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1098A -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1098A
KR20080031098A KR1020070005619A KR20070005619A KR20080031098A KR 20080031098 A KR20080031098 A KR 20080031098A KR 1020070005619 A KR1020070005619 A KR 1020070005619A KR 20070005619 A KR20070005619 A KR 20070005619A KR 20080031098 A KR20080031098 A KR 20080031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ing
subject
size
focu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0466B1 (ko
Inventor
마사유 히구치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80031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1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0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0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Focusing (AREA)

Abstract

어린이가 달려서 촬영자를 향해 가까이 다가오는 경우에도 화상이 흐려지는 일이 없이, 고속의 오토 포커스 제어가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 후에 비디오 오토 포커스에 의해 피사체에 포커스를 맞추어 얼굴의 추출에 성공하면, 얼굴 추출 수단(12)은 그 픽셀수, CCD 사이즈 및 렌즈 초점거리로부터 얼굴 검출 사이즈를 출력한다.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14)은 얼굴 검출 사이즈와 기억 수단(16)에 기억된 얼굴 사이즈 정보로부터 피사체 거리 정보를 산출하고, 이것을 포커스 렌즈 목표 위치 산출 수단(18)으로 출력한다. 포커스 렌즈 목표 위치 산출 수단(18)은 이 거리 정보를 토대로 렌즈 구동 목표 위치를 포커스 렌즈 구동 수단(20)으로 출력함으로써 연속 오토 포커스를 실현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Apparatus for photograph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uto focu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했을 때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기능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촬상 장치에 있어서,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기능마다 블록화한 기능 블록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에서의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 후에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고 있을 때의 프로그램선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2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실제 촬영을 수행할 때의 프로그램선도이다.
도 6은 얼굴 사이즈를 등록할 때의 조작 순서를 나타내는 화면 천이도이다.
도 7은 촬상 장치의 촬영 모드로서 초상화 모드를 선택하고, 나아가 어린이 촬영 모드를 선택했을 때의 표시 화면예이다.
도 8은 얼굴 사이즈를 등록할 경우, 마커 촬영을 선택했을 때 사용하는 마커예이다.
도 9는 얼굴 사이즈를 등록할 경우, 마커 촬영을 선택했을 때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촬상 장치 12 ... 얼굴 추출 수단
14 ...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 16 ... 기억 수단
18 ... 포커스 렌즈 목표 위치 산출 수단 20 ... 포커스 렌즈 구동 수단
100 ... 촬영 렌즈 102 ... CCD
104 ...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 106 ... 오토 게인 콘트롤
108 ...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10 ... 타이밍 발생 회로
112 ... 시리얼/패러럴 변환기 114 ... 모터 드라이버
116 ... 플래쉬 메모리 118 ... MPU
120 ... SDRAM 122 ... 화상 처리부
124 ... 화상 압축·신장부 126 ... 카드 인터페이스
128 ... 메모리 카드 130 ... 비디오 인터페이스
132 ... 액정 표시기 134 ... 키 인터페이스
136 ... 조작 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속으로 오토 포커 스 제어가 가능한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디지털 카메라의 기술 진보는 두드러질 정도이며, 누구나 간단히 카메라 촬영이 가능하도록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카메라의 촬영 대상은 일반적으로 인물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인물 촬영이 실패하지 않기 위한 다양한 기능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개 2003-92700호에는 촬영자가 셔터를 누르는 타이밍이 맞지않아 촬영 기회를 놓쳐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얼굴 화상을 검출 한 후, 이것을 트리거로서 자동적으로 촬영하는 촬상 장치의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이 종래 기술에서는 검출한 얼굴 화상에서 화면의 사이즈나 역광 처리도 자동적으로 수행하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 특개 2005-184246호에는, 예를 들어, 젊은 엄마와 같은 카메라 초보자라도 어린이 촬영 모드를 선택하면 손떨림이 방지되거나, 근거리에서도 자동으로 포커스를 조정하는 오토 포커스 기능을 구비한 촬상 장치의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나아가, 일본 특개 2004-317699호에는, 인물 촬영에 있어서 피사체의 얼굴의 특징점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특징점의 크기를 판별하며, 그 판별 결과에 따라 최적의 오토 포커스 영역을 설정함과 동시에, 그 특징점에 기초하여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촬상 장치의 종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즉, 이 종래 기술에서는 피사체인 촬영 화상의 얼굴이나 눈의 간격과 일반적인 인간의 그것들의 크기로부터 대략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오토 포커스의 구동 범위를 이 거리에 기초하여 제한 함으로써 오토 포커스를 고속화하고 있다.
그렇지만, 일본 특개 2003-92700호 또는 특개 2005-184246호에서는 오토 포커스의 속도에 관해서는 전혀 개시되지 않고, 이 때문에, 예를 들어, 어린이가 달려서 다가오는 경우에는 오토 포커스의 속도를 따라갈 수 없어서 화상이 흐려진다는 문제가 생긴다. 또한 일본 특개 2004-317699호에서는 오토 포커스의 고속화는 개시되어 있는데, 이 문헌에 개시되어 있는 오토 포커스는, 예를 들어, 1/30초마다 소정 단계에서 포커스 렌즈를 움직이면서 화상의 에지를 검출하는 비디오 오토 포커스 제어이다. 이 때문에, 상술한 바와 같이 어린이가 달려서 촬영자에게 다가오는 경우에는, 일본 특개 2003-92700호 또는 일본 특개 2005-184246호와 같이, 오토 포커스 처리가 어린이의 속도를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화상이 흐려진다는 문제를 일본 특개 2004-317699호에서도 해결하지 못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의 과제를 해결하고, 어린이가 달려서 촬영자 가까이 다가오는 경우에도 화상이 흐려지는 일이 없이, 고속의 오토 포커스 제어가 가능한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촬상 광학계를 통해 촬상 소자의 촬상면 위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기초하고, 합초 위치 를 검출하는 제1 합초 조정 수단을 가진 촬상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사이즈를 나타내는 피사체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놓는 기억 수단과,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해 검출된 합초 위치에서의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외형 화상을 인식하는 외형 화상 인식 수단과, 외형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외형 화상과, 기억 수단으로부터 독출한 피사체 데이터를 토대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수단과, 거리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서,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서,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는 합초 조정이 불가능했던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에 대해서도 합초 조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초보자라도 포커스가 조정된 아름다운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2단계의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고, 해당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해 처리 종료한 후,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의 동안에, 외형 화상 인식 수단, 거리 산출 수단 및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고,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촬영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피사체를 특정하고, 이후 셔터 버튼의 2단째의 누름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므로 고속의 합초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해제하면,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일련의 처리도 해제되므로, 피사체를 잘못 선택한 경우에도 바로 올바른 피사체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촬상 소자의 감도를 조정하는 감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감도 조정 수단은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 촬상 소자의 감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는 촬상 소자의 감도를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므로, 조리개를 조여 피사계 심도를 확보할 수 있고,  피사체의 광축 방향의 움직임에 재빨리 추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따라 촬영 모드 또는 물체 측정 모드를 선택적으로 바꾸는 변환 수단과, 물체 측정 모드 선택시에,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이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피촬영물의 형상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사이즈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사이즈 산출 수단의 산출 결과를 피사체 데이터로서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것만으로,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고, 기억 수단에 기억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피사체의 설정 등록을 간단히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물의 얼굴임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촬상 광학계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촬상 광학계를 통해 촬상 소자의 촬상면 위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기초하여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합초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사이즈를 나타내는 피사체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놓고,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해 검출된 합초 위치에서의 피사체의 화상에서,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외형 화상을 인식하는 외형 화상 인식 단계와, 해당 인식된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외형 화상과, 피사체 데이터를 토대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와, 해당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서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서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단계를 구비함으로써 종래 기술에서는 합초 조정이 불가능했던 움직임이 빠른 피사체에 대해서도 합초 조정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초보자라도 포커스가 조정된 깨끗한 화상을 촬상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입력 상태가 2단계로 설정된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고, 해당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처리 종료 후,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의 동안, 외형 화상 인식 단계, 거리 산출 단계 및 상기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고, 제2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촬영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7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여 포커스를 조정하는 피사체를 특정하고, 이후 제2 셔터 버튼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므로 고속의 포커스 조정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해제하면,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일련의 처리도 해제되므로, 피사체를 잘못 선택한 경우에도 곧 올바른 피사체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또는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는, 촬상 소자의 감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감도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8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는 촬상 소자의 감도를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므로, 조리개를 조여 피사계 심도를 확보할 수 있고, 피사체의 광축 방향의 움직임에 재빨리 추종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내지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따라 촬영 모드 또는 물체 측정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며, 해당 물체 측정 모드 선택시에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촬영 단계와, 해당 촬영된 피촬영물의 형상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사이즈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 이 사이즈 산출 단계에 의한 산출 결과를 피사체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9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것만으로,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할 수 있고, 기억할 수 있으므로, 원하는 피사체의 설정 등록을 간단히 할 수 있다.
청구항 10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6 내지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물의 얼굴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를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했을 때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도 2를 사용하여 본 실시 형태의 촬상 장치(10)를 상세히 설명한다.
촬영 렌즈(100)는 피사체상을 CCD(102) 상에 촬상시키기 위한 촬영 렌즈이고, 줌 렌즈나 오토 포커스 렌즈 및 조리개 기구로 구성된 촬상 광학계이다. CCD(102)는 촬영 렌즈(100)에 의해 촬상된 피사체를 광전변환하는 촬상 소자이고, 광전변환한 영상 신호를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로 출력한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는 CCD(102)로부터의 아날로그 영상 화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처리부이다. 구체적으로,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는 아날로그 영상 화상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기능 이외에, 후술하는 MPU(118)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시리얼/패러럴 변환기(112)를 통해 입력한다.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는 오토 게인 콘트롤(106),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 및 타이밍 발생 회로(110)를 포함하고,  MPU(118)에 의해 이들 회로가 제어된다.
오토 게인 콘트롤(106)은 CCD(102)에 의해 광전변환된 영상 신호를 입력하고, 이것이 소정의 조정 범위를 초과한 경우에 그 값을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화상의 밝기 조정 회로이다. 오토 게인 콘트롤(106)에서 조정된 영상 신호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로 전송된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는 광전변환된 아날로그 영상 신호를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함과 동시에, 잡음 제거나 신호의 증폭 등을 수행하는 변환기이다.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는 이들 처리한 디지털 영상 신호를 버스(200)로 출력한다. 타이밍 발생 회로(110)는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와 CCD(102)를 동기하기 위한 클록을 출력하는 타이밍 생성기이다.
시리얼/패러럴 변환기(112)는 버스(200)를 통해 입력된 패러럴 데이터를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기이다. 구체적으로, 시리얼/패러럴 변환기(112)는 촬상 장치(10) 전체의 제어를 수행하는 MPU(118)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 및 모터 드라이버(114)로 출력한다.
모터 드라이버(114)는 MPU(118)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시리얼/패러럴 변환기(112)로부터 수신하여, 그 내용에 따라 촬영 렌즈(100)를 제어함으로써, 자동 노출이나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는 구동 회로이다. 또한, 이 오토 포커스 제어는 촬영 렌즈(100)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촬상 렌즈(100)를 통해 CCD(102)의 촬상면 위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기초하여 합초 위치의 검출을 수행하는 포커스 제어 방법이다.
플래시 메모리(116)는 비휘발성 메모리이고, MPU(118)의 동작 프로그램인 촬상 장치(10)의 펌 웨어가 기억되어 있다. 플래시 메모리(116)는 또한 사용자가 설정한 등록 정보 등이 기억된다.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할 때 참조되는 얼굴의 크기가 기억된다.
MPU(118)는 플래시 메모리(116)에 기억된 펌 웨어를 실행함으로써 버스(200)를 통해 접속되어 있는 촬상 장치(10)의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하는 메인 프로세서이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서는 MPU(118)는 촬영 모드로서 인물 촬영 모드인 초상 화(portrait) 모드가 선택되고, 나아가 「어린이 촬영 모드 인물 선택」에 의해 미리 등록된 특정 인물이 선택된 경우, 통상의 비디오 오토 포커스의 동작 후 연속 오토 포커스에 의해 피사체의 포커스 제어를 수행한다. 또한, 연속 오토 포커스에 관해서는 이하 도 1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SDRAM(120)은 화상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는 프레임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동시에, MPU(118)가 각종 연산을 수행할 때의 워크 메모리로서 사용되는 휘발성 메모리이다. 즉, SDRAM(120)에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108)로부터 버스(200)에 실시간으로 출력되는 복수의 프레임만큼의 화상이 일단 기억되고, 이것이 화상 처리부(122)에 의해 처리된 후, 다시 SDRAM(120)에 기억된다. 또한 셔터 버튼(도시하지 않음)이 입력되었을 때의 화상은 후술하는 화상 압축·신장부(124)에서 처리되는데, 그 때도 SDRAM(120)을 통해 화상 압축이 이루어지고, 압축된 화상은 다시 SDRAM(120)에 기억된다.
화상 처리부(122)는 MPU(118)의 제어에 의해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로부터 버스(200)를 통하여 SDRAM(120)에 기억되는 실시간으로 변화하는 화상에 대해, 예를 들어, 화소 보간, 컬러 밸런스 제어, 감마 보정 등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화상 압축·신장부(124)는 마찬가지로 MPU(118)의 제어에 의해 셔터 버튼이 입력되어 생성된 화상에 대해 JPEG 압축 등의 화상 압축을 수행하는 회로이다. 화상 압축·신장부(124)는 또한 MPU(118)의 제어에 의해 촬상 장치(10)가 재생 모드일 때, 메모리 카드(128)에 기억된 화상의 신장 처리를 수행하여  SDRAM(120)에 저장한다.
메모리 카드(128)는 기억 매체로서 플래시 메모리 등을 채용하고 있는 착탈 가능한 카드형 기억장치다. 메모리 카드(128)에는 카드 인터페이스(126)를 통하여 화상 압축·신장부(124)에 의해 압축된 화상이 기억된다.
액정 표시기(132)는 촬영시 화상이 실시간으로 표시되는 전자 뷰 파인더로서의 기능과 재생 모드시에 촬영한 화상을 확인하는 표시 화면으로서의 기능을 구비한 표시기이다. 촬영시에 아날로그 프론트 엔드(104)로부터 버스(200)로 출력된 영상은, MPU(118)의 제어로 화상 처리부(122)에 의해 화상 처리된 후, SDRAM(120)에 기억되고, 비디오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실시간으로 액정 표시기(132)에 표시된다. 또한 재생 모드의 경우에는 MPU(118)의 제어로 메모리 카드(128)에 기억된 화상이 화상 압축·신장부(124)에 의해 신장되어, SDRAM(120)에 기억된 후, 비디오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액정 표시기(132)에 표시된다.
조작 키(136)는 사용자가 외부 조작을 수행하기 위한 촬상 장치(10)의 조작부이다. 조작 키(136)는 촬상 장치(10)의 전원 버튼, 촬영 모드나 재생 모드의 지정 및 얼굴의 크기 등의 각종 설정을 수행하는 십자 키, 줌 버튼 또는 셔터 버튼 등을 포함한다. 이 셔터 버튼은 2단계의 입력 상태를 검출하는 검지 기능을 구비한 버튼이고, 본 실시 형태에서는 1단계째를 제1 셔터 릴리즈 버튼이라 부르고, 2단계째를 제2 셔터 릴리즈 버튼이라고 부른다. 조작 키(136)는 키 인터페이스(134)를 통해 버스(200)에 접속되고, 조작 키(136)가 조작되면 버스(200)를 통해 MPU(118)에 의해 검지되어 키 조작에 따른 처리가 실행된다.
도 1은 도 2에 나타낸 촬상 장치(10)의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는 기능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는 피사체의 특정 부위,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물의 얼굴 사이즈를 등록하고, 이것을 토대로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함으로써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는 제어 방식이다.
얼굴 추출 수단(12)은 비디오 오토 포커스에 의해 포커스가 조정된 촬영 화상에서 에지 추출 또는 패턴 추출 등에 의해 얼굴을 추출하는 수단이고,  MPU(118)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얼굴 추출 수단(12)이 피사체의 얼굴 추출을 수행하면, 검출한 얼굴 사이즈의 픽셀수를 검출 얼굴 사이즈로서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14)에 통지한다.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14)은 얼굴 추출 수단(12)에 의해 추출된 얼굴의 픽셀수와 CCD 사이즈, 렌즈 초점 거리 및 SDRAM(120)인 기억 수단(16)에 기억된 얼굴 사이즈로부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계산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f : 물체의 초점거리, Z : 물체의 거리, M : 세로 배율로 하면,
Figure 112007005249764-PAT00001
이 된다. 물체의 초점거리(f)는 줌 위치에 의해 정해지고, 세로 배율(M)은, 얼굴 추출 수단(12)에서 얻어진 픽셀수× CCD 피치를, 기억 수단(16)에 기억된 얼굴 사이즈로 나누면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수학식1에서 물체의 거리(Z)(피사체까지의 거리를 나타내는 피사체 거리 정보)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14)도 MPU(118)의 제어에 의해 실행된다.
피사체 거리 산출 수단(14)은 산출한 피사체 거리 정보를 포커스 렌즈 목표 위치 산출 수단(18)으로 출력한다. 포커스 렌즈 목표 위치 산출 수단(18)은 MPU(118)의 제어에 의해 실행되는 수단이고, 피사체 거리 정보를 토대로 렌즈 구동 목표 위치를 계산하고, 이것을 포커스 렌즈 구동 수단(20)으로 출력한다. 포커스 렌즈 구동 수단(20)은 도 1의 모터 드라이버(114)에 해당하고, 입력한 렌즈 구동 목표 위치에 따라 촬영 렌즈(100)를 제어함으로써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한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촬상 장치(10)의 촬영 동작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 이다. 또한, 여기에는 촬영자가 촬영 모드를 어린이 촬영 모드로 설정하고, 미리 등록해 놓은 어린이를 선택하여 촬영을 수행했을 때의 동작을 설명한다. 촬영자는 어린이 촬영 모드에서 선택한 어린이가 전자 파인더인 액정 표시기(132)의 중앙에 위치했을 때, 셔터 버튼의 반누름 상태인 제1 셔터 릴리즈 버튼을 입력한다(S300).
상기 제1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에 의해, 촬영 셔터 스피드, 조리개, ISO 감도, 스트로브 발광 유무가 결정되는 자동 노출 처리가 수행된다(S302). 이어, 통상의 비디오 오토 포커스가 동작하여 액정 표시기(132)의 중앙에 위치해 있는 화상의 에지 검출이 이루어지고, 그 피크를 검출함으로써 포커스 조정이 수행된다(S304). 이와 같이 비디오 오토 포커스는 소정 단계씩 촬영 렌즈(100)의 포커스 렌즈를 움직이면서 화상의 에지를 검출하여 피크를 찾음으로써 포커스를 자동으로 조정하는 방식이다.
비디오 오토 포커스에 의해 피사체의 포커스가 조정되면, 얼굴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S306). 이 때의 얼굴 인식 처리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머리의 외형을 인식하면 되므로, 예를 들어, 정적인 2차원적 방법 등의 비교적 단순한 인식 방법에 의해 가능하다. 또한, 얼굴 인식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예를 들어, 눈, 코의 특징으로부터 얼굴의 경사를 산출하여, 얼굴의 크기보다 정확하게 보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어, 비디오 오토 포커스에 의해 포커스를 조정한 피사체 안에 얼굴이 존재하는지를 얼굴 인식 처리로 판단한 결과, 얼굴을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처리 S306으로 되돌아가 반복 얼굴 인식 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얼굴을 검출할 수 있는 경우에는, 도 1에 설명한 방법에 의해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고(S310), 그 거리에 의해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는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실행한다(S312). 도 1에서 설명한 이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는, 제2 셔터 릴리즈 버튼이 입력되거나(S314), 또는 제1 셔터 릴리즈 버튼이 해제될 때까지 실행된다. 제2 셔터 릴리즈 버튼이 입력되면, 촬영 처리가 이루어지고(S316), 그 화상이 메모리 카드에 기억된다(S318).
비디오 오토 포커스 제어는 포커스 렌즈를 움직이면서 화상의 에지를 검출하여 피크를 찾는 방식이기 때문에 시간이 걸린다. 따라서, 비디오 오토 포커스 제어는, 예를 들어, 1/30초마다 오토 포커스 제어를 단계적으로 하게 된다. 한편,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는 피사체까지의 거리에서 포커스 렌즈를 구동하기 때문에, 실시간으로 연속해서 포커스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로써, 고속의 오토 포커스가 가능해지므로, 종래에는 포커스가 맞지 않는 달려오는 아이를 촬영하는 경 우라도, 높은 추종성을 갖고 오토 포커스 제어가 가능해진다.
그런데, 단계 S314의 제2 셔터 릴리즈 버튼이 입력되어 단계 S316의 촬영 처리가 수행되는데, 이 때의 촬영 조건은 단계 S302에서 결정된 조건에 가까운 내용으로 수행되고,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고 있을 때와는 다르다. 이것은 얼굴 인식을 수행하고 있는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의 동영상 모드의 화상은, 어린이의 움직임에 의한 떨림을 저감하기 위해 빠른 셔터 스피드가 바람직하지만, 이와는 반대로 조리개를 조여 피사계 심도를 확보하여 피사체의 광축 방향의 움직임에 추종하는 것도 중요하다.
그 때문에,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로 변환된 경우에는, 실제 촬영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선도가 아니라, 도 4에 나타낸 ISO 감도를 높이는 프로그램선도가 적용된다. 즉, CCD(102)의 동영상 독출 모드는 화소 가산을 수행한 후 출력이 나오기 때문에, 통상의 독출 모드보다도 고감도가 가능하다. 이 때문에,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사체의 밝기(Bv)가 -1 이상이 되면 ISO 감도를 ISO1600로 하고, 이것을 통상 사용하는 최대값으로 한다. 피사체의 밝기(Bv)가 밝아져도 ISO1600은 고정되며, 조리개 개방(Fno)과 셔터 스피드를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밝기(Bv)가 -1인 경우에는 비스듬한 점선을 따라 내린 지점, 즉, 노출(Ev)이 8, 셔터 스피드가 1/30, 셔터 스피드 우선(Tv)이 5, 조리개 우선(Av)이 3, 조리개 개방(Fno)이 2.8이 된다. 또 밝기(Bv)가 9인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노출(Ev)이 18, 셔터 스피드가 1/1000, 셔터 스피드 우선(Tv)이 10, 조리개 우선(Av)이 8, 조리개 개방(Fno)이 16이 된다. 위의 경우ISO1600보다 잡음이 늘고, 에지 추출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조리개 개방(Fno) 2.8 및 1/30의 셔터 스피드로 대응할 수 없는 밝기(Bv)가 -1이하인 경우에 사용한다. 나아가, 밝기(Bv)가 9 이상인 경우에, 밝기(Bv) 9와 같이 셔터 스피드 1/1000, 셔터 스피드 우선(Tv) 10, 조리개 우선(Av) 8, 조리개 개방(Fno) 16으로 하고, ISO 감도를 내린다.
도 5는 제2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시의 프로그램선도이고  실제 촬영을 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제2 셔터 릴리즈 버튼이 입력시는 화질(잡음 특성)의 악화를 고려하여 ISO 감도를 단숨에 올리지 않는데, 조리개 값을 제1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 시의 가까운 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2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 후의 조리개 구동을 최소한으로 하여 릴리즈 타임 래그(lag)가 커지지 않도록 한다.
이 때문에, 노출(Ev) 8 이하(밝기(Bv)가 1 이하)에서는 ISO를 400으로 설정하고, 조리개 F2.8, 셔터 스피드 1/ 30에서 스트로브 발광함으로써 적정 노출을 얻도록 하고 있다. 밝기(Bv)가 1을 넘으면 조리개 개방(Fno)과 셔터 스피드를 올려가고, 밝기(Bv)가 5를 초월하여 7까지는 조리개 개방(Fno)과 셔터 스피드를 고정하여 ISO 감도를 ISO100까지 내린다. 밝기(Bv)가 7 이상에서는 ISO100에 고정하여 조리개 개방(Fno)과 셔터 스피드를 올려 나간다.
이어,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는 촬영 모드인 어린이 촬영 모드에 대해 설명한다.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를 수행함에 있어서, 촬상 장치(10)는 미리 얼굴(머리)의 크기를 기억해 놓을 필요가 있다. 이하, 도 6을 이용하여 촬상 장치(10)에 얼굴의 크기를 등록하는 설정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조작 키(136)(도 1 참조) 중 십자 키를 조작하여 얼굴 사이즈의 설정을 수행하는 「얼굴 사이즈 설정」의 초기 화면을 액정 표시기(132)에 표시한다(D400). 또한, 십자 키는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하 좌우의 4개의 스위치와 센터에 하나의 스위치가 있고, 이들 스위치에 의해 화면의 이동이나 확정 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십자 키로 선택된 부분은 하일라이트 표시함으로써, 현재 선택 상태인 것을 사용자가 알 수 있게 되어 있다. 화면(D400)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촬상 장치(10)에 3명까지의 인물의 얼굴의 크기를 등록할 수 있다. 화면(D400)에는 아직 누구도 등록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인물 A」,「인물 B」,「인물 C」라고 가명이 표시되어 있다.
「인물 A」를 선택하면 얼굴 사이즈의 등록 화면이 액정 표시기(132)에 표시된다(D402). 얼굴 사이즈의 등록에 있어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2종류의 방법이 있는데, 먼저, 직접 얼굴 사이즈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얼굴 사이즈를 직접 입력하는 경우, 십자 키를 조작하여 상하 대칭의 삼각표(402a)를 하일라이트 표시한다. 그 상태에서 십자 키의 세로 방향의 스위치를 사용하여, 사이즈를 크게 할 경우에는 위쪽을 입력하고, 사이즈를 작게 할 경우에는 아래쪽을 입력함으로써 얼굴 사이즈를 입력한다. 입력한 얼굴 사이즈는 표시부(402b와 402c)로 표시되므로, 원하는 얼굴 사이즈 입력이 완성되면 십자 키에 의해 OK 버튼(410)으로 이동하여 이것을 하일라이트 표시한 후, 십자 키의 센터 버튼을 조작하여 다음 이름 등록 화면으로 이동한다(D404).
이름 등록 화면(D404)에서는 알파벳 선택부(404b) 중 알파벳을 십자 키로 선 택함으로써 이름을 설정한다. 구체적으로, 십자 키의 상하 좌우의 버튼을 누름으로써 알파벳 중 1문자가 하일라이트 표시되고, 십자 키의 센터 버튼을 누름으로써 하일라이트 표시된 문자가 이름 설정부(404a)에 추가된다. 또한, 이름 설정부(404a)에 추가된 문자를 정정하는 경우에는, 십자 키에서 소거 버튼(404c)으로 이동하여 이것을 하일라이트 표시한 후, 십자 키의 센터 버튼을 누름으로써 이름 설정부(404a)의 마지막에 추가된 1문자가 소거된다.
이름의 설정이 종료하면, 십자 키에 의해 OK 버튼(410)을 조작하여 얼굴 사이즈 설정」의 초기 화면으로 되돌아 간다(D406). 이 때의 초기 화면은 화면(D40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초「인물 A」로 표시되어 있던 부분이 등록한 「TARO」라고 하는 이름으로 바뀌어 있다.
도 7은 촬영 모드 선택시에 인물 촬영 모드 중 어린이 촬영 모드를 선택했을 때의 액정 표시기(132)에 표시되는 화면 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화면(D500)의 예에서는 3명인 어린이의 얼굴 사이즈가 이름과 함께 등록되어 있고, 이 중에서 십자 키로 선택한 어린이의 얼굴 사이즈가 연속 오토 포커스에서 사용되는 얼굴 사이즈 정보가 된다.
도 8은「마커 촬영」을 선택했을 때 사용한 촬상 장치(10)에 부속된 마커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마커(510)는 실제 치수가 미리 촬상 장치(10)의 플래시 메모리(116)에 등록되어 있으므로, 이 마커(510)를 등록하고 싶은 얼굴 옆에 두고 촬영하면, 마커(510)의 실제 치수로부터 얼굴의 크기를 계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의 화면(D402)에 있어서, 마커 촬영(408)을 십자 키로 선 택하면, 촬상 장치(10)는 마커 촬영 모드로 변환된다. 여기서, 마커(510)를 피사체가 되는 인물의 얼굴 옆에 배치하고, 통상 촬영과 똑같은 조작에 의해 촬영을 수행한다.
도 9는 마커 촬영에 의해 어린이의 얼굴 사이즈를 등록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는 처리 흐름도이다. 마커 촬영 모드를 선택하여 촬상 장치(10)가 촬영 모드로 변환된 후, 제1 셔터 릴리즈 버튼을 입력하면, 자동 노출 처리(S602) 및 오토 포커스 처리(S604)가 수행된다. 이로써, 촬영 셔터 스피드, 조리개,  ISO 감도, 스트로브 발광 유무가 결정되고, 나아가 피사체(이 경우에는 어린이의 얼굴)의 포커스가 조정된 상태에서 제2셔터 릴리즈 버튼이 입력되면(S606), 얼굴 인식 처리가 실행된다(S608).
단계 S608의 얼굴 인식 처리에 의해 촬영한 화상 중에서 얼굴을 추출하는데, 그 결과 얼굴이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다수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S610), 에러 처리로 이동한다(S620). 한편, 하나의 얼굴이 검출된 경우에는(S610), 얼굴 옆에 존재하는 마커의 인식 처리를 실행하는데(S612), 마커가 검출되지 않거나, 또는 다수의 마커가 검출된 경우에는(S614), 에러 처리로 이동한다(S620).
얼굴 및 마커가 각각 하나씩 검출되면 얼굴 사이즈 연산 처리를 수행한다(S616). 얼굴 사이즈 연산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우선 촬영한 마커의 크기를 취득한다. 원주부의 임의의 1점으로부터 마커의 중심점까지의 거리를 픽셀 단위로 취득하고, 이 취득값의 최대값을 마커의 크기로 한다. 이어 얼굴 검출에 의해 검출된 사이즈를 픽셀 단위로 취득한다. 마커의 크기는 미리 정해져 있으므로, 이들 비로부터 얼굴의 사이즈를 산출한다. 얼굴 사이즈를 산출하면 이것을 도 6의 화면(D40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한다(S618). 이후에는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름을 등록하여 설정을 종료한다.
또한, 마커(500)는 촬상 장치(10)의 부속품으로서 첨부해도 되는데, 예를 들어, 렌즈 캡부의 카메라의 경우에는 캡의 안쪽에 마커(500)의 모양을 프린트함으로써 마커로서 대용할 수도 있다.
이상,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에 의한 촬상 장치의 실시 형태를 상세히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기술적 사상이 동일한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은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얼굴 사이즈를 얼굴 전체의 크기로 했는데, 이와 같이 얼굴 전부가 아니라 일부일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스틸 카메라에 적용했는데, 본 발명은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 또는 촬상 장치부의 휴대 전화 등에도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을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에 적용한 경우에는, 제1 셔터 릴리즈 버튼 조작이 없기 때문에, 비디오 포커스에 의해 포커스가 조정된 피사체로부터 얼굴 인식이 가능한 시점에서 연속 오토 포커스로 변환되어 포커스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의 경우에도 고속의 오토 포커스 제어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는 포커스가 안맞는 경우에도 선명한 영상을 찍는 것이 가능해진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 발명을 인물 촬영 모드에 적용했을 때를 설명했는데, 본 발명은 특별히 인물 촬영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피사체가 다가 오는 듯한 종래 기술에서는 포커스 조정이 어려운 피사체에 대해서는 유효하다. 이 경우에도, 그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사이즈를 등록하고, 제1 셔터 릴리즈 버튼 입력으로 촬상 장치가 피사체의 특정 부위의 추출이 가능하면, 비디오 오토 포커스 제어 후에 연속 오토 포커스 제어가 수행되므로 움직이고 있는 피사체에 대해서도 포커스를 계속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촬영 모드에 있어서, 피사체에 대해 고속의 오토 포커스 처리를 실행한다. 이로써, 종래에는 오토 포커스 처리가 맞지 않아 포커스가 흐려지는, 예를 들어, 인물이 달려오는 경우에도, 포커스가 조정된 상태에서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 초보자는 촬영이 어려웠던 이와 같은 신(scene)에서도 포커스가 조정된 사진을 찍을 수 있게 된다.

Claims (10)

  1. 촬상 광학계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촬상 광학계를 통해 촬상 소자의 촬상면 위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기초하여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합초 조정 수단을 가진 촬상 장치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사이즈를 나타내는 피사체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두는 기억 수단과,
    상기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합초 위치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외형 화상을 인식하는 외형 화상 인식 수단과,
    상기 외형 화상 인식 수단에 의해 인식된 상기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외형 화상과,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독출한 상기 피사체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수단과,
    상기 거리 산출 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 상기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2단계의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상기 제1 합초 조정 수 단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고,
    해당 제1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해 처리 종료한 후, 상기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의 동안에, 상기 외형 화상 인식 수단, 상기 거리 산출 수단 및 상기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고,
    상기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촬영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촬상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소자의 감도를 조정하는 감도 조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감도 조정 수단은 상기 제2 합초 조정 수단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감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따라 촬영 모드 또는 물체 측정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물체 측정 모드 선택시에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상기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촬영 수단과,
    상기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상기 피촬영물의 형상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사이즈 산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사이즈 산출 수단의 산출 결과를 상기 피사체 데이터로서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물의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6. 촬상 광학계에 포함되는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상기 촬상 광학계를 통해 촬상 소자의 촬상면 위에 촬상되는 피사체의 화상에 기초하여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1 합초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관한 사이즈를 나타내는 피사체 데이터를 미리 기억해 놓고, 상기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해 검출된 상기 합 초 위치에서의 상기 피사체의 화상으로부터, 상기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에 해당하는 외형 화상을 인식하는 외형 화상 인식 단계와,
    해당 인식된 상기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외형 화상과, 상기 피사체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피사체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와,
    해당 산출되는 거리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포커스 렌즈를 포커스 조정 방향으로 구동시켜 새로운 합초 위치를 검출하는 제2 합초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입력 상태가 2단계로 설정된 제1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상기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처리를 개시하고,
    해당 제1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처리 종료 후, 상기 제2 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하는 시점까지의 동안에, 상기 외형 화상 인식 단계, 상기 거리 산출 단계 및 상기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일련의 처리를 반복하고,
    상기 제2셔터 버튼의 입력 상태를 검지한 시점에서 촬영 동작을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합초 조정 단계에 의한 합초 조정시에는 상기 촬상 소자의 감도를 미리 설정해 놓은 촬영시의 최적치보다도 높은 값이 되도록 조정하는 감도 조정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9.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조작에 따라 촬영 모드 또는 물체 측정 모드를 선택적으로 변환하도록 이루어지고, 해당 물체 측정 모드 선택시에, 형상 및 사이즈가 미리 설정된 피촬영물을 상기 원하는 피사체와 함께 촬영하는 촬영 단계와,
    해당 촬영된 상기 피촬영물의 형상 및 사이즈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의 전부 또는 일부의 사이즈를 산출하는 사이즈 산출 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사이즈 산출 단계에 의한 산출 결과를 상기 피사체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하는 물체의 전부 또는 일부는 인물의 얼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방법.
KR1020070005619A 2006-10-03 2007-01-18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KR1008504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71841 2006-10-03
JP2006271841A JP2008090059A (ja) 2006-10-03 2006-10-03 撮像装置およ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1098A true KR20080031098A (ko) 2008-04-08
KR100850466B1 KR100850466B1 (ko) 2008-08-07

Family

ID=39374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619A KR100850466B1 (ko) 2006-10-03 2007-01-18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8090059A (ko)
KR (1) KR1008504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44755B2 (ja) * 2009-05-15 2014-07-09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US8970770B2 (en) * 2010-09-28 2015-03-03 Fotonation Limited Continuous autofoc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tracking
JP5669529B2 (ja) * 2010-11-17 2015-02-1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プログラム及びフォーカス制御方法
KR101796481B1 (ko) * 2011-11-28 2017-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전력 셔터랙 제거 방법,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CN114584705A (zh) 2014-12-24 2022-06-03 佳能株式会社 变焦控制装置、变焦控制装置的控制方法和记录介质
KR102460838B1 (ko) 2015-08-28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얼굴 검출을 이용한 카메라의 자동 초점 조절 방법 및 카메라 제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21151B2 (ja) 2001-09-17 2010-02-24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撮像装置
JP2004317699A (ja) 2003-04-15 2004-11-11 Nikon Gijutsu Kobo:Kk デジタルカメラ
JP2005184246A (ja) 2003-12-17 2005-07-07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2006025238A (ja) 2004-07-08 2006-01-26 Fuji Photo Film Co Ltd 撮像装置
JP4674471B2 (ja) 2005-01-18 2011-04-20 株式会社ニコン デジタルカメ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8090059A (ja) 2008-04-17
KR100850466B1 (ko) 2008-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4471B2 (ja) デジタルカメラ
US8106995B2 (en) Image-taking method and apparatus
KR100847614B1 (ko) 촬상장치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US8395694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lurring image background in digital image processing device
JP5157256B2 (ja) 画像追尾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101728042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8187591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KR101433121B1 (ko) 소정의 종횡비의 합성 화상을 생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
KR100850466B1 (ko) 촬상 장치 및 그 오토 포커스 제어 방법
JP2003307669A (ja) カメラ
JP4853707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079193A (ja) デジタルカメラ
JP5429588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JP2009081636A (ja) 画像記録装置及び撮影方法
JP480762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724900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撮像プログラム
JP5278483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JP2009253925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と、撮影制御プログラム
JP4877186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172732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JP2008028956A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装置における対象物検出用画像信号の生成方法
JP5123010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装置が備えるコンピュータに撮像方法を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5415208B2 (ja) 撮像装置
JP4810440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2091233A2 (en) Imag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