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4098A -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 Google Patents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4098A
KR20080034098A KR1020077029592A KR20077029592A KR20080034098A KR 20080034098 A KR20080034098 A KR 20080034098A KR 1020077029592 A KR1020077029592 A KR 1020077029592A KR 20077029592 A KR20077029592 A KR 20077029592A KR 20080034098 A KR20080034098 A KR 20080034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pin
sleeve
sleeve bearing
insertion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9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디. 하셀보슈
에릭 제이. 요한센
마크 에스. 디케버스
Original Assignee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캐타필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34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8Tracks
    • B62D55/20Tracks of articulated type, e.g. chains
    • B62D55/205Connections between track links
    • B62D55/21Links connected by transverse pivot p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트랙형 작업 기계(10)용 카트리지 베어링 조립체(30)가 제공된다. 카트리지 베어링 조립체(30)는 핀(34)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된 축방향/반경방향 하중 베어링 삽입 부재(36a, 36b)와, 그 사이에 위치설정되는 회전가능한 부싱(42)을 포함한다. 크라운형 슬리브 베어링(40)은 핀(34)과 회전가능한 부싱(42) 사이뿐만 아니라, 삽입 부재(36a, 36b)와 핀(34) 사이에 배치된다. 칼라(44a, 44b)는 핀(34)의 대향 단부에 배치되고 그곳에 고정식으로 결합되어, 그 사이에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다른 부품을 포획한다. 트랙형 작업 기계(10)의 작동 방법은 트랙 핀(34)에 관하여 위치설정되는 삽입 부재(36a, 36b)를 통해 축방향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결합된 트랙 링크(15a, 15b) 사이에 마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트랙형 작업 기계, 카트리지 베어링 조립체, 삽입 부재,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Description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 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CARTRIDGE ASSEMBLY FOR A TRACK CHAIN OF A TRACK TYPE WORK MACHINE AND WORK MACHINE USING SAME}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랙형 작업 기계에 관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트리지 핀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되는 환형 하중 전달 탭을 갖는 제1 및 제2 삽입 부재를 갖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회전가능한 부싱 카트리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트랙형 작업 기계는 건설업, 광업, 오일 및 가스업, 임업 및 다른 험한 작업 환경에 통상적으로 채용된다. 이러한 작업 기계는 바퀴보다는, 작업 기계 본체의 각각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구동 스프로켓(drive sprocket) 및 하나 이상의 아이들러를 중심으로 통상적으로 연장되는 결합 링크의 체인으로 구성되는 트랙을 이용한다. 트랙 또는 "트랙 체인"은 지면과 맞물려 작업 기계가 상대적으로 거친 지형 위를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트랙 체인은 함께 결합되는 이동가능 금속 링크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베어링 및 윤활 오일이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사용된다고 해도, 수 시간의 작업에 걸쳐서, 이동 트랙 체인 부품의 금속 접촉부에 대한 일정 금속은 상당 히 마모될 수 있다. 마멸 및 다른 마모 관련 문제는 트랙 체인 부품이 상당량의 하중에 놓일 수도 있는 상대적으로 큰 트랙형 작업 기계에 특히 유행하기 쉽다. 일부 실시예에서, 큰 하중은 트랙 체인 베어링을 지지하는 핀을 실제로 휘게 하여 베어링 조립체의 관련 구역에 과잉 하중을 부과함으로써 마모 문제를 악화시켜, 심한 마모를 야기한다. 베어링 조립체 핀 또는 공작 기계 이송 방향에 대해 트랙 옆쪽 부분을 압박하기 쉬운 하중은 본 기술분야에서 측면 하중으로 공지되어 있고, 지금까지 특히 처리하기 어려웠다. 측면 하중은 트랙 링크의 인접 부분이 실제로 함께 그라인드되게 만들 수 있다.
트랙 체인의 임의의 제한 형태의 마모에 관련된 하나의 접합 설계는 오르틀리(Oertle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485,116호에 공지되어 있다. 오르틀리는 핀에 관하여 위치설정되고 중심 부싱과 상호작용하는 슬리브 베어링을 채용하였다. 슬리브 베어링은 그 중심을 향하여 임의의 하중을 유도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씌워짐으로써, 과잉 하중을 감소시킨다. 오르틀리가 적어도 임의의 하중 형태에 대한 하나의 성공적인 접근을 보여주었지만, 향상될 여지는 항상 남아있다.
본 개시물은 상술된 하나 이상의 문제 및 단점에 관한 것이다.
일 태양에서, 본 개시물은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조립체는 축을 형성하는 핀과, 핀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되는 회전가능한 부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삽입 부재가 더 제공되고, 그 각각은 회전가능한 부싱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설정된다. 각각의 삽입 부재는 반경방향 하중 베어링면과, 핀을 중심으로 연장되고 그 위에 위치되는 축방향 하중 베어링면을 갖는 환형 탭을 포함한다.
다른 태양에서, 본 개시물은 트랙형 작업 기계를 제공한다. 작업 기계는 내부 트랙 링크 및 외부 트랙 링크를 포함한다.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가 제공되어, 내부 및 외부 트랙 링크를 이동식으로 결합한다. 슬리브 베어링은 축을 형성하는 핀과, 핀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되는 회전가능한 부싱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축방향/반경방향 하중 전달 삽입 부재는 내부 트랙 링크와 결합되고, 각각은 핀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환형 탭을 포함한다.
또 다른 태양에서, 트랙형 작업 기계의 작동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내부 트랙 링크과 외부 트랙 링크 사이에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를 삽입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의 각각의 두 개의 삽입 부재의 내향 연장 환형 탭을 통해 그 위에 축방향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내부 트랙 링크와 외부 트랙 링크 사이에 마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도1은 본 개시물에 관련된 트랙형 작업 기계의 측면도이다.
도2는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 체인의 일 부분의 등각도이다.
도3은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개시물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 리지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5는 본 개시물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개시물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랙형 작업 기계가 도시된다. 작업 기계(10)는 측면에 장착된 구동 스프로켓(20)을 갖는 작업 기계 본체(12)를 포함한다. 트랙 체인(14)은 후방 아이들러(18) 및 전방 아이들러(19) 뿐만 아니라 구동 스프로켓(20)을 중심으로 연장된다. 트랙 체인(14)은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30)를 통해, 각각이 두 개의 나머지에 이동식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링크(15)를 포함한다. 복수의 트랙 롤러(17)는 종래의 방식으로 작업 기계 본체(12)와 결합되어, 트랙 체인(14)에 대항하여 회전할 수도 있다. 작업 기계(10)는 종래의 방식으로, 동일한 트랙 체인과, 구동 스프로켓과, 아이들러를 그 대향 측면 상에 포함할 수도 있다. 작업 기계(10)가 상대적으로 큰 "고 구동(high drive)" 트랙터로서 도시되었지만, 본 개시물은 그것에 제한되지 않고, 폭넓게 다양한 트랙형 작업 기계가 본 개시물에 따라 설계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도2를 참조하면, 트랙 링크(15)와 함께 결합되고 인접한 부분으로 도시되는 트랙 체인(14)의 일 부분이 도시된다. 트랙 링크(15)는 동일할 수도 있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내부" 및 "외부" 링크는 대향 배향으로 설치된 링크를 나타낸다. 이후부터 "카트리지 조립체(30)"로 언급되는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30)는 인접 트랙 링크에 대한 각각의 트랙 링크(15)를 이동식 으로 결합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30)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인접 트랙 링크와 가압 끼워맞춤될 수도 있는, 미리 조립된 비가용 모듈을 포함한다. 일단 가압 끼워맞춤되면, 임의의 부품은 필요에 따라 함께 용접될 수도 있다. 그러나,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다양한 부품이 미리 조립될 필요는 없고, 대신 본 개시물의 범주 내에서 전체 트랙 체인(14)을 조립시 트랙 링크(15)와 함께 결합될 수도 있다. 또한, 각각의 카트리지 조립체(30)가 트랙 링크와 가압 끼워맞춤될 필요는 없지만, 그러나 대신 소정의 다른 수단을 통해 결합될 수도 있다.
도2의 대략 중심부에 도시된 단면 카트리지 조립체(30)를 특히 참조하면, 카트리지 조립체(30)는 축 "L"을 형성하는 핀(34)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환형 칼라(44a, 44b)는 핀(34)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각각 위치설정되고, 그 사이에 가압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보어(35)는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부품에 윤활 오일을 제공하도록 핀(34)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밀봉부(31)는 보어(35)의 일 단부 또는 양 단부에 통상적으로 위치설정될 것이다. 제1 및 제2 환형 삽입 부재(36a, 36b)는 칼라(44a, 44b) 각각에 인접하여 그리고 내부에 (축(L)을 따라 카트리지 조립체(30)의 중심을 향하여) 각각 위치설정된다. 회전가능한 부싱(42)은 삽입 부재(36a, 36b) 사이에 위치설정된다. 일 실시예에서, 핀(34)으로 결합될 때, 칼라(44a, 44b)는 회전가능한 부싱(42)과, 삽입 부재(36a, 36b)와, 그들 사이에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다른 부품을 포획한다. 삽입 부재(36a, 36b), 회전가능한 부싱(42) 및 트러스트 링(본 명세서에 설명됨)은 핀(34)을 중심으로 미끄러짐 끼워맞춤될 수도 있다. 회전가능한 부싱(42)은 트랙(14)이 작업 기계 작동시 경로에 대하여 이송함에 따라 도1에 도시된 구동 스프로켓(20)에 대항하여 통상적으로 회전할 것이고, 아이들러(18, 19)에 대항하여 또한 회전할 수도 있다.
도2의 카트리지 조립체(30)는 본 개시물의 몇몇의 가능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라 도시된다. 각각의 트랙 링크(15)는 통상적으로 동일할 것이고, 내부 링크(15b) 및 외부 링크(15a)의 세트를 포함할 수도 있다. 내부 및 외부 링크의 각각의 세트는 카트리지 조립체(30)를 통해 인접 트랙 링크의 외부 또는 내부 링크와 결합될 수도 있다. 특히, 내부 링크(15b)는 예를 들어 가압 끼워맞춤을 통해 삽입 부재(36a, 36b)와 결합될 수도 있고, 외부 링크(15a)는 또한 예를 들어 가압 끼워맞춤을 통해 칼라(44a, 44b)와 결합될 수도 있다. 삽입 부재(36a, 36b)는 칼라(44a, 44b)보다 약간 더 큰 외경을 가질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링크(15a, 15b)가 실질적인 접촉없이 작동시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수도 있도록, 외부 링크(15a)는 상대적으로 작은 간격 "Z"에 의해 내부 링크(15b)로부터 통상적으로 분리될 것이다.
도2의 실시예에서, 회전가능한 부싱(42)은 두 개의 슬리브 베어링(40) 상에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삽입 부재(36a, 36b)는 두 개의 분리 슬리브 베어링(40) 상에 또한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각각의 슬리브 베어링(40)은 질화 강철과 같은 상대적으로 경질 금속 재료로 형성될 수도 있고, 그 외경의 중간점에 대하여 곡선의 주연 방향 크라운(crown)(41)을 포함할 수도 있음이 고려된다. 그러나, 실시예 는 슬리브(40)가 대안적인 크라운형 기하학적 형상을 포함하거나 또는 크라운형이 아닌 것으로 고려되었다. 복수의 밀봉부(43)는 삽입 부재(36a, 36b)와 부싱(42)의 사이 뿐만 아니라 칼라(44a, 44b)와 삽입 부재(36a, 36b) 각각의 사이에 또한 제공되고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밀봉부(43)는 하셀부쉬(Hasselbusch)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382,742호에 설명된 형태와 유사한 환형 엘라스토머 밀봉부일 수도 있다.
각각의 삽입 부재(36a, 36b)는 축방향 보어(47)와, 대응 축방향 보어(4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되는 각각의 슬리브 부재(4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삽입 부재(36a, 36b)를 지지하는 외부 슬리브 베어링(40)은 각각의 보어(47)의 외향으로 각각 연장하고,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대응 단부에서 칼라와 접합하거나 또는 거의 접합한다. 부싱(42)을 지지하는 내부 슬리브 베어링(40)은 부싱(42) 사이에 그 각각의 위치로부터 외향으로 연장하고, 삽입 부재(36a, 36b)를 접합하거나 또는 거의 접합할 수도 있다. 삽입 부재(36a, 36b)와 그 대응 슬리브 베어링(40) 사이의 상호작용은 반경방향 하중이 내부 링크 스트랩(15b)으로부터 삽입 부재(36a, 36b)로, 그리고 각각의 삽입 부재(36a, 36b)의 내경을 통해 슬리브 베어링(40)으로, 그리고 그곳에서부터 핀(34)까지 슬리브 베어링(40)으로부터 하중이 전달되게 한다.
각각의 크라운(41)은 각각의 슬리브 베어링(40)과 핀(34) 사이의 경계부를 가로질러 하중이 상대적으로 균일하게 형성되게 한다. 즉, 각각의 상대적으로 작은 크라운(41)은, "반경방향" 하중이 반경방향이 아닌 벡터 성분을 포함해도, 각각 의 삽입 부재(36a, 36b)는 각각의 슬리브 베어링(40)의 에지 부분이 아닌 각각의 크라운(41)으로 하중을 주로 전달하는 것을 보장한다. 각각의 슬리브 베어링(40)을 통해 핀(34)으로 차례로 전달되는 하중은 그 사이의 경계부를 가로질러 더 균일하게 통상적으로 분배되어, 양쪽의 인접 부품 상의 과잉 마모를 피할 것이다. 슬리브 베어링(40)을 통해 부싱(42)과 핀(34) 사이에 반경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것은, 삽입 부재(36a, 36b)와 핀(34) 사이의 반경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것에 관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발생한다.
각각의 삽입 부재(36a, 36b)는 핀(34)을 향하여 대응 삽입 부재로부터 내향으로 연장되는 보어(47)의 내부 단부의 부근에 환형 탭(38)을 더 포함한다. 각각의 환형 탭(38)은 인접 슬리브 베어링(40)까지 내부 또는 외부 방향 중 하나로 각각의 삽입 부재(36a, 36b) 상에 축방향 하중을 작용시키도록 또한 구성될 수도 있다. 각각의 환형 탭(38)은 그 대향 측면 상에 축방향 하중 전달면(39)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축방향 하중은 일반적으로 축(L)과 정렬됨으로써, 카트리지 조립체(30) 상에 이러한 하중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작업 기계 작동시 카트리지 조립체(30)에 의해 직면하기 쉬운 사실상 모든 하중이 축방향 벡터 성분과 반경방향 벡터 성분 양자 모두를 포함할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카트리지 조립체(30)의 각각의 반경방향 및 축방향 하중 베어링 특징부는 통상적으로 계획적으로 작동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환형 탭(38)은 인접 슬리브 베어링(40)으로 하중의 축방향 부분을 전달할 수도 있고, 각각의 삽입 부 재(36a, 36b)는 그 각각의 보어(47)에 배치되는 슬리브 베어링(40)으로 하중의 반경방향 부분을 전달할 수도 있다. 또한, 하중의 방향에 따라서, 반경방향 성분 및 축방향 성분 양자 모두가 동일한 슬리브 베어링(40)에 초기적으로 전달될 수도 있다.
도3은 본 개시물에 따른 카트리지 조립체(23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조립체(230)는 카트리지 조립체(330)의 특정 태양과 유사하고, 도2에 도시된 것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특징부를 식별하도록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다른 베어링 조립체 실시예와 같이, 카트리지 조립체(230)는 도시된 카트리지 조립체를 위해 도2의 트랙(14)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는 점이 더 고려된다. 도2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카트리지 조립체(230)는 부싱(42)과 핀(34) 사이에 배치되는 슬리브 베어링을 포함하지 않는다. 오히려, 부싱(42)은 핀(34)의 외경과 유사한 실질적으로 일정한 내경을 포함하고, 그것에 관하여 회전한다. 측면 보어(29)는 축방향 보어(35)와 연결하고, 부싱(42)과 핀(34) 사이에 윤활유가 제공되게 하는 카트리지 조립체(230)에 제공될 수도 있다. 측면 보어는 본 명세서에 설명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제공될 수도 있다. 환형 트러스트 링(46)의 세트는 삽입 부재(36a, 36b)의 환형 탭(38)과 부싱(42) 사이에 축방향 하중이 전달되게 하도록 부싱(42)의 대향 측면 상에 위치설정될 수도 있다.
도4는 본 개시물에 따른 카트리지 조립체(3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된 것들과 마찬가지로 임의의 특징부를 식별하도록 동일한 도면 부호가 사용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삽입 부재(36a, 36b)의 환형 탭(38)이 대응 축방향 보어(347)의 외부 단부 부근에 위치설정된다는 점에서 도4의 카트리지 조립체(330)는 도2 및 도3의 실시예와 다르다. 트러스트 링(46)은 그 사이에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도록 삽입 부재(36a, 36b)와 칼라(44a, 44b) 사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도5는 본 개시물에 따른 카트리지 조립체(430)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카트리지 조립체(430)는 도4의 카트리지 조립체(330)와 유사하지만, 슬리브 베어링(40)이 그 대향 단부에서 부싱(42)과 핀(34) 사이에 또한 배치된다는 점이 주로 상이하다.
작업 기계(10)가 작업면을 가로질러 이송함에 따라, 트랙(14)은 경로를 따라 스프로켓(20) 및 아이들러(18, 19)를 중심으로 이송할 것이다. 트랙(14)이 균일하지 않은 표면 위를 통과하거나, 또는 트랙(14)이 스프로켓(20) 또는 아이들러(18, 19) 주위를 통과할 때와 같이, 트랙(14)이 경로의 커브와 직면할 때, 인접 트랙 링크(15)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것이다. 도2를 특히 참조하면, 인접 트랙 링크가 회전하면, 링크(15a, 15b)는 서로에 대하여 회전할 것이다. 따라서, 삽입 부재(36a, 36b)는 칼라(44a, 44b)에 대하여 핀(34)을 중심으로 회전할 것이다. 칼라(44a, 44b)는 핀(34)으로 예를 들어 가압 끼워맞춤으로 통상적으로 고정식으로 결합되기 때문에, 핀(34)에 대하여 고정된 채로 남겨진다.
예를 들어, 외부 링크 스트랩(15a)이 내부 링크 스트랩(15b)에 대하여 축(L)과 정렬되는 방향으로 압박되는 경우와 같이, 트랙(14)이 측면 하중과 직면할 때, 칼라 중 하나는 바로 인접한 부품에 대항하여 지탱할 것이다. 예를 들어, 외부 링크 스트랩(15a)이 도2의 실시예의 왼쪽으로 가압되면, 오른쪽 칼라(44b)는 바로 인접한, 가장 오른쪽 슬리브 베어링(40)에 대항하여 지탱할 것이다. 가장 오른쪽 슬리브 베어링(40)은 삽입 부재(36b)의 환형 탭(38)으로 축방향 하중을 차례로 전달하고, 바로 인접한 슬리브 베어링(40)으로 축방향 하중을 차례로 전달하고, 따라서 축(L)으로 정렬되는 방향으로, 궁극적으로 왼쪽 칼라(44a)로 축방향 하중을 전달할 것이다. 유사한 공정이 뒤이어 일어날 경우, 내부 링크(15b)는 외부 링크(15a)에 대하여 일 측으로 유사하게 압박되어, 축방향 하중이 카트리지 조립체(30)를 가로질러 전달된다. 축방향 하중을 작용시키는 공정은 트러스트 링(46)이 카트리지 조립체를 가로질러 하중을 전달함으로써 관련되는 것을 제외하고, 도3 내지 도5의 실시예와 거의 같다.
따라서, 본 개시물은 베어링 조립체, 예를 들어, 많은 종래의 설계보다 임의 형태의 하중을 더 잘 수용할 수 있는 카트리지 베어링 조립체를 제공한다. 임의의 종래의 설계에서는, 하중이 불균형하게 분배되어, 과도한 그리고/또는 불균일한 마모를 야기했다. 더욱 나쁘게는, 임의의 설계에서, 인접 트랙 링크가 측면 하중에 의해 함께 가압될 수 있어, 베어링 조립체 뿐만 아니라 트랙 링크에 과도한 마모를 야기했다. 상술된 환형의 하중 베어링 탭을 제공함으로써, 축방향 하중이 조립체를 가로질러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내부 및 외부 트랙 링크가 함께 가압되기 쉽지 않게 되고, 마모가 덜 생성된다. 또한, 삽입 부재를 지지하기 위해 슬리브 베어링, 특히 크라운형 슬리브 베어링을 통합함으로써, 불균형하게 하 중 부가된 베어링 조립체 부품의 에지를 만들지 않고 반경방향 하중이 핀(34)에 전달될 수도 있다.
트랙(14)의 트랙 링크는 카트리지 조립체(30)보다 먼저 통상적으로 마모될 것이다. 그러나, 부분 파손 또는 밀봉부 누설이 발생될 수 있고, 소정의 예에서는 주어진 작업 기계를 위한 트랙을 재건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 조립체를 대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러한 예에서, 당김 기구 또는 소정의 다른 수단이 트랙(14)으로부터 손상된 카트리지 조립체를 제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새로운 카트리지 조립체가 그 자리에 대체될 수도 있고, 트랙 링크는 다시 한번 카트리지 조립체에 관하여 가압된다.
본 설명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이고, 임의의 방식으로 본 개시물의 범주 를 좁히도록 구성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현재 개시된 실시예에 다양한 변경이 본 개시물의 의도된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만들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슬리브 베어링(40)의 외부 크라운이 실용적인 실시예가 될 수 있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지만,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슬리브 베어링보다 삽입 부재(36a, 36b)의 내경 및/또는 부싱(42)의 내경에 크라운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태양에서, 특징 및 장점은 부착된 도면 및 후속의 청구범위를 심사함에 따라 명백해질 것이다.

Claims (10)

  1. 트랙형 작업 기계(10)의 트랙 체인(14)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30)이며,
    축(L)을 형성하는 핀(34)과,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되는 회전가능한 부싱(42)과,
    각각 상기 회전가능한 부싱(42)의 대향 측면 상에 각각 위치설정되는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를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는 반경방향 하중 베어링면과,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연장되고 상부에 위치되는 축방향 하중 베어링면(39)을 갖는 환형 탭(38)을 포함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36a, 36b) 중 하나의 환형 탭(38)에 인접하여 각각 위치설정되는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 각각은 축방향 보어(47)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 각각은 대응 삽입 부재(36a, 36b)의 축방향 보어(47)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되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
  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 각각은 곡선 크라 운(41)을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30)는 상기 핀(34)의 대향 단부에 고정식으로 결합되는 제1 및 제2 칼라(44a, 44b)를 포함하는 비가용 카트리지를 포함하고, 상기 칼라(44a, 44b)는 각각 상기 삽입 부재(36a, 36b)와 상기 회전가능한 부싱(42)을 그 사이에 포획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은 상기 제1 및 제2 칼라(44a, 44b)에 각각 인접하여 위치설정되고,
    각각의 상기 삽입 부재(36a, 36b)의 환형 탭(38)은 대응 축방향 보어(47)의 내측 단부 부근에 위치설정되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부재(36a, 36b)의 각각의 환형 탭(38)은 대응 축방향 보어(47)의 외측 단부 부근에 위치설정되는,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
  6. 트랙형 작업 기계(10)이며,
    내부 트랙 링크(15b)와,
    외부 트랙 링크(15a)와,
    상기 내부 및 외부 트랙 링크(15a)를 이동식으로 결합하는 슬리브 베어링 조 립체(30)를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30)는 축(L)을 형성하는 핀(34)과,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위치설정되는 회전가능한 부싱(42)과, 상기 내부 트랙 링크(15b)와 결합되고 각각 상기 핀(34)을 중심으로 연장되는 환형 탭(38)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축방향/반경방향 하중 전달 삽입 부재(36a, 36b)를 포함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핀(34)과, 상기 삽입 부재(36a, 36b) 중 하나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각각 위치설정되는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의 각각의 환형 탭(38)은 대응 슬리브 베어링(40)에 인접하고 상기 핀(34)의 외부면에 대해 수직 배향되는 축방향 하중 베어링면(39)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의 각각은 축방향 보어(47)를 포함하고, 각각의 개별 환형 탭(38)은 대응 축방향 보어(47)의 일 단부 부근에 내향으로 연장되는, 트랙형 작업 기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 베어링 조립체(30)는 상기 회전가능한 부싱(42)과 상기 핀(34) 사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설정되는 제3 및 제4 슬리브 베어링(4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리브 베어링(40)의 각각은 곡선 크라운(41)을 포함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
  9. 트랙형 작업 기계(10)를 작동하는 방법이며,
    내부 트랙 링크(15b)와 외부 트랙 링크(15a) 사이에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30)를 삽입하는 단계와,
    회전가능한 부싱 슬리브 베어링 카트리지 조립체(30)의 두 개의 삽입 부재(36a, 36b)의 각각의 내향 연장 환형 탭(38)을 통해 축방향 하중을 작용시킴으로써 내부 트랙 링크(15b)와 외부 트랙 링크(15a) 사이에 마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 작동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마모를 감소시키는 단계는 내향 연장 환형 탭(38)의 각각을 통해 칼라(44a, 44b) 중 적어도 하나에 내부 및 외부 트랙 링크(15a) 중 적어도 하나에 축방향 하중을 전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삽입 단계 이전에,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와, 회전가능한 부싱(42)과,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 각각을 핀(34)을 중심으로 미끄러짐 끼워맞춤함으로써 카트리지 조립체(30)를 조립하는 단계와,
    제1 및 제2 삽입 부재(36a, 36b)와, 회전가능한 부싱(42)과, 제1 및 제2 슬리브 베어링(40)을 사이에 포획하도록 핀(34)의 대향 단부에 제1 및 제2 칼라(44a, 44b)를 가압 끼워맞추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트랙형 작업 기계 작동 방법.
KR1020077029592A 2005-06-20 2006-04-25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KR20080034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156,377 2005-06-20
US11/156,377 US7347513B2 (en) 2005-06-20 2005-06-20 Cartridge assembly for a track chain of a track type machine and machine using s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098A true KR20080034098A (ko) 2008-04-18

Family

ID=36950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9592A KR20080034098A (ko) 2005-06-20 2006-04-25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347513B2 (ko)
JP (2) JP5318570B2 (ko)
KR (1) KR20080034098A (ko)
CN (1) CN101203420B (ko)
DE (1) DE112006001653T5 (ko)
RU (1) RU2392164C2 (ko)
WO (1) WO20070016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766433B2 (en) * 2006-09-22 2010-08-03 Deere & Company Cartridge for use as joint in endless track chain and associated method
US7597410B2 (en) * 2007-03-23 2009-10-06 Deere & Company Track chain joint with radial seal unit
US8100483B2 (en) * 2007-10-18 2012-01-24 Caterpillar Inc. Machine and track assembly for use therewith
NZ560757A (en) 2007-10-28 2010-07-30 Lanzatech New Zealand Ltd Improved carbon capture in microbial fermentation of industrial gases to ethanol
US7959239B2 (en) 2008-03-25 2011-06-14 Caterpillar Inc. Track assembly having wear inhibiting contact members
US7850256B2 (en) * 2008-10-24 2010-12-14 Deere & Company Dual-bushing track chain cartridge
US8336970B2 (en) * 2008-12-16 2012-12-25 Caterpillar Inc. Link and link assembly for track-type machine
IT1393533B1 (it) * 2009-03-24 2012-04-27 Berco Spa Catena a boccole rotanti per veicoli cingolati con cuscinetti a strisciamento migliorati
US8070241B2 (en) * 2009-08-27 2011-12-06 Deere & Company Track chain joint with rotatable pin
US20110079451A1 (en) * 2009-10-01 2011-04-07 Caterpillar, Inc. Strength Track Bushing
US9073589B2 (en) * 2009-10-23 2015-07-07 Caterpillar Inc. Pin joint component with improved wear surfaces
US8613486B2 (en) * 2009-11-09 2013-12-24 Caterpillar Inc. Bushing for a track-type undercarriage
US8678696B2 (en) 2010-03-31 2014-03-25 Caterpillar Inc. Seal assembly for track pin joint assembly
US8721213B2 (en) * 2010-03-31 2014-05-13 Caterpillar Inc. Seal assembly for track pin joint assembly
DE102011012711B3 (de) * 2011-03-01 2012-07-12 Bucyrus Hex Gmbh Raupenfahrwerk
US20120267947A1 (en) 2011-04-22 2012-10-25 Caterpillar, Inc. Twin Bushing Track Chain Cartridge
US8985590B2 (en) 2011-04-22 2015-03-24 Caterpillar Seal assembly for track pin joint assembly of undercarriage
US9126645B2 (en) * 2011-06-28 2015-09-08 Caterpillar Inc. Track chain cartridge having thrust bearings
US9327783B1 (en) 2013-05-07 2016-05-03 Deere & Company Cartridge joint with convoluted seal
JP6179217B2 (ja) * 2013-06-24 2017-08-1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積層体
JP6167692B2 (ja) * 2013-06-27 2017-07-26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積層体
JP6171623B2 (ja) * 2013-06-27 2017-08-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ゴム積層体
WO2015002552A1 (en) 2013-07-04 2015-01-08 Lanzatech New Zealand Limited Multiple reactor system and process for continuous gas fermentation
US9623920B2 (en) 2013-08-29 2017-04-1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505453B2 (en) 2013-08-29 2016-11-29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434425B2 (en) 2013-08-29 2016-09-06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604681B2 (en) 2013-08-29 2017-03-28 Caterpillar Inc. Track joint assemblies
US9416848B2 (en) 2014-12-10 2016-08-16 U.S. Tsubaki, Inc. Pin-roller chain
US9151359B1 (en) 2014-12-10 2015-10-06 U.S. Tsubaki, Inc. Pin-roller chain
US9610988B2 (en) 2015-07-06 2017-04-04 Caterpillar Inc. Track pin for track chains
US20170050688A1 (en) * 2015-08-19 2017-02-23 Caterpillar Inc. Lubricated Cartridge for Hydraulic Mining Shovel Track
US10046816B2 (en) * 2016-07-07 2018-08-14 Caterpillar Inc. Cartridge assembly with a flexible thrust ring assembly for a track chain
US10457343B2 (en) 2016-10-07 2019-10-29 Caterpillar Inc. Track chain assembly of undercarriage with link having increased pitch
CN109790591A (zh) 2016-10-13 2019-05-21 卡特彼勒公司 一种用于机器履带链组件的氮化履带销
DE102019205463A1 (de) * 2019-04-16 2020-10-22 Aktiebolaget Skf Sensorlagereinheit, Anordnungsverfahren der Einheit und Verfahren zum Anordnen der Sensorlagereinheit an der Welle
US11554823B2 (en) * 2019-09-09 2023-01-17 Caterpillar Inc. Sleeve bearing having a flared end
US20220106000A1 (en) 2020-10-06 2022-04-07 Caterpillar Inc. Ferritic Nitro-Carburized Track Pin for Track Chain Assembly of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53A (en) * 1862-09-02 Improvement in endless-chain horse-powers
US3492054A (en) * 1967-12-29 1970-01-27 Caterpillar Tractor Co Track hinge joints with rotating bushings
US3601454A (en) * 1969-06-19 1971-08-24 Caterpillar Tractor Co Cartridge joint for heavy duty track chain
US5183318A (en) * 1991-11-26 1993-02-02 Caterpillar Inc. Endless track chain for track-type vehicles
JP3683060B2 (ja) * 1996-12-13 2005-08-1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装軌式車両の履帯装置
US6486051B1 (en) * 1999-03-17 2002-11-26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relieving bond stress in an under-bond-pad resistor
JP2001199373A (ja) 2000-01-18 2001-07-24 Hitachi Constr Mach Co Ltd 履帯シール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シール
US6382742B1 (en) * 2000-04-20 2002-05-07 Caterpillar Inc. Cartridge assembly for a track chain of a track type work machine
US6386651B1 (en) * 2000-04-20 2002-05-14 Caterpillar Inc. Insert arrangement for a track chain assembly
US6846051B2 (en) * 2000-08-21 2005-01-25 Caterpillar Inc Joint assembly to resist galling
US6485116B1 (en) * 2000-08-21 2002-11-26 Caterpillar Inc. Joint assembly to resist galling
DE60132560T2 (de) * 2000-12-22 2009-01-29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Raupenkette
JP4481522B2 (ja) * 2001-04-03 2010-06-16 日立建機株式会社 履帯
US6783196B2 (en) * 2002-08-13 2004-08-31 Caterpillar Inc Master link for a track chain
US6739680B2 (en) * 2002-08-21 2004-05-25 Caterpillar Inc Cartridge assembly for a track chain
US6869244B2 (en) 2002-12-17 2005-03-22 Caterpillar Inc Articulated pin joint for a track ch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54797A (ja) 2012-12-27
WO2007001616A1 (en) 2007-01-04
CN101203420B (zh) 2011-06-08
RU2392164C2 (ru) 2010-06-20
DE112006001653T5 (de) 2008-05-08
RU2008102081A (ru) 2009-07-27
JP5318570B2 (ja) 2013-10-16
JP2008546588A (ja) 2008-12-25
CN101203420A (zh) 2008-06-18
US7347513B2 (en) 2008-03-25
US20060284485A1 (en) 200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4098A (ko) 트랙형 작업 기계의 트랙 체인용 카트리지 조립체 및그것을 사용하는 작업 기계
US7959239B2 (en) Track assembly having wear inhibiting contact members
US7850256B2 (en) Dual-bushing track chain cartridge
JP5118273B2 (ja) 作業機械用履帯チェーン・アセンブリ
US9745005B2 (en) Roller assembly for a track-type machine
CA3126711C (en) Sealing system for a track
EP3921219B1 (en) Track joint assembly in machine track having pin stop for cartridge pin retention
CA3149230C (en) Cartridge pin assembly comprising a sleeve bearing having a flared end and track chain assembly comprising cartridge pin assembly
JP2023505793A (ja) 拡大された中央セクションを有するトラックピンを備えた、地面係合トラック用トラックジョイントアセンブリ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