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9196A -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 Google Patents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9196A
KR20080029196A KR1020060094943A KR20060094943A KR20080029196A KR 20080029196 A KR20080029196 A KR 20080029196A KR 1020060094943 A KR1020060094943 A KR 1020060094943A KR 20060094943 A KR20060094943 A KR 20060094943A KR 20080029196 A KR20080029196 A KR 200800291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layer
foam
wood powder
foam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9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신동에너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신동에너콤 filed Critical 주식회사신동에너콤
Priority to KR10200600949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9196A/ko
Publication of KR200800291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91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2Underlayers coated with adhesive or mortar to receive the floo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8Edge insulation strips, e.g. for floor screed lay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와 마감몰탈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는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 발포층,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이 순차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라브, 층간 소음, 재생섬유, 목분압축시멘트보드

Description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The Structure for Prevention of Noise from the upper Layer and Reinforcement of Intensity of the Floo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의 단면 사시도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의 사시도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의 사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의 사시도
도 2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의 사시도
도 2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분압축시멘트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층과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부재의 조적순서를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부재가 결합된 상태의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슬라브 200 : 온수관
300 : 내벽 1 : 재생섬유팰트층
2 :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 3 : 발포층
31 :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 33 :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
35 :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 37 :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
5 : 목분압축시멘트보드
본 발명은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와 마감몰탈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는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 발포층,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을 순차로 적층하여 층간소음 저감을 도모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과 마감몰탈간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안정적인 바닥 강도를 보장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현대 사회에서 주거의 대표적 형식인 공동주택은 이웃의 벽과 바닥을 공유하는 특수성 때문에 윗 세대에서 바닥을 통하여 발생 되는 소음, 아이들 뛰노는 소리, 걷는 소리, 발자국 소리, 물건 두드리는 소리 등이 구조물을 통하여 인접 세대에 방사되는데 이를 바닥 충격음이라 한다.
건설교통부가 2003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전국의 20호 이상의 공동주택을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전국 총 주택 수 1,236만 호의 52%에 달하는 총 645만 호가 공동주택이며, 상기 조사시점이 약 2년 전임을 감안하면 공동주택의 비율은 이보다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공동주택의 경우 말 그대로 다수의 세대가 벽이나 바닥 한 장을 사이에 두고 생활하기 때문에 차음상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으나, 공동주택에 있어서 상기 바닥충격음은 오랫동안 많은 거주자로부터 가장 큰 불만의 대상으로 지적되어 왔고, 여러 소음관련 민원 중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개별소음원별 만족도를 조사한 결과, 46.2%로 나타나 불만족도가 큰 것으로 판명되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삶의 질 향상이 현대사회의 화두라는 점을 고려해볼 때 상기 바닥충격음의 문제를 그대로 방치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한 일이라 생각된다.
또한 현재 사회가 고도화되고 다양화될수록 개인 공간에 대한 프라이버시는 점차 중요시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공간적으로나 음향적으로 완전히 독립되기를 요구하게 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할 것인데, 공동주택과 같이 주거공간의 밀집도가 높아질수록 거리에 의한 소음감쇠는 저하되어 상대적으로 음의 차단성 또한 떨어지므로 공동주택은 전술한 요구에 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따라서, 대다수 국민이 공동주택에 거주해 왔고, 또한 앞으로도 그럴 것임을 고려할때 상기 바닥충격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과제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바닥충격음은 발생되는 소음의 특성에 따라 경량충격음과 중량충격음으 로 구분된다. 상기 경량충격음이란 작은 물건의 낙하나 가구의 이동시 바닥에 가해진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바로 아래층에서의 소음 정도를 나타내는 평가 지표이며 이는 표준경량음 발생기, Tapping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Tapping Machine은 1932년 독일의 Reiher에 의해 개발된 이후 1953년 독일공업규격(DIN)에서 처음으로 표준충격원으로 채택되었으며, 이후 각 국에서는 이에 맞춰 바닥충격음의 기준이 정해졌고 차단성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지속되어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실로서 ISO, ASTM, DIN, JIS 등에서 측정방법이 규격화되었으며, 우리나라에서도 1978년 한국산업규격(KS F 2810) 제정시 경량충격원이 표준충격원으로 채택된 바 있다.
상기 중량충격음이란 어린이가 뛰거나 달릴 때에 발생한 무거운 충격에 의해 발생하는 바로 아래층에서의 소음 정도를 나타내는 평가 지표이며 이는 표준중량음 발생기, Bang Machine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서양과 달리 온돌이라는 독특한 바닥난방방식에 의한 좌식 생활을 하기 때문에 상기 중량충격음에 의한 상하층간의 소음 발생이 문제가 되므로 1981년 KS F 2810을 개정하면서 JIS에서 채택하고 있는 Bang Machine을 표준충격원으로 함께 채택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대부분의 공동주택에 사용되고 있는 콘크리트는 재료의 특성상 동일한 두께의 다른 재료보다 말소리나 TV소리 등 공기를 매체로 하여 전달되는 소음에 대해서는 차단성이 양호하나 콘크리트면에 직접 충격이 가해짐에 따라 발생하는 충격음(고체전달음)은 인접세대에 쉽게 전달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고려할 때, 상기 중량충격음의 문제는 더욱 심각해 질 수 있으며, 이는 단순한 바닥 재료의 개 선을 통해 쉽게 개선할 수 없는 문제이다.
상기 바닥충격음의 문제의 심각성을 고려하여 정부는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고시를 개정하여, 2005년 7월 1일부터는 공동주택 슬라브 두께를 벽식구조는 종전 180mm보다 30mm 두꺼운 210mm로 짓도록 하는 등 층간 충격음 기준을 마련하였으며, 상기 개정에 의한 표준바닥구조를 따르지 않을 시에는 층간 소음이 50dB 이하인 사실을 대한주택공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등 성능인증기관에서 인정받아야만 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슬라브 두께증가 범위에도 한계가 있으며, 슬라브 두께를 증가시킬 경우 이에 따라 원하는 건축물의 높이대로 축조할 수 없게 될 수도 있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무작정 슬라브 두께를 증가시키는 것도 바람직한 일이라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슬라브 두께 증가에 따른 공사비도 평당 5만 2천원 가량 증가하므로, 상기 개정안을 따를 경우 25평형을 기준으로 가구당 130만원의 시공비가 추가될 것으로 예견되는바, 이에 따라 분양가도 상승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는 문제점이 존재하게 된다. 결국 슬라브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경우 서민 경제의 부담과 공기의 연장 및 하중 증가에 따른 바닥구조의 균열 및 붕괴 위험성 등이 역효과로 나타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제, 바닥충격음 저감에 대한 차음성능 향상방안을 검토해 보기로 한다. 먼저 첫째, 바닥 슬라브를 충격으로부터 진동하기 어렵게 만드는 중량, 고강성 바닥공법, 둘째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충격에너지를 바닥슬라브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floating slab의 구조개선, 셋째 충격원의 특성을 변화시키는 표면 완충공법, 그리 고 마지막으로 충격에 의해 바닥 슬라브로부터 방사되는 소리를 차단하는 차음 2중 공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중 중량, 고강성 바닥공법은 경량충격음에 대해 효과가 떨어지는바, 상기 방법 중 floating slab의 채택이 바닥충격음 저감에 가장 효율적인 방안으로 소개되고 있다. 상기 floating slab의 구조개선을 위해서는 충격음 저감재의 유형이 가장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데, 현재까지 개발된 충격음 저감재의 종류도 다양하여 EPS류, 고무류, 발포고무류, 섬유류 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현재 이들 재료에 대한 연구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대한주택공사연구소, 기업체연구소와 건설회사 실무 부서, 대학의 건축연구실 등을 통해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다만 안타깝게도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에 건설된 공동주택 대부분이 일본건축학회 차음등급 3급의 성과에 그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즉, 중량충격음의 차음성능을 L지수로 L-60이상으로 개선하지 못하고 있으며, 따라서 현재 이와 같이 바닥충격음 저감재의 시공에 따라 경량충격음에 대한 차음 성능이 일부 개선되더라도 우리나라 공동주택의 주거여건에서 문제의 관건인 중량충격음에 대한 획기적인 저감대책이 없이는 상하층간 소음으로 인한 문제해결이 어려운 실정이다.
또한 특허 또는 실용신안으로 출원되었거나 등록받은 다수의 예 및 현재 시공되었거나 시공중인 종래기술에 의하더라도 상기 중량충격음의 문제가 적절히 해결되지 않거나, 공동주택의 바닥 충격음 소음기준을 건설회사에서 원하는 적정한 층간 두께에서 만족시킬 수 없거나, 또는 바닥충격음의 문제만을 고려한 나머지 시공시 하부 충격음 차단구조와 상부 마감몰탈간의 접착성이 좋지 않아서 발생할 수 있는 많은 문제점, 예컨대 공기의 증가, 시멘트 무게로 인한 하부구조의 변형, 이러한 변형의 시정을 위한 재시공의 번거로움 및 비용부담, 더 나아가 장기간에 걸친 변형의 진행으로 인한 하부구조의 붕괴우려 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다.
특히 종래기술과 같이 발포폴리프로필렌만을 사용하여 시공하거나 발포폴리프로필렌 및 발포폴리스틸렌만을 사용하고 그 위에 직접 마감몰탈을 도포하여 시공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발포폼의 특성상 마감몰탈의 육중한 무게에 의해 상기 발포폼의 일부분이 침하되고, 침하가 심화될수록 마감몰탈에 의해 형성된 바닥 부분에 균열이 발생, 진행하게 되며 상기 균열부분에 수분이 흡수될 가능성도 점차 높아지게 된다. 이를 시정하기 위해서는 재시공 과정이 필수적이라 볼 수 있는데, 재시공의 경우 바닥 마감재를 뜯어내고 변형된 발포폼을 교체한 후 다시 마감몰탈을 도포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과정상의 번거로움은 논외로 하더라도, 상기 과정을 위한 비용부담이 부담스러운 것이 사실이다.
또한, 균열부분의 수분 흡수가 장기화될 경우, 흡수된 수분의 누적에 의한 슬라브의 강도 약화가 필연적으로 뒤따르게 되며, 결국 최악의 경우 바닥 자체의 붕괴를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비용부담의 문제를 제외하더라도, 공동주택은 많은 거주자가 함께 생활하는 공간임을 생각하고, 바닥붕괴시 곧바로 대형참사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축조된 공동주택의 안정성이야말로 최우선시 되야할 덕목이며 어떠한 경우라도 희생시킬 수 없는 중요한 요소라는 점을 고려할 때, 종래기술은 문제점이 없다고 할 수 없다.
결국, 상기 바닥충격음의 문제를 일부 해결할 수 있는 선행 기술이 존재한다 하여도, 이와 동시에 하부 슬라브 및 충격음 완화구조와 상부 마감몰탈 사이의 견고한 결합성을 확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존재하므로, 결국 충격음 완화를 얻는 대신 균열발생 가능성, 이로 인한 바닥 재보수과정상의 번거로움 및 비용부담의 문제,그리고 더 나아가 장기간에 걸친 공동주택의 사용시 바닥구조의 침하 및 붕괴 가능성의 증대라는 문제점을 안게 되어 건축물의 안정성을 담보하지 못하게 되는 우를 범할 우려가 상존하는 것이 현행 기술의 문제라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 발포층,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이 순차로 적층되도록 하여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적완료후 도포되는 마감몰탈과 상기 발포층 사이의 접착성 향상을 위해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을 마감몰탈 및 상기 발포층 사이에 배치시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시 안정적인 바닥강도가 보장될 수 있도록 하고, 마감몰탈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이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을 통해 상기 발포층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발포층의 변형을 방지하고 상기 발포층 변형으로 인한 바닥면의 파손이나 재시공에 따른 비용부담 우려 감소, 더 나아가 바닥침하에 따른 공동주택 붕괴 우려를 낮출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 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앞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는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와 마감몰탈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 발포층,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이 순차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생섬유팰트층은 합성섬유 견면, 천연섬유 견면, 합성섬유와 천연섬유의 혼합 견면, 유리면 또는 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은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 및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이 삽입된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3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의 발포배율은 30~45배이고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 및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은 25~4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은 목분성분 30% 및 시멘트성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출원인은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앞서 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의 단면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는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상측으로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1), 발포층(3),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이 순차로 적층된다.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100)의 두께는 150~180mm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시공일이 2005년 7월 1일 이후에 해당하여 개정된 공동주택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인정 및 관리기준 고시에 따라야 하는 경우라도, 본 발명에 의해 공동주택을 축조하는 경우, 상기 슬라브(100)의 두께를 150mm로 해도 층간 소음이 50dB 이하가 되므로 슬라브 두께를 210mm로 할 필요는 없게 된다. 이에 대한 입증자료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a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브(100)의 외주면 각 단에는 층간소음이 벽면을 통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2)이 설치된다.
상기 재생섬유팰트층(1)은 바닥 경량소음 차음제로써 기능하며, 합성섬유 견면, 천연섬유 견면, 합성섬유와 천연섬유의 혼합 견면, 유리면 또는 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재생섬유팰트층(1)은 2단으로 구성하여, 총 두께가 14mm 정도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4mm 이하의 두께로 할 경우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이 미흡하고, 지나치게 두껍게 구성하는 경우 층간 구조의 안전성에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2단으로 구성된 상기 재생섬유 각각의 두께는 서로 같게 하거나 달리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높은 수준의 바닥충격음 차단 효과를 위해서는 상기 재생섬유팰트층(1)의 두께를 높이고 밀도를 낮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층간 구조의 안정성을 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두께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발포층(3)은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 그리고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을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리는 형태로 조적되게 된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H31), 폭(W31) 및 길이(L31)를 가진다.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H33), 폭(W33) 및 길이(L33)를 가진다. 도 4를 참조하면, 조적후 각 부재간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의 상기 두께(H33)는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의 상기 두께(H31)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d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H35), 폭(W35) 및 길이(L35)를 포함한다. 다만 다른 부재와는 달리 내부공간에 소정의 두께(H351), 폭(W351) 및 길이(L35)를 갖는 수납공간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할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을 결합하기 위함이다. 상기 바 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의 두께(H35)는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의 상기 두께(H31)와 동일하며 그 이유는 전술한 바와 같다.
도 2e를 참조하면,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H37), 폭(W37) 및 길이(L37)를 가진다.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의 상기 두께(H37) 및 폭(W37)은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 내에 포함된 상기 수납홈의 상기 두께(H351) 및 폭(W351)보다 약간 작게 구성되는데, 이는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을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에 삽입하는 경우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의 상기 길이(L31),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의 상기 길이(L33),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의 상기 길이(L35) 및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의 상기 길이(L37)는 모두 동일하게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을 참조하면, 이상에서 설명한 각 부재들이 결합된 모습을 알 수 있으며, 본 발명과 같이 성질이 다른 여러 부재를 혼합하여 상기 발포층(5)을 구성하는 경우 단열효과의 증대를 도모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발포층(3)위에 직접 마감몰탈을 도포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마감몰탈과 상기 발포층(3)간 접착력이 좋지않으므로 여러 가지 문제점이 생길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구되며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은 장방형의 형상을 가지며 소정의 두께(H5), 폭(W5) 및 길이(L5)를 가지고, 상기 발포층(3) 상측에 조적되며, 목분성분 30% 및 시멘트성분 70%로 구성된 목분압축시멘트보드로 제작한다. 목분압축시멘트보드란 시멘트와 목재를 혼합하여 고압으로 만들어낸 다용도 건자재를 말하며, 시멘트와 목재의 우수성을 모두 포함하고 있으므로 가볍고, 탄력성을 가지며 단열 및 방화, 방습, 방균 등에 있어 탁월한 성질을 가지는 건축재료이다. 특히 가공에 있어서 탄화 텅스텐으로 된 전기톱 및 HSS 전기드릴을 사용하여 간단히 가공 가능하다는 점과, 시공방법에 있어 건식공법을 따르므로 공기의 단축 및 인건비 절감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인 건축재료로 볼 수 있다.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은 상기 발포층(3)과 함께 단열재로서 기능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발포층(3)의 상측으로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이 조적된 모습을 알 수 있으며,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의 상기 두께(H5)는 1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길이(L5)는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의 상기 길이(L31)와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상에는 2장의 목분압축시멘트보드를 사용하여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을 구성한 모습을 도시하였다.
종래기술에 있어서는, 상기 슬라브(100) 상측으로 발포폴리프로필렌이나 발포폴리스틸렌으로 구성된 차음제를 설치하고, 다시 상기 차음제 상측으로 마감몰탈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공동주택의 바닥을 시공하였는데, 이와 같은 방법을 따를시 상기 차음제와 상기 마감몰탈간의 접착성이 좋지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들이 심각한 실정이다. 즉 마감몰탈이 잘 마르지 않게 되어 공기연장의 문제가 발생하며, 시멘트 무게로 인한 상기 발포폼의 변형 우려, 변형된 상기 발포폼으로 인 한 바닥 균열 발생 및 진행 우려, 균열을 바로잡기 위해 재시공시 시공과정상의 어려움 및 비용부담에 대한 우려, 그리고 장기간에 걸친 균열 누적시 바닥이 붕괴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상존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발포층(3)과 상기 마감몰탈 사이에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을 삽입함으로써 전술한 문제점을 일거에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된다. 즉, 본 발명과 같이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을 포함시킬 경우, 공동주택 주거시 발생하는 수분은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의 목분성분이 흡수하게 되며, 마감몰탈과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의 시멘트 성분의 접착성이 뛰어나므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시 안정적인 바닥강도가 보장될 수 있고, 마감몰탈에 의해 작용하는 하중은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을 통해 상기 발포층(3)으로 균일하게 전달되므로 상기 발포층(3)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발포층(3)의 변형으로 인한 바닥면의 파손이나 침하에 따른 재시공의 필요성을 낮추고, 보다 장기적으로는 공동주택 붕괴 우려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전술한 각 부재의 특성을 기초로 상기 부재들을 조적하는 조적순서 및 조적방법에 대해 상술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상기 슬라브(100)의 상측 외주면에 층간소음이 벽면을 타고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2)을 설치한다. 설치되는 상기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2)의 두께, 폭 및 길이는 시공하고자하는 건물의 규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도면상에 특정하지 않았다.
상기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2)의 설치 후에는 상기 슬라브(100) 상측으로 재 생섬유팰트를 부착시키는데, 바람직하게는 두께 7mm의 천연섬유 또는 천연섬유와 합성섬유의 혼합견면 등을 두 겹으로 겹쳐서 바닥에서 전달되는 경량충격음을 완화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재생섬유팰트층(1)까지 조적한 후에는 상기 벽면용발포폴리에틸렌(2)의 내측 외주면을 따라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을 설치한다.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까지 조적이 완료되면,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을 설치하는데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 내부 수납홈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37)을 삽입한 상태여야 하며, 또한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의 조적후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을 결합시키기 위해 일정간격을 이격시켜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을 조적해야 한다.
상기 과정까지 마친 후에는, 마지막으로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을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사이에 끼워 넣음으로써 상기 발포층(3)의 조적이 완료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차례로 조적한 후에는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을 상기 발포층(3) 상측으로 조적하고,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5) 위에 온수관(200)을 설치한다.
상기 온수관(200)은 U핀이나 스크류로 고정시키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마감몰탈을 도포함으로써 바닥시공이 완료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이한 특성을 갖는 재료를 다중 적층하여 바닥충격음 차단구조가 갖추어야 할 특성을 적합하게 갖추도록 하며, 종래기술에서 간과한 바닥 강도보강 부분까지 세심하게 배려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으며,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 및 기타의 장점은 후술하는 실시예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명백하다 할 것이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에서 상기 재생섬유팰트층(1)을 구성하는 재생섬유부직포는 100mm × 3800mm × 7mm의 것을 사용하였고 상기 발포층(3)의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33)은 발포율 25배의 것으로 408mm × 1800mm × 50mm의 것을,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35)은 발포율 30배의 것으로 200mm × 1800mm × 50mm의 것을, 그리고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31)은 발포율 30배의 것으로 100mm × 1800mm × 50mm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목분압축시멘트보드는 608mm × 1500mm × 10mm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시공되는 바닥 마감구조의 경량, 중량 충격음을 실험실에서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150mm 콘크리트 슬라브의 목업실험실에서 충격음을 측정하였다. (각 부재의 크기는 폭, 길이 및 두께의 순으로 동일하다)
1. 실험결과(1)
Figure 112006071007005-PAT00001
시멘트 몰탈을 치지 않고 실험을 하였을때 발포폴리프로필렌의 재료 두께를 60mm로 한 고정패널과 발포폴리에틸렌을 분리하여 전체적으로 설치하였고 그 위에 목분압축시멘트보드를 설치하였다. 그 결과 경량충격음은 46dB(A), 중량충격음은 51dB(A)로 나왔다. 중량충격음의 경우 고정패널 연결부에 전달되는 하중이 전체적으로 설치된 팰트와 발포폴리에틸렌에 직접적으로 흡수된 것으로 사료되며, 주파수 특성에서는 63Hz와 250~500Hz에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실험결과(2)
Figure 112006071007005-PAT00002
시멘트 몰탈까지 완료후 실험을 하였을 때, 중량충격음은 50dB(A)로 나타났으며, 경량충격음은 46dB(A)로 시멘트 몰탈이 없었을 때와 같은 효과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재생섬유팰트층, 다양한 구성과 특성을 지닌 발포폴리프로필렌 및 발포폴리에틸렌을 입체적으로 결합시킨 상기 발포층 및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을 다중 적층하여 상하층간 층간소음을 줄이고, 쾌적하고 안락한 환경의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를 제시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을 마감몰탈과 상기 발포층 사이에 조 적하여, 마감몰탈과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 사이의 흡착성을 증대시킴으로써 공기단축에 따른 비용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으며, 상기 마감몰탈의 하중이 상기발포층에 균일하게 분포되도록 하여 상기 발포층의 변형에 따른 바닥 침하 및 붕괴우려를 낮춰 안정적이고 견고한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를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5)

  1. 공동주택의 층간 슬라브와 마감몰탈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에 있어서, 하부로부터 재생섬유팰트층, 발포층,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이 순차로 적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건식 타입의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생섬유팰트층은 합성섬유 견면, 천연섬유 견면, 합성섬유와 천연섬유의 혼합 견면, 유리면 또는 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층은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 및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이 삽입된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벽면용발포폴리프로필렌 및 상기 바닥용발포폴리프로필렌의 발포배율은 30~45배이고 상기 바닥용발포폴리에틸렌 및 상기 충진용발포폴리에틸렌의 발포배율은 25~4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분압축시멘트보드층은 목분성분 30% 및 시멘트성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KR1020060094943A 2006-09-28 2006-09-28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KR2008002919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943A KR20080029196A (ko) 2006-09-28 2006-09-28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94943A KR20080029196A (ko) 2006-09-28 2006-09-28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407U Division KR200433771Y1 (ko) 2006-09-28 2006-09-28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9196A true KR20080029196A (ko) 2008-04-03

Family

ID=3953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943A KR20080029196A (ko) 2006-09-28 2006-09-28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919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46B1 (ko) * 2009-02-02 2015-07-23 주식회사 아이바닥 바닥침하 방지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 충격음 차음구조
JP2021134525A (ja) * 2020-02-26 2021-09-13 株式会社トップ工業 床下地構造及び防振床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8946B1 (ko) * 2009-02-02 2015-07-23 주식회사 아이바닥 바닥침하 방지용 완충재 및 이를 구비한 바닥 충격음 차음구조
JP2021134525A (ja) * 2020-02-26 2021-09-13 株式会社トップ工業 床下地構造及び防振床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5742B1 (ko)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231260B1 (ko) 단열과 방음을 위한 바닥 및 칸막이 구조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40101523A (ko)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100995303B1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721850B1 (ko) 에어홀을 갖는 층간 차음시트
KR20080029196A (ko)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KR20090090925A (ko)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KR20180025420A (ko) 차음 및 흡음 성능이 향상된 복합몰탈을 이용한 철근콘트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공법
KR200433771Y1 (ko) 층간 소음 차단 및 바닥시공 강도 보강구조
KR100491188B1 (ko) 공동주택용 온돌 바닥의 차음방법 및 그 장치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200399631Y1 (ko) 건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0419652Y1 (ko)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786165B1 (ko) 층간 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20060127511A (ko) 사출성형물에 의한 층간 소음방지 시공방법
KR101786166B1 (ko) 단열성능과 층간소음 차단 성능이 우수한 다공성 폴리우레탄 콘크리트를 이용한 건물의 바닥 구조
KR101516891B1 (ko) 건축물용 바닥재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2319581B1 (ko)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102177760B1 (ko) 압축코르크를 활용한 조립식 차음 패널
KR102636513B1 (ko) 슬래브 상에 바탕 모르타르가 타설되어 강성과 자중이 증대되고 단열재와 층간 완충재가 적층으로 배치되어 단열 성능과 충격음차단 성능이 향상된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5845B1 (ko) 건물의 이중 슬라브 구조
KR20070014690A (ko) 건물의 층간 바닥구조
KR100758599B1 (ko) 건축바닥 층간 소음차단 시설구조
KR102636555B1 (ko) 층간 소음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단열성능이 향상된 구조체 및 이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