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468A -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 Google Patents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468A
KR20080028468A KR1020087002554A KR20087002554A KR20080028468A KR 20080028468 A KR20080028468 A KR 20080028468A KR 1020087002554 A KR1020087002554 A KR 1020087002554A KR 20087002554 A KR20087002554 A KR 20087002554A KR 20080028468 A KR20080028468 A KR 200800284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composite material
styrene
magnetic field
compo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비그놀라
리차드 제이. 번스
Original Assignee
노바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팃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바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팃드 filed Critical 노바 케미칼즈 인코포레이팃드
Publication of KR200800284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46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iron or stee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4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 G11B33/0405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modified to store record carriers for storing discs
    • G11B33/0411Single disc boxes
    • G11B33/0422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 G11B33/0427Single disc boxes for discs without cartridge comprising centre hole lock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54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gramophone recor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2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of inorganic material having metal-compound-containing layer and having defined magnetic 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Packaging For Recording Disks (AREA)
  • Wrappers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Abstract

1이상의 중합성 단량체 및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료로서, 상기 복합 재료는 시트 스톡(sheet stock) 및 물품, 예컨대 보관용기를 제조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복합재료는 수지에 자성물질을 기계적으로 밀링하여 제조될 수 있거나, 또는 수지가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벌크, 현탁액, 에멀션, 미니-에멀션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중합 기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복합재료로 제조된 물품은 상기 기술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검사대(interrogation zone)에 자기장을 적용하는 단계, 용기의 검사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검사대로 이동하는 용기에서 수득한 자기적 반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도난 방지 방법에 이용될 수 있다.
보관용기, 복합재료, 자성물질, 검사대, 자기널

Description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MAGNETIC COMPOSITE MATERIALS AND ARTICLES CONTAINING SUCH}
본 발명은 자기적 특성을 보유한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s), 상기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시트, 및 물품, 예컨대 자성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보관용기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수동 데이터 태그(passive data tag) 시스템이 당해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광학적으로-판독하는 인쇄된 선의 패턴을 기초로 하는, 바코드로 언급되는 데이터 태그가 잘 알려져 있다. 바코드 시스템은 저비용이고, 전형적으로 단지 잉크 및 종이만을 필요로 한다. 판독기는 또한 상대적으로 저 비용이고, 전형적으로 주사 레이저 빔을 이용한다. 바코드 시스템의 주된 이용에 있어서 단 하나의 실질적인 단점은 판독기와 태그 사이에 조준선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조준선이 가능하지 않은 용도에 대하여, 광학적 전달을 이용하지 않는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그러한 시스템 중 하나는 태그와 검사용 전자제품 사이에 커플링을 위한 자기 유도(magnetic induction)를 이용한다. 이러한 응용은 전형적으로 50kHz 내지 1MHz 범위의 진동수 내에 교변 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으로 작동하며, 일반적으로 집적 전자 회로("칩(chips)")를 이용하여 수신 및 전송 기능을 조정하고, 데이터를 저장 및 제어한다. 배터리의 요구를 회피하기 위하여, 칩을 위한 전원은 안테나 코일에 의해 수신된 검사 신호의 정류(rectification)에 의해 수득된다. 이송되는 전력을 증대시키고, 원하지 않은 신호 및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코일은 일반적으로 검사 신호 전달 진동수에서 커패시터(capacitor)와 공명된다.
기타 멀티-비트(multi-bit) 데이터 태그 시스템은 종래의 고주파 라디오 기법 또는 표면 음파 또는 자기변형 현상(magnetostriction phonmena)을 기초로 한 기법을 이용한다.
미국 특허 제6,144,300호에 기술된 특정 시스템은 자성 태그 또는 마커(marker)를 그러한 태그가 검사되는 수단을 이용한 다양한 기법과 함께 이용된다. 예를 들어, 자성 마커 또는 태그는 설정된 검사대(interrogation zone) 내에서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선형 어레이(array) 내에 복수의 불연속성 자기적 활성 영역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여러 방법은 도난 방지 장치 및/또는 콤펙트 디스크(CD) 및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DVD)를 보관하는데 이용하는 보관용기 또는 "보석 상자"에 이용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이용된다. 미국특허 제5,573,120호는 그러한 보관용기의 설명을 제공하는데, 이는 본원에 참고인용 되어있다.
미국 공개출원 2004/0008613호는 용기의 벽면에 부착된 바코드 또는 RFID 태그를 보유한 보관용기를 개시한다.
상기-기술된 방법의 단점은 이들의 전형적으로 물품에 라벨 또는 자성 태그 또는 식별표(indentifier)를 부착해야하며, 이것들이 제거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제거가 어렵도록 많은 방법이 고안되었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단 라벨 또는 태그가 제거되면, 이들의 존재를 기초로 하는 시스템은 쓸모가 없어진다.
따라서, 심각하게 물품을 손상시키지 않고는 마커를 제거하는 것이 어렵거나, 그렇지 않다면 불가능한, 데이터 및/또는 물품의 도난을 어렵게 하는 보안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당업계에 존재한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polymerizable monomer), 및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한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를 포함하는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설명된 복합재료로 제조된 시트 스톡(sheet stock)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하부트레이 및 커버를 포함하되, 커버가 하부 트레이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의 택일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인 구성부품(component)을 포함하고, 구성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설명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박스를 합체시킨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설명된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데, 이는 수지에 자성물질을 기계적으로 밀링하거나 또는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함으로써 수지가 형성되는 벌크, 현탁액, 에멀션, 미니-에멀션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중합화 기법을 이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상기-설명한 용기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인데, 상기 설명된 시트 스톡은 하부 트레이 및/또는 상기-설명된 박스의 커버 중 1이상의 형상으로 몰딩(molding) 또는 성형된다.
본 발명은 추가적으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상기-설명된 용기를 제공하는 단계, 검사대에 자기장을 적용하는 단계, 용기를 검사대로 이동시키는 단계, 및 검사대로 이동하는 용기에서 수득한 자기적 반응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물품의 도난 방지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콤펙트 디스크 보관용기의 개략적 분해도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실시예에서 지정하지 않거나 또는 달리 나타내지 않으면, 본 명세서 및 청구의 범위에 사용되는 성분, 반응 조건 등의 양에 관한 모든 수치 또는 표현은 모든 경우에 "약"이라는 용어로 완화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모순되게 나타내지 않는 한, 하기의 명세서 및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설명된 수치적 변수는, 본 발명이 달성하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다양할 수 있는 근사값이다. 청구의 범위에 대한 균등론의 적용을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각 수치적 변수는 적어도 제시된 표시적 자리수의 관점 및 보통의 라운딩(rounding) 기법을 적용하여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넓은 범주를 설명하는 수치적 범위 및 변수가 근사값임에도 불구하고, 특정 예에서 설명된 수치적 값은 가능한 한 정밀하게 보고하였다. 그러나, 임의의 수치적 값은 본래 이들의 개별적인 시험 측정에서 발견되는 표준 편차에서 필연적으로 비롯하는 특정의 오차를 포함한다.
또한, 본원에 인용된 임의의 수치적 범위는 이에 포함된 모든 종속범위(sub-range)를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이다. 예를 들어, "1 내지 10"의 범위는 인용된 최소값 1 및 인용된 최대값 10을 포함하여 그 사이의 종속범위를 포함하기 위해 의도된 것인데; 즉 최소값은 1보다 크거나 같고, 최대값은 10보다 작거나 같다는 것이다. 개시된 수치적 범위는 연속적이므로, 이들은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달리 표현하여 지적하지 않는 한, 본 출원에 특정된 다양한 수치적 범위는 근사값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계((meth)acrylic)"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라는 용어는,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로서 종종 언급되는 알킬 에스테르와 상응하는 것과 같은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유도체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며, "(메트)아크릴레이트"는 포괄적인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체"라는 용어는 올리고머, 호모중합체(homopolymer), 공중합체 및 그래프트 공중합체(graft copolymer)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열가소성"이라는 용어는 열 및/또는 압력을 가하여 성형될 수 있고 가열에 의해 반복적으로 연성화되며 냉각시에 다시 경화될 수 있는 중합성 및/또는 수지성(resinous) 물질 및/또는 이와 혼합된 보조제 및/또는 첨가제를 의미한다.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분자량 값은 적절한 폴리스티렌 표준을 이용한 겔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달리 나타내지 않으면, 본원에 나타낸 분자량 값은 중량평균 분자량(Mw)이다.
본 명세서에서, "자성물질"이라는 용어는, 자석에 의해 자화 또는 유인될 수 있고/있거나 그 자체로 외부적 자기장을 생성할 수 있고/있거나 자기장에 위치할 경우 측정 가능한 자기적 변화 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물질을 의미하며, 그 예는 금속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자기적 반응"이라는 용어는 자기장 상에서 자성물질이 나타내는 효과를 의미한다. 비-제한적 예로서, 1보다 큰 상대 투자율(relative permeability)을 보유하는 자성물질은 측정 가능한 방법으로 자기장을 증폭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수지 및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수지 내에 분산된 입자로서 존재한다.
수지는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된 중합체를 함유한다. 임의의 적절한 중합성 단량체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중합성 단량체"라는 용어는 자유 라디칼 공급원에 노출될 경우 첨가 중합반응을 진행시키는 이중결합 함유 분자를 의미한다. 중합성 단량체 의 비-제한적 예에는 비공액 이중결합을 함유한 C2-C32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cyclic) 분자, 2개의 공액 이중 결합을 함유하는 C2-C32 지방족 분자, (메트)아크릴산의 C1-C32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에스테르, C2-C32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카르복시산의 비닐 에스테르, 알릴 그룹 또는 메트알릴 그룹을 함유하는 C3-C32 지방족 분자,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말레산 무수물, 말레산 또는 이타콘산의 C1-C32 지방족 또는 방향족,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모노 또는 디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및 이들의 유사체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중합성 단량체는 비닐 방향족 단량체; C2 내지 C22 직쇄 또는 분지쇄 올레핀; (메트)아크릴산의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산(maleic acid), 이의 무수물 또는 이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이타콘산, 이의 무수물 또는 이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푸마르산 또는 이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C4 내지 C2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공액 디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비닐 방향족 단량체는 스티렌, p-메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3차 부틸 스티렌, 디메틸 스티렌, 이들의 뉴클리어 브롬화(nuclear brominated) 또는 염소화된 유도체 및 이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에는 스티렌이 포함된다. 스티렌은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초로 25중량부 이상, 어떤 경우에는 30중량부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35중량부 이상의 농도로 단량체 혼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스티렌은 단량체 혼합물의 중량을 기초로 100중량부 이하, 어떤 경우에는 90중량부 이하, 다른 경우에는 80중량부 이하, 어떤 경우에는 70중량부 이하, 다른 경우에는 65 중량부 이하, 어떤 경우에는 60중량부 이하, 다른 경우에는 55중량부 이하, 특정 상황에서는 50중량부 이하의 농도로 단량체 혼합물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스티렌의 함량은 최종 복합재료에 원하는 물성을 기초로 결정된다. 단량체 혼합물 내에 스티렌의 함량은 상기 인용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단량체 혼합물 내의 올레핀에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틸렌, 2-부텐, 디이소부틸렌, 1-펜텐, 2-펜텐, 1-헥센, 2-헥센, 1-옥텐, 2-옥텐, 3-옥텐,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중합시에, 올레핀 유래의 반복 유닛은 1 이상의 올레핀의 중합화를 초래하는 반복 유닛을 함유하는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1,000 이상, 어떤 경우에는 5,000이상, 다른 경우에는 약 10,000, 어떤 상황에서는 15,000 이상, 다른 상황에서는 25,000 이상, 어떤 경우에는 50,000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약 75,000 이상이며, 500,000 이하, 어떤 경우에는 400,000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300,000 이하일 수 있다.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수지는 엘라스토머계 중합체(elastomeric polymer)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수지는 연속상(continuous phase) 및 분산상(dispersed phase)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연속상은 상기-설명된, 단량체 혼합물의 중합반응에서 수득한 중합체를 함유하고, 분산상은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의 적어도 일부를 함유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분산상은 복합재료 내에 복합재료의 중량을 기초로 2중량부 이상, 어떤 경우에는 3중량부 이상, 다른 경우에는 5중량부 이상, 및 다른 상황에서는 10중량부 이상의 농도로 존재한다. 또한 분산상은 복합재료 내에 복합재료의 중량을 기초로 50중량부 이하, 어떤 경우에는 45중량부 이하, 다른 경우에는 40중량부 이하, 어떤 경우에는 35중량부 이하, 다른 경우에는 30중량부 이하, 및 특정 상황에서는 25중량부 이하일 수 있다. 분산상의 양은 최종 복합재료의 원하는 물성을 기초로 결정된다. 복합재료 내에 분산상의 양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의 분자량은 1,000 이상, 어떤 경우에는 5,000 이상, 다른 경우에는 약 10,000, 어떤 경우에는 15,000 이상, 다른 상황에서는 25,000 이상, 어떤 경우에는 50,000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약 75,000 이상일 수 있고, 500,000 이하, 어떤 경우에는 400,000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300,000 이하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는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호모중합체; 공액 디엔과 아릴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랜덤(random), 블록, AB 디블록, 또는 ABA 트리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다. 보다 구체적인 구체예에서,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에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의 디블록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될 수 있다.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분산상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함유하는데, 이는 고무성 블록 공중합체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블록 공중합체에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중 1 이상의 디블록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된다. 적절한 블록 공중합체의 예에는 오하이오주 아크론 소재 파이어스톤 타이어 앤드 러버 캄파니(Firestone Tire and Rubber Company)에서 입수가능한 STEREON® 블록 공중합체; 일본 도쿄 소재 아사히 카세이 케미칼즈 코포레이션(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에서 입수가능한 ASAPRENETM 블록 공중합체; 텍사스 휴스턴 소재 크레이튼 폴리머즈(Kraton Polymers)에서 입수가능한 KRATON® 블록 공중합체 및 텍사스 휴스턴 소재 덱스코 폴리머즈 엘피(Dexco Polymers LP)에서 입수가능한 VECTOR® 블록 공중합체가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선형 또는 방사형 블록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50,000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75,000 이상이고, 500,000 이하, 어떤 경우에는 400,000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300,000 이하일 수 있다. 블록 공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블록 공중합체는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75,000 내지 약 275,000인 트리블록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또는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이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에서, 연속상 내에 적어도 몇몇 중합체는 분산상 내에 블록 공중합체 상에 그래프트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분산상은 연속상 내에 분산된 불연속 입자로서 존재한다. 이러한 구체예에 추가적으로, 연속상 내에 분산상의 부피평균 입자크기는 약 0.1㎛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0.2㎛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0.25㎛ 이상이다. 또한, 연속상 내에 분산상의 부피평균 입자크기는 약 2㎛ 이하, 어떤 경우에는 1.5㎛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1㎛ 이하일 수 있다. 연속상 내에 분산상의 입자 크기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으며,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불연속 입자의 종횡비(aspect ratio)는 약 1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1.5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약 2 이상이고, 약 5 이하, 어떤 경우에는 약 4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약 3이하일 수 있다. 분산된 입자의 종횡비가 너무 큰 경우에는, 수득되는 열가소성 시트가 불투명해지는데, 즉 깨끗 또는 투명하지 않다. 분산된 불연속 입자의 종횡비는 상기 언급된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 일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종횡비는 주사 전자 현미경 또는 광산란법(light scattering)으로 측정될 수 있다.
분산상의 입자 크기 및 종횡비는 로우앵글(low angle) 광산란법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일본 교토 소재 호리바 리미티드(Horiba Ltd.)에서 입수가능한 Modle LA-910 레이저회절 입자크기 분석기(Laser Diffraction Particle Size Analyzer)가 이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고무-개질 폴리스티렌 샘플이 메틸 에틸 케톤에 분산될 수 있다. 이후, 현탁화된 고무 입자는 유리 셀(cell)에 위치되고 광 산란이 적용된다. 셀 내의 입자로부터 산란된 광은 콘덴서(condenser) 렌즈를 통과하여 샘플 셀 주변에 위치한 검출기에 의해 전자 신호로 전환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He-Ne 레이저 및/또는 텅스텐 램프가 짧은 파장의 광을 공급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입자크기 분포는 산란광의 각도 측정에 서 유도된 미(Mie) 산란 이론을 기초로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자성물질은, 철을 유인하는 특성 및/또는 그 자체의 외부에 자기장을 생성하는 특성을 보유한 임의의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수지 내에 분산된 입자로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Ba, Fe, Ru, Co, Ni, Cd, Cr, Mo, Mn, W, V, Nb, T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이들의 합급,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원자 또는 분자를 함유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자성물질은 경우에 따라 실리콘, 질소, 황,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데, 비-제한적인 예에는 상기 언급한 자성물질 중 1 이상의 옥사이드, 니트라이드, 니트록사이드(nitroxide), 실리케이트, 카보네이트 및/또는 설파이드(sulfide)가 포함된다. 상기 물질의 추가적인 비-제한적 예에는 산화 제2철(ferric oxide); 산화 제1철(ferrous oxide); 바륨 페라이트; Mn, Fe, 및/또는 Ru와 배위결합된 tert-부틸-아릴 니트록사이드, 아릴-아릴 니트록사이드, 니트로닐 니트록사이드, 및/또는 이미노 니트록사이드; 질화철(iron nitride); 칼슘 철 실리케이트(calcium iron silicate); 칼슘 망간 철 실리케이트; 황화철(iron sulfide); 탄산철(iron carbonate)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M이 Mn, Co, Ni, Cu, Zn, Mg, Cd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화학식 MOFe2O3에 따른 마그네타이트(magnetite), 맥키에마이트(macchiemite), 고사이트(goethite) 및/또는 페라이트(ferrite)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에는 복합 상자성 전이 금속 이온에 대한 상자성 유기 리간드의 착물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중합체 내에 분산된 불연속 입자로서 수지 내에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구체예에서는 추가적으로, 중합체 내의 자성물질의 부피평균 입자크기가 약 0.001㎛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0.01㎛ 이상, 다른 경우에는 약 0.1㎛ 이상, 어떤 경우에는 0.2㎛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0.25㎛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중합체에 분산된 자성물질 입자의 부피평균 입자크기는 약 10㎛ 이하, 어떤 경우에는 5㎛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1㎛ 이하일 수 있다. 중합체에 분산된 자성물질 입자의 입자크기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고,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자성물질 입자의 종횡비는 약 1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1.5 이상, 다른 경우에는 약 2 이상일 수 있고, 약 5 이하, 어떤 경우에는 약 4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약 3 이하일 수 있다. 자성물질 입자의 종횡비가 너무 클 경우에는, 수득되는 열가소성 시트가 불투명, 즉 깨끗 또는 투명하지 않을 수 있다. 자성물질 입자의 종횡비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 또는 상기 언급된 값들 주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입자 크기 및/또는 종횡비는 주사 전자 현미경 또는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복합재료의 약 0.001중량% 이상, 어떤 경우에는 0.01중량% 이상, 다른 경우에는 0.1중량% 이상, 어떤 경우에는 1중량%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2중량% 이상의 농도로 복합재료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자성물질은 복합재료의 중량을 기초로 약 25중량% 이하, 어떤 경우에는 20중량% 이하, 다른 경우에는 15중량% 이하, 및 어떤 경우에는 10중량% 이하의 농도로 존재할 수 있다. 복합재료 내에 존재하는 자성물질의 양은 본원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자기 특성을 제공하기에는 충분하나, 물질의 의도된 용도를 만족시키지 못하는 복합재료의 물성을 유발할 만큼 많지는 않은 양이다. 복합재료 내에 자성물질의 양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거나,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복합재료가 하기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자기장 또는 검사대(interrogation zone)에 진입할 경우에 측정 가능한 자기적 반응(magnetic response)을 제공함으로써 복합재료가 검출될 수 있게 할 만큼 충분한 농도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의 유형 및 함량은 복합재료에 대하여 바람직한 보자력(coercivity)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된다. 바람직한 보자력은 복합재료의 예정된 용도를 기초로 하여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 "보자력"이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에르스텟(Oe)으로 측정되고 ISO/IEC 7811에 따라 측정될 수 있는, 복합재료 상에 정보를 암호화하는 난이도를 의미한다. 복합재료의 보자력은 50 Oe 이상, 어떤 경우에는 100 Oe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200 Oe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복합재료의 보자력은 4,000 Oe 이하, 어떤 경우에는 3,500 Oe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3,000 Oe 이하일 수 있다. 복합재료의 보자력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저(低)보자력 물질일 수 있다. 즉, 자성물질의 보자력은 1,000 Oe 미만, 어떤 경우에는 900 Oe 미만, 및 다른 경우에는 750 Oe 미만이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높은 고(高)보자력 물질일 수 있다. 즉, 자성물질의 보자력은 1,000 Oe이상, 어떤 경우에는 1,500 Oe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2,000 Oe이상이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기반 중합체(호모중합체 또는 공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고, 자성물질은 실리콘, 코발트, 니켈, 및/또는 철-함유 합금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수지는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단량체 혼합물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경우에 따라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적절한 온도에서 자유 라디칼을 중합반응을 개시하기 위하여 적절한 자유 라디칼 중합반응 개시제를 혼합 및 첨가하면서, 질소로 기포제거 또는 질소 주입과 동시에, 엘라스토머계 중합체가 용해 및/또는 분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엘라스토머계 중합체가 포함되는 경우에는, 적어도 몇몇 단량체 혼합물이 엘라스토머계 중합체 내에 불포화 그룹과 반응하여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에 그래프팅(grafting)을 제공한다. 단량체 혼합물 및 분산상을 중합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한 방법의 비-제한적 예로서, 빌레치 외(Biletch et al.)의 미국특허 제4,772,667호 및 오츠즈키 외(Otsuzuki et al.)의 미국특허 제5,891,962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관련부분은 본원에 참고인용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조 환경은 본원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특성을 보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열가소성 시트 및 열가소성 물품을 제공하도록 개조된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은 복합재료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벌크, 현탁액, 에멀션, 미니-에멀션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중합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임의의 적절한 중합 개시제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중합 개시제의 비-제한적 예에는 디벤조일 퍼옥사이드(peroxide), 디-tert-부틸 퍼옥사이드, 디라우릴 퍼옥사이드, 디큐밀 퍼옥사이드, 디데카노일 퍼옥사이드, tert-부틸 퍼옥시-2-에틸렌헥사노에이트, tert-부틸 퍼피발레이트(perpivalate), tert-부틸 퍼옥시아세테이트, 또는 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가 포함되며, 또한 아조 화합물, 예컨대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러로니트릴)(2,2'-azobis(2,4-dimethylvaleronitrile)),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3-디메틸부티로니트릴), 1,1'-아조비스-(1-시클로헥산니트릴)뿐만 아니라 상기 개시제의 임의의 조합이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안료 또는 착색제와 같은 보조제 또는 이들 모두가 수지에 함유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안료 및/또는 착색제는 이산화티타늄을 함유할 수 있다. 안료 및/또는 착색제가 수지에 첨가될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불투명 시트를 수득할 것이다. 깨끗 또는 투명한 시트는 10% 이하의 헤이즈(haze) 값을 보유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고, 일반적으로 불투명 시트에 헤이즈 값이 적용되지 않는 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자(이하, 당업자라 한다)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안료 및/또는 착색제"는 임의의 적절한 무기 또는 유기 안료 또는 유기 염색물질을 의미한다. 적절한 안료 및/또는 착색제는 열가소성 시트의 바람직한 물성에 역효과를 주지 않는 것들이다. 안료 및/착색제는 자성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무기 안료의 비-제한적 예에는 이산화티타늄, 산화철(iron oxide), 아연 크로메이트(zinc chromate), 황화카드뮴, 산화크롬 및 나트륨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착물이 포함된다. 유기 안료의 비-제한적 예에는 아조 및 디아조 안료, 카본 블랙(carbon black), 프탈로시아닌, 퀴나크리돈(quinacridone) 안료, 퍼릴렌(perylene) 안료, 이소인돌리논(isoindolinone), 안트라퀴논(anthraquinone), 티오인디고(thioindigo) 및 용매 염료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보조제에는 윤활제, 충전제, 광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제가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는 열가소성 조성물에 첨가될 경우, 일반적으로 불투명 시트를 초래할 것이다.
적절한 충전제는 열가소성 시트의 바람직한 물성에 역효과를 주지 않으며, 어떤 경우에는 상기 물성을 증강시키는 것들이다. 적절한 충전제에는, 그라운드 및 침전된 형태의 칼슘 카보네이트, 바륨 설페이트(barium sulfate), 탈크(talc), 유리, 카올린 및 몬모릴로나이트(montnorillonite)와 같은 점토(clay)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적절한 윤활제에는 글리세롤 유형과 같은 에스테르 왁스, 중합체성 착물 에 스테르, 산화된 폴리에틸렌형 에스테르 왁스 및 이의 유사체, 바륨 스테아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아연 스테아레이트 및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금속성 스테아레이트, 및/또는 이들의 조합이 포함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종래 임의의 자외선(UV) 안정화제가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다. 적절한 UV 안정화제의 비-제한적 예에는 2-하이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틸 옥시)-페닐 페닐-메탄온, 2-(2'-하이드록시-3,5'디-테라밀페닐)벤조트리아졸(2-(2'-hydroxy-3,5'di-teramylphenyl)benzotriazole), 및 뉴욕주 테리타운 소재 시바 트페셜티 케미칼즈 컴패니(Ciba Specialty Chemicals Co.)에서 상표명 TINUVIN® 하에 입수 가능한 일군의 UV 안정화제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이용될 수 있는 열 안정화제에는 힌더드 페놀(hindered phenol)이 포함되며, 비-제한적 예로서 시바 스페셜티 케미칼즈에서 입수 가능한 IRGANOX® 안정화제 및 산화방지제가 있다.
상기 언급한 보조제 중 임의의 또는 모든 보조제가 본 발명에 이용될 경우, 이들은 복합재료 중량의 0.01중량% 이상, 어떤 경우에는 0.1중량%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0.5중량% 이상 및 10중량% 이하, 어떤 경우에는 7.5중량% 이하, 다른 경우에는 5중량% 이하, 어떤 경우에는 2.5중량% 이하의 농도로 이용될 수 있다. 이용되는 보조제의 함량, 유형 및 조합은 복합재료에서 요구되는 특정 성질에 좌우될 것이다. 임의의 단일 보조제 또는 보조제의 임의의 조합의 함량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일 수 있고,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수지 내에 첨가제의 완전한 혼합 및 분산이 중요하며, 그렇지 않을 경우 공정 조건은 당업계에서 전형적으로 이용되는 조건과 유사하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미크론-크기 및/또는 나노-크기의 분말로서 복합재료에 혼입된다. 즉, 자성물질의 입자크기는 10-6mm 이상, 어떤 경우에는 10-5mm 이상, 다른 경우에는 10-4mm 이상 및 어떤 경우에는 10-3mm이상의 입자크기를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자성물질의 입자크기는 1mm 이하, 어떤 경우에는 0.1mm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0.01mm 이하일 수 있다. 자성 입자의 입자크기는 상기 언급된 임의이 값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계면-개질용 첨가제(surface-modifying additives)가 복합재료 및/또는 자성물질 내에 첨가될 수 있다. 계면 개질된 입자는,
자성물질 및 1 이상의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를 함유하는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분산액을 고전단력(high shear)의 믹싱 조건에 노출시키는 단계; 및
상기 분산액을 계면개질제(surface modifying agent)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계면개질제에는 폴리비닐알콜, 천연 왁스, 폴리올 레핀 왁스, 백유(white oil) 및 이들의 조합이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는, 대기압에서, 전형적으로 20℃ 이하에서, 어떤 경우에는 25℃ 이하에서, 및 다른 경우에는 30℃ 이하에서 고체이며, 125℃ 이상에서, 어떤 경우에는 150℃ 이상에서, 및 다른 경우에는 200℃ 이상에서 액체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의 물성은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본 조성물에 바람직한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왁스는 천연 및/또는 합성 왁스에서 선택된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왁스는 이들이 상기 정의한 액체의 및 고체 온도의 조합을 만족시키는 한, C10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2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4 내지 C32, 및 다른 경우에는 C16 내지 C3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알킬, 알케닐, 아릴, 알카릴(alkaryl) 또는 알르알킬(aralkyl) 알콜, C10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2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4 내지 C32, 및 다른 경우에는 C16 내지 C3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알킬, 알케닐, 아릴, 알카릴, 또는 아르알킬 카르복시산 및/또는 이들의 상응하는 암모늄 및 금속염 및 C1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2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4 내지 C32, 및 다른 경우에는 C16 내지 C3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알킬, 알케닐, 아릴, 알카릴, 또는 아르알킬 에스테르, C10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2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4 내지 C32, 및 다른 경우에는 C16 내지 C3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알킬, 알케닐, 아릴, 알카릴, 또는 아르알킬 탄화수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본 조성물에 사용되는 백유는 전형적으로 대기압에서 및 20℃ 이상, 어떤 경우에는 15℃ 이상, 다른 경우에는 10℃ 이상, 어떤 경우에는 5℃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0℃ 이상에서 액체이다. 즉,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백유는, 상기 설명한 물성이 존재하는 한, C10 내지 C32, 어떤 경우에는 C12 내지 C24, 및 다른 경우에는 C12 내지 C2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알칼 탄화수소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물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계면개질제는 약 0.01중량% 이상, 어떤 상황에서는 약 0.05중량% 이상, 어떤 경우에는 0.1중량% 이상, 다른 경우에는 0.25중량% 이상, 어떤 경우에는 0.5중량% 이상 및 다른 상황에서는 1중량% 이상의 농도로 수용액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계면개질제는 수용액의 중량을 기초로 약 10중량% 이하, 어떤 경우에는 7.5중량%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5중량% 이하의 농도로 수용액 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수지는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복합재료를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이러한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단량체 혼합물에 첨가되고, 이후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중합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입자를 계면 개질하여 계면 개질된 입자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계면 개질된 입자를 스티렌 및 경우에 따라 상기 설명된 기타 단량체, 및 중합반응 억제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과 혼합하여 중합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중합 반응물을 중합하여 복합 비드(composite bead)의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비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탁액 중합 방법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중합반응은 미국 가출원 제60/679,468호에 기술된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관련 부분은 본원에 참고인용되어 있으며, 이때 단량체상(monomer phase)을 함유하는 비말(droplet)의 분산액은 단량체상을 분무하여 유기 비말의 분산액을 형성함으로써 형성된다. 자성물질은 경우에 따라 단량체상에 함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이미 형성된 수지에 자성물질을 기계적으로 밀링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기계적 밀링에는 멜트 컴파운딩(melt compounding)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 기계적 밀링에는 회분식 믹서, 단일-스크류(single-screw) 압출기, 이중-스크류(double-screw) 압출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장치를 이용하는 밀링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에서, 기계적 밀링에는 2:1 이상, 어떤 경우에는 3:1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5:1 이상 및 25:1 이하, 어떤 경우에는 20:1 이하, 다른 경우에는 15:1 이하, 및 어떤 상황에서는 10:1 이하일 수 있는 볼(ball) 대 복합재료의 중량비를 이용하는 볼 밀링이 포함될 수 있다. 스테인리스강 볼 대 복합재료의 중량비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이거나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적절한 매질 볼(media ball)은 임의의 적절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적절한 매질(media) 볼 물질에는 강, 스테인리스강, 철, 납 안티몬, 황동, 구리, 니켈, 포셀린(porcelain), 세라믹(ceramic), 페블(pebble), 크롬, 및 이들의 조합 및 합금이 포함될 수 있다.
매질 볼의 직경은 0.1mm 이상, 어떤 경우에는 1mm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2mm 이상일 수 있고, 150mm 이하, 어떤 상황에서는 100mm 이하, 다른 상황에서는 50mm이하, 어떤 상황에서는 40mm 이하, 다른 상황에서는 30mm 이하, 어떤 경우에는 25mm 이하, 및 다른 경우에는 20mm 이하일 수 있다. 볼밀에 이용되는 매질 볼은 상기 언급된 임의의 크기 또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크기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열가소성 시트로 성형될 수 있다.
본 열가소성 시트는 상기 설명한 복합재료를 작업하여 열가소성 시트를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합재료는 임의의 바람직한 보조제 및/또는 다른 중합체와 함께 혼합되고, 가열된 밀롤(mill roll) 또는 다른 컴파운딩 장치 상에서 혼합될 수 있으며, 혼합물은 냉각, 과립화 및 압출되어 시트로 성형된다. 배합물은 압출기, 예컨대 단일-스크류 또는 이중-스크류 압출기에서 혼합되고, 펠릿으로 컴파운딩 및 압출되며, 이후, 재-직조될 수 있다. 압출기는 또한 복합재료를 파이프, 시트, 필름 또는 프로파일(profile)로 압출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복합재료는 원하는 물성을 보유한 시트를 형성하게 하는 온도에서 압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약 250℉(121℃) 이상, 어떤 상황에서는 약 300℉(149℃) 이상, 다른 상황에서는 약 400℉(204℃) 이상 및 약 450℉(232℃) 이상 내지, 약 500℉(288℃) 이하, 어떤 경우에는 약 550℉(260℃) 이하, 어떤 상황에서는 약 600℉(316℃) 이하 및 다른 상황에서는 약 650℉(326℃) 이하에서 압출될 수 있다. 압출 온도는 이용되는 물질의 조성 및 수득되는 시트에 바람직한 물성에 좌우될 것이다. 압출 온도는 상기 언급한 임의의 온도 또는 상기 언급한 임의의 온도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필름 또는 시트는 압출 동안 또는 재가열 및 신장에 의한 상기 공정 이후에 단축 또는 쌍축 배향될 수 있다.
필름 또는 시트는 성형 이후에 첨가제, 예컨대 적절한 가열-봉합 접착제, 잉크 점착, 인쇄, 라벨 및 이와 유사한 것들을 위한 코팅으로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열가소성 시트의 두게는 약 0.05mm 이상, 어떤 경우에는 약 0.1mm 이상 및 다른 경우에는 약 0.25mm 이상 및 약 5mm 이하, 어떤 경우에는 약 4mm 이하, 다른 경우에는 약 5mm 이하, 다른 경우에는 약 7.5mm 이하 및 다른 상황에서는 약 10mm 이하일 수 있다. 열가소성 시트의 두께는 의도되는 용도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열가소성 시트의 두께는 상기 언급된 임의의 값 또는 상 기 언급된 임의의 값들 사이의 범위일 수 있다.
일단 성형되면, 본 열가소성 시트에 프린팅(printing)이 적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프린팅된 층은 열가소성 시트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분 상에 도포된다. 프린팅된 층은 오프셋(offset) 프린팅, 그라비어(gravure) 프린팅, 스탬핑(stamping) 및 이와 유사한 방법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시트의 표면은 인쇄 이전에 처리될 수 있다. 인쇄의 질을 개선시키고/시키거나 시트 표면의 인쇄성을 개선시키는 임의의 적절한 표면 처리가 이용될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표면 처리는 산화성 표면 처리, 비제한적으로 예컨대 인쇄 이전에 잉크의 수용력(receptivity)을 개선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코로나 방전(corona discharge)일 수 있다. 비-제한적 예로서, 코로나 처리는 코네티컷주 파밍톤 소재 코로테크 코포레이션(Corotec Corporation)에서 입수 가능한 UNI-DYNE® 코로나 시스템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인쇄된 층은 잉크 조성물을 함유할 수 있다. 잉크 조성물이 열가소성 시트에 직접 인쇄될 수 있다면,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절한 잉크 조성물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열가소성 시트로 제조된 열성형 물품을 제공한다. 그러한 물품의 비-제한적 예에는, CD 및 DVD를 위한 보석상자와 같은 포장뿐만 아니라 포장에 자성물질을 혼입하는 것이 유리한, 예컨대 도난 방지용 포장과 같은 임의의 포 장이 포함된다. 즉, 보석, 손목시계, 전자기기, 컴퓨터, 음향 장치, 영상 장치 및 이와 유사한 것을 위한 포장 또는 용기가 본 복합재료 및 복합재료의 열가소성 시트로 제조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복합재료의 열가소성 시트는 1 이상의 기재층(substrate layer) 및 본 발명의 복합재료로 제조된 1 이상의 층 및 또 다른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1 이상의 층을 함유하는 다중-층 열가소성 합성물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때 다중-층 합성물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물품으로 열성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또 다른 열가소성 물질이 충격 변성(impact modified) 폴리스티렌,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및 경우에 따라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스티렌 말레산 무수물 및 경우에 따라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고무 변성(rubber modified)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복합재료는 보관용기의 1 이상의 부품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하부 트레이 및 커버를 포함하는 박스를 보유하되, 상기 커버는 하부 트레이에 대하여 선택적 개방 및 폐쇄의 택일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고, 상기 하부 트레이 및/또는 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설명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보관용기를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일단 원하는 온도에 도달하면, 열가소성 시트는 플러그가 열가소성 시트를 원하는 형상의 몰드에 밀어넣는 플러그 보조 열성형과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될 수 있다. 공기의 압력 및/또는 진공이 또 한 원하는 형상으로 몰딩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용기가 성형되기 이전에 열성형 기계에 라벨이 위치될 수 있고, 성형된 용기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구체예에서, 보관용기는 당업계에 공지된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 기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용기의 비-제한적 예를 나타내는데, 전체적으로 10에서 분해된 투시도로서 각 구성부품이 도해되어 있다. 용기는 하부 트레이(12), 커버 또는 덮개(14), 및 전체적으로 16에서 하부트레이(12)에 삽입될 것인 인서트 트레이(insert tray)를 포함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덮개(14)는 탑플레이트(top plate)(18), 1쌍의 측벽(sidewall)(20 및 22), 측벽의 후단부에 연결된 귀형상부(ear)(24 및 26), 탑플레이트 하부에 측벽에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이격 탭(spaced tap)(30) 및 귀형상부에서 내부를 향하여 연장된 페그(peg)를 포함한다. 플로어(46)는 측벽(42 및 44) 아래에 매우 짧은 거리만큼 연장되어 립(lip)(48 및 50)을 형성하는데, 커버(14)의 측벽(20 및 22)은 커버가 폐쇄된 위치로 존재할 경우 아래쪽으로 대항하여 인접하게 된다. 1쌍의 구멍(52 및 54)이 커버(14)의 페그(34 및 36)를 수취하기 위해서 측벽의 후미 모서리를 통과하여 하부 트레이(12)에 대한 커버의 움직임을 위한 중추적 축을 제공한다.
인서트 트레이(16)는 콤펙트 디스크를 보관하도록 형성된 중앙의 환형 요입부(64)를 보유하는 탑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요입부(64)는 요입부에서 디스크가 단지 단편의 거리에 의해 측벽의 중심부에 걸쳐있게 하도록 인서트 측벽의 중심부를 채울 수 있다. 이후 디스크는 하부 트레이(12)의 측벽의 상응하는 낮은 부분에 들어 맞게된다. 인서트 트레이(16)는 특히 이의 모서리에, 다시 말하면 요입부(64)가 탑플레이트(12)의 가장자리와 일치되지 않는 측벽(66 및 68)을 보유한다. 인서트 트레이(16)의 후미의 가장자리에서, 신장된 탭 또는 멤버(member)(72)와 함께 스텝(step)(70)이 그 상부에 형성된다. 용기(10)를 조립하면, 이후 하부 트레이(14)의 구멍(52 및 54)에 대하여 커버(14) 상의 페그(34 및 36)의 선회(pivoting)가 신장된 멤버(72)의 아래에서 일어난다. 커버(14)가 폐쇄된 상태에서 선회될 경우, 신장된 멤버(72)는 용기(10)의 상부 표면의 일부를 형성하고, 동시에 신장된 멤버의 전방 가장자리는 커버의 탑플레이트(18)의 후미 가장자리와 인접하게 된다.
하부 트레이(12)는 측벽의 양측 상에 1쌍의 요홈(indent)(84)을 보유하며, 인서트 트레이(16)는 인서트 트레이의 양 측부 가장자리(66 및 68)를 따라 상응하는 반원형 요입부(88) 및 상응하는 요홈(84)을 보유한다. 따라서, 덮개(14)가 폐쇄 위치로 내려갈 경우, 덮개 상의 탭(30)은 요홈(84) 및 반-원형 요입부(88)에서 하향으로 정지될 것이고, 이로써 하부 트레이(12)의 플로어(46)에 대항하여 아래쪽으로 인서트 트레이(16)를 고정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케이스 또는 용기(10)가 뒤집히거나 앞뒤로 흔들릴 경우에도, 인서트 트레이(16) 및 콤펙트 디스크(나타내지 않음)는 앞뒤로 덜걱덜걱 움직이지 않으며, 이로써 덮개(14)에 충격을 주지 아니한다. 그러나 탭(30)의 주요 기능은 그래픽, 즉, 설명문구 또는 광고 문구를 인쇄한 종이(나타내지 않음)를 용기 및 투명할 수도 있는 탑커버(top cover)를 통해 그래픽을 볼 수 있도록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인서트 트레이(16)는 외부로 배향된 다수의 조그만 페그를 인서트 트레이의 측벽 상에 보유하는데, 이 페그는 하부 트레이(12)의 측벽에 내부로-배치된 상응하는 구멍 또는 오프닝(opening)에 채워질 수 있도록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하부 트레이(12), 또는 커버 또는 덮개(14), 또는 인서트(16), 또는 이들의 전부 또는 부분이 열가소성 물질, 즉 자성물질을 함유하지 않는 상기 설명한 임의의 수지 및/또는 중합체를 함유할 수 있다. 이후, 본 복합재료가 하부 트레이(12), 또는 커버 또는 덮개(14), 또는 인서트(16)의 적어도 일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대하여, 당업계에 공지된 적층 기법, 사출 몰딩 기법, 또는 이와 유사한 기법을 이용하여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구체예에서, 자성물질은 로고 또는 기타 식별표시로서 하부 트레이(12), 또는 커버 또는 덮개(14), 또는 인서트(16)의 표면에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물품 및/또는 본 복합재료의 열가소성 시트로 제조된 물품이 자성 마커 또는 태그 또는 자성요소(magnetic element)를 제공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어떤 구체예에서는 상기 자성 마크 또는 태그 또는 자성요소는 선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불연속 자기적 활성 영역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자성요소는 물품의 제조 동안에 물품 자체에 직접 혼입된다. 따라서, 물품은 재고정리 또는 보안 목적을 위한 태그가 티켓 또는 보안 패스(pass)로서 운반되는 소비재와 같은 물품 또는 재화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체예에서, 물품의 각 자기적 활성 영역은 동 일한 자기적 특성을 보유할 수 있고; 보다 복합한 구체예에서는, 물품의 각 자기적 활성 영역은 상이한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여, 각각 고유의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고, 이로써 고유의 자기적 아이덴터티(identity) 및 시그니쳐(signiture)(즉, 적절한 판독기에서 판독될 경우에 나타내는 자기적 반응)를 보유한 대량의 태그를 조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물품은 교번자기장에 의해 여기될 경우 특징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자기적으로 약한 물질(저보자력)을 보유하는 부분, 및 자기적으로 반강성 또는 강성 물질(고보자력)을 보유하는 부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예들에서, 도난방지 시스템이 용이한 자성 검출을 위해 상대적 저보자율 및 고투자율을 보유한 강자성체로 제조된 신호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발생된 신호는 자기장에 좌우될 수 있고, 검사대에서 검출될 수 있다. 또한 원소 내에는 산소 발생기에 연결된 고보자력의 강자성체 물질을 함유하는 적어도 하나의 구획을 포함하는 불활성화제가 존재하는데, 이는 자화될 경우에 검출 가능 신호의 발생을 억제한다. 상기 구획은 적어도 하나의(종종 미세하게 분포된) 강자성체 물질 및 중합체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에서, 보관용기의 트레이 또는 커버 중의 하나는 저보자력 및 고투자율을 보유하는 복합재료를 함유할 수 있으며, 트레이 또는 커버 중 다른 하나는 고보자력을 보유하는 물질인 복합재료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 보관용기의 트레이 또는 커버의 표면 상에는 저보자력 및 고투자율을 보유하는 복합재료가 배치되어 있고, 고보자력 물질을 보유 하는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트레이 또는 커버의 표면이 반대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복합재료는 적층 또는 사출 몰딩에 의해 표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로고 또는 식별표시로서 표면에 도포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이 태그와 적용된 자기장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태그 판독 장치 유래의 방출 신호의 타임 도메인과 태그의 자기적 활성 영역의 직선 범위(dimension) 및 자기적 활성 영역 사이의 간극의 직선 범위 사이에 조화(correspondence)가 존재하게 될 것이라는 것은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활성 영역 및 이들 영역 사이의 간극은 광학적 바코드(인접한 막대 사이의 검은 막대 또는 백색 간극)의 원소와 유사하게 작용한다. 활성 영역 내에 자기적 특성의 다양성이 태그의 "아이덴터티"의 부분을 발생시키는데 이용될 수 있는 것처럼, 인접한 자기적 활성 영역 사이의 직선상 공간이, 예컨대 본 복합재료의 적층된 샌드위치 구조에서와 같이 이용될 수 있다는 것이 상기 사실로부터 이해된다. 각각이 고유한 아이덴터티를 보유한 다수의 태그가 본 발명에 따라 생산될 수 있다는 것은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상기 정의한 태그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자성 마커의 존재를 검출하는 다양한 유용한 방법 및/또는 그러한 마커를 식별하기 위한 다양한 유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설정된 검사대 내에서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검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상기 태그는, 예컨대 태그의 존재를 검출하기 위해 및/또는 검사대 내에서 태그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태그의 반응을 이용하기 위한 고투자율 의 자성물질을 함유한다. 검사 방법은 상기 태그를 순차적으로 (1) 고투자율의 자성물질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자기장 강도를 가진 자기장에 노출시키고, (2) 본원에서 정의하는 바와 같은 자기널(magnetic null)에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자기널은 검사대 내에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전후로 스위핑(sweeping)된다. 주사 진동수(즉, 자기널의 스위프 진동수(sweep frequency))는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고, 예컨대 1-500Hz일 수 있다. 용이하게는, 자기장 패턴(field pattern)은 (a) 자기널이 평면 내에 위치하고; (b) 자기장의 포화가 평면에 인접하여 일어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는 설정된 검사대 내에서 소정의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는 자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1) 자성요소를 포화 또는 자성요소의 일부분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자기장(포화 자기장(saturating field)이 존재하는 영역에 인접한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제로(zero) 자기장(자기널)을 포함하는 자기장 패턴을 검사대 내에 구축하되, 상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은 자성요소가 통과 또는 통과할 수 있는, 또는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과 일치하는 것인 단계; (2) 자기널이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설정된 방식으로 횡단하도록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3) 상기 상대적 이동 동안에 수득된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구체예는 소정의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는 자성요소를 식 별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1)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에 자기적 포화상태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제1자기장에 자성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2) 이후,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점유하고 상기 제1자기장에 인접한 제로 자기장(즉, 자기널)의 환경에 상기 자성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3) 자기널이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설정된 방식으로 횡단하도록 적용된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4) 상기 상대적 이동 동안에 수득된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정의된 식별 방법에 있어서, 상기 자성요소는 유리하게도 필요한 자기 환경이 발생되는 검사대 내에서 횡단할 수 있게 된다.
자성요소와 자기장 사이에서의 상대적인 이동은 유리하게도 자성요소 상부에 적용된 자기장을 스위핑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대적인 이동은 일반적으로 정자기장(static magnetic field)에 교번자기장을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정의된 방법에 이용되는 물질 장 또는 장의 패턴은 반대 극성의 2개 자기장을 수단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용이하게도 직류를 운반하는 1 이상의 코일을 이용하거나; 또는 1 이상의 영구자석을 이용하거나; 또는 코일(들) 및 자석(들)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코일이 이용되는 경우에는, 코일은 고정 지점에 자기널을 유지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운반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코일(들)은 자기널의 위치가 "플라잉 널(flying null)"이라는 용어로서 지정된 설정된 방식으로 진 동하도록 설정된 사이클로 변화하는 전류를 운반한다. 유사한 배치가 이용되어 코일 또는 코일들 및 영구자석이 모두 이용되는 경우에 플라잉 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 양태에 따르면, 자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결정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1) 자성요소가 위치하는 또는 위치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에 자기장을 적용하되, 상기 자기장은 자기장 공급원의 중간 위치(상기 위치는 공지되어 있거나 계산할 수 있다)의 널 필드(null field)(자기널)을 초래하는, 자기장 공급원에 의해 발생된 2개의 상반된 자기장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 단계; (2)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에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3) 상대적인 이동 동안에 수득되는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특징으로 한다.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은 DC 필드 상에 겹쳐진 상대적으로 낮은 진폭의 교번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led)를 적용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상기 낮은 진폭의 교번자기장의 진동수는 10Hz 내지 100kHz 범위, 어떤 경우에는 50Hz 내지 50kHz, 및 다른 경우에는 500Hz 내지 5kHz 범위이다.
일 구체예에서, 코일은 고정된 지점에서 자기널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운반한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코일은 진폭이 설정된 사이클에서 변화하여 자기널이 설정된 방식으로 진동하게 하는 전류를 운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 자성요소의 자기적 반응의 검출은 유리하게도, 자화(magnetization) 상태가 자기널을 통과함으로써 변경될 때에 자성요소에 의해 발생되는, 적용된 AC 필드의 고조파(harmonics)를 관찰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시스템은 제로 또는 매우 낮은 진동수의 스캐닝 필 드(scanning filed), 및 50Hz 내지 50kHz 범위의 HF(고진동수)로 작동될 수 있다. 이는 얇은 금속 호일을 포함하여 대부분의 물질을 통해 양호한 신호 투과를 가능하게 한다. 게다가, 국제 규범이 이러한 낮은 진동수에서 투과를 위한 높은 자기장을 허용한다.
본 발명의 구체예는 멀티-비트 데이터 태그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이는 낮은-진동수의 유도 자기 검사를 이용하며, 복잡하고 고가의 태그를 이용할 필요가 없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에 따르면, 물품의 특정 데이터, 예컨대 물품의 가격 및/또는 물품을 구성하는 재화의 특성을 수단으로 하여 물품의 소정 세트 내에 개별적 물품을 암호화하고/하거나 라벨링(labeling)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본 복합재료 유래의 물품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하는데, 이때 상기 물품은 그 물품에 또는 그 물품과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물품에 대하여, 예컨대 물품의 가격 또는 물품을 구성하는 고유한 자기 영역의 소정 배열을 보유하는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보유하되(고유한 자성 태그는 복합재료 내에 자성물질의 유형 및/또는 농도의 결과일 수 있다), 상기 자성 태그 또는 마커가 태그 또는 마커의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므로, 적용된 자기장에 의한 검사에 민감하여 상기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보유하는 물품의 성질을 나타내는 반응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이 추가적으로 하기의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의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의 예증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이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기계적 밀링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도로 분산 및 농축된 중합체 자성 복합물을 제조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약 9:1 비율의 그라운드 중합체(ZYLAR®-EX, 팬실베니아주 피츠버그 소재 노바 캐미칼즈 인코포레이티드에서 입수 가능) 대 자성 분말(산화철 분말)을 스테인리스강 볼을 함유하는 스테인리스강 도가니에 첨가했다. 스테인리스강 볼 대 분말(중합체 및 자성요소)의 중량비는 약 14:1이었다. 볼 밀링을 8시간 동안 수행했는데, 문헌[Mat. Sci. Eng. B, 113, 228-235(2004)에서 전체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샘플을 과열시키지 않기 위해서 매 15분 마다 15분간 중단시킨 다음, 다시 개시했다. 폴리비닐 알콜 계면개질용 첨가제(분말의 0.1중량%)를 첨가하여 분산을 보조했다. 압출된 시트를 최종 분말에서 성형했다. 시트는 자기적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
본 실시예는 멜트 컴파운딩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고도로 분산 및 농축된 중합체 자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것을 설명하는 것이다. 계면 개질용 계면활성제 0.1중량%를 함유한 약 9:1 비율의 그라운드 중합체(ZYLAR®-EX) 대 자성 분말(산화철 분말)을 200℃에서 회분식 믹서에 첨가하고, 200rpm에서 10분간 혼합했으며 압출하여 시트를 형성했다. 수득된 시트는 양호한 기계적 무결성을 보유했고, 자기적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
본 실시예는 현탁액 중합 기법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성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합성법을 설명한 것이다. 자성 입자(산화철, 15ml 물 내에 100mg) 및 계면활성제(5ml 물 내에 100mg)의 수성 분산액을 15분간 초음파 처리하고, 추가 15분 동안 고전단력의 믹싱 단계에 노출시켰다. 자성 입자 및 계면 개질제의 용액을 혼합하고 또 다시 15분간 초음파 처리했다. 자성 입자/계면 개질제 수용액의 혼합물을 폴리비닐 알콜 2중량% 수용액에 첨가했다. 스티렌 단량체 25g 및 벤조일 퍼옥사이드 개시제 0.16g을 상기 혼합물에 첨가했다. 시스템을 폐쇄하고, 질소를 이용하여 정화시켰으며 250rpm에서 교반했다. 온도를 95℃까지 상승시키고 중합반응을 6시간 동안 수행했다. 수득된 중합체 비드를 여과 및 물 및 메탄올을 이용한 연속식 세척으로 회수했다. 비드를 압출하여 시트를 형성했으며, 이는 자기적 특성을 나타냈다.
본 발명이 특정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다. 이는 지금까지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를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주는 하기에 첨부된 청구의 범위까지 확장된다.

Claims (82)

  1. 하부 트레이 및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는 상기 하부 트레이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의 택일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일 수 있는 것인 구성부품을 포함하는 박스로서, 상기 구성부품 중 적어도 하나의 적어도 일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및
    자성물질(magnetic material)을 함유하는 복합재료(composite material)를 함유하는 것인 박스를 포함하는 보관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가 비닐 방향족 단량체; C2 내지 C22 직쇄 또는 분지쇄 올레핀; (메트)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산(maleic acid),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이타콘산, 이의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푸마르산(fumaric acid) 또는 이의 모노- 또는 디 -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C4 내지 C2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공액 디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보 관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가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호모중합체(homopolymer); 공액 디엔과 아릴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랜덤(random), 블록, AB 디블록, 또는 ABA 트리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의 디블록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틸렌, 2-부텐, 디이소부틸렌, 1-펜텐, 2-펜텐, 1-헥센, 2-헥센, 1-옥텐, 2-옥텐, 3-옥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수득된 반복 유닛을 함유하는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00인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 p-메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3차 부틸 스티렌, 디메틸 스티렌, 이들의 뉴클리어(nuclear) 브롬화 또는 염소화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연속상(continuous phase) 및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상(dispersed phase)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Fe, Co, Ni, Cd, Cr, Mo, Mn, W, V, Nb, T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이들의 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원자 또는 분자를 함유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마그네타이트, 맥키에마이 트(macchiemite), 고사이트(goethite), 페라이트(ferri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추가적으로 보론, 실리콘, 질소, 및/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복합재료의 약 0.001 내지 약 25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자기장 또는 검사대(interrogation zone)로 진입할 경우에 보관용기가 검출될 수 있기에 충분한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기반 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자성물질이 실리콘, 코발트, 니켈, 및/또는 철 함유 합금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미크론-크기 및/또는 나노-크기의 분말로서 복합재료에 혼입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수지에 자성물질을 기계적으로 밀링하여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는 멜트 컴파운딩(melt compounding)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는 회분식 믹서, 단일-스크류 압출기, 이중-스크류 압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장치를 이용한 밀링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는 2:1 내지 25:1의 볼 대 복합재료의 중량비를 이용한 볼 밀링(ball milling)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벌크, 현탁액, 에멀션, 미니-에멀션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중합 기법에 의해 제조되되, 상기 수지가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2. 제1항에 있어서, 계면-개질용 첨가제(surface-modifying additives)가 복합재료에 함유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입자를 계면 개질하는 단계;
    스티렌 및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과 상기 계면 개질된 입자를 혼합하여 중합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중합 혼합물을 중합하여 복합 비드(composite bead)의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비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탁액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개질된 입자가
    자성물질 및 1 이상의 계면활성제(surface active agent)를 함유하는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고전단력(high shear)의 믹싱 조건에 분산액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계면개질제(surface modifying agent)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상기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개질제가 폴리비닐알콜, 천연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백유(white oil)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개질제가 수용액의 중량을 기초로 약 0.01중량% 내지 약 10.00중량%의 농도로 수용액에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27.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및
    상기 수지 내에 분산된 자성물질을 함유하되;
    상기 자성물질이 자기장 또는 검사대에 진입할 경우에 자성물질이 검출되기에 충분한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단량체가 비닐 방향족 단량체; C2 내지 C22 직쇄 또는 분지쇄 올레핀; (메트)아크릴산((meth)acrylic acid)의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산(maleic acid), 말레산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말레이미드, 이타콘산, 이의 무수물 또는 이들의 모노- 또는 디-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푸마르산(fumaric acid) 또는 이의 모노- 또는 디 - C1 내지 C22 직쇄, 환식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 C4 내지 C22 직쇄, 분지쇄, 또는 환식 공액 디엔,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 합재료.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가 부타디엔 또는 이소프렌의 호모중합체(homopolymer); 공액 디엔과 아릴 단량체 및/또는 (메트)아크릴로니트릴의 랜덤(random), 블록, AB 디블록, 또는 ABA 트리블록 공중합체; 천연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는 스티렌-부타디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스티렌-이소프렌,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부분적으로 수소화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및 이들의 조합의 디블록 및 트리블록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틸렌, 2-부텐, 디이소부틸렌, 1-펜텐, 2-펜텐, 1-헥센, 2-헥센, 1-옥텐, 2-옥텐, 3-옥텐,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1 이상의 단량체를 중합하여 수득된 반복 유닛을 함유하는 호모중합체, 공중합체, 및/또는 블록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이 약 1,000 내지 약 500,000인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4.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방향족 단량체가 스티렌, p-메틸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3차 부틸 스티렌, 디메틸 스티렌, 이들의 뉴클리어 브롬화 또는 염소화 유도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5.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가 중합체를 함유하는 연속상 및 엘라스토머계 중합체를 함유하는 분산상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6.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Fe, Co, Ni, Cd, Cr, Mo, Mn, W, V, Nb, Ta, Ce, Pr, Nd, Pm, Sm, Eu, Gd, Tb, Dy, Ho, Er, Tm, Yb, Lu, 이들의 합금,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원자 또는 분자를 함유하는 1 이상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마그네타이트, 맥키에마이트(macchiemite), 고사이트(goethite), 페라이트(ferrit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추가적으로 보론, 실리콘, 질소, 및/또는 산소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3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복합재료의 약 0.001 내지 약 25중량%의 농도로 존재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0. 제2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티렌 기반 중합체를 함유하고, 상기 자성물질이 실리콘, 코발트, 니켈, 및/또는 철 함유 합금을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1.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물질이 미크론-크기 및/또는 나노-크기의 분말로서 복합재료에 혼입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2. 제27항에 있어서, 수지에 자성물질을 기계적으로 밀링하여 제조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는 멜트 컴파운딩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 회분식 믹서, 단일-스크류 압출기, 이중-스크류 압출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장치를 이용한 밀링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기계적 밀링에는 2:1 내지 25:1의 볼 대 복합재료의 중량비를 이용한 볼 밀링이 포함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6. 제27항에 있어서, 벌크, 현탁액, 에멀션, 미니-에멀션 또는 마이크로-에멀션 중합 기법에 의해 제조되되, 상기 수지가 자성물질의 존재 하에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7. 제27항에 있어서, 계면-개질용 첨가제(surface-modifying additives)가 함유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8. 제46항에 있어서,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입자를 계면 개질하는 단계;
    스티렌 및 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단량체 조성물과 상기 계면 개질된 입자를 혼합하여 중합 혼합물을 제공하는 단계;
    중합 혼합물을 중합하여 복합 비드의 현탁액을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 비드를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현탁액 중합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 개질된 입자가
    자성물질 및 1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함유하는 입자의 수성 분산액을 형성하는 단계;
    고전단력의 믹싱 조건에 분산액을 노출시키는 단계; 및
    계면개질제를 함유하는 수용액과 상기 분산액을 혼합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50.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개질제가 폴리비닐알콜, 천연 왁스, 폴리올레핀 왁스, 백유 및 이들의 조합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51. 제27항에 기재된 복합재료로 형성된 열가소성 시트.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를 시트로 압출시켜 형성된 것이 특징인, 열가소성 시트.
  53. 제51항에 있어서, 1 이상의 단일-스크류 압출기 및 이중-스크류 압출기를 이용하여 형성된 열가소성 시트.
  54. 제27항에 있어서, 컴파운딩되고 펠릿으로 압출되며, 파이프, 시트, 필름 또는 프로파일(profile)을 성형하기 위해 압출되는 것이 특징인, 복합재료.
  55. 제31항에 있어서, 두께가 약 0.05mm 내지 약 10mm인 것이 특징인, 열가소성 시트.
  56. 제31항에 있어서, 적어도 1 표면에 프린팅이 적용되는 것이 특징인 열가소성 시트.
  57. 제31항에 기재된 열가소성 시트를 열성형하여 성형된 물품.
  58.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물품이 보석, 손목시계, 전자제품, 컴퓨터, 음향 기기, 영상 기기, 콤펙트 디스크 또는 디지털 비디오 디스크를 보관하기 위해 개조된 패키지(package)인 것이 특징인 물품.
  59. 제27항에 기재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1 이상의 기재층(substrate layer) 및 또 다른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는 1 이상의 층을 포함하는 다중-층 복합재료.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열가소성 물질이 폴리스티렌, 충격 변성 폴 리스티렌(impact modified polystyrene),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및 경우에 따라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공중합체, 스티렌 및 말레산 무수물 및 경우에 따라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고무 변성 공중합체, 폴리올레핀, 폴리(메트)아크릴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이 특징인, 다중-층 복합재료.
  61. 제57항에 있어서, 플러그(plug) 보조 열성형에 의해 성형된 것이 특징인, 물품.
  62. (1) 자성 태그를 포화시키기 위한 필드 강도가 충분한 자기장 및
    (2) 자기널(magnetic null)에 자성 태그를 순차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 태그가 제27항에 기재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것인, 설정된 검사대 내에서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검사하는 방법.
  63. (1) 자성 태그를 포화시키기 위한 필드 강도가 충분한 자기장 및
    (2) 자기널에 자성 태그를 순차적으로 노출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 태그가 제1항에 기재된 보관용기에 함유된 것인, 설정된 검사대 내에서 자성 태그 또는 마커를 검사하는 방법.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널이 검사대 내에 설정된 영역에 대하여 전후로 스위핑(sweeping)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65.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널의 스위프 진동수(sweep frequency)가 1-500Hz이고; 자기장은 (a) 자기널이 평면 내에 위치하고, (b) 자기장의 포화가 평면과 인접하여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66.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자기장(포화 자기장(saturating field)이 존재하는 영역에 인접한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제로(zero) 자기장(자기널)을 포함하는 자기장 패턴을 검사대 내에 구축하되, 상기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은 자성요소가 통과하는 또는 통과할 수 있는, 또는 통과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과 일치하는 것인 단계;
    자기널이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설정된 방식으로 횡단하도록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이동 동안에 수득된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요소가 제1항에 기재된 보관용기에 함유된 것인, 설정된 검사대 내에 설정된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는 자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위치를 측정하는 방법.
  67.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자기적 포화상태를 유도하기에 충분한 제1자기장에 자성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이후, 상대적으로 작은 부피를 점유하고 상기 제1자기장에 인접한 제로 자기장(자기널)의 환경에 상기 자성요소를 노출시키는 단계;
    자기널이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설정된 방식으로 횡단하도록, 적용된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 이동 동안에 수득된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요소가 제1항에 기재된 보관용기에 함유된 것인, 소정의 자기적 특성을 보유하는 자성요소를 식별하는 방법.
  68.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요소가, 요구되는 자기적 환경이 발생하는 검사대를 횡단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69.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포화시키기에 충분한 자기장(포화 자기장)이 존재하는 영역과 인접한 상대적으로 좁은 영역의 제로(zero) 자기장(자기널)을 포함하는 구축된 자기장 패턴이 존재하는 검사대 내에 자성요소를 진입시키는 단계;
    상기 자성요소가 자기널(null)에 도달할 때까지 포화 자기장을 통해 이동하게 하는 단계;
    자기널이 자성요소의 적어도 일부분을 설정된 방식으로 횡단하도록 자기장 및 자성요소 사이에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상기 상대적 이동 동안에 수득된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요소가 제1항에 기재된 보관용기에 함유된 것인, 소정의 자기 적 특성을 보유하는 자성요소를 식별하는 방법.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요소와 자기장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자성요소 상에 적용된 자기장을 스위핑함으로써 생성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71.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요소와 자가장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일반적으로 정자기장(static magnetic field) 패턴에 대하여 교번자기장(alternating magnetic field)을 적용하여 달성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72.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장 패턴이, 직류를 운반하는 1 이상의 코일을 이용하거나; 또는 1 이상의 영구자석을 이용하거나; 또는 코일(들) 및 자석(들)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된 상반된 극성의 2개 자기장에 의해 구축된 것이 특징인 방법.
  73. 자성요소가 위치하는 또는 위치할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에 자기장을 적용하되, 상기 자기장은 자기장 공급원의 중간 위치(상기 위치는 공지되어 있거나 계산할 수 있다)에서 제로 자기장(자기널)을 초래하는, 자기장 공급원에 의해 발생된 2개의 상반된 장 성분을 함유하는 것인 단계;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에 상대적 이동을 유발시키는 단계; 및
    상기 상대적인 이동 동안에 수득되는 자성요소의 자기 반응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자성요소가 제1항에 기재된 보관용기에 함유된 것인, 자성요소의 존재 및/또는 위치의 존재를 측정하는 방법.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장과 자성요소 사이의 상대적 이동이, 직류 자기장 상에 겹쳐진 상대적으로 낮은 진폭의 교번자기장을 적용하여 달성되되, 상기 낮은 진폭의 교번자기장의 진동수가 10Hz 내지 100kHz 범위인 것이 특징인 방법.
  75.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고정된 지점에서 자기널을 유지하기 위하여 실질적으로 일정한 전류를 운반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76.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이, 자기널의 위치가 설정된 방식으로 진동되도록 설정된 사이클 내에서 진폭이 변화하는 전류를 운반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77. 물품의 데이터 특성을 수단으로 소정 물품의 세트 내에서 개별 물품을 암호화 및/또는 라벨링(labeling)하는 방법으로서, 물품에 제27항에 기재된 복합재료를, 그 물품에 대하여 또는 그 물품과 동일한 특성을 공유하는 다른 물품에 대하여 고유한 자기 영역의 소정 배열을 보유하는 자성 태그 또는 마커로서 함유하는 물품을 제조하되, 상기 자성 태그 또는 마커가 적용된 자기장에 의한 검사에 민감하여 상기 태그 또는 마커의 자기적 특성을 나타내는 반응을 발생시키는 것인, 방법.
  78. 하부 트레이 및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하부 트레이에 대하여 개방 및 폐쇄의 택일적 위치 사이에서 움직이는 구성부품을 포함하는 박스를 함유하는 보관용기로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및 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열가소성 물질을 함유하며,
    상기 구성부품의 적어도 하나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분에 복합재료가 도포되어 있고,
    상기 복합재료가,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을 중합하여 수득된 중합체를 함유하는 수지 및
    자성물질을 함유하는 것인, 보관용기.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적층 또는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에 의해 도포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80. 제78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재료가 로고 또는 증인(indicia)로서 도포된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8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또는 커버 중 하나가 저보자력(low coercivity) 및 고투자율(high permeability)을 보유한 복합재료를 함유하고, 상기 트레이 또는 커버 중 다른 하나가 고보자력을 보유하는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8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또는 커버의 표면에 저보자력 및 고투자율을 보유한 복합재료가 배치되어 있고, 대향적으로 배치된 상기 트레이 또는 커버의 표면은 고보자력을 보유한 복합재료를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보관용기.
KR1020087002554A 2005-06-30 2006-06-29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KR2008002846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9546505P 2005-06-30 2005-06-30
US60/695,465 2005-06-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468A true KR20080028468A (ko) 2008-03-31

Family

ID=37604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554A KR20080028468A (ko) 2005-06-30 2006-06-29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080129462A1 (ko)
EP (1) EP1907203A2 (ko)
JP (1) JP2009500249A (ko)
KR (1) KR20080028468A (ko)
CN (1) CN101557930A (ko)
AU (1) AU2006266070A1 (ko)
CA (1) CA2611792A1 (ko)
MX (1) MX2007015680A (ko)
WO (1) WO2007005487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99B1 (ko) * 2009-02-17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트북 배터리 자동분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27090A1 (de) * 2009-06-23 2010-12-30 Evonik Degussa Gmbh Magnetische Partikel und Polyethylen enthaltendes Kompositmaterial
DE102009027091A1 (de) * 2009-06-23 2011-02-17 Evonik Degussa Gmbh Thermisch aktivierbare Radikalstarter und magnetische Partikel enthaltendes Kompositmaterial
CN102163496B (zh) * 2010-12-30 2015-06-24 东莞市高能磁电技术有限公司 高性能无卤环保型橡塑铁氧体挤出磁条的制备方法及磁条
US20120193252A1 (en) * 2011-01-27 2012-08-02 Multi Packaging Solutions, Inc. Storage and packaging device
US10266361B2 (en) * 2011-08-31 2019-04-23 Pregis Intellipack Llc Spindle mechanism for protective packaging device
JP5750384B2 (ja) * 2012-02-23 2015-07-22 株式会社バイオセレンタック 頻繁に容易に脱着可能なマイクロニードル用基盤
CN104149251B (zh) * 2014-07-28 2016-09-07 黄雅辉 一种透明胶片及其胶片盒
CN104733173A (zh) * 2014-12-30 2015-06-24 东莞市美厚塑磁有限公司 一种高性能无卤柔性磁片的制备方法及生产线
EP3438055B1 (en) * 2016-03-31 2022-05-11 Powdertech Co., Ltd. Ferrite powd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MX2017005047A (es) * 2017-04-19 2018-11-09 Criser S A De C V Proceso para la fabricación de un empaque de sellado para un refrigerador.
CN107416368A (zh) * 2017-09-13 2017-12-01 王保锋 一种智能手环用防水收纳盒
US11845219B2 (en) * 2019-05-06 2023-12-19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3-d printed devices formed with magnetic inks and methods of making graded index structures
CN111924349A (zh) * 2020-07-07 2020-11-13 山西钢科碳材料有限公司 一种防止丙烯腈液体自聚的装置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72667A (en) * 1985-12-23 1988-09-20 Polysar Financial Services S.A. Transparent impact polymers
US5573120A (en) * 1993-04-27 1996-11-12 Pop-Pak, Limited Storage container for compact discs and the like
US5629075A (en) * 1994-04-28 1997-05-13 Kao Corporation Magnetic recording medium having a substrate containing magnetic powder
US5891962A (en) * 1994-09-20 1999-04-06 Mitsui Chemicals, Inc. Transparent, rubber-modified styrene resin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FR2730088B1 (fr) * 1995-01-26 1997-04-18 Plastiques Franc Des Boitier en matiere plastique, notamment pour disque compact
GB9506909D0 (en) * 1995-04-04 1995-05-24 Scient Generics Ltd Spatial magnetic interrogation system
US5714536A (en) * 1996-01-11 1998-02-03 Xerox Corporation Magnetic nanocompass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making and using
GB9620190D0 (en) * 1996-09-27 1996-11-13 Flying Null Ltd Improved methods for coding magnetic tags
US6041922A (en) * 1998-06-12 2000-03-28 Alpha Enterprises DVD cas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6720074B2 (en) * 2000-10-26 2004-04-13 Inframat Corporation Insulator coated magnetic nanoparticulate composites with reduced core loss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7219362B2 (en) * 2002-07-12 2007-05-15 Cryovac, Inc. Packaging for limited lifetime optical data storage media
US7638559B2 (en) * 2005-05-10 2009-12-29 Nova Chemicals Inc. Expandable resin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9599B1 (ko) * 2009-02-17 2013-09-23 주식회사 엘지화학 노트북 배터리 자동분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29462A1 (en) 2008-06-05
WO2007005487A3 (en) 2009-06-11
JP2009500249A (ja) 2009-01-08
CN101557930A (zh) 2009-10-14
AU2006266070A1 (en) 2007-01-11
EP1907203A2 (en) 2008-04-09
CA2611792A1 (en) 2007-01-11
MX2007015680A (es) 2008-02-21
WO2007005487A2 (en) 200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8468A (ko) 자성 복합재료 및 이를 함유하는 물품
US6806478B1 (en) Authentication system and methodology
US7219362B2 (en) Packaging for limited lifetime optical data storage media
CN108699281B (zh) 用于三维打印的组合物
KR101245411B1 (ko) 포장 라미네이트, 크리싱 롤러 뿐만 아니라 포장 라미네이트에 이용하기 위한 층
US20100291354A1 (en) Laminate for Laser Marking
KR101868178B1 (ko) 전자 부품 포장용 시트 및 이의 성형체
Larder et al. Enabling the Polymer Circular Economy: Innovations in Photoluminescent Labeling of Plastic Waste for Enhanced Sorting
EP2845492B1 (en) Mold for food
CA2449832C (en) Printed bias magnet for electronic article surveillance marker
US7081510B2 (en) Shell material for recording media
CN109983063B (zh) 热固性组合物
WO2005027080A1 (ja) インモールド成形用ラベル
Cooper Microanalysis of polymer chain diffusion in heat seals
JP2004018658A (ja) レーザーマーキング用樹脂組成物、成形物及びマーキング方法
JP2000169723A (ja) シートまたはカード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11279292A (ja) スチレン系樹脂延伸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成形体
TW200415093A (en) Container using for clean room
JP2004027238A (ja) マーキング用組成物、成形物及びマーキング方法
JP4420551B2 (ja) 電子写真用記録シート
JP2001253987A (ja)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電子部品搬送用成形品
JP2002127324A (ja) 多層樹脂延伸フィルム
JPH0788435B2 (ja) プラスチツクフイルム及びその使用方法
JPH0740687A (ja) 情報記録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