34)는 그 종축선(縱軸線)상에 나열되는 후방패널(rear panel)(40), 바닥패널(bottom panel)(36) 및 전방패널(front panel)(42)을 갖는다. 바닥패널(36)의 양 측연(側緣)에는 내측바닥플랩(inner bottom flap)(4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패널(36, 40, 42)은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26), 배벽 및 전벽(24)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내측바닥플랩(44)은 바닥벽(26)의 보강부재를 형성한다.
후방패널(40)의 양 측연에는 내측사이드플랩(inner side flap)(46a, 46b)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전방패널(42)의 양 측연에는 외측사이드플랩(outer side flap)(48a, 48b)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내측 및 외측사이드플랩(46a, 48a)은 내측 케이스(4)의 외측벽(28)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내측 및 외측사이드플랩(46b, 48b)은 내측 케이스(4)의 내측 측벽(30)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도 3에서 보아 후방패널(40)의 상연(上椽)의 왼쪽 반 및 전방패널(42)의 하연(下椽)의 왼쪽 반에는, 대략 U자 형상의 액세스 노치(50)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상연 및 하연의 나머지 부분에는, 내측상단플랩(inner top flap)(52) 및 외측상단플랩(outer top flap)(54)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이들 내측상단플랩(52) 및 외측상단플랩(54)은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이 상벽과 외측벽(28)의 사이에 전술한 취출구(32)가 확보되고, 이 취출구(32)는 액세스 노치(50)를 포함한다.
또한, 도 3에서 보아 내측사이드플랩(46b)에서의 상연의 왼쪽 반은 그 나머지 부분보다 약간 돌출하고, 전술한 스토퍼의 가동측 요소로서의 돌기(56)를 형성한다. 이러한 돌기(56)는 외측사이드플랩(48b)의 하연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고, 또한, 사이드플랩(46b, 48b)의 양쪽 모두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술한 블랭크(34)의 이면에는 소정 개소에 풀이 도포되어, 블랭크(34)의 후방패널(40) 상에 내측팩(IP)이 놓여진다. 이 후, 블랭크(34), 즉, 그 플랩 및 패 널은 내측팩(IP)의 주위로 순차적으로 접혀져, 도 4에 도시하는 내측 케이스(4)가 성형된다. 또한, 내측 케이스(4)의 외측 및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사이드플랩은 서로 겹쳐진 상태로 접착되고, 또한, 후방패널(40) 및 전방패널(42)은 내측팩(IP)에 접착된다. 도 4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전술한 돌기(56)는 내측 케이스(4)에 서의 내측 측벽(30)의 상연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5는 외측 케이스(2)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58)의 이면을 나타낸다.
외측 블랭크(58)도 또한 복수씩의 패널 및 플랩을 포함하고, 인접하는 패널끼리나 플랩끼리, 또는 인접하는 패널 및 플랩은 파선인 접기선에 의해 서로 구획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외측 블랭크(58)는 그 종축선상의 중앙에 사이드패널(60)을 포함한다. 이 사이드패널(60)은 외측 케이스(2)의 외측 측벽(16)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도 5에서 보아 그 상부에 전술한 푸시창(18)을 갖는다.
사이드패널(60)의 양 측연에는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들 패널(62, 64)은 외측 케이스(2)의 배벽(10) 및 전벽(8)을 각각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사이드패널(60)의 상연 및 하연에는 내측상단플랩(66) 및 내측바닥플랩(68)이 각각 접속되어 있다. 내측상단플랩(66)은 외측 케이스(2)의 상벽(12)의 보강부재를 형성하고, 내측바닥플랩(68)은 외측 케이스(2)의 바닥벽(14)의 보강부재를 형성한다.
여기서, 도 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내측상단플랩(66)의 폭이 사이드패 널(60)의 폭보다 좁고, 그리고, 내측상단플랩(66)이 전방패널(64)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의 한 쪽의 측연에는 접기플랩(folding flap)(70)이 각각 접속되어 있고, 이들 접기플랩(70)은 외측 케이스(2)에서의 전벽(8) 및 배벽(10)의 라이너(liner)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후방패널(62)의 하연의 일부에는 외측바닥플랩(72)이 접속되어 있고, 이 외측바닥플랩(72)은 전술한 내측바닥플랩(68)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외측바닥플랩(72)의 측연에 셀프 힌지(20)를 통하여 연장플랩(extension flap)(74)이 접속되어 있고, 이 연장플랩(74)은 후방패널(62)에서의 하연의 나머지 부분을 따라 뻗어 있다. 연장플랩(74)은 외측 케이스(2)에서의 바닥벽(14)의 일부인 가동 베이스(22)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며, 외측바닥플랩(72)은 외측 케이스(2)의 바닥벽(14)의 나머지 부분을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후방패널(62)의 상연에는 내측상단패널(76)이 접속되어 있고, 이 내측상단패널(76)은 사이드패널(60)과는 반대측의 측연에 걸림플랩(locking flap)(78)을 갖는다. 이 걸림플랩(78)은 대응하는 측의 접기플랩(70)의 위쪽에 위치되어, 전술한 스토퍼의 고정측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다.
또한, 전방패널(64)의 상연에도 외측상단패널(80)이 접속되어 있고, 그리고, 전방패널(64)의 하연에는 그 일부에 중간바닥플랩(82)이 접속되어 있다. 이 중간바닥플랩(82)은 내측바닥플랩(68)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그러므로, 이 내측바닥플랩(68)은 외측바닥플랩(72)과 중간바닥플랩(82)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배치되어 있 다. 이들 플랩(68, 72, 82)은 거의 동일한 형상 및 크기를 갖는다.
상술한 외측 블랭크(58)의 이면에는 소정 개소에 풀이 도포되고, 이 후, 외측 블랭크(58)는 도 6∼도 10에 도시하는 접기순서에 의해 접혀져, 내측 케이스(4)를 수용한 외측 케이스(2)가 성형된다.
더 상세하게는,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먼저, 좌우의 접기플랩(folding flap)(70)이 접혀진다. 이들 접기플랩(70)은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의 각각에 겹쳐진다. 또한, 접기플랩(70)의 접기와 동시에, 걸림플랩(78)도 또한 접혀져, 걸림플랩(78)은 내측상단패널(76)에 겹쳐진다.
이 후, 후방패널(62)상에 전술한 내측 케이스(4)가 놓여지며, 이 내측 케이스(4)와 후방패널(62)의 사이에 한 쪽의 접기플랩(70)이 끼워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이드패널(60)은 전방패널(64) 등을 수반하여, 내측 케이스(4)를 향하여 접혀져, 내측 케이스(3)의 내측 측벽(30)에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사이드패널(60)의 내측상단플랩(66) 및 내측바닥플랩(68)은 내측 케이스(4) 상벽 및 바닥벽을 향하여 각각 접혀져, 이들 상벽 및 바닥벽에 서로 겹쳐진다. 이때, 도 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내측상단플랩(66)은 내측 케이스의 돌기(56)를 피해 접혀진다.
이 후, 전방패널(64)은 내측 케이스(4)의 전벽을 향하여 접혀져, 도 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4)의 전벽에 겹쳐진다. 그리고, 전방패널(64)의 중간바닥플랩(82)이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을 향하여 접혀진다. 중간바닥플랩(82)은 이미 접혀져 있는 내측바닥플랩(68)에 겹쳐진다.
이 상태에서, 외측바닥플랩(72)은 연장플랩(74)을 수반하여,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을 향하여 접혀진다. 그러므로,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측바닥플랩(72)은 중간바닥플랩(82)에 겹쳐지고, 그리고, 서로 접착되고, 또한, 연장플랩(74), 즉, 가동 베이스(22)가 내측 케이스(4)의 바닥벽에 접착된다.
한편,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측바닥플랩(72)의 접기와 동시에, 내측상단패널(76) 및 외측상단패널(80)은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혀진다. 이들 내측 및 외측톱패널(76, 80)은 서로 겹쳐진다. 이들 패널(76, 80)은 서로 접착되어 외측 케이스(2)의 상벽(12)을 형성한다. 이 시점에서, 시가렛 상자가 완성되어, 이 시가렛 상자는 외측 및 내측 케이스(2, 4)를 포함한다.
내측상단패널(76)의 걸림플랩(78)은 내측상단패널(76)에 접착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도 10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걸림플랩(78)은 자체의 복원력에 의해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을 향하여 경사져서, 이 상벽에 접촉한 선단(先端)을 갖는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스(4)가 셀프 힌지(20)를 중심으로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내측 케이스(4)의 돌기(56)는 걸림플랩(78)의 선단에 접촉하고, 이에 의해, 내측 케이스(4)의 회동각, 즉, 외측 케이스(2)로부터의 내측 케이스(4)의 튀어나옴 개도를 제한한다. 또한, 최대 튀어나옴 개도
Figure 112008015605357-PCT00002
(도 2 참조)는 시가렛 상자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걸림플랩(78)의 선단과 돌기(56)의 사이의 거리 L에 의해 결정된다.
상술한 돌기(56) 및 걸림플랩(78)은 내측 케이스(4)를 위한 스토퍼를 형성하고, 이 스토퍼는 도 2 중의 A 위치, 즉, 외측 케이스(2)의 천정면과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을 결합시킨다.
다음에, 제2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는 도 2 중의 B 위치에서, 외측 케이스(2)와 내측 케이스(4)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제2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34') 및 외측 블랭크(58')에 대하여, 도 11∼도 14를 참조하면서 이하에 설명한다.
이들 블랭크(34', 58')에 대하여 설명함에 있어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도 11∼도 14 중, 전술한 내측 블랭크(34) 및 외측 블랭크(58)의 패널 및 플랩과 동일한 기능을 발휘하는 패널 및 플랩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도 11은 내측 케이스(4)를 위한 내측 블랭크(34')를 나타낸다.
내측 블랭크(34')는 전술한 돌기(56) 대신에 한 쌍의 러그영역(lug region)(84)을 갖는다. 이들 러그영역(84)은 후방패널(40) 및 전방패널(42)의 각각에 형성된 대략 U자 형상의 구멍(86)에 의해 얻어지며, 이들 구멍(86)은 내측 및 외측사이드플랩(46b, 48b)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다.
더 상세하게는, 한 쌍의 러그영역(84)은 대응하는 측의 사이드플랩(46b 또는 48b)을 위한 접기선을 공유한다. 이들 접기선을 따라, 내측 블랭크(34')의 접기가 개시되기 전, 한 쌍의 러그영역(84)은 그 접기선을 따라, 후방 및 전방패널(40, 42)의 바깥 표면측으로 향하여 되 접혀져, 러그(85)를 형성한다.
이 후, 내측 블랭크(34')는 전술한 블랭크(34)와 마찬가지로 내측팩(IP)의 주위로 접혀져,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은 내측 케이스(4)가 성형된다. 이때, 한 쌍의 러그(85)는 내측 케이스(4)의 전벽 및 배벽으로부터 약간 기립하여, 러그(85)의 선단은 내측 케이스(4)의 외측 측벽(28)으로 향해진 상태로 있다.
도 13은 외측 케이스(2)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58')를 나타낸다.
외측 블랭크(58')는 전술한 걸림플랩(78)을 대신하여, 걸림플랩(78)의 기능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한 쌍의 접기플랩(88)을 갖는다. 이들 접기플랩(88)은 걸림플랩(78)과 마찬가지로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에 각각 접속되고, 대응하는 패널과는 반대측인 측연은 접기플랩(88)과 대응하는 패널의 사이의 접기선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각 접기플랩(88)이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의 이면을 향하여 접혀져, 이들 패널(62, 64)에 겹쳐졌을 때, 도 13 중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각 접기플랩(88)의 측연과 사이드패널(60)의 사이의 거리는 대응하는 패널(62 또는 64)의 상연을 향하여 서서히 증가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접기플랩(88)은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에 접착되어 있지 않아, 각 접기플랩(88)의 측연이 대응하는 패널(62 또는 64)로부터 떠있다는 것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외측 블랭크(58')의 경우, 사이드패널(60)의 상하에 위치된 내측상단플랩(90) 및 내측바닥플랩(92)은 마찬가지인 삼각 형상을 이루며, 그리고, 중간바닥플랩(82)도 또한 대략 삼각 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술한 외측 블랭크(58')는 전술한 블랭크(58)와 마찬가지로, 내측 케이 스(4)의 주위로 접혀지고, 이에 의해, 도 14에 도시되는 외측 케이스(2), 즉, 시가렛 상자가 완성된다.
도 14의 시가렛 상자가 닫힘 상태에 있을 때, 접기플랩(88) 및 대응하는 측의 러그(85)는 시가렛 상자의 폭 방향으로 서로 이간(離間)되어 있다. 그러나, 내측 케이스(4)가 개방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접기플랩(88)은 대응하는 측의 러그(85)와 결합하여 내측 케이스(4)의 회동을 저지하고, 이에 의해, 내측 케이스(4)의 최대 튀어나옴 개도
Figure 112008015605357-PCT00003
가 결정된다. 즉, 접기플랩(88) 및 러그(85)는 내측 케이스(4)를 위한 스토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제약되는 것은 없다.
예를 들면, 내측 케이스(4)의 상벽은 전체가 개구되어 있어도 좋고, 외측 케이스(2)의 푸시창(18)은 오각형 이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러그(85) 및 접기플랩(88)은 내측 케이스(4)의 한 쪽 측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좋다.
다음에, 제3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에 대하여, 도 15∼도 2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제1 및 제2 실시예의 부재 및 부위와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 및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이들 부재 및 부위의 설명을 생략한다.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3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가 제조된 직후의 상태에 있을 때, 가동 베이스(22)는 외측 케이스(2)의 전벽(8) 및 배벽(10)의 각각 에 천공열(9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그러므로, 가동 베이스(22)는 천공열(94)을 따라 외측 케이스(2)로부터 분리가능하며, 가동 베이스(22)가 외측 케이스(2)로부터 분리된 후, 내측 케이스(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셀프 힌지(20)의 주위로 회동 가능, 즉 시가렛 상자가 개폐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가렛 상자의 제조 직후에 있어서, 가동 베이스(22)가 외측 케이스(2)로 분리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으면, 외측 케이스(2)의 전벽(8) 및 배벽(10)의 하연이 가동 베이스(22)의 측연으로부터 떠오르는 일은 없다. 이러한 전벽(8) 및 배벽(10)의 하연의 떠오름은 시가렛 상자가 투명필름에 의해 더 감싸질 때, 필름 포장의 장해가 된다. 그러나, 제3 실시예의 경우, 전벽(8) 및 배벽(10)에서의 하연의 떠오름은 저지되어 있으므로, 시가렛 상자의 필름 포장은 안정되게 실시된다.
또한, 도 15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외측 케이스(2)의 푸시창(18)은 측벽(16)의 길이 방향으로 보아 중앙에 위치되고, 그리고, 측벽(16)의 상부에는 마크(mark)(96)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마크(96)는, 시가렛 상자의 상벽(12)이 푸시창(18)의 어느 측에 있는지를 이용자에게 명료하게 나타낸다. 그러므로, 이용자는, 가동 베이스(22)가 하향되도록 시가렛 상자를 올바르게 파지한 상태에서, 내측 케이스(4)의 회동조작을 행할 수 있다.
도 16은 제3 실시예의 내측 케이스(4)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98)를 나타낸다. 이 내측 블랭크(98)는 도 3의 돌기(56)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돌기(56')을 가짐과 아울러, 도 11의 내측 블랭크(34')의 한 쌍의 러그영역(84)과 같 은 기능을 발휘하는 한 쌍의 러그영역(84')을 포함한다. 돌기(56')는 내측사이드플랩(46b)의 폭 방향으로 보아, 내측사이드플랩(46b)의 중앙에 위치되고, 그리고, 러그영역(84')은 원호 모양의 선단을 갖는다.
도 16의 내측 블랭크(98)는 내측팩(IP)의 주위로 접혀지고, 이에 의해, 도 17에 도시되는 내측 케이스(4)가 성형되어, 이 내측 케이스(4)는 러그영역(84')으로부터 형성된 러그(85)를 갖는다.
도 18은 제3 실시예의 외측 케이스(2)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100)를 나타낸다. 이 외측 블랭크(100)는 후방패널(62)의 상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 된 외측상단패널(80)과 전방패널(64)의 상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된 내측상단패널(76)을 포함한다. 내측상단패널(76)은 도 5의 걸림플랩(78)와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걸림홈(102)을 갖는다. 이 걸림홈(102)은 전방패널(64)의 폭 방향으로 보아 내측상단패널(76)의 중앙에 위치되어 내측상단패널(76)의 상연으로부터 전방패널(64)을 향하여 뻗고, 그리고, 전술한 돌기(56')의 두께보다 큰 폭을 갖는다.
또한, 외측 블랭크(100)는 도 13의 접기플랩(88)과 같은 기능을 발휘하는 한 쌍의 접기플랩(88')을 포함한다. 이들 접기플랩(88')은 접기플랩(88)과는 달리, 그 접기선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외측연(外側緣)을 갖는다. 접기플랩(88')의 외측연에는 절결홈(slit)(104, 106)이 형성되고 이들 절결홈(104, 106)은 접기플랩(88')의 외측연을 3개의 부분으로 분리한다.
도 18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후방패널(62)의 하연에는, 외측바닥패널(108)이 전술한 천공열(94) 및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외측바닥패 널(108)은 셀프 힌지(20)를 형성하기 위한 접기선(110)을 갖고, 이 접기선(110)은 외측바닥패널(108)을 도 13의 외측바닥플랩(72) 및 연장플랩(74)에 각각 대응하는 2개의 영역(72', 74')으로 구획한다.
또한, 전방패널(64)의 하연에는 내측바닥패널(112)이 천공열(94) 및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이 내측바닥패널(112)도 또한 접기선(110)을 갖고, 이 접기선(110)은 내측바닥패널(112)를 2개의 영역(72', 74')로 구획한다.
도 18의 외측 블랭크(100)는 전술한 도 17의 내측 케이스(4)의 주위로 접혀지지만, 이 접기에 앞서, 외측 블랭크(100)의 한 쌍의 접기플랩(88')은 후방패널(62) 및 전방패널(64)을 향하여 접혀져, 이들 패널(62, 64)에 각각 겹쳐진다.
이 후, 도 19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후방패널(63) 상에 내측 케이스(4)가 놓여진 후, 사이드패널(60)이 내측 케이스(4)의 측벽(30)을 향하여 접혀지고, 그리고, 전방패널(64)이 내측 케이스(4)의 전벽을 향하여 접혀져, 외측 블랭크(100)는 도 20에 도시되는 상태로 된다.
이 후, 사이드패널(60)의 내측상단플랩(90)이 내측 케이스(4)의 윗면을 향하여 접혀진 후, 내측상단패널(76) 및 외측상단패널(80)이 내측 케이스(4)의 윗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혀진다. 이들 내측상단패널(76) 및 외측상단패널(80)은 서로 겹쳐지는 것과 동시에 접착되고, 이에 의해, 외측 케이스(2)의 상벽(12)이 형성된다.
한편, 상술한 접기와 동시에, 사이드플랩(60)의 내측바닥플랩(92)이 내측 케이스(4)의 바닥면을 향하여 접혀지고, 이 후, 내측바닥패널(112) 및 외측바닥패 널(108)이 내측 케이스(4)의 바닥면을 향하여 순차적으로 접혀진다. 이들 내측바닥패널(112) 및 외측바닥패널(108)은 서로 겹쳐지는 것과 동시에 접착되고, 이에 의해, 외측 케이스(2)의 바닥벽(14)이 형성된다.
더 상세하게는, 내측바닥패널(112) 및 외측바닥패널(108)의 접기선(110)은 서로 합치(合致)하여 셀프 힌지(20)를 형성하고, 그리고, 내측바닥패널(112)의 영역(74')은 내측 케이스(4)의 바닥면에 접착되고, 이 시점에서, 시가렛 상자의 성형이 완료된다. 이 결과, 외측 케이스(2)의 바닥벽(14)에는, 내측바닥패널(112) 및 외측바닥패널(108)의 영역(74')에 의하여 가동 베이스(22)가 형성되며, 이 가동 베이스(22)는 외측 케이스(2)의 전벽(8) 및 배벽(10)의 각각에 천공열(94)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다
시가렛 상자의 내측 케이스(4)가 푸시창(18)을 통하여 밀어졌을 때, 바닥벽(14)의 가동 베이스(22)는 천공열(94)을 따라 외측 케이스(2)로부터 분리된다. 그러므로, 내측 케이스(4)는 셀프 힌지(20)의 주위로 회동하여, 외측 케이스(2)의 개구면(6)으로부터 측방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때, 도 21 중의 일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내측 케이스(4)의 돌기(56')가 외측 케이스(2)에서의 상벽(12)(내측상단패널(76))의 걸림홈(102)에 도달하였을 때, 이 걸림홈(102)의 내연에 돌기(56')가 걸려진다. 따라서, 내측 케이스(4)의 회동이 일시적으로 저지되어, 시가렛 상자는 제1 개방자세로 된다. 이때, 내측 케이스(4)의 러그(85)와 외측 케이스(2)의 접기플랩(88')의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이 확보된다.
이 후, 내측 케이스(4)가 푸시창(18)을 통하여 더 밀려나가거나, 또는 외측 케이스(2)로부터 돌출한 내측 케이스(4)의 부위가 외측으로 더 당겨졌을 때, 돌기(56')와 걸림홈(102)의 결합이 해제되고, 내측 케이스(4)는 도 21 중의 이점쇄선으로 표시되는 바와 같이 러그(85)가 접기플랩(88')에 결합할 때까지 더 회동한다. 따라서, 시가렛 상자는 전술한 제1 개방자세보다, 내측 케이스(4)의 취출구(32)를 크게 개방한 제2 개방자세로 유지된다. 즉, 상술한 제3 실시예의 시가렛 상자는 제1 및 제2 개방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 후, 내측 케이스(4)가 외측 케이스(2) 안으로 되돌려졌을 때, 내측 케이스(4)는 외측 케이스(2) 안에 완전하게 수용된다.

Claims (13)

  1. 내측팩(inner pack)을 수용하여, 이 내측팩이 시가렛의 다발 및 이 다발을 감싸는 포장재를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는,
    외측 케이스로서,
    개구(開口)된 일측면과,
    푸시창(push window)을 갖는 타측벽과,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타측벽까지 뻗는 바닥벽으로서, 상기 개구면 측에 위치된 일부가 그 나머지 부분에 힌지(hinge)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일부가 가동 베이스(movable base)로서 형성되어 있는 바닥벽
    을 포함하는 외측 케이스와,
    상기 외측 케이스 안에 수용되어, 내부에 상기 내측팩을 지지하는 한편,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푸시창을 통하여 밀어졌을 때에,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개구면으로부터 상기 외측 케이스의 측방으로 튀어나오는 내측 케이스로서,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개구면을 막는 외측 측벽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푸시창을 통하여 노출하는 내측 측벽과,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가동 베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가동 베이스와 함께 상기 힌지 주위로 상기 내측 케이스의 회동을 허용하는 바닥벽
    을 포함하는 내측 케이스와,
    상기 내측 케이스가 튀어나왔을 때, 상기 내측 케이스의 회동을 규제하는 스 토퍼(stopper)를 구비하는 시가렛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는, 이 내측 케이스가 상기 외측 케이스로부터 튀어나왔을 때, 상기 외측 케이스의 외측에 위치되는 상기 시가렛을 위한 취출구(取出口)를 더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취출구는 내측 케이스의 상벽(上壁)의 일부로부터 내측 케이스의 전벽 (前壁)및 배벽(背壁)에 각각 걸쳐 형성되어 있는 시가렛 상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결합시켜, 상기 내측 케이스의 최대 회동각(回動角)을 결정하는 시가렛 상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구비된 고정측 요소(固定側 要素)와, 상기 내측 케이스의 상기 내측 측벽으로부터 상기 천정면을 향하여 돌출하고, 상기 내측 케이스가 상기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측 요소에 결합하는 가동측 요소(可動側 要素)를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벽 및 배벽 중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상기 내측 케이스를 결합시켜, 상기 내측 케이스의 최대 회동각을 결정하는 시가렛 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내면에 구비된 고정측 요소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내면에 대향하는 상기 내측 케이스의 내면에 구비되고, 상기 내측 케이스가 상기 튀어나오는 방향으로 회동되었을 때, 상기 고정 요소에 결합하는 가동측 요소를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케이스가 최초로 회동되기 전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시가렛 상자는 상기 외측 케이스에서의 전벽 및 배벽의 각각과 상기 가동 베이스를 분리가능하게 접속하는 천공열(穿孔列)을 더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퍼는,
    상기 외측 케이스의 천정면에 형성된 걸림홈(locking groove)과,
    상기 내측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결합홈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내측 케이스의 제1 개도(開度)를 결정하는 제1 스토퍼 요소와,
    상기 외측 케이스의 전벽 및 배벽 중 적어도 한 쪽의 내면에 겹쳐진 걸림 라이너(locking liner)와,
    상기 내측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걸림 라이너에 결합하였을 때, 상기 내측 케이스의 제2 개도를 결정하는 제2 스토퍼 요소
    를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도는 상기 제1 개도보다 큰 시가렛 상자.
  11. 제5항의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blank set)는,
    상기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와,
    상기 외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
    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블랭크는,
    상기 내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rear panel), 바닥패널(bottom panel) 및 전방패널(front panel)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내측 케이스의 배벽, 바닥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는 후방패널, 바닥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의 양 측연(側緣)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내측사이드플랩(inner side flap)과,
    상기 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내측사이드플랩과 협동하여 상기 내측 케이스의 외측 측벽 및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외측사이드플랩(outer side flap)과,
    상기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내측 및 외측사이드플랩 중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내측 측벽의 상연(上椽)으로부터 돌출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동측 요소를 형성하는 돌기
    를 포함하며,
    상기 외측 블랭크는,
    상기 외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배벽, 측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에 상기 푸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의 한 쪽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에서의 바닥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바닥플랩(bottom flap)과,
    상기 바닥플랩에 힌지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가동 베이스를 형성하는 연장플랩(extension flap)과,
    상기 전방패널 및 후방패널의 한 쪽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에서의 상벽의 내면을 형성하는 상단플랩(top flap)과,
    상기 상단플랩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상벽의 내면으로 향하여 접혀져 상기 스토퍼의 고정측 요소를 형성하는 걸림플랩(locking flap)
    을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
  12. 제7항에 기재한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는,
    상기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와,
    상기 외측 케이스를 형성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
    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블랭크는,
    상기 내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 바닥패널 및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내측 케이스의 배벽, 바닥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는 후방패널, 바닥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내측사이드플랩과,
    상기 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내측사이드플랩과 협동하여 상기 내측 케이스의 외측 측벽 및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외측사이드플랩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적어도 한 쪽의 패널의 일부로부터 형성 되어, 상기 내측 케이스에 가동측 요소로서의 러그(lug)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블랭크는,
    상기 외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배벽, 측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에 상기 푸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의 한 쪽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에서의 바닥벽의 외면을 형성하는 바닥플랩과,
    상기 바닥플랩에 힌지를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기 가동 베이스를 형성하는 연장플랩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한 쪽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벽을 형성하는 상단플랩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한 쪽의 패널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내면에 상기 고정측 요소를 제공하는 접기플랩
    을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
  13. 제10항에 기재한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는,
    상기 내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내측 블랭크와,
    상기 외측 케이스를 성형하기 위한 외측 블랭크
    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블랭크는,
    상기 내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 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 바닥패널 및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내측 케이스의 배벽, 바닥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는 후방패널, 바닥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의 양 측연(側緣)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된 제1 사이드플랩과,
    상기 전방패널의 양 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각각 접속되어, 상기 제1 사이드플랩과 협동하여 상기 내측 케이스의 외측 측벽 및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제2 사이드플랩과,
    상기 내측 측벽을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사이드플랩 중 적어도 한 쪽에, 상기 내측 측벽의 상연(上椽)으로부터 돌출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스토퍼 요소로서의 돌기와,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적어도 한 쪽 패널의 일부로부터 형성되어, 상기 내측 케이스에 상기 제2 스토퍼 요소로서 러그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
    을 포함하며,
    상기 외측 블랭크는, 상기 외측 블랭크의 축선상에 일렬로 나열되고 또한 인접하는 것끼리 접기선에 의해 구획된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로서, 이들 패널이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배벽, 측벽 및 전벽을 각각 형성하고, 또한 상기 사이드패널에 상기 푸시창이 형성되어 있는 후방패널, 사이드패널 및 전방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한 쪽 패널의 하연(下椽)에 대응하는 상기 천공열 및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된 내측바닥패널로서, 상기 가동 베이스의 내측층으로 되는 영역을 구획하는 힌지선을 갖는 내측바닥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다른 쪽 패널의 하연에 대응하는 상기 천공열 및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된 외측바닥패널로서, 상기 가동 베이스의 외측층으로 되는 영역을 구획하고, 또한 상기 내측바닥패널의 상기 힌지선과 함께 상기 힌지를 형성하는 힌지선을 갖고, 상기 내측바닥패널과 협동하여 상기 외측 케이스의 바닥벽을 형성하는 외측바닥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한 쪽 패널의 상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된 외측상단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다른 쪽 패널의 상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외측상단패널과 협동하여 상기 외측 케이스의 상벽을 형성하는 내측상단패널로서, 상기 걸림홈을 갖는 내측상단패널과,
    상기 후방패널 및 상기 전방패널 중 적어도 한 쪽 패널의 외측연에 접기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상기 걸림 라이너를 형성하는 접기플랩
    를 포함하는 시가렛 상자를 성형하기 위한 블랭크 세트.
KR1020087005276A 2005-09-08 2006-08-18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KR1009812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60663 2005-09-08
JPJP-P-2005-00260663 2005-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184A true KR20080034184A (ko) 2008-04-18
KR100981203B1 KR100981203B1 (ko) 2010-09-10

Family

ID=378355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5276A KR100981203B1 (ko) 2005-09-08 2006-08-18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8418845B2 (ko)
EP (2) EP2147872B1 (ko)
JP (2) JP4785074B2 (ko)
KR (1) KR100981203B1 (ko)
CN (1) CN101291858B (ko)
AT (1) ATE507167T1 (ko)
CA (1) CA2621865C (ko)
DE (1) DE602006021649D1 (ko)
ES (2) ES2441795T3 (ko)
HK (1) HK1122257A1 (ko)
MY (1) MY151614A (ko)
RU (1) RU2383483C2 (ko)
TW (1) TWI327981B (ko)
UA (1) UA90169C2 (ko)
WO (1) WO20070294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BO20070480A1 (it) * 2007-07-17 2007-10-16 Gd Spa Pacchetto di sigarette rigido con apertura a basculante.
ITMO20080178A1 (it) * 2008-06-19 2009-12-20 Marco Vecchi Pacchetto per articoli da fumo e relativo blank
ATE506288T1 (de) 2008-07-11 2011-05-15 Reemtsma H F & Ph Verpackung für rauchwaren
ITBO20100368A1 (it) * 2010-06-11 2011-12-12 Gd Spa Confezione di articoli da fumo con apertura a scorrimento.
ITBO20100643A1 (it) * 2010-10-27 2012-04-28 Gd Spa Confezione di articoli da fumo con apertura a scorrimento provvista di coupon e metodo di incarto e macchina impacchettatrice per produrre una confezione di articoli da fumo con apertura a scorrimento provvista di coupon.
JP5747088B2 (ja) * 2011-12-07 2015-07-08 日本たばこ産業株式会社 包装容器
ITBO20120114A1 (it) * 2012-03-07 2013-09-08 Gd Spa Confezione di articoli da fumo.
JP2013203446A (ja) * 2012-03-29 2013-10-07 Kawakami Sangyo Co Ltd 扉付収納箱
DE102012008168A1 (de) * 2012-04-25 2013-10-31 Focke & Co. (Gmbh & Co. Kg) Zigaretten-Pack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EA032191B1 (ru) * 2012-05-02 2019-04-30 ДжейТи ИНТЕРНЭШНЛ СА Упаковка с подвижной внутренней частью
MX356062B (es) * 2012-07-18 2018-05-11 Jt Int Sa Star Sello con evidencia de alteración.
RU2597548C1 (ru) 2012-10-25 2016-09-10 Джапан Тобакко Инк. Установка типа выдвижной коробки
US10131490B2 (en) * 2014-01-15 2018-11-20 G.D Societa' Per Azioni Rigid, swing-open package of tobacco articles
WO2015186089A1 (en) 2014-06-04 2015-12-10 G.D S.P.A. Package of smoke articles with a sliding opening and respective blanks
EP3214017A4 (en) * 2014-12-25 2018-06-20 Japan Tobacco, Inc. Package
US11661268B2 (en) 2015-10-26 2023-05-30 R.J. Reynolds Tobacco Company Product package
US9790020B1 (en) 2016-04-12 2017-10-17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Packaging container for a tobacco product
US10124953B2 (en) 2016-10-13 2018-11-13 Altria Client Services Llc Box in a box re-sealable cigarette pack
US10086987B2 (en) 2016-10-13 2018-10-02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 label for box in a box re-sealable pack
CN107089424B (zh) * 2017-05-15 2019-12-13 云南中烟工业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整体式保润烟盒的复合包裹材料及其制作方法
CN107284786B (zh) * 2017-07-17 2023-10-17 中山火炬职业技术学院 一种纸质多用化妆品盒
US10894658B2 (en) 2018-03-06 2021-01-19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able cigarette pack
US10450120B1 (en) 2018-11-16 2019-10-22 Altria Client Services Llc Re-seal label and container with re-seal label
CN112758464B (zh) * 2020-12-22 2021-12-21 湖北京华彩印有限公司 防误开启的自动关闭式盒型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49910A (en) * 1916-02-26 1917-12-11 Nat Can Co Receptacle.
US1735323A (en) * 1926-02-05 1929-11-12 L Enfant Charles Container
US3052398A (en) * 1960-07-19 1962-09-04 Benjamin Alan Lewin Cigarette package
US3583625A (en) * 1968-10-25 1971-06-08 Gabriel Gero Cigarette dispensing package
US3749234A (en) * 1968-10-25 1973-07-31 Distefano D Cigarette dispensing package
JPS4824760B1 (ko) * 1969-11-06 1973-07-24
US3881599A (en) 1974-01-24 1975-05-06 Brown & Williamson Tobacco Cigarette dispensing package
US4172520A (en) * 1977-09-26 1979-10-30 Andre Gero Cigarette dispensing package
JPS5657660A (en) * 1979-10-02 1981-05-20 Gero Gaburieru Box for distributing tobacco
US4534463A (en) * 1983-11-25 1985-08-13 Ronalds-Federated Limited, Rolph-Clark-Stone Packaging Division Cigarette carton
DE3414214A1 (de) * 1984-04-14 1985-10-24 Maschinenfabrik Fr. Niepmann GmbH u. Co, 5820 Gevelsberg Verpackung fuer laengliche gegenstaende, insbesondere zigaretten oder zigarillos
US4641748A (en) * 1985-10-21 1987-02-10 Brown & Williamson Tobacco Corporation Package for cigarettes and the like
DE3933455A1 (de) * 1989-10-06 1991-04-18 Focke & Co Verpackung aus duennem karton, insbesondere fuer zigaretten
US5139140A (en) 1991-06-19 1992-08-18 R. J. Reynolds Tobacco Company Cigarette package
CA2104178C (en) * 1992-09-01 2006-02-14 Larry Douglas Cobler Cigarette package assembl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7872A1 (en) 2010-01-27
DE602006021649D1 (de) 2011-06-09
EP1923329A1 (en) 2008-05-21
ES2441795T3 (es) 2014-02-06
EP1923329A4 (en) 2009-11-25
ES2367072T3 (es) 2011-10-28
CN101291858A (zh) 2008-10-22
KR100981203B1 (ko) 2010-09-10
JPWO2007029472A1 (ja) 2009-03-19
EP1923329B1 (en) 2013-10-23
TW200722347A (en) 2007-06-16
EP2147872B1 (en) 2011-04-27
US8418845B2 (en) 2013-04-16
JP4785074B2 (ja) 2011-10-05
TWI327981B (en) 2010-08-01
MY151614A (en) 2014-06-30
RU2383483C2 (ru) 2010-03-10
US20080164158A1 (en) 2008-07-10
JP5116118B2 (ja) 2013-01-09
WO2007029472A1 (ja) 2007-03-15
CA2621865C (en) 2011-10-04
RU2008113380A (ru) 2009-10-20
ATE507167T1 (de) 2011-05-15
CN101291858B (zh) 2012-05-30
JP2010058845A (ja) 2010-03-18
HK1122257A1 (en) 2009-05-15
CA2621865A1 (en) 2007-03-15
UA90169C2 (ru)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1203B1 (ko)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 세트
KR100354570B1 (ko) 담배갑과이를제조하기위한블랭크
US5904244A (en) Hinge-lid box for cigarettes and blank
JP4785077B2 (ja) シガレットボックス及びそのブランクセット
EP1105313B1 (en) Pack for smoking articles
AU743375B2 (en) Packaging of smoking articles
RU2568400C2 (ru) Контейнер с выдвижной частью и оболочкой, имеющий запечатывающее средство с индикацией вскрытия
JPH07251889A (ja) 紙巻き煙草用ヒンジ蓋付きパック
NZ588066A (en) Folding cigarette packaging
US20080164161A1 (en) Cigarette box and an outer blank therefor
KR100975179B1 (ko) 시가렛 상자 및 그 블랭크세트
JP4785076B2 (ja) シガレットボックス及びそのブランクセット
JP2537741B2 (ja) コットンパフ用包装容器
JPH0411956Y2 (ko)
TW201520144A (zh) 鉸鏈蓋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