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452A -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452A
KR20080032452A KR1020060098242A KR20060098242A KR20080032452A KR 20080032452 A KR20080032452 A KR 20080032452A KR 1020060098242 A KR1020060098242 A KR 1020060098242A KR 20060098242 A KR20060098242 A KR 20060098242A KR 20080032452 A KR20080032452 A KR 20080032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cycle
brake
plunger
conductor
conduct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이상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건 filed Critical 이상건
Priority to KR1020060098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32452A/ko
Publication of KR20080032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4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4Rear lights
    • B62J6/045Rear lights indicating brak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3/00Acoustic signal devices; Arrangement of such devices on cycles
    • B62J3/02Mechanical devices
    • B62J3/04Mechanical devices activated by the rider, e.g. bells or ho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1Electric circ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2Headl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05Direction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6/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on cycles;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
    • B62J6/16Arrangement of switc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자전거를 주행함에 있어 자전거의 주행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시킴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는, 자전거의 제동레버에 연동되게 연결된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속 및 이격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를 구비한 제동등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제동등;을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주간 및/또는 야간 에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그 작동이 정밀한 장점이 있다.
자전거, 안전표시, 제동레버, 제동등, 스위치

Description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SAFETY INDICATING APPARATUS FOR BICYL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가 자전거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의 회로 구성도.
도 4는 도 2의 D-D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5는 도 4의 대안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3, 4 : 제동등 스위치부 10 : 제1브라켓
20 : 제2브라켓 21 : 제동등
31 : 케이스 32 : 작동로드
33 : 플런저 34, 35 : 제1 및 제 2 도전체
본 발명은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간 및 야간에 자전거를 주행함에 있어 자전거의 주행 상태를 용이하게 인식시킴으로써 각종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라 함은 사람의 힘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움직이는 2륜차의 일종으로, 발로 밟는 힘을 페달·크랭크 기구·체인을 거쳐 뒷바퀴에 전달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앞바퀴는 조향, 뒷바퀴가 구동식이고 탄 사람의 발의 힘을 크랭크기구로 회전력으로 바꾸어 큰 스프로킷에 물려 있는 체인으로 뒷바퀴에 전달하며, 앞뒤 바퀴에 독립적으로 작동되는 수동식 브레이크가 있다. 프레임은 삼각형을 2개 합한 것과 같은 모양으로 파이프로 연결한 것이고, 파이프는 바깥지름 25.4∼28.6mm, 두께 1∼1.4mm의 저탄소강관 또는 고장력강관으로 되어 있다. 또 특수강관인 경우에는 강관을 0.4∼1.0mm의 얇고 가벼운 재료를 프레스가공한 것이거나 가단주철로 된 연결부에 끼우고 황동용접이나 경납땜하여 만든다. 또는 연결부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파이프만을 저온용접하거나 다이캐스트 가공으로 고정하여 틀을 형성하기도 한다. 어느 경우이든 방수피막(防銹被膜)을 씌운 다음 도장한다. 안장이 설치되는 세로 파이프 부분의 길이를 프레임치수라 부르고 자전거의 크기를 나타낸다. 타는 사람의 다리 길이에 적합한 치수의 프레임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보통 26이라든가 24라고 하는 것은 바퀴의 바깥지름을 인치로 부르는 것이다. 앞포크는 헤드파이프 상하에 있는 볼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좌우를 회전할 수 있게 되었고 차종에 따라 그것에 알맞게 구부러져 있다. 이 굽음의 값과 헤드파이프의 노면에 대한 경사각(카스터각) 및 앞바퀴타이어의 복원력으로 차의 안정성·조향성 이 좌우된다. 앞포크의 2개의 다리 사이에 앞바퀴가 지지된다. 바퀴의 중심부에 자전거 특유의 컵콘형(cup and cone type)이라고 부르는 베어링을 좌우에 둔 허브(hub)가 있다.
한편, 이러한 자전거는 자동차 또는 오토바이 등과 같이 좌우 회전시 또는 급작스러운 정지시에 그 후방 또는 전방측 보행자 또는 운전자 등이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가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자전거는 혼(horn) 등과 같은 청각적 경고수단을 구비하고 있지만, 좌우 방향표시등, 전조등 등과 같은 시각적 경고수단을 구비하지 않아 자전거의 전방 또는 후방 측의 보행자 또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없고, 이에 따라 자전거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치명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간 및/또는 야간 에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그 작동이 정밀한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는,
자전거의 제동레버에 연동되게 연결된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구 비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속 및 이격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를 구비한 제동등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제동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도전체는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도전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2도전체를 제1도전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체는 상호 접속 및 이격된다.
상기 제동등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제동등에는 릴레이회로가 접속되며, 각 제동등은 릴레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프레임 전방 및 후방 측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좌우 방향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프레임 전방 측에 하나 이상의 전조등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혼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는 제동등 스위치부(3, 4) 및 이 제동등 스위치부(3, 4)에 의해 점등하는 제동등(21, braking lighting)을 포함한다.
제동등 스위치부(3, 4)는 제1브라켓(10)측에 설치되고, 이 제1브라켓(10)은 자전거(50)의 핸들(51)측에 클램프(10a, 10b)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설치되며, 이 핸들(51)측에는 제동레버(52, safety lever)가 설치되어 있다.
제동등 스위치부(3, 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레버(52)의 제동 및 해제작동에 연동하여 온/오프작동한다.
제동등 스위치부(3, 4)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제동등(21)은 그 점등이 제어된다. 제동등(21)은 하나 이상의 제동등(21a, 21b, 21c)을 포함하고, 이러한 제동등(21a, 21b, 21c)들은 제2브라켓(20)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2브라켓(20)은 클램프(24)를 통해 자전거(50)의 프레임(53) 후면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제동등 스위치부(3, 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스(31), 이 케이스(31)의 내부로 제동레버(52)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로드(32), 작동로드(32)의 단부에 구비된 플런저(33), 이 플런저(33)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촉 및 이탈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를 포함한다.
작동로드(32)는 그 일단부가 자전거(50)의 제동레버(52)에 연결체(36)를 매개로 링크연결되고, 이에 따라 제동레버(52)를 도 4의 화살표 CC방향으로 회동시키면(즉 제동레버(52)의 제동작동),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는 도 4의 화살표 B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그 제동조작이 완료되어 제동레버(52)를 놓으면 제동레버(52)는 핸들(51)과의 사이에 구비된 복귀메커니즘에 의해 원래상태를 복귀 하고, 즉 도 4의 화살표 K방향으로 복귀하고,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는 도 4의 화살표 F방향으로 복귀한다.
플런저(33)는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작동로드(32)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이 플런저(33)에는 돌기(33a)가 형성되며, 이 돌기(33a)는 제1도전체(34a)를 관통하여 제2도전체(35)를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이격 내지는 접촉된다.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도전체(34, 35) 각각은 전선(34a, 35a)을 통해 제동등(21)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도전체(34)는 케이스(31) 내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제2도전체(35)는 탄성부재(37)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전거(50) 주행도중에 제동하기 위해 제동레버(52)를 작동시키면(즉, 도 4의 화살표 CC방향으로 제동레버(52)를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 및 플런저(33)가 일체로 화살표 B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플런저(33)의 돌기(33a)도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2도전체(35)는 탄성부재(37)에 의해 제1도전체(34)측으로 가압되어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접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도전체(34, 35)의 접촉동작이 제동등(21)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온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제동레버(52)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면, 작동로드(32) 및 플런저(33)가 화살표 F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플런저(33)의 돌기(33a)가 제 2도전체(35)를 화살표 F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도전체(34, 35)의 이격작동이 제동등(21)으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도전체(34, 35)의 접촉 및 이탈에 의해 제동등(21)측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동등(21)이 점멸한다.
한편, 도 4는 제동레버(52)의 제동작동에 의해 작동로드(32)가 케이스(31)로부터 후진함에 따라 제동등(21)이 점등하는 구조의 제동등 스위치부(3, 4)의 구성을 예시한 것이고, 이에 반해 도 5에 도시된 제동등 스위치부(3', 4')는 제동레버(52)의 제동작동에 의해 작동로드(32)가 케이스(31) 내로 전진함에 따라 제동등(21)이 점등하는 대안적인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도 5의 대안적인 제동등 스위치부(3', 4')는 제1브라켓(10)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스(31'), 이 케이스(31')의 내부로 제동레버(52)에 의해 이동하는 작동로드(32'), 작동로드(32')의 단부에 구비된 플런저(33'), 이 플런저(33')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촉 및 이탈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를 포함한다.
작동로드(32')는 그 일단부가 자전거(50)의 제동레버(52)에 연결체(36')를 매개로 링크연결되고, 제동레버(52)가 도 5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동하면(즉 제동레버(52)의 제동작동),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는 도 5의 화살표 A방향으로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그 제동조작이 완료되어 제동레버(52)를 놓으면 제동레버(52)는 핸들(51)과의 사이에 구비된 복귀메커니즘에 의해 원래상태를 복귀하고, 즉 도 5의 화살표 R방향으로 복귀하고,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는 도 5의 화 살표 G방향으로 복귀한다.
플런저(33')는 비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며 작동로드(32')의 타단부에 구비된다. 이 플런저(33')와 작동로드(32') 사이에는 비도전체 재질의 가압부(33'a)가 형성되고, 가압부(33'a)는 제1도전체(34')를 관통하며, 이 가압부(33'a)는 제2도전체(35')를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이격 내지는 접촉한다.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도전체 재질로 이루어지고, 제1 및 제2 도전체(34', 35') 각각은 전선(34'a, 35'a)을 통해 제동등(21)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도전체(34')는 케이스(31') 내경면에 고정적으로 설치되고, 제2도전체(35')는 탄성부재(37')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자전거(50) 주행도중에 제동하기 위해 제동레버(52)를 작동시키면(즉, 도 5의 화살표 C방향으로 제동레버(52)를 회동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작동로드(32') 및 플런저(33')가 일체로 화살표 A방향으로 직선이동하고, 이 플런저(33')의 가압부(33'a)가 전진하며, 이에 따라 탄성부재(37')에 의해 제2도전체(35')는 제1도전체(34')측으로 가압되어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접촉한다. 이러한 제1 및 제2 도전체(34', 35')의 접촉동작이 제동등(21)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온상태임을 알 수 있다.
반대로, 제동레버(52)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면, 작동로드(32') 및 플런저(33')가 화살표 G방향으로 이동하고, 이에 연동하여 가압부(33'a)가 제2도전 체(35')를 화살표 G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 및 제2 도전체(34', 35')는 상호 이격된 상태가 되며, 이러한 제1 및 제2 도전체(34', 35')의 이격작동이 제동등(21)으로의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오프상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등(21) 이외에도 전조등(5a, 5b, 5c), 전방 좌우방향표시등(9a, 9b), 후방 좌우방향표시등(16a, 16b) 및 혼(horn, 2) 등을 더 포함한다.
전조등(5a, 5b, 5c)은 자전거(50)의 프레임(53) 전방측에 배치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의 전면에 장착되고, 이 전조등(5a, 5b, 5c)은 점등스위치(12)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점멸하며, 이 점등스위치(1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15)측에 접속되어 있고, 이 점등스위치(12)와 전원공급부(15) 사이에는 메인스위치(14)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등스위치(12)는 그 조작의 간편화를 위해 제1브라켓(10)측에 설치되고, 메인스위치(14)는 전원공급부(15)의 케이스(15a)측에 설치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 충전지 등이 수용되는 케이스(15a) 및 이 케이스(15a) 일측에 구비된 클램프(15b, 15c)를 구비하고, 이 클램프(15b, 15c)에 의해 케이스(15a)가 자전거(50)의 프레임(53) 일측에 분리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전조등(5a, 5b, 5c)에는 릴레이회로(6)가 접속되어 있고, 이 릴레이 회로(6)에 의해 전조등(5a, 5b, 5c)은 릴레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구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전방의 좌우방향표시등(9a, 9b)은 자전거(50)의 프레임(53) 전방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1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후방의 좌우방향표시등(16a, 16b)은 자전거(50)의 프레임(53) 후방 좌우 양측에 배치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브라켓(20)의 좌우 양측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전방 및 후방 좌우방향표시등(9a, 9b, 16a, 16b)은 자전거(50)의 좌우 방향 회전시에 그 회전방향을 자전거(50)의 전방 및/또는 후방에 있는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및 후방 좌우방향표시등(9a, 9b, 16a, 16b)의 점멸작동을 제어하는 방향표시등 스위치(11a, 11b)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램프(12a, 12b)에 의해 자전거(50)의 핸들(51) 좌우 양측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고, 각 방향표시등 스위치(11a, 11b)에 좌우 양측의 전방 및 후방 방향표시등(9a, 9b, 16a, 16b)이 직렬 또는 병렬로 접속된다.
그리고, 후방 좌우방향표시등(16a, 16b)은 점멸회로(17)에 접속되어, 그 좌우 방향의 회전시에 그 점등이 점멸신호로 표시(즉, 빛의 깜박거림)될 수도 있다.
한편, 제동등(21)은 다수의 제동등(21a, 21b, 21c)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 제동등(21a, 21b, 21c)에는 릴레이회로(25)가 접속되며, 이에 따라 각 제동등(21a, 21b, 21c)은 릴레이 점등되는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혼(2)은 자전거(50)의 핸들(51) 또는 프레임(53)의 전방 일측에 구비될 수 있고, 혼 스위치(1)에 의해 각종 청각적 경고표시를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그 제동등(21)의 점등은 제동 레버(52)의 제동작동에 연동하여 자전거(50)의 후방측에 배치된 제동등(21)이 점등하고, 이에 따라 후방의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제동상태를 신속하게 알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제동등(21)의 점등을 보자 정확하고 손쉽게 조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외에도 본 발명은 전조등(5a, 5b, 5c), 전방 방향표시등(9a, 9b), 후방 방향표시등(16a, 16b) 및 혼(horn, 2) 등을 구비함으로써, 전방 또는 후방의 보행자 또는 운전자에게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신속하고 안전하게 경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주간 및/또는 야간에 자전거의 주행상태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각종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그 조작이 매우 간편하고 그 작동이 정밀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자전거의 제동레버에 연동되게 연결된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구비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의 이동에 의해 상호 접속 및 이격되는 제1 및 제2 도전체를 구비한 제동등 스위치부; 및
    상기 제1 및 제2 도전체로부터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나 이상의 제동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전체는 그 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제2도전체는 탄성부재에 의해 복귀가능하게 이동하며, 상기 플런저는 상기 제2도전체를 제1도전체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제1 및 제2 도전체는 상호 접속 및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등은 다수개로 이루어지고, 다수의 제동등에는 릴레이회로가 접속되며, 각 제동등은 릴레이 점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전방 및 후방 측에 개별적으로 구비된 좌우 방향표시 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전방 측에 하나 이상의 전조등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전거의 프레임 일측에 혼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KR1020060098242A 2006-10-10 2006-10-10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KR200800324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242A KR20080032452A (ko) 2006-10-10 2006-10-10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8242A KR20080032452A (ko) 2006-10-10 2006-10-10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452A true KR20080032452A (ko) 2008-04-15

Family

ID=3953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242A KR20080032452A (ko) 2006-10-10 2006-10-10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3245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51B1 (ko) * 2010-01-11 2012-01-17 손대업 자전거용 방향등
WO2012108554A1 (ko) * 2011-02-08 2012-08-16 Sohn Dae Up 자전거용 방향등
JP2021024549A (ja) * 2019-08-07 2021-02-22 梅州市明眸電子科技有限公司Meizhou Frii Lens Electronic Technology Co.,Ltd. 自転車又はオートバイの手柄上に取り付けるブレーキ警告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5551B1 (ko) * 2010-01-11 2012-01-17 손대업 자전거용 방향등
WO2012108554A1 (ko) * 2011-02-08 2012-08-16 Sohn Dae Up 자전거용 방향등
JP2021024549A (ja) * 2019-08-07 2021-02-22 梅州市明眸電子科技有限公司Meizhou Frii Lens Electronic Technology Co.,Ltd. 自転車又はオートバイの手柄上に取り付けるブレーキ警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17303A (en) Turn signal and horn assembly for a bicycle
EP3000684B1 (en) Straddle type vehicle with approach notification device
US5418696A (en) Bicycle mounted turn-signal and horn
EP2674327B1 (en) Vehicle lighting control system
JP6960446B2 (ja) 障害物センサを備える自動二輪車
JP2005225426A (ja) 自転車用照明装置及びそれに装着可能な自転車用表示装置。
WO2021022958A1 (zh) 一种安装于自行车或摩托车把手上的刹车警示装置
US20090102627A1 (en) Bicycle Turn Signals
JP2010030470A (ja) 自動二輪車
KR20080032452A (ko) 자전거용 안전표시장치
JP2017121836A (ja) 手元操作装置および電動アシスト自転車
JP6985305B2 (ja) 駐車操作用の補助照明装置を有するオートバイ
KR200447217Y1 (ko) 방향표시 기능이 구비된 자전거
US20180251177A1 (en) Flexible Device for Providing a Safe Zone Around a Two-Wheeled Vehicle
US4833444A (en) Bicycle brake light system
CN201597675U (zh) 摩托车电动车转弯自动指示灯装置
KR101069940B1 (ko) 자전거용 방향 지시장치
JP2010149676A (ja) 自転車用付属部品取付装置。
CN210212600U (zh) 一种自行车自动转向灯
JP3175794U (ja) 自転車用前灯尾灯安全表示灯装置
JP3146773U (ja) 自動車の方向指示レバーによる、警告機器の制御操作装置。
JP3078136U (ja) 自転車の方向指示装置
CN201941882U (zh) 单车转向灯装置
KR101438346B1 (ko) 자전거용 안전장치
KR950009637Y1 (ko) 주행의사 표시등을 가진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