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2045A -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 Google Patents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2045A
KR20080032045A KR1020077030666A KR20077030666A KR20080032045A KR 20080032045 A KR20080032045 A KR 20080032045A KR 1020077030666 A KR1020077030666 A KR 1020077030666A KR 20077030666 A KR20077030666 A KR 20077030666A KR 20080032045 A KR20080032045 A KR 200800320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transceiver
frequency ban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 구로다
아키오 구로베
고지 이케다
히사오 고가
유지 이가타
히로토시 야마다
요시노리 미즈가이
히로무 오카모토
주니치 오시마
시게루 다카스
다케히로 스기타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20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54Systems for transmission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02Resource partitioning among network components, e.g. reuse partitioning
    • H04W16/10Dynamic resource partitio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2203/54Aspects of powerline communications not already covered by H04B3/54 and its subgroups
    • H04B2203/5404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 H04B2203/5408Methods of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s via power distribution lines using protoc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 Cable Transmission Systems, Equalization Of Radio And Reduction Of Echo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공존 신호 서브채널(211)을 사용하여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각 스테이션에 의해 사용된 시간 슬롯 또는 주파수 대역(데이터 통신 서브채널(212)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을 검출한다. 상기 검출된 정보에 기초하여,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사용된 주파수 또는 시간 슬롯과 중첩되는 것을 피하도록 상기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이 속하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슬롯을 결정하여,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 각각에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슬롯을 통지한다.

Description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TRANSMISSION/RECEPT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RECEPTION METHOD FOR ENABLING COEXISTENCE OF SYSTEMS}
본 발명은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동일한 통신 매체와 상이한 통신 스킴을 사용하는 2개의 통신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기술, 상기 통신시스템의 각각에 포함된 송수신 장치, 및 상기 송수신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선 통신 기술은 가정 내 PC에서 인터넷을 액세스하기 위해 광대역 라우터 등과 같은 네트워크 장치에 연결하는 통신수단이다. 전력선 통신에서, 기존 전력선이 통신 매체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새로운 배선 작업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며, 가정에서 이용 가능한 전원 공급 아웃렛에 전원 공급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속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전력선 통신 기술의 연구 개발 및 시험이 전세계적으로, 그리고 미국과 유럽에서 열광적으로 진행되었으며, 다수의 전력선 통신 프로젝트가 이미 상용화 되었다.
전력선 통신의 예는 HomePlug 버젼 1.0이며, 이것은 HomePlug Powerline Alliance(미국)에 의해 만들어진 규격이다. 상기 규격은 PC에서 실행되는 인터넷, 메일 및 파일 전송과 같은 응용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HomePlug는 전력선 통신 모뎀이 전력선을 액세스하는 매체 액세스 제어를 위해 CSMA/CA 기술을 사용하며, 사용되는 대역을 보장하지 않는 최선형 통신을 제공한다.
도 25는 가정에서 인터넷을 액세스할 때 일반적인 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5에서, PC(2501)는 이더넷(1102), 광대역 라우터(2502), 및 액세스 라인(2512)을 통해 인터넷(2522)에 연결된다. 액세스 라인(2512)으로서, ADSL(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 FTTH(Fiber To The Home) 등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여기서, 액세스 라인(1103)이 가정에 들어오는 위치는 PC(2501)가 놓이는 공간과 다르며, 이더넷(2511)의 연장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전력선 통신장치는 전력선 통신과 이더넷 사이의 변환 어댑터의 형태로 상용화되었다.
도 26은 변환 어댑터를 채용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다. 도 26에서, 2개의 전력선 통신-이더넷 변환 어댑터(2603, 2604)가 PC(2601)와 광대역 라우터(2602)가 설치된 방안의 전원 공급 아웃렛에 각각 연결되며, 댁 내 전력선(2614)을 통해 전력선 통신을 사용하여 최선형 통신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전력선 통신을 사용함으로써, 배선 작업이 요구되지 않으며, 가정에서 이용 가능한 전원 공급 아웃렛에 전원 공급 플러그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고속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유럽(스페인 등)에서, 인터넷 액세스 라인으로서 가정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선을 사용하는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이 사용되고 있다. 도 27은 액세스 전력 선 통신 모뎀이 사용되는 상황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옥외 변압기에 제공된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 마스터 스테이션(2703)은 중간 전압 전력 분배선(2713)을 통해 광대역 라인에 연결되며, 저전압 전력 분배선(2712), 분배 스위치 보드(2715), 및 댁내 전력선(2711)을 통해 댁내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2702)과 IP 패킷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이더넷(2704)을 통해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2702)을 PC(2701)에 연결함으로써,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가 PC(2701)로부터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을 사용함으로써, 케이블 등을 가정에 설치하지 않고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전력선 통신 모뎀(2702)은 가정에서 임의의 아웃렛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의 자유도가 ADSL, FTTH 등보다 더 높다.
도 28은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 모뎀의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에서, 전력선 통신 모뎀은 아날로그 프런트 엔트(AFE: Analog Front End)(2801), 디지털 변조부(2808), 통신제어부(2809), 및 이더넷 I/F부(2810)를 포함한다. AFE(2801)는 대역 통과 필터(BPF)(2802), 자동이득제어기(AGC)(2803), A/D 변환부(2804), 저역통과필터(LPF)(2805), 전력증폭기(PA)(2806), 및 D/A 변환기(2804)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전력선 통신모뎀의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이더넷 패킷이 전력선에 전송된다고 가정하면, IP 패킷이 이더넷(2811)으로부터 도달할 때, 통신제어부(2809)는 이더넷 I/F부(2810)로부터 그 도달을 통지 받는다. 통신제어부(2809)는 통신 채널의 상태를 확인하고, 적절한 타이밍으로 프레 임 데이터를 디지털 변조부(2808)에 출력한다. 디지털 변조부(2808)는 오류 보정 추가, 인코딩, 프레이밍 등을 수행하여 상기 프레임 데이터를 전송 데이터 시퀀스로 변조한다. D/A 변환부(2807)는 전송 데이터 시퀀스를 디지털 신호에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PA(2806)는 상기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LPF(2805)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통신 대역 성분 외의 신호들을 차단하고, 통신 대역 성분만을 전력선에 입력한다. 다음, 전력선으로부터 수신 시, BPF(2802)는 통신 대역에서 신호를 추출한다. AGC(2803)는 추출된 신호를 증폭한다. A/D 변환부(2804)는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한다. 디지털 변조부(2808)는 상기 디지털 데이터에 대해 프레임 동기화 검출, 균등화, 디코딩, 오류 보정 등을 수행하여 상기 디지털 데이터를 복조하고 수신된 데이터의 최종 데이터를 통신제어부(2809)에 통지한다. 이후, 상기 수신된 데이터는 이더넷 패킷으로 이더넷 I/F부(2810)에서 이더넷(2811)으로 전송된다.
한편, 무선 LAN의 대표적인 표준인 IEEE 802.11a가 있다. IEEE 802.11a에서, 사용되는 대역은 IP 통신을 위해 복수의 채널로 분할된다. IEEE 802.11h는 5GHz 대역이 사용되는 유럽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IEEE 802.11a에 추가된다. 예를 들어, IEEE 표준인 802.11h-2003: "Wireless LAN Medium Access Control (MAC) and Physical Layer (PHY) specifications, Amendment 5: Spectrum and Transmit Power Management Extensions in the 5GHz band in Europe"를 참조하라. IEEE 802.11h에 규정된 기능들 중 하나는 기상 레이더 등과 같은 레이더에 의해 사용되는 대역을 검출하고, 간섭을 피하기 위해 상기 대역을 회피하는 채널로 자동으 로 이동하는 동적 주파수 선택(DFS: Dynamic Frequency Selection) 기능이다. DFS 동작의 예가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 29는 상기 DFS 동작을 수행하는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29의 통신시스템은 IEEE 802.11a의 액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2901), IEEE 802.11a의 스테이션(STA)(2902, 2903), 및 기상 레이더(2910)로 구성된다.
AP(2901)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비이콘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신을 중단시키기 위해 STA(2902, 2903)에 명령을 전송하여, 네트워크의 통신을 일시적으로 중단시킨다. AP(2901)는 현재 사용되는 채널과 상기 통신 중단 시간 동안 다른 채널에 레이더파가 존재하는지 판정하기 위해 스캐닝을 실시한다. 또한, AP(2901)는 STA(2902, 2903)에 관찰 명령 프레임을 전송하여 상기 STA(2902, 2903)가 현재 사용되는 채널과 다른 채널에 레이더파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스캐닝을 마찬가지로 실시하게 한다. 레이더판에 대한 스캐닝 이후, STA(2902, 2903)는 관찰 결과 보고 프레임을 AP(2901)에 전송한다. 이후, AP(2901)는 자신에 의한 스캔 결과와 STA(2902, 2903)에 의한 스캔 결과를 기초로 레이더파가 존재하는 채널을 판정한다. 만일 레이더파가 현재 사용되는 채널에 존재하면, AP(2901)는 사용된 채널 이동 명령 프레임을 STA(2902, 2903)에 전송하며, 그리하여 레이더파가 존재하지 않는 채널로 채널이 이동되고, IEEE 802.11a의 통신 파형과 레이더파 사이에 간섭을 피한다.
이와 같이, 다양한 전력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었지만, 전력선 통신을 위한 단일화된 표준은 없다. 그러나, 가정 내의 모든 전력선은 분배 스위치보드에 연결 되고, 또한 옥외 전력선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다른 스킴의 전력선 통신 모뎀이 동일한 가정 또는 가정과 옥외 근처에서 사용될 때, 모뎀들은 상호 간에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각 스킴의 전력선 통신 모뎀은 다른 스킴의 전력선 통신 모뎀에 의해 통신 채널에 전송된 다른 스킴의 신호를 복조할 수 없다, 즉 각 스킴의 전력선 통신 모뎀에 대해, 다른 스킴의 신호들은 단지 노이즈이다. 그러므로, 2개의 다른 스킴이 동시에 통신을 수행할 때, 스킴들은 상호간 통신에 간섭하게 되며, 따라서 두 스킴 모두에서 통신이 실패하고 통신 속도가 크게 감소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는 방법으로서, 전력선 통신을 위한 단일화된 표준이 새롭게 형성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새로운 표준의 형성은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따라서 즉시 실현될 수 없다. 또는, 대역 또는 통신 시간이 각 통신 시스템에 고유하게 할당됨으로써, 간섭을 피하는 것이 고려된다. 전술한 IEEE 802.11a에서, 기상 레이더는 5GHz 대역에서 사용되는 유일한 주된 노이즈원이기 때문에, IEEE 802.11h에서와 같이 심지어 다른 변조 스킴의 레이더파에 대해서도 간단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모든 단말기에 제공함으로써 DFS를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전력선 통신 모뎀에서 사용된 단파장 대역에서, 상이한 스킴의 감쇠된 모뎀 신호와 전자기기의 노이즈는 실질적으로 같은 신호 레벨을 가지며, 따라서 캐리어 감지 메커니즘을 사용하여 전력선 통신의 존부를 판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그러므로 IEEE 802.11h에서와 같이 DFS 메커니즘은 용이하게 구성될 수 없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일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고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2개의 통신 시스템의 공존을 용이하게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주파수 분할 다중화 또는 시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과,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와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을 지향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는 검출부, 결정부, 통지부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는 수신부와 설정부를 포함한다.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에서, 검출부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의 존부를 검출한다. 결정부는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제 2 통신시스템의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 또는 그 존부를 기초로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결정한다. 통지부는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 장치에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통지한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통지부는 제 1 통신시스템에서 규칙적으로 전송되고 주파수 대역이 포함되는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또는 제 2 통신시스템과의 공존을 위해 최소한으로 요구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사용하여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통지한다.
슬레이브를 위한 송수신장치에서, 수신부는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로부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 설정부는 상기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설정한다.
전형적으로,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통신 매체는 전력선이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제 1 통신시스템은 가정 내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제 2 통신시스템은 액세스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이다. 대안으로,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무선 통신시스템이고, 통신매체는 무선 전파이다.
상기 송수신장치의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송수신 방법으로서 간주될 수 있다. 이 방법은 컴퓨터로 하여금 상기 일련의 프로세스를 실행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삽입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송수신 장치의 기능 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는 집적회로(LSI)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은 제 2 통신시스템의 존부 또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를 검출하고,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통지하여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통신시스템이 서로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사용하게 한다. 이에 의해, 동일한 통신 매체를 이용하고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2개의 통신시스템이 용이하고 저렴한 방법으로 공존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장치를 적용하는 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채널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제 1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에서 각 스테이션이 공존 신호의 송수신을 수행하는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제 1 실시예의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 또는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8은 제 1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9는 제 1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사용되는 주파수를 통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사용되는 주파수를 통지하기 위한 프레임의 또 다른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장치를 적용하는 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제 2 실시예의 마스터 스테이션 A와 마스터 스테이션 B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제 2 실시예의 슬레이브 스테이션 A와 슬레이브 스테이션 B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제 2 실시예의 마스터 스테이션(A, B)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6은 제 2 실시예의 슬레이브 스테이션(A, B)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7은 제 3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시간 슬롯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 3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채널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9는 제 4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채널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 4 실시예의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 4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제 4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3은 제 4 실시예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4는 제 4 실시예의 전력선 통신시스템에 의해 수행된 공존 신호의 송수신을 설명하는 시퀀스도이다.
도 25는 인터넷을 액세스하는 종래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6은 변환 어댑터를 사용하는 종래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7은 전력선 통신 모뎀을 사용하는 종래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8은 일반적인 전력선 통신 모뎀의 예시적인 내부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9는 DFS 동작을 실행하는 종래의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주목할 것은 통신 매체가 무선 또는 전력선 외의 유선 매체가 될 수 있음에도 전력선이라 가정하고 다음의 실시예가 설명된다는 것이다.
(제 1 실시예)
제 1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시스템이 주파수 분할 다중화(FDM: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기술을 사용하여 공존하게 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장치를 적용한 통신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 1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신시스템으로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이 정의된다.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은 가정에 제공되는 전력선(113)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이며,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공존을 제어하는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과,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 외에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으로 구성된다.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속하는 스테이션에 의해 발행되는 공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존 신호를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송수신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한 가정에 단 하나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이 제공되며, 동작 중에 고정적으로 지정되거나 동적으로 결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다. 상기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의 제어로 동작되는 송수신 장치이고, 하나의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는 하나 이상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이 제공된다.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은 가정 내 전력선(113)과, 유틸리티 폴(123)에 제공된 폴 변압기(126)와 가정 사이에 제공된 저전압 전력 분배선(124)과, 폴 변압기(126)와 전력 서브스테이션(도시되지 않음) 사이의 중간 전압 전력 분배선(125)을 사용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이다.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속하는 송수신장치 중에, 가정 내에 제공된 액세스시스템 가정 내 장치(이하에서는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이라 함)(122)와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이 존재하며, 이것들은 상기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간섭을 일으키는 범위 내에 위치된다.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 변압기(126)로부터 분리된 송수신장치로서 제공되거나, 폴 변압기(126)에 통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예컨대 전력선이 지중에 매설되는 경우에 있어서,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은 폴 변압기(126)와 다른 적절한 장치에 통합될 수 있다.
주목할 것은 예를 들면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은 또한 옥외의 저전압 전력 분배선(124)에 제공될 수도 있으며,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통신 기능이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에 부여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이더넷, 무선 LAN 등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또는 대안으로 예컨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은 단일 장치 내에 제공되고, 이에 의해 상호 통신을 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제 1 실시예에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은 2 MHz 내지 28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2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이용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예시적인 채널 구성을 도시한다. 도 2의 예에서, 주파수는 13개의 서브채널(#0 - #12)로 분할된다. #0은 2 MHz 내지 4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고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이 서로의 통신에 간섭하지 않고 공존하도록 하는 공존 신호를 송수신하는데 사용되는 공존 신호 서브채널(211)을 표시한다. #1 내지 #12는 4 MHz 내지 28 MHz를 2 MHz 간격으로 분할하여 얻어진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통신 서브채널(212)을 표시하며,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제 1 실시예에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기 위해 공존 신호 서브채널(211)을 사용하며,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은 데이터 통신 서브채널(212)를 공유하고 이용하며, 이에 의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공존을 달성한다. 이하에서,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 의한 시스템 공존이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주목할 것은 공존 신호 서브채널(211)에 의해 사용된 대역이 공존 신호 대역(201)으로 정의되고, 데이터 통신 서브채널(212)에 의해 사용된 대역은 데이터 통신 대역(202)으로 정의된다는 것이다.
먼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수행되는 공존 신호의 송수신이 설명될 것이다.
도 3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각 스테이션이 공존 신호의 송수신을 실행하는 타이밍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 및/또는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존 신호(331, 332)를 전력선을 흐르는 교류의 제로-교차점(0도의 위상을 갖는 점)을 기준으로 사용하여(시간 321, 322) 전력선에 전송한다. 주목할 것은 공존 신호(331, 332)는 제로-교차점으로부터 소정의 양만큼 벗어난 교류의 위상을 갖는 시간 포인트를 제로-교차점 대신에 기준으로 사용하여 전송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공존 신호는 모든 제로-교차점에서 또는 소정의 위상만큼 벗어난 모든 시간 포인트에서 전송될 필요는 없다.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공존 신호(331, 332)를 수신하여 그 자체에 의해 사용되는 서브채널을 결정한다. 또한,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관한 정보를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기능, 즉 도 3의 사용될 대역 통지 신호(341, 342)를 사용하여 통지한다.
다음에,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각 스테이션의 상세한 구성과 프로세스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4는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의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이하에서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이라 함)과 공존을 위한 신호를 전송하는 기능을 갖는 스테이션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의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 해 사용되는 부분(401 내지 404)과, 공존 신호의 전송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411 내지 415)으로 분할된다. 도 7은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의 통신 시스템의 공존에 관련된 프로세스만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4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4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필요한 프로세스에 위탁한다. 프레임 전송부(401)는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4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송수신부(402)로부터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403)는 프레임 전송부(4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공존 신호 생성부(411)는 통신 제어부(403)로부터 액세스 통신 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을 기초로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공존 신호(도 3의 신호(331, 332))를 생성하며, 상기 공존 신호를 공존 신호 전송부(413)에 전달한다. 제로-교차점 검출부(412)는 전력선을 통해 흐르는 교류의 제로-교차점을 검출하고, 공존 제어부(415)에 검출 결과를 통지한다(단계 S702). 공존 제어부(415)는 제로-교차점 검출부(41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서 공존 신호의 전송 타이밍을 공존 신호 전송부(413)에 지시한다. 공존 신호 전송부(413)는 공존 제어부(415)에 의해 지시된 타이밍을 기초로 공존 신호 전송 I/F부(414)를 통해 상기 공존 신호를 전송한다(단계 S703). 이후, 단계 S702 및 S703의 프로세스가 반복하여 실행된다.
도 5는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5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크게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501 내지 504)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속하는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공존 신호의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514 내지 516)으로 나누어진다. 또한, 부분(514, 516), 부분(503, 515), 및 부분(501, 504)은 기능에 따라 각각 검출부, 결정부, 및 통지부로 분류된다. 도 8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의 통신시스템의 공존에 관련된 프로세스만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5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5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필요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501)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5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5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503)는 프레임 전송부(501)의 데이터 전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공존 신호 수신부(516)는 공존 신호가 공존 신호 수신 I/F부(514)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802). 공존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공존 신호 수신부(516)는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얻기 위해 공존 신호를 분석하고, 공존 제어부(515)에 상기 정보를 통지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공존 제어부(515)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서브채널을 결정하며(단계 S803), 통신 제어부(503)에 서브채널을 통지한다. 통신 제어부(503)는 통지된 서브채널을 데이터 송수신 I/F부(504)에 알린다. 데이터 송수신 I/F부(504)는 지시된 서브채널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03)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도 3의 정보(341, 342))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상기 프레임을 프레임 전송부(501)에 전달한다. 프레임 전송부(501)는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데이터 송수신 I/F부(504)를 통해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전송한다(단계 S804). 이후, 단계(S802 - S804)의 프로세스가 반복하여 수행된다. 주목할 것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I/F부(504)에 의해 지시된 새로운 서브채널을 사용하는 대신에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으로부터의 공존 신호의 수신 전에 이미 사용된 서브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주목할 것은 사용되는 서브채널(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는 전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통지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이 규칙적으로 특수 제어 프레임을 전송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는 상기 특수 제어 프레임에 저장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용 프레임은 CSMA/CA 등의 액세스 제어 기능을 위한 프레임이고, 상기 특수 제어 프레임은 폴링(polling) 또는 비이코닝(beaconing)을 위한 프레임이다.
도 6은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6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은 공존 신호를 위한 구성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601 내지 604)만으로 구성된다. 부분(602, 604)과 부분(603)은 기능에 의해 수신부와 설정부로 각각 분류된다. 도 9는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6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6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필요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601)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6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6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603)는 프레임 전송부(6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 수신부(602)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사용되는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도 3의 정보(341, 342))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902).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프레임 수신부(602)는 상기 정보를 통신 제어부(603)에 전달한다. 통신 제어부(603)는 상기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 I/F부(604)에 통지한다. 통지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I/F부(604)는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서브채널을 설정한다(단계 S903). 이후, 단계 (S902, S903)의 프로세스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다음에,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으로부터 가정 내 시스템 슬레 이브 스테이션(112)에 전송되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프레임이 설명될 것이다. 도 10 및 11은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는 프레임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의 프레임은 헤더(1001), 페이로드(1002, 및 CRC(1003)로 구성된다. 헤더(1001)는 프레임 속성과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블록이고, 에러에 아주 강한 특정 변조 기법을 사용하여 보통 변조된다. 헤더(1001)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전송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발신 어드레스(SA) 필드(1011),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의 수신 스테이션을 식별하는 착신 어드레스(DA) 필드(1012), 프레임 타이입을 저장하는 타입(TYPE) 필드(1013), 페이로드(1002)에 대해 사용된 변조 기법을 식별하는 MOD 필드(1014), 및 페이로드(1002)의 크기를 특정하는 LEN 필드(1015)로 구성된다.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헤더(1001)는 예컨대 전술한 것들 외에 프레임 속성 또는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를 가질 수도 있다.
페이로드(1002)는 상위 계층 프로토콜로부터 전달된 데이터 또는 프로토콜 제어 정보를 저장하는 필드이다. 이 프레임에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인 사용될 대역 정보(1021)가 페이로드(1002)에 저장된다. 사용될 대역 정보(1021)는 일반적으로 도 2에서 도시된 서브채널 번호, 또는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의 하한값과 상한값에 의해 지정되는 것으로 간주되나, 또는 다른 방법으로 지정될 수도 있다.
CRC(1003)는 수신 스테이션에서 일어나는 페이로드(1002)의 오류 검출을 위한 CRC(Cyclic Redundancy Code)이다. 이 에러 검출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전송 채널 에러가 소정의 양까지 검출될 수 있다. 에러 검출 코드 외에 에러 보정 코드(Reed-Solomon 코드 등)를 부가함으로써, 소정의 양까지 전송 채널 오류를 보정하는 능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될 정보(1021)는 헤더에 저장될 수도 있지만, 페이로드에는 저장될 수 없다. 이 구성의 경우에, 페이로드에 저장되어야 하는 데이터가 없으므로, 상기 프레임은 헤더(1101)와 CRC(1003)만으로 구성된다. 헤더(1101)는 SA 필드(1011), DA 필드(1012), TYPE 필드(1013), MOD 필드(1014), LEN 필드(1015), 및 헤더 확장 영역(1116)으로 구성된다. 이 프레임에는 페이로드가 없기 때문에, 이것은 LEN 필드(1015)를 예컨대 "0"의 값을 갖도록 설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통지된다. 사용될 대역 정보(1021)는 헤더 확장 영역(1116)에 저장된다.
(제 2 실시예)
제 2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시스템이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을 사용하여 공존하게 되는 또 다른 예가 설명될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송수신장치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제 2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시스템으로서, 가정 내 시스템에 있는 통신시스템(A1210)과 통신시스템(B1220)이 정의된다.
통신시스템(A1210)은 가정에 제공된 전력선(1213)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통신시스템(B1220)과 공존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과, 마스터 스테이션(A1211) 외에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으로 구성된다. 마스터 스테이 션(A1211)은 통신시스템(B122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에 의해 발행되는 공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존 신호를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송수신장치이다. 통신시스템(B1220)도 또한 전력선(1213)을 이용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이며, 통신시스템(A1210)과 공존을 제어하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과, 마스터 스테이션(B1221) 외에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으로 구성된다.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은 통신시스템(A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에 의해 발행되는 공존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공존 신호를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에 전달하는 기능을 갖는 송수신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각 통신시스템에는 단 하나의 마스터 스테이션이 존재하며, 고정적으로 지정되거나 동적으로 결정되거나 또는 동작 중 변경될 수 있다.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마스터 스테이션의 제어하에 동작되는 송수신장치이다. 하나 이상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각 통신장치에 존재한다.
제 2 실시예에서, 통신시스템(A1210)과 통신시스템(B1220)의 어느 것이 공존 신호 서브채널(211)을 사용하여 다른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고, 상기 2개의 통신시스템은 데이터 통신 서브채널(212)을 공유하고 이용하며, 이에 의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공존을 달성한다(도 2 참조). 이하에서는, 주파수 분할 다중화에 의한 시스템 공존이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3은 마스터 스테이션(A1211)과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3의 마스터 스테이션(A1211)과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은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1301 내지 1304)과, 다른 통신시스템의 마스 터 스테이션에 의해 전송된 공존 신호의 수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1311 내지 1316)으로 대략 나누어진다. 또한, 부분(1314, 1316), 부분(1303, 1315), 및 부분(1301, 1304)은 기능에 따라서 검출부와 통지부로 각각 분류된다. 도 15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의 통신시스템의 공존에 관련된 프로세스만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13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필요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1301)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13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303)는 프레임 전송부(13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공존 신호가 전송되는 경우, 공존신호 생성부(1311)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통신제어부(1303)로부터 수신하고, 이것을 기초로 다른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공존 신호를 공존 신호 전송부(1313)에 전달한다. 제로-교차점 검출부(1312)는 전력 분배선을 통해 흐르는 교류의 제로-교차점을 검출하고, 검출 결과를 공존 제어부(1315)에 통지한다(단계 S1502). 공존 제어부(1315)는 제로-교차점 검출부(1312)로부터의 정보에 따라 공존 신호 전송부(1313)에 공존 신호의 전송 타이밍 을 통지한다. 공존 신호 전송부(1313)는 공존 제어부(1315)에 의해 통지된 타이밍으로 공존 신호 송수신 I/F부(1314)를 통해 공존 신호를 전송한다.
공존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공존 신호 수신부(1316)는 상기 공존 신호가 공존 신호 송수신 I/F부(1314)를 통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504). 공존 신호가 수신된 경우, 공존 신호 수신부(1316)는 공존 신호를 분석하여 다른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정보를 공존 제어부(1315)에 통지한다. 상기 정보를 기초로, 공존 제어부(1315)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서브채널을 결정하고(단계 S1505), 통신제어부(1303)에 서브채널을 통지한다. 통신제어부(1303)는 통지된 서브채널을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에 지시한다.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는 상기 지시된 서브채널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제어부(1303)는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이 프레임을 프레임 전송부(1301)에 전달한다. 프레임 전송부(1301)는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를 통해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전송한다(단계 S1506). 이후, 단계(S1502, S1506)의 프로세스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주목할 것은 마스터 스테이션(A1211) 또는 마스터 스테이션(B1221)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수신 I/F부(1304)에 의해 지시된 새로운 서브채널을 사용하는 대신에 다른 통신시스템으로부터의 공존 신호의 수신 전에 이미 사용되는 서브채널을 사용하여 전송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도 14는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과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4의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과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은 공존 신호를 위한 구성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 또는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1401 내지 1404)으로만 구성된다. 또한, 부분(1402, 1404)과 부분(1403)은 기능에 있어서 수신부와 설정부로 각각 분류된다. 도 16은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과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14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1404)를 통해서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데이터를 필요한 요구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1401)는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 또는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14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14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제어부(1403)는 프레임 전송부(14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 수신부(1402)는 슬레이브 스테이션(A1212) 또는 슬레이브 스테이션(B1222)이 속하는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1602).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프레임 수신부(1402)는 상기 정보를 통신 제어부(1403)에 전달한다. 통신 제어부(1403)는 상기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 I/F부(1404)에 지시한다. 이 지시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I/F부(1404)는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사용될 서브채널을 설정한다(단계 S1603). 이후, 단계(S1602, S1603)의 프로세스들이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제 3 실시예)
제 3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시스템이 시분할 다중화(TDM) 기법을 사용하여 공존하게 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장치를 사용하는 통신시스템은 2개의 통신시스템, 즉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이 도 1의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 또한, 각 통신시스템에 포함된 마스터 스테이션과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도 4 내지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동일한 상세 구성과 동작을 갖는다. 제 3 실시예는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으로 전송된 정보가 사용될 슬롯에 대한 정보이고 사용될 대역에 대한 정보가 아니라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도 17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되는 TDM에 의한 시간 슬롯의 분할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의 예에서, 각 AC 메인 사이클(시간 1721부터 시간 1722까지의 1 사이클)은 AC 메인 주파수의 제로-교차점을 기준으로 사용하여 7개의 시간 슬롯(#1 - #7)으로 나누어진다.
이 경우에 주파수의 사용의 예가 도 18에 도시되어 있다.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 양자는 2 MHz 내지 4 MHz의 공존 신호 대 역(1811)과 4 MHz 내지 28 MHz의 데이터 통신 대역(1812)을 사용한다. 공존 신호 대역(1811)은 도 17의 시간 슬롯(#1 - #7) 중 어느 것이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될 것인지 판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통신 통신 대역(1812)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주파수 대역이고, 도 17의 시간 슬롯(#1 - #7)에 의해 사용된다.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에서(도 4 참조), 공존 신호 생성부(411)는 통신 제어부(403)로부터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이것을 기초로,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존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공존 신호를 공존 신호 전송부(413)에 전달한다. 공존 신호 전송부(413)는 공존 제어부(415)에 의해 지시된 타이밍을 기초로 공존 신호 송수신 I/F부(414)를 통해 공존 신호를 전송한다. 상기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는 도 10 또는 11의 사용될 대역 정보(1021)의 일부에 포함되며,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으로 전송된다.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에서(도 5 참조), 공존 신호 수신부(516)는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된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수신된 공존 신호를 분석하고, 그 정보를 공존 제어부(515)에 통지한다. 상기 정보를 기초로, 공존 제어부(515)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시간 슬롯을 결정하고, 상기 시간 슬롯을 통신 제어부(503)에 통지한다. 통신 제어부(503)는 공존 제어부(515)에 의해 통지된 시간 슬롯이 사용되도록 프레 임의 전송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503)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 사용될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생성하고 그 프레임을 프레임 전송부(501)에 전달한다.
가정 내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서(도 6 참조), 프레임 수신부(602)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 사용될 시간 슬롯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프레임 수신부(602)는 상기 정보를 통신제어부(603)에 전달한다. 전달된 정보를 기초로, 통신제어부(603)는 프레임 송수신부를 위해 사용될 시간 슬롯을 결정한다.
(제 4 실시예)
제 4 실시예에서, 2개의 통신시스템이 제 1 및 제 2 실시예와 다른 주파수 분할 다중화 기법을 사용하여 공존하게 되는 예가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장치를 적용한 통신시스템은 2개의 통신시스템, 즉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이 도 1의 제 1 실시예로서 제공되는 구성을 갖는다. 제 4 실시예는 공존 신호 전송 스테이션과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의 구성에서 제 1 실시예와 상이하다. 이후, 그 상이점이 설명될 것이다.
제 4 실시예에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은 4 MHz - 28 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간주된다. 도 19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이용되는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채널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도 19의 예에서, 데이터 통신 주파수 대역(1901)은 2개의 서브채널(#1, #2)로 나누어진다. #1은 4 MHz - 16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액세스시스템 우선 서브채널이다. 액세스시스템 우선 서브채널(1911)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 사용 우선권이 주어지는 대역이고,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은 액세스 통신시스템의 존재가 검출되는 때 사용할 수 없다. #2는 16 MHz - 28 MHz의 주파수 대역을 갖는 가정 내 시스템 특정의 서브채널(1912)이다. 가정 내 시스템 특정의 서브채널(1912)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 의해서만 사용될 수 있는 전용 대역이며,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의해서는 사용될 수 없다. 주목할 것은 도 19의 대역 분할 방법은 단지 설명을 위한 것이며, 상기 대역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과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 모두에서 미리 정의된다면 임의의 방법으로 분할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음에,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각 스테이션의 상세 구성과 프로세스 동작이 설명될 것이다.
도 20은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과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다. 제 4 실시예의 통신시스템은 공존 신호의 송수신이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 사이에 명시적으로 수행되는 점에서 제 1 실시예와 다르다. 그러므로,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과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수행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 부분(2001 - 2004)만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수신부(20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20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필요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2001)는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프레임 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20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20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003)는 프레임 전송부(20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도 21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의 예시적인 구성이다. 도 21의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수행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된 부분(2101 - 2104)과,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 또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의 통신의 검출을 위한 부분(2111)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또한, 부분(2111), 부분(2103), 및 부분(2101, 2104)은 기능에 의해 검출부, 결정부, 및 통지부로 각각 분류된다. 도 23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의 통신시스템의 공존에 관련된 프로세스만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프레임 수신부(21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2104)를 통해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을 필요한 프로세스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2101)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21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2102)로부터의 데이터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103)는 프레임 전송부(21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액세스시스템 신호 검출부(2111)는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 또는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의 통신 신호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단계 S2302). 액세스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21) 또는 액세스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22)의 통신 신호가 검출된 경우, 액세스시스템 신호 검출부(2111)는 상기 검출 결과를 통신 제어부(2103)에 통지한다. 통신 제어부(2103)는 통신을 위해 사용된 서브채널이 #2에 한정되는지 판정하고(단계 S2303), 서브채널(#2)을 데이터 송수신 I/F부(2104)에 지시한다. 데이터 송수신 I/F부(2104)는 지시된 서브채널을 사용하여 프레임 송수신을 수행한다. 또한, 통신제어부(2103)는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상기 서브채널의 사용에 대한 제한을 통지하기 위한 프레임을 생성하며, 이 프레임을 프레임 전송부(2101)에 전달한다. 프레임 전송부(2101)는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을 데이터 송수신 I/F부(2104)를 통해 가정 내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에 전송한다(단계 S2304). 이후, 단계(S2302 - S2304)의 프로세스가 반복적으로 수행된다. 주목할 것은 상기 서브채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프레임이 전술한 바와 같이 서브채널(#2)만을 사용하는 대신에 서브채널(#1, #2)을 두 개를 사용하여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에서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으로 전송된다는 것이다.
주목할 것은 사용자가 액세스 통신시스템(120)의 존부를 명시적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기계적인 스위치 등이 사용된다면 액세스시스템 신호 검출부(2111)에 대한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의 구성이 제거될 수 있다는 것이다.
도 22는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2의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은 공존 신호와 관 련된 구성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부분(2201 - 2204)만으로 구성된다. 또한, 부분(2202, 2204)과 부분(2203)은 기능에 의해 각각 수신부와 설정부로 분류된다.
프레임 수신부(2202)는 데이터 송수신 I/F부(2204)를 통해서 전송된 프레임을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세스를 상기 프레임에 맡긴다. 프레임 전송부(2201)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전송될 데이터를 프레임화하고, 상기 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 I/F부(2204)에 전달하며, 이에 의해 데이터 전송을 수행한다. 이 경우에, 프레임 수신부(2202)로부터의 정보를 참조하면서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통신 제어부(2203)는 프레임 전송부(2201)의 데이터 전송의 타이밍을 제어한다. 또한, 프레임 수신부(2202)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프레임이 수신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프레임이 수신된 경우, 프레임 수신부(2202)는 상가 정보를 통신 제어부(2203)에 전달한다. 통신 제어부(2203)는 상기 정보를 데이터 송수신 I/F부(2204)에 지시한다. 이 지시된 정보를 기초로, 데이터 송수신 I/F부(2204)는 프레임 송수신을 위해 사용되어야 하는 주파수 대역을 가정 내 시스템 특정 서브채널(#2)에만 한정하고 결정한다.
주목할 것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에서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으로 전송되는,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의 통지를 위한 프레임은 도 10 또는 11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유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제 4 실시예에서, 서브채널(#1, #2) 또는 서브채널(#2)이 사용될 주파수 대역 으로서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의 단순화가 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1-비트 정보가 사용될 대역 정보(1021)로서 주어지고, 상기 비트가 "1"이라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은 서브채널(#2)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또는, 특수값이 TYPE 필드(1013)에 할당되고, 상기 특수값이 상기 TYPE 필드(1013)에 포함될는 경우 사용될 주파수 대역은 서브채널(#2)에만 한정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이 경우에, 사용될 주파수 대역 정보(1021)의 부분은 프레임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내지 제 4 실시예에 의한 송수신 장치 및 송수신 방법에 의하면, 가정 내 통신시스템의 마스터 스테이션은 다른 통신시스템의 존재, 또는 다른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검출하고, 가정 내 통신시스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상기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을 통지함으로써 상기 2개의 통신시스템 사이에 통신 간섭을 회피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 영역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동일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고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2개의 통신시스템이 용이하고 저렴한 방식으로 공존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주목할 것은 제 3 실시예에서 설명된 시분할 다중화에 의한 통신시스템들의 공존을 위한 방법이 제 2 실시예에서 설명된 가정 내 통신시스템의 공존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공존 신호의 송수신이 명시적으로 수행되지 않는 제 4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은 제 1 내지 제 4 실시예 중 어느 것에나 적용될 수 있다.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는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 1210, 1220)에서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 1211, 1221)만이 다른 통신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공존 신호 또는 통신 신호을 검출할 수 있다고 가정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 1210, 1220)에서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 1212, 1222)의 일부 또는 전부는 공존 신호 또는 통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공존 신호 또는 통신 신호를 검출하는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 1212, 1222)은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 1211, 1221)에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사용된 시간에 대한 정보를 통지하고, 사용되어야 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이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 1211, 1221)에서 결정된 후에,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 1212, 1222)은 상기 결정의 내용을 다시 통지 받는다(도 4 참조). 이 경우에,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이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경우, 각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은 별도로 또는 멀티캐스팅에 의해 통지받을 수도 있다. 만일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과 각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이 자신들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을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공유한다면, 공존 신호 또는 통신 신호의 수신을 기초로, 상기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은 공존 신호 또는 통신 신호를 검출하는 가정 내 시스템의 슬레이브 스테이션에 사용되어야 하는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을 통지할 필요가 없다.
또한, 제 1 내지 제 4l 실시예는 가정 내 시스템 마스터 스테이션(111, 1211, 1221)에서 가정 내 시스템 슬레이브 스테이션(112, 1212, 1222)으로 전송된 정보가 가정 내 통신시스템(110, 1210, 122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이라는 가정하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전송된 정보는 공존 신호를 사용하여 검출되는 다른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된 주파수 대역 또는 시간일 수도 있다.
또한, 제 1 내지 제 4 실시예는 통신시스템이 전력선 통신시스템이라는 가정하에 설명되었다. 그러나, 통신시스템(110, 120)과 통신시스템(1210, 1220)은 둘 다 무선통신시스템일 수도 있다. 이 경우에, 만일 무선 통신시스템의 각 스테이션이 상용 AC 메인에 연결되면, 전력선 통신시스템의 경우와 같이, 기준으로서 상용 AC 메인의 제로-교차점과 동기를 이루은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에, 각 장치의 예시적인 구성에서 제로-교차점 검출부(도 4의 참조번호 412, 도 13의 참조번호 1312)은 상용 AC 메인의 제로-교차점을 검출하는 부분이고, 도 4-6, 13, 14, 20-22의 다른 부분들은 무선 통신을 위한 부분들이다.
주목할 것은 전술한 실시예들은 각각 전술한 프로시져를 실행할 수 있는 소정의 프로그램 데이터를 CPU가 번역하고 실행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저장장치(ROM, RAM, 하드 디스크 등)에 저장된다. 이 경우에, 상기 프로그램 데이터는 기록매체를 통해 저장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기록매체로부터 직접 실행될 수도 있다. 상기 기록매체는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마그네틱 디스크; CD ROM, DVD, BD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을 지칭한다. 상기 기록매체는 전화회선, 전송회선 등과 같은 통신매체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프레임 전송부, 프레임 수신부, 통신제어부, 공존 신호 전송부, 공존 신호 수신부, 공존 제어부, 공존 신호 생성부 등과 같은 각 실시예의 기능 블록은 보통 집적회로(LSI: LSI는 패키징 밀도에 따라 IC, 시스템 LSI, 슈퍼 LSI 또는 울트라 LSI라고 함). 각 기능 블록은 칩 하나에 별도로 실장되거나, 또는 기능 블록의 일부 또는 전부가 칩 하나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한 통신시스템의 통신에 관련된 부분과 공존 신호의 송수신에 관련된 부분이 별도의 LSI 칩에 실장될 수도 있다.
상기 집적회로는 LSI 한정되지 않는다. 집적회로는 전용회로 또는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달성될 수도 있다. 또한, LSI 생산 후 프로그램될 수 있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LSI에서 회로 셀의 연결 또는 설정이 재구성될 수 있는 재구성형 프로세서가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만일 LSI를 대체하는 집적회로 기술이 반도체 기술의 발전에 의해 또는 그것으로부터 다른 기술의 출현에 의해 개발된다면, 상기 기능 블록들은 그러한 기술을 사용하여 패키지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정 내 통신장치는 이더넷 인터페이스, IEEE1394, USB 인터페이스 등과 같은 신호 인터페이스를 전력선 통신으로 변환하고, 이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인터페이스를 갖는 PC, DVD 레코더, 디지털 텔레비젼, 홈 시스템 서버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는 어댑터의 형태일 수 있다. 이에 의해, 매체로서 전력선을 통해 멀티미디어 데이터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는 네트워크 시스템이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가정, 사무실 등에 이미 제공된 전력선은 종래의 유선 LAN과 같은 네트워크 케이블을 새로 설치하지 않고 네트워크 회선으로서 직접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비용과 설치의 용이성에 있어서 상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기능들은 미래에 전술한 멀티미디어 장치에 통합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데이터 전달이 멀티미디어 장치들 사이에 그 전원 케이블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더넷 케이블, IEEE1394 케이블, USB 케이블 등이 필요하며, 이에 의해 배선이 간단해진다. 또한, 본 발명의 고속 전력선 전송시스템은 라우터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거나, 또는 허브를 통해 무선 LAN EH는 종래 유선 LAN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고속 전력선 통신시스템이 아무 문제없이 사용될 수 있는 LAN 시스템을 확장한다. 전력선 전송시스템에 의해 전력선을 통해 전달된 통신 데이터는 전력선에 직접 연결된 장치에 의해 인터셉트 될 수 있지만, 무선 LAN이 가진 도청(eavesdrop)으로부터 자유롭다. 그러므로, 전력선 전송 스킴은 보안에 있어서 데이터 보호에 효과적이다. 또한, 전력선에서 전달되는 데이터는 IP 프로토콜의 IPSec, 컨텐츠 자체의 암호화, 다른 DRM 스킴 등에 의해 보호될 수도 있다.
종래의 전력선 통신과 비교하여, 전술한 컨텐츠의 암호화를 적용하는 저작권 보호 기능 또는 효율적인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또한 QoS 기능을 구현하여 전력선을 통한 고품질의 AV 컨텐츠 전송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일한 통신 매체를 사용하고 다른 통신 스킴을 갖는 복수의 시스템의 공존에 적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전력선 또는 무선 매체를 통신 매체로 사용 하는 모뎀과 상기 모뎀의 통신 기능을 갖는 전기 기기 등에 유용하다.

Claims (27)

  1.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2101, 2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2.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3.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의해 사용된 시간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시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4.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에 있어서,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규칙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이 포함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규칙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이 포함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시간 영역을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규칙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시간 영역이 포함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결정부에 의해 결정된 시간 영역을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규칙적으로 전송되고 상기 시간 영역이 포함된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 매체는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은 가정 내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은 액세스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무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 매체는 무선 전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2.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설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3.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 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시간영역에 대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시간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 매체는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매체는 전력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은 가정 내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은 액세스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은 가정 내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은 액세스 통신을 위한 전력선 통신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8.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무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 매체는 무선 전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19.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통신시스템은 각각 무선 통신시스템이고,
    상기 통신 매체는 무선 전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장치.
  20.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와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를 포함하고,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1, 1211)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2, 1212)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설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통신시스템.
  21.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 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와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를 포함하고,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1, 1211)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2, 1212)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설 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통신시스템.
  22.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와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를 포함하고,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1, 1211)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의해 사용된 시간 영역을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시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2, 1212)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에 대한 상기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시간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통신시스템.
  23.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와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를 포함하고,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1, 1211)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120, 1220)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
    상기 검출부(514, 516, 1314, 1316, 2111)에 의해 검출된 상기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2, 1212)에 상기 결정부(503, 515, 1303, 1315, 2103)에 의해 결정된 상기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통지부(501, 504, 1301, 1304, 2101, 2104);
    를 포함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112, 1212)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110, 1210)에서 사용될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111, 1211)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 및
    상기 수신부(602, 604, 1402, 1404, 2202, 2204)에 의해 수신된 시간 영역에 대한 상기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시간 영역을 설정하는 설정부(603, 1403, 220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통신시스템.
  24.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주파수 대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주파수 대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에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 방법.
  25.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주파수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에 상기 결정된 주파수 대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주파수 대역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 될 주파수 대역을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방법.
  26.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에 의해 사용된 시간 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시간 영역을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에 상기 결정된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시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방법.
  27. 동일한 통신 매체를 통해 시간 분할 다중화를 사용하여 상이한 통신 스킴을 갖는 제 2 통신시스템에 연결된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수행되는 송수신방법에 있어서,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2 통신시스템의 존재 여부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존재 여부를 기초로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시간 영역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 속하는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에 상기 결정된 시간 영역을 통지하는 단계;
    를 실행하고,
    슬레이브 스테이션을 위한 상기 송수신장치는,
    상기 제 1 통신시스템에서 사용될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정보를 마스터 스테이션을 위한 송수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 영역에 대한 상기 수신된 정보에 따라 데이터 통신을 위해 사용될 시간 영역을 설정하는 단계;
    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수신방법.
KR1020077030666A 2005-07-05 2006-07-04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KR2008003204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96366A JP2007019618A (ja) 2005-07-05 2005-07-05 システム共存を可能とする送受信装置及び送受信方法
JPJP-P-2005-00196366 2005-07-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2045A true KR20080032045A (ko) 2008-04-14

Family

ID=3705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666A KR20080032045A (ko) 2005-07-05 2006-07-04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064783A1 (ko)
EP (1) EP1905167A1 (ko)
JP (1) JP2007019618A (ko)
KR (1) KR20080032045A (ko)
CN (1) CN101213765A (ko)
TW (1) TW200713875A (ko)
WO (1) WO200700473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18B1 (ko) * 2012-10-08 2014-04-16 한국전기연구원 이종 시스템들의 상호공존을 위한 주파수 대역 할당 방식의 공통신호를 이용하는 고속 전력선 통신 방법
KR20160060065A (ko) * 2013-09-24 2016-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사용자 장비 (ue) 의 성능의 개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6724A1 (en) 2005-05-26 2006-11-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mmunication apparatus enabling coexistence of systems
JP4635947B2 (ja) 2005-10-12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集積回路、及び電力線通信方法
JP4735316B2 (ja) * 2006-02-15 2011-07-27 ソニー株式会社 電力線通信システム、電力線通信装置、および、それらの送信制御方法
CN101416430B (zh) * 2006-04-03 2012-05-2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装置所采用的方法及集成电路
JP4820315B2 (ja) * 2007-03-12 2011-11-24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線通信方式
JP4416008B2 (ja) 2007-05-18 2010-02-17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892409B2 (ja) * 2007-06-01 2012-03-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通信装置
JP4950847B2 (ja) * 2007-11-02 2012-06-13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装置
KR20100096217A (ko) * 2008-01-04 2010-09-01 파나소닉 주식회사 전력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공간 및 시간 재사용을 포함하는 리소스 공유를 달성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집적회로, 통신모듈, 및 컴퓨터 읽기가능 매체
ES2332349B1 (es) 2008-06-23 2011-02-10 Diseño De Sistemas En Silicio, S.A. Procedimiento para compartir un canal de comunicaciones de forma selectiva entre coordinacion e interferencia.
JP4572970B2 (ja) * 2008-08-07 2010-11-04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伝送線通信用チップ及び通信方法
EP2360847A4 (en) * 2008-12-09 2012-08-01 Pioneer Corp COMMUNICATION SYSTEM,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JP5573571B2 (ja) * 2009-11-13 2014-08-20 ソニー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無線通信方法
CN107017963B (zh) * 2011-01-11 2020-05-19 领特贝特林共有限责任两合公司 节点之间的通信方法、节点和包括多个节点的系统
US9507661B2 (en) * 2011-03-01 2016-11-29 As-International Association E.V. Bus system having a master and a group of slaves and communication method for interchanging data in said bus system
CN103713589B (zh) * 2013-11-18 2017-06-23 国家电网公司 一种基于EtherCAT网络通讯的系统的图形化配置方法
US9325522B2 (en) * 2014-06-16 2016-04-26 Qualcomm Incorporated Minimizing interference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143602A (en) * 2000-10-06 2002-04-15 Aryya Communication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erence mitigation among multiple wlan protocols
US7206840B2 (en) * 2001-05-11 2007-04-17 Koninklike Philips Electronics N.V. Dynamic frequency selection scheme for IEEE 802.11 WLANs
US7020095B2 (en) * 2001-06-16 2006-03-28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System and method for modulation of non-data bearing carriers in a 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
WO2003015291A2 (en) * 2001-08-04 2003-02-20 Enikia Llc Frequency management and policing
US6882635B2 (en) * 2002-02-05 2005-04-19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between interfering communication systems
JP3732792B2 (ja) * 2002-03-12 2006-01-11 株式会社東芝 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無線基地局装置及び無線端末装置
JP2006505969A (ja) * 2002-05-28 2006-02-16 アンペリオ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電力系統の中圧ケーブルを使用して広帯域通信を提供する通信システム
DE60312839T2 (de) * 2003-07-16 2007-12-13 Sony Deutschland Gmbh Erkennung von Rundfunksignalen für die Definition von brauchbaren Frequenzbändern für die Powerlinekommunikation
JP2005167502A (ja) * 2003-12-01 2005-06-23 Ntt Docomo Inc 無線通信システム、送信無線局の制御装置及び受信無線局の制御装置、並びにサブキャリア選択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6018B1 (ko) * 2012-10-08 2014-04-16 한국전기연구원 이종 시스템들의 상호공존을 위한 주파수 대역 할당 방식의 공통신호를 이용하는 고속 전력선 통신 방법
KR20160060065A (ko) * 2013-09-24 2016-05-27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비허가된 스펙트럼에서의 사용자 장비 (ue) 의 성능의 개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05167A1 (en) 2008-04-02
CN101213765A (zh) 2008-07-02
WO2007004739A1 (en) 2007-01-11
US20070064783A1 (en) 2007-03-22
JP2007019618A (ja) 2007-01-25
TW200713875A (en) 2007-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2045A (ko)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송수신 장치와 송수신 방법
US8295301B2 (en) Managing coexistence among signaling protocols on a shared medium
US7609681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existence method for enabling coexistence of communication systems
US11985215B2 (en) Automatic selection of MAC protocol to support multiple prime PLC standards
EP1499033B1 (en) Detection of broadcast signals for defining useable frequency bands for powerline communication
JP6127106B2 (ja) 電力ライン通信におけるprime、s−fsk及びg3デバイスの共存
KR101225269B1 (ko) 시스템의 공존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장치
US2007008640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coexistence method for enabling coexistence of communication systems
JPWO2007116835A1 (ja) 通信システム間の共存を可能にする通信装置
US20120236879A1 (en) Coexistence in communication system
JP2007116478A (ja) 電力線通信装置
JP2008060970A (ja) 通信システム間の共存を可能にする通信システムおよび共存方法
Berger et al. Current power line communication systems: A survey
ES2349432T3 (es) Aparato de comunicaciones y método de coexistencia para permitir la coexistencia de sistemas de comunicaciones.
Carcelle et al. Power Line Communication Technology Overview
Jain Management Protocols for IoT
Arlandis et al. Coexistence in PLC networks
Koch Power line communications and hybrid systems for home networks
Jain et al. Data-Link Layer and Management Protocols for IoT
Katar Quality of service design issues in multimedia communications over power line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