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01523A -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01523A
KR20140101523A KR1020130014772A KR20130014772A KR20140101523A KR 20140101523 A KR20140101523 A KR 20140101523A KR 1020130014772 A KR1020130014772 A KR 1020130014772A KR 20130014772 A KR20130014772 A KR 20130014772A KR 20140101523 A KR20140101523 A KR 201401015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lock
floor
heating
piping
lightweight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욱
Original Assignee
김재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욱 filed Critical 김재욱
Priority to KR1020130014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01523A/ko
Publication of KR2014010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1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24D3/142Tube mount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integrated in prefab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2Flooring consisting of parquetry tiles on a non-rollable sub-layer of other material, e.g. board, concrete, c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온돌바닥분야에서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존의 습식 온돌바닥시공구조를 배관삽입형 차음용/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이용하여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로 전환함으로써 차음성, 시공성, 경제성 등의 향상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omitted}
본 발명은 공동주택과 같은 건축물의 온돌바닥분야에서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바닥충격음 차단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기존의 습식 온돌바닥시공구조를 배관삽입형 차음용/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이용하여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로 전환함으로써 차음성, 공기단축, 경제성 등의 향상효과가 있다.
공동주택의 온돌바닥구조에 관해서는 그동안 수많은 건식 온돌바닥구조들이 제안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습식 온돌바닥구조에 의한 난방방식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습식 온돌바닥구조는 먼저 층간소음방지 및 단열을 위해 약 20~30㎜ 두께의 완충재를 설치하고, 여기에 공간채움과 단열을 위해 약 40~50㎜ 두께의 경량 기포콘크리트를 타설하며, 여기에 약 φ25의 난방용 배관을 설치 고정하고, 여기에 보호 및 마감바탕면을 위해 약 40㎜ 두께의 미장몰탈을 타설하며, 여기에 각종 바닥마감재를 설치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된다. 이런 습식 온돌바닥구조는 습식공정에 따른 양생기간의 필요로 공사기간이 매우 길며, 시멘트와 물의 수화반응의 문제로 동절기에는 시공이 불가능하고, 습식시공에 필요한 숙련된 미장공들은 점차적으로 부족하다는 점 등에서 건식 온돌바닥구조로의 전환이 필요하다. 하지만 그동안 제시되어왔던 건식 또는 반건식 온돌바닥구조들은 종래의 습식 온돌바닥시공방법에 비하여 습식공정의 전부 또는 일부 생략함으로써 공사기간을 단축하는 효과가 있었다고 할지라도, 그 개선된 효과에 비하여 공사가격이 높아서 경제성이 저하된다든지, 도리어 바닥충격음에 대한 법적 규제치를 충족하지 못하는 등의 품질문제로 인해 확대적용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습식 온돌바닥구조와 비교하더라도 경제성이 있으면서도 바닥충격음에 대한 법적 규제치를 충족하는 건식 온돌바닥구조에 관한 것이이다. 하지만 건식바닥공법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이중바닥구조는 높낮이 조절용나사를 일일이 조정하여 수평을 맞추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더욱이 이중바닥의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공진현상으로 인해 불쾌감이 유발되어 재래식 온돌구조와 같은 아늑함이 느껴지지 않으며, 바닥충격음 차단을 위해 사용되는 방진고무 지지대가 장기간 사용될 경우 스트레스 피로효과에 의해 처짐 또는 파괴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내구성이 문제되고 있다. 이런 문제점에 대한 보완책으로 건식 바닥구조와 습식 바닥구조를 결합시킨 반건식 바닥구조가 도입되었는데, 이 구조는 하단부에 바닥충격음차단을 위한 건식구조를 도입하고, 이의 상부에 배관 및 마감을 위해 종래의 습식 미장몰탈 마감방법을 그대로 채용하고 있는 구조이다. 하지만 이 반건식구조도 기존의 습식 난방구조를 부분적으로 개선한 것에 불과하고, 여전히 문제점은 상존하고 있다. 따라서 경제성이 있는 건식 온돌바닥구조의 개발을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건식 또는 반건식 바닥구조를 점증적으로 개선하는 대신에 혁신적인 아이디어로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한다.
본 발명은 온돌바닥구조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건식 또는 반건식 바닥구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바닥대신에 차음용 완충재를 사용하는 뜬바닥구조를 기본적인 온돌바닥방식으로 채택하되, 습식 온돌바닥구조를 건식화하기 위하여 배관용 홈이 파져 있는 차음용/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개발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건식 온돌바닥 구조는 차음용 완충재의 유무에 따라 차음용 난방블럭과 일반용 난방블럭으로 구분되는데, 차음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은 먼저 바닥충격음의 차단효과향상과 높낮이 조정을 위해서 차음용 난방블럭을 바닥에 설치시 모래를 사용하여 바닥고르기를 실시하며, 상기 차음용 난방블럭에는 배관용 홈이 파져 있기에 여기에 배관을 설치하고, 상기 배관과 배관용 홈부위의 틈새는 무수축 몰탈로 충전하여 미장함으로써 상기 차음용 난방블럭이 전체적으로 설치가 완료되며, 여기에 다양한 최종 마감재를 이용하여 마감함으로써 온돌바닥구조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은 크게 3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의 하단은 바닥충격음을 차단시키기 위한 약 20~30㎜ 두께의 완충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중간은 배관설치를 위한 홈이 파져 있는 약 40~50㎜ 두께의 경량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마감재부착을 위해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이 매끈하게 도포되어 있다.
다음으로 일반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은 차음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에서 모래를 사용하여 바닥고르기를 하는 대신에 차음용 완충재를 바닥에 설치하고, 여기에 일반용 난방블럭을 설치한다는 점에서만 차이점이 있으며, 이후의 모든 공정은 차음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과 동일하다.
또한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은 바닥부위로의 차음효과뿐만 아니라 벽체부위로의 차음효과를 보유하기 위하여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의 옆면에 완충재, 방진재, 부직포나 크라프트지 등의 시트지를 이용하여 감싼 형태로 제작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온돌바닥 시공방법상에서도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과 벽체가 접하는 부위에 완충재나 방진재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건식 온돌난방구조는 종래의 습식 온돌난방구조에 비하여 시공공정 및 공사기간이 획기적으로 단축되는데, 종래의 습식 온돌난방구조의 시공공정이 ① 약 20~30㎜ 두께의 완충재 설치(작업 1일), ② 약 40~50㎜ 두께의 기포콘크리트 타설(작업 1일, 양생 7일 이상), ③ 배관작업(작업 1일), ④ 약 40㎜ 두께의 미장용 몰탈 타설(작업 1.5일, 양생 7일 이상)인데 반해, 본 발명의 건식 온돌난방구조의 시공공정은 ① 약 60~90㎜ 두께의 차음용/일반용 온돌블럭 설치(작업 1.5일), ② 배관작업(작업 1일), ③ 틈새부위의 무수축 몰탈 타설(작업 0.5일, 양생 1일)로 시공이 완료되어, 종래의 습식 온돌난방 시공방법과 본 발명의 건식 온돌난방 시공방법의 효과를 비교하면, 작업일수에서는 4.5일에서 3일로 감소하고, 양생기간에서는 종래의 14일 이상에서 1일 이상으로 대폭적으로 줄며, 시공두께에서는 약 100~120㎜ 에서 약 60~90㎜ 로 약 30㎜ 이상의 두께가 줄어들어 아파트의 층고를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자재비와 공사비가 대폭 절감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차음용 온돌난방구조는 바닥 슬라브층과 차음용 난방블럭 사이에 모래층이 있는 것이 특징인데, 이 모래층은 차음용 온돌블럭의 설치시 수평을 맞추기 위한 높낮이를 조절하는 역할과 더불어 모래층의 공극들에 의해 차음성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는 이중바닥구조가 높낮이조절용 나사를 사용하여 수평을 맞추기 때문에 수평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었으나, 본 발명의 모래를 이용한 차음용 온돌블럭 수평조정방식은 매우 간편하고 빠르게 수평을 맞추면서 차음용 온돌블럭을 설치할 수 있다.
자갈도상이 전철 및 철도분야에서 레일지지, 차음 및 제진의 역할을 수행하듯이, 본 발명에서도 모래층은 바닥지지, 차음 및 제진의 역할을 수행하여 바닥충격음을 상당히 감쇠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런 사유로 본 발명의 건식 온돌바닥구조의 바닥충격음의 차단효과는 단순히 차음용 완충재만을 적용하는 종래의 습식 및 반건식 온돌바닥구조에 비하여 훨씬 더 클 수밖에 없다.
한편으로 본 발명의 온돌바닥구조는 종래의 이중바닥구조와 같이 방진고무 지지대에 의한 빈 공간층이 없고, 대신에 모래층과 완충재층에 의한 뜬바닥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공진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종래의 습식 온돌난방구조와 같은 아늑함을 느낄 수 있고 내구성도 우수하다.
도면1 차음용 난방블럭(수평형)
도면2 차음용 난방블럭(반호형)
도면3 차음용 난방블럭(굴절형)
도면4 일반용 난방블럭(수평형)
도면5 일반용 난방블럭(반호형)
도면6 일반용 난방블럭(굴절형)
도면7 복합 차음용 난방블럭(수평형)
도면8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 설치 평면도
도면9 차음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건식 온돌구조의 단면도
도면10 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건식 온돌구조의 단면도
도면11 차음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건식 온돌구조의 시공공정도
도면12 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건식 온돌구조의 시공공정도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은 크게 3단/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차음용 난방블럭의 하단은 바닥충격음을 차단시키기 위한 완충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중간은 배관설치를 위한 홈이 파져 있는 경량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마감재부착을 위해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이 매끈하게 도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은 차음용 난방블럭와는 달리 차음용 완충재가 없으며, 하단은 배관설치를 위한 홈이 파져 있는 경량 콘크리트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상단은 마감재부착을 위해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이 매끈하게 도포되어 있으며, 일반용 난방블럭 현장설치시 차음용 완충재를 설치하는 공정이 있음으로 이의 층간소음방지 효과는 차음용 난방블럭과 동일하다.
이상의 내용을 구체적으로 도면을 인용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되, 먼저 본 발명의 기본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간략하게 그린 도 1내지 도 6에서부터 시작하기로 한다. 도 1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시도를 그리고 있는데, 도 1 및 도 4는 수평배관이 삽입되는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 및 도 5는 반호배관이 삽입되는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및 도 6은 굴절배관이 삽입되는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을 도시하고 있다.
도 1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110, 120, 130)은 크게 3단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의 하단은 바닥충격음을 차단시키기 위한 약 20~30㎜ 두께의 완충재(101)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중간은 배관설치를 위한 홈(104)이 파져 있는 약 40~50㎜ 두께의 경량 콘크리트(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마감재부착을 위해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로 매끈하게 마감미장(103)되어 있다.
도 4내지 도 6에서 도시한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210, 220, 230)은 차음용 난방블럭과 달리 차음용 완충재(101)가 없고, 이를 현장에서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어서 크게 2단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의 하단은 배관설치를 위한 홈(104)이 파져 있는 약 40~50㎜ 두께의 경량 콘크리트(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마감재부착을 위해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로 매끈하게 마감미장(103)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각 구성요소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면, 먼저 하단에 있는 차음용 완충재(101)는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발포 폴리스틸렌계 단열재를 기본소재로 사용하는데, 이 완충재에 요구되는 기본요건은 ① 뜬바닥구조에 적합한 지지력, ② 바닥충격음 차단효과가 있는 낮은 동탄성계수 및 손실계수, ③ 난방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한 단열성능보유 등이며, 이 기본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차음용 완충재의 품질기준은 ① 밀도 15kg/㎥이상, ② 열전도율 0.034W/m.K이하, ③ 흡수량 4%이하, ④ 동탄성계수 25MN/㎥이하, ⑤ 손실계수 0.3이하 등이다.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완충재는 상기와 같이 발포 폴리스틸렌계 단열재만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가장 경제적이지만, 제품가격보다는 품질성능의 우위의 제품이 필요한 경우, 여기에 기능성 소재들을 덧붙여 성능향상을 할 수 있는데, 도 7는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그림으로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약 0.5~1.0㎜ 두께의 방진시트(221)를 상기 발포 폴리스틸렌계 단열재에 덧붙였으며, 또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열반사단열재(222)를 상기 방진시트에 덧붙여 제조한 복합 차음용 난방블럭(140)의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중간부위에 있는 경량 콘크리트(102) 층은 종래의 습식 바닥난방구조에서 기포 콘크리트와 마감미장용 몰탈 층을 대체하는 역할과 더불어 난방용 배관을 설치하는 역할을 하기에 바닥용 블럭으로서의 적합한 강도발현은 필수요건이며, 이 이외에도 난방용 블럭으로서의 부가적인 요건인 경량성, 단열성, 축열성, 가공성, 내구성 등을 충족하여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의 경량 콘크리트(102) 층은 종래의 기포 콘크리트 층을 적용하는 대신에 시멘트, 발포 폴리스틸렌계 비드, 경량 무기골재, 기능성 충전재, 물, 유동화제, 증점제, 소포제, 안정제 등을 혼합시켜 제조한 경량 콘크리트를 기본소재로 사용하며, 상기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바닥용 난방블럭으로서의 기본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품질기준은 ① 비중 0.6이상, ② 압축강도(7/28일) 3.0N/㎟이상 등이다.
또한 본 발명의 경량 콘크리트(102) 층은 상기에서와 같이 직접 제조하는 대신에 시판중인 경량 기포콘크리트(ALC) 블럭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건강에 좋은 특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원적외선을 발현하는 기능성 소재들(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석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상단에 있는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 마감미장층(103)은 종래의 습식 바닥난방구조에서 약 40~50㎜ 두께의 시멘트몰탈 마감미장층을 대체하는 역할을 하는데, 본 발명의 건식구조 마감미장층이 종래의 습식구조 마감미장층보다 얇은 이유는 난방용 배관이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에 함입되어 설치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시멘트몰탈 마감미장층(103)은 얇게 시공되기 때문에 여기에 적합하도록 시멘트, 모래, 유동화제, 증점제, 소포제, 안정제, 물 등을 배합하여 제조하는데, 여기에 추가하여 시멘트 몰탈의 레올로지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 액상 또는 분말형태의 폴리머수지를 첨가할 수도 있고, 또한 시멘트 몰탈의 크렉을 방지하기 위하여 유기 또는 무기계 파이버나 시멘트계 팽창제 등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시멘트 몰탈의 제조에 관련된 사항들은 관련업계에서 공지된 사항이므로 상술하지 않는다. 다만 본 발명의 마감미장층에 요구되는 품질기준은 7일 압축강도가 14N/㎟이상이고, 28일 압축강도가 21N/㎟이상이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은 차음용 난방블럭에서 차음용 완충재를 제거한 제품이고, 이의 구성내용도 차음용 난방블럭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재차 상술하지 않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로 바닥부위에 대한 차음효과뿐만 아니라 벽체부위에로의 차음효과를 보유하기 위하여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의 옆면에 완충재(101, 224), 방진시트(221), 부직포나 크라프트지 등을 이용하여 감싼 형태로 측면차음형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을 제작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들을 바닥 슬라브의 상부에 설치한 후, 이 난방블럭의 이음부위를 마스킹 테이프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로 함침시킨 부직포(223) 등으로 씰링처리한 상태를 보여주는 평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이렇게 난방블럭의 이음부위를 씰링처리하는 이유는 후속되어 시공되는 무수축 몰탈이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지만, 무수축 몰탈이 마스킹 테이프 또는 시멘트 페이스트로 함침시킨 부직포(223) 등과 일체화되어 보강되기 때문에 이음부위에서의 크랙발생이 사전에 예방되게 된다.
도 9은 도 11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10은 도 12에서 기술한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 시공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는데, 먼저 어떤 형태로 배관을 설치할 것인지를 구획하고 바닥(229)에 표시하며, 소요물량을 산출하고 소요자재를 준비하는 단계;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과 벽체가 절연되도록 측면완충재(224)를 설치하는 단계; 바닥 슬라브(229)의 상부에 모래(228)를 포설하고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을 수평을 맞추면서 배관구획표시에 따라 설치하는 단계;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들의 이음부위를 씰링(223)처리하고 배관용 홈에 배관(225)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관(225)과 배관용 홈(104)사이를 무수축 몰탈로 충전하여 미장마감하는 단계; 무수축 몰탈이 양생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차음용 난방블럭의 상부에 최종 마감재(227)를 설치하는 단계 등의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의 시공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기술하고 있는데, 먼저 어떤 형태로 배관을 설치할 것인지를 구획하고 소요물량을 산출하고 소요자재를 준비하는 단계; 바닥 슬라브(229)의 상부에 차음용 완충재(101)를 설치하고 배관구획을 표시하고 벽체부위에 측면완충재(224)로 절연하는 단계; 배관구획표시에 맞춰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을 설치하는 단계; 설치가 완료된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들의 이음부위를 씰링(223)처리하고 배관용 홈에 배관(225)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배관(225)과 배관용 홈(104)사이를 무수축 몰탈로 충전하여 마감미장하는 단계; 무수축 몰탈이 양생이 완료된 후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의 상부에 최종 마감재(227)를 설치하는 단계 등의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된다.
도 12에서는 간략한 공정도시를 위하여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바닥 슬라브의 상부에 차음용 완충재(101)를 설치하는 공정에서 복합 차음용 난방블럭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차음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약 0.5~1.0㎜ 두께의 방진시트(221)를 상기 차음용 완충재(101)에 덧붙일 수 있으며, 또한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알루미늄 열반사단열재(222)를 상기 차음용 완충재(101) 또는 방진시트(221)에 덧붙여진 제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11과 도 12의 시공방법 및 시공효과를 비교하면, 도 12은 도 11과는 달리 모래(228)를 사용하지 않고 바닥 슬라브(229) 위에 직접 차음용 완충재(101)를 설치하며, 또한 상기 차음용 완충재(101) 상부에 본 발명의 일반용 난방블럭을 설치하는 방법을 적용하고 있어, 도 12의 시공방법은 도 11의 시공방법에 비하여 더 경제적인 공법이라고 할 수 있으나, 도 11의 시공방법은 바닥 슬라브(229)의 수평이 잘 맞는다는 전제조건하에서 적용이 가능하며, 또한 바닥충격음 차단효과는 모래(228)의 차음 및 제진효과로 인해 도 12의 시공방법이 더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과 벽체부위가 절연되도록 사용되는 측면완충재(224)로는 무가교 발포 폴리에틸렌계 폼, 발포 폴리스틸렌계 폼, 방진시트, 합성수지 중공판과 방진시트가 결합된 형태의 제품 등 여러가지 있는데,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 시공방법에서는 차음을 위한 절연목적에 부합되기만 하면 측면완충재(224)로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의 배관용 홈(104)과 배관(225)사이를 충전하는 무수축 몰탈은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해도 무방하나, 좀더 이런 목적에 부합되는 제품을 개발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런 충전용 몰탈에 요구되는 특성은 무수축 몰탈에 있는 무수축성, 고유동성 등의 특성과 더불어 전열성, 축열성, 원적외선방사성, 파이버를 포함한 크랙방지성 등이다.
이런 무수축 몰탈에 요구되는 부가적인 특성은 차음용/일반용 난방블럭의 상부에 있는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에도 동일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런 특성을 가진 몰탈을 난방용 몰탈이라고 호칭하고, 여기에 적합한 배합을 제시하기로 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난방용 몰탈은 시멘트계 무기질 결합제(각종 시멘트, 석고, 석회 등) 20~50 중량부, 무기질 충전재(규사, 석회석, 백운석 등) 20~50 중량부, 기능성 충전재(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 등) 5~30 중량부, 전열성 충전재(흑연, 석탄, 아연,산화철, 산화알루미늄 등) 5~50 중량부, 기능성 첨가제(유동화제, 점증제, 안정제, 소포제, 파이버 등) 1~5 중량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난방용 몰탈의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을 20~4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사용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1 차음용 완충재
102 경량 콘크리트(또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103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
104 배관용 홈
110 차음용 난방블럭(수평형)
120 차음용 난방블럭(반호형)
130 차음용 난방블럭(굴절형)
140 복합 차음용 난방블럭(수평형)
210 일반용 난방블럭(수평형)
220 일반용 난방블럭(반호형)
230 일반용 난방블럭(굴절형)
221 방진시트
222 열반사 단열재
223 마스킹 테이프, 시멘트 페이스트함침 부직포 등으로 씰링처리
224 측면완층재
225 배관
226 무수축 몰탈
227 최종 마감재
228 모래
229 콘크리트 구조체

Claims (8)

  1. 온돌용 난방블럭에 있어서, 이의 하단은 바닥충격음을 차단시키기 위한 약 20~30㎜ 두께의 완충재(101)로 구성되어 있고, 이의 중간은 배관설치를 위한 수평형, 반호형, 굴곡형 등으로 배관용 홈(104)이 파져 있는 약 40~50㎜ 두께의 경량 콘크리트(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최종 마감재부착을 위해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103)으로 구성된 차음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
  2. 온돌용 난방블럭에 있어서, 이의 하단은 배관설치를 위한 수평형, 반호형, 굴곡형 등으로 배관용 홈(104)이 파져 있는 약 40~50㎜ 두께의 경량 콘크리트(102)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의 상단은 최종 마감재부착을 위해 약 2~5㎜ 두께의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103)으로 구성된 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
  3. 온돌용 난방구조에 있어서, 배관구획하고 소요자재를 준비하는 단계; 측면완충재(224)를 설치하는 단계; 모래(228)로 수평을 조절하며 차음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설치하는 단계; 난방블럭 이음부위를 씰링(223)하고 배관(225)을 설치하는 단계; 배관과 배관용 홈(104)사이를 무수축 몰탈로 충전하고 미장마감하는 단계; 최종 마감재(227)를 설치하는 단계 등의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되는 차음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
  4. 온돌용 난방구조에 있어서, 배관구획하고 소요자재를 준비하는 단계; 차음용 완충재(101) 및 측면완충재(224)를 설치하는 단계; 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설치하는 단계; 난방블럭 이음부위를 씰링(223)하고 배관(225)을 설치하는 단계; 배관과 배관용 홈(104)사이를 무수축 몰탈로 충전하고 마감미장하는 단계; 최종 마감재(227)를 설치하는 단계 등의 일련의 공정으로 시공되는 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차음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에 차음성능향상을 위해 약 0.5~1.0㎜ 두께의 방진시트(221)를 덧대거나, 단열성능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열반사단열재(222)를 덧대어서 제조된 복합 차음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
  6. 제1항 및 제2항에 있어서, 벽체부위에로의 차음효과를 보유하기 위하여 차음용/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의 옆면에 차음용 완충재(101, 224), 방진시트(221), 부직포나 크라프트지 등을 이용하여 감싼 형태로 제조된 측면차음형 차음용/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
  7. 제4항에 있어서, 차음성능향상을 위해 약 0.5~1.0㎜ 두께의 방진시트(221)를 덧대거나, 단열성능향상을 위해 알루미늄 열반사단열재(222)를 덧대어서 제조된 복합 차음용 완충재로 제4항에서 기술된 차음용 완충재를 대체하여 시공되는 일반용 경량 콘크리트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
  8. 제1항 및 제2항의 시멘트몰탈 미장마감층(103) 또는 제3항 및 제4항의 무수축몰탈 충전층(226)에 있어서, 여기에 사용되는 몰탈재료를 시멘트계 무기질 결합제(각종 시멘트, 석고, 석회 등) 20~50 중량부, 무기질 충전재(규사, 석회석, 백운석 등) 20~50 중량부, 기능성 충전재(황토, 옥, 맥반석, 게르마늄 등) 5~30 중량부, 전열성 충전재(흑연, 석탄, 아연,산화철, 산화알루미늄 등) 5~50 중량부, 기능성 첨가제(유동화제, 점증제, 안정제, 소포제, 파이버 등) 1~5 중량부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분체의 100 중량부 기준으로 물을 20~40 중량부를 첨가하여 혼합한 후 사용하는 난방용 몰탈
KR1020130014772A 2013-02-12 2013-02-12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201401015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72A KR20140101523A (ko) 2013-02-12 2013-02-12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772A KR20140101523A (ko) 2013-02-12 2013-02-12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23A true KR20140101523A (ko) 2014-08-20

Family

ID=51746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772A KR20140101523A (ko) 2013-02-12 2013-02-12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015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10A (ko) * 2018-01-09 2019-07-18 이영훈 이격판이 구비된 온돌난방 및 그 시공방법
KR102106054B1 (ko)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슬라브 시공용 트레이블록 및 그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KR102370882B1 (ko) * 2021-07-23 2022-03-07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구들장식 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424828B1 (ko) * 2021-09-16 2022-07-22 정만수 소음 억제용 실내 바닥재 어셈블리
KR20220146945A (ko) 2021-04-26 2022-11-02 임윤택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85210A (ko) * 2018-01-09 2019-07-18 이영훈 이격판이 구비된 온돌난방 및 그 시공방법
KR102106054B1 (ko) * 2019-10-17 2020-04-29 한석관 슬라브 시공용 트레이블록 및 그를 이용한 슬라브 시공방법
KR20220146945A (ko) 2021-04-26 2022-11-02 임윤택 완충구조를 포함하는 난방블럭
KR102370882B1 (ko) * 2021-07-23 2022-03-07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친환경 구들장식 난방 시스템 및 그 시공 방법
KR102424828B1 (ko) * 2021-09-16 2022-07-22 정만수 소음 억제용 실내 바닥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9181B1 (ko) Poss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공법
KR20140101523A (ko) 차음/일반용 난방블럭을 이용한 층간소음방지 온돌바닥구조와 이의 시공방법
KR20120007999A (ko) 완충 및 제진 성능을 갖는 복합 바닥 구조
KR100811747B1 (ko)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02227514U (zh) 高隔声墙体
KR102393404B1 (ko) 실란 화합물의 가수 축합반응으로 제조되는 poss 나노 복합체를 이용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90117498A (ko) 방진매트를 이용한 공동주택 층간 바닥충격음 완충재
KR100750890B1 (ko) 층간소음 방지재와 측벽소음 방지재 및 이들을 이용한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KR20230007278A (ko) 친환경 층간 소음 방지용 패널 및 층간 소음 방지 구조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1183908B1 (ko) 층간차음바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의 층간차음구조
KR102319581B1 (ko) 층간 소음을 저감시키는 바닥 시공방법
KR20050030494A (ko)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831998B1 (ko) 고단열 고강성 경량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층간충격음 저감 바닥 구조
KR200321612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KR20050076151A (ko) 온돌 바닥패널 난방 시스템
KR102139187B1 (ko) Poss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20050090141A (ko) 공동주택 층간 소음저감용 수성 도막식 적층형 바닥재
KR102240458B1 (ko) 나노기술에 기반한 고기능성 모르타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보강구조물
KR20060025496A (ko) 탄성 콘크리트 바닥 차음저감재의 제법 및 바닥구조
KR20070110630A (ko) 공동주택 층간소음 차단구조
KR100758599B1 (ko) 건축바닥 층간 소음차단 시설구조
CN216840126U (zh) 一种隔音减振保温楼板
KR102495825B1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바닥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