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286A -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 Google Patents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286A
KR20080029286A KR1020060095131A KR20060095131A KR20080029286A KR 20080029286 A KR20080029286 A KR 20080029286A KR 1020060095131 A KR1020060095131 A KR 1020060095131A KR 20060095131 A KR20060095131 A KR 20060095131A KR 20080029286 A KR20080029286 A KR 200800292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ody
bump stopper
bumper stopper
actuator
spring cons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5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95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286A/ko
Publication of KR200800292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2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8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signal treatment or control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7/00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 B60G17/015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 B60G17/019Resilient suspensions having means for adjusting the spring or vibration-damper characteristics, for regulating the distance between a supporting surface and a sprung part of vehicle or for locking suspension during us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surface conditions, e.g. due to speed or load the regulating means comprising electric or electronic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sensor or the arrangement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2Pneumat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40Type of actuator
    • B60G2202/41Fluid actuator
    • B60G2202/413Hydraulic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4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detected, measured or calculated conditions or factors
    • B60G2400/60Lo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5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regulated action or device
    • B60G2500/20Spring action or springs
    • B60G2500/22Spring const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8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movement or to the condition of the vehicle and to the end result to be achieved by the control action
    • B60G2800/90System Controller type
    • B60G2800/91Suspension Control
    • B60G2800/914Height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짐을 싣거나 탑승객이 증가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되는 경우에 상관없이 차체의 진동주기가 일정하도록 스프링 상수를 조절하여 차고 변화를 조절하도록 차체에 가해지는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체와 리어액슬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차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다양한 스프링 상수값을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범프스토퍼, 스프링 상수, 액츄에이터

Description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Length variable form bump stopper}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와 종래의 범프 스토퍼의 스프링 상수를 비교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감지부 200 : 스프링
300 : 범프스토퍼부 400 : 제어부
본 발명은 차량에 짐을 싣거나 탑승객이 증가되어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이 변화되는 경우에 상관없이 차체의 진동주기가 일정하도록 스프링 상수를 조절하여 차고 변화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리프스프링을 사용한 서스펜션은 액슬과 함께 상승하는 리프스프링의 상승량을 제한할 수 있도록 범프스토퍼가 리프스프링의 상측 차체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한 범프스토퍼는 차량의 중량이 증가될 경우에 스프링 상수를 증가시켜 진동주기를 유지시키기 위해 사용한다.
차량에 범프(BUMP)나 롤(ROLL)이 발생되어 액슬이 상승하고 리프스프링의 상측이 범프스토퍼에 접촉하게 되면서 상기한 범프스토퍼가 변형을 시작하고 서스펜션의 스프링강성을 2단계로 변화시키도록 작동된다. 또한, 차량에 롤이 발생할 경우에는 상기 범프스토퍼가 롤오버(rollover)를 방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한 범프스토퍼는 2가지 주요한 기능을 수행하는데, 양쪽 바퀴가 동시에 상승하거나, 차량의 롤이 아닌 순수한 범프시에는 가급적 리프스프링의 상측이 상기 범프스토퍼와 접촉하지 않는 것이 승차감의 측면에서 유리하다.
한편, 차량의 롤시에는 리프스프링의 상승량이 적은 범위내에서 범프스토퍼가 액슬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차량의 롤오버를 방지하는 데에 유리하다.
종래의 범프스토퍼는 차체 하부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해 있어서 차체에 가해지는 다양한 중량 변화에 대해 안정적으로 대처하지 못했으며 차체에 짐이 실릴 때 차체 후방의 차고가 낮아져서 차량 전체의 무게중심이 변화되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거나 선회시에 거동이 불안정해지는 문제점이 발생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체에 가해지는 다양한 중량 변화에 따라 차체의 진동주기가 일정하도록 스프링 상수를 조절 하여 차고 변화를 줄일 수 있는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는 차체에 가해지는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차체와 리어액슬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차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다양한 스프링 상수값을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와 종래의 범프 스토퍼의 스프링 상수를 비교 도시한 도면이다.
차체(2)에 가해지는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100)와; 상기 차체(2)와 리어액슬(4)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스프링(200)과; 상기 차체(2)의 하측에 설치되며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액츄에이터(310)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300); 및 상기 감지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100)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다양한 스프링 상수값을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310)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300)를 작동시켜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10)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부(312)와, 상기 실린더부(312)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31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감지부(100)는 중량을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310)는 유압 또는 공압을 공급받아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별도의 유압라인(미도시) 또는 공압라인(미도시)과 연결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범프스토퍼부(300)의 범프스토퍼(320)는 폴리우레탄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도록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2a를 참조하면, 첨부된 도 2a는 차체(2)에 짐이 실리지 않은 상태로써 차체(2) 가해지는 중량변화가 없어서 제어부(100)에 감지부(100)의 감지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차량이 공차 상태에서는 액츄에이터(310)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300)의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첨부된 도 2b를 참조하면, 도 2a의 상태에서 차체(2)에 다량의 짐(6)이 적재 되면 중력 방향으로 하중이 가해져서 감지부(100)를 통해 짐(6)의 전체 무게에 해당되는 중량에 대한 신호값이 제어부(400)로 입력된다. 상기 제어부(400)는 감지부(100)를 통해 입력된 신호값을 연산하여 액츄에이터(310)를 작동시키되, 차량이 일정한 진동주기를 갖도록 하는 스프링 상수를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310)를 제어한다.
첨부된 도 2c를 참조하면, 제어부(400)에 의해 범프스토퍼(320)의 적절한 하강 길이가 계산되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310)의 실린더부(312)에 구비된 피스톤(314)을 유압 또는 공압을 이용하여 작동시켜 범프스토퍼(320)를 화살표 방향으로 하강시킨다.
상기와 같이 범프스토퍼(320)가 하강 되면서 휠 스트로크의 과도한 변위를 방지하게 된다. 즉, 차체(2)가 하측 방향으로 거동하여 차체(2)의 하부 처짐에 의한 휠(8)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차고 변화를 줄여주게 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과 종래의 범프 스토퍼의 스프링 상수를 비교 설명한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X축은 휠 스트로크(mm)를 나타내고, Y축은 하중(kgf)을 나타낸다.
실선으로 도시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범프스토퍼의 스프링 상수를 도시한 그래프이고, 점선으로 도시한 것은 종래의 범프 스토퍼의 스프링 상수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차 상태인 A상태에서 종래의 범퍼스토퍼에 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B점을 지나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스프링 상수 그래프가 도시된다. 이에 반해 공차 상태인 A상태에서 본 발명에 의한 스프링 상수 그래프를 보면 C점을 경유하는 스프링 상수 그래프 특성을 갖게 된다.
즉, 종래의 스프링 상수 그래프에 비해 휠 스트로크의 변화량이 감소된 스프링 상수 그래프를 갖으며 차체가 거동이 가능하며, 차고의 변화가 감소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는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계산하여 최적의 스프링 상수값을 계산하여 범퍼스토퍼를 작동 시킴으로서 차량의 진동주기가 일정해지고,차고 조절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도로 주행시에도 차체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이 감쇠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차체에 가해지는 중량변화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차체와 리어액슬상에 양단이 각각 연결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차체의 하측에 설치되며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라 승하강 가능하게 작동되도록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 및
    상기 감지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값을 입력받아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다양한 스프링 상수값을 계산하여 상기 액츄에이터와 연결된 범프스토퍼부를 작동시켜 차고를 조절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는 유압 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실린더부, 상기 실린더부의 내부에 공급되는 유압 또는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KR1020060095131A 2006-09-28 2006-09-28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KR200800292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131A KR20080029286A (ko) 2006-09-28 2006-09-28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5131A KR20080029286A (ko) 2006-09-28 2006-09-28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286A true KR20080029286A (ko) 2008-04-03

Family

ID=3953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5131A KR20080029286A (ko) 2006-09-28 2006-09-28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28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25A (ko) 2014-12-08 2016-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능동제어 범프 스토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0039A (ko) * 2016-10-11 2018-04-19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CN108811493A (zh) * 2017-03-06 2018-11-13 株式会社昭和 车辆高度调节设备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9125A (ko) 2014-12-08 2016-06-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능동제어 범프 스토퍼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20180040039A (ko) * 2016-10-11 2018-04-19 한화지상방산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및 이를 구비한 수륙양용 차량
CN108811493A (zh) * 2017-03-06 2018-11-13 株式会社昭和 车辆高度调节设备
CN108811493B (zh) * 2017-03-06 2021-09-24 株式会社昭和 车辆高度调节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91903B2 (en) Gas spring system having multi chamber gas springs
US20060284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a dual mode vehicle suspension system
EP1757473A2 (en) Vehicle suspension spring system
JPH0585369B2 (ko)
SE532590C2 (sv) Fjädringsanordning samt förfarande vid fjädring och/eller dämpning för fordon
US20220332159A1 (en) Suspension system for an off-road vehicle utilizing hydraulically coupled remote mounted springs
KR20170012295A (ko) 에어 서스펜션이 장착된 자동차의 높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KR20080029286A (ko) 길이 가변형 범프 스토퍼
US5577771A (en)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JP4998758B2 (ja) 車両統合制御装置
US11524541B2 (en) Hydraulic suspension system for off-road vehicles
JP4596133B2 (ja) 車両統合制御装置
JP5808615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装置
JP4621582B2 (ja) 可変減衰力ダンパの制御装置
JPS624621A (ja) シヨツクアブソ−バの制御装置
KR20040006903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100398184B1 (ko) 가변 레버비를 갖는 차량용 현가장치
KR20020055815A (ko) 차량의 안티 롤 제어장치
JP5094541B2 (ja) エア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3706564B2 (ja) 前二軸三軸車の非常走行装置
JPS59179414A (ja) シヨツク・アブソ−バ
US20220203793A1 (en) Load weight derivation device, control device, suspension system, saddle-ride-type vehicle, vehicle height adjustment device
KR100648811B1 (ko) 액티브 지오메트리 컨트롤드 서스펜션 시스템의 제어 방법
JP2967802B2 (ja) サスペンション制御システム
WO2000046054A1 (en) Vehicle suspens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